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2956A - 화상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2956A
KR20060002956A KR1020057019090A KR20057019090A KR20060002956A KR 20060002956 A KR20060002956 A KR 20060002956A KR 1020057019090 A KR1020057019090 A KR 1020057019090A KR 20057019090 A KR20057019090 A KR 20057019090A KR 20060002956 A KR20060002956 A KR 20060002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quest
list
fi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9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토시 야마다
히로미츠 히라바야시
타카오 아이치
켄타로 야노
카즈유키 마츠모토
후미히로 고토
루리코 미카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6Connec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3/661Transmitting camera control signals through networks, e.g. control via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04N1/3211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in a separate transmission or protocol signal prior to or subsequent to the image data transmission, e.g. in digital identification signal [DIS], in non standard setup [NSS] or in non standard field [NS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3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5Control of image communication with the connected apparatus, e.g. signall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48Type of connection
    • H04N2201/0049By wire, cabl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7Image storag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2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the like, e.g. ID code, index, title, part of an image, reduced-siz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7Data linking a set of images to one another, e.g. sequence, burst or continuous captur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Studio De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이들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이며, DSC는 기억장치, 프린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며, DSC로부터, 기억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기억장치에 송신하고, 그 리스트 요구에 따라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DSC로 송신한다. 그리고, DSC로부터 프린터에 대하여 인쇄하도록 지시되면, 그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식별ID와 함께 기억장치에 요구하고, 클라이언트인 기억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을 출력한다.
화상출력, 리스트 데이터, DSC.

Description

화상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S}
본 발명은, USB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클라이언트 접속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중에 있어서는 디지털카메라를 가령 DSC(Digital Still Camera)로 생략해서 기술하지만, 정지화상 촬영에 한정한다고 하는 의미가 아니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와 같은 동영상도 찍는 카메라도 디지털카메라(DSC)에 포함되는 것을 전제로서 본 설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보통, 디지털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프린트할 경우, 그 디지털카메라에 기억된 화상을 퍼스널컴퓨터(이하, PC)에 입력하고, PC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 PC에 접속된 프린터로 인쇄하는 작업을 밟는다. 즉, 화상 데이터의 흐름으로서는, DSC→PC→프린터라는 순서가 되어, PC의 개재를 필수로 하고 있다. 이래서는 DSC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을 인쇄하는데도, 일일이 PC를 기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DSC와 프린터를 직접 접속하고, DSC가 보통 구비하고 있는 표시기 상에서 프린트 지시를 부여(이하, 포토다이렉트프린트라고 한다)함으로써, 디지털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프린터 장치도 시장에 나오고 있다.
그런데, 최근의 DSC의 대부분은, PC나 프린터 장치와 접속하기 위한 범용의 통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통신수단은, 전형적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이지만, 이 USB를 사용한 접속의 경우, DSC는 슬레이브, 프린터 장치는 호스트로 하여 통신을 확립한다. 그리고, 이 USB를 매개로 DSC로부터 프린트를 행하기 위해서, DSC와 프린터가 직접 접속된다.
이에 대하여, DVD 등의 기억장치를 더 접속하여,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DSC로부터 입력하여 그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거나, 또는 텔레비전수상기 등의 디스플레이에 접속하여 그 DSC에서 촬영된 화상을 보다 큰 화면으로 보고 싶다고 하는 요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USB를 매개로 한 DSC-프린터-DVD라고 하는 접속 형태에서는, 각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에 하나의 호스트가 존재하고, 그 토폴로지 내에서의 통신제어를 호스트 장치(예를 들면, 프린터)가 행하고, 다른 네트워크 토폴로지 사이에서의 통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DSC-프린터-DVD로 접속하여, DSC가 DVD의 호스트로서 기능하도록 한 경우에는, DSC-DVD와, 프린터-DSC라는 2개의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형성되고, 예를 들면 DSC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DVD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린터 장치에 의해 인쇄시킨다는 조작을 지시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해 이루어진 것으로, USB를 매개로 접속된 복수의 기기 간에서의 신규 데이터의 교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상전송 시스템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전송 시스템이며, 제1기기는 제2 및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3기기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상 전송 방법은 이하와 같은 공정을 가진다. 즉,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송 방법으로서, 제1기기는 제2 및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3기기로부터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클라이언트인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촬상장치 및 기억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이며,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인쇄 요구로서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기억장치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응답해서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촬상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인쇄장치 및 기억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출력해서 화상을 인쇄시키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기억장치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의 요구에 응답해서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시키는 선택지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시수단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인쇄를 상기 인쇄장치에 요구하는 인쇄 요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통신장치는 이하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이며, 접속되던지 혹은 내장된 기억장치가 가지는 파일의 리스트를 요구하기 위한 리스트 요구를, 제1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 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리스트 데이터와 해당 리스트 데이터의 식별ID를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제2기기로부터 상기 식별ID가 부여된 파일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파일 송신 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파일 송신 요구에 부여된 상기 식별ID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파일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의 조작패널의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의 제어에 따른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의 ASIC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DSC의 기본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억장치의 기본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와 DSC에 있어서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 DSC 및 기억장치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제1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에 DSC와 기억장치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제1실시예에 따른 기억장치에 PD프린터 장치와 DSC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도 8의 접속 예에 있어서의 PD프린터 장치, 기억장치 및 DSC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2는 기억장치에서 관리되는 카메라ID, 요구ID 및 화상 데이터명의 관련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도 10(a) 및 도 10(b)의 접속 예에 있어서의 PD프린터 장치, 기억장치 및 DSC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4는 도 9(a)의 접속 예에 있어서의 PD프린터 장치, 기억장치 및 DSC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 DSC 및 기억장치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17(a) 및 도 17(b)는 제2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 장치에 DSC와 디스플레이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PD프린터 장치와 DSC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 PD프린터 장치 및 기억장치 간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 PD프린터 장치 및 기억장치 간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 PD프린터 장치 및 기억장치 간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토다이렉트프린터장치(1000:이하, PD프린터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다. 이 PD프린터(1000)는, 호스트컴퓨터(PC)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서 인쇄하는 일반적인 PC프린터로서의 기능과, 메모리 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읽어내서 인쇄하거나, 혹은 디지털카메라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서 인쇄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의 겉 껍데기를 이루는 본체는, 케이스(1001), 상케이스(1002), 액세스커버(1003) 및 배출 트레이(1004)의 외장부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하케이스(1001)는 PD프린터(1000)의 대략 하반부를, 상케이스(1002)는 본체의 대략 상반부를 각각 형성하고 있고, 양쪽 케이스의 조합에 의해 내부에 후술하는 각 기구를 수납하는 수납 공간을 가지는 중공체 구조 를 이루고, 그 상면부 및 전면부에는 각각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1004)는 그 일단부가 하케이스(1001)에 회전하도록 유지되어, 그 회전에 의해 하케이스(1001)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록 동작을 실행시킬 때는, 배출 트레이(1004)를 전면측으로 회전시켜서 개구부를 여는 것에 의해, 여기로부터 기록 시트가 배출 가능해지는 동시에, 배출된 기록 시트를 순차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배지 트레이(1004)에는, 2장의 보조 트레이(1004a, 1004b)가 수납되고 있어, 필요에 따라서 각 트레이를 앞쪽으로 인출함으로써, 용지의 지지 면적을 3단계로 확대, 축소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액세스커버(1003)는, 그 일단부가 상케이스(1002)에 회전되도록 유지되어, 상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게 되고 있고, 이 액세스커버(1003)를 여는 것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기록헤드 카트리지(도시 생략) 혹은 잉크탱크(도시 생략) 등의 교환이 가능해 진다. 