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7906A -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 Google Patents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7906A
KR20050117906A KR1020040043180A KR20040043180A KR20050117906A KR 20050117906 A KR20050117906 A KR 20050117906A KR 1020040043180 A KR1020040043180 A KR 1020040043180A KR 20040043180 A KR20040043180 A KR 20040043180A KR 20050117906 A KR20050117906 A KR 20050117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teering column
cross member
cowl cross
upper pa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2666B1 (ko
Inventor
박인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666B1/ko
Priority to US11/142,308 priority patent/US7344159B2/en
Publication of KR2005011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6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145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having a crossbeam incorporated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에 관한 것으로,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전부에는 스티어링 컬럼이 고정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제1, 2의 상부판넬과;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상부판넬의 내측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바깥쪽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는 하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부에는 결합공과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Fixing panel for steering column onto the cowl cross memb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상하부판넬로 이루어져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다.
일반적으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과 차체(5)의 실내(5a)사이의 경계부위에는 스티어링시스템(steering system)을 차체에 고정하기 위한 보강바 역할을 수행하는 카울 크로스멤버(1)(cowl cross member)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카울 크로스멤버(1)의 횡바(3)에 스티어링 시스템의 스티어링 컬럼이 고정판넬에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상기 고정판넬은 서로 용접되어 결합되는 상부판넬(9)과 하부판넬(1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판넬(9)과 하부판넬(10)에는 상기 횡바(3)에 들어맞도록 원형홈(6)이 형성되고, 서로 용이하게 용접되도록 둘레에 플랜지(7)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상부판넬(9)과 하부판넬(10)은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7)에서 용접되어 결합되고, 스티어링 컬럼이 결합되는데, 상부판넬(9)과 하부판넬(10)은 둘레에서만 용접으로 결합되어 카울 크로스멤버(1)에 고정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결합강성이 약하고 스티어링휠의 작동시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진동에 의해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스티어링 컬럼이 카울 크로스멤버에 구조적으로 강성을 지니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진동을 적게 발생시키는 구조로 결합된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은,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전방부에는 스티어링 컬럼이 고정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제1, 2의 상부판넬과;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상부판넬의 내측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바깥쪽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는 하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결합공과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판넬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본 기술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고정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 스티어링 컬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카울 크로스멤버(2)의 횡바(13)에 들어맞도록 원형홈(16)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플랜지(17)가 형성되며, 전방부에는 스티어링 컬럼(29)이 고정되도록 결합공(18)이 형성된 제1, 2의 상부판넬(23a, 23b)과;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23a, 23b)의 하부에서 상기 횡바(13)에 들어맞도록 원형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의 내측 플랜지(17a)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돌출부(25)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23a, 23b)의 바깥쪽 플랜지(17b)에 맞닿아 결합되는 하부플랜지(17c)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상기 결합공(18)과 이어지는 연통공(26)이 형성된 하부판넬(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용 지그가 결합되도록 관통공(27a, 27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판넬(30)에도 용접용 지그가 삽입되도록 상기 관통공(27a, 27b)과 연결되는 관통공(27a, 27b)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본다.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과 하부판넬(30)이 카울 크로스멤버(2)의 횡바(13)에 고정되는 과정은 하부판넬(30)의 원형홈(16)이 횡바(13)에 끼워지고, 하부판넬(30)의 상부 일측에서 제1상부판넬(23a)의 원형홈(16)이 횡바(13)에 끼워지고, 다시 제2상부판넬(23b)이 제1상부판넬(23a)의 측부에서 상기 횡바(13)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과 상기 하부판넬(30)의 관통공(27a, 27b)은 일치되어 용접용 지그가 삽입되고, 상기 횡바(13)에 견고히 고정된 후 용접된다.
이때, 상기 제1상부판넬(23a)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7a, 17b)는 상기 하부판넬(30)의 둘레에 형성된 하부플랜지(17c)와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25)에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제2상부판넬(23b)의 둘레에 형성된 플랜지(17a, 17b)도 하부판넬(30)에 형성된 돌출부(25)와 둘레에 형성된 하부플랜지(17c)에 용접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제1, 2상부판넬은 하부판넬(30)에 용접선(28)을 따라 용접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과 하부판넬(30)은 결합공(18)과 연통공(26)이 일치하면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18)과 연통공(26)에는 스티어링 컬럼(29)의 체결부(31)가 하부판넬(30)의 하부에서 견고히 체결된다.
이때, 스티어링 휠(40)의 작동으로 결합된 제1, 2상부판넬(23a, 23b)과 하부판넬(30)은 비틀림 및 축력의 외력을 받게 되는데,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은 하부판넬(30)에 각각 용접되면서 용접면적을 종래에 비해 넓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성은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상부판넬(23a, 23b)은 중앙부분이 분리되면서 불필요한 부분이 제거되고, 하부판넬(30)에 결합되기 때문에 최소화된 중량을 형성하면서 카울 크로스멤버(2)의 횡바(13)에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은, 스티어링 컬럼이 카울 크로스멤버에 구조적으로 강화된 강성을 지니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하부판넬에 동일한 두개의 상부판넬이 접합되기 때문에 상부판넬의 제작을 용이하게 만드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체의 카울크로스 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 카울 크로스멤버에 고정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고정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이 스티어링 컬럼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카울 크로스멤버 3, 13: 횡바
5: 차체 5a : 실내
6, 16: 원형홈 7, 17: 플랜지
8: 고정판넬 9: 상부판넬
10, 30: 하부판넬 17a : 안쪽 플랜지
17b : 바깥쪽 플랜지 18: 결합공
21: 관통공 23a : 제1상부판넬
23b : 제2상부판넬 25 : 돌출부
26 : 연통공 27a, 27b: 관통공
28 : 용접선 29 : 스티어링 컬럼
31 : 체결부 40: 스티어링 휠

