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213Y1 -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213Y1
KR200446213Y1 KR2020080002953U KR20080002953U KR200446213Y1 KR 200446213 Y1 KR200446213 Y1 KR 200446213Y1 KR 2020080002953 U KR2020080002953 U KR 2020080002953U KR 20080002953 U KR20080002953 U KR 20080002953U KR 200446213 Y1 KR200446213 Y1 KR 2004462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ing
horizontal bar
roller brush
frame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2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062U (ko
Inventor
친-팅 첸
Original Assignee
친-팅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친-팅 첸 filed Critical 친-팅 첸
Priority to KR2020080002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21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0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2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2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7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 G02F1/13378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 G02F1/133784Surface-induced orientation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s, e.g. by alignment layers by treatment of the surface, e.g. embossing, rubbing or light irradiation by rubb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왼쪽 수평막대, 오른쪽 수평막대, 롤러 브러시, 및 분무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부품을 지탱하는데 쓰이고, 왼쪽 기둥과 오른쪽 기둥을 가지며, 상기 왼쪽 수평막대는 그 후단이 상기 왼쪽 기둥의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오른쪽 수평막대는 그 후단이 상기 오른쪽 기둥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롤러 브러시는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게 경사진 모양으로 설치되고, 왼쪽 단은 상기 왼쪽 수평막대에 연접설치되고 오른쪽 단은 상기 오른쪽 수평막대에 연접설치되고, 이 롤러 브러시는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분무기는 상기 프레임의 윗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 모직포, 롤러 브러시, 분무기, 프레임