또, 여기서는 특별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액세스커버(1003)를 개폐시키면, 그 이면에 형성된 돌기가 커버 개폐 레버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어, 그 레버의 회전 위치를 마이크로스위치 등으로 검출함으로써, 액세스 커버의 개폐 상태를 검출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또한, 상케이스(1002)의 상면에는, 전원 키(100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케이스(1002)의 우측에는 액정표시부(1006)나 각종 키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조작패널(1010)이 설치된다. 이 조작패널(1010)의 구조는, 도 2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참조부호 1007은 자동급송부로, 기록 시트를 장치 본체내로 자동으 로 급송한다. 참조부호 1008은 종이간 선택 레버로, 프린트 헤드와 기록 시트와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레버이다. 참조부호 1009는 카드슬롯으로, 여기에 메모리카드를 장착가능한 어댑터가 삽입되고, 이 어댑터를 매개로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서 인쇄할 수 있다. 이 메모리 카드(PC)로서는, 예를 들면 콤팩트 플래시(등록상표) 메모리, 스마트 미디어, 메모리 스틱 등이 있다. 참조부호 1011은 뷰어(액정표시부)로, 이 PD프린터(1000)의 본체에 착탈 가능해서, PC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프린트하고 싶은 화상을 검색할 경우 등에, 1코마마다의 화상이나 인덱스 화상 등을 표시하는데도 사용된다. 참조부호 1012는 후술하는 디지털카메라를 접속하기 위한 USB단자다. 또한, 이 PD장치(1000)의 후면에는, 퍼스널컴퓨터(PC)를 접속하기 위한 USB커넥터가 설치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의 조작패널(1010)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액정표시부(1006)에는, 그 좌우에 인쇄되는 항목에 관한 데이터를 다양하게 설정하기 위한 메뉴 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에 표시되는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인쇄하고 싶은 범위의 선두사진번호, 지정 코마번호(개시 코마지정/인쇄 코마지정), 인쇄를 종료한 범위의 최후의 사진번호(종료), 인쇄부수(부수), 인쇄에 사용하는 용지(기록시트)의 종류(용지종류), 1매의 용지에 인쇄하는 사진의 매수설정(레이아웃), 인쇄의 품위의 지정(품위), 촬영한 날짜를 인쇄할 것인지의 지정(날짜인쇄), 사진을 보정해서 인쇄할 것인지의 지정(화상보정), 인쇄에 필요한 용지매수의 표시(용지매수) 등이 있다. 이들 각 항목은, 커서 키(2001)를 이용하여 선택 혹은 지정된다. 참조부호 2002는 모드 키로, 이 키를 누를 때마다, 인쇄의 종류(인덱스 인쇄, 전코마인쇄, 1코마인쇄 등)를 바꿀 수 있고, 이에 따라 LED(2003)의 대응하는 LED가 점등된다. 참조부호 2004는 메인터넌스 키로, 프린트 헤드의 클리닝 등, 프린터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위한 키다. 참조부호 2005는 인쇄 시작 키로, 인쇄의 시작을 지시할 때 혹은 메인터넌스의 설정을 확립할 때에 눌려진다. 참조부호 2006은 인쇄 중지 키로, 인쇄를 중지시킬 때나, 메인터넌스의 중지를 지시할 때에 눌려진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의 제어에 따른 주요부의 구성을 설명한다. 한편, 이 도 3에 있어서, 전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를 부여하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있어서, 참조부호 3000은 제어부(제어 기판)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3001은 ASIC(전용 커스텀LSI)를 나타내고, 그 구성은 도 4의 블럭도를 참조해서 상세하게 후술한다. 참조부호 3002는 DSP(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로, 내부에 CPU를 가지고, 후술하는 각종 제어 처리 및, 휘도신호(RGB)로부터 농도신호(CMYK)로의 변환, 스케일링, 감마 변환, 오차확산 등의 화상처리 등을 담당하고 있다. 참조부호 3003은 메모리로, DSP(3002)의 CPU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 및 실행시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AM에어리어,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워크 메모리로서 기능하는 메모리 에어리어를 가지고 있다. 참조부호 3004는 프린터 엔진으로, 여기서는 복수 색의 컬러 잉크를 이용하여 컬러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의 프린터 엔진이 탑재된다. 참조부호 3005는 디지털카메라 (3012:DSC)를 접속하기 위한 포트로서의 USB커넥터다. 참조부호 3006은 뷰어(1011)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다. 참조부호 3008은 USB허브(USB HUB)로, 이 PD프린터(1000)가 PC(30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를 행할 때는, PC(3010)로부터의 데이터를 그대로 통과하고, USB(3021)를 매개로 프린터 엔진(3004)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접속되어 있는 PC(3010)는, 프린터 엔진(3004)과 직접, 데이터나 신호의 교환을 행해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일반적인 PC프린터로서 기능한다). 참조부호 3019는 전원 커넥터로, 전원3019에 의해, 상용AC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압을 입력하고 있다. PC(3010)는 일반적인 퍼스널컴퓨터이고, 참조부호 3011은 전술한 메모리 카드(PC카드), 참조부호 3012는 디지털카메라(DSC:Digital Still Camera)이다. 참조부호 3030은,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나 DVD드라이버 등의 기억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이 기억장치(3030)는 USB커넥터(3031)를 매개로 USB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한편, 이 제어부(3000)와 프린터 엔진(3004) 사이의 신호의 교환은, 전술한 USB(3021) 또는 IEEE1284버스(3022)를 매개로 행해진다.
도 4는 ASIC(300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로, 이 도 4에서도 전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참조부호 4001은 PC카드 인터페이스부로, 장착된 PC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읽어내거나, 또는 PC카드(3011)로의 데이터의 기입 등을 행한다. 참조부호 4002는 IEEE1284 인터페이스부로, 프린터 엔진(3004)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이 IEEE1284 인터페이스부(4002)는, 디지털카메라(3012) 또는 PC카드(3011)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할 경우에 사용되는 버스다. 참조부호 4003은 USB인터페이스부로, PC(3010)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참조부호 4004는 USB호스트 인터페이스부로, 디지털카메라(3012)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참조부호 4005는 조작패널·인터페이스부로, 조작패널(1010)로부터의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거나, 표시부(1006)로의 표시 데이터의 출력 등을 행한다. 참조부호 4006은 뷰어·인터페이스부로, 뷰어(1011)로의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제어하고 있다. 참조부호 4007은 각종 스위치나 LED(4009) 등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다. 참조부호 4008은 CPU인터페이스부로, DSP(3002:CPU)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의 제어를 행하고 있다. 참조부호 4010은 이들 각 부를 접속하는 내부 버스(ASIC버스)이다. 참조부호 4011은 USB인터페이스부로, 기억장치(3030)와의 사이에서의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DSC(301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한편, 이러한 디지털카메라(DSC)의 하드웨어는 공지되어 있으므로, 간단하게 설명한다(펌웨어(firmware)는 DPS(Direct Print System)에 대응하여 이루어진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31은 DSC(3012) 전체의 제어를 주관하는 CPU이며, 참조부호 32는 CPU(31)의 처리 순서(펌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ROM이다(단, 펌웨어는 적당하게 버전업(version up)이 행해지는 것을 상정하고,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쉬메모리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33은 CPU(3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RAM이고, 34는 각종 조작을 행하는 스위치 무리다. 참조부 호 35는 액정표시기이며, 촬상한 화상을 확인하거나, 각종 설정을 행할 때의 메뉴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들 참조부호 34, 3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렉트프린트시스템으로서 기능했을 경우, 시스템 전체의 유저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게 된다. 참조부호 36은 광학 유닛이며, 주로 렌즈 및 그 구동계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37은 CCD 소자이며, 38은 CPU(31)의 제어하에서 광학 유닛(36)을 제어하는 드라이버다. 참조부호 39는 기억매체(40:콤팩트 플래시(등록상표)메모리 카드, 스마트 미디어 등)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이며, 41은 PC 또는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PD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한 USB인터페이스(USB의 슬레이브측)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USB인터페이스(42)를 더 구비하여, 이 USB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직접 기억장치(3030) 또는 후술의 디스플레이(텔레비전수상기)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도 6은 DSC(3012)와 마찬가지로, 이 PD프린터(1000)에 USB를 매개로 접속되는 기억장치(303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60은 기억장치(3030) 전체의 제어를 주관하는 CPU이며, 61은 CPU(60)의 처리 순서(펌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ROM이다(단, 펌웨어는 적당하게 버전업이 행해지는 것을 상정하고,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쉬메모리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62는 CPU(60)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RAM이다. 참조부호 63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한 USB인터페이스(USB의 슬레이브측)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USB인터페이스(67)를 더 구비하여, 이 USB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직접 DSC(3012) 또는 디스플레 이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참조부호 65는 이 기억장치(3030)에 있어서의 기억매체인 디스크, 64는 이 디스크(65)로의 데이터의 기입 및 디스크(65)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제어하는 R/W컨트롤러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와 DSC(3012)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한편, 이 PD프린터(1000)와 기억장치(3030) 사이의 인터페이스도 기본적으로 같은 계층구조를 가지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600은 USB에 의한 인터페이스, 601은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02는 DPS에 의한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내장되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603은 기존의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기 위한 레이어로, 여기서는 PTP(Picture Transfer Protocol), SCSI 및 블루투스의 BIP(Basic image Profile), USB인터페이스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DPS는, 이러한 프로토콜 레이어 등의 아키텍처가 설치되어 있어, 그 위에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설치되는 것이 전제다. 여기서는, PD프린터(1000)는 USB호스트, 카메라(3012)(기억장치(3030))는 USB디바이스로서 규정되고 있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같은 DPS구성으로 되어 있다(단, 도 7에서는 기억장치(3030)의 구성은 도시 생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DPS를 사용하는 것의 장점은, PD프린터(1000)와 DSC(3012)가 서로 DPS에 이행할 때 및 이행한 후에 있어서, 서로 정보의 교환을 행할 경우에는, 일련의 정보, 일련의 동작 순서를 스크립트로서 기술한 파일(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그것을 상대측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수신측에서는 수신한 스크립트를 해석해서 처리하는 것이다. 이 결과, 어떤 정보를 상대측에 전하고 싶을 경우에 있어서, 그 정보가 복수의 요소로 구성되는 경우라도, 하나하나의 요소를 핸드세이크(handshake)해서 교환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전달에 따른 오버헤드가 없어지고, 정보전달의 효율이 향상한다. 예를 들면, DSC(3012)측에서, 인쇄시키고 싶은 화상이 복수 존재할 경우, 그 인쇄시키고 싶은 화상을 원하는 수 선택하고, 각각에 대하여 인쇄 조건을 설정했을 경우, 그 일련의 처리 순서가 스크립트로서 기술되어 PD프린터(1000)에 텍스트 파일의 형식으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PD프린터(1000)측에서는, 그 수신한 스크립트를 해석하고, 처리하는 것으로 된다.
