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5401A -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5401A
KR20060015401A KR1020040064130A KR20040064130A KR20060015401A KR 20060015401 A KR20060015401 A KR 20060015401A KR 1020040064130 A KR1020040064130 A KR 1020040064130A KR 20040064130 A KR20040064130 A KR 20040064130A KR 20060015401 A KR20060015401 A KR 20060015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ubbing cloth
unit
clamping
rub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4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6730B1 (ko
Inventor
이문기
김효석
김병기
황유신
황흥엽
Original Assignee
아이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4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67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15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5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03D27/02Woven pile fabrics wherein the pile is formed by warp or weft
    • D03D27/10Fabrics woven face-to-face, e.g. double velve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기판의 러빙공정에 사용되는 러빙천을 롤러에 균일하게 권포하여 에이징하는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 배향막, 러빙공정, 러빙천 에이징, 권포기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System For Rolling Rubbing Cloth Using Liquid Crystal Device Pan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제어유닛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롤러 20 - 러빙천
100 - 메인프레임 110 - 리니어가이드
120a, 120b, 120c - 위치센서
200 - 로딩유닛 210 - 고정지그
220 - 지그이송수단
300 - 권포테이블 310 - 탄성매트
320 - 정전매트
400 - 에이징테이블 410 - 진공흡입구
420 - 유리기판
500 - 구동유닛 510 - 구동프레임
520 - 클램핑수단 522a, 522b - 클램핑척
524 - 공압실린더 530 - 상하이송수단
532 - 볼스크류기구 534 - 서보모터
536 - 전동밸트 540 - 회전수단
550 - 고정수단 560 - 위치블럭
600 - 제어유닛 610 - 제어부
620 - 제어버튼 630 - 저장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기판의 러빙공정에 사용되는 러빙천을 롤러에 균일하게 권포하여 에이징하는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 판넬은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호 대향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밀봉되고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부기판은 유리기판 상면에 컬러필터층과 투명전극층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는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도 유리기판 상면에 투명전극층과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배향막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의 판넬은 상기 투명전극층의 전압인가여부에 따라 전계의 영향을 받은 액정 분자의 배열이 변화되며, 그 배열의 변화 에 따라 액정표시장치의 판넬에 유입되는 외부의 광이 차단되거나 투과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의 판넬은 액정 분자의 배열특성에 따라 광투과성, 응답속도, 시야각, 콘트라스트 등과 같은 표시소자로서의 기능이 결정된다. 따라서 액정분자의 배향을 균일하게 제어하는 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통상의 액정분자들은 단지 국부적으로만 배향되기 때문에 액정분자들을 특정 방향으로 배향시키기 위하여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투명전극 상부에 액정분자들과 직접 접촉되는 유기고분자막을 인위적으로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배향막이라 하며 통상적으로 폴리이미드 고분자재료로 형성된다. 또한 액정분자의 배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러빙공정을 통하여 상기 배향막에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홈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러빙공정은 융 또는 레이온 등으로 이루어진 러빙천을 롤러에 감은 후 상기 롤러를 배향막에 접촉시켜 상기 배향막 표면에 일정 수준 이상의 일축배향성을 갖는 배양홈을 형성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배향막에 형성되는 배향홈의 균일성은 기본적으로 러빙천이 상기 롤러에 권포되는 상태와 러빙천의 결 방향성과 흠결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게된다. 즉, 배향홈의 균일성 향상을 위해서는 러빙천이 롤러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권포되는 것이 필요하며, 러빙천 결의 방향성을 일정하게 하기 위해서 미리 에이징을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러빙천은 양 끝단이 서로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면서 러빙천 하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는 균일한 상태로 밀착되어 권포되어야 한다. 러빙천이 상기 롤러에 불규칙하게 권포되거나, 상기 러빙천 하면에 기포가 생성되면 에이징공정에서 도 러빙천의 결을 균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또한 러빙천은 러빙공정에서 불규칙하게 마모되어 결과적으로 배향막의 형성되는 배향홈의 균일성이 떨어지며, 이러한 불균일한 배향홈은 후속공정의 불량원인으로 작용된다. 