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8003A -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 Google Patents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8003A
KR20060018003A KR1020040066319A KR20040066319A KR20060018003A KR 20060018003 A KR20060018003 A KR 20060018003A KR 1020040066319 A KR1020040066319 A KR 1020040066319A KR 20040066319 A KR20040066319 A KR 20040066319A KR 20060018003 A KR20060018003 A KR 20060018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er motor
terminal
coil
resistor
soleno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7716B1 (ko
Inventor
김창일
김지곤
박순식
안현철
Original Assignee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6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7716B1/ko
Priority to JP2005232081A priority patent/JP2006057632A/ja
Priority to US11/201,011 priority patent/US7126295B2/en
Priority to EP05018194A priority patent/EP1630945B1/en
Priority to DE602005020722T priority patent/DE602005020722D1/de
Priority to CNB200510091582XA priority patent/CN100373761C/zh
Publication of KR20060018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8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7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7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03Starters comprising a brake mechan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02Details of starting control
    • H02P1/021Protection against "no voltage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0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 H02P3/12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 dc motor by short-circuit or resistive bra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 스타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키 스위치와, 영구자석, P코일, H코일, 이동접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타터 모터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접지된 B1단자와 스타터 모터의 M단자와 연결된 M1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B1단자 또는 M1단자에 저항을 접속하여, 상기 키 스위치 오프시 솔레노이드의 이동접점이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중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를 짧은 시간에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솔레노이드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단자에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접속하여, 키 스위치 오프시 유기전류가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스타터 모터내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해짐에 따라 정지 노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저항을 통해 유기전류의 통전 시간이 짧아져 스타터 모터의 전체 회전시간도 짧아짐에 따라 스타터 모터내 브러쉬와 축수부의 내구 수명 역시 연장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STOPPING NOISE DECREASE CIRCUIT OF STARTER MOTOR USING RESISTOR}
도 1은 종래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터 모터의 정지 시간 데이터를 보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솔레노이드 2 : 스타터 모터
3 : 이동접점 BAT : 배터리
SW : 키 스위치 R : 저항
본 발명은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솔레노이드(Solenoid)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단자에 저항을 접속하여, 키 스위치(Key Switch) 오프(Off)시 상기 두 개의 단자가 이동접점을 통해 연결된 후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가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Earth)로 흐르게 함으로써 스타터 모터내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지 노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솔레노이드 (1), 엔진 시동을 위한 직류 스타터 모터(2), 배터리(BAT), 키 스위치(SW)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키 스위치(SW)의 온으로 배터리(BAT)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에 공급되면 솔레노이드(1)내 영구자석에 감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자력발생으로 솔레노이드(1)의 이동접점(3)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과 동시에 스타터 모터(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후, 키 스위치(SW)의 오프로 스타터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솔레노이드(1)의 이동접점(3)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로부터 떨어지고, 스타터 모터(2) 내부 회전자의 회전으로 유기되는 유기전압에 의한 유기전류는 스타터 모터(2), 솔레노이드(1)내 P코일, H코일,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흘러 회전자가 일정 시간 회전 후 정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영구자석형 계자를 사용하는 스타터 모터(2) 내부에서 회전자의 관성에 의한 회전으로 인하여 유기전압이 발생하고, 이 유기전압에 의해 유기전류가 유기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의 정지 시간이 길어서 즉, 유기전류를 접지로 흘려 보내는 시간이 길어 회전자의 정지 노이즈, 다시 말해 시동중 기계적인 마찰 노이즈(피니언과 링 기어의 마찰음)에 묻혀 드러나지 않던 기계적 전기적 노이즈가 시동 완료 후 고 주파수 성분으로 오랜 시간 발생되고, 뿐만 아니라 전원 오프시에도 계속된 회전자의 회전으로 스타터 모터(2)내 브러쉬(Brush)나 축수부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때, 상기 스타터 모터(2)내 브러쉬나 축수부의 내구 수명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한국특허 출원번호 제2002-29876호에서와 같이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를 감소하기 위한 회로를 제시하였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 내부에 접지된 B1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와 연결된 M1단자를 별도로 구비하여, 키 스위치(SW)의 오프시 상기 B1단자와 M1단자가 이동접점(3)을 통해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내 회전자의 회전에 의한 유기전류를 접지로 최대한 빨리 흐르게 하여 스타터 모터(2)내 회전자의 회전을 즉시 정지시켜 회전자의 정지 노이즈를 줄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서는 상기 유기전류가 M단자, M1단자, B1단자에서 별도의 저항없이 한꺼번에 최대한 빨리 바디(Body)로 흘려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가 지나치게 짧은 시간에 정지됨에 따라 기존의 정지 노이즈와 상이한 정지 노이즈가 증폭된 이상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짧은 시간에 