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9171A -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 Google Patents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9171A
KR20220049171A KR1020200132446A KR20200132446A KR20220049171A KR 20220049171 A KR20220049171 A KR 20220049171A KR 1020200132446 A KR1020200132446 A KR 1020200132446A KR 20200132446 A KR20200132446 A KR 20200132446A KR 20220049171 A KR20220049171 A KR 2022004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eing
fabric
dyed
wait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446B1 (ko
Inventor
지아-츠흐 다이
Original Assignee
츠두 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츠두 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츠두 린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13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4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4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34Driving arrangements of machines or apparatus
    • D06B3/36Driv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염색기 내회전 과정을 이용하여 염색액을 염색 대기 중인 천 상에 분사하고,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부위가 염색기의 염색액 분사노즐에 의해 최소한 한 번 염색이 완료된 후,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일부분이 염색기 내에서 물결형상의 중간제품으로 형성되고, 이어서 염색기 내 염색액의 액체면을 점차 상승시키고, 이어서 단시간에 빠른 속도로 열을 가하여 염색기 내부 압력을 변하게 하여 중간제품의 일부분이 점차 상승하면서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로 상승하게 되고, 다른 한 부분은 염색액 내에 담궈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어서 해당 염색기 내의 가열된 온도를 일정 시간 유지하여 발색 작업을 완료하여 불연속 패턴의 염색천을 완성하게 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을 말한다.

Description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DYEING METHOD OF DISCONTINUOUS PATTERN}
본 발명은 일종의 염색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불연속 패턴을 제공하는 염색기법에 관한 것이다.
천 염색 분야에서 폴리아미드((Polyamide, PA) 등과 같은 인조 섬유에 사용되는 염색 방법은 보통 산을 첨가하는 가산처리 공정을 포함하게 되며, 이를 통해 염색액의 pH 값을 변경하여 인조 섬유와 산성 염료 분자 사이에 결합을 완성하게 된다. 또한 이 외에도 가열, 발색, 워싱, 색 고착 등의 여러 가지 제조 공정도 포함하고 있다.
현재 로프형염색기에서 보편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염색 방법은 완제품의 색깔의 농담이 대부분 단일하고 패턴(pattern)이 고정되어 있어 제품의 변화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불규칙적 혹은 불연속적 패턴이 있는 제품이 필요할 경우, 잉크 분사식 날염기가 있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는 잉크 분사식 날염기는 생산 과정에서 여러 개의 작업대가 필요하고, 인력 소모가 심하며, 작업에 투입되는 시간 역시 매우 긴 편이었다. 뿐 만 아니라 인위로 디자인된 불연속 패턴을 사용하기 때문에 잉크 분사식 날염기를 통해 일정 길이를 초과하는 긴 천을 염색할 때 패턴의 중복성이 나타날 수밖에 없었다. 기존의 염색기법에는 위와 같은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일종의 염색기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관련 제조 공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염색기 내부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인조섬유 천에 대해 염색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서 불연속 패턴을 갖춘 천의 완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은 천 염색 기술 분야에서 장기간의 작업 경험과 지속적인 테스트를 거치면서 천 염색 공정 중에 염색기의 회전 속도, 작업 스케줄 및 가온 속도 등과 같은 관련 제조 공정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천 염색과 섬유 사이에 연결 과정에 간섭과 영향을 주게 되면 종래의 제품과는 완전히 다른 불연속 패턴을 가진 천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에 입각하여 본 발명인은 본 설명 내에서 서로 다른 실시 형태와 실시 방식을 제공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 설명의 한 가지 형태는 불연속 패턴을 생성하는 염색기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해당 염색기법은 염색기 내에 염색 대기 중인 천을 넣고 염색기에 설치된 염색액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염색을 진행하는 데 소모되는 시간을 제1기간으로 정의한다. 해당 염색기법은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제1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염색기는 해당 제1기간의 1~2배 시간 내에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을 회전시키게 되며, 그 결과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염색액을 분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염색기 내의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또한 해당 염색기법은 다음과 같은 제2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염색기 내의 온도를 제1온도에서 제2온도로 올린다. 또한 해당 염색기법은 제3순서를 포함하고 있다. 해당 염색기 내의 온도를 해당 제2온도로 유지하여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을 염색천으로 형성한다. 