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073A -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073A
KR20060026073A KR1020057025225A KR20057025225A KR20060026073A KR 20060026073 A KR20060026073 A KR 20060026073A KR 1020057025225 A KR1020057025225 A KR 1020057025225A KR 20057025225 A KR20057025225 A KR 20057025225A KR 20060026073 A KR20060026073 A KR 2006002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swing frame
upper swing
protru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3078B1 (ko
Inventor
타다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2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의 운전실 변형의 억제를 저제조비용으로, 시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이다. 이것을 위해, 상부선회체 프레임(3)상의 전부의 좌우 중앙부에 작업기(30)를, 후부에 카운터 웨이트(7)를,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운전실을 각각 설치한다. 상부선회체 프레임, 적업기 및 카운터 웨이트의 적어도 1개소에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31~38)을 설치하고, 적어도 1개소 돌출물과 돌출물을 설치하지 않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 운전실 공간(10a,20a)을 확보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CONSTRUCTION MACHINE AND PROJECTING OBJECT OF THE SAME}
본 발명은, 횡전(90° 정도 회전하는 것을 말함) 또는 전도(180° 정도이상 회전하는 것을 말함)된 건설기계를, 수복 또는 회수할 때 조작자가 조작 가능한 운전실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를 갖는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건설기계에 있어서, 건설기계가 횡전 또는 전도되었을 때에 운전실의 변형을 방지 또는 억제해서 조작자를 보호하는 각종의 수단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수단의 제1예인 일본 특허공개 2000-230255호 공보의 제2∼3페이지 및 도1에는, 건설기계의 하부주행체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좌우 일측에 운전실을 탑재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측면이며 운전실의 측방에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건설기계가 운전실측으로 횡전되었을 때에, 운전실이 접지되지 않는 상태로 지지부재가 하부주행체와 함께 건설기계를 지지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제1예는, 저비용이며, 또한 통상의 건설기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지만, 건설기계가 횡전에 그치지 않고 전도에 이른 경우의 고려는 이루어져 있지 않다.
제2예인 일본 특허공개 2001-173017호 공보의 제4∼5페이지, 도1 및 도4에는 , 운전실 주위를 문형틀체로 구성한 캡가드로 둘러싸서,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에 캡가드에 의해 운전실을 보호하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도13 및 도14에 의해 종래기술에 따른 운전실 보호구조를 갖는 건설기계의 예를 설명한다. 또, 이하에서는, 좌우라고 할 때는, 차량 전방을 향한 상태에서의 좌우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도1참조).
도13 및 도14에 있어서, 유압셔블(80)은, 하부주행체(81)상에 상부선회체 프레임(82)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82)상의 전부(前部)의 좌우 중앙부에는 작업기의 붐(83)이, 후부에는 카운터 웨이트(84)가, 전부 좌측에는 운전실(8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85)을 둘러싸서 캡가드(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유압셔블(80)의 구성에 있어서, 운전실(85)을 둘러싸서 캡가드(90)를 설치한 것에 의해 다음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유압셔블(80)이 전도되었을 때에, 캡가드(90)에 의해 운전실(85)의 변형의 방지 또는 억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캡가드(90)를 매우 강고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캡가드(90)는 제조 비용이 매우 높은 것으로 되고, 또 운전실 중량의 증가에 의한 차량 전체중량의 증가로 이어져, 차량의 구동 성능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캡가드(90)에 의해, 운전실(85)로부터의 시계성이 저해되어, 작업 효율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에 착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의 운전실 변형의 억제를, 저제조비용으로, 중량을 크게 늘리지 않고, 또한 시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제1은, 하부주행체와,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과,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부선회체 프레임, 작업기 및 카운터 웨이트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을 설치하고,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설치되는 돌출물과 돌출물을 설치하지 않는 개소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 운전실 공간을 확보한다라고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제2는, 하부주행체와,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과,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운전실 측단부 및 운전실 배면에 대향하는 카운터 웨이트 상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을 설치하고, 상부선회체 프레임에 설치한 돌출물과, 카운터 웨이트에 설치한 돌출물과, 작업기 또는 작업기에 상방 또는 운전실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돌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은 운전실 공간과 교차하는 개소가 없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구성에 의하면,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에, 건설기계는 상부선회체 프레임, 작업기 및 카운터 웨이트의 각각의 끝부 또는 이들 3개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부에 설치한 돌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이 지면에 접촉된 자세로 지지된다. 그 경우,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는 수복, 회수시에 조작자가 조작 가능한 운전실 공간이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 때, 돌출물은, 종래의 캡가드보다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또한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 주위를 둘러싸는 캡가드가 없으므로, 운전실로부터의 시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의 운전실의 변형 억제를, 저제조비용으로 경량이며, 또한 시계성 좋게 실현할 수 있다.