[제1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8의 예에서는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의 각각이 2개의 USB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PS」는 프린트 서버, 「PC」는 프린트 클라이언트, 「SC」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SS」는 스토리지 서버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이 도 8의 예에서는, 유저가 DSC(3012)를 조작하여,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킬 경우를 나타낸다. 또, 기억장치(3030)는 PD프린터(1000)와 별체이어도, 또는 PD프린터(1000)에 조립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 프로토콜로서 PTP를 사용했을 경우의 각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동작을 도 3, 도 5, 도 6 및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8 중의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PS」 및 「SC」는, 도 3중의 DSP(3002:CPU)가 프로그램 메모리(3003a) 내에 기억한 「PS」 및 「SC」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PS」동작 프로그램은, 디지털카메라(301)가 담당하고 있는 「PC」로부터의 인쇄 요구 Script 등을 USB(3005), ASIC(3001)를 경유해서 수신해서 해석하고, ASIC(3001)를 매개로 프린터 엔진(3004)을 인쇄 요구에 따라서 제어해서 인쇄를 행한다. 「SC」동작 프로그램은, 인쇄에 필요한 파일의 취득 요구가 기술된 파일 요구 Script 등을 작성하고, ASIC(3001), USBI/F(3031)를 매개로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고 있는 「SS」로 발행하고, 필요한 파일 등을 취득한다.
도 8중의 DSC(3012)가 담당하고 있는 「PC」 및 「SC」는, 도 5중의 CPU(31)가 ROM(32) 내에 기억한 「PC」 및 「SC」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PC」동작 프로그램은 인쇄 요구 Script 등을 작성하고, I/F(41)를 매개로 해서 PD프린터(1000)가 담당하는 「PS」에 대하여 발행한다. 「SC」동작 프로그램은 사진화상의 열람에 필요한 파일의 취득 요구가 기술된 파일 요구 Script 등을 작성하고, USBI/F(42)를 매개로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고 있는 「SS」로 발행하고, 필요한 파일을 취득한다.
도 8중의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고 있는 「SS」는, 도 6중의 CPU(60)가 ROM(61) 내에 기억한 「SS」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S」동작 프로그램은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SC」로부터의 파 일 취득 요구 Script 등을 USBI/F(63)를 경유해서 수신해서 해석하고, 요구에 따라서 R/W컨트롤러(64)를 매개로 디스크(65) 내에 기억한 화상 파일 등을 USBI/F(63)를 경유해서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SC」로 송신한다. 또한, DSC(3012)가 담당하는 「SC」로부터의 파일 취득 요구 Script 등을 USBI/F(67)를 경유해서 수신해서 해석하고, 요구에 따라서 R/W컨트롤러(64)를 매개로 디스크(65) 내에 기억한 화상 파일 등을 USBI/F(67)를 경유해서 DSC(3012)이 담당하고 있는 「SC」로 송신한다.
상기 각 프로그램은 반드시 모두가 소프트웨어로 실현될 필요는 없고,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개의치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에는, 우선 DSC(3012)로부터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GetFileL ist」, 「GetThumb」 커맨드를 송출하고,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한편, 이 요구에는, DSC(3012)의 ID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이 DSC(3012)의 ID와, 그 요구를 특정하는 요구ID를 설정하고, 디스크(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그 요구ID와 함께 DSC(3012)에 보낸다.
이에 따라, 그것들 섬네일 화상이 인덱스 화상으로서 DSC(3012)의 표시기(35)에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DSC(3012)의 UI를 사용하여,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한다. 이렇게 해서, 유저가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해서 인쇄 시작을 지시하면, DSC(3012)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특정하는 파일ID와 전술한 요구ID와 함께 인쇄 시작을 지시하는 「StartJob」커맨드 가 송신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그 인쇄 지시된 파일ID와 요구ID에 기초하여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GetFile」커맨드를 발행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로부터, 그 지정한 화상 데이터가 PD프린터(1000)에 송신되어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된다.
한편, 전술한 요구ID는, 상세하게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억장치(3030)가 DSC(3012)에 응답했을 때의 파일 리스트와, PD프린터(1000)로부터 화상 데이터의 요구가 있었을 때의 파일 리스트의 파일ID와의 대응을 취하기 위한 것이다.
도 9(a)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그 밖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9(a) 및 도 9(b)의 예에서는, PD프린터(1000)는 USB의 호스트이며, USB허브를 매개로 DSC(3012)와 기억장치(3030)가 접속되어 있다(도 9(b)). 또, 도면에 있어서, 「PS」는 프린트 서버, 「PC」는 프린트 클라이언트, 「SC」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SS」는 스토리지 서버, 「VSS」는 가상 스토리지 서버, 「VSC」는 가상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를 각각 나타내고, 이 도 9(a)의 예에서는, 유저가 DSC(3012)를 조작하여,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킬 경우를 나타낸다.
도 9(a)중의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PS」 및 「SC」는,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VSS」 및 「VSC」는 도 3중의 DSP(3002:CPU)가 프로그램 메모리(3003a) 내에 기억한 「VSS」 및 「VSC」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한다. 「VSS」동작 프로그램은 마치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 고 있는 「SS」의 대리인과 같이 행동하고, 「VSC」동작 프로그램은 마치 DSC(3012)가 담당하고 있는 「SC」의 대리인과 같이 행동한다. 우선, 「VSS」는 디지털카메라(301)가 담당하고 있는 「SC」로부터의 파일 취득 요구 Script 등을 USB(3005), ASIC(3001)를 경유해서 수신해서 해석한다. 다음에, 「VSS」는 「VSC」에 대하여 해석 내용의 송부를 행한다. 그리고, 「VSC」는, 그 해석 내용에 기초하여 파일의 취득 요구가 기술된 파일 요구 Script 등을 작성해서 USBI/F(3031)를 매개로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고 있는 「SS」로 발행하고, 필요한 파일 등을 취득하여, 메모리(3003)에 기억한다. 「VSC」는 필요한 파일 등을 취득한 사실 및 메모리(3003) 내에서의 파일 등의 기억 위치 정보를 「VSS」에 통지한다. 「VSS」는 통지된 기억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취득한 파일 등을 ASIC(3001), USB(3005)를 매개로 DSC(3012)가 담당하고 있는 「SC」에 송부한다. 이제까지 보아 온 바와 같이, 「VSS」와 「VSC」 사이의 교환은 순수하게 PD프린터(1000)의 내부처리이므로, 실제적으로는 VSS와 VSC는 독립하여 존재하지 않게, 일체의 프로그램으로서도 실현될 수 있다.
도 9(a)중의 DSC(3012)가 담당하고 있는 「PC」는 도 8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SC」는, 도 5중의 CPU(31)가 ROM(32) 내에 기억한 「SC」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C」동작 프로그램은, 사진화상의 열람에 필요한 파일의 취득 요구가 기술된 파일 요구 Script 등을 작성하고, I/F(41)를 매개로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VSS」에 발행하여, 그 결과 필요한 파일을 취득한다.
도 9(a)중의 기억장치(3030)가 담당하고 있는 「SS」는, 도 6중의 CPU(60)가 ROM(61) 내에 기억한 「SS」동작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스텝마다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SS」동작 프로그램은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VSC」로부터의 파일 취득 요구 Script 등을 USBI/F(63)를 경유해서 수신해서 해석하고, 요구에 따라서 R/W컨트롤러(64)를 매개로 디스크(65) 내에 기억한 화상 파일 등을 USBI/F(63)를 경유해서 PD프린터(1000)가 담당하고 있는 「VSC」로 송신한다.
상기 각 프로그램도, 반드시 모두가 소프트웨어로 실현될 필요는 없고, 일부 또는 전부가 하드웨어로 실현되어도 개의치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의 설명시에는 명기하지 않지만, 「VSS」 및 「VSC」은 자기가 「대리인」인 것을 명언하는 것으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의뢰인 「SC」에 대하여 자기 「VSS」의 이름 및 대리 대상의 「SS」의 이름을 통지하고, 의뢰인 「SS」에 대하여 자기 「VSC」의 이름 및 대리 대상의 「SC」의 이름을 통지하는 것으로, 「VSS」는 이해할 수 없는 「SC」-「SS」사이에서만 이해 가능한 스토리지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VSS」 및 「VSC」를 담당하고 있는 기기의 이용 가능한 버퍼 메모리 사이즈가, 「SC」 및 「SS」를 담당하고 있는 기기의 이용 가능한 버퍼 메모리 사이즈보다도 작을 경우, 「SC」-「SS」직접 접속시에 교환하는 파일의 최대 사이즈보다도 「SC」-「VSS」-「VSC 」-「SS」 대리 접속시에 교환하는 파일의 최대 사이즈를 작게 설정해서 「VSS」-「VSC」기기의 버퍼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를 회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우선 DSC(3012)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ID와 함께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여,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PD프린터(1000)에 요구한다. 이 경우, PD프린터(1000)는 가상 스토리지 서버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PD프린터(1000)는 가상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고,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여,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디스크(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화상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이 요구ID와 함께 기억장치(303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보내지면, PD프린터(1000)는, 그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요구ID와 함께 DSC(3012)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화상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이 DSC(3012)의 표시기(35)에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DSC(3012)의 UI를 사용해서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한다. 이렇게 해서, 유저에 의해 인쇄하고 싶은 화상이 선택되고, 인쇄 시작이 지시되면 DSC(3012)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특정하는 파일ID와 요구ID 및 인쇄 시작을 지시하는 「StartJob」커맨드가 송신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그 인쇄 지시된 파일ID와 요구ID에 기초하여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GetFile」에 의해, 그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로부터, 그 지정한 화상 데이터가 PD프린터(1000)에 송신되어,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된다.