그중 제1순서의 기간에서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물결 형상의 중간제품으로 형성되고, 해당 제2순서의 기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해당 염색기 내의 압력을 변경시키기 때문에 해당 중간제품의 일부분이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로 상승하게 되고, 해당 제2순서가 완료된 후, 해당 중간제품의 일부분은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에 있게 되고, 해당 중간제품의 다른 일부분은 해당 염색액 내에 담궈진 상태로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3순서가 완료된 후의 해당 중간제품의 염색체 천은 불연속 패턴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1기간은 최소한 100초이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2순서를 집행할 때, 해당 제1온도는 20~50℃이고 해당 제2온도는 80~135℃이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2순서 중에서 해당 제1온도를 해당 제2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은 가열공률에 의해 온도를 높이는 것이고 해당 가열공률은 5~14℃/분이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2순서 중에서 해당 염색기는 제1회전주기를 제공하게 되고, 해당 제1회전주기의 정의는 제1기간 내에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를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에 한 번 통과시키는 주기를 말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2순서를 집행할 때, 해당 염색기는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3순서의 집행 시간은 40분~60분이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3순서를 집행할 때, 해당 염색기는 해당 제1회전주기를 제공하게 되고, 해당 제1회전주기의 정의는 제1기간 내에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를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에 한 번 통과시키는 주기를 말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3순서를 집행할 때, 해당 염색기는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구성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양이온 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터(Cationic dyeable polyester, CDP) 등으로 구성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염색액의 pH값은 3~9사이이다.
상술된 내용을 종합해 보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일종의 염색기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관련 제조 공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염색기 내부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인조섬유 천에 대해 염색을 진행함으로써 인력과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조건 하에서 불연속 패턴을 갖춘 천의 완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방식의 로프형염색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방식의 로프형염색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방식의 염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효과 및 구조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비교적 우수한 실시예와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의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하방(beneath)」, 「…의 하에(below)」, 「낮은(lower)」, 「…의 상에(above)」, 「높은(upper)」등과 같은 공간 상대성 용어의 경우, 도면 중의 요소나 특징 사이의 관계를 더욱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며 이 외에도 공간 상대적 용어는 도면 중에서 방향을 묘사할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의 사용 혹은 조작에 필요한 각기 다른 방향을 포함하기도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프형염색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제1로프형염색기(100)는 통본체(110)、천 저장공간(120), 천 출입구(130), 천 가이드휠(140), 염색액 분사노즐(150)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해당 천 출입구(130)를 통해 해당 천 저장공간(120)으로 진입한 후, 해당 천 가이드휠(140)에 연결되어 해당 천 가이드휠(140)의 영향을 받아 움직이게 되고 이를 통해 해당 제1로프형염색기(100)가 회전을 시작하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해당 천 가이드휠(140)의 회전력에 의해 당겨지게 되어 특정 주기(단위는 초/회)로 회전을 하게 되며, 해당 특정 주기는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의 전체 길이가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150)에 한 번 통과되는 시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해당 제1로프형염색기(100)는 더 나아가 염색액 공급장치(210), 열교환장치(220), 펌프(23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특정 부피의 염색액(L)을 해당 펌프(230)를 통해 해당 염색액 공급장치(210)로 주입시키고, 더 나아가 해당 열교환장치(220)까지 운송시켜 온도 조절하고, 이어서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150)을 통해 해당 천 저장공간(120) 내로 주입시킨다. 이로써 해당 제1로프형염색기(100)가 회전을 시작하고,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특정 주기로 회전을 할 때,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의 전체 길이에는 특정 시간 내에 해당 염색액(L)이 분사되어 도포되고, 또한 분사되어진 해당 염색액(L)은 해당 천 저장공간(120) 내에 누적되면서 해당 천 저장공간(120) 내의 해당 염색액(L)의 액체면이 점차 상승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밖에도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의 일부분은 해당 천 저장공간(120) 내에서 해당 염색액(L) 내에 잠궈진 채로 방치되어 물결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영역의 통상적인 지식에 의하면 해당 염색액 공급장치(210)는 염색제 주입 장치 및 산성액 주입장치와 함께 비한정적인 형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해당 특정 염색제 및 특정 산성액이 해당 염색액(L)이 순환되는 경로에 유입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해당 