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9412A -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9412A
KR20050119412A KR1020040044494A KR20040044494A KR20050119412A KR 20050119412 A KR20050119412 A KR 20050119412A KR 1020040044494 A KR1020040044494 A KR 1020040044494A KR 20040044494 A KR20040044494 A KR 20040044494A KR 20050119412 A KR20050119412 A KR 20050119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uried oxide
trench
sti
oxi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9412A/ko
Publication of KR20050119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41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trench refilling with dielectr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lement Separation (AREA)

Abstract

STI막의 유실을 방지하여, 접합 누설 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STI막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STI막은,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트렌치 내부의 하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1 매립용 산화막, 상기 트렌치의 내부의 상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2 매립용 산화막,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매립용 산화막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베리어 절연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Shallow trench isolation layer preventable leakage curren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shallow trench isolation, 이하 STI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택홀 형성시 STI막의 유실로 인한 접합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STI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더 나아가서는 반도체 장치의 고속화, 고집적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수반해서 패턴에 대한 미세화의 필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패턴의 치수도 고정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소자 분리 영역에도 적용된다.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으로는 로코스(LOCOS) 산화막이 대부분 이용되었다. 그러나, 로코스 방식의 소자 분리막은 그 가장자리 부분에 새부리 형상의 버즈빅(bird's beak)이 발생하여, 액티브 영역의 면적을 감소시키면서 누설 전류를 발생시키는 단점을 갖는다.
현재에는 좁은 폭을 가지며, 우수한 소자 분리 특성을 갖는 STI가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STI에 의해 소자 분리된 반도체 소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패드 산화막(15) 및 실리콘 질화막(2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소자 분리 영역이 한정될 수 있도록 실리콘 질화막(20) 및 패드 산화막(15)을 패터닝하여, 소자 분리막 마스크(22)를 한정한다. 소자 분리막 마스크(22)의 형태로 반도체 기판(10)을 식각하여 트렌치(25)를 형성한다음, 트렌치(25)가 충분히 매립될 수 있도록 반도체 기판(10) 결과물 상부에 절연막(30)을 형성한다.
도 1b에서와 같이, 절연막(30)을 반도체 기판(10) 표면이 노출되도록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여, STI막(35)을 형성한다.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40)을 포함하는 게이트 전극(45)을 형성하고, 게이트 전극(45) 양측벽에 스페이서(50)를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45) 양측의 반도체 기판(10)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접합 영역(55)을 형성하고, 접합 영역(55) 상부에 공지의 방식으로 실리사이드막(60)을 형성한다.
그후,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기판(10) 결과물 상부에 에치 스톱퍼(65)를 형성한다음, 에치 스톱퍼(65) 상부에 층간 절연막(70)을 증착한다. 그후, 접합 영역(55)이 노출되도록 층간 절연막(70)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콘택홀 내부에 콘택 스터드(75)를 형성한다.
그러나, 반도체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콘택홀 형성시, 미스 얼라인(mis-align)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미스 얼라인된 콘택홀은 예컨대, 접합 영역(55)과 STI막(35)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층간 절연막(70) 식각 공정시, 에치 스톱퍼(65)와 함께 STI막(35)의 일부가 유실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에치 스톱퍼(65)로 사용되는 막은 SiON막으로서, 실리콘 산화막과 2:1의 식각 선택비를 가진다. 이러한 에치 스톱퍼(65)는 미세한 크기의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과도 식각 공정을 진행하게 되면, 에치 스톱퍼(65)에 의해 노출된 STI막(35)이 쉽게 유실되는 것이다. 