KR20060029184A - 면광원 장치 - Google Patents

면광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184A
KR20060029184A KR1020067000595A KR20067000595A KR20060029184A KR 20060029184 A KR20060029184 A KR 20060029184A KR 1020067000595 A KR1020067000595 A KR 1020067000595A KR 20067000595 A KR20067000595 A KR 20067000595A KR 20060029184 A KR20060029184 A KR 20060029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guide plate
light guide
positioning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489B1 (ko
Inventor
타츠야 오기노
준이치로 츠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9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91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source relative to the light gu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2Encapsulations
    • H01L33/54Encapsulations having a particular shape

Abstract

광원과 도광판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광원을 도광판에 밀어붙혀 부착할 수 있는 면광원을 제공한다. 도광판(33)에 마련된 광원 수용부(47)의 상하면의 양측에 금구부착부(49)를 오목하게 마련하고, 각 금구부착부(49)에 스냅(50)을 돌설한다. 금구부착부(49)와 광원 수용부(47) 사이에, 금구부착부(49)와 같은 깊이의 끼움용 단차(51)를 형성한다. 광원 수용부(47)에 수납된 점광원(32)의 상하면의 양측에 끼움용 단차(42)를 오목하게 마련한다. 부착금구(52)에 마련한 부착편(53)의 계지 구멍(54)을 스냅(50)에 계합시켜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에 부착하고, 부착금구(52)에 마련한 상하의 협지편(55)으로 끼움용 단차(51, 42)를 일제히 끼워넣고, 그것에 의해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두께 방향 위치를 정돈하여 지지시킨다. 또한, 탄성적으로 휘어진 부착금구(52)의 당접편(56)을 점광원(32)의 배면에 꽉눌러서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입사면에 밀어붙인다.
면광원 장치

Description

면광원 장치{SURFACE LIGHT SOURCE DEVICE}
본 발명은,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그 밖의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나 프런트 라이트 등으로서 이용되는 면광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각종 표시 장치에는, 백라이트나 프런트 라이트 등으로서 종래보다 면광원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박형이면서 경량이라는 특징이 있고,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로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액정 표시 패널 자체는 발광하지 않기 때문에, 그 표시 내용을 보기 위해서는 외광이나 보조 광원이 필요해진다. 또한, 근래에서는, 휴대 전화나 PDA라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액정 표시 장치의 대폭적인 수요 증대에 수반하여, 박형화나 전력 절약화가 요청되어 있고, 그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화가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냉음극관과 같은 이른바 선형상 광원을 이용한 것으로부터 점점 LED(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로 변천하여 오고 있고, 가능한 한 적은 LED를 이용하여 면광원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른바 점광원을 이용한 면광원 장치의 원리는, 점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도광판의 광입사면으로부터 도광판의 내부로 받아들이고, 도광판의 표면과 이면 사이에서 광을 전반사시키면서 도광판 전체로 면형상으로 퍼트려서, 도광판의 이면에 형성한 편향 패턴에 의해 광을 표면측을 향하여 출사시키고, 도광판의 표면으로부터 광을 출사시킨다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면광원 장치(1)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X-X선 단면도, 도 1(c)는 면광원 장치(1)의 하면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1)에서는, LED 칩을 수지 밀봉한 점광원(2)을 솔더(3)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에 실장하고 있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에는 코킹용 구멍(5)이 개구되어 있다. 투명한 수지 성형품인 도광판(6)의 코너부에는 발광창(7)이 마련되어 있고, 발광창(7)의 부근에서 도광판(6)의 하면에 코킹용 핀(8)이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점광원(2)을 도광판(6)의 발광창(7) 내로 삽입함과 함께 코킹용 핀(8)을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의 코킹용 구멍(5)에 삽통시키고, 코킹용 핀(8)을 가열하고 눌러 찌부림에 의해 열(熱)코킹을 행하여, 점광원(2)을 도광판(6)에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면광원 장치(1)에서는, 도광판(6)의 발광창(7)의 사이즈와 점광원(2)의 사이즈가 똑같으면, 점광원(2)을 발광창(7)에 자동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점광원(2)과 발광창(7) 사이에 미소한 클리어런스를 주고 있다. 그 때문에, 점광원(2)을 실장한 상태에서, 점광원(2)의 앞면(발광창)과 발광창(7) 내의 벽면(광입사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간격으로부터 도광판(6)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 광이 누설되기 쉽게 되어, 그 만큼 점광원(2)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효율적으로 도광판(6) 내부로 도입할 수 없게 되어, 광이용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점광원(2)을 이용한 면광원 장치에서는, 광원 출사광량이 냉음극관 등에 비하여 적기 때문에, 이와 같은 광의 누설은 광이용 효율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면광원 장치(1)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을 코킹용 핀(8)으로 열코킹하고 있고, 부착강도 등을 고려하면, 열코킹 후에도 코킹용 핀(8)의 돌출 길이는 상당히 컸다. 통상, 이 코킹 부분의 두께(d)는 0.3㎜이다. 그 때문에, 코킹용 핀(8)의 두께도 포함한 면광원 장치(1) 전체의 두께는, 코킹용 핀(8) 이외의 영역에 있어서의 도광판(6) 자체의 두께에 비하여 상당히 커져서, 면광원 장치(1) 전체가 두꺼워져서 박형화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면광원 장치(1)에서는, 점광원(2)은 평면 내에서는 발광창(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평면 위치 정밀도는 양호하였다. 그러나, 도광판(6)의 두께 방향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을 도광판(6)의 하면에 맞닿게 하는 것으로 점광원(2)을 위치 결정하고 있기 때문에, 솔더(3)의 두께나 LED 칩의 실장에서의 기울기의 편차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점광원(2)의 높이 방향의 위치 정밀도가 흐트러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광원(2)의 앞면과 발광창(7)의 벽면 사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간격이 발생하고 있는 곳에, 이와 같은 높이 방향의 편차가 있으면, 광의 누설이 보다 커지고, 광의 이용 효율이 한층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점광원(2)의 앞면과 발광창(7)의 벽면 사이의 간격을 없애기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창(7)의 벽면으로부터 돌출시킨 돌기(9)를 점광원(2)의 배면에 꽉누르게 하여, 점광원(2)의 앞면을 발광창(7)의 벽면에 밀어붙이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점광원(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누설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도, 코킹용 핀(8)이 필요한 것에 다름은 없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1)가 두꺼워지고 박형화한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한편, 휴대 기기에 보여지듯이 기기의 박형화의 요청은 강하고, 그에 수반하여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의 요청도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전체의 두께가 1.3㎜이지만, 최근에는 점광원 부분에서도 두께가 1.0㎜ 이하의 면광원 장치가 요구되고 있고, 거기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두께 0.2㎜를 빼면, 점광원의 두께는 0.8㎜ 이하로 억제하여야 한다.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에 관해서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도 1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1)와 같이 점광원(2)을 도광판(6) 내로 수납하고 열코킹하는 방법에서는, 코킹 부분의 두께가 0.3㎜나 있기 때문에, 이 코킹 부분의 두께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의 두께를 제외하면, 두께 0.5㎜ 이하의 점광원이 필요해진다. 현재 상태에서는, 측면 발광의 점광원으로는, 가장 두께가 얇은 것이라도 두께가 0.6㎜이다.