염색제 주입 장치 및 해당 산성액 주입 장치는 제어회로와 전기적 연결을 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가 해당 특정 염색제 및 해당 특정 산성액을 해당 염색액(L)에 주입하는 용량과 공률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방법 내에서 해당 통본체(110)는 구체 혹은 기둥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신청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150)의 설치 위치 및 해당 염색액(L)의 부피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영역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프형염색기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2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제2로프형염색기(30)는 통본체(300)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통본체(300) 내에는 저장구역(301)이 설치되어 염색액(L) 및 염색 대기 중인 천(C)을 저장하게 된다. 해당 통본체(300)에는 또한 인장 파이프(302) 및 압축 파이프(303)가 설치되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 및 해당 염색액(L)을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계속해서 도2를 참조해 보면, 해당 통본체(300) 내에는 천 가이드휠(310)이 설치되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을 견인하는 데 사용되며, 해당 통본체(300) 내에는 또한 염색액 분사노즐(320)이 설치되어 염색액(L)을 주입하는데 사용된다.
도2 내용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특정 길이의 염색 대기 중인 천(C)을 해당 통본체(300) 내에 넣어 해당 해당 천 가이드휠(310)과 연결시키고, 해당 천 가이드휠(310)이 회전할 때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을 견인하여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사용자가 설정한 특정 주기(단위는 초/회)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해당 특정 주기는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의 전체 길이가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320)에 한 번 통과되는 시간으로 정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320)에는 염색액(L)이 주입될 수 있으며, 해당 염색액(L)은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 상에 분사 도포되어 해당 인장 파이프(302)를 향해 흘러가게 되고, 이때 유속을 가지게 된다. 해당 인장 파이프(302) 내에서 해당 염색액(L)의 유속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의 이동속도보다 크며, 그로 인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당겨지는 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 및 해당 염색액(L)이 해당 압축 파이프(303) 내까지 이송되었을 때, 해당 염색액(L)의 유속은 낮아지게 되며 그로 인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압축되어 물결형상을 나타내게 된다. 이 외에도 해당 염색액(L)이 해당 저장구역(301) 내에 누적되면서 액체면 높이를 갖추게 된다. 여기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점은 도1 내에 나타난 해당 염색액(L)의 액체면 높이는 단지 참고를 위해 표시된 것으로서 실제 구현되는 높이의 수치나 비율이 아니다.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은 해당 염색액(L) 내에 담궈진 상태가 되며, 이를 통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이 압축되며 물결형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해당 제2로프형염색기(30)에는 염색액 공급 관련 장치가 설치되어 염색액의 성분이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고, 해당 제2로프형염색기에는 또한 온도 조절 시스템도 설치되어 해당 염색액(L) 및 해당 통본체(300) 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된 장치는 모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영역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가 합리적은 범위 내에서 변경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320)의 실제 설치 위치는 사용자의 조작 방식에 의거한 서로 다른 염색기 기종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방식 중에서 해당 염색액(L)은 물, 균염제, 산성액,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해당 염료는 산성염료 혹은 분산성 염료가 될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염색액(L)은 특정 pH값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특정 pH값은 3~9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 방식 중에서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C)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양이온 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터(Cationic dyeable polyester, CDP) 등으로 구성된다.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한 해당 염색기법의 공예 공정은 대부분 염색, 건조, 정형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중 염색 공정은 로프형염색기 내에서 진행되고, 해당 로프형염색기는 합리적으로 도1의 해당 제1로프형염색기(100) 혹은 도2의 해당 제2로프형염색기(30) 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을 해당 로프형염색기 내에 넣은 후 특정 부피의 염색액을 이용해 염색을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특정 길이 및 서로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파라미터는 본 설명 내에서 사용한 수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 영역에서 통상적인 지식이나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한 염색 방법의 순서에 관한 것으로서, 도1~도3의 내용을 참조해 보면, 염색 공정은 더 나아가 여러 개의 순서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중 해당 염색 공정은 순서S1, 순서S2, 순서S3, 순서S4, 순서S5를 포함하고 있다.
