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791B1 - 차량용 발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발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791B1
KR100762791B1 KR1020060065951A KR20060065951A KR100762791B1 KR 100762791 B1 KR100762791 B1 KR 100762791B1 KR 1020060065951 A KR1020060065951 A KR 1020060065951A KR 20060065951 A KR20060065951 A KR 20060065951A KR 100762791 B1 KR100762791 B1 KR 100762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ive
tray
case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5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494A (ko
Inventor
한봉천
김원희
Original Assignee
마노자동차(주)
김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노자동차(주), 김원희 filed Critical 마노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060065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27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발판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발판장치는 차량의 도어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차량용 발판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하부 차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구동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 트레이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감속 트레이를 구비하는 감속 실린더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 트레이 및 감속 트레이와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발판장치는 도어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에 연동하여 발판을 자동 출몰시키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몰 동작 외부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차량, 발판, 실린더, 안전

Description

차량용 발판장치 {STEP DEVICE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실시되는 차량을 나타낸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3의 "A-A"선을 나타낸 동작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3의 "B-B"선을 나타낸 동작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의 안전모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 10 : 발판
20 : 케이스 21 : 구동모터
22 : 구동휠 23 : 종동휠
24 : 와이어 25 : 구동 트레이
26,27 : 전·후 감지센서 28 : 감속 실린더
29 : 감속 트레이 30 : 브라켓트
31 : 안전 감지센서 32 : 안전레버
33 : 안전 감지봉 s : 도어 스위치
본 발명은 차량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시 출입문 하측에 마련된 발판이 외측으로 자동 돌출되게 하여 승하차시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주행시에는 발판이 차량의 하측으로 이동되게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는 차량용 발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승합차와 같은 다인승 차량은 차체가 높아 사용자들의 승하차시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 상당한 주의를 필요로 하였다.
특히, 학교, 유치원, 보육시설, 체육시설 또는 각종 학원에서 운영하는 차량은 교통환경에 취약한 노약자, 특히 대부분의 경우에는 어린이들은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차량에 어린이 신체에 알맞은 승강구용 보조 발판, 표시등 등을 설치한 후에 구조변경 검사 및 허가를 받거나 이에 따른 신고필증을 비치하고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다인승 차량은 그 출입구 측에 승하차시 사용되는 출입발판이 마련되어져 있는데 이러한 출입발판은 차량의 차체가 높은 이유로 인하여 지면으로부터 출입발판 역시 매우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거동이 부자유스러운 노 약자나 신장이 작은 어린이들은 상기 차량을 이용할 경우 출입발판을 딛고 오르내리기가 매우 힘들고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자칫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어린이 보호차량과 같은 승합차에는 출입문과 동일 선상이 되는 차체하측부로 절첩 가능토록한 보조발판을 구성하여 승,하차시 사용자의 안전과 편리를 도모케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조발판은 단순히 차량의 하측부에 절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해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승하차시 매번 보조발판을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보조발판이 펼쳐진 상태에서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출발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발판이 보행자를 추돌하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노약자 또는 어린이 보호 차량에 도어 개폐시 저상고의 발판을 자동으로 출몰되게 하여 안전한 승하차를 보장하는 것에 의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발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는, 차량의 도어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차 량용 발판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하부 차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구동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 트레이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감속 트레이를 구비하는 감속 실린더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 트레이 및 감속 트레이와 결합되는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발판의 출몰 방향에 대해 케이스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구동휠을 구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케이스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종동휠과, 상기 구동휠과 종동휠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에 구동 트레이가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도어 스위치에 연결되어 개폐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발판은 구동 트레이 및 감속 트레이와 나사 부재로 결합되는 구성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휠과 종동휠의 일측으로 근접되는 위치에 구동 트레이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전·후 감지센서가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상기 발판의 하측에 출몰방향으로 구비되는 길이재의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안전 감 지센서와,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후방향 회동시 안전 감지센서를 동작시키는 안전레버와, 상기 안전레버에 일단이 접촉 연결되고 타단은 발판의 내측 양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판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외부물체의 접촉시 안전레버를 후방향 회동시키는 안전 감지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실시되는 차량을 나타낸 외관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적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의 요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발판장치는 대형 버스나 승합차량 등 다양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어린아이들의 교통수단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승합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도어 차량(1)에(1)는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s)가 구비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도어 스위치(s)의 개폐신호에 연동하여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s)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므로 그 형태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용 발판(10)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용 발판(10)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차량(1)의 하부 차체에 용접 또는 나사 부재 등으로 결합 고정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생성하는 구동수단과, 그리고 구동수단에 의해 차폭 방향으로 출몰하는 발판(10)으로 구성된다.