제1구성의 건설기계에 있어서, 카운터 웨이트에 설치되는 돌출물은 운전실 배면에 대향하는 카운터 웨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물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방으로 돌출시킨 돌출물은 가상평면보다 내측의 운전실 공간을 크게 확보하기 쉽다. 또한, 건설기계의 상방으로부터의 투영면적을 증대시키지 않으므로, 선회반경을 증대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후단 소선회형 유압셔블 등의 중소형 기종에도 그 작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돌출물은 하부주행체와,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과,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와,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돌출물로서, 돌출물은 상부선회체 프레임, 작업기 및 카운터 웨이트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선단부가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설치되는 돌출물과 돌출물을 설치하지 않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 운전실 공간을 확보하고, 적어도 어느 1개소에 설치되는 돌출물은 용접구조물, 주조 및 단조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되고, 상부선회체 프레임, 작업기 및 카운터 웨이트의 적어도 어느 1개소에 부착되는 기단부를 갖는다고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돌출물은 용접구조물이나 주조나 단조로 제작되므로, 저제조비용으로 형상이나 두께나 길이 등의 돌출량을 기계에 적합시켜서 보편적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부착위치를 조정하면서 볼트나 용접으로 부착할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를 구성하는 부재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또한 시계성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돌출물은 건설기계의 다른 부재의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부가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돌출물은 착탈 가능하게 되므로, 예를 들면 건설기계를 수송차량 등에 차량 탑재해서 운반할 때에, 필요에 따라 돌출물을 해체할 수 있으므로, 수송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예를 들면 기본사양의 건설기계에 옵션으로 돌출물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소형에서부터 대형의 건설기계에 걸쳐 보편적으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건설기계가 횡전 또는 전도되었을 때의 수복, 회수시에 조작자가 조작 가능한 운전실 공간을 확보하는 구조를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경량화가 도모되고, 또한 운전실로부터의 시계성이 좋은 구조를 실현한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이 얻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3 및 제4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6 및 제7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건설기계를 후방에서 본 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사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11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12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13실시형태에 따른 건설기계의 붐 주요부 설명도이다.
도13은 종래기술의 제2예에 기재된 건설기계의 예로서의 유압셔블의 측면도이다.
