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313A - 위상 측정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위상 측정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313A
KR20060012313A KR1020057022262A KR20057022262A KR20060012313A KR 20060012313 A KR20060012313 A KR 20060012313A KR 1020057022262 A KR1020057022262 A KR 1020057022262A KR 20057022262 A KR20057022262 A KR 20057022262A KR 20060012313 A KR20060012313 A KR 20060012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measuring
measurement
input frequency
distor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6218B1 (ko
Inventor
주이치 나카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Publication of KR20060012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6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6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16Spectrum analysis; Fourier analysis
    • G01R23/20Measurement of non-linear distor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28Measuring attenuation, gain, phase shift or derived characteristics of electric four pole networks, i.e. two-port networks; Measuring transient respons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mplifiers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Measuring Phase Differences (AREA)

Abstract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에, 측정 대상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측정한다. 위상 측정 장치(1)는, 2개의 입력 주파수 성분(ω10 및 ω20)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증폭기(측정 대상 회로)(20)에 부여하여 출력을 측정한다. 위상 측정 장치(1)는, 증폭기(20)의 출력을 ω10 및 ω20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ω0)를 사용하여 직교 변환하는 직교 변환부(30)와; 직교 변환부(30)의 출력으로부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 (θ1, θ2) 및 왜곡 성분의 위상(θ3)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부(40)와; θ1 및 θ2가 일치하는 일치 시간(Δt) 및 그 때의 위상 θ1(Δt)를 측정하는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와; 일치 시간(Δt)에 있어서의 왜곡 성분의 위상 θ3(Δt)를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와; θ1(Δt) 및 θ3(Δt)를 표시하는 표시부(70)를 구비한다.
위상, 주파수, 왜곡, 직교변환, 푸리에변환

Description

위상 측정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PHASE MEASUREMENT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를 비선형 회로(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에, 비선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왜곡의 위상을 측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증폭기에 신호를 부여해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 증폭기는 선형 회로인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완전한 선형 증폭기를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증폭기를 일종의 비선형 회로로서 취급하게 된다. 즉, 증폭기에 신호를 부여하면, 증폭된 신호 뿐만 아니라, 왜곡 성분도 출력된다.
이러한 왜곡 성분의 측정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일본 공개특허 공보 제 2001-285211호(요약)}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증폭기에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를 부여한 경우에,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것은 종래에는 행해지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2개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에, 측정 대상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왜곡의 위상을 측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부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수단과;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한다. 위상 취득부는,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고, 일치 시간 측정부는,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한다. 또,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는,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위상 취득부는,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직교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직교 변환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일치 위상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측정 대상 회로는 증폭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위상 취득 수단은,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는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수단은 디지털 신호의 복소 벡터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의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상기 일치 위상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 및 상기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단계와; 상기 위상 취득 단계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단계와; 상기 위상 취득 단계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단계;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수단을 갖는 상기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처리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한 위상 측정 장치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수단을 갖는 상기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처리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 의해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증폭기(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증폭기(20)에 부여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2(a)), 증폭기(20)로부터 나오는 출력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2(b)), 주파수 ω0(=(ω10+ω20)/2)가 0으로 설정된 경우 증폭기(20)로부터 나오는 출력의 주파수 스펙트럼(도 2(c))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위상 취득부(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복소 벡터(s1 및 s2)의 초기 상태(시간 t=0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복소 벡터(s1)의 위상(θ1) 및 복소 벡터(s2)의 위상(θ2)과 시간(t)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복소 벡터(s1)의 위상(θ1), 복소 벡터(s2)의 위상(θ2) 및 복소 벡 터(s3)의 위상(θ3)과 시간(t)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폭기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증폭기 측정 시스템은, 입력 신호 생성부(10), 증폭기(측정 대상 회로)(20), 직교 변환부(30), 위상 취득부(40),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한다. 직교 변환부(30), 위상 취득부(40),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 및 표시부(70)는, 위상 측정 장치(1)를 구성한다.