고전류가 순간적으로 흘러 브러쉬의 내구 수명도 단축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의 단점을 보완하고, 정지 노이즈의 감소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솔레노이드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단자에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접속하여, 키 스위치 오프시 상기 두 개의 단자가 이동접점을 통해 연결된 후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가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스타터 모터내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정지 노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는, 스타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키 스위치와, 영구자석, P코일, H코일, 이동접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타터 모터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접지된 B1단자와 스타터 모터의 M단자와 연결된 M1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B1단자 또는 M1단자에 저항을 접속하여, 상기 키 스위치 오프시 솔레노이드의 이동접점이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중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를 짧은 시간에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보인 도면으로서, 솔레노이드(1)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B1 및 M1단자중 B1단자에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접속한 경우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는 스타터 모터(2)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BAT)와, 상기 배터리(BAT)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키 스위치(SW)와, 영구자석, P코일, H코일, 이동접점(3)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타터 모터(2)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1) 내부에는 접지된 B1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와 연결된 M1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B1단자에는 임의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R)이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저항(R)은 소자 또는 코일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코일형태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의 내경 또는 외경에 감겨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1)는 상기 키 스위치(SW) 온시 이동접점(3) 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를 구동시키고, 상기 키 스위치(SW) 오프시 이동접점(3)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가 저항(R)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 저항(R)은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으므로 병렬회로 구성상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보다 저항(R)으로 대부분의 유기전류가 짧은 시간에 흐르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를 보인 도면으로서, 전체적인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며, 상기 M1단자에 임의의 저항값을 갖는 저항(R)이 접속되며, 이 저항(R) 역시 소자 또는 코일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코일형태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의 내경 또는 외경에 감겨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1)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키 스위치(SW) 온시 이동접점(3)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를 구동시키고, 상기 키 스위치(SW) 오프시 이동접점(3)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 즉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가 짧은 시간에 저항(R)으로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시동 완료 후 스타터 모터(2)내 회전자의 관성에 의한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유기전압(V) 및 이 유기전압(V)에 의해 유기되는 유기전류(I), 이 유기전류(I)가 소모되는 시간(t)에 따른 전체 소모 전기에너지(W=IVt)가 에너지 보존의 법칙에 의해 동일하다고 하는 점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저항을 통해 유기전류의 흐름 시간, 즉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도 2에 도시된 종래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 비해서는 증가시키고 도 1에 도시된 종래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에 비해서는 감소시켜 줌으로써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를 최대한 제거하고, 브러쉬의 내구 수명이 단축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에 있어서, 상기 키 스위치(SW)의 온으로 배터리(BAT)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에 공급되는 경우에 스타터 모터(2)의 구동 동작은 종래 설명과 동일하다.
즉, 상기 키 스위치(SW)의 온으로 배터리(BAT)의 전원이 솔레노이드(1)에 공급되면 솔레노이드(1)내 영구자석에 감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자력발생으로 솔레노이드(1)의 이동접점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에 연결되어 전원 공급과 동시에 스타터 모터(2)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후, 키 스위치(SW)의 오프로 스타터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솔레노이드(1)의 이동접점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 내부 회전자의 회전으로 유기되는 유기전압에 의한 유기전류가 상기 B1단자에 접속된 저항(R)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된다.
즉, 상기 유기전류는 스타터 모터(2), 솔레노이드(1)내 M1단자, 이동접점(3), B1단자, 저항(R),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흐르게 되느데, 이때 상기 저항(R)이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으므로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가 짧은 시간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스타터 모터(2), 솔레노이드(1)내 P코일, H코일,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흐르던 때 보다 훨씬 빠른 시간내에 많은 유기전류가 짧은 시간에 흘러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가 빨리 정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저항(R)을 통해 유기전류의 흐름 시간, 즉 회전자의 정지 시간이 지나치게 짧지 않도록 조절 가능해짐에 따라 회전자의 정지 노이즈 또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M1단자에 저항(R)이 접속된 경우에도, 키 스위치(SW)의 오프로 스타터 모터(2)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면, 솔레노이드(1)의 이동접점이 배터리(BAT)의 B단자와 스타터 모터(2)의 M단자로부터 떨어지는 동시에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2) 내부 회전자의 회전으로 유기되는 유기전압에 의한 유기전류가 상기 M1단자에 접속된 저항(R)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된다.