도14는 도13의 유압셔블의 일부 파단의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유압셔블을 예로 들어 도1∼도12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를 도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유압셔블(1)은 하부주행체(2)상에 선회장치(16)(도7 참조)를 통해 상부선회체 프레임(3)을 선회 가능하게 탑재하고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상의 전부의 좌우 중앙부에는 작업기(30)의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이, 후부에는 엔진, 제어밸브군, 연료탱크, 작동유 탱크(모두 도시생략) 및 카운터 웨이트(7), 및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제1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는 운전실(1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전면(前面)부의 운전실측의 끝부에 설치되는 돌출물(31)은 부착부가 되는 기단부(31b)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만곡되어 연장된 수직지지부(31c)를 갖는 용접구조물이다. 수직지지부(31c)가 운전실(10) 측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갖고 운전실(10) 측면에 따르도록 설치되고, 기단부(31b)가 소정수의 볼트(31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돌출물(31)의 단면형상은 본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이어도 좋다.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의 통상의 굴삭자세에서 그 최고부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굴곡된 부위)에 설치되는 돌출물(41)은 부착부가 되는 기단부로부터 운전실(10)측의 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용접구조물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후 부착부(41b,41b)의 상부사이에 U자형상 부재(41c)를 용접해서 고강성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전후부착부(41b,41b)를 붐(4)의 운전실측 측면에 소정수의 볼트(41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카운터 웨이트(7)의 상부에서 운전실측의 끝부에 설치되는 돌출물(71)은 기단부로부터 외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용접구조물이며, 부착부인 플레이트(71b)의 상면에, 단면 U자형상의 수평부재(71c)의 개구부를 용접해서 구성되어 있다. 돌출물(71)은 수평부재(71c)를 좌우방향의 운전실측 측방을 향해서 돌출시키고, 플레이트(71b)를 카운터 웨이트(7)의 상부에 소정수의 볼트(71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31,41,71)은 용접구조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물 또는 단조물 등으로 제작되어도 좋고, 유압셔블(1)이 전도되었을 때에 돌출물(31,41,71)로 유압셔블(1)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출물(31,41,71) 각각의 선단부(P3,P4,P7)에 의해 가상평면(P)을 형성하고 있다. 가상평면(P)과 운전실(10)이 교차하는 교차선(P10)보다 차체 내측의 운전실 공간(10a)은 횡전 또는 전도된 건설기계(1)의 운전실(10)내에서 조작자가 건설기계(1)의 수복·회수를 위해 행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조작 가능한 공간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1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돌출물(31,41,71)을 설치하는 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3개의 돌출물(31,41,7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하고,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10) 측방의 끝부 또는 돌출부(31)와, 붐(4)의 끝부 또는 돌출부(41)와, 카운터 웨이트(7)의 끝부 또는 돌출부(71)의 3점에 의해 가상평면(P)이 형성된다. 가상평면(P)은 조작자가 건설기계(1)의 수복·회수를 위해 운전실(10)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가상평면(P)보다 내측의 운전실 공간(10a)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좋다.
제1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유압셔블(1)이 전도되었을 때에, 유압셔블(1)은 운전실(10)의 측방이며 또한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끝부에 설치된 돌출물(31)과, 붐(4)의 끝부에 설치된 돌출물(41)과, 카운터 웨이트(7)의 끝부에 설치된 돌출물(71)의 3점에서 지지된다. 이 때, 이 3점(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돌출물(31,41,71) 각각의 선단부(P3,P4,P7))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P)이 지면에 접촉된 자세가 되지만, 가상평면(P)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운전실 공간(10b)만이 변형되어 가상평면(P)보다 차체(10) 내측의 운전실 공간(10a)은 확실하게 확보된다. 이것에 의해, 돌출물(31,41,71)의 형상 및 설치위치를 설정해서 운전실(10)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2에 의해, 제2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는, 후단 소선회형 유압셔블(11)에의 적용예이다. 후단 소선회형 유압셔블(11)은 그 후단부의 선회궤적(T)(선회반경=R)이 대략 주행장치의 좌우 최대 외폭이내에 수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유압셔블(11)은 하부주행체(2)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상부선회체 프레임(3)을 선회 가능하게 탑재하고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상의 전부의 좌우 중앙부에는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이, 후부에는 카운터 웨이트(7)가,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에는 운전실(2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로부터 좌우방향 외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좌방) 끝부에는,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선회반경(R)내에 돌출물(32)을 설치하고 있다. 돌출물(32)은 부착부가 되는 기단부재(32b)에 단면 U자형상의 지지부재(32c)를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용접해서 구성한 용접구조물이며, 기단부재(32b)를 소정수의 볼트(32a)로 상부선회체 프레임(3)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붐(4)에는 플레이트(42b)를 상방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한 돌출물(42)을 소정수의 볼트(42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42)은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의 통상의 굴삭자세에서 그 최고부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굴곡된 부위)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운터 웨이트(7)의 운전실측의 상면 끝부에는, 부착부가 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플레이트(72b)의 외주 두 변부에 굽힘가공물의 지지부재(72c)를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용접한 돌출물(72)을 설치하고 있다. 지지부재(72c)를 상방으로 돌출시켜, 플레이트(72b)를 소정수의 볼트(72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32,42,72)은 용접구조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물 또는 단조물 등으로 제작되어도 좋다.
