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3960A -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 Google Patents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3960A
KR20050113960A KR1020040039125A KR20040039125A KR20050113960A KR 20050113960 A KR20050113960 A KR 20050113960A KR 1020040039125 A KR1020040039125 A KR 1020040039125A KR 20040039125 A KR20040039125 A KR 20040039125A KR 20050113960 A KR20050113960 A KR 20050113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ear
side step
rack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기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3960A/ko
Publication of KR20050113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96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5Catwalks, running boards for vehicle tops, access means for vehicle tops; Handrai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개방시 이와 연동하여 사이드 스텝이 차폭 방향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원위치로 퇴거하게 하는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최하부에 장착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어서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래크와 피니언을 갖춘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직선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 수단;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래크가 이동하는 이동 홈을 구비하고, 전방부에 패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고정 수단;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된 발판; 및 상기 슬라이딩 사이드 스텝의 구성 요소를 덮고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APPARATUS FOR PROJECTING AND WITHDRAWING SIDE STEP OF VEHICLE USING GEAR}
본 발명은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 개방시 이와 연동하여 사이드 스텝이 차폭 방향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원위치로 퇴거하게 하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량 또는 RV(recreational vehicle)는 승용차량에 비하여 차고가 높으므로 승하차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와 같이 키가 작아 높은 탑승 위치로 오를 경우 매우 불편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성도 안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차량용 사이드 스텝을 차량의 바깥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차량의 바깥에 고정되게 장착된 차량용 사이드 스텝은 좁은 길에서 장애물에 걸릴 수 있으며 불필요한 공기저항을 유발시킬 수 있고, 승하차시 충분한 발판 면적을 제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차량 밖으로 돌출하여 그를 밟고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반대로 차량의 도어가 닫힐 때에는 차량 내부로 원위치 할 수 있도록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슬라이드 사이드 스텝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도어 개방시 이와 연동하여 사이드 스텝이 차폭 방향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탑승자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게 하고 도어를 닫을 때에는 원위치로 퇴거하게 하는 레크 및 피니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하부에 장착된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어서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의 직선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수단;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래크가 이동하는 이동 홈을 구비하고, 전방부에 패드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수단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고정 수단; 상기 구동 수단과 연결된 발판; 및 상기 슬라이딩 사이드 스텝을 덮고 있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어부가,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 연결된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린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일체로 형성된 제1 피니언; 및 상기 제1 피니언과 맞물려서 직선 운동하는 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기어부가, 상기 모터의 회동축에 연결된 제2 피니언; 및 상기 제2 피니언과 맞물리고 상기 고정 수단과 평행하게 설치되어서 직선 운동하는 래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의 기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의 기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7은 운전자에 의해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이 돌출/퇴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그는 기판(10), 모터(20), 기어부(30), 구동 수단(40), 고정 수단(50) 및 발판(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판(10)은 차량의 하부에 장착된 바닥 판으로, 그 위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사이드 스텝의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차량에 필요한 소정의 부품들도 함께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드 스텝에 설치된 기어부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그는 제1 피니언(32), 제1 기어(36), 제2 기어(38) 및 래크(34)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0)가 회전하면 그의 회동축(22)에 연결된 제1 기어(36)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38)가 회전되고, 상기 제2 기어(38)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1 피니언(32)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1 피니언(32)과 맞물려 있는 래크(34)는 고정 수단(50) 상부에 형성된 이동 홈(52)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피니언(32)의 회전에 따라 직선운동하기 시작한다.
따라서, 상기 래크(34)와 연동되어 있는 구동 수단(40) 또한 직선운동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대한 상기 기어부(30)의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제2 기어(38)와 제1 피니언(32)은, 그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는 고정봉(37)에 의해서 고정 수단(50)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래크(34)의 양 단부에는 그가 이동하여 고정 수단(50) 이동 홈(52)의 양측에 부딪힐 때에 발생되는 충격이 완화될 수 있도록 충격 흡수부재(53)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이드 스텝에 설치된 기어부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그는 제2 피니언(33) 및 래크(34)로 이루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기판(10) 상에 요동하지 않게 확고하게 설치된 모터(20)의 회동축(22)에는 제2 피니언(33)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20)의 회동축(22)과 연결된 제2 피니언(33)이 상황에 따라 양방향 회전되고, 동시에 그와 맞물려 있는 래크(34)도 차량의 내외부로 직선운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피니언(33)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는 래크(34)의 길이는 제어장치(미도시)에 설정된 모터(20)의 구동에 따른 제2 피니언(33)의 이동 거리보다는 더 길게 형성하여 모터(20)를 구동하는 데에 있어서 무리가 없도록 하였다.