따라서 러빙천의 수명을 단축에 따른 러빙장치의 가동율 저하와 이에 따른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기판의 러빙공정에 사용되는 러빙천을 롤러에 균일하게 권포하여 에이징하는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발명의 러빙천 권포기는 상면의 양측에 리니어가이드가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리니어가이드 사이의 일단에 설치되며 러빙천이 권포되는 롤러를 일정한 위치에 로딩시키는 로딩유닛과, 상기 로딩유닛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러빙천이 안착되는 권포테이블과, 상기 권포테이블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리기판이 안착되는 에이징테이블과, 상기 리니어가이드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로딩유닛에 로딩된 롤러를 클램핑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시켜 상기 롤러에 상기 러빙천을 권포하여 상기 유리기판에 회전 및 접촉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로딩유닛과 상기 에이징테이블 및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제어유닛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00)과 로딩유닛(200)과 권포테이블(300)과 에이징테이블(400)과 구동유닛(500) 및 제어유닛(60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부가 평편한 박스 구조이며, 상면의 양측에 한 쌍의 리니어가이드(110)가 소정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그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리니어가이드(110)도 일반 레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상부에는 상기 로딩유닛(200)과 권포테이블(300)과 에이징테이블(400)과 구동유닛(500)이 장착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에 설치되는 로딩유닛(200)과 상기 권포테이블(300) 및 에이징테이블(400)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위치센서(120a, 120b, 120c 이하 위치가 관계없는 경우에는 식별번호를 "120"으로 표시한다)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센서(120)는 상기 구동유닛(500)의 이동경로에 설치되어 구동유닛(50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위치센서(120)로는 광센서, 접촉센서, 리미트센서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로딩유닛(200)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되며 사이에 상기 롤러(10)가 안착되는 고정지그(210)와 상기 각 고정지그(210)를 좌우로 이송하는 지그이송수단(220)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로딩유닛(200)은 상기 리니어가이드(110) 사이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그이송수단(220)에 의하여 고정지그(210)에 안착되는 롤러(10)를 일정한 위치에 로딩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지그(210)는 "L"자 형상으로 상기 롤러(10)가 안착되는 부분은 롤러(10)의 형상과 반대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끝단은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롤러(1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지그이송수단(220)은 바람직하게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각 고정지그(2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지그(210)를 좌우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지그이송수단(22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된다. 상기 지그이송수단(220)은 공압실린더 외에도 모터와 밸트 또는 기어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권포테이블(300)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로딩유닛(200)으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부에는 러빙천(20)이 안착된다. 상기 권포테이블(300)은 바람직하게는 소정 두께의 정반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러빙천(20)이 상기 롤러(10)에 의하여 권포될 때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권포테이블(300)은 권포되는 러빙천(20)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권포테이블(300)의 상면에는 탄성매트(310)가 장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매트(310)의 상부와 하부에 정전매트(320)가 추가로 부착된다. 상기 탄성매트(310)는 상기 롤러(10)가 상기 러빙천(20)을 권포하기 위해서 권포테이블(300) 상면에 안착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 또는 러빙천(20)과 접촉될 때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여 롤러(10)와 양면테이프 또는 러빙천(2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준다. 상기 탄성매트(310)는 경도(A 타입)가 20 내지 90을 갖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탄성매트(310)의 경도가 90이상이면 상기 롤러(10)가 양면 테이프 또는 러빙천(20)과 완전히 균일하게 밀착되기 어려워 상기 롤러(10)와 양면 테이프 또는 러빙천(20) 사이에 기포가 생성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탄성매트(310)의 경도가 20이하이면 러빙천(20)이 롤러(10)의 접촉 하중에 의하여 눌려져 늘어나게 되며 러빙천(20)이 권포된 후의 양 끝단의 간극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정전매트(320)는 러빙천(20)에 정전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에이징테이블(400)은 상기 권포테이블(300)로부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단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면에는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진공흡입구(410)가 형성된다 상기 에이징테이블(400)의 상면에는 안착되는 유리기판(420)이 안착되며, 진공흡착에 의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진공흡입구(410)에는 별도의 진공펌프(도면에 표시하지 않음)가 연결되어 