도 4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10)는, 도광판(6)의 외주면에 오목부(11)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11)에 대향시키도록 하여 점광원(2)을 배치하고, 점광원(2)의 윗면과 도광판(6)의 윗면 사이에 반사 시트(12)를 접착시키고, 점광원(2)의 하면과 도광판(6)의 하면 사이에도 반사 시트(12)를 접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점광원(2)으로부터 도광판(6)의 표면보다도 상방으로, 또는 도광판(6)의 이면보다도 하방으로 출사된 광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 시트(12)에서 반사시켜서 도광판(6)으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광이용 효율도 개선된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반사 시트(12)를 붙이기 전의 점광원(2)과 도광판(6)의 위치 결정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반사 시트(12)가 붙이는 방식의 편차에 의해 점광원(2)과 도광판(6)과의 간격이 흐트러지면 도광판(6)에 도입되는 광이 감소하여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도광판(6)의 표리 양면에 반사 시트(12)를 붙이고 있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10)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또한, 부품 개수도 많아진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17)에서는, 점광원(2)의 외장 수지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18)에 일부가 잘려 뚫린 스냅형상의 감합 구멍(19)을 마련하여 놓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판(6)의 외주면의 오목부(11)가 형성된 위치에 점광원(2)의 플랜지(18)를 씌우도록 부착하고, 도광판(6)의 표리 양면에 돌설한 감합 핀(20)에 점광원(2)의 감합 구멍(19)을 탄성적으로 감합시켜서 점광원(2)을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면광원 장치(17)에서도, 감합 구멍(19)이나 감합 핀(20)의 오차에 의해 점광원(2)과 도광판(6)과의 간격이 흐트러지면 도광판에 도입되는 광이 감소하여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도광판(6)의 표리 양면에 플랜지(18)가 겹쳐지고 있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17)의 두께가 두꺼워진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면광원 장치(21)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광원(2)의 양측부에 코킹용 구멍(22)을 천공하여 놓고, 도광판(6)의 외주면에 돌설한 코킹용 핀(23)을 점광원(2)의 코킹용 구멍(22)에 삽입한 후, 코킹용 핀(23)을 열코킹하여 점광원(2)을 도광판(6)에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 면광원 장치(21)에서는, 열코킹의 편차에 의해 점광원(2)과 도광판(6)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생기기 쉽고, 간격이 생기면 그곳으로부터 광이 누설되어 광의 이용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외주면에 점광원을 부착하는 구조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어느것이나 점광원과 도광판의 사이에 간격이 생길 우려가 있고, 그 간격으로부터 광이 누설되어 광이용 효율이 나빠진다는 문제가 있음과 함께, 충격에도 약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바는, 광원을 도광판의 외면에 부착하는 경우에도, 도광판의 두께를 늘리는 일 없이, 광원과 도광판 사이에 소정 이상의 간격이 생기지 않도록 광원을 도광판에 밀어붙여 부착할 수 있는 박형의 면광원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면광원 장치는, 내부의 광을 도광시켜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대향시켜서 배치된 광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 계합(係合)된 부착구(取付具)에 의해 상기 광원을 지지시키고, 상기 부착구의 일부를 상기 광원의, 상기 도광판과 반대측의 면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에 계합된 부착구에 의해 광원을 지지시키고, 부착구의 일부를 광원의, 도광판과 반대측의 면에 탄성적으로 맞닿게 하고 있기 때문에, 광원을 도광판의 광입사면을 향하여 가압시킬 수 있고, 도광판의 입사면과 광원 사이에 필요 이상의 간격이 벌어지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도광판의 입사면과 광원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서 광원의 광이 누설되기 어렵게 되고, 면광원 장치의 광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면광원 장치에서는, 그 박형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부착구를 이용함에 의해, 광원의 부착의 내충격성이 향상됨과 함께, 면광원 장치의 조립성도 양호하게 되고, 부품 비용도 염가로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실시의 양태에 있어서는, 상기 광원의 발광창의 높이를 상기 도광판의 두께 이하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원의 발광창의 높이를 도광판의 두께 이하로 하면, 광원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광원 및 도광판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도광판의 내부로 입사되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광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다른 실시의 양태에서는, 상기 부착구의 외형 높이를 상기 도광판의 두께 이하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착구의 높이를 도광판의 두께 이하로 하면, 부착구가 도광판의 윗면이나 하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또다른 실시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부착하는 방향의 주위로 180도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부착구에 형상적인 방향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부착구를 광원이나 도광판에 부착할 때에, 부착구의 표리를 정돈하여 둘 필요가 없고, 조립 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또다른 실시의 양태에서는, 상기 부착구는, 상기 도광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여도 좋다. 부착구를 도광판에 착탈 자유롭게 하여 두면, 광원이나 도광판의 교환이나 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부착구를 도광판으로부터 벗겨서 광원과 도광판을 분리시킬 수 있고, 또한, 재차 같은 부착구를 이용하여 광원과 도광판을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부착구를 재이용할 수 있고, 또한, 면광원 장치의 리페어성이 향상된다.
상기 부착구를 착탈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도광판의 윗면 및 하면에 금구부착부를 오목하게 마련하고, 상기 금구부착부 내에 괘지부(掛止部)를 돌설하고, 2번 접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착구에 링형상, 훅형상 또는 폴형상을 한 부착편을 마련하고, 상기 부착편을 상기 금구부착부에 넣어서 상기 괘지부에 걸음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하면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부착구의 부착편을 도광판이 괘지부에 걸고 있을 뿐이므로, 부착구의 부착편을 괘지부로부터 벗김으로써 부착구를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이 부착편은, 도광판에 오목하게 마련된 금구부착부 내에 넣어져 있기 때문에, 부착편이 도광판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부착구를 착탈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괘지부를 돌설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링형상, 훅형상 또는 폴형상을 한 부착편을 상기 괘지부에 걸음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광판의 측면이란, 도광판 전체의 측면으로 한하지 않고, 도광판의 외주면으로 내뻗은 장출(張出) 부분의 측면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부착구의 부착편을 도광판의 괘지부에 걸고 있을 뿐이므로, 부착구의 부착편을 괘지부로부터 벗김으로써 부착구를 용이하게 벗길 수 있다. 또한, 이 부착편은, 도광판의 측면에서 괘지부에 걸려 있기 때문에, 부착편의 높이를 도광판의 두께보다도 낮게 함에 의해 부착편이 도광판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또다른 실시의 양태에서는, 상기 도광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금구부착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상기 도광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코킹용의 돌기 또는 코킹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코킹용의 돌기 또는 코킹용의 구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코킹용의 구멍에 상기 코킹용의 돌기를 삽입하여 코킹함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하여도 좋다. 이 양태로는, 코킹용의 돌기를 코킹함에 의해 도광판에 부착구를 부착하고 있지만, 도광판측의 코킹용의 돌기 또는 코킹용의 구멍은, 도광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금구부착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상기 도광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코킹용의 돌기 등이 도광판의 윗면이나 하면으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일이 없고, 면광원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의 또다른 실시의 양태에서는, 상기 부착구 및 상기 도광판은,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도광판 두께 방향에서 서로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은,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도광판 두께 방향에서 서로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실시의 양태에 의하면, 부착구를 통하여 광원과 도광판을 두께 방향에서 서로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광원이 도광판에 대해 두께 방향으로 어긋나서 광이 누설되기 쉽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광의 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 부근에 박육부를 마련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한 쌍의 평행한 돌편(突片)에 의해 상기 박육부를 끼워지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도광판의 박육부를 부착구로 끼워지지하기 때문에, 도광판을 끼워지지하는 부착구의 높이가 커지는 일이 없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위치 결정하는 다른 수단으로서는, 상기 도광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상기 도광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의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용의 돌기를 감합(嵌合)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위치 결정용의 돌기나 위치 결정용의 구멍이 도광판의 윗면이나 하면에 튀어나와 있는 일이 없고, 그것에 응하여 부착구의 높이도 도광판의 두께 이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으로서는, 상기 광원의 적어도 일부에 박육부를 마련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한 쌍의 평행한 돌편에 의해 상기 박육부를 끼워지지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광원의 박육부를 부착구로 끼워지지하기 때문에, 광원을 끼워지지하는 부착구의 높이가 커지는 일이 없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다른 수단으로서는, 상기 광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 상기 광원의 측면, 상기 광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의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용의 돌기를 감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위치 결정용의 돌기나 위치 결정용의 구멍이 광원의 윗면이나 하면으로 튀어나와 있는 일이 없고, 그것에 응하여 부착구의 높이도 광원의 두께 이내로 할 수 있어,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또다른 수단으로서는, 상기 광원의 배면에 위치 결정용의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의 일부를 상기 위치 결정용의 슬릿 내에 감합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부착구와 광원을 감합시키기 위한 구조를 얇게 할 수 있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상 설명하는 구성 요소는, 가능한 한 조합시킬 수 있다.