도 9(b)는, 도 9(a)에 나타낸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 의 USB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여기서는 PD프린터(1000)가 호스트로서, DSC(3012) 및 기억장치(3030)는 함께 슬레이브로 설정되고 있다.
또, 도 9(a)에 나타낸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의 USB접속은, DSC(3012)와 PD프린터(1000)의 USB접속에서는 PD프린터(1000)가 호스트이며, PD프린터(1000)와 기억장치(3030)와의 USB접속에서는, 기억장치(3030)는 USB의 호스트이어도 된다.
도 10(a)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0(a)에서는,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DSC(3012)와 기억장치(3030)의 USB접속에서는 기억장치(3030)가 호스트이며, PD프린터(1000)와 기억장치(3030)의 USB접속에서는 PD프린터(1000)는 USB의 호스트다. 또, 도면에 있어서, 「PS」는 프린트 서버, 「PC」는 프린트 클라이언트, 「SC」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SS」는 스토리지 서버, 「VPS」는 가상 프린트 서버, 「VPC」는 가상 프린트 클라이언트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이 도 10(a)의 예에서는 유저가 DSC(3012)를 조작하여,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킬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우선 DSC(3012)로부터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ID 및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고, 기억장치(303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이 요구ID와 함께 기억장치(3030)로부터 DSC(3012)에 보내져서, 유저에 의해 인쇄하고 싶은 화상이 선택된다. 그리고, 다음에 인쇄하고 싶은 화상이 선택되어서 인쇄시작이 지시되면 DSC(3012)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특정하는 파일ID와 요구ID 및 인쇄 시작을 지시하는 「StartJob」커맨드가 송신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요구ID에 대응하는 인쇄 지시된 파일 ID를 이용하여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를 지시한다(「StartJob」).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그 지시된 요구ID와 파일ID를 사용하고,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GetFile」에 의해, 그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로부터, 그 지정한 화상 데이터가 송신되어,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된다. 최초에, DSC(3012)로부터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할 경우에, 상기 설명과 같이 리스트와 섬네일 화상을 일괄에서 취득해도 되고, 최초에 「GetFileList」커맨드를 송출해서 리스트만을 취득하고, 취득한 리스트 중에 기재된 파일 ID를 이용하여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해서 필요한 화상의 섬네일만을 순차적으로 취득해도 된다.
도 11은 도 8의 구성에 있어서의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로, 각각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PD프린터(1000)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메모리(3003a)에, DSC(3012)의 경우에는ROM(32)에, 기억장치(3030)의 경우는 ROM(61)에 각각 기억되어 있다.
우선, DSC(3012)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서, 인덱스 표시가 지시되면 스텝 S1에서, 「GetFiteList」, 「GetThumb」커맨드를 기억장치(303)에 출력하여, 기억 장치(3030)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스텝 S11에서, 그 커맨드를 송출해온 카메라의 ID 및 그 요구ID를 RAM(62)에 기억한다. 여기서, 카메라ID는 커맨드에 포함되고, 요구ID는 그 커맨드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일의(一意)로 할당된 ID다. 그리고, 스텝 S12로 진행되고, 기억장치(303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파일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이 송신된다. 이에 따라, DSC(3012)에서는, 스텝 S2의 응답 수신 대기로부터 스텝 S3으로 진행되고, 그 수신한 섬네일 화상에 기초하여 인덱스 화상을 표시기(35)에 표시한다. 그리고, 유저는, 그 인덱스 화상을 보면서 조작 버튼(34)을 조작해서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하고, 인쇄의 시작을 지시하면 스텝 S4로부터 스텝 S5로 진행되고, 커맨드 「StartJob」을 발행하여, 카메라ID 및 요구ID, 그리고 선택된 파일ID를 PD프린터(10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스텝 S21에서, 그 프린트 요구를 수신해서 스텝 S22로 진행되고, 「StartJob」으로 지정된 요구ID와, 파일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303)에 대하여 요구하고(「GetFile」), 스텝 S23에서 화상 데이터의 수신 대기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기억장치(3030)는,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4로 진행되고, 카메라ID, 요구ID 및 파일ID에 기초하여 프린터(1000)로부터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디스크(65)로부터 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15로 진행되고, 그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PD프린터(10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스텝 S23으로부터 스텝 S24로 진행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 복호해서 프린터 데이터로 전개해서 인쇄를 실행한다.
도 12는 파일리스트의 요구에 대하여, 기억장치(3030)의 RAM(62)에 기억되는 카메라ID와 요구(리쿼스트:request)ID에 대응시켜서, 응답한 화상 데이터명과, 실제로 디스크(66)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것은, 예를 들면 같은 카메라(DSC) (ID:#A)로부터의 「GetFileList」커맨드에 대한 응답이어도, 예를 들면 시간적으로 오래된 리쿼스트ID(#001)에서는, 참조부호 12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화상 데이터명의 리스트를 송신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며칠 후, 같은 카메라로부터의 요구를 수취할 때(ID:#002)에, 디스크(65) 내의 화상 데이터 「image002.jpg」이 삭제되는 경우, 그 화상 리스트는 참조부호 12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한 화상 데이터명의 「imageO2」이후에서는, 디스크(65)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명과, 송신한 파일명이, 참조부호 120의 경우와 다르게 된다. 따라서, 기억장치(3030)에서는, 파일 리스트를 요구한 카메라ID와 요구ID를 대응시키고, 송신 화상 데이터명의 리스트를 기억해 두고, 그 카메라ID와 요구ID에 대응하는 화상 파일 리스트명을 참조하여, 디스크(65)로부터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화상 데이터가 삭제되어도, 유저가 의도한 화상이 아닌 화상이 잘못해서 인쇄된다는 불량을 없앨 수 있다. 한편, 요구ID만으로, DSC(3012)로부터의 요구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카메라ID는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기억장치(3030)의 기억매체가 탈착 가능한 카드 매체일 경우, 그 카드 매체를 기억장치(3030)의 본체에 장착하는 시점에서, 그 카드 매체에 기억되어 있 는 각 화상 파일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명을 배정하는 방식도 생각된다. 그 경우, 유저가 인쇄 희망 화상을 선택한 후에, 다른 카드 매체로의 교체가 발생하면, 인쇄 대상의 화상이, 유저가 의도한 화상이 아니게 된다고 하는 가능성도 있다.
또, 도 12에 있어서, 플래그(122:flag)는, 그 파일 리스트가 요구되므로, 실제로 그 파일 리스트에 기초하여 화상 데이터가 요구된 것인지를 나타내는 플래그로, 요구가 있으면 온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화상 파일의 리스트가 요구된 후, 그 리스트에 기초하는 인쇄 요구가 입력되기 전에, 디스크(65)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삭제되어버림으로써, 화상 파일 리스트로 송신한 화상의 데이터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고 하는 불량을 없애기 위한 것이므로, 이 플래그(122)가 오프인 사이는, 그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갱신은 금지되도록 해도 된다.
그러나, 가령 일단 화상 파일 리스트를 송신한 후,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항상 혹은 영구적으로 금지하도록 했을 경우에는, 실질상 기억장치(3030)가 불필요한 화상을 삭제하는 것을 거의 할 수 없게 되어버리므로, 원래는 갱신을 금지하지 않아도 되는 상황이 되어, 다음번 화상 데이터의 갱신 금지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억장치(3030)는 DSC(3012)가 단지 화상을 참조하기 위해서 파일 리스트를 취득하려고 하는 것인지, 아니면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발행하기 위해서 파일 리스트를 취득하려고 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이 유효하다. 왜냐하면, DSC(3012)가 단지 화상을 참조할 경우에는, 가령 대상의 화상 파일이 삭제되었을 경우이어도, DSC(3012)는 기억장치(3030)로부터 해당하 는 화상 파일을 취득하려고 했을 때에, 그 대상으로 삼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취득에 실패하므로, 유저에 대하여 「화상이 삭제된」 취지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DSC(3012)가 단지 화상을 참조했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금지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대하여,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요구를 발행하기 위해서, DSC(3012)가 기억장치(3030)로부터 파일 리스트를 취득했을 경우에는, DSC(3012)는 기억장치(3030)로부터 화상 파일의 섬네일 화상(인덱스 화상)을 취득하고, 유저가 그 인덱스 화상을 참조해서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결정하여, DSC(3012)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발행한다. 이렇게 해서,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발행되어서 PD프린터(1000)에 있어서 인쇄 처리가 개시된 후, 그 인쇄 도중에, 기억장치(3030) 내에서 해당 화상 파일이 삭제되면, PD프린터(1000)는 그 화상 파일의 취득에 실패해버리고, 결과적으로 인쇄를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이유로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금지한 편이 좋다.