도 1c의 점선 부분은 STI막(35)의 유실된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STI막(35)의 유실로 인하여, 접합 누설 전류가 증가되고, 접합 영역의 불순물이 STI막(35)쪽으로 확산되어,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STI막의 유실을 방지하여, 접합 누설 전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STI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STI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더불어 그의 다른 목적 및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재 및 첨부 도면에 의하여 명료해질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발명중, 대표적 특징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STI막은,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트렌치 내부의 하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1 매립용 산화막, 상기 트렌치의 내부의 상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2 매립용 산화막,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매립용 산화막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베리어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상기 제 1 및 제 2 매립용 산화막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이며, 예컨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질산화막일 수 있다.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약 300 내지 500Å 두께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은 상기 트렌치 전체 깊이의 2분의 1 이상을 차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른 STI막 제조방법은, 반도체 기판상부에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소자 분리 마스크를 형성한다음, 상기 소자 분리 마스크의 형태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내부의 일정 두께만큼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시키고 난 후, 상기 소자 분리 마스크 표면, 트렌치 표면 및 제 1 매립용 산화막 표면에 베리어 절연막을 피복한다. 그후, 상기 베리어 절연막 상부에 제 2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하고,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 베리어 절연막 및 소자 분리 마스크를 제거하여, STI막을 형성한다.
상기 트렌치 내부에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결과물 상부에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상기 트렌치 내부에 잔류하도록 습식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STI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는 단계와, 상기 베리어 절연막, 제 2 매립용 산화막 및 소자 분리 마스크를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되도록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STI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도 2a를 참조하여, 반도체 기판(100) 상부에 패드 산화막(105) 및 실리콘 질화막(110)을 순차적으로 증착한다.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실리콘 질화막(110) 및 패드 산화막(105)을 패터닝하여, 소자 분리 마스크(115)를 형성한다. 소자 분리 마스크(115)의 형태로 반도체 기판(100)을 소정 깊이만큼 식각하여 트렌치(120)를 형성한다. 트렌치(120)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100) 결과물 상부에 제 1 매립용 산화막(125)을 증착한다. 제 1 매립용 산화막(125)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00Å 두께로 증착할 수 있다.
그후,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렌치(120) 내부에 일정 두께만큼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125)이 잔류하도록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125)을 습식 식각한다. 트렌치(120)내에 잔류하는 제 1 매립용 산화막(125a)은 예를 들어, 트렌치(120)의 전체 깊이의 2분의 1 이상을 차지함이 바람직하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 분리 마스크(115) 표면 및 잔류하는 제 1 매립용 산화막(125a) 표면에 베리어 절연막(130)을 증착한다. 베리어 절연막(130)은 산화막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으로, 예를 들어, 실리콘 질화막(SiN) 또는 실리콘 질산화막(SiON)이 이용될 수 있다. 베리어 절연막(130)은 예를 들어 300 내지 500Å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여, 베리어 절연막(130) 상부에 제 2 매립용 산화막(135)을 증착한다. 제 2 매립용 산화막(135)은 비어있는 트렌치(120)의 상부 공간이 충분히 채워질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된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매립용 산화막(135)을 베리어 절연막(130)이 노출되도록 화학적 기계적 연마한다. 이에따라, 제 2 매립용 산화막(135a)은 트렌치(120) 및 소자 분리 마스크(115) 사이의 공간에 잔류하게 된다.
그후,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 절연막(130), 제 2 매립용 산화막(135a) 및 소자 분리 마스크(115)를 상기 반도체 기판(100) 표면이 노출되도록 추가적으로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여, STI막(150)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STI막(150)은 그 내부에 베리어 절연막(130)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콘택홀 마스크의 정렬시 미스얼라인이 발생되더라도, 베리어 절연막(130)에 의해 STI막(150)이 깊숙이 제거됨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STI막 형성시, STI막 중간 부위에 STI막을 구성하는 산화막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베리어 절연막을 개재한다. 이에따라, 콘택홀 마스크 정렬시 미스 얼라인이 발생되어, STI막이 노출되는 경우에도, 베리어 절연막에 의해 식각제가 블록킹됨으로써, STI막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STI막 내부의 상부 측벽 부분 및 중심부에 베리어막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접합 영역의 불순물 확산이 차단되어,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STI막을 갖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TI막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각 공정별 단면도이다.