상기 구동 수단(40)은 상기 래크(34)와 함께 연동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래크(34)가 직선운동을 하면 동시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모터(20)의 회전과 동시에 피니언(32, 33)과 래크(34)가 작동하게 되고 구동 수단(40)이 차량의 바깥으로 이동하여 발판(60)을 돌출시킨다.
반대로, 차량의 도어를 닫으면 상기 모터(20)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피니언(32, 33)과 래크(34)가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구동 수단(40)이 차량의 안쪽으로 이동하고 돌출된 발판(60)을 원위치로 퇴거시킨다.
상기 고정 수단(50)은 상기 기판(10) 상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수단(40)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다.
또한, 고정 수단(5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수단(40)과 연동된 래크(34)와, 상기 래크(34)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32, 33)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수단(50)은 모터(20)와 기어부(30)의 작동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4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차량의 내외부로 직선운동 하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50)의 상부에는 래크(34)가 직선 운동하고, 그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이동 홈(5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홈(52) 양측에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충격 흡수부재(53)가 부착되어 있어 래크(34)가 이동할 때 충격을 완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고정 수단(50)에 부착된 충격 흡수부재(53)에는 계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위치 확인 스위치(54, 55)가 부착되어 있어, 래크(34)가 이동하여 상기 위치 확인 스위치(54, 55)에 접촉함에 따라서 사이드 스탭의 작동 상태를 계기판에 설치된 도어 개폐 표시부(93)를 통해서 표시해준다.
즉, 상기 래크(34)가 위치 확인 스위치 (54)에 접촉되면 상기 도어 개폐 표시부(93)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보여서 발판(60)이 돌출되어 있음을 운전자가 알아차릴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래크(34)가 위치 확인 스위치 (55)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과는 반대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발판(60)은 상기 구동 수단(40)과 연결되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차량의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구동 수단(40)이 차량의 외측으로 작동됨과 동시에 차량의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60)이 원위치로 퇴거할 때, 그에 의한 고정 수단(50)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수단(50) 전방 소정의 위치에 패드(8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패드(80)는 물이나 기름 등의 이물질이 고정수단(50)과 래크(34) 사이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밀봉 역할도 한다.
상기 커버(70)는 상기 슬라이딩 사이드 스텝을 덮어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사이드 스텝에 다수의 모터(20)와, 다수의 기어부(30)와, 다수의 구동 수단(40) 및 다수의 고정 수단(5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회로도를 통해서 보인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을 수동으로 돌출/퇴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온(ON)/오프(OFF)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유닛(97)과 모터(20) 사이에 설치된 온/오프 스위치를 작동시킨 후 계기판에 있는 돌출 표시 버튼(91) 또는 퇴거 표시 버튼(92)을 누른 후 리미트 스위치(94, 95)를 접속시켜서 모터(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발판을 돌출 또는 퇴거시킨다.
또한, 운전자는 계기판에 설치된 도어 개폐 표시부(93)를 통해서 발판(60)의 돌출 또는 퇴거 여부를 판단하여 리미트 스위치(94, 95)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운전자가 온/오프 스위치(90)를 작동시키지 않더라도 도어 스위치들(96-1, 96-2, 96-3, 96-4)에 의해 발판(60)이 자동으로 돌출 또는 퇴거된다.
이 때에도, 운전자는 계기판에 있는 도어 개폐 표시부(93)를 통해서 발판(60)의 돌출 또는 퇴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작동 상태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탑승객이 차량에 승하자하기 위해서 도어를 열면,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모터(20)는 전기 신호를 받아서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32, 33)을 회전시킨다. 회전된 피니언(32, 33)에 의해 그와 맞물린 래크(34)는 상기 피니언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딩 형태인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직선운동에 의해 그와 연동된 구동 수단(40)은 차량의 외측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상기 구동 수단(40)과 연결되어 있는 발판(60)이 차량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된다(도 6 참조).
이렇게 발판(60)이 차량의 도어 아래로 돌출하게 되면 탑승자는 상기 발판(60)을 밟고서 아무런 어려움 없이 차량에 탑승하거나 내릴 수 있다.
반대로, 차량의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모터(20)는 역회전하여 돌출되었던 사이드 스텝을 원위치로 퇴거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이용하면, 탑승객이 차량에 승하차시에만 발판을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기 때문에 좁은 길에서 장애물에 걸리지 않게 하고, 불필요한 공기저항으로 인한 연료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승하차시 충분한 발판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노약자나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높은 탑승 위치로 오를 경우 매우 편리하게 발판을 밟고서 탑승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성이 전혀 발생하지 않은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돌출 및 퇴거장치의 기어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돌출 및 퇴거장치의 기어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돌출 및 퇴거장치가 장착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된 차량의 사시도.