입력 신호 생성부(10)는, 두 개의 입력 주파수 성분(ω1, ω2)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생성한다. 입력 신호 생성부(10)는, 제 1 발진기(12), 제 2 발진기(14), 및 가산기(16)를 구비한다. 제 1 발진기(12)는, 주파수 ω10의 신호를 생성한다. 제 2 발진기(14)는, 주파수 ω20의 신호를 생성한다. 가산기(16)는, 주파수 ω10의 신호 및 주파수 ω20의 신호를 가산하며 그 가산 결과를 출력한다. 가산기(16)의 출력은 입력 신호이다. 입력 신호는 증폭기(20)에 부여된다.
증폭기(측정 대상 회로)(20)는, 주어진 입력 신호를 증폭하며 증폭한 결과를 출력한다. 이제 증폭기(20)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해 설명한다. 증폭기(20)에 제공되는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성분을 구비한다. 증폭기(20)는, 이 입력 신호를 증폭해 증폭된 결과를 출력한다.
증폭기(20) 출력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성분의 레벨이 상승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증폭기(20)를 완전한 선형 회로로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며, 따라서 증폭기(20)는 비선형 회로이기 때문에, 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성분 외에, 주파수 ω30 및 주파수 ω40 성분(왜곡 성분이라고 한다)이 출력된다.
이 경우, 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을 평균한 평균 주파수(ω0){= (ω10 + ω20)/2}를 0으로 설정하는 경우, 증폭기(20) 출력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2(c)와 같이 표시된다. 즉,ω10은 ω1 (= ω10 -ω0)으로 표시되고; ω20은 -ω1 (=ω20-ω0)으로 표시되며; ω30은 3ω1 (=ω30 -ω0)으로 표시되고; ω40은 -3ω1 (=ω40 -ω0)으로 표시된다.
위상 측정 장치(1)는, 증폭기(측정 대상 회로)(20)의 출력을 측정한다. 위상 측정 장치(1)는, 직교 변환부(30), 위상 취득부(40),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 및 표시부(70)를 구비한다.
직교 변환부(30)는, 입력 주파수 성분(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ω0)를 사용하여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을 직교 변환한다. 그 결과,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증폭기(20) 출력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2(c)에 도시된 주파수 스펙트럼으로 취급될 수 있다. 직교 변환부(30)는 승산기(32, 34)를 가지고 있다. 승산기(32)는,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에 cos(ω0·t)를 곱셈해 그 곱셈 결과를 출력한다. 승산기(34)는,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에 -sin (ω0·t)을 곱셈해 그 곱셈 결과를 출력한다.
위상 취득부(40)는, 직교 변환부(30)의 출력으로부터 입력 주파수 성분(+ω1) 및 왜곡 성분 (+ 3ω1)의 위상을 취득한다. 도 3은, 위상 취득부(4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위상 취득부(40)는, 저역통과 필터(42a, 42b), A/D 변환기(44a, 44b), 복소 FFT(고속 푸리에 변환)부(46), 위상 결정부(48)를 구비한다.
저역통과 필터(42a)는, 승산기(32)로부터의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통과시키고 고주파 성분을 차단한다. 저역통과 필터(42b)는, 승산기(34)로부터의 출력의 저주파 성분을 통과시키고 고주파 성분을 차단한다.
A/D 변환기(44a)는, 저역통과 필터(42a)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A/D 변환기(44b)는, 저역통과 필터(42b)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여기서 A/D 변환기(44a, 44b)의 샘플링 주파수는, ω10 -ω20 = 2ω1을 2π로 나눈 것의 정수배로 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즉, 샘플링 주파수는 ω1/π의 정수배이다.
복소 FFT (고속 푸리에 변환)부(46)는, A/D 변환기(44a, 44b)로부터의 출력에 대해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한다. 그 결과, 입력 주파수 성분(±ω1) 및 왜곡 성분 (+ 3ω1)에 대한 복소 벡터를 얻을 수 있다.