구동된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구동프레임(510)과 클램핑수단(520)과 상하이송수단(530) 및 회전수단(540)을 구비하여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리니어가이드(110)의 상부에 전후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구동유닛(500)은 하부에 구동유닛(500)을 일정한 위치에서 일시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5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상기 로딩유닛(200)에 로딩된 롤러(10)를 클램핑하여 상기 리니어가이드(110)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러빙천(20)을 상기 롤러(10)에 권포하여 상기 유리기판(420)에서 에이징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10)은 상기 리니어가이드(110)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소정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수직축(512)과 상기 수직축(512)의 상부에 수평으로 안착되는 수평축(514)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10)은 상기 클램핑수단(520)과 상하이송수단(530) 및 회전수단(540)을 지지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구동프레임(510)은 상기와 같은 구성 외에도 다른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클램핑수단(520)은 상기 롤러(10)의 양측에 접촉되는 한 쌍의 클램핑척(522a, 522b))과 상기 일측의 클램핑척(522a)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공압실린더(524)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프레임(510)에 장착되는 상하이송수단(530)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일측의 클램핑척(522a)은 상기 공압실린더(524)에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타측의 클램핑척(522b)은 상기 회전수단(540)에 결합되어 회전된다. 상기 클램핑수단(520)이 상기 로딩유닛(200) 상부의 클램핑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공압실린더(524)에 의하여 상기 일측의 클램핑척(522a)이 롤러(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타측의 클램핑척(522b)과 함께 롤러(10)를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척(522a, 522b)은 끝 부분이 삼각뿔 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에는 초경 또는 특수 강 같이 경도가 높은 금속이 결합되어 있어 사용에 따른 마모가 방지되며, 롤러(10)가 용이하게 클램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10)의 양측 중심에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클램핑척(522a, 522b)이 용이하게 롤러(10)를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은 볼스크류기구(532)와 서보모터(534) 및 전동밸트(536)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구동프레임(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수단(520)을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롤러(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될 때 불연속적으로 하강이 제어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롤러(10)에 권포되는 러빙천(20)을 에이징하는 과정에서 상기 러빙천(20)의 결을 효과적으로 일정한 방향으로 배향하기 위해서는 러빙천(20)이 유리기판에 점진적으로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은 롤러(10)가 러빙용 유리기판(420)에 접촉된 후에는 0.05mm씩 하강하면서 각 단계마다 5분 정도 유지하여 러빙천(20)이 에이징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볼스크류기구(532)는,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으로 볼스크류 회전축(532a)과 리니어가이드(532b) 및 리니어블럭(532c)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프레임(510)의 양 수직측(514)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리니어블럭에는 각각 상기 클램핑수단(520)이 결합되며, 타측의 리니어블럭에는 상기 회전수단(540)이 장착된다. 상기 클램핑수단(520)과 회전수단(540)은 상기 리니어블럭(532c)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결합되거나, 상기 각 리니어블럭(532c)을 연결하는 별도의 보강프레 임(53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스크류기구(532)는 상기 볼스크류 회전축(532a)이 회전되면서 상기 리니어블럭(532c)을 상기 리니어가이드(532b)를 따라 상하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볼스크류 회전축(532a)은 상기 전동밸트(536)에 의하여 상기 서보모터(534)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상기 서보모터(534)는 상기 수평축(512)에 설치되어 상기 전동밸트(536)에 의하여 상기 볼스크류 회전축(532a)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수단(540)은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 또는 전동모터로 구성되며, 상기 클램핑수단(520)의 타측 클램핑척(522b)에 밸트와 풀리에 의하여 연결되어 클램핑된 롤러(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540)은 상기 볼스크류기구(532)의 리니어블럭(532c)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클램핑수단(520)에 별도의 브라켓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550)은 상기 구동유닛(5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소정위치에 상기 구동유닛(500)을 일시적으로 고정하게 된다. 러빙천의 에이징과정에서 상기 롤러(10)에 권포된 러빙천(20)이 상기 유리기판(420)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러빙천(20)과 상기 유리기판(420)의 마찰력에 의하여 회전방향으로 전진하려는 힘이 발생된다. 