돌출물(32,42,72) 각각의 선단부(Q3,Q4,Q7)에 의해 가상평면(Q)을 형성하고 있다. 가상평면(Q)과 운전실(20)이 교차하는 교차선(Q20)보다 내측의 운전실 공간(20a)은 횡전 또는 전도된 건설기계(11)의 운전실(20)내에서 조작자가 건설기계(11)의 수복·회수를 위해 행하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충분한 공간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돌출물(32,42,72)을 설치하는 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3개의 돌출물(32,42,7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하여,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 측방의 끝부 또는 상기 끝부에 설치한 돌출물(32)과, 붐(4)의 끝부 또는 상기 끝부에 설치한 돌출물(42)과, 카운터 웨이트(7)의 끝부 또는 상기 끝부에 설치한 돌출물(72)의 3점에 의해 가상평면(Q)이 형성된다. 가상평면(Q)은 조작자가 건설기계(11)의 수복·회수를 위해 운전실(20)내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가상평면(Q)보다 내측의 운전실 공간(20a)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면 좋다.
도3에 의해, 제3실시형태 및 제4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3실시형태에서는 운전실(10)의 측방에 설치하는 돌출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른 시계성 또는 운전실(10)로의 승강성을 중시한 위치나, 전도시의 운전실(10)내 공간의 최대확보를 중시한 위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측면에서 볼 때 L자형상을 갖는 돌출물(33)은 부착부가 되는 수평방향의 기단부와 상방으로 연장되는 수직부를 갖는 용접구조물로 제작된다. 돌출물(33)은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측단부에 상기 수직부의 선단부가 차체 외방 및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돌출물(33)의 기단부를 소정수의 볼트(33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33)의 부착위치를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에서 선택 가능하게 하기 위해 부착용의 볼트구멍부를 전후 복수개소에 설치하고 있다.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제2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측방 및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33)의 부착위치의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의 상황에 맞춘 시계성 또는 승강성이나, 전도시의 운전실내 공간의 최대확보가 얻어진다.
제4실시형태에서는 카운터 웨이트(7)의 끝부에 설치하는 돌출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차폭의 증대를 회피함으로써 수송성에의 영향을 없애기 위해서, 카운터 웨이트(7)의 상면의 운전실 측단부에 카운터 웨이트(7)의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73)을 설치하고 있다. 돌출물(73)은 부착부가 되는 플레이트상의 기단부재(73b)의 상면에 단면 U자형상을 갖는 지지부재(73c)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수평방향을 향해서 각기둥상을 이루도록 용접한 용접구조물이다. 돌출물(73)은 지지부재(73c)의 선단부를 카운터 웨이트(7)의 후방으로 돌출시키고, 기단부재(73b)를 카운터 웨이트(7)의 상면에 소정수의 볼트(73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73)은 차폭으로부터 좌우로 밀려나오지 않도록 설치하고 있다.