Claims (2)

  1. 카울 크로스멤버의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전방부에는 스티어링 컬럼이 고정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 제1, 2의 상부판넬과;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하부에서 상기 횡바에 들어맞도록 원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2상부판넬의 내측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도록 중앙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양측에는 상기 제1, 2의 상부판넬의 바깥쪽 플랜지에 맞닿아 결합되는 하부플랜지가 형성되고, 전방부에는 상기 결합공과 이어지는 연통공이 형성된 하부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는 좌우측의 위치가 바뀌면서 용접용 지그가 결합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KR1020040043180A 2004-06-11 2004-06-11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KR10060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80A KR100602666B1 (ko) 2004-06-11 2004-06-11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US11/142,308 US7344159B2 (en) 2004-06-11 2005-06-02 Steering-column fixing-panel assembly of cowl cross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180A KR100602666B1 (ko) 2004-06-11 2004-06-11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7906A true KR20050117906A (ko) 2005-12-15
KR100602666B1 KR100602666B1 (ko) 2006-07-20

Family

ID=3545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180A KR100602666B1 (ko) 2004-06-11 2004-06-11 카울 크로스멤버의 스티어링 컬럼 고정판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44159B2 (ko)
KR (1) KR100602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453A (ko) * 2013-06-19 2016-02-25 키르히호프 오토모티브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크로스멤버에 스티어링 컬럼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16927B2 (en) * 2004-12-03 2007-05-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ightweight hybrid tubular/casting instrument panel beam
JP4119919B2 (ja) * 2006-01-27 2008-07-16 株式会社アステア ステアリングコラムブラケット
KR20090050680A (ko) * 2007-11-16 2009-05-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 조립체
US8925993B2 (en) 2012-10-26 2015-01-0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ounting feature to cross car beam
PT106689B (pt) * 2012-12-12 2015-04-21 Sodecia Ct Tecnológico S A Viga transversal de duplo tubo e respectivo suporte de fixação da coluna de direcção
CN103407495B (zh) * 2013-08-12 2015-11-18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柱和转向支撑横梁的连接支架
KR101534730B1 (ko) * 2013-12-31 2015-07-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카울 크로스 멤버 어셈블리
CN103962767A (zh) * 2014-05-30 2014-08-06 重庆长安新能源汽车有限公司 一种汽车转向支撑总成
JP2018062235A (ja) * 2016-10-12 2018-04-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支持方法
JP6519567B2 (ja) * 2016-10-12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CN108082268B (zh) * 2017-12-15 2020-01-14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转向支撑管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5461A (ja) 1994-09-19 1996-04-0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の補強構造
US5564769A (en) * 1994-12-19 1996-10-15 Chrysler Corporations Reinforced instrument panel assembly
JP3542288B2 (ja) * 1998-10-07 2004-07-14 森六株式会社 自動車におけ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支持構造
DE19926636A1 (de) 1999-06-11 2000-12-14 Porsche Ag Cockpitquerträger in einem Kraftfahrzeug
FR2795379B3 (fr) * 1999-06-23 2001-08-17 Allibert Ind Cockpit perfectionne de planche de bord
US6581967B1 (en) * 2000-05-11 2003-06-24 Sommer Allibert Cockpit having a forward-to-rearward dash plate slip plane
KR20020078283A (ko) 2001-04-09 2002-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휠 진동 저감구조
KR100423725B1 (ko) 2001-04-17 2004-03-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브라켓트
US7128360B2 (en) * 2002-12-10 2006-10-31 Delphi Technologies, Inc. Structural hybri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US6988764B2 (en) * 2003-01-28 2006-01-24 Calsonic Kansei Corporation Cross car beam for vehicle
DE10323999B4 (de) * 2003-05-27 2005-09-22 Dr.Ing.H.C. F. Porsche Ag Befestigungsanordnung für ein Cockpitmodul eines Kraftfahrzeuges
KR100527758B1 (ko) * 2003-11-03 2005-11-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티어링컬럼의 장착구조
KR100580512B1 (ko) * 2004-06-23 2006-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에 의한 상해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453A (ko) * 2013-06-19 2016-02-25 키르히호프 오토모티브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크로스멤버에 스티어링 컬럼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44159B2 (en) 2008-03-18
US20050275207A1 (en) 2005-12-15
KR100602666B1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0674B2 (en)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US6921126B2 (en) Upper mounting part structure of front strut assembly
US7344159B2 (en) Steering-column fixing-panel assembly of cowl crossmember
JP2004155219A (ja) 自動車の車体後部構造
US6481786B1 (en) Structure of a cowl cross member mounting unit
JP2003252235A (ja) サイドメンバとクロスメンバとの連結構造
JP2004276630A (ja) 自動車の車室前部の結合構造
JP2001191955A (ja) 自動車のカウルサイド部への補強構造
JP2000095151A (ja) 車両のロッカ部構造
JP2006193001A (ja) 三角窓補強構造
JP4267835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H1081259A (ja) サイドメンバ補強構造
KR100428269B1 (ko) 차량의필러구조
JP2010111149A (ja) 車体側部結合構造
JPH11198855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2005075236A (ja) 車体フレームの結合構造
JP2008087609A (ja) 車両のリヤピラー上部の補強構造
JP2002220069A (ja) 車体部材
KR200235348Y1 (ko) 자동차의카울크로스바결합구조
KR100756633B1 (ko) 트렁크 게이트 개구부 강성구조
JPH10175564A (ja) ステアリングメンバの取付構造
JP4164667B2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2005075130A (ja) 車体フレーム構造
JP3005640B2 (ja) 自動車用ベルトモールにおけるブラケット構造
JP4368300B2 (ja)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