즉, 솔레노이드(1)내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가 스타터 모터(2), 솔레노이드(1)내 M1단자, 저항(R), 이동접점(3), B1단자,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짧은 시간에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의 스타터 모터(2), 솔레노이드(1)내 P코일, H코일,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흐르던 때 보다 훨씬 빠른 시간내에 흘러 스타터 모터(2)의 회전자가 빨리 정지하게 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저항(R)을 통해 유기전류의 흐름 시간, 즉 회전자의 정지 시간이 지나치게 짧지 않도록 조절 가능해짐에 따라 회전자의 정지 노이즈 또한 운전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저항(R)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스타터 모터(2)내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자유 자재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타터 모터의 정지 시간 데이터를 보인 그래프로서, 유기전압의 파형을 살펴보면, 스타터 모터(2)내 회전자의 회전수가 줄어들면 유기전압이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때 키 스위치(SW)를 오프한 시점에서 스타터 모터(2)가 정지한 시점에 걸리는 정지 시간이 종래에는 a와 같이 2초가 걸리는 반면에, 본 발명은 b 또는 c와 같이 1초 또는 0.5초로 저항(R)의 저항값을 조절을 통해 줄어듬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지 시간에 발생되는 스타터 모터내 회전자의 정지 노이즈 역시 상당히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 내부에 별도로 구비된 두 개의 단자에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저항보다 낮은 저항을 접속하여, 키 스위치 오프시 상기 두 개의 단자가 이동접점을 통해 연결된 후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가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함으로써 스타터 모터내 회전자의 정지 시간을 자유롭게 적당히 조절 가능해짐에 따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정지 노이즈를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되고, 상기 저항을 통해 유기전류의 통전 시간이 짧아져 스타터 모터의 전체 회전시간도 짧아짐에 따라 스타터 모터내 브러쉬와 축수부의 내구 수명 역시 연장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스타터 모터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제어하는 키 스위치와, 영구자석, P코일, H코일, 이동접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타터 모터를 구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타터 모터의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 내부에 접지된 B1단자와 스타터 모터의 M단자와 연결된 M1단자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B1단자 또는 M1단자에 저항을 접속하여, 상기 키 스위치 오프시 솔레노이드의 이동접점이 상기 B1단자와 M1단자에 연결되어 스타터 모터의 회전자로 인해 유기되는 유기전류중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로 흐르는 유기전류보다 많은 유기전류를 짧은 시간에 상기 저항을 거쳐 접지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소자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코일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코일형태인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의 내경 또는 외경에 감겨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의 저항값이 솔레노이드내 P코일 및 H코일에 의한 직렬회로 저항값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B1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된 경우, 상기 유기전류가 M1단자, 이동접점, B1단자, 저항,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이 M단자와 M1단자 사이에 접속된 경우, 상기 유기전류가 M1단자, 저항, 이동접점, B1단자, 접지의 폐회로를 통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KR1020040066319A 2004-08-23 2004-08-23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KR100677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19A KR100677716B1 (ko) 2004-08-23 2004-08-23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JP2005232081A JP2006057632A (ja) 2004-08-23 2005-08-10 抵抗を利用したスターターモーターの停止ノイズ減少回路
US11/201,011 US7126295B2 (en) 2004-08-23 2005-08-10 Stopping noise reduction circuit for start motor using resistor
EP05018194A EP1630945B1 (en) 2004-08-23 2005-08-22 Stopping noise reduction circuit for start motor using resistor
DE602005020722T DE602005020722D1 (de) 2004-08-23 2005-08-22 Reduzierung der Anhaltegeräusche eines Anlassermotors durch einen Widerstand
CNB200510091582XA CN100373761C (zh) 2004-08-23 2005-08-23 使用电阻器的用于启动电机的停止噪声减少电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319A KR100677716B1 (ko) 2004-08-23 2004-08-23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8003A true KR20060018003A (ko) 2006-02-28
KR100677716B1 KR100677716B1 (ko) 2007-02-02

Family