상기 고정수단(550)의 작용에 의하여 롤러(10)는 일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수단(550)은 상기 구동유닛(500)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계요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상기 공압실린더는 상기 구동유닛(500)의 하부에서 메인프레임(100)방향으로 공압실린더가 작동되도록 설치 되며 공압실린더가 메인프레임(100)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되어 구동유닛(500)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하부에 설치되는 위치블럭(560)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센서(120)와 접촉되어 구동유닛(500)의 위치를 제어유닛(60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상기 위치블럭(560)은 판상, 바형상 등 위치센서에게 위치를 인식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 상부의 리니어가이드(110) 상부에서 별도의 구동수단이 없이 작업자의 힘에 의하여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일정한 작업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위치센서(120)와 구동유닛(500)의 위치블럭(560)이 일치되었을 때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구동유닛(500)의 전후 이동을 별도의 이동수단을 형성하여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도 4를 참조하며 보면, 제어부(610)와 상기 로딩유닛(200)과 상기 에이징테이블(400) 및 구동유닛(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버튼(625)과 제어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30) 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부(6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610)는 작업자에 작동에 따른 상기 제어버튼(620)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로딩유닛(200)과 에이징테이블(400) 및 구동유닛(5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일반적인 장치에서 사용되는 제어유닛(600)과 유사하므로 여기서 그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버튼(620)은 제어유닛(6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작업자가 사용하기 편한 위치에 별도의 제어판넬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러빙천 권포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러빙천(20)이 권포되지 않은 롤러(10)를 상기 로딩유닛(200)의 고정지그(210)사이에 안착시키고 제어버튼(620)을 눌러 로딩유닛(200)의 지그고정수단(220)을 작동시킨다. 상기 지그고정수단(220)은 상기 고정지그(210)를 이동시켜 롤러(10)가 일정한 위치에 로딩되도록 한다. 작업자는 수동에 의하여 구동유닛(500)을 상기 로딩유닛(200)의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상기 구동유닛(500)의 위치블럭(560)이 상기 로딩유닛(200)의 측면에 위치한 위치센서(120a)와 일치되도록 한다. 구동유닛(500)의 상하이송수단(530)은 제어버튼(620)과 제어부(610)에 의하여 일정 높이까지 하강하게 되며, 상기 클램핑수단(520)은 공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롤러(10)의 양측을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송수단(630)의 작동에 의하여 다시 클램핑수단(520)은 롤러(10)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다시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권포테이블(300)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도 상기 구동유닛(500)의 위치블럭(560)과 권포테이블(300)의 측면에 설치된 위치센서(120b)가 일치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센서(120b)와 위치블럭(120b)이 위치가 일치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유닛(600)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권포테이블(300)의 상면에는 판상의 양면테이프가 안착된다. 상기 양면테이프는 테이프 양면에 종이쉬트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권포테이블(300) 에 안착될 때는 상면의 종이쉬트만이 제거된다.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이 하강하면서 상기 롤러(10)가 상기 권포테이블(300) 상면의 양면테이프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회전수단(540)이 구동되어 상기 롤러(1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는 상기 롤러(10)와 양면테이프 간의 마찰력에 의하여 롤러(10)가 전진하면서 양면테이프를 권포하게 된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양면테이프가 롤러(10)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롤러(10)의 표면에 양면테이프가 권포되면 양면테이프의 나머지 종이쉬트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양면테이프가 권포된 롤러(10)가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에 의하여 상승되면 상기 권포테이블(300)의 상면에는 러빙천(20)이 안착되며 양면테이프의 접착공정과 동일한 순서에 의하여 러빙천(20)을 롤러(10)에 권포하게된다. 상기 권포테이블(300)의 상면은 탄성매트(310)에 의하여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되므로 러빙천(20)에 롤러(10)가 접촉될 때 러빙천(20)이 소정 깊이로 눌려지면서 접촉되므로 롤러(10)와 러빙천(20)은 보다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이 때는 러빙천(20)의 특성에 따라 적정한 압력으로 러빙천(20)과 롤러(10)가 접촉되도록 한다. 만약 너무 작은 압력으로 접촉시키게 되면 러빙천(20)이 롤러(10)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않아 러빙공정 중에 러빙천(20)이 불균일하게 마모되거나, 불균일한 배향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너무 큰 압력으로 접촉시키게 되면 러빙천(20)이 늘어나게 되어 러빙천(20)이 권포된 후에 양 끝단의 간극이 불균일하게 되거나 서로 겹쳐져서 문제가 된다.