Description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Woolen yarn direction-fixing device}
본 고안은 러빙용 모직포의 가공설비와 관련된 것이며, 상세히 말하면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LCD 방향배열 제작과정(Alignment)은 주로 액정분자를 특정한 방향으로 배열하여 액정 모니터의 동작을 통제하는 것이다.
방향배열 제작과정의 순서는 대강 아래와 같다.
우선 방향배열액을 액정 모니터의 상하 전극기판의 내측에 바르고 이어 러빙(Rubbing) 제작과정을 행하며, 방향배열막 표면이 방향배열 롤러의 러빙포(Rubbing Clothes)의 러빙 섬유(pile)가 마찰로 인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홈을 쓸어내고 방향 배열막의 액정재료가 분자간의 작용으로 인해 방향고정 효과에 이르며, 만약 액정분자를 특정한 각도로 배열되게 통제하고자 할 때는 방향배열 롤러의 마찰방향을 이용해 예정된 경사각(Pre-tilt Angle)을 형성시키고, 이렇게 하여 액정 모니터에 유리한 각기 다른 구동모드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알 수 있듯이 모직포는 러빙포(Rubbing Clothes)로 채용된 재질 중의 하나이므로 업자들이 모직포의 적용성을 평가할 때 러빙 섬유의 경사각도는 중점평가항목인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모직포의 러빙 섬유 경사각과 높이(두께)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만약 러빙 섬유의 경사각도가 작으면 러빙 섬유 높이가 낮아지고(얇아지고), 반대로 러빙 섬유의 경사각도가 크면 러빙 섬유 높이가 높아지게(두꺼워지게) 된다. 합격품은 러빙 섬유의 경사각의 각도와 털 높이 간의 두께가 반드시 안전한 데이터 범위 내에 있어야 하며 그럴 때 액정 모니터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2는 종래의 제작과정으로 제작한 모직포 제품으로 러빙 섬유의 "방향고정"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찍은 사진에서 러빙 섬유의 경사각이 불일치함을 볼 수 있고 러빙 섬유 높이 역시 불일치하여 전술한 러빙(Rubbing) 제작과정을 진행할 때 액정 모니터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모직포의 "방향고정"처리를 하여 러빙(Rubbing) 제작과정을 진행할 때 액정 모니터 제품의 양호율을 높이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모직포에 분무처리를 진행하고 다시 경사상태를 나타내는 롤러 브러시를 이용하여 러빙 섬유에 대해 "방향고정"처리를 시행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가공 후 모직포 제품은 러빙 섬유의 "방향고정"처리 후의 경사각과 높이, 두께가 모두 합격표준 범위 내에 속하며 이로써 러빙(Rubbing) 제작과정을 시행할 때 대폭적으로 액정 모니터 제품의 양호율을 높일 수 있다.
아래 열거하는 것은 비교적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도면과 배합해 본 고안의 구조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5는 본 고안의 외관 입체 개략도와 실제 사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7,8은 본 고안의 구조특징 개략도와 실제 사진이며, 도 9,10은 본 고안의 우측면도와 실제 사진이다.
본 고안은 프레임(10), 왼쪽 수평막대(20), 오른쪽 수평막대(30), 롤러 브러시(40), 및 두 개의 분무기(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부품을 지탱하는데 쓰이고, 왼쪽 기둥(11)과 오른쪽 기둥(12)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왼쪽 수평막대(20)는 그 후단이 상기 왼쪽 기둥(11)의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오른쪽 수평막대(30)는 그 후단이 상기 오른쪽 기둥(12)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롤러 브러시(40)는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게 경사진 모양으로 설치되고, 왼쪽 단은 상기 왼쪽 수평막대(20)에 연접설치되고, 오른쪽 단은 오른쪽 수평막대(30)에 연접설치되고, 이 롤러 브러시는 구동기(41)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두 개의 분무기(50)는 각각 프레임(10)의 상단 좌우측에 설치된다.
도 11과 도 13 내지 15에 예시한 대로, 본 고안은 조작에 있어서 회전축(70)을 이용해 예정된 넓이의 모직포(60)를 뒤로부터 앞으로 견인하고, 모직포(60)가 분무기(50)의 아래쪽을 통과할 때 두 개의 분무기(50)가 뿜어낸 물안개가 모직포(60)의 러빙 섬유에 적당한 습도로 뿌려진다.
이어서, 도 11과 도 1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모직포(60)가 롤러 브러시(40)의 앞 측면을 통과할 때 모직포(60)와 롤러 브러시(40) 사이에는 적당한 압력으로 접촉하게 되어 롤러 브러시(40)가 모직포(60)의 러빙 섬유를 예정된 각도로 가지런하게 빗게된다.
마지막으로 모직포(60)는 다시 한 대의 정형기(도면에는 미표시)를 통해 고온을 이용해 굽는(Baking) 처리를 가해 모직포(60)의 러빙 섬유 방향이 확실히 고정되게 한다.
본 고안의 방향고정원리는 이래와 같다.
모직포(60)의 러빙 섬유가 분무기의 물과 접촉한 후 팽창과 윤활현상(Swlling behavior on wetting)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써 더욱 쉽게 롤러 브러시(40)의 힘(Stress)을 받게 되고 다시 정형기(Stenter)의 고온 굽기(Baking) 작용을 거쳐 러빙 섬유 방향이 고정되게 하는 양호한 효과에 이른다.
또한 본 고안의 롤러 브러시(40)의 경사각도는 여러 차례의 테스트를 거쳐 40도로 설정될 때 "분무,방향고정" 가공처리 후 모직포 제품의 러빙 섬유 방향고정각도가 도 17에서 예시한 대로 대략 67도 정도 되면 이 제품은 액정 방향배열 용도로 쓰이게 되어 러빙(Rubbing) 제작과정을 진행할 때 대폭적으로 액정 모니터 제품의 양호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 1,2는 종래기술에 의해 제작된 모직포의 현미경 사진
도 3,4,5는 본 고안의 외관 입체 개략도와 실제 사진.
도 6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7,8은 본 고안의 구조특징 개략도와 실제 사진.
도 9,10은 본 고안의 우측면도와 실제 사진.
도 11 내지 16은 본 고안의 조작사용 개략도 및 실제 사진.
도 17은 본 고안에 의해 제작된 모직포의 현미경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프레임 11:왼쪽 기둥
12:오른쪽 기둥 20:왼쪽 수평막대
30:오른쪽 수평막대 40:롤러 브러시
41:구동기 50:분무기
60:모직포 70:회전축