(1) 일단 유저가 섬네일 화상으로 확인해서 인쇄 지시를 한 것에도 불구하고 화상 파일의 취득에 실패해서 인쇄가 실행되지 않게 된다.
(2) 인쇄중에서의 화상 파일의 수수(手授)는, PD프린터(1000)와 기억장치(3030)의 사이에서 행해지므로, 화상 파일의 취득 에러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그 에러는 PD프린터(1000)에 의해 유저에 통지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프린터보다도 카메라쪽이 표시 능력이 월등한 액정 디스플레 이 등의 UI기능을 탑재하고 있을 경우가 많기 때문에, PD프린터(1000)에 의해 에러 표시를 행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지 않은 프린터의 경우에는, LED의 점멸이나 부저음 등으로 「해당하는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취지를 유저에 통지해야만 한다. 물론, 다른 어떠한 수법으로 프린터로부터 카메라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취득 에러가 발생한 취지를 통지하고, DSC(3012)의 UI를 통해서 유저에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인쇄 지시가 DSC(3012)로부터 프린터에 발행된 후는, 프린터와 기억장치(3030) 사이의 화상 파일전송만으로 인쇄 지시를 완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DSC(3012)는 인쇄가 개시되면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의 접속을 단절하고, 촬영모드 등으로 이행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인쇄 시작 후에, PD프린터(1000)가 DSC(3012)의 UI를 항상 이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은 보증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태를 상정하면, 인쇄 지시가 발행된 후는,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금지하는 편이 좋은 것은 명확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DSC(3012)가 PD프린터(1000)에 인쇄 지시를 발행하기 위해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화상 파일 리스트를 요구하는 것인지, 혹은 단지 화상을 참조하기 위해서 DSC(3012)로부터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화상 파일 리스트가 요구된 것인지를 구별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이에 따라, 파일 리스트가 요구된 후의 기억장치(3030)는, 그 파일 리스트 요구의 의도 에 따라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갱신의 가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 기억장치(3030) 측에서, 접속되어 있는 PD프린터(1000)와 DSC(3012)가 전원이 투입되어 있어서 인쇄 지시가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지에 기초하여,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갱신의 가부를 자동적으로 판정해도 된다. 즉, 이들 기기가 인쇄 지시가 가능한 상태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기억장치(3030)에 있어서의 화상 파일의 갱신을 금지하고, 그렇지 않을 때는 기억장치(3030)에 있어서의 화상 파일의 갱신을 허가하여도 된다.
또, DSC(3012)로부터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인쇄 목적으로 화상 파일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인지, 아니면 단지 DSC(3012)의 UI에서의 열람 목적으로 화상 파일 리스트를 취득하는 것인지를 통지함으로써, 기억장치(3030)가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10(a)와 같은 구성의 경우, 기억장치(3030)의 가상 프린트 서버 VPS의 상태에 기초하여 판정해도 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기억장치(3030)의 가상 프린트 서버 VPS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발행된 시점에서,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의 갱신을 금지하고, 인쇄 처리가 완료한 시점에서, 그 화상 데이터의 갱신 금지를 해제하는 등의 방법이 생각된다. 또한, 화상 파일을 참조하려는 장치의 종류에 의해 변경해도 된다.
도 13은 전술한 도 11과 마찬가지로,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 사이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로, 이 처리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접속 형태에 대응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도 11과 같은 동작에는 같은 스텝 번호를 부착하고 있다.
우선, DSC(3012)가 유저에 의해 조작되어서, 인덱스 표시가 지시되면 스텝 S1에서,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기억장치(3030)로 출력하여, 기억장치(3030)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스텝 S11에서, 그 커맨드를 송출해온 카메라의 ID 및 그 요구ID를 RAM(62)에 기억한다. 여기서, 카메라ID는 커맨드에 포함되고, 요구ID는 그 커맨드에 의한 요구에 대하여 일의로 할당할 수 있는 ID다. 그리고, 스텝 S12로 진행되고, 기억장치(303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파일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이 송신된다. 이에 따라, DSC(3012)에서는, 스텝 S2의 응답 수신 대기로부터 스텝 S3으로 진행되고, 그 수신한 섬네일 화상에 기초하여 인덱스 화상을 표시기(35)에 표시한다. 그리고, 유저는, 그 인덱스 화상을 보면서 조작 버튼(34)을 조작해서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하고, 인쇄의 시작을 지시하면 스텝 S4로부터 스텝 S5에 진행되고, 커맨드 「StartJob」을 발행하여, 카메라ID 및 요구ID, 그리고 선택된 파일ID를 PD프린터(1000)로 송신한다. 여기까지는 도 11의 처리와 같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스텝 S31에서 프린트 요구를 수신하면 스텝 S32로 진행되고, DSC(3012)로부터의 「StartJob」에 기초하여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StartJob」을 발행한다. 이들 스텝 S31, 32에 있어서의 처리가, 전술한 기억장치(3030)에 있어서의 가상 프린트 서버, 가상 프린트 클라이언트로서의 처리에 대응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도 11의 경우와 같은 방법으로, PD프린터(1000)는 스텝 S21에서, 이 「StartJob」을 수신해서 스텝 S22로 진행되고, 「StartJob」으로 지 정된 요구ID, 파일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요구하고(「GetFile」), 스텝 S23에서 화상 데이터의 수신 대기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기억장치(3030)는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4로 진행되고, 카메라ID, 요구ID 및 파일ID에 기초하여 그 요구된 화상 데이터를 검색하고, 디스크(65)로부터 그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스텝 S15로 진행되어, 그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PD프린터(100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스텝 S23으로부터 스텝 S24로 진행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해 복호해서 프린터 데이터로 전개해서 인쇄를 실행한다.
더욱이, 도 14는 전술한 도 9(a)의 경우에 있어서의,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 사이의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다. 한편, 전술한 도 11과 같은 동작에는 같은 스텝 번호를 부착한다.
이 경우도 DSC(3012)의 동작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도 11 및 도 13의 경우와 같고, 여기서는 PD프린터(1000)가 가상 스토리지 서버, 가상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고 있으므로, 그에 따라 PD프린터(1000)에 의한 처리(스텝 S41 내지 S43)의 부분만이 전술한 플로우차트와 다르다.
즉, 프린터 장치(1000)는, 스텝 S41에서, DSC(3012)로부터 송신된 「GetFileList」, 「GetThumb」을 수신하면, 기억장치(3030)에 대하여, 그 커맨드를 송출해서 화상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것에 응답해서, 기억장치(3030)로부터 응답이 있으면 스텝 S42로부터 스텝 S43으로 진행하여, 그 수신한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요구ID를 포함)을 DSC(3012)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DSC(3012)에서, 유저가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해서 인쇄 지시를 행하는 처리는 전술한 도 11의 플로우차트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실시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디스플레이(3040:예를 들면, 텔레비전수상기)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5의 예에서는, 각각이 2개의 USB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PS」는 프린트 서버, 「PC」는 프린트 클라이언트, 「SC」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SS」는 스토리지 서버, 「DS」는 표시(디스플레이) 서버 그리고 「DC」는 표시 클라이언트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이 도 15의 예에서는,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를 조작하여, DSC(30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디스플레이(3040)에 표시시키는 동시에,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킬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우선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여, DSC(3012)의 메모리 카드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화상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요구ID를 포함)이 디스플레이(3040)에 보내져서 화면에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의 UI (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 등)를 사용하여, 인덱스 화상 중에서 표시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이미 취득한 섬네일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지만, 보다 좋은 화질로 표시하고 싶을 경우에는 「GetFile」로 표시하고 싶은 화 상의 원파일을 취득해서 표시해도 된다.
한편, DSC(3012)도 액정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유저에 대하여 표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표시 서비스를 외부기기에 대하여 제공한다. 이 액정 디스플레이에서의 표시에 대해서는, 표시 클라이언트인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소정의 파일ID를 기술한 「StartJob」를 표시 서버인 DSC(3012)에 대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소정 화상의 표시 요구를 행할 수 있다(현재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의 UI를 사용해서 선택한 화상 등). 이렇게 하는 것으로, DSC(3012)가 시스템의 일부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 명시할 수 있고, 또 디스플레이(3040) 위에서의 표시와 DSC(3012) 위에서의 표시의 동기를 받아들일 수 있다.
상기 「StartJob」으로 표시 요구하는 내용은 소정의 파일ID로 표시되는 화상만아니라, 스크립트 중에 기술된 문자열이어도, 소정의 코드에 대응시킬 수 있었던 표시 기호 등이어도 된다(「현재접속중이어서 케이블을 빼지 않도록」이나 「현재인쇄중」등의 메시지나 에러 발생을 나타내는 기호 등).
한편, 디스플레이(3040)의 화면에 표시된 인덱스 화상을 참조해서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인쇄를 지시하면, 그 인쇄하고 싶은 화상을 특정하는 파일ID와 인쇄 시작을 지시하는 「StartJob」커맨드가,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로 송신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그 인쇄 지시된 파일ID와 요구ID에 기초해서 DSC(3012)에 대하여 「GetFile」에 의해, 그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그 지정한 화상 데이터가 PD프린터(1000)에 송신되어,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304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동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70은 디스플레이(3040) 전체의 제어를 주관하는 CPU이고, 71은 CPU(70)의 처리 순서(펌웨어)를 기억하고 있는 ROM이다(단, 펌웨어는 적당하게 버전업이 행해지는 것을 상정하고, 기입 가능한 불휘발성메모리, 예를 들면 플래쉬메모리로 구성된다). 참조부호 72는 CPU(70)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RAM이다. 참조부호 73은 제2실시예에 따른 PD프린터(1000)와 접속하기 위한 USB인터페이스(USB의 슬레이브측)이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USB인터페이스(67)를 더 구비하고, 이 USB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직접 DSC(3012)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참조부호 74는 디스플레이(3040) 컨트롤러로, 표시부(75)로의 화상표시를 제어하고 있다.