도4에 의해, 제5실시형태의 설명을 한다. 제5실시형태에서는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10)측의 코너부에, 상부선회체 프레임(3)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평면에서 볼 때에 L자형 단면의 돌출물(34)을 부착부가 되는 기단부에서 소정수의 볼트(34a)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물(41)의 선단부(P3B)와, 카운터 웨이트(7)의 운전실 측단부(P7B)와, 붐(4)의 돌출물(41)의 선단부(P4)(도1 참조)에 의해 가상평면(도시생략)을 형성하고 있다. 돌출물(34)의 돌출길이는 이 가상평면과 운전실(10)이 교차하는 면보다 내측의 운전실(10)내 공간이 전도된 건설기계(1)의 수복, 회수시에 조작 가능한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5에 의해, 제6실시형태 및 제7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6 및 제7실시형태는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측의 측면부에 좌우방향 외방을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이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측의 측면부에는 나사구멍(3a)이 형성되어 있다. 제6실시형태에서는 후단 소선회형 유압셔블(11)의 선회반경(R)의 증대를 억제하여 작업성을 저해시키지 않고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측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35)을 부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나사구멍(3a)에,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선회반경(R)내에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35)을 볼트(35a)로 부착하고 있다.
제7실시형태에서는 측방으로의 충분한 돌출량을 갖는 돌출물(36)을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나사구멍(3a)에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선회반경(R)을 넘어서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36)을 볼트(36a)로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35,36)은, 예를 들면 용접구조물, 주물 또는 단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제8실시형태를 도6 및 도7에 기초하여 설명을 한다. 유압셔블(1A)은 도1과 마찬가지로, 하부주행체(2)상에 선회장치(16)를 통해 상부선회체 프레임(3)을 선회 가능하게 탑재하고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상의 전부에는 부메랑 형상의 붐(4)이, 후부에는 카운터 웨이트(7)가, 전부좌측에는 운전실(10)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전면부의 운전실 측단부에 설치한 돌출물(37)은 도1에서 설명한 돌출물(31)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 용접구조물이다. 돌출물(37)의 수직지지부(37c)의 상하방향 길이는 돌출물(31)의 수직지지부(31c)보다 충분히 긴 것이다. 수직지지부(37c)는 운전실(10)의 측면과의 사이에 공극을 갖고 운전실(10)의 측면을 따르도록 설치된다. 기단부(31b)는 소정수의 볼트(31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의 통상 굴삭자세에서 그 최고부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된 돌출물(41)은 도1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기단부로부터 운전실(10)측의 측방으로 돌출시킨 용접구조물이다.
카운터 웨이트(7)에 설치된 돌출물(74)은 기단부로부터 외방(본 실시예에서는 상방)을 향해서 돌출시킨 용접구조물이다. 돌출물(74)은 부착부인 플레이트(74b)의 좌측 및 후측의 외주 끝부에 상면에서 볼 때 L자형상의 지지부재(74c)를 세워서 설치해서 용접하고 있다. 플레이트(74b)는 카운터 웨이트(7)의 상부에 소정수의 볼트(74a)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돌출물(37,41,74)은 용접구조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물 또는 단조물 등으로 제작되어도 좋다. 돌출물(37,41,74)은 유압셔블(1A)이 전도되었을 때에, 유압셔블(1A)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고 있으면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돌출물(37,41,74) 각각의 선단부(P3A,P4A,P7A)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PA)은 운전실 공간(10a)과 교차하는 개소가 제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가상평면(PA)은 운전실 공간(10a)과 교차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횡전 또는 전도된 건설기계(1A)의 운전실(10)내에서, 조작자가 건설기계(1A)의 수복·회수를 위한 조작이 충분히 가능한 운전실 공간(10a)으로 되어 있다. 또, 제8실시형태의 가상평면(PA)은 적어도 돌출물(37,74)을 설치하여, 돌출부(37)의 선단부(P3A)와, 돌출부(74)의 선단부(P7A)와, 붐(4)의 끝부 또는 상기 끝부에 설치한 돌출부(41)의 선단부(P4A)의 3점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붐(4)의 끝부는 돌출부(41)를 설치하지 않은 붐(4)이며, 돌출부(41)를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6에 나타내는 부착부에 해당된다.