도 1의 (a)는 종래의 면광원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b)는 (a)의 X-X선 단면도, (c)는 면광원 장치의 하면도.
도 2는 동 상의 면광원 장치에서 도광판과 점광원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광이 누설된 양상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면광원 장치에서 도광판과 점광원 사이에 간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확대 단면도.
도 4는 점광원을 도광판의 밖에 부착한 종래의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동 상의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점광원을 도광판의 밖에 부착한 종래의 다른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동 상의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점광원을 도광판의 밖에 부착한 종래의 또다른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동 상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1은 동 상의 면광원 장치의, 점광원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장출부)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평면도.
도 13은 점광원과 부착금구의 측면도.
도 14는 도 10의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부착금구를 도광판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일부 파단한 사시도.
도 15는 동 상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의 배면측에서의 사시 도.
도 16은 동 상의 점광원의 단면도.
도 17은 부착금구의 부착편을 도광판의 스냅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단한 확대 사시도.
도 18은 점광원과 도광판의 높이 방향의 위치 어긋남(δ)과 그 입사 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9는 부착금구의 휘는 양(ξ)과 그 반력(P)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20은 부착금구의 휘는 양(ξ)과 반력(P)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동 상의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점광원의 다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동 상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의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5는 동 상의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의 사시도.
도 26은 다른 형상의 부착편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27은 동 상의 부착금구의 평면도.
도 28은 또다른 형상의 부착편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29는 동 상의 부착금구의 평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사시도.
도 35는 실시예 8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6은 실시예 8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다른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
<도면에서 사용되고 있는 부호의 설명>
31 : 면광원 장치 32 : 점광원
33 : 도광판 35 : 광입사면
41 : 돌기부 42 : 끼움용 단차
43 : 누름부 46 : 장출부
47 : 광원 수용부 48 : 돌기
49 : 금구부착부 50 : 스냅
51 : 끼움용 단차 52 : 부착금구
53 : 부착편 54 : 계지 구멍
55 : 협지편 56 : 당접편
61 : 코킹 핀 63 : 위치 결정용 슬릿
64 : 위치 결정용 돌기 65 : 코킹용 구멍
66 : 위치 결정용 구멍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1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면광원 장치(31)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31)는, 점광원(32)과 도광판(33)으로 이루어지고, 점광원(32)은 부착금구(52)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을 한 도광판(33)의 외주 코너부에 부착되어 있다. 도광판(33)의 하면에는, 단면 삼각형 형상을 한 편향 패턴(34)이 다수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편향 패턴(34)은 점광원(32)의 발광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거의 동심원 형상으로, 또한,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LED 칩 등의 발광 소자를 내장한 점광원(32)으로부터 광이 출사되면, 점광원(32)의 광은, 점광원(32)에 대향하고 있는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도 12 참조)으로부터 도광판(33)으로 입사하고, 도광판(33) 내에서 그 표면과 이면 사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광판(33)의 거의 전체로 퍼진다. 도광판(33) 내의 광이 도광판(33) 내를 전반하는 도중에 편향 패턴(34)에 입사하면, 편향 패턴(34)에 입사한 광은 편향 패턴(34)에 의해 표면측을 향하여 전반사되고, 도광판(33)의 표면에 전반사의 임계각보다도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한 광은 도광판(33)의 표면(광출사면(36))으로부터 출사된다. 여기서, 광출사면(36)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강도가 도광판(33)의 유효 영역에서 거의 균일하게 되도록, 편향 패턴(34)의 배열 밀도가 점광원(32)으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33)의 하면에는, 도광판(33)의 이면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도광판(33) 내로 되돌리기 위한 Ag 필름이나 백색 수지 시트 등의 반사 시트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광판(33)의 윗면에는 적절히 확산 시트를 배치하여도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면광원 장치(31)에서의 점광원(32)의 부착 구조를 설명한다. 도 11은 상기 면광원 장치(31)에 있어서의 점광원(32)의 부착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그 분해 평면도, 도 13은 부착금구(52)와 점광원(32)을 옆에서 본 측면도, 도 14는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15는 점광원의 사시도, 도 16은 점광원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에 부착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파단한 확대 사시도이다.
점광원(32)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점광 원(32)에서는, 스템(도시 생략)에 실장된 LED 칩 등의 발광 소자(37)가 투명 수지(38) 내에 밀봉되어 있고, 또한 투명 수지(38)는 그 앞면을 제외한 영역을 백색의 외장 수지(39)에 의해 덮혀 있고, 발광 소자(37)에서 발광한 광은 점광원(32)의 앞면의 투명 수지부분인 발광창으로부터만 출사된다. 외장 수지(39)의 배면에는 수지에 의해 금구 계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금구 계합부(40)의 양측부에는, 외장 수지(39)의 두께보다도 얇은 돌기부(41)가 마련되어 있고, 돌기부(41)의 윗면 및 하면은, 각각 외장 수지(39)의 윗면 및 하면으로부터도 끌어들여 끼움용 단차(42)가 형성되어 있다. 금구 계합부(40)의 배면 중앙부에는, 누름부(43)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점광원(32)은, 도 16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더(44)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의 위에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 32a는, 점광원(32)의 통전용의 단자이다.
도광판(33)의 코너부에는 장출부(46)가 마련되어 있고, 장출부(46)는, 도광판(33)의 대각선 방향으로 튀어나와 있고, 도광판(33)의 대각선 방향과 직교한 방향과 거의 평행한 변을 갖고 있다. 이 장출부(46)의 중앙부에는, 표리에 관통하도록 하여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한 광원 수용부(47)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 수용부(47)의 안쪽면(奧面)에는, 극히 얕게 오목하게 마련된 광입사면(35)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광입사면(35)에는, 점광원(32)으로부터 입사하는 광을 넓은 각도로 넓혀서 도광판(33) 내로 도입시키기 위해 미세한 프리즘(도시 생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립 후에 점광원(32)이 광입사면(35)에 닿아서 미세한 프리즘을 변형시키지 않도록 광입사면(35)의 양 곁에 는 점광원(32)에 대한 당접면(60)을 볼록하게 마련하고 있다. 또한, 광원 수용부(47)의 내주 측면에는,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어진 점광원(32)의 측면에 맞닿게 함에 의해, 점광원(32)의 좌우 방향의 덜컹거림을 없애기 위한 돌기(48)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광원 수용부(47)의 양측에서는, 장출부(46)의 표리 양면에 각각 금구부착부(49)가 오목하게 마련되고, 좌우 표리의 금구부착부(49)에는 각각 폴형상을 한 스냅(50)(괘지부)이 돌설되어 있다. 스냅(50)의 후반에는, 후방을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로 내려간 경사면(59)이 형성되어 있다. 스냅(50)의 높이는 금구부착부(49)의 깊이보다도 작은 치수가 되어 있고, 스냅(50)이 도광판(33)의 표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광원 수용부(47)와 금구부착부(49)의 사이에 끼워진 영역에서도, 장출부(46)의 표리에 끼움용 단차(5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리의 금구부착부(49)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와 표리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는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점광원(32)의 표리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돌기부(41)의 두께)도, 금구부착부(49)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 및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그래서,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에 점광원(32)을 끼워넣으면, 돌기(48)가 점광원(32)의 측면에 맞닿아서 점광원(32)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점광원(3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덜컹거림이 제거된다. 또한, 점광원(32)의 안쪽(奧行) 치수는, 광원 수용부(47)의 안쪽 치수와 같게 되어 있고, 점광 원(32)을 광원 수용부(47) 내로 끼워넣으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광원(32)의 일부(예를 들면 돌기부(41)의 선단부)가 장출부(46)의 단면과 같은 면으로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점광원(32)은 솔더(44)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의 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점광원(32)을 광원 수납부(47) 내에 끼워넣으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이 도광판(33)의 하면에 맞닿음에 의해 점광원(32)은 광원 수납부(47)로부터 상방으로는 빠지지 않게 되고, 점광원(32)이 러프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는, 도광판(33)의 금구부착부(49)로부터 끼움용 단차(51),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에 걸쳐의 영역이 도광판(33)의 두께보다도 얇고, 또한, 거의 같은 두께로 된다.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에 끼워넣어진 점광원(32)은, 부착금구(52)에 의해 도광판(33)에 고정된다. 부착금구(52)는 스테인리스 강판, 스틸 강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재료를 펀칭 가공한 후, 절곡 가공함에 의해 제작되어 있고, 상하 대칭이고 좌우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다. 부착금구(52)는 단면 U자 형상이 되도록, 간격을 두고 2번 접음으로 절곡 가공되어 있고, 그 상편(上片)과 하편 사이의 간격의 높이가 금구부착부(49), 끼움용 단차(51), 끼움용 단차(42)의 각 표리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부착금구(52)의 상하편의 양측부에는, 각각 부착편(53)이 마련되어 있고, 부착편(53)에는, 스냅(50)보다도 약간 큰 각(角) 구멍 형상을 한 계지 구멍(54)이 개구되어 있다. 좌우의 부착편(53) 사이에는 각각 한 쌍의 협지편(挾持片)(55)이 마련되고, 협지편(55) 사이에는 당접편(當接片)(56)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착편 (53)과 협지편(55) 사이에는 노치(57)가 형성되고, 협지편(55)과 당접편(56) 사이에도 노치(5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노치(57, 58)를 마련함에 의해, 노치(57, 58)가 형성되어 있는 개소의 강성을 저하시키고 있고, 부착금구(52)는 노치(57)에 의해 부착편(53)이 도광판(33)의 두께 방향으로 열리기 쉽게 되어, 노치(58)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만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부착금구(52)는,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끼워넣은 후, 점광원(32)의 배후로부터 점광원(32) 및 장출부(46)의 표리면을 끼워넣도록 하여 부착된다.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50)의 뒷 측에는 경사면(59)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금구(52)의 상하편 사이에 점광원(32) 및 장출부(46)의 일부를 끼워넣도록 하여 부착금구(52)를 부착하고, 부착금구(52)의 양측부를 밀어넣으면, 스냅(50)의 경사면(59)에 의해 부착편(53)이 상하로 넓어져서 스냅(50)을 넘어가, 스냅(50)이 자연스럽게 계지 구멍(54) 내로 끼워넣어진다. 스냅(50)의 앞면은 수직으로 세워져 있기 때문에, 스냅(50)이 계지 구멍(54)에 끼워넣어지면 부착편(53)이 스냅(50)에 걸려서 부착금구(52)가 벗겨지지 않게 된다.