위상 결정부(48)는, 입력 주파수 성분 (±ω1) 및 왜곡 성분 (+ 3ω1)의 복소 벡터에 의거해서 각 성분의 위상을 결정한다. 이 위상은 tan-1(복소 벡터의 허수부/복소 벡터의 실수부)로서 계산된다.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을 θ1이라 하고,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을 θ2라 하며, 왜곡 성분(+3ω1)의 위상을 θ3이라 한다. θ1, θ2 및 θ3은 시간의 함수이다. 이후에는, 시간 t에 있어서의 위상을, 예를 들어 θ1(t)로 표기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는, 위상 취득부(40)에 의한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θ1)과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θ2)이 최초로 일치하는 일치 시간(Δt) 및 그 때의 위상 θ1(Δt) {= θ2 (Δt)}를 측정한다.
입력 주파수 성분(+ω1)에 대한 복소 벡터(s1) 및 입력 주파수 성분(-ω1)에 대한 복소 벡터(s2)는 아래의 수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1]
s1 = A1 x e j (ω1 x t + θ1(0))
s2 = A2 x e j(-ω1 x t + θ2(0))
상기의 식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복소 벡터(s1 및 s2)는, 크기에 있어서는 다르지만, 이들 복소 벡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한다. 도 4는 복소 벡터(s1 및 s2)의 초기 상태(시간 t=0에 있어서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수직축에 Im(허수부), 수평축에 Re(실수부)를 취하고 있다. 복소 벡터(s1)의 초기 위상은 θ1(0)이고, 복소 벡터(s2)의 초기 위상은 θ2(0)이다. 복소 벡터(s1 및 s2)의 위상은, 시간 Δt에서 최초로 일치한다. 이 경우, 위상 θ1(Δt) {=θ2 (Δt)}는 아래의 수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2]
{- θ1(0)+ θ2(0)}/2 + θ1(0) = θ1(Δt)
시간 Δt에서 위상이 θ1(Δt)인 복소 벡터(s1 및 s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복소 벡터(s1 및 s2)의 위상은, 1/2만큼 회전했을 때, 즉, θ1(Δt) + π에서 일치한다. 이 때의 시간은 Δt + π/ω1이다. 그 후, 위상은 θ1(Δt)에서 다시 일치한다. 그 때의 시간은, Δt + 2π/ω1이다. 이와 같이, 시간 Δt + n·π/ω1 (n =0,1,2,…)에서 위상이 일치하며, 그 때의 복소 벡터(s1 및 s2)의 위상은 θ1(Δt) (n = 0,2,4, …) 또는 θ1(Δt) + π ( n = 1,3,5,…)이다.
도 5는 복소 벡터(s1)의 위상(θ1) 및 복소 벡터(s2)의 위상(θ2)과 시간(t)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으로, 예시의 편의상, θ1(0) = 0로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분명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복소 벡터(s1 및 s2)의 위상은 시간 Δt + n·π/ω1 (n = 0, 1,2,…)에서 일치하며, 그 때의 복소 벡터(s1 및 s2)의 위상은 θ1(Δt) (n = 0,2,4, … ) 또는 θ1(Δt) + π (n = 1,3,5,…)이다.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는, 위상 취득부(40)에 의한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일치 시간(Δt)에 있어서의 왜곡 성분(+3ω1)의 위상(θ3(Δt))을 측정한다. 일치 시간(Δt)은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로부터 취득된다.
왜곡 성분(+3ω1)의 복소 벡터(s3)는 아래의 수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수식 3]
s3 = A3 x e j(3ω1 x t + θ3(0))
상기의 식으로부터 분명한 것 같이, 복소 벡터(s1)가 1 회전하면, 복소 벡터(s3)는 3 회전한다. 복소 벡터(s1)가 1/2 회전하면, 복소 벡터(s3)는 3/2 회전한다.