순서S1에서는 해당 로프형염색기를 조절하여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에 대해 제1회전주기를 제공하게 되고 ,해당 제1회전주기는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가 제1기간의 시간 동안 로프형 염색기의 염색액 분사노즐을 통과되는 것을 말한다. 해당 제1기간의 1~2배의 집행 기간 내에 해당 로프형염색기는 해당 염색액 분사노즐을 이용해 염색액을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 상에 분사 도포하고, 또한 해당 로프형 염색기 내의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의 높이가 점점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순서S1기간 내에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높이는 해당 염색기 내의 수용공간 높이의 2/3를 초과하지 않고, 해당 수용공간은 도1에서 표시된 천 저장공간(120) 혹은 도2에 표시된 저장구역(301)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순서S1기간 내에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 부위 중 해당 수용공간 내에 있는 부분은 압력을 받아 물결형상의 중간제품으로 형성되며, 이를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해당 중간제품 부위의 대부분은 해당 염색액 내에 담궈진 상태이며, 그중 아주 적은 부분만 압력을 받아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로 상승하게 된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염색액은 특정 pH값을 가지고 있고, 해당 pH값은 해당 염색액가 포함하고 있는 염료의 특성에 따라 조정된 값으로서 이를 통해 해당 염색액이 해당 염료 분자와 해당 천 섬유 사이에 연결이 형성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갖추게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해당 제1기간은 최소한 100초이며, 해당 회전주기는 최소한 100초/바퀴이다. 그러므로 더 나아가 설명해 보면, 순서S1의 집행 시간은 최소한 100초이고, 비교적 우수한 경우의 예는 100초에서 200초 사이이다.
순서S2에서는 해당 로프형염색기 내의 온도가 상승하여 해당 염색액을 제1온도에서 제2온도까지 상승시키며, 해당 제1온도는 대략 20~50℃의 실온 범위 내이고, 해당 제2온도는 대략 80~135℃ 범위 내이다. 순서S2의 집행시간은 해당 제1기간의 5~10배이며,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순서S2 과정에서 해당 로프형염색기가 가열 공률을 제공하여 해당 제1온도를 해당 제2온도까지 올리게 되며, 해당 가열공률은 5~14℃/분이 된다. 해당 가열공률을 통해 밀폐된 해당 수용공간 내에 압력 변화를 발생시킬 수 있고 더 나아가 해당 수용공간 내의 해당 중간제품의 일부분이 점차 상승하여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로 상승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순서S2가 완료된 후, 해당 중간제품의 일부분이 해당 염색액의 액체면 위에 위치하게 되고 다른 일부분은 해당 염색액 내에 담궈진 상태가 된다. 더 나아가 모든 순서가 완료된 후 특정 면적 내의 천이 불규칙 혹은 불연속 패턴을 가지게 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비교적 우수한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1기간은 최소한 100초이며, 해당 회전주기는 최소한 100초/바퀴이다. 그러므로 더 나아가 설명해 보면, 순서S2의 집행 시간은 1000초를 초과하지 않고, 비교적 우수한 경우의 예는 500초에서 1000초 사이이다.