Claims (3)

  1. 프레임, 왼쪽 수평막대, 오른쪽 수평막대, 롤러 브러시, 및 분무기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부품을 지탱하는데 쓰이고, 왼쪽 기둥과 오른쪽 기둥을 가지며, 상기 왼쪽 수평막대는 그 후단이 상기 왼쪽 기둥의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오른쪽 수평막대는 그 후단이 상기 오른쪽 기둥 앞 측면의 상단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롤러 브러시는 왼쪽이 높고 오른쪽이 낮게 경사진 모양으로 설치되고, 왼쪽 단은 상기 왼쪽 수평막대에 연접설치되고 오른쪽 단은 상기 오른쪽 수평막대에 연접설치되고, 이 롤러 브러시는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분무기는 상기 프레임의 윗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기는 두 개로 각각 프레임의 윗부분 좌우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브러시의 경사각도는 4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KR2020080002953U 2008-03-05 2008-03-05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KR2004462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53U KR200446213Y1 (ko) 2008-03-05 2008-03-05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2953U KR200446213Y1 (ko) 2008-03-05 2008-03-05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62U KR20090009062U (ko) 2009-09-09
KR200446213Y1 true KR200446213Y1 (ko) 2009-10-08

Family

ID=4129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2953U KR200446213Y1 (ko) 2008-03-05 2008-03-05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21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76A (ko) * 1994-12-21 1996-07-20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개선을 위한 러빙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JPH1184383A (ja) 1997-09-05 1999-03-26 Toshiba Corp 布巻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7791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015401A (ko) * 2004-08-14 2006-02-17 아이원스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4576A (ko) * 1994-12-21 1996-07-20 김광호 액정 표시 장치의 시야각 개선을 위한 러빙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JPH1184383A (ja) 1997-09-05 1999-03-26 Toshiba Corp 布巻装置、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30037791A (ko) * 2001-11-05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러빙천 및 이를 사용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015401A (ko) * 2004-08-14 2006-02-17 아이원스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판넬용 러빙천 권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062U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7975B2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KR200446213Y1 (ko) 러빙용 모직포의 러빙 섬유 방향 고정장치
CN217756196U (zh) 一种纺织用具有自动铺展功能的展布机
TWM329643U (en) Fixed device for pile direction of plush fabric
CN208037647U (zh) 布料收卷装置
CN210856667U (zh) 一种纺织品涂层加工用预处理装置
JPH0345774A (ja) 布帛に連続的に液粒を付与する方法及び装置
CN209703030U (zh) 布料的后整理设备
KR100359694B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
CN207331297U (zh) 一种服装除皱平整设备
JP4426366B2 (ja) 液晶パネル製造用ラビング布材
CN111155260A (zh) 一种氨纶超柔绒的工艺方法
CN207276982U (zh) 一种纺织面料快速梳理设备
CN108931860A (zh) 全息液晶光栅的封盒制作方法
CN109385774A (zh) 布料的后整理设备
CN210481795U (zh) 一种双面同时烫直的热熨平机
CN114232353B (zh) 一种衣领用人造长毛皮面料及其制备工艺
US2317375A (en) Method of treating fabric, and fabric
CN211340053U (zh) 一种毛絮清理装置
CN214271362U (zh) 搓衣板式洗衣机
CN105908440A (zh) 一种纺织面料精准拉幅工作台
JPS60153025A (ja) 液晶表示素子
CN117089992A (zh) 一种纺织生产羊绒纤维长度检测方法
KR200429802Y1 (ko) 스프레이 나염효과가 가능한 염색기
KR20220049171A (ko)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