케이스(20)는 구조적인 강성이 우수한 합금재로 성형되며, 장방형의 상자 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20)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가운데 부분에 구동수단이 배치되고 그 일측으로는 발판(10)의 돌출 동작시 외부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안전수단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케이스(20)는 발판(10)을 차폭 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게 가이드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각종 구성품을 내장하게 되며, 차량(1)의 크기나 발판(10)의 위치에 따라 그 크기나 높이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구동수단은 케이스(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판(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크게 상기 발판(10)의 출몰 방향에 대해 케이스(2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1)를 구비하며, 이때의 상기 구동모터(21)는 출력축에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정·역 방향 회전하는 구동휠(22)이 축결합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휠(22)에 대향하는 위치 즉, 케이스(20)내의 전방측에는 종동휠(2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며, 상기 구동휠(22)과 종동휠(23)은 와이어(24)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와이어(24)의 일단에는 후술할 발판(10)과 결합되어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 트레이(25)가 결합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21)는 컨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단속되는데, 이때의 상기 컨틀로러는 도어 스위치(s)의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구동모터(21)의 동작을 실시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이외에도 후술할 안전수단의 안전 감지센서(31) 및 전·후 감지센서(26,27)의 감지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 트레이(25)의 진행 방향에 대해 그 양측으로 감속 실린더(28)가 설치되며, 이때의 상기 감속 실린더(28)는 구동 트레이(25)와 대동소이한 형태를 갖는 감속 트레이(29)가 설치되어 상기 발판(10)의 출몰 동작시 안정된 감속을 실시하면서 발판(10)에 대한 안정된 지지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휠(22)과 종동휠(23)의 일측으로 근접되는 위치에 구동 트레이(25)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전·후 감지센 서(26,27)가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때의 상기 전·후 감지센서(26,27)는 포토센서, 레이저센서, 리미트 스위치 등 다양한 스위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구동수단은 도어 스위치(s)로부터 도어의 개폐신호가 인가되면 구동모터(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시작하게 되며, 이러한 구동모터(21)의 회전에 의해 구동휠(22)과 종동휠(23)이 와이어(24)로 연동하면서 구동 트레이(25)를 차폭 방향으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발판(10)은 상술한 케이스(20)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재로서 실질적으로 탑승자가 발로 딛는 부분으로서, 상술한 구동 트레이(25) 및 감속 트레이(29)와 용접 또는 다수의 나사 부재로 결합되어 일체로 연동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발판(10)은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외부의 물체가 접촉하게 되면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1)의 동작을 단속하여 발판(10)의 출몰동작을 멈추도록 하거나 또는 후퇴시키도록 하는 안전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안전수단은 상기 발판(10)의 하측에 출몰방향으로 용접으로 구비되는 길이재의 브라켓트(30)를 구비하며, 이 브라켓트(30)의 전방측에 리미트 스위치 또는 푸쉬버튼 형태를 갖는 안전 감지센서(3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후방향 회동시 안전 감지센서(31)를 동작시키는 안전레버(32)와 상기 안전레버(32)에 일단이 접촉 연결되고 타단은 발판(10)의 내측 양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발판(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외부물체의 접촉시 안전레버(32)를 후방향 회동시키는 안전 감지봉(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전수단은 발판(10)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될 때 외부 물체가 안전 감지봉(33)에 접촉하게 되면, 이 안전 감지봉(33)이 안전레버(32)를 후퇴시키면서 안전 감지센서(31)를 동작시켜 구동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1)용 발판(10)장치의 작동 상태를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의 도어가 개방되면 컨트롤러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1)를 일방향 구동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구동 트레이(25)가 차폭 방향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 트레이(25)와 결합된 발판(10) 역시 일체로 연동하여 이동을 이루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발판(10)은 감속 실린더(28)에 연결된 감속 트레이(29)와 결합되는 구성에 의해 급격한 이동이 방지되면서 발판(10)의 좌·우 밸런스를 안정되게 유지시킨다.
한편, 상기 발판(10)이 완전하게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면 전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에 의해 발판(10)의 출몰 동작이 종료된다.
이와 반대로 탑승이 완료된 상태에서 차량(1)의 도어를 닫게 되면, 상기 구동모터(21)가 역방향으로 구동되면서 발판(10)이 케이스(20)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후 감지센서에 구동 트레이(25)가 감지되면 발판(10)의 후퇴 동작이 종료된 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1)용 발판(10)장치의 안전모드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발판(10)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 이동될 때 외부 물체가 발판(10)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상기 안전 감지봉(33)이 발판(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이므로 외부 물체에 의해 후방향으로 압력을 받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안전레버(32)가 후 방향 회동하면서 안전 감지센서(31)를 동작시키므로 결과적으로 발판(10)의 출몰 동작이 정지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차량용 발판장치는 도어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에 연동하여 발판을 자동 출몰시키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몰 동작 외부 물체를 감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6)