이렇게 부착금구(52)가 도광판(33)에 부착되면,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와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가 부착금구(52)의 협지편(55)에 의해 표리가 끼워넣어지고, 점광원(32)의 두께 방향(상하 방향)이 도광판(33)에 대해 위치 결정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33)의 장출부(46)의 두께(최대 두께)가 0.8㎜로 되어 있고, 점광원(32)의 두께(최대 두께)도 0.8㎜로 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33)에 부착된 부착금구(52)는, 당접편(56)의 선단이 누름부(43)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적으로 활모양으로 만곡되고, 부착금구(5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점광원(32)이 당접편(56)으로 당접면(60)에 밀어붙여진다. 따라서 점광원(32)의 사이즈나 광원 수용부(47)의 사이즈에 편차가 있거나 하여도, 점광원(32)을 덜컹거림 없이 고정밀도로 도광판(33)에 부착할 수 있고, 게다가,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열코킹을 행하거나 하는 일 없이, 원터치로 부착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건식이기 때문에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와 같이 양생 시간도 필요 없다. 이 부착금구(52)도, 점광원(32)과 마찬가지로, 도광판(33)의 표리로 튀어나오지 않는 치수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착금구(52)는 판두께 0.1㎜의 스테인리스 강판에 의해 외형 높이가 0.6㎜로 되도록 제작되어 있고, 금구부착부(49)의 깊이와, 끼움용 단차(51)나 끼움용 단차(42)의 깊이는 0.2㎜ 이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금구(52)는 도광판(33)의 표면으로부터 0.1㎜ 끌어들여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31)에 의하면, 면광원 장치(31)의 조립 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금구(52) 등이 도광판(33)의 표리면에서 튀어나오지 않도록 부착함으로써 면광원 장치(31)의 박형화, 특히 두께를 0.8㎜ 이하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용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금구(52)는 도광판(33)의 상하의 면에서 확실하게 고정되고, 이 부착금구(52)에 의해 점광원(32)이 도광판(33)에 탄성적으로 가압됨으로써, 점광원(32)은 도광판(33)에 대해 확실하게 고정되고, 면광원 장치(31)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도 18은, 발광창의 높이(투명 수지(38)의 높이)가 0.7㎜, 도광판(33)의 두께가 0.7㎜의 경우에, 도광판(33)의 높이 방향의 중심과 발광창의 높이 방향의 중심의 어긋남(이하, 점광원(32)의 높이 위치 어긋남이라 한다)(δ)과 입사 손실 사이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과 점광원(32)의 앞면 사이의 간격이 50㎛, 30㎛, 10㎛의 경우에 관해 각 특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점광원(32)의 높이 위치 어긋남(δ)이 커지면, 점광원(32)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입사 손실이 커진다. 또한,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과 점광원(32)과의 사이의 간격의 크기가 흐트러지면, 입사 손실도 흐트러지게 되고, 편차에 의해 이 간격이 커지면, 도광판(33)에의 입사 손실이 커진다.
본 발명의 면광원 장치(31)에 의하면, 부착금구(52)의 탄성을 이용하여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당접면(60)에 밀어붙여져서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이 실시예에서는, 광입사면(35)에 프리즘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밀착은 하지 않지만, 프리즘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밀착시킬 수도 있다) 할 수 있고, 게다가, 부착금구(52)로 점광원(32)을 잡고 점광원(32)과 도광판(33)의 두께 방향의 위치 맞춤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점광원(32)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도광판(33)의 밖으로 누설되기 어렵게 되어 입사 손실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점광원(32)을 이용한 면광원 장치(31)에서의 광이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점광원(32)이 도광판(33)의 판두께 내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점광원(32)의 높이 위치 어긋남(δ)도 작아지고, 입사 손실이 저감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부착금구(52)를 이용하여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부착하는 방법에 의하면, 점광원(32) 또는 도광판(33)의 교환 또는 수리를 행하는 경우에는,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을 휘게 하여 스냅(50)으로부터 벗김에 의해, 간단하게 부착금구(52)를 벗기고 도광판(33)으로부터 점광원(32)을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같은 부착금구(52)를 이용하여 교환 또는 수리된 점광원(32)과 도광판(33)을 원래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접착제나 열코킹에 의해 점광원(32)을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일단 점광원(32)을 도광판(33)으로부터 떼어내면, 그 점광원(32)이나 도광판(33)은 재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리사이클성도 본 발명의 이점으로 되고, 자원 절약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9는, 부착금구(52)의 휘는 양(ξ)과 그 반력(P)의 크기와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데이터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두께 0.1㎜의 스테인리스 판금제의 부착금구(52)를 이용하고, 부착금구(52)의 중앙부가 ξ만큼 휘어진 때의 반력(P), 즉 당접편(56)에 의한 가압력을 계측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의 면광원 장치(31)에서는, 휘는 양(ξ)이 0.15㎜에서 가압력(P)이 4N으로 되어 있다. 이 반력(P)과 휘는 양(ξ)과의 관계는, 노치(58)의 깊이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당접편(56)이 점광원(32)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가 만곡되어 있지만, 돌기부(41)의 선단이 부착금구(52)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가 탄성적으로 만곡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점광원(32)으로서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간략화한 형상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실시예 2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이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32)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의 배면부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의 중앙부에 끼움용 단차(42)를 형성하고 있고, 끼움용 단차(42)의 안쪽면(奧面)에 부착금구(52)의 당접편(56)을 맞닿게 하기 위한 누름부(43)를 마련하고 있다. 도광판(33)의 장출부(46)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부착금구(52)의 협지편(55)은, 끼움용 단차(51)의 폭에 맞추어서 실시예 1의 경우보다도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상하의 당접편(56)은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를 끼워넣음과 함께 선단을 누름부(43)에 맞닿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의 두께는, 당접편(56)의 내면 사이의 거리와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은 후, 점광원(32)의 배후로부터 점광원(32) 및 장출부(46)에 부착금구(52)를 부착하고, 협지편(55)으로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를 끼워넣어 잡는 동시에 당접편(56)으로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를 끼워넣고, 그것에 의해 부착금구(52)를 통하여 도광판(33)에 대해 점광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계속해서, 부착금구(52)의 양측부를 밀어넣으면, 스냅(50)이 부착편(53)의 계지 구멍(54)에 끼워넣어져서 부착편(53)이 스냅(50)에 걸린다. 이때 당접편(56)의 선단이 점광원(32)의 누름부(43)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가 탄성적으 로 활모양으로 만곡하기 때문에,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점광원(32)은 도광판(33)의 당접면(60)에 밀어붙여진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과 도광판(33)이 부착금구(52)의 각자의 부분에서 잡혀 있고, 또한, 부착금구(52)의 당접편(56)은 점광원(32)을 잡는 작용과 점광원(32)을 광입사면(35)에 밀어붙이는 작용을 겸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도, 부착금구(52)는 도광판(33)의 금구부착부(49), 끼움용 단차(51) 및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내에 넣어져서 도광판(33)의 윗면 및 하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도록 하고 있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실시예 3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이 면광원 장치에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32)의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의 윗면 전체가 금구부착부(49)나 끼움용 단차(51)의 깊이와 같은 만큼 낮아져 있고, 점광원(32)의 하면 양측부에는, 금구부착부(49)나 끼움용 단차(51)의 깊이와 같은 깊이로 끼움용 단차(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박형의 점광원(32)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도광판(33)의 두께가 0.8㎜, 끼움용 단차(51)의 깊이가 0.2㎜이라고 하면, 점광원(32)의 두께가 0.6㎜, 끼움용 단차(42)의 깊이가 0.2㎜로 되어 있고, 점광원(32)을 광원 수용부(47)에 넣은 때 윗면측이 끼움용 단차(51)와 점광원(32)의 윗면이 동일면으로 되고, 하면측의 끼움용 단차(51)와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가 동일면으로 된다.