Claims (9)

  1. 트렌치를 갖는 반도체 기판;
    상기 트렌치 내부의 하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1 매립용 산화막;
    상기 트렌치의 내부의 상단부를 충진하고 있는 제 2 매립용 산화막; 및
    상기 제 1 및 제 2 매립용 산화막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베리어 절연막을 포함하는 STI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상기 제 1 및 제 2 매립용 산화막과 식각 선택비가 상이한 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질산화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의 저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절연막은 약 300 내지 500Å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은 상기 트렌치 전체 깊이의 2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7. 반도체 기판상부에 소자 분리 영역이 노출되도록 소자 분리 마스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 마스크의 형태로 반도체 기판을 식각하여,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의 일정 두께만큼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시키는 단계;
    상기 소자 분리 마스크 표면, 트렌치 표면 및 제 1 매립용 산화막 표면에 베리어 절연막을 피복하는 단계;
    상기 베리어 절연막 상부에 제 2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하는 단계;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 베리어 절연막 및 소자 분리 마스크를 제거하여, STI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TI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 내부에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충진하는 단계는,
    상기 반도체 기판 결과물 상부에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매립용 산화막을 상기 트렌치 내부에 잔류하도록 습식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STI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베리어 절연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2 매립용 산화막을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는 단계; 및
    상기 베리어 절연막, 제 2 매립용 산화막 및 소자 분리 마스크를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되도록 화학적 기계적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TI막 제조방법.
KR1020040044494A 2004-06-16 2004-06-16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KR200501194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94A KR20050119412A (ko) 2004-06-16 2004-06-16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494A KR20050119412A (ko) 2004-06-16 2004-06-16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412A true KR20050119412A (ko) 2005-12-21

Family

ID=37292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494A KR20050119412A (ko) 2004-06-16 2004-06-16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94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9522A1 (de) * 2009-08-31 2011-03-03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td. Liability Company & Co. KG Vergrabene Ätzstoppschicht in Grabenisolationsstrukturen für eine bessere Oberflächenebenheit in dicht gepackten Halbleiterbauelementen
CN116978788A (zh) * 2023-09-25 2023-10-31 粤芯半导体技术股份有限公司 多层场板结构的ldmos器件及其制备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9522A1 (de) * 2009-08-31 2011-03-03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td. Liability Company & Co. KG Vergrabene Ätzstoppschicht in Grabenisolationsstrukturen für eine bessere Oberflächenebenheit in dicht gepackten Halbleiterbauelementen
DE102009039522A8 (de) * 2009-08-31 2011-06-01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td. Liability Company & Co. KG Vergrabene Ätzstoppschicht in Grabenisolationsstrukturen für eine bessere Oberflächenebenheit in dicht gepackten Halbleiterbauelementen
US8334573B2 (en) 2009-08-31 2012-12-18 Globalfoundries Inc. Buried etch stop layer in trench isolation structures for superior surface planarity in densely packed semiconductor devices
DE102009039522B4 (de) * 2009-08-31 2015-08-13 GLOBALFOUNDRIES Dresden Module One Ltd. Liability Company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lbleiterbauelements mit vergrabener Ätzstoppschicht in Grabenisolationsstrukturen für eine bessere Oberflächenebenheit in dicht gepackten Halbleiterbauelementen
CN116978788A (zh) * 2023-09-25 2023-10-31 粤芯半导体技术股份有限公司 多层场板结构的ldmos器件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724B1 (ko) 저온 원자층증착에 의한 질화막을 식각저지층으로이용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2750752B (zh) 深沟槽隔离结构的形成方法及半导体器件的形成方法
KR100389031B1 (ko) 트렌치 소자분리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538810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 방법
US6548373B2 (en) Method for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US6391739B1 (en) Process of eliminat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divot
KR19990066454A (ko) 반도체 장치의 트렌치 격리 형성 방법
US6444539B1 (en) Method for produc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filled with thermal oxide
KR20050119412A (ko) 누설 전류를 방지할 수 있는 얕은 트렌치 소자 분리막 및그 제조방법
US6344415B1 (en) Method for forming a shallow trench isolation structure
KR100289663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분리막 형성방법
KR19990021366A (ko) 반도체 장치의 소자 분리방법
KR0172240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 방법
US6103593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contact on a semiconductor device
KR20050002439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6197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291417B1 (ko) 반도체 소자의 아이솔레이션 제조방법
KR100439105B1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CN117293082A (zh) 半导体器件沟槽结构的制作方法及半导体器件
KR100338938B1 (ko) 반도체 장치의 분리구조 제조방법
KR20020042312A (ko)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41861A (ko) 반도체 소자의 격리구조 및 그 형성방법
KR20020003031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 방법
KR20020054666A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20050911A (ko) 반도체 소자의 소자 격리층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