러빙천(20)이 상기 롤러(10)에 권포되면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에 의하여 상기 롤러(10)는 상승하게 된다. 다시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구동유닛(500)이 상기 에이징테이블(400)의 일정위치로 이송된다. 이때도 상기 에이징테이블(400)의 측면에는 위치센서(120c)가 설치되어 있어 구동유닛(500)이 일정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구동유닛(500)이 정해진 위치로 이송되면 상기 고정수단(550)에 의하여 구동유닛(500)의 위치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롤러(10)는 상기 회전수단(540)에 의하여 일정한 회전속도로 회전되면서 상기 에이징테이블(400)에 안착되어 있는 유리기판(420)에 접촉하여 롤러(10)에 권포된 러빙천(20)을 에이징 하게 된다. 상기 롤러(10)는 에이징과정 중에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까지 하강하게 되며, 이때는 일정한 높이를 일정한 단계별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롤러(10)가 5회 내지 7회에 걸쳐 0.05mm 씩 하강하게 되며 한번 하강한 후에는 5분 정도씩 유지되면서 러빙천(20)을 에이징 하게 된다. 이렇게 다단계로 롤러를 하강시키면서 러빙천과 유리기판을 마찰시키게 되면 러빙천에 처음부터 과도한 마찰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러빙천과 유리기판 사이의 접촉압력을 어느 정도 일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에이징공정에서 러빙천의 결의 방향을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유닛(600)의 제어방법과 러빙천(20)의 특성에 따라 상기 롤러의 하강단계 수와 각 단계에서의 하강높이 및 유지시간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변수는 상기 제어유닛(600)의 저장부(630)에 설정 및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610)에 의하여 사용된다.
상기 롤러(10)의 러빙천(20)이 일정한 시간동안 러빙되어 에이징이 완료되면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에 의하여 롤러(10)가 상승되며, 상기 회전수단(540)의 작동이 중지되어 회전을 멈추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500)은 작업자에 의하여 다시 로딩유닛(200)의 상부로 이송된다. 상기 클램핑수단(520)에 클램핑된 롤러(10)는 상기 상하이송수단(530)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며 로딩유닛(200)의 고정지그에 안착된다. 상기 클램핑수단(520)에 클램핑된 롤러(10)는 상기 로딩유닛(200)의 고정지그(210)에 안착된다. 에이징이 완료된 러빙천(20)이 권포된 롤러(10)는 별도의 장소로 이동되어 보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에 의하면 롤러에 러빙천을 권포할 때 탄성매트의 탄성력에 의하여 러빙천의 양 끝단이 서로 일정한 간극을 형성하면서 러빙천 하면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고 균일한 상태로 밀착되어 권포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러빙천의 에이징과정에서 롤러를 단계별로 하강시켜 마찰시킴으로써 러빙천이 처음부터 과도한 마찰력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러빙천이 균일한 힘으로 유리기판에 마찰되어 러빙천 결의 방향성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러빙천이 롤러의 표면에 균일하게 권포되고 러빙천의 결 방향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러빙천에 의한 러빙공정에서 배향막에 균일한 배향홈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러빙천의 불규칙 마모를 방지하여 러빙 장비의 가동율 향상과 이에 따른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상면의 양측에 리니어가이드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상기 리니어가이드 사이의 일단에 설치되며 러빙천이 권포되는 롤러를 일정한 위치에 로딩시키는 로딩유닛;
    상기 로딩유닛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러빙천이 안착되는 권포테이블;
    상기 권포테이블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유리기판이 안착되는 에이징테이블;
    상기 리니어가이드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로딩유닛에 로딩된 롤러를 클램핑하여 상하 이동 및 회전시켜 상기 롤러에 상기 러빙천을 권포하여 상기 유리기판에 회전 및 접촉시키는 구동유닛; 및
    상기 로딩유닛과 상기 에이징테이블 및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유닛은 좌우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사이에 상기 롤러가 안착되는 고정지그와
    상기 고정지그를 좌우로 이송하는 지그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포테이블은 상면에 탄성매트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상부와 하부에 정전매트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매트는 경도가 2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징 테이블은 상면의 소정위치에 진공흡입구가 형성되며, 상면에 안착되는 유리기판을 진공흡착에 의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상기 리니어가이드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우수직축과 상기 수직 축의 상부를 연결하는 수평축을 포함하는 구동프레임;
    상기 롤러의 양측에 접촉되는 클램핑척과 상기 일측의 클램핑척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의 클램핑척을 전후진시키는 공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공압실린더에 의하여 상기 롤러를 클램핑하는 클램핑수단;
    상기 구동프레임에 장착되며, 상기 클램핑수단을 지지하여 상하로 이송하는 상하이송수단과
    상기 상하이송수단에 지지되며, 상기 타측의 클램핑척에 결합되어 상기 타측의 클램핑척과 상기 크램핑된 롤러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하부에 설치되는 위치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로딩유닛과 상기 권포테이블 및 에이징테이블의 일측에서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경로에 각각 설치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구동유닛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위치블럭이 상기 위치센서의 상부에 위치할 때 구동유닛이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수단은
    상기 롤러가 회전되면서 상기 롤러에 권포된 러빙천이 상기 유리기판에 접촉될 때 불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송수단은
    상기 좌우수직축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수단이 결합되는 볼스크류기구와
    상기 수평축에 설치되는 서보모터와
    상기 볼스크류기구와 서보모터를 연결하는 전동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소정위치에 상기 구동유닛을 일시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공압실린더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천 권포기.