도8에 의해, 제9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9실시형태는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후단 소선회형 유압셔블(11A)에의 적용예이다. 유압셔블(11A)은 차체 후방에서 볼 때,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운전실(20)로부터 좌방 끝부에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선회반경(R)내에 돌출물(38)을 설치하고 있다. 돌출물(38)은, 도2에서 설명한 돌출물(32)과 대략 같은 구성을 갖는 용접구조물이다. 돌출물(38)의 지지부재(38c)의 상하방향 길이는 돌출물(32)의 지지부재(32c)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부메랑형상을 한 붐(4)은 도2에서 설명한 돌출물(42)을 더욱 상방으로 돌출시켜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있다. 돌출물(42)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붐(4)의 통상의 굴삭자세에서 그 최고부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운터 웨이트(7)의 상부의 운전실(20)측의 끝부(운전실(20) 배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한 돌출물(75)은 도2에서 설명한 돌출물(72)과 대략 동일하게 구성된 용접구조물이다. 돌출물(75)의 지지부재(75c)의 상하방향 길이는 돌출물(72)의 지지부재(72c)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돌출물(38,42,75)은 용접구조물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주물 또는 단조물 등으로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
돌출물(38,42,75) 각각의 선단부(Q3A,Q4A,Q7A)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QA)과 운전실(20)의 운전실 공간(20a)이 교차하는 개소는 제로이다(도7에서 나타낸 가상평면(PA)을 참조). 따라서, 운전실 공간(20a)은 횡전 또는 전도된 건설기계(11A)의 운전실(20)내에서 조작자가 건설기계(11A)의 수복·회수를 위한 조작을 행 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다. 또, 제9실시형태의 가상평면(QA)은 적어도 돌출물(38,75)을 설치하여, 돌출부(38)의 선단부(Q3A)와, 돌출부(75)의 선단부(Q7A)와, 붐(4)의 측단부 또는 상기 끝부에 설치한 돌출부(42)의 선단부(Q4A)의 3점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붐(4)의 측단부는 돌출부(42)를 설치하지 않은 붐(4)이며, 돌출부(42)를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도8에 나타내는 부착부에 해당된다.
도9∼도12에 의해, 붐(4)의 끝부에 설치하는 돌출물의 다른 실시예인 제10실시형태∼제13실시형태의 설명을 한다. 제10실시형태에서는 도9에 나타내듯이, 붐(4)의 상면판(4a)의 일부를 운전실측을 향해서 측방으로 돌출시켜 설치하고, 그것에 의해 붐(4)에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3)을 설치하고 있다. 돌출물(43)은 붐(4)의 통상의 굴삭자세에서 그 최고부에 위치하는 길이방향 대략 중앙부(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굴곡된 부위)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1실시형태에서는 도10에 나타내듯이, 붐(4)에 승강 구동용의 유압 실린더(5)를 부착하기 위한 핀(6)을 유압 실린더(5)의 빠짐방지부(6a)보다 운전실측의 측방으로 돌출시켜서 설치하고 있다. 핀(6)에 의해, 붐(4)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4)을 형성하고 있다.
제12실시형태에서는 도11에 나타내듯이, 붐(4)의 상면부이며, 또한 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굴곡된 부위보다 후부의 운전실 측단부에, 파이프를 활모양으로 구부려서 구성한 돌출물(4b)을 용접에 의해 부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붐(4)의 상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5)을 형성하고 있다. 또, 돌출물(4b)은 상기 형상,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각파이프 또는 둥근 막대 등으로 구성해도 좋다. 또한 부착위치는 붐(4)의 상면부에 한정되지 않고, 붐(4)의 측면부에 용접해도 좋다. 또한 붐(4)과 돌출물(45)의 결합수단은 용접에 한정되지 않고, 볼트(도시생략) 등에 의해 부착해도 좋다.