도 7은 운전자에 의해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이 돌출/퇴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판 20: 모터
22: 회동축 30: 기어부
32: 제1 피니언 33: 제2 피니언
34: 래크 36: 제1 기어
37: 고정봉 38: 제2 기어
40: 구동 수단 50: 고정 수단
52: 이동 홈 53: 충격 흡수부재
54, 55: 위치 확인스위치 60: 발판
70: 커버 80: 패드
90: 온/오프 스위치 91: 돌출 표시 버튼
92: 퇴거 표시 버튼 93: 도어 개폐 표시부
94, 95: 리미트 스위치
96-1, 96-2, 96-3, 96-4: 도어 스위치
97: 유닛

Claims (8)

  1. 차량의 최하부에 장착된 기판(10);
    상기 기판(10) 상에 설치되어서 회전운동을 일으키는 모터(20);
    상기 모터(2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어부(30);
    상기 기어부(30)의 직선운동에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수단(40);
    상기 기판(10)에 고정되고, 상부에 이동 홈(52)을 구비하며, 상기 구동 수단(40)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감싸고 있는 고정 수단(50);
    상기 구동 수단(40)과 연결된 발판(60); 및
    커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발판(60)을 돌출 또는 퇴거시키기 위한 온(ON)/오프(OFF) 스위치(90)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30)는,
    상기 모터(20)의 회동축(22)에 연결된 제1 기어(36);
    상기 제1 기어(36)와 맞물린 제2 기어(38);
    상기 제2 기어(38)와 일체로 형성된 제1 피니언(32); 및
    상기 제1 피니언(32)과 맞물려서 직선운동하는 래크(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30)는,
    상기 모터(20)의 회동축(22)에 연결된 제2 피니언(33); 및
    상기 제2 피니언(33)과 맞물리고 상기 고정 수단(50)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직선 운동하는 래크(3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발판에는 다수의 모터(20)와, 다수의 기어부(30)와, 다수의 구동 수단(40)과, 다수의 고정 수단(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의 전방부에는 패드(8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50)의 이동 홈(50) 양 측에는 각각 위치 확인 스위치(54, 55)가 장착된 충격 흡수부재(5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34)의 양 단부에는 충격 흡수부재(53)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1020040039125A 2004-05-31 2004-05-31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200501139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25A KR20050113960A (ko) 2004-05-31 2004-05-31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125A KR20050113960A (ko) 2004-05-31 2004-05-31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960A true KR20050113960A (ko) 2005-12-05

Family

ID=3728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125A KR20050113960A (ko) 2004-05-31 2004-05-31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396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14B1 (ko) * 2006-06-10 2007-09-28 김문건 차량용 보조 사이드 스텝
US9056583B2 (en) 2013-08-09 2015-06-16 Hyundai Motor Company Oper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of side step of vehicle
US9174581B2 (en) 2013-05-07 2015-11-03 Hyundai Motor Company Door step device for vehic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914B1 (ko) * 2006-06-10 2007-09-28 김문건 차량용 보조 사이드 스텝
US9174581B2 (en) 2013-05-07 2015-11-03 Hyundai Motor Company Door step device for vehicle
US9056583B2 (en) 2013-08-09 2015-06-16 Hyundai Motor Company Operating apparatus and operating control method of side step of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9440B (zh) 可动的图像记录装置及设有这种装置的车辆
JP4806826B2 (ja) 自動車のフード押上装置
US20130170241A1 (en) Handle of an opening element of a vehicle, comprising a grip part
EP2055869B1 (en) Handle assembly
JP6929688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501897A (ja) 地下鉄乗り場の安全足場
CN110509855B (zh) 一种伸缩踏板装置及车辆
KR20050113960A (ko)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JP5828054B1 (ja) プラットホーム用乗降通路開閉装置
CN107031507B (zh) 汽车门锁触发安全系统及其工作方法
KR100558874B1 (ko)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100626692B1 (ko)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100349937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장치
KR102141466B1 (ko)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JP4784911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2004182120A (ja)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CN113085743B (zh) 车载显示器件
KR20050113958A (ko)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JP4168902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の防雨装置
JP2004182141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60131576A (ko)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KR100762791B1 (ko) 차량용 발판장치
KR200246618Y1 (ko) 루프 장착형 카 텔레비젼
JP200415526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