일부 실시 방식 중에서 순서S2 과정에서 해당 로프형염색기는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해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된다.
순서S3에서는 해당 로프형염색기 내의 온도가 제2온도로 유지되면서 보온 발색 효과를 달성하게 되며, 더 나아가 순서S3이 완료된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은 염색천이며,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해당 중간제품이 순서S3이 완료된 후 형성되는 염색천은 불연속 패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순서S3의 집행 시간은 40~60분이며, 본 설명의 실시 방식에 의거해 보면 해당 제2온도는 80~135℃이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순서S3의 집행 기간 중에 해당 로프형염색기는 해당 회전주기를 제공한다. 그러다 기타 실시 방법 중의 순서S3에서는 해당 로프형염색기가 어떠한 회전주기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즉 해당 염색 대기 중인 천이 계속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된다.
순서S4에서는 순서S3을 완료한 해당 염색천을 특정 온도로 세척을 진행한다. 그리고 순서S5에서는 고착제를 해당 로프형염색기 내에 넣고 해당 염색천에 대해 고색 작업을 진행하며, 이때 해당 고착제 성분은 천의 재질에 따라 각기 다른 고착제로 변경이 가능한다. 여기서 특별히 주의해야할 점은 순서S5를 완료한 후 필요에 따라 최소한 1회의 세척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며, 그후 해당 염색천을 꺼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해당 염색천에 염색을 완료한 후 건조 공정 단계로 들어갈 수 있으며, 건조기를 이용하여 해당 염색천 내의 남은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어서 고온으로 해당 염색천에 대해 정형 공정을 진행하며 더 나아가 해당 염색천의 크기, 색깔 및 수축 정도를 안정화하여 완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서로 다른 실시예나 실예를 들어 제공된 표적물의 서로 다른 특징들을 수립하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나 실예는 결코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신청범위 내에서 가한 어떠한 첨가나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제1로프형염색기
110:통본체
120:천 저장공간
130:천 출입구
140:천 가이드휠
150:염색액 분사노즐
210:염색액 공급장치
220:열교환장치
230:펌프
30:제2로프형염색기
300:통본체
301:저장구역
302:인장 파이프
303:압축 파이프
310:천 가이드휠
320:염색액 분사노즐
(C):염색 대기 중인 천
L:염색액
S1~S5:순서

Claims (11)

  1.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에 관한 것으로서,상기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은 염색기 내에 염색 대기 중인 천을 넣고 염색기에 설치된 염색액 분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염색을 진행하는 데 소모되는 시간을 제1기간으로 정의하며, 상기 염색기법은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은 제1순서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염색기는 상기 제1기간의 1~2배 시간 내에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을 회전시키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염색액 분사노즐이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염색액을 분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염색기 내의 상기 염색액의 액체면의 높이가 점차 상승하게 되며; 또한 상기 염색기법은 다음과 같은 제2순서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염색기 내의 온도를 제1온도에서 제2온도로 올리며; 또한 상기 염색기법은 제3순서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은 상기 염색기 내의 온도를 상기 제2온도로 유지하여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을 염색천으로 형성하고; 그중 제1순서의 기간에서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은 물결 형상의 중간제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순서의 기간에서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염색기 내의 압력을 변경시키기 때문에 상기 중간제품의 일부분이 상기 염색액의 액체면 위로 상승하게 되고, 상기 제2순서가 완료된 후, 상기 중간제품의 일부분은 상기 염색액의 액체면 위에 있게 되고, 상기 중간제품의 다른 일부분은 상기 염색액 내에 담궈진 상태로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제3순서가 완료된 후의 상기 중간제품의 염색체 천은 불연속 패턴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2.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1기간은 최소한 10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3.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1온도는 20~50℃이고 상기 제2온도는 80~1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4.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2순서 중에서 상기 제1온도를 상기 제2온도까지 상승시키는 것은 가열공률에 의해 온도를 높이는 것이고 상기 가열공률은 5~14℃/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 기법.