제13실시형태에서는 도12에 나타내듯이, 붐(4)의 상면부에 좌우 1쌍의 플레이트(4c,4c)를 서로 대향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있다. 플레이트(4c,4c)는 전부를 암(8)(도1, 도2, 도6, 도8을 참조) 구동용의 유압 실린더(9)를 부착하는 브래킷(4d)으로서 사용하고, 후부를 붐(4)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6,46)로서 사용하고 있다.
제10실시형태∼제13실시형태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제4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붐(4)의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3,44)과,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45,46)의 각각을, 저비용으로 설치할 수 있고, 또 경량화할 수 있다.
또, 제1실시형태∼제13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 상부선회체 프레임(3)의 끝부에 설치한 각 돌출물(31∼38)과, 붐(4)의 끝부에 설치한 각 돌출물(41∼46)과, 카운터 웨이트(7)의 끝부에 설치한 각 돌출물(71∼75)은 각각 임의의 조합으로 선택해서 설치해도 좋다. 이들 설치 개소도 선회체 프레임(3), 붐(4) 및 카운터 웨이트(7)의 3개소 중에서 선택하면 좋다. 상기 설명에서 착탈 가능하게 한 돌출물(31∼38), 돌출물(41,42), 및 돌출물(71∼75)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선회체 프레임(3), 붐(4) 및 카운터 웨이트(7)의 각각과, 용접 또는 주조 등에 의해 일체로 구성해도 좋다.
이상의 결과,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상부선회체 프레임을 선회 가능하게 탑재하고,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의 전부에 붐을, 후부에 카운터 웨이트를, 전부 좌우 어느 일측에 운전실을 각각 구비해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에 운전실의 변형을 간단한 구조의 돌출물에 의해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도된 건설기계의 수복·회수를 위해 조작 가능한 운전실내의 조작자 공간을 확보하는 운전실 보호구조를 저비용으로, 또 경량화가 꾀해지도록 제작,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소형 등의 각종 건설기계에의 적용이 용이하여 적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또, 이상은 유압셔블을 예로 든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압셔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건설기계에 있어서도 보편적으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은 작용과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건설기계가 전도되었을 때의 운전실 변형의 억제를 저제조비용으로, 시계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실현할 수 있는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4)

  1.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및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작업기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1개소이상에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을 설치하고,
    상기 1개소이상에 설치되는 돌출물과 상기 돌출물을 설치하지 않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 운전실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설치되는 돌출물은 상기 운전실 배면에 대향하는 상기 카운트 웨이트 상부에 설치되고,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돌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3.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및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운전실 측단부 및 상기 운전실 배면에 대향하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 상부에 각각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물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에 설치한 상기 돌출물과,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 설치한 상기 돌출물과, 상기 작업기 또는 상기 작업기에 상방 또는 운전실측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돌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은 운전실 공간과 교차하는 개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4. 하부주행체;
    상기 하부주행체상에 선회장치를 통해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 설치되는 작업기;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및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상에서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의 전부의 좌우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운전실을 구비하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돌출물로서:
    돌출물은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작업기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1개소이상에 선단부가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1개소이상에 설치되는 돌출물과 상기 돌출물을 설치하지 않은 개소에 의해 형성되는 가상평면보다 차체 내측에, 운전실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1개소이상에 설치되는 돌출물은 용접구조물, 주조 및 단조 중 어느하나로 제작되고, 상기 상부선회체 프레임, 상기 작업기 및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1개소이상에 부착되는 기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돌출물.