  1. 차량(1)의 도어 하단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s)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차량용 발판장치에 있어서,
    차량(1)의 하부 차체에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내에 설치되어 차폭 방향으로 구동 트레이(25)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20)의 상면을 커버하면서 차폭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구동 트레이(25) 및 이 구동 트레이(25)를 기준으로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 설치되어 발판(10)의 출몰 속도를 감속시키는 실린더 구동방식으로 된 감속실린더(28)를 구비한 감속트레이(29)와 결합되는 발판(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발판(10)의 출몰 방향에 대해 케이스(20)의 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어신호를 받아 선택적으로 회전하는 구동휠(22)을 구비하는 구동모터(21)와;
    상기 케이스(20)내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종동휠(23)과;
    상기 구동휠(22)과 종동휠(23)을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에 구동 트레이(25)가 연결된 와이어(24)와;
    상기 도어 스위치(s)에 연결되어 개폐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2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은 구동 트레이(25) 및 감속 트레이(29)와 나사 부재로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차량용 발판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휠(22)과 종동휠(23)의 일측으로 근접되는 위치에 구동 트레이(25)를 감지하여 컨트롤러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전·후 감지센서(26,27)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10)의 하측에 출몰방향으로 구비되는 길이재의 브라켓트(30)와;
    상기 브라켓트(3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안전 감지센서와;
    상기 브라켓트(3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고 탄성체에 의해 직립상태를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후방향 회동시 안전 감지센서(31)를 동작시키는 안전레버(32)와;
    상기 안전레버(32)에 일단이 접촉 연결되면서 발판(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구비되어 외부물체의 접촉시 안전레버(32)를 후방향 회동시키는 안전 감지봉(3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발판장치.
KR1020060065951A 2006-07-13 2006-07-13 차량용 발판장치 KR100762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51A KR100762791B1 (ko) 2006-07-13 2006-07-13 차량용 발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5951A KR100762791B1 (ko) 2006-07-13 2006-07-13 차량용 발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94A KR20060087494A (ko) 2006-08-02
KR100762791B1 true KR100762791B1 (ko) 2007-10-09

Family

ID=3717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5951A KR100762791B1 (ko) 2006-07-13 2006-07-13 차량용 발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27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081B1 (ko) * 2015-10-12 2016-04-11 허재원 뒤틀림 강성을 개선한 체인 구동 기반의 차량 장착용 슬라이딩 보조발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93A (ja) * 1996-06-19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復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復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方法、及びディジタル情報復号化方法
JP2004022025A (ja) * 2002-06-13 2004-01-22 Hitachi Ltd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磁気記憶装置
KR100509719B1 (ko) * 2004-12-30 2005-08-23 (주)성진전자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693A (ja) * 1996-06-19 1998-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復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復号化装置、ディジタル情報符号化方法、及びディジタル情報復号化方法
JP2004022025A (ja) * 2002-06-13 2004-01-22 Hitachi Ltd 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磁気記憶装置
KR100509719B1 (ko) * 2004-12-30 2005-08-23 (주)성진전자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8-01369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20-0422025호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10-0509719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8081B1 (ko) * 2015-10-12 2016-04-11 허재원 뒤틀림 강성을 개선한 체인 구동 기반의 차량 장착용 슬라이딩 보조발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494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7150C (zh) 带有活动地板的封闭式二轮摩托车
US8028375B2 (en) Pinch prevention structure of slide door
KR100762791B1 (ko) 차량용 발판장치
JP2003182511A (ja) 車両フード跳ね上げ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71573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0762789B1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KR101886446B1 (ko) 차량용 발판의 안전바 장치
JP3307581B2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乗降装置
JP3747691B2 (ja) 跳ね上げフード
JP3812885B2 (ja)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の転落防止装置
KR100401673B1 (ko)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JP2003089362A (ja) 自動車のフード構造
JP2003220973A (ja) 車両フード跳ね上げ装置
KR200206623Y1 (ko) 자동차 후방용 안전미러
JPH0361120A (ja) 車両の危険防止装置
KR100216035B1 (ko) 자동차용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JP4087752B2 (ja) 車両用フロアリフト装置
JP2005007907A (ja) 車両用乗降ステップ装置
JPH035125Y2 (ko)
JP2004155265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ハンドル装置
JP4174021B2 (ja) 車両用フロア装置
KR200270308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JP2005193782A (ja) 乗降補助装置
KR200273380Y1 (ko) 차량용 안전장치
KR100219367B1 (ko) 자동차 윈도우 작동 핸들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