  5.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2순서 중에서 상기 염색기는 제1회전주기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주기의 정의는 제1기간 내에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를 상기 염색액 분사노즐에 한 번 통과시키는 주기를 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 기법.
  6.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2순서를 집행할 때, 상기 염색기는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은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7.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3순서의 집행 시간은 40분~6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 기법.
  8. 제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3순서를 집행할 때, 상기 염색기는 상기 제1회전주기를 제공하게 되고, 상기 제1회전주기의 정의는 제1기간 내에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의 전체 길이를 상기 염색액 분사노즐에 한 번 통과시키는 주기를 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9.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제3순서를 집행할 때, 상기 염색기는 회전을 멈추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은 그대로 멈춤 상태로 방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10.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염색액의 pH값은 3~9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11. 제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염색 대기 중인 천의 구성은 폴리에스터(Polyester, PE), 폴리아미드(Polyamide, PA), 양이온 염색이 가능한 폴리에스터(Cationic dyeable polyester, CDP)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KR1020200132446A 2020-10-14 2020-10-14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KR10245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46A KR102452446B1 (ko) 2020-10-14 2020-10-14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446A KR102452446B1 (ko) 2020-10-14 2020-10-14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9171A true KR20220049171A (ko) 2022-04-21
KR102452446B1 KR102452446B1 (ko) 2022-10-06

Family

ID=81437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446A KR102452446B1 (ko) 2020-10-14 2020-10-14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24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89A (ko) * 1987-07-06 1989-04-10 프란체스코.리찌 불균일한 방식으로 텍스타일을 염색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결과되는 텍스타일제품
KR20050114957A (ko) * 2004-06-02 2005-12-07 (주)한밭자동제어 염색기의 공정시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489A (ko) * 1987-07-06 1989-04-10 프란체스코.리찌 불균일한 방식으로 텍스타일을 염색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결과되는 텍스타일제품
KR20050114957A (ko) * 2004-06-02 2005-12-07 (주)한밭자동제어 염색기의 공정시간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2446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4953B1 (en) System and method for spray dyeing fabrics
US8215138B2 (en) Device and continuous dyeing process with indigo
CN204185679U (zh) 纱线染色机
US4620338A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dyeing and/or finishing of wet textile webs
JP2009523200A (ja) インディゴ染料のための染色装置及び方法
CN108867116A (zh) 一种超临界co2染色方法及染色系统
CN101319467A (zh) 丝光防缩羊毛纱线的染色工艺
US11952694B2 (en) Multipurpose machine and methods for dyeing fabrics and warp yarns
JPH11140768A (ja) 糸状側面の部分染糸
CN105484073A (zh) 一种彩色针织牛仔涂层染色工艺
KR102452446B1 (ko) 불연속 패턴의 염색기법
CN108642753B (zh) 染布设备及利用该设备的染布方法
CN105063937A (zh) 一种喷射染色的羊绒花色纱线制作方法
CN112111873A (zh) 不连续图样的染布方法
KR101684233B1 (ko) 다색의 크레이프 원사 스페이스 염색방법 및 그 장치
CN204251867U (zh) 一种均匀喷射施液装置
CN205999612U (zh) 一种单纱染色系统
CN212223323U (zh) 一种还原染料隐色体染色设备
KR101049670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셀룰로오스직물의 콜드패드배치식 염색방법
CN105986386B (zh) 滚筒法阳离子改性纤维体系的浆染设备总成及其浆染方法
CN105986387B (zh) 一种喷射阳离子涂料彩点浆染设备总成及其浆染方法
JP2022063782A (ja) 不連続模様の染色方法
CN205636136U (zh) 超纤染色生产线
CN206376102U (zh) 一种用于纺织的压力型湿法循环喷染装置
CN108118474A (zh) 一种用于纺织的压力型湿法循环喷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