도 17(a)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디스플레이(3040)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17(b)의 예에서는, PD프린터(1000)는 USB의 호스트이며, USB허브를 매개로 DSC(3012)와 디스플레이(3040)가 접속되어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PS」는 프린트 서버, 「PC」는 프린트 클라이언트, 「SC」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SS」는 스토리지 서버, 「VSS」는 가상 스토리지 서버, 「VSC」는 가상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DS」는 표시 서버, 「DC」는 표시 클라이언트, 「VDS」는 가상 표시 서버를 각각 나타내고 있고, 이 도 17(a)의 예에서는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를 조작하여, DSC(30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디스플레이(3040) 및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거나, 또는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고, DSC(30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 경우, PD프린터(1000)는 가상 스토리지 서버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PD프린터(1000)는 가상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고, DSC(3012)에 대하여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여, DSC(3012)에 대하여, 그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화상 파일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요구ID를 포함)이 PD프린터(1000)에 보내지면, PD프린터(1000)는, 그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을 디스플레이(3040)로 송신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040)의 표시부(75)에 인덱스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의 UI(예를 들면, 리모트 컨트롤 등)를 사용하여, 표시하고 싶은 화상을 선택한다. 여기서는 이미 취득한 섬네일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지만, 보다 좋은 화질로 표시하고 싶을 경우에는 상기 「GetFileList」, 「GetThumb」와 마찬가지로 PD프린터(1000)를 경유해서 DSC(3012)에 「GetFile」을 발행해서 표시하고 싶은 화상의 원파일을 취득해서 표시해도 된다.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킬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소정의 파일ID를 기술한 「StartJob」커맨드를 송출하여, DSC(30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표시를 요구한다. 이 경우, PD프린터 (1000)는 가상 표시 서버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다음에, PD프린터(1000)는 가상 표시 클라이언트로서 기능하고, DSC(3012)에 대하여 「StartJob」커맨드를 송출하여, DSC(30 12)에 대하여, 그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요구한다. 표시 서버인 DSC(3012)는, 그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한편, 디스플레이(3040)에 인덱스 화상이 표시된 상태로 인쇄가 지시되면, 「StartJob」이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보내진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하고, DSC(3012)에 대하여, 그 인쇄가 지시된 화상 데이터를 요구ID와 함께 요구한다(「GetFile」). 이렇게 해서, 인쇄가 지시된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면, PD프린터(1000)는 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도 17(b)는 도 17(a)에 나타낸 PD프린터(1000), DSC(3012) 및 디스플레이(3040)의 USB접속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여기서는 PD프린터(1000)가 호스트로서, DSC(3012) 및 디스플레이(3040)는 함께 슬레이브로 설정되고 있다.
또, 도 17(a)에 나타내는 PD프린터(1000), DSC(3012) 및 기억장치(3030)의 USB접속의 변형예로서는, DSC(3012)와 PD프린터(1000)의 USB접속에서는 PD프린터(1000)가 호스트이며, PD프린터(1000)와 디스플레이(3040)의 USB접속에서는 디스플레이(3040)는 USB의 호스트이어도 된다.
도 18(a)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PD프린터(1000), DSC(3012) 및 디스플레이(3040)를 USB인터페이스로 접속했을 경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 편, 도 18(a) 및 도 18(b)에서는, 도 18(b)에 나타낸 바와 같이DSC(3012)와 디스플레이(3040)의 USB접속에서는 디스플레이(3040)가 호스트이고, PD프린터(1000)와 디스플레이(3040)의 USB접속에서는, PD프린터(1000)는 USB의 호스트다. 또, 도 18(a)에 있어서의 「PS」 등의 표기는 전술한 예와 같다. 도 18(a)의 예에서는, 유저가 디스플레이(3040)를 조작해서, DSC(3012)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해서 디스플레이(3040) 및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또는 PD프린터(1000)에 의해 인쇄시킬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GetFileList」, 「GetThumb」커맨드를 송출하여, DSC(3012)의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그 섬네일 화상을 요구한다. 이에 따라, 화상 파일의 리스트 및 섬네일 화상(요구ID를 포함)이 DSC(3012)로부터 디스플레이(3040)에 보내지고, 유저에 의해 표시하고 싶은 화상이 선택된다. 여기서는 이미 취득한 섬네일 화상을 확대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지만, 보다 좋은 화질로 표시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GetFileList」, 「GetThumb」와 마찬가지로 DSC(3012)에 「GetFile」를 발행해서 표시하고 싶은 화상의 원파일을 취득해서 표시해도 된다.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소정의 화상을 표시시킬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DSC(3012)에 대하여 소정의 파일ID를 기술한 「StartJob」커맨드를 송출하여, 그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표시를 요구한다. 표시 서버인 DSC(3012)는, 그 메모리 카드(4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DSC(3012) 상의 액정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한다.
또, 인쇄를 행할 경우에는, 섬네일 화상이 DSC(3012)로부터 디스프레이(3040)에 보내지고, 유저에 의해 인쇄하고 싶은 화상이 선택되면, 「StartJob」커맨드가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발행된다. 이에 따라, PD프린터(1000)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스토리지의 가상의 서버인 디스플레이(3040)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3040)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서, 서버인 DSC(3012)에 대하여 그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요구ID와 함께 요구한다(「GetFile」). 이에 따라, DSC(3012)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3040)에 송신되고, 디스플레이(3040)로부터 PD프린터(1000)에 대하여 그 화상 데이터가 더 송신되어서, 그 화상의 인쇄가 실행된다.
한편,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도 11 내지 도 14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처리와 같은 처리로 화상 데이터의 교환이나 인쇄 및 표시를 행할 수 있지만, 그 설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설명에 표시 처리가 가해지는 것만으로, 전술한 플로우차트에서 나타내는 처리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전술한 도 8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스토리지 및 프린트에 있어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표기는 상기 도 8과 같다.
도 20은 전술한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스토리지 및 프린트에 있어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표기는 전술한 도 9(a) 및 도 9(b)과 같다.
더욱이, 도 21은 전술한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형태에 있어서의 DSC(3012), PD프린터(1000) 및 기억장치(3030) 사이에서의 커맨드의 교환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스토리지 및 프린트에 있어서의 서버, 클라이언트 표기는 전술한 도 10(a) 및 도 10(b)와 같다.
다음에, 도 19~도 21에 기술된 각 커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A) [configurePrintService:]
프린트 클라이언트(PC)로부터 프린트 서버(PS)에 대하여 프린트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한다.
[Request Script:]프린트 클라이언트(PC)가 프린트 서버(PS)에 대하여 송신하는 스크립트(Script)이다.
<Input>
<ConfigurePrintService>
<vendorName>PCVN</vendorName>
<productName>PCPN</productName>
</ConfigurePrintService>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vendorName」은 프린트 클라이언트 기기의 벤더명을 기술한다. 「productName」은 프린트 클라이언트 기기의 기기명을 기술한다.
[Response Script:]
프린트 서버(PS)가 프린트 클라이언트(P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ConfigurePrintService>
<printServiceAvailable>True</printServiceAvailable>
<vendorName>PSVN</vendorName>
<productName>PSPN</productName>
</ConfgurePrintService>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printServiceAvailable」는 프린트 서비스 허가이면 True, 불허가이면 False를 기술한다. 「VendorName」은 프린트 서버 기기의 벤더명을 기술한다. 「ProductName」은 프린트 서버 기기의 기기명을 기술한다.
(B) [ConfigureStorageService:]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로부터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스토리지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한다.
[Request Script:]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가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송신하는 Script다.
<Input>
<ConfigureStorageService>
<vendorName>SCVN</vendorName>
<productName>SCPN</productName>
</ConfigureStorageService>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vendorName」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기기의 벤더명을 기술한다. 「productName」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 기기의 기기명을 기술한다.
[Response Script:]
스토리지 서버(SS)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ConfigureStorageService>
<StorageServiceAvailable>True</StorageServiceAvailable>
<vendorName>SSVN</vendorName>
<productName>SSPN</productName>
</ConfigureStorageService>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StorageServiceAvailable」은 스토리지 서비스 허가이면 True, 불허가이면 False를 기술한다. 「VendorName」은 스토리지 서버 기기의 벤더명을 기술한다. 「ProductName」은 스토리지 서버 기기의 기기명을 기술한다.
(C) GetFileList: (Storage Service Operation)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로부터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스토리지 서버의 관리하는 전체 파일의 ID리스트를 요구한다.
[Request Script:]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가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송신하는 Script다.