ID=36093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319A KR100677716B1 (ko) 2004-08-23 2004-08-23 저항을 이용한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6295B2 (ko)
EP (1) EP1630945B1 (ko)
JP (1) JP2006057632A (ko)
KR (1) KR100677716B1 (ko)
CN (1) CN100373761C (ko)
DE (1) DE602005020722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7B1 (ko) * 2007-12-20 2010-03-0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저항 소자를 갖는 솔레노이드
KR20230101636A (ko) 2021-12-29 2023-07-06 (주)디제이테크 노이즈 및 진동 감소 효과가 있는 dc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50165A (ja) * 2010-08-24 2012-03-08 Makita Corp モータ駆動スイッチ
JP2012249496A (ja) * 2011-05-31 2012-12-13 Denso Corp スタータ用のノイズ抑制装置
CN103835858A (zh) * 2014-02-26 2014-06-04 芜湖杰诺瑞汽车电器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起动机的点火系统
JP6414553B2 (ja) * 2016-01-21 2018-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TWI766366B (zh) * 2020-09-15 2022-06-01 車王電子股份有限公司 車輛之啟動馬達的開關裝置及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9309A (en) * 1970-01-12 1973-06-12 Westran Corp Solenoid actuated switching device for electric motor control circuit
KR910004019Y1 (ko) * 1988-12-28 1991-06-10 만도기계 주식회사 스타터 모터의 보호 회로
JPH07264887A (ja) * 1994-03-22 1995-10-13 Yamada Denki Seizo Kk 単相誘導電動機の起動装置
KR0150133B1 (ko) * 1995-04-27 1998-10-01 김광호 비례 솔레노이드밸브 제어시스템
US5667711A (en) * 1996-05-20 1997-09-16 Eaton Corporation Circuit breaker incorporating trip coil as shunt resistor in parallel with current limiting polymer
JP4378895B2 (ja) * 2000-08-30 2009-12-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制御システム
JP2002227751A (ja) 2001-01-31 2002-08-14 Denso Corp スタータ通電回路
JP2002339844A (ja) * 2001-05-17 2002-11-27 Moric Co Ltd 回生ブレーキを使ったエンジンのスタータ
KR20030092263A (ko) * 2002-05-29 2003-12-06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KR100461126B1 (ko) * 2002-08-05 2004-12-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릴레이
KR100481817B1 (ko) 2003-01-17 2005-04-1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산소계 표백 조성물
KR100590651B1 (ko) * 2004-04-07 2006-06-19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보조회전식 스타팅 모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997B1 (ko) * 2007-12-20 2010-03-05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저항 소자를 갖는 솔레노이드
KR20230101636A (ko) 2021-12-29 2023-07-06 (주)디제이테크 노이즈 및 진동 감소 효과가 있는 dc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30945A1 (en) 2006-03-01
CN1741363A (zh) 2006-03-01
KR100677716B1 (ko) 2007-02-02
US7126295B2 (en) 2006-10-24
JP2006057632A (ja) 2006-03-02
DE602005020722D1 (de) 2010-06-02
CN100373761C (zh) 2008-03-05
US20060038515A1 (en) 2006-02-23
EP1630945B1 (en)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6295B2 (en) Stopping noise reduction circuit for start motor using resistor
CN1316729C (zh) 单相电动机驱动装置、单相电动机驱动方法
JP4508159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4239425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101502794B1 (ko) 시동 장치
JP6451072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2004257369A (ja) エンジン始動装置
WO2013176981A1 (en) Variable flux electric starter machine having dual field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030092263A (ko) 스타터 모터의 정지 노이즈 감소회로
JP2002136012A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JP4196395B2 (ja) 直流モータ
JPH05276710A (ja) 電動機
JP2010110084A (ja) Dcモー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窓開閉装置
JP3945253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JP3828656B2 (ja) スタータ用電動機
JP6490138B2 (ja) 直流電動機
KR100451418B1 (ko) 이중고정자구조의 직류전동기
KR100944997B1 (ko) 저항 소자를 갖는 솔레노이드
US10533529B2 (en) Starter controller for starter motor
KR20090066510A (ko) 저항 소자를 갖는 솔레노이드 구조
CN108412656B (zh) 起动机
JP2002089421A (ja) スタータ通電回路
JP2003244900A (ja) 回転電機
US20130300129A1 (en) Variable flux electric starter machine having dual field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0324886A (ja) リラクタンス型電動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