도광판(33)의 장출부(46)는,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다. 부착금구(52)도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구조를 갖고 있지만, 점광원(32) 내부의 발광 소자(37)의 위치를 누를 수 있도록, 당접편(56)은 내측을 향하여 만곡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은 후, 점광원(32)의 배후로부터 점광원(32) 및 장출부(46)에 부착금구(52)를 부착하면, 협지편(55)으로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와 점광원(32)의 윗면 및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가 끼워넣어져서 지지되고, 부착금구(52)에 의해 도광판(33)에 대해 점광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행하여진다. 계속해서, 부착금구(52)의 양측부를 전방으로 밀어넣으면, 스냅(50)이 부착편(53)의 계지 구멍(54)에 끼워지고 부착편(53)이 스냅(50)에 걸린다. 이때 당접편(56)의 선단이 점광원(32)의 배면 중앙부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가 탄성적으로 활모양으로 만곡되기 때문에,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점광원(32)은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에 밀어붙여진다.
이 실시 예와 같이 점광원(32)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으면,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는 윗면과 하면중 어느 한쪽만으로 할 수 있고, 더욱 점광원(32)을 얇게 할 수 있으면, 점광원(32)에 끼움용 단차(42)를 오목하게 마련하는 일 없이, 그대로의 형상(직사각형 형상)으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박형의 점광원(32)에도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점광원(32)의 하면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에 실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윗면측만으로 전체를 얇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에는 계지 구멍(54)이 개구하고 있고 스냅(50)이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지만,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을 L자 형상 또는 훅형상으로 형성하고, 편측에서 스냅(50)에 걸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형상의 부착금구(52)를 이용하면, 부착금구(52)의 길이를 단축할 수 있고, 부착금구(52)가 부착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냅(50)의 측벽면이 금구부착부(49)의 내주 측벽면과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냅(50)의 강도가 증가하고, 부착금구(52)의 부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부착편(53)을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스냅(50)에 걸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각의 스냅(50)의 측벽면이 금구부착부(49)의 내주 측벽면과 일체화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스냅(50)의 강도가 증가하고, 게다가, 부착편(53)은 2개의 스냅(50)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부착금구(52)의 부착 강도가 증가하고, 보다 큰 가압력으로 점광원(32)을 누를 수 있다.
실시예 4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33)의 외주면중, 단변의 중앙부에 장출부(46)를 마련하고, 장출부(46)의 중앙부에 광원 수용부(47)를 마련하고 있다. 광원 수용부(47)의 안쪽면에는, 광입사면(35)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 수용부(47)의 측면에는 돌기(48)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장출부(46)의 좌우 양측면에는, 각각 스냅(50)이 돌설되어 있고, 광원 수용부(47)의 양측부에서는, 장출부(46)의 상하 양면에 끼움용 단차(51)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점광원(32)은, 실시예 1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의 것을 이용하고 있고, 배면측의 좌우 양측부의 윗면 및 하면에는 각각 끼움용 단차(42)가 오목하게 마련되고, 점광원(32)의 배면 중앙부는 누름부(43)로 되어 있다.
부착금구(52)는, 스테인리스 강판, 스틸 강판,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재료를 절곡 가공한 것이고, 평면으로 보아서는 양궁(洋弓)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다. 부착금구(52)의 양측편은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전방을 향하여 굴곡되어 부착편(53)으로 되어 있고, 부착편(53)의 선단부에는 계지 구멍(54)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부착금구(52)의 중앙부는 전방으로 팽출하도록 굴곡된 당접편(56)으로 되어 있고, 당접편(56)의 양측에서는 그 상하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각각 협지편(55)이 연장되어 나와 있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은 후, 점광원(32)의 배후로부터 점광원(32) 및 장출부(46)에 부착금구(52)를 부착하고, 협지편(55)으로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와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를 끼워넣고 일제히 잡고서, 부착금구(52)에 의해 도광판(33)에 대해 점광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뒤이어, 부착금구(52)를 밀어넣으면, 스냅(50)이 부착편(53)의 계지 구멍(54)에 끼워지고 부착편(53)이 스냅(50)에 걸린다. 이때 당접편(56)이 점광원(32)의 누름부(43)에 맞닿아서 부착금구(52) 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점광원(32)은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에 밀어붙여진다.
이 실시예에서도, 부착금구(52)의 높이는 도광판(33)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특히 상하의 협지편(55) 사이의 외형 높이도 도광판(33)의 두께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협지편(55)이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나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를 잡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금구(52)가 도광판(33)의 윗면이나 하면으로부터 튀어나오지 않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가 도모된다.
실시예 5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33)의 외주면중, 단변의 중앙부에 광원 수용부(47)를 마련하고 있다. 광원 수용부(47)의 안쪽면에는, 광입사면(35)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 수용부(47)의 측면에는 돌기(48)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광원 수용부(47)의 좌우 양측부에는, 도광판(33)의 두께의 거의 1/2 정도의 깊이를 갖는 금구부착부(49)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고, 금구부착부(49)의 저면에 코킹 핀(61)이 세워져 있다.