따라서, 복소 벡터(s1)가 위상 θ1(Δt)로부터 1 회전하면, 복소 벡터(s3)는 3 회전하므로,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초기 위상으로 되돌아온다. 따라서, 복소 벡터(s1)가 위상 θ1(Δt)로부터 "n"(n = 1, 2, …) 회전한다면,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일치 시간(Δt)에 있어서의 왜곡 성분(+3ω1)의 위상 (θ3(Δt))로 되돌아온다.
또, 복소 벡터(s1)가 위상 θ1(Δt)로부터 1/2 회전하면, 복소 벡터(s3)는 3/2 회전하므로,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π만큼 진행한다. 따라서, 복소 벡터(s1)의 위상이 θ1(Δt) + π가 되면,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θ3(Δt) + π가 된다.
도 6은 복소 벡터(s1)의 위상(θ1), 복소 벡터(s2)의 위상(θ2) 및 복소 벡터(s3)의 위상(θ3)과 시간(t) 사이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θ1 및 θ2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θ3은 실선으로 도시하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도 6으로부터 분명한 것 같이,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시간 Δt + n·π/ω1 (n = 0, 2,4, …)에서는 θ3(Δt)이며, 복소 벡터(s3)의 위상은 시간 Δt + n·π/ω1 (n = 1,3,5, … )에서는 θ3(Δt) + π이다.
이와 같이, 복소 벡터(s1 및 s2)가 일치하는 위상은 θ1(Δt) 혹은 θ1(Δt) + π와 같은 일정한 값을 취한다. 동시에, 복소 벡터(s1 및 s2)가 일치할 때의 복소 벡터(s3)의 위상 또한 θ3(Δt) 혹은 θ3(Δt) + π와 같은 일정한 값을 취한 다. 따라서,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θ1(Δt)를 측정하고, 왜곡 성분(±3ω1)의 위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θ3(Δt)을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복소 벡터(s1 및 s2)가 일치하는 위상에 대해, 복소 벡터(s1 및 s2)가 일치했을 때의 복소 벡터(s3)의 상대적 위상은, 일정한 값{θ3(Δt)-θ1(Δt)}을 갖게 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표시부(70)는,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에 의한 측정 결과(θ1(Δt)) 및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의 측정 결과(θ3(Δt))를 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제 1 발진기(12)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ω10의 신호와 제 2 발진기(14)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ω20의 신호가, 가산기(16)에 의해 가산되어, 입력 신호로서 증폭기(20)에 부여된다. 입력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은 도 2(a)에 나타낸 것과 같다.
입력 신호는 증폭기(20)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기(20)는, 비선형 회로의 일종이므로 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성분 이외에 왜곡 성분(주파수 ω30 및 주파수 ω40의 성분)도 출력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도 2(b) 참조 ).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은 위상 측정 장치(1)에 부여된다. 위상 측정 장치(1)는, 증폭기(20)로부터의 출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우선, 증폭기(20)의 출력은, 직교 변환부(30)에 의해, 입력 주파수 성분(주파수 ω10 및 주파수 ω20)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ω0)를 사용하여 직교 변환된다. 이것에 의해, 증폭기(20)의 출력은, 입력 주파수 성분(±ω1), 왜곡 주파수 성분(±3ω1)으로서 취급할 수가 있다(도 2(c) 참조). 직교 변환부(30)의 출력에는 2 종류의 출력, 즉 승산기(32)의 출력과 승산기(34)의 출력이 있다.