KR1020057025225A 2003-07-01 2004-06-24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KR101053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270006 2003-07-01
JPJP-P-2003-00270006 2003-07-01
PCT/JP2004/009271 WO2005003468A1 (ja) 2003-07-01 2004-06-24 建設機械及びその突出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073A true KR20060026073A (ko) 2006-03-22
KR101053078B1 KR101053078B1 (ko) 2011-08-01

Family

ID=3356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225A KR101053078B1 (ko) 2003-07-01 2004-06-24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4595B2 (ko)
JP (1) JP4425218B2 (ko)
KR (1) KR101053078B1 (ko)
CN (1) CN1813109B (ko)
GB (1) GB2418661B (ko)
WO (1) WO2005003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6130C2 (sv) * 2003-11-10 2005-07-12 Volvo Constr Equip Holding Se Hyttstöd
KR100689293B1 (ko) * 2005-07-25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 구조
JP2007107291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保護部材の取付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作業機械
KR100753991B1 (ko) * 2006-09-22 2007-08-31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건설기계의 운전실 캡을 지지하는 상부 프레임 구조
DE202008013896U1 (de) * 2008-10-17 2010-03-11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Verfahrbares Arbeitsgerät
DE102010015163A1 (de) * 2010-04-16 2011-10-20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oder Umschlaggerät
JP5189155B2 (ja) * 2010-11-05 2013-04-24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10362738B2 (en) * 2015-09-10 2019-07-30 Komatsu Ltd. Work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4927Y2 (ko) * 1975-07-18 1980-10-22
JPH0798495B2 (ja) * 1987-06-30 1995-10-25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作業車両のボンネット構造
JPS649083U (ko) 1987-07-04 1989-01-18
JPH09154336A (ja) 1995-12-07 1997-06-17 Kubota Corp 乗用型田植え機
JP3408913B2 (ja) 1996-03-06 2003-05-19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ー
JP3359825B2 (ja) 1996-10-09 2002-12-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転倒保護部材取付装置
JP3408947B2 (ja) 1997-05-27 2003-05-19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の転倒保護フレーム
JPH1161885A (ja) 1997-08-12 1999-03-05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3714785B2 (ja) * 1998-01-09 2005-11-09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00230255A (ja) * 1999-02-10 2000-08-22 Yutani Heavy Ind Ltd 建設機械
JP2001173017A (ja) 1999-12-17 2001-06-26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3747733B2 (ja) * 2000-03-28 2006-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EP1325988B1 (en) * 2000-09-18 2011-07-0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58006A1 (en) 2006-07-20
GB0526509D0 (en) 2006-02-08
US7404595B2 (en) 2008-07-29
GB2418661A (en) 2006-04-05
GB2418661B (en) 2007-01-17
CN1813109B (zh) 2010-08-25
CN1813109A (zh) 2006-08-02
KR101053078B1 (ko) 2011-08-01
JP4425218B2 (ja) 2010-03-03
JPWO2005003468A1 (ja) 2006-08-17
WO2005003468A1 (ja)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3978B1 (ko) 선회 작업기
JP4987644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を支持する上部フレーム構造
WO2012026233A1 (ja) 建設機械
KR101307286B1 (ko) 건설 기계의 캡
KR101053078B1 (ko) 건설기계 및 그 돌출물
KR20080111053A (ko) 굴착 작업기의 붐
JP3634723B2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JP4504283B2 (ja) 建設機械
US8974172B2 (en) Boom assembly
JP2007063839A (ja) 建設機械用保護構造物及び建設機械用キャブ
JP2010196408A (ja) 建設機械の旋回フレーム
KR20150033817A (ko) 작업차용 프론트 로더 및 이를 구비하는 농용 작업차
JP4836849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JP4556538B2 (ja) 建設機械
JPH11200415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CN216787251U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4999513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JP2009143303A (ja) 建設機械のフレーム構造体
JP5810822B2 (ja) 建設機械のアッパーフレーム
JP2016061122A (ja) ショベルのアタッチメント配管構造
CN114250813A (zh) 滑移装载机的工作装置和滑移装载机
JP2000212999A (ja) 建設機械の上部旋回体
JP4836848B2 (ja) 作業機のドーザ装置
JP2008045329A (ja) 建設機械
JP5468031B2 (ja) ハイポスト型揺動式フロン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