<Input>
<GetFileList/>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Response Script:]
스토리지 서버(SS)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GetFileList>
<fileIDs>0000 0001 0002 0003<fileIDs>
<requestID>0000</requestIDs>
</GetFileList>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fileIDs」는 스토리지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전체 파일의 파일ID를 열거한 것으로, 본 예는 전부로 4개의 파일이 있고, 각각 파일ID 「0000」, 「0001」, 「0002」, 「0003」이 부여 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requestID」은 파일 리스트와 파일ID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 부여되는 ID로 실시예 중에서 「요구ID」로서 기술되는 것이다.
(D) GetThumb: (Storage Service Operation)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로부터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파일ID로 지정한 스토리지 서버(SS)가 관리하는 파일에 대응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Request Script:]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가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송신하는 Script다.
<Input>
<GetThumb>
<requestID>0000</requestIDs>
<fileID>0001<fileID>
</GetThumb>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fileID」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섬네일 화상 데이터의 원파일의 파일ID다.
또한, 「requestID」는 파일 리스트와 파일ID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서 부여되는 ID로, 실시예 중에서 「요구ID」로서 기술되는 것이다.
[Response Script]
스토리지 서버(SS)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GetThumb/>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E) GetFile: (Storage service Operation)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로부터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파일ID로 지정한 스토리지 서버(SS)가 관리하는 파일 데이터를 요구한다.
[Request Script]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가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송신하는 Script다.
<Input>
<GetFile>
<requestID>000O</requestID>
<fileID>0001<fileID>
</GetFile>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fileID」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가 요구하는 파일 데이터의 파일ID다.
또한, 「requestID」는 파일 리스트와 파일ID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서 부여되는 ID로, 실시예 중에서 「요구ID」로서 기술되는 것이다.
[Response Script:]
스토리지 서버(SS)가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GetFile/>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F) StartJob: (Print Service Operation)
프린트 클라이언트(PC)로부터 프린트 서버(PS)에 대하여, 파일ID로 지정했던 스토리지 서버가 관리하고 있는 파일 데이터를 기록지에 인쇄하도록 요구한다. 이 인쇄 방법은 프린트 클라이언트로부터 특별하게 지정되지 않은 항목은 프린트 서버가 임의로 설정한다.
[Request Script:]
프린트 클라이언트(PC)가 프린트 서버(PS)에 대하여 송신하는 Script다.
<Input>
<StartJob>
<requestID>0000</requstID>
<fileIDs>0001 0002<fileIDs>
</StartJob>
</Input>
여기서, 「Input」은 Request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 「fileIDs」는 프린트 클라이언트가 인쇄 요구하는 파일의 파일ID다. 본 예에서는, 파일ID 「0001」 및 「0002」의 2종류의 파일을 인쇄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requestID」는 파일 리스트와 파일ID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서 부여되는 ID로, 실시예 중에서 「요구ID」로서 기술되는 것이다.
[Response Script:]
프린트 서버(PS)가 프린트 클라이언트(PC)에 대하여 대답하는 Script다.
<Output>
<StartJob/>
</Output>
여기서, 「Output」은 Response인 것을 나타내는 태그이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기간의 접속에 사용하는 범용 인터페이스로서 USB를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7에 기재한 Bluetooth나 IEEE802.11계, 적외선통신 등의 무선, 10/100Base-T나 IEEE1394 등의 유선의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을 경우이어도 유효하다. 그때에도, 도 8의 구성 및 도 9(a)의 구성의 어느 구성도 취할 수 있다.
특히, IEEE802.11계 무선이나 10/100Base-T 등을 사용한 네트워크 접속의 경우에는, 「requestID」의 기능으로서, 파일 리스트와 파일ID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해서만 아니라, 인증의 기능도 겸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있어서, 카메라(3012)의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가, 어떠한 기존의 수법에 의해 외부의 기억장치(3030)의 스토리지 서버(SS)의 정규 액세스 권리(right of access)를 얻어서, 스 토리지 서버(SS)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의 「파일ID」 및 「requestID」를 취득한다. 그리고, 카메라(3012)의 프린트 클라이언트(PC)가 외부의 프린터(1000)의 프린트 서버(PS)에 대하여 인쇄를 희망하는 화상의 「파일ID」 및 「requestID」를 통지한다. 이 인쇄 희망을 받은 프린터(1000)의 프린트 서버(PS)는, 인쇄를 희망하는 화상의 「파일ID」 및 「requestID」를 이용하여 외부의 기억장치(3030)의 스토리지 서버(SS)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요구한다. 여기서, 기억장치(3030)의 스토리지 서버는, 「requestID」가 사전에 자기가 정규 억세스 권리를 갖는 스토리지 클라이언트에 대하여 발행한 정규 「requestID」인지를 판별하고, 정규였을 경우에만 화상전송 요구를 허가하고, 정규가 아니었을 경우에는 화상전송을 거부한다. 이렇게 하는 것에 의해,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불특정 다수의 스토리지 클라이언트로부터의 화상전송 요구에 대하여 전송의 가부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카메라(3012)의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와 기억장치(3030)의 스토리지 서버(SS) 사이에서 행하는 인증 방법이 최신의 방법으로 갱신되었을 경우이어도, 프린터(1000)의 스토리지 클라이언트(SC)를 갱신할 필요가 없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화상출력 요구, 인쇄 요구를 발행할 경우에, 송신할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와 리스트의 식별ID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기억장치의 내용이 갱신된 경우에도, 소정 기기가 받은 리스트의 내용을 활용해서 에러 처리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특히 3개 이상의 기기 간에서 파일 지정 정보를 교환하는 경우에 대단히 유용하지만, 2기기 간에서도 구애받지 않는다. 왜냐하면, 예 를 들면 리스트를 수신한 후에, 다른 유저가 강제적으로 한쪽의 기기 내의 기억장치의 정보를 갱신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타의 실시예]
또,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 기기, 리더, 프린터 등)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해도,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지는 장치(예를 들면,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등)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실시예의 기능(카메라측이나 기억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 프린터측에서 행해지는 각종 인쇄 처리)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기억매체(또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나 MPU)가 기억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이 경우,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되어, 그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매체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컴퓨터가 판독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함으로써,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아니라,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오퍼레이션 시스템(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경우도 포함된다.
또한, 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에 삽입된 기능 확장 카드나 컴퓨터에 접속된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메모리에 기록된 후, 그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기능 확장 카드나 기능 확장 유닛에 갖춰지는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행하고, 그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형태의 기능이 실현되는 경우도 포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USB에 의해 접속된 기기 간에서 데이터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파일 리스트로 요구된 파일ID와, 실제로 그 파일 ID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의 대응을 확실하게 취할 수 있다.
또한, USB접속된 기기 간에서 스크립트에 의해 데이터를 교환함으로써 USB접속의 호스트·슬레이브 기기 간에서 임의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데이터의 교환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 및 실시형태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혹은 수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초해서 특정된다.

Claims (34)

  1.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전송 시스템이며,
    제1기기는 제2 및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3기기는,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는, 기억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기는 프린터 장치 혹은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가 상기 화상을 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송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는, USB, Bluetooth, IEEE802.11계 무선, 10/100Base-T, IEEE1394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전송 시스템.
  7.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이며,
    제1기기와 제3기기 및 상기 제2기기와 제3기기를 각각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접속하고,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 이언트이며,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제3기기는 상기 리스트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3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3기기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의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상을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는, 기억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기는 프린터 장치 혹은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11.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시스템이며,
    제1기기와 제2기기 및 제2기기와 상기 제3기기를 각각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접속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며,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송신하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출력을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3기기는 상기 제2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상을 출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 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기는 디지털카메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기는 기억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기기는 프린터 장치 혹은 표시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시스템.
  15.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전송 방법이며,
    제1기기는 제2 및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3기기로부터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클라이언트인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전송 방법.
  16.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방법이며,
    제1기기와 제3기기 및 상기 제2기기와 제3기기를 각각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접속하고, 상기 제1기기 및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며,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3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 ID를 부착해서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3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3기기에 의해, 상기 제2기기로부터의 상기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상을 출력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방법.
  17.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3개의 기기를 서버 클라이언트 접속하고, 상기 기기 간에서 데이터를 전송해서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출력 방법이며,
    제1기기와 제2기기 및 제2기기와 상기 제3기기를 각각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접속하고, 상기 제1기기는 상기 제2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고, 상기 제2기기는 상기 제3기기에 대하여 클라이언트이며,
    상기 제1기기로부터 상기 제2기기에 대하여, 상기 제2기기가 기억하고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요구를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에 상기 리스트 요구의 식별ID를 부착해서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는 공정과,
    상기 제1기기에 의해,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출력을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기기에 요구하는 공정과,
    상기 제3기기에 의해, 상기 제2기기로부터 출력하도록 지시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식별ID와 함께 상기 제2장기에 요구하고, 상기 제2기기로부터 상기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상기 화상을 출력하는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출력 방법.