부착금구(52)는, 평판 형상을 한 금속판에 의해 개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위치하는 부착편(53)의 선단에는 한쪽이 개방된 스냅 형상의 계지 구멍(54)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보다도 약간 내측으로는, 부착금구(52)에 탄성을 갖게 하기 위한 노치(6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점광원(32)의 배면에는 부착금구(52)의 두께와 동등한 상하 폭의 위치 결정용 슬릿(63) 이 전체 폭에 걸쳐 새겨져 있다. 또한, 이 슬릿의 단면 형상은 V홈이라도 좋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은 후, 점광원(32)의 배후에 부착금구(52)를 위치시켜서 점광원(32)의 위치 결정용 슬릿(63)에 부착금구(52)를 끼워넣음과 함께 부착편(53)의 계지 구멍(54)을 코킹 핀(61)에 스냅 식으로 감합시킨다. 계속해서, 코킹 핀(61)을 열코킹함에 의해,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에 고정하고, 부착금구(52)가 들떠오르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부착금구(52)가 도광판(33)에 고정된 상태에서는, 부착금구(52)는 노치(62)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굴곡하고 있고, 그 탄성 반발력에 의해 점광원(32)이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에 밀어붙여져 있다. 또한,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은 금구부착부(49)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서 코킹 핀(61)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점광원(32)은 위치 결정용 슬릿(63) 내에 부착금구(52)가 감합하여 있음에 의해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고, 따라서 점광원(32)과 도광판(33)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도 점광원(32)의 부착 위치의 편차를 없앨 수 있고,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금구(52)는 플레이트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33)의 상하면에서 튀어나와 있는 일이 없고,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구조의 부착금구(52)를 이용하면, 부품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판형상의 부착금구(52) 대신에 피아노선과 같은 선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부착금구(52)인 선재의 일단을 코킹 핀(61)에 휘감고서 코킹 핀(61)을 열로 코킹하여 선재의 일단 을 고정한 후, 선재를 점광원(32)의 위치 결정용 슬릿(63) 내로 통과시키고, 선재에 텐션을 걸으면서 그 타단을 코킹 핀(61)에 감고서 코킹 핀(61)을 선재에 열코킹하여 선재의 타단을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변형예로도, 선재의 텐션에 의해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밀어붙일 수 있고, 또한, 선재를 핀에 팽팽히 걸어둠에 의해 점광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
실시예 6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33)의 외주면중, 단변의 중앙부에 장출부(46)가 돌설되고, 장출부(46)의 중앙에 광원 수용부(47)가 마련되어 있다. 광원 수용부(47)의 안쪽면에는, 광입사면(35)이 형성되어 있고, 광원 수용부(47)의 측면에는 돌기(48)가 돌설되어 있다. 또한, 장출부(46)를 끼우도록 하여 도광판(33)의 외주면에는 각각 코킹 핀(61)이 수평 방향을 향하여 돌설되어 있다.
점광원(32)은, 그 두께가 도광판(33)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그보다도 얇게 되어 있다. 점광원(32)의 안쪽(奧行) 치수는, 광원 수용부(47)의 안쪽 치수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점광원(32)을 광원 수용부(47)에 넣으면, 점광원(32)의 후단면에 위치한 누름부(43)가 광원 수용부(47)로부터 튀어나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부(43)의 중앙부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64)가 돌설되어 있다.
부착금구(52)는, 띠 모양 금속판을 절곡 가공한 것으로, 그 높이(띠 모양 금속판의 폭)는 도광판(33)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그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부착금구(52)는, 도광판(33)의 장출부(46)보다 좌측 영역부터 장출부(46)를 통과하여 장 출부(46)보다 우측 영역에 이르는 윤곽에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고, 그 양단에 위치하는 부착편(53)에 코킹 핀(61)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의 코킹용 구멍(65)이 천공되고, 부착금구(52)의 중앙에는 위치 결정용 돌기(64)의 직경과 동등한 직경의 위치 결정용 구멍(66)이 천공되어 있다. 또한, 이 코킹용 구멍(65)과 위치 결정용 구멍(66)은 피치 오차를 흡수시키기 위해 가로가 긴 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을 도광판(33)의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은 후, 점광원(32) 및 장출부(46)의 배후에 부착금구(52)를 위치시키고, 부착금구(52)의 코킹용 구멍(65)에 코킹 핀(61)을 감합시킴과 함께 위치 결정용 구멍(66)에 위치 결정용 돌기(64)를 감합시키고, 코킹 핀(61)을 부착금구(52)에 열코킹하여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에 고정함과 함께 점광원(32)을 부착금구(52)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위치 결정한다.
이 상태에서는, 코킹 핀(61)과 코킹용 구멍(65)과의 감합에 의해 부착금구(52)가 도광판(33)에 대해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고, 위치 결정용 돌기(64)와 위치 결정용 구멍(66)과의 감합에 의해 점광원(32)이 부착금구(52)에 대해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어 있고, 그 결과, 점광원(32)이 도광판(33)에 대해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하여진다. 또한, 점광원(32)의 누름부(43)가 장출부(46)로부터 튀어나와 있음에 의해, 부착금구(52)의 중앙부가 누름부(43)에 맞닿아서 되눌려져서, 점광원(32)은 부착금구(52)의 탄성 반발력에 의해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에 밀어붙여져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부착금구(52)의 높이를 도광판(33)의 두께보다도 작게 함에 의해 부착금구(52)가 도광판(33)의 상하면에서 튀어나와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광판(33)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부착금구(52)는 코킹용 구멍(65)이나 위치 결정용 구멍(66)이 천공된 띠 모양 금속판을 구부릴 뿐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을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에 위치 결정용 돌기(64)를 마련하고, 부착금구(52)에 위치 결정용 구멍(66)을 마련하였지만, 이와는 반대로, 점광원(32)에 위치 결정용 구멍(66)을 마련하고, 부착금구(52)에 위치 결정용 돌기(64)를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실시예 7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부착금구(52)로 복수개의 점광원(32)을 부착할 수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면광원 장치에서는, 도광판(33)에 2개의 광원 수용부(47)를 나열하고 오목하게 마련하고, 양 광원 수용부(47) 사이의 윗면 및 하면에 끼움용 단차(67)를 형성하고, 이들의 외측에 끼움용 단차(51)와 금구부착부(49)를 마련하고 있다. 금구부착부(49)에는, 각각 스냅(50)을 마련하고 있다.
두개의 점광원(32)은, 예를 들면 도 21에 도시한 것과 같은 것이고, 윗면 및 하면의 양측부에 끼움용 단차(42)가 형성되고, 배면이 누름부(43)로 되어 있다.
부착금구(52)에서는, 계지 구멍(54)을 갖는 부착편(53)이 양단에 마련되고, 그 내측에 협지편(55)이 마련되고, 그 내측에 당접편(56)이 마련되고, 당접편(56) 사이에 폭이 넓은 협지편(55)이 마련되어 있고, 계지 구멍(54)과 협지편(55) 사이 에 노치(57)가 형성되고, 협지편(55)과 당접편(56) 사이에 노치(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도광판(33)의 각 광원 수용부(47) 내에 점광원(32)을 넣은 후, 부착편(53)을 금구부착부(49) 내의 스냅(50)에 계합시켜서 부착금구(52)를 도광판(33)에 부착하고 있다. 양측의 협지편(55)은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 사이의 박육부 및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를 끼워넣어 잡으며, 중앙의 협지편(55)은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67) 사이의 박육부 및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 사이의 박육부를 끼워넣어 잡으며, 그것에 의해 점광원(32)은 도광판(33)에 대해 두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다. 또한, 탄성적으로 휘어진 부착금구(52)의 당접편(56)이 각 점광원(32)의 누름부(43)에 맞닿음으로써 점광원(32)이 각각 광입사면(35)에 밀어붙여진다.