승산기(32)의 출력은, 저역통과 필터(42a)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차단되어 고주파 성분이 차단된 신호가 A/D 변환기(44a)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후 복소 FFT부(46)에 부여된다. 승산기(34)의 출력은, 저역통과 필터(42b)에 의해 고주파 성분이 차단되어 고주파 성분이 차단된 신호가 A/D 변환기(44b)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이후 복소 FFT부(46)에 부여된다. 복소 FFT부(46)는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을 실시해, 입력 주파수 성분(+ω1) 및 왜곡 성분 (+ 3ω1)에 대한 복소 벡터를 얻는다. 위상 결정부(48)는, 복소 벡터를 수신하여 각 성분의 위상을 결정한다.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는, 위상 결정부(48)의 출력 중,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θ1) 및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θ2)을 수신하여, θ1과 θ2가 최초로 일치하는 일치 시간(Δt) 및 그 때의 위상 θ1(Δt){= θ2(Δt)}를 측정한다 (도 5 참조).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는, 위상 결정부(48)의 출력 중, 왜곡 성분(+3ω1)의 위상(θ3)을 수신하고,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로부터 일치시간(Δt)을 수신하여, 일치 시간(Δt)에 있어서의 왜곡 성분(+3ω1)의 위상(θ3(Δt))을 측정한다 (도 6 참조 ).
표시부(70)는,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에 의한 측정 결과(θ1(Δt)) 및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에 의한 측정 결과(θ3(Δt))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주파수 성분(±ω1)의 위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의미가 있는 θ1(Δt)가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에 의해 측정된다. 또, 왜곡 성분(+3ω1)의 위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의미가 있는 θ3(Δt)가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에 의해 측정된다. 또한 θ1(Δt) 및 θ3(Δt)가 표시부(70)에 의해 표시된다. 그리하여, 증폭기(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왜곡 및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을 나타내는 값으로 의미가 있는 값을 측정하고 또한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A/D 변환기(44a, 44b)는, 저역통과 필터(42a, 44b)와 복소 FFT부(46) 사이에 배치하는 대신에, 증폭기(20)와 위상 측정 장치(1)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구현될 수도 있다. CPU, 하드 디스크, 미디어 (플로피 디스크(등록상표), CD-ROM 등) 독취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의 미디어 독취 장치에, 상기의 각 부분 {예를 들면 일치 시간/위상 측정부(50) 및 왜곡 성분 위상 측정부(60)}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미디어를 읽어내게 해서, 하드 디스크에 이 프로그램을 인스톨 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측정 대상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왜곡의 위상을 측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부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수단과;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부는,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를 사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직교 변환하는 직교 변환 수단과,
    상기 직교 변환 수단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수단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일치 위상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4. 제 l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회로는 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 수단은,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을 행하는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소 고속 푸리에 변환 수단은 디지털 신호의 복소 벡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 위상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 및 상기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수단에 의한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장치.
  9.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단계와;
    상기 위상 취득 단계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단계와;
    상기 위상 취득 단계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단계;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상 측정 방법.
  10.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수단을 갖는 상기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처리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
  11. 2개 이상의 입력 주파수 성분을 가지는 입력 신호를 측정 대상 회로에 부여한 경우의, 상기 측정 대상 회로의 출력을 측정하는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평균인 평균 주파수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 및 왜곡 성분의 위상을 취득하는 위상 취득 수단을 갖는 상기 위상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위상 측정 처리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 주파수 성분의 위상이 일치하는 일치 시간을 측정하는 일치 시간 측정 처리와;
    상기 위상 취득부의 취득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일치 시간에 있어서의 상기 왜곡 성분의 위상을 측정하는 왜곡 성분 위상 측정 처리;
    를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독취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7022262A 2003-05-23 2004-05-19 위상 측정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06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5974 2003-05-23
JPJP-P-2003-00145974 2003-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313A true KR20060012313A (ko) 2006-02-07
KR100706218B1 KR100706218B1 (ko) 2007-04-12

Family

ID=33475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262A KR100706218B1 (ko) 2003-05-23 2004-05-19 위상 측정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23883B2 (ko)
JP (1) JP4656652B2 (ko)
KR (1) KR100706218B1 (ko)
DE (1) DE112004000905T5 (ko)
WO (1) WO20041046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6141B2 (en) * 2004-01-30 2008-12-16 Advantest Corporation Phase measurement device,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080093459A (ko) * 2006-02-24 2008-10-21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신호 측정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록 매체
JP5089187B2 (ja) * 2007-02-08 2012-12-05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増幅制御装置、試験用信号生成モジュール、試験装置、増幅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RU2534376C2 (ru) * 2013-02-21 2014-11-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еверо-Кавказ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начальной фазы колебания гармоники несинусоидального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сигнал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9987A (en) * 1955-09-26 1960-03-22 Gilfillan Bros Inc System for measuring differential phase delay in electrical apparatus
US4071821A (en) * 1976-04-28 1978-01-31 Honeywell Inc. Quadrature correlation phase determining apparatus
DE3024346A1 (de) * 1980-06-27 1982-01-28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messung der daempfungsverzerrung und/oder der gruppenlaufzeitverzerrung
FR2678071B1 (fr) * 1991-06-18 1994-11-04 Thomson Csf Dispositif electronique de mesure de retards.