KR1020040064130A 2004-08-14 2004-08-14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KR10066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30A KR100666730B1 (ko) 2004-08-14 2004-08-14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4130A KR100666730B1 (ko) 2004-08-14 2004-08-14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401U Division KR200366000Y1 (ko) 2004-08-16 2004-08-16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5401A true KR20060015401A (ko) 2006-02-17
KR100666730B1 KR100666730B1 (ko) 2007-01-11

Family

ID=37124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130A KR100666730B1 (ko) 2004-08-14 2004-08-14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67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332B1 (ko) * 2008-10-30 2009-04-08 (주)거성 러빙롤로부터 러빙천을 탈포하는 장치
KR200446213Y1 (ko) * 2008-03-05 2009-10-08 친-팅 첸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KR100971794B1 (ko) * 2008-11-21 2010-07-22 (주)넥스컴글로벌 러빙포 자동 검사장치
CN113543434A (zh) * 2020-04-16 2021-10-22 杰宜斯科技有限公司 基板处理用通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75196B2 (ja) * 1990-12-25 1997-11-1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配向処理用ラビング布の巻装装置および巻装方法
JPH06194638A (ja) * 1992-12-25 1994-07-15 Casio Comput Co Ltd 液晶素子用基板の支持装置
KR200173398Y1 (ko) 1994-12-13 2000-03-02 손욱 러빙 로울러용 천 수취장치
JPH1184383A (ja) 1997-09-05 1999-03-26 Toshiba Corp 布巻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03757B2 (ja) 2000-01-21 2010-07-14 中村留精密工業株式会社 ラビングローラの布巻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213Y1 (ko) * 2008-03-05 2009-10-08 친-팅 첸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KR100892332B1 (ko) * 2008-10-30 2009-04-08 (주)거성 러빙롤로부터 러빙천을 탈포하는 장치
KR100971794B1 (ko) * 2008-11-21 2010-07-22 (주)넥스컴글로벌 러빙포 자동 검사장치
CN113543434A (zh) * 2020-04-16 2021-10-22 杰宜斯科技有限公司 基板处理用通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6730B1 (ko)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852A (ko) 기판 표면 청소 장치
KR10092697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엘시디모듈 제조용 패널 접합장치
KR20110124080A (ko) 필름 표면 세정장치
KR100930571B1 (ko) 기판결함의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100666730B1 (ko)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KR101958565B1 (ko) 곡면 강화유리 연마장치
KR20170115635A (ko) 스크라이빙 장치
KR200366000Y1 (ko)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KR100920222B1 (ko) 필름 검사장치 및 필름 검사방법
KR20100091036A (ko) 글라스 기판 세정 유닛 및 이를 갖는 글라스 기판 세정 시스템
KR102067987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2067981B1 (ko) 기판 절단 장치
KR20190046142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글라스의 편광판 부착 자동화장치
KR20130002569A (ko) 기판 자동 실링장치의 이송유닛
CN216738071U (zh) 划片装置
JP2001062696A (ja) 研掃方法及び装置
KR100510273B1 (ko) 글래스 패널 연마장치
KR101062454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2067986B1 (ko) 기판 절단 장치
JPH10148830A (ja) 液晶表示素子の製造装置
JP3384446B2 (ja) 表示パネル製造方法及び表示パネル移載方法
KR102114025B1 (ko) 기판 절단 장치
KR101072400B1 (ko) 기판 자동 실링장치
KR100809530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CN112094048A (zh) 边料去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