  18.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촬상장치 및 기억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이며,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인쇄 요구로서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에 송신하여, 상기 기억장치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응답해서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19.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촬상장치 및 기억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촬상장치로부터의 인쇄 지시에 따라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이며,
    상기 촬상장치로부터,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의 요구를 수신하고 해당 요구를 상기 기억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에 의한 송신에 응답해서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를 상기 촬상장치에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촬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파일의 리스트를 기초로 생성된 인쇄 요구를 수신하면, 상기 인쇄 요구에 포함되는 화상 파일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에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에 의한 요구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반송되는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0.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인쇄장치 및 기억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출력해서 화상을 인쇄시키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기억장치에 대하여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의 요구에 응답해서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시키는 선택지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시수단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인쇄를 상기 인쇄장치에 요구하는 인쇄 요구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1.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인쇄장치와 접속하고, 상기 인쇄장치에 대하여 인쇄 지시를 출력해서 화상을 인쇄시키는 촬상장치이며,
    상기 인쇄장치에 대하여,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파일의 리스트 데 이터를 요구하는 요구수단과,
    상기 요구수단의 요구에 응답해서 상기 인쇄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 대상의 화상을 선택시키는 선택지시수단과,
    상기 선택지시수단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인쇄를 상기 인쇄장치에 요구하는 인쇄 요구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선택지시수단에 의해 선택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취득해서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2.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이며,
    접속되던지 혹은 내장된 기억장치가 가지는 파일의 리스트를 요구하기 위한 리스트 요구를, 제1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 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리스트 데이터와 해당 리스트 데이터의 식별ID를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제2기기로부터 상기 식별ID가 부여된 파일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파일 송신 요구 수신수단과,
    상기 파일 송신 요구에 부여된 상기 식별ID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파일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ID가 유효한 것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식별ID에 기초해서 대응하는 파일을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고, 유효하지 않을 경우에는 유효한 경우와는 다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것인지 아닌지의 판단 방법은, 상기 식별ID가 상기 리스트 요구에 응답해서 송신한 식별ID와 일치할 것인지 아닌지에 기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경우와는 다른 처리는, 파일의 송신을 거부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는 USB, Bluetooth, IEEE802.11계 무선, 10/100Base-T, IEEE1394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기기는, 상기 제1통신기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8.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이며,
    상기 외부기기가 관리하는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와, 해당 리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ID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일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서, 송신할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식별ID에 기초하는 요구를 생성하는 요구 생성 수단과,
    상기 요구 생성 수단이 생성한 요구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인터페이스는 USB, Bluetooth,IEEE802.11계 무선, 10/100Base-T, IEEE1394, 적외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상기 요구를 상기 외부기기와는 다른 외부장치에 송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1.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접속되던지 혹은 내장된 기억장치가 가지는 파일의 리스트를 요구하기 위한 리스트 요구를 제1기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 요구 수신 공정과,
    상기 리스트 요구에 따라 상기 리스트 데이터와 해당 리스트 데이터의 식별ID를 상기 제1기기에 송신하고, 제2기기로부터 상기 식별ID가 부여된 파일 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파일 송신 요구 수신 공정과,
    상기 파일 송신 요구에 부여된 상기 식별ID에 기초해서 특정되는 파일을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상기 제2기기에 송신하는 송신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32. 범용 인터페이스를 매개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외부기기가 관리하는 파일의 리스트 데이터와, 해당 리스트 데이터에 대응하는 식별ID를 취득하는 취득 공정과,
    상기 리스트 데이터에 포함되는 파일의 송신을 지시하기 위해서, 송신할 파일을 지정하는 정보와, 상기 식별ID에 기초하는 요구를 생성하는 요구 생성 공정과,
    상기 요구 생성 공정에서 생성된 요구를 외부에 출력하는 출력 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33. 청구항 제31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34. 청구항 제32항에 기재된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057019090A 2003-04-07 2004-04-06 화상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02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3275 2003-04-07
JP2003103275 2003-04-07
JP2004110230A JP4266870B2 (ja) 2003-04-07 2004-04-02 画像出力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記憶装置と及びその方法
JPJP-P-2004-00110230 2004-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956A true KR20060002956A (ko) 2006-01-09

Family

ID=3316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090A KR20060002956A (ko) 2003-04-07 2004-04-06 화상출력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23185A1 (ko)
EP (1) EP1612651A4 (ko)
JP (1) JP4266870B2 (ko)
KR (1) KR20060002956A (ko)
CN (1) CN1777864B (ko)
WO (1) WO2004090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466B2 (ja) * 2001-12-11 2006-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コマンド制御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該装置に接続するプリンタ、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605334B2 (en) * 2002-08-05 2013-12-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system,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5056130A (ja) * 2003-08-04 2005-03-03 Fuji Photo Film Co Ltd プリントシステム
US7495793B2 (en) * 2003-10-01 2009-02-24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 apparatus that uses image data recorded on an image record medium
JP4367929B2 (ja) * 2004-08-27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携帯電話及び印刷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KR100746028B1 (ko) 2006-01-03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상에서 프린팅 동작을 처리하는 장치, 시스템및 그 방법
JP2007203524A (ja) * 2006-01-31 2007-08-16 Fujifilm Corp プリンタ、プリント方法およびプリントプログラム
JP2007267362A (ja) * 2006-03-02 2007-10-11 Ricoh Co Ltd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用プログラム
KR100823267B1 (ko) * 2006-04-13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에 의한 풀 프린팅 인쇄방법 및 시스템
JP4873987B2 (ja) * 2006-05-02 2012-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情報管理装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情報管理方法
JP4943897B2 (ja) * 2007-03-02 2012-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移動体端末、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74669B2 (en) * 2007-07-31 2012-09-25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US9013750B2 (en) * 2009-06-25 2015-04-2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for processing image data in correspondence with each pixel of an image
US8976411B2 (en) * 2009-07-01 2015-03-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in correspondence with each pixel of an image
US8934134B2 (en) * 2009-07-02 2015-01-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based on pixel and attribute values
US9635218B2 (en) 2009-07-03 2017-04-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based on a pixel value in image data
JP5221742B2 (ja) * 2011-11-24 2013-06-2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558637B2 (ja) * 2015-10-30 2019-08-1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13959B2 (ja) 2016-04-05 2021-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852396B2 (ja) 2016-12-28 2021-03-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管理サーバ、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7013757B2 (ja) * 2017-09-20 2022-02-01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8428A (en) * 1997-12-05 2000-05-02 Pictr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digital images on a network
US6643496B1 (en) * 1998-03-31 2003-11-04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acket transmission rates based on dynamic evaluation of network characteristics
US6636891B1 (en) * 1998-11-06 2003-10-21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nput or output device over the internet
US6850273B1 (en) * 1999-02-03 2005-02-01 Fuji Photo Film Co., Ltd. Digital camera recording image frame and printing information files on a recording medium
JP2001169266A (ja) * 1999-12-07 2001-06-22 Sony Corp 情報蓄積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3731719B2 (ja) * 2000-03-29 2006-01-05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1320654A (ja) * 2000-05-11 2001-11-16 Konica Corp フォト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画像入力装置
JP4228261B2 (ja) * 2000-08-29 2009-02-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後位装置、携帯通信端末および情報取得方法
JP2002094848A (ja) * 2000-09-12 2002-03-29 Canon Inc 画像通信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AU2002226948A1 (en) * 2000-11-20 2002-06-03 Flexiworld Technologies, Inc. Tobile and pervasive output components
US20020103860A1 (en) * 2001-01-31 2002-08-01 Masahiro Terada Particular-information displaying method and menu service method and system
JP3499535B2 (ja) * 2001-03-05 2004-02-23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サーバ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3006198A (ja) * 2001-04-20 2003-01-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サーバ装置
JP4650862B2 (ja) * 2001-04-23 2011-03-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
US20030110449A1 (en) * 2001-12-11 2003-06-12 Wolfe Donald P. Method and system of editing web site
US6623190B1 (en) * 2002-05-03 2003-09-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print job among a processor, an image producing device, and an external storage device
JP3907520B2 (ja) * 2002-05-14 2007-04-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メモリのアップデート方法と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6870B2 (ja) 2009-05-20
EP1612651A1 (en) 2006-01-04
EP1612651A4 (en) 2009-03-11
US20040223185A1 (en) 2004-11-11
WO2004090711A1 (ja) 2004-10-21
CN1777864A (zh) 2006-05-24
CN1777864B (zh) 2010-04-28
JP2004328725A (ja)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6870B2 (ja) 画像出力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通信装置、情報処理装置、記憶装置と及びその方法
KR100729683B1 (ko) 기록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663209B1 (ko)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포토다이렉트 인쇄 장치
JP3530847B2 (ja) プリン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リントシステム
RU2293027C2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изображения, система регистрации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егистрацией
JP4343714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2004013349A (ja) 撮像装置、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KR100688376B1 (ko)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및 인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908967B2 (ja) 画像入力装置、画像出力装置及び転送方法
JP4227464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記録制御方法
JP2004070611A (ja) 画像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JP4497941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及び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3606465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記録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04310613A (ja) 画像データ転送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4266948B2 (ja) 画像供給デバイスとその制御方法
JP2004088761A (ja) 記録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
JP2004070610A (ja) プリンタ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の制御プログラム
JP2006209170A (ja) 中継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印刷システム
JP4367902B2 (ja) 記録システム及び画像供給デバイスと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524541B2 (ja) 記録システム、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通信装置と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と記憶媒体
JP4612907B2 (ja) 画像供給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4987104B2 (ja) 印刷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06012118A (ja) 画像供給デバイス、記録システム及び記録制御方法
JP2005086270A (ja) 記録装置及び画像供給装置及び記録システムとその制御方法
JP2004364304A (ja) デジタルカメラ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