US5475315A (en) * 1991-09-20 1995-12-12 Audio Precis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response and distortion measurement
US5396656A (en) * 1993-09-02 1995-03-07 Motorola, Inc. Method for determining desired components of quadrature modulated signals
JP3367735B2 (ja) 1994-02-16 2003-01-20 三菱電機株式会社 歪み特性測定用rf装置及び歪み特性測定方法
US5789927A (en) * 1996-06-28 1998-08-04 Spectrian Baseband measurement of RF power amplifier distortion
JP2000314753A (ja) * 1999-05-06 2000-11-14 Mitsubishi Electric Corp 位相測定方法および装置
JP2001251211A (ja) 2000-03-07 2001-09-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直接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における拡散/逆拡散装置及び直接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式における拡散/逆拡散方法
JP3910448B2 (ja) * 2000-03-31 2007-04-25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周波数制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復調装置
JP3637258B2 (ja) * 2000-03-31 2005-04-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プ測定装置
JP2002228694A (ja) * 2001-02-01 2002-08-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歪み位相測定装置、ダウンコンバータ、低歪み電力増幅器、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3028904A (ja) * 2001-07-17 2003-01-29 Nippon Hoso Kyokai <Nhk> 相互変調波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69766A1 (en) 2007-03-29
KR100706218B1 (ko) 2007-04-12
JP4656652B2 (ja) 2011-03-23
US7323883B2 (en) 2008-01-29
DE112004000905T5 (de) 2006-04-06
WO2004104603A1 (ja) 2004-12-02
JPWO2004104603A1 (ja)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ryllias et al. Estimation of the instantaneous rotation speed using complex shifted Morlet wavelets
JPH0125408B2 (ko)
JP2975410B2 (ja) 電子測定装置及び周波数推定方法
KR100800385B1 (ko) 위상 측정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0706218B1 (ko) 위상 측정 장치, 방법 및 기록 매체
JP5035815B2 (ja) 周波数測定装置
US1112669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noise in a modulated signal
US67948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a phase delay characteristic
JP3459399B2 (ja) ガス濃度測定処理装置
JP3609177B2 (ja) 相関関数測定方法及び装置
JP2007003458A (ja) ディジタル直交ロックイン検出方法及び装置
JP2624696B2 (ja) スペクトル推定装置
JP3874295B2 (ja) 高周波信号のデジタルiq検波方法
JPH10142273A (ja) ネットワークアナライザ
KR20050117566A (ko) 검파 장치, 방법, 프로그램 및 기록 매체
JP3513002B2 (ja) チャープ信号検出方法及びチャープ信号検出装置
KR0137332B1 (ko) 밸런싱 기기의 불균형 신호 위상 및 진폭 측정 방법 및 장치
JP2003315391A (ja) 周波数誤差取得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6322914A (ja) エンジン発生トルクの測定装置
RU209388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отношения значений амплитуд квазисинусоидальных сигналов
JP3113788B2 (ja) 信号解析装置とその信号解析方法
JPH07151682A (ja) ガス濃度測定処理装置
CN112350721A (zh) 一种基于分时复用的正交锁相放大器相位补偿方法及装置
JP2006345371A (ja) 無線周波数スペクトル算出装置
JP2004062288A (ja) 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