여기서는, 하나의 부착금구(52)로 2개의 점광원(32)을 부착하였지만, 3개 이상의 점광원(32)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점광원(32)을 하나의 부착금구(52)로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을 보다 간략화할 수 있음과 함께 비용을 보다 염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시예에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조로 복수의 점광원(32)을 이용하도록 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도 복수개의 점광원(32)을 부착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8
도 34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의한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5는 이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6은 이 면광원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다른 방향에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이용되고 있는 점광원(32)은, 실시예 3에서 이용된 점광원(32)(도 25)과 같은 구조의 것이다. 즉, 실시예 8의 점광원(32)에서는, 윗면에 다소의 요철은 형성되어 있지만, 끼움용 단차(42)는 하면의 양측에만 마련하고 있고, 윗면측에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점광원(32)의 윗면에 끼움용 단차(42)를 마련하지 않음에 의해 점광원(32)을 얇게 하고 있고,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점광원(32)의 두께가 0.6㎜로 되어 있다. 즉, 도 21과 같은 구조의 점광원(32)의 두께를 0.8㎜라고 하면, 그 점광원(32)의 윗면에서 끼움용 단차(42)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제거함에 의해, 점광원(32)의 두께를 0.6㎜로 할 수 있다. 또한, 점광원(32)의 하면측이 끼움용 단차(42)의 깊이는, 부착금구(52)의 판두께 0.1㎜과 동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3의 도광판(33)은, 점광원(32)보다도 두께가 크고 0.8㎜로 되어 있지만, 실시예 8에서는, 도광판(33)의 두께를 점광원(32)보다도 얇게 하여 0.5㎜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 8에서는 도광판(33)의 표리 양면에 있어서, 광원 수용부(47)의 양측에 끼움용 단차(51)와 금구부착부(49)를 오목하게 마련하고 있다. 도광판(33)의 윗면측에서는, 금구부착부(49) 내에서 외측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스냅(50)이 돌설되어 있고, 도광판(33)의 하면측에서는, 금구부착부(49) 내에서 내측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여 스냅(50)이 돌설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점광원(32)의 윗면에 끼움용 단차(42)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시예 1 내지 7과 같이 점광원(32)을 표리 양면으로부터 부착금구(52)로 억제하도록 하면, 점광원(32) 및 도광판(33)보다도 위로 부착금구(52)가 튀어나 와, 면광원 장치의 두께가 커진다. 그 때문에, 점광원(32)에 끼움용 단차(42)가 마련되어 있는 하면측에서는 실시예 1 내지 7과 마찬가지로, 부착금구(52)의 협지편(55)에 의해 점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와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를 아래로부터 억제하도록 하고 있지만, 점광원(32)에 끼움용 단차(4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윗면측에서는 실시예 8에서는 부착금구(52)의 협지편(55)에 의해 도광판(33)의 끼움용 단차(51)만을 위에서 억제하도록 하고, 부착금구(52)의 협지편(55)은 점광원(32)의 윗면을 억제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35,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금구(52)의 윗면측의 협지편(55)에는, 도광판(33)에 부착한 때에 점광원(32)과 겹치지 않도록, 점광원(32)과 대응하는 개소에 노치부(68)를 마련하고, 윗면측에서는 협지편(55)이 점광원(32)의 위치를 피하도록 하고 있다. 이 결과, 부착금구(52)의 두께도 점광원(32)과 마찬가지로 0.6㎜로 할 수 있다.
또한, 점광원(32)은 점광원(32) 또는 광원 수용부(47)의 평면적(平面積)에 비하여 충분히 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의 위에 미리 솔더로 실장되어 있다.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의 위에 실장된 점광원(32)을 하방으로부터 광원 수용부(47)에 넣는다. 점광원(32)을 광원 수용부(47) 내에 넣으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이 도광판(33)의 하면에 맞닿은 때, 점광원(32)은 그 이상 상방으로는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게다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이 도광판(33)의 하면에 맞닿은 때, 점광원(32)은 도광판(33)의 광입사면(35)에 대해 바람직한 상하 방향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착금구(52)를 점광원(32)의 후방으로부터 도광판(33)에 밀어붙인다. 이때, 부착금구(52)의 아래의 협지편(55)을 광원(32)의 끼움용 단차(42)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의 사이로 삽입하고, 부착금구(52)의 당접편(56)을 점광원(32)의 배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부착금구(52)의 부착편(53)을 도광판(33)의 스냅(50)에 건다. 부착금구(52)는 상하의 협지편(55)에 의해 도광판(33)의 상하가 끼움용 단차(51)를 잡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부착금구(52)는 도광판(33)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부착금구(52)에 의해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부착한 상태에서는, 점광원(32)의 탄성에 의해 점광원(32)의 앞면이 도광판(33)의 당접면(60)에 가압되고 점광원(32)의 전후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광원 수용부(47) 측면의 돌기(48)가 점광원(32)의 측면에 맞닿아 점광원(32)의 좌우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점광원(32)의 하면의 협지편(55)이 점광원(32) 하면이 끼움용 단차(42)를 지지함에 의해 점광원(32)이 광원 수용부(47)로부터 하방으로 빠지는 것을 막고 있다. 부착금구(52)의 윗면의 협지편(55)은 점광원(32)을 피하고 있기 때문에, 부착금구(52)에 의해서는 점광원(32)을 위에서 억제할 수는 없지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이 도광판(33)의 하면에 맞닿음에 의해 점광원(32)은 광원 수용부(47)로부터 상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부착금구(52) 하면의 협지편(55)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이 서로 어울려서 점광원(32)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면광원 장치의 박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부착금구(52)에서는, 상하로 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지 않고, 윗면측과 하면측에서 형상이 다르다. 그 때문에, 점광원(32)을 도광판(33)에 부착할 때에 부착금구(52)의 상하를 틀리게 부착하면, 점광원(32)의 하면이 협지편(55)에 의해 지지되지 않기 때문에, 점광원(32)은 협지편(55)의 노치부(68)를 통과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45)과 함께 광원 수용부(47)로부터 하방으로 빠져 떨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윗면측의 부착편(53)을 외측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하면측의 부착편(52)을 내측을 향하여 L자 형상으로 굴곡시키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광판(33)에서는 윗면측의 금구부착부(49) 내에서는 좌우의 측면중 외측 측면으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스냅(50)을 돌출시키고 있고, 하면측의 금구부착부(49) 내에서는 좌우의 측면중 내측 측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스냅(50)을 돌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부착금구(52)의 상하(표리)가 올바른 경우에는, 상하의 부착편(53)을 각각 도광판(33)의 상하의 스냅(50)에 걸 수 있지만, 부착금구(52)의 상하(표리)가 잘못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하의 부착편(53)을 각각 도광판(33)의 상하의 스냅(50)에 걸 수 없고, 이로써 부착금구(52) 방향의 잘못에 의한 점광원(32)의 탈락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Claims (14)

  1. 내부의 광을 도광시켜서 광출사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에 대향시켜 배치된, 상기 도광판의 폭과 비교하여 작은 광원을 구비한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에 계합된 부착구에 의해 상기 광원을 지지시키고, 상기 광원의 상기 광입사면에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을 향한 면에 상기 부착구의 일부를 탄성적으로 맞닿게 함에 의해, 상기 광원을 상기 광입사면을 향하여 가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발광창의, 상기 도광판의 두께 방향의 높이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의, 상기 도광판의 두께 방향의 외형 높이는, 상기 도광판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도광판을 향하여 부착하는 방향의 주위로 180도 회전 대칭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는, 상기 도광판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윗면 및 하면에 금구부착부를 오목하게 마련하고, 상기 금구부착부 내에 괘지부를 돌설하고, 2번 접은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부착구에 링형상,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을 한 부착편을 마련하고, 상기 부착편을 상기 금구부착부에 넣어서 상기 괘지부에 걸음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괘지부를 돌설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링형상, L자 형상 또는 T자 형상을 한 부착편을 상기 괘지부에 걸음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금구부착부, 상기 도광판 의 측면, 상기 도광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코킹용의 돌기 또는 코킹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코킹용의 돌기 또는 코킹용의 구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코킹용의 구멍에 상기 코킹용의 돌기를 삽입하여 코킹함에 의해, 상기 부착구를 상기 도광판에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구 및 상기 도광판은,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도광판 두께 방향에서 서로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은,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도광판 두께 방향에서 서로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입사면 부근에 박육부를 마련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한 쌍의 평행한 돌편에 의해 상기 박육부를 끼워지지함에 의해,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 상기 도광판의 측면, 상기 도광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 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의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용의 돌기를 감합시킴에 의해, 상기 부착구와 상기 도광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적어도 일부에 박육부를 마련하고, 상기 부착구에 마련한 한 쌍의 평행한 돌편에 의해 상기 박육부를 끼워지지함에 의해,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윗면 또는 하면에 오목하게 마련된 오목부, 상기 광원의 측면, 상기 광원의 앞면중 어느 하나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한쪽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 또는 위치 결정용의 구멍중 다른쪽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 결정용의 구멍에 상기 위치 결정용의 돌기를 감합시킴에 의해,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배면에 위치 결정용의 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구의 일부를 상기 위치 결정용의 슬릿 내에 감합시킴에 의해, 상기 부착구와 상기 광원을 위치 결정하는 수단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광원 장치.
KR1020067000595A 2003-07-31 2004-07-30 면광원 장치 KR100731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204570 2003-07-31
JP2003204570 2003-07-3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72A Division KR100790262B1 (ko) 2003-07-31 2004-07-30 면광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184A true KR20060029184A (ko) 2006-04-04
KR100731489B1 KR100731489B1 (ko) 2007-06-21

Family

ID=341136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0595A KR100731489B1 (ko) 2003-07-31 2004-07-30 면광원 장치
KR1020077008672A KR100790262B1 (ko) 2003-07-31 2004-07-30 면광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672A KR100790262B1 (ko) 2003-07-31 2004-07-30 면광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338195B2 (ko)
EP (1) EP1655536A4 (ko)
JP (1) JP4029900B2 (ko)
KR (2) KR100731489B1 (ko)
CN (1) CN100510513C (ko)
WO (1) WO2005012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980A (ja) * 2006-01-11 2007-07-26 Toyoda Gosei Co Ltd 発光装置
JP2007220369A (ja) * 2006-02-14 2007-08-30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2007335396A (ja) * 2006-05-15 2007-12-27 Epson Imaging Devices Corp 照明装置、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WO2008024761A2 (en) 2006-08-21 2008-02-28 Innotec Corporation Electrical device having boardless electrical component mounting arrangement
TWI302221B (en) * 2006-09-08 2008-10-21 Innolux Display Corp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200815870A (en) * 2006-09-29 2008-04-01 Innolux Display Corp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408773B2 (en) 2007-03-19 2013-04-02 Innotec Corporation Light for vehicles
US7712933B2 (en) 2007-03-19 2010-05-11 Interlum, Llc Light for vehicles
US8230575B2 (en) 2007-12-12 2012-07-31 Innotec Corporation Overmolded circuit board and method
JP2009158318A (ja) * 2007-12-27 2009-07-16 Toyoda Gosei Co Ltd 面状光源ユニット
US7815339B2 (en) 2008-01-09 2010-10-19 Innotec Corporation Light module
JP2009245884A (ja) * 2008-03-31 2009-10-22 Sanken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JP2009245885A (ja) * 2008-03-31 2009-10-22 Sanken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JPWO2010004610A1 (ja) * 2008-07-07 2011-12-22 住友化学株式会社 導光板ユニット及びこの導光板ユニットを用いた照明器具
FR2937711B1 (fr) * 2008-10-27 2010-11-19 Saint Gobain Module a diodes electroluminescentes pour vehicule, support a diodes
EP2192430B1 (en) 2008-11-27 2016-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Backlight unit
WO2011025017A1 (ja) * 2009-08-28 2011-03-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FI20096108A (fi) * 2009-10-28 2011-04-29 Perlos Oyj Järjestely
JP5352511B2 (ja) * 2010-03-30 2013-11-27 株式会社キクテック 407標識のled光源への交換方法と407標識
US8226280B2 (en) * 2010-04-28 2012-07-2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ED socket assembly
TWI424227B (zh) * 2010-08-02 2014-01-2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
CN101936486B (zh) * 2010-08-20 2014-06-18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
US10007047B2 (en) 2010-12-23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rmally protected backlight assembly
KR101816275B1 (ko) * 2010-12-23 2018-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표시 장치
KR20120082678A (ko) * 2011-01-14 2012-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유닛 및 그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794811B2 (en) * 2011-03-16 2014-08-05 GE Lighting Solutions, LLC Edge-illuminated flat panel and light module for same
JP2012238414A (ja) * 2011-05-10 2012-12-06 Fujifilm Corp 面状照明装置
FR2978526B1 (fr) * 2011-07-29 2018-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lumineux de batiment
FR2978525B1 (fr) 2011-07-29 2018-05-18 Saint-Gobain Glass France Vitrage multiple lumineux de meuble
US9022631B2 (en) 2012-06-13 2015-05-05 Innotec Corp. Flexible light pipe
CN202708988U (zh) * 2012-07-03 2013-01-30 深圳安嵘光电产品有限公司 一种导光板及照明灯具
TWI475299B (zh) * 2012-07-30 2015-03-01 Au Optronics Corp 背光模組及其組裝方法
US10733579B2 (en) 2013-01-30 2020-08-04 Row52,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elf-service recycling of automotive parts
TW201516541A (zh) 2013-09-23 2015-05-01 Glo Ab 整合背光單元
DE102017011959B4 (de) * 2017-12-22 2021-10-14 Emz-Hanauer Gmbh & Co. Kgaa Flächenleuchtmodul sowie Verfahren zu dessen Montage
DE102019111593A1 (de) * 2019-05-06 2020-11-12 Zumtobel Lighting Gmbh Längliche Leucht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1615A (en) * 1986-08-07 1988-06-14 International Marketing Concepts, Inc. Page light
JPH0622823Y2 (ja) * 1989-06-02 1994-06-1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バック照明装置
JPH035152A (ja) 1989-06-02 1991-01-10 Minolta Camera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622823A (ja) 1992-07-08 1994-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房装置
JPH07287228A (ja) * 1994-04-19 1995-10-31 Tama Electric Co Ltd バックライト
JP3466817B2 (ja) * 1996-05-02 2003-11-17 ローム株式会社 Led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60249B2 (ja) * 1996-05-02 2006-12-20 ローム株式会社 面発光照明装置
JPH10247412A (ja) * 1997-03-03 1998-09-14 Omron Corp 面光源装置
JP4013287B2 (ja) * 1997-06-03 2007-11-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状発光装置
JP3458823B2 (ja) * 1999-05-11 2003-10-20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面発光装置
US6305109B1 (en) * 1999-12-09 2001-10-23 Chi-Huang Lee Structure of signboard
KR100367012B1 (ko) * 2000-08-21 2003-01-0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4538772B2 (ja) * 2000-12-26 2010-09-08 ミネベア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2002324423A (ja) * 2001-04-24 2002-11-08 Nippon Sheet Glass Co Ltd 面状光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3962228B2 (ja) * 2001-07-06 2007-08-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3875891B2 (ja) * 2002-01-24 2007-01-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JP4161713B2 (ja) * 2002-12-27 2008-10-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JP2004213998A (ja) * 2002-12-27 2004-07-29 Advanced Display Inc 面状光源装置
JP4489423B2 (ja) * 2003-12-26 2010-06-23 シャープ株式会社 バックライト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6092796A (ja) * 2004-09-21 2006-04-06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262B1 (ko) 2008-01-02
JP4029900B2 (ja) 2008-01-09
CN1829876A (zh) 2006-09-06
US7338195B2 (en) 2008-03-04
US20080031008A1 (en) 2008-02-07
US20060245207A1 (en) 2006-11-02
EP1655536A1 (en) 2006-05-10
JPWO2005012787A1 (ja) 2006-09-21
KR100731489B1 (ko) 2007-06-21
CN100510513C (zh) 2009-07-08
WO2005012787A1 (ja) 2005-02-10
EP1655536A4 (en) 2008-09-03
KR20070047375A (ko) 2007-05-04
US7387420B2 (en) 2008-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489B1 (ko) 면광원 장치
JP4206415B2 (ja) 表示装置用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030007343A1 (en) Surface-emitting device precisely positioned in the front of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urface-emitting device
JP2004039570A (ja) 面発光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EP2725413B1 (en) Supporter of diffuser plate in backlight unit
US20110058121A1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50017444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04261A (ja) 面状照明装置
CN214669696U (zh) 一种背光模组和显示装置
KR20100090243A (ko) 조명 장치 및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
JP4670845B2 (ja) 面光源装置
US8174644B2 (en) Liquid crystal module
JP4316979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組立方法
JP2002311430A (ja) 液晶表示装置
US20060056941A1 (en) Clip
JP2005285535A (ja)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120187426A1 (en) Light source unit and device using same
JP4592076B2 (ja) バックライト装置
KR20150077156A (ko)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JPH11133401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KR100523271B1 (ko) 엘씨디 모듈
JP4421356B2 (ja) 保持装置
WO2015194648A1 (ja) シャーシ、バックライトシャーシ、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JP2009199886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CN218767391U (zh) 侧入式背光模组、显示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