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9719B1 -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9719B1
KR100509719B1 KR1020050020987A KR20050020987A KR100509719B1 KR 100509719 B1 KR100509719 B1 KR 100509719B1 KR 1020050020987 A KR1020050020987 A KR 1020050020987A KR 20050020987 A KR20050020987 A KR 20050020987A KR 100509719 B1 KR100509719 B1 KR 100509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caffold
controller
auxiliary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일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성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전자 filed Critical (주)성진전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7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9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mo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용 보조 발판에 있어서, 자동 또는 수동모드의 설정과 작동상태의 표시 및 보조 발판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패널; 상기 제어패널의 설정과 각종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작동하는 보조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인 바, 교통 환경에 취약한 어린이나 교통약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of Auxiliary Scaffol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환경에 취약한 어린이나 노약자의 편의를 위한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유치원, 보육시설, 체육시설 또는 각종 학원에서 운영하는 차량은 교통환경에 취약한 노약자, 특히 대부분의 경우에는 어린이들을 운송하는 것으로, 이러한 차량은 어린이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차원에서 차량에 어린이 신체에 알맞은 승강구용 보조 발판, 표시등 등을 설치한 후에 구조변경 검사 및 허가를 받거나 이에 따른 신고필증을 비치하고 운행하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어린이 보호차량은 11인승 이상의 승합차로서 종합보험의 가입과, 학교나 학원의 소유, 그리고 전체 색상이 황색이어야 하고, 차량에 안전시설을 설치하여 어린이 보호차량으로 신고된 차량이어야 한다.
이러한 차량은 도로교통법에 의하여 특별보호를 받아야 하고, 자동차 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하여 해당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에 대하여 안전에 소홀하거나 기준에 미달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즉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면서 어린이들이 승하차하는 동안에 전방이나 후방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정도로 경고를 하여야 하고, 어린이의 신체에 적합한 보조 발판을 운용할 수 있어야 하지만, 이를 무시하거나 정확하게 인지할 수 없도록 된 경우에는 안전사고를 발생할 위험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어린이 보호용 차량에 어린이가 용이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어린이의 신체조건에 부합되는 높이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하고 작동하는 보조 발판을 장착하고, 도어의 개폐와 보조 발판의 작동에 따라 전방 및 후방의 보호등을 선택적으로 점멸시켜 어린이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보조 발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차량용 보조 발판에 있어서, 자동 또는 수동모드의 설정과 작동상태의 표시 및 보조 발판의 구동을 설정하는 제어패널과; 상기 제어패널의 설정과 각종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로 작동하는 보조 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발판은 내측면 양단에 레일이 구비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레일상에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발판과,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발판을 출입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정역 회전하고 상기 케이스 저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웜과,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 휠과, 상기 웜 휠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고 발판의 저면에 고정된 랙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제어패널,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 차량의 루프상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 보호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시동스위치의 출력신호 및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경우 컨트롤러가 소정의 경적음이 발생하도록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량내에 운전자가 탑승자의 전원 하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체크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체크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체크스위치로부터 체크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경우 컨트롤러가 소정의 경적음이 발생하도록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판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고, 도 2는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사시도이고, 도 4는 자동 및 수동 겸용 컨트롤러의 제어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은 어린이들이 차량의 보조 발판을 이용하여 승하차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 대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대별하여 제어패널(15)이 구비된 컨트롤러(14)와, 컨트롤러의 제어로 구동하는 보조 발판(20), 그리고 차량(1)의 상단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전방 및 후방 보호등(10, 12)으로 나뉘어진다.
상기 제어패널(15)은 자동 또는 수동모드의 설정과 보조 발판(20)의 작동상태의 표시 및 구동 등을 설정하는 것으로, 컨트롤러(14)의 전면에 장착된 것이다.
그리고 컨트롤러(14)는 상기 제어패널(15)의 설정과 각종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컨트롤러(14) 차량의 내부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 및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장착된다.
보조 발판(20)은 상기 컨트롤러(14)의 제어로 작동하는 것으로, 보조 발판(20)은 도어의 하단, 즉 차량에 승하차를 위한 지점의 하단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승하강 위치가 일반인을 기준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린이와 같이 신장이 작은 경우에는 승하강 위치가 상대적으로 높아 승하차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승하강 위치의 하단에 설치해야 한다.
상기 보조 발판(20)은 내측면 양단에 레일(25, 26)이 구비된 케이스(24)가 구비되고, 케이스(24)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부(27)를 통하여 발판(29)이 출입할 수 있도록 발판(29)이 구비되며, 발판(29)의 측면에는 케이스(24)의 양단에 설치된 레일(25, 26)에 가이드바(30, 31)가 결합되어 있다. 케이스(24)는 도 3과 같이 금속판을 절곡하여 직육면체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발판(29)의 상면에는 승하차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 패드가 장착되고, 미끄럼 방지 패드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이 적용되며, 복수의 요철이나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24)의 하단에 도 3과 같이 고정판(32)이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32)의 상면에는 발판(29)을 출입시키는 구동부재(3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24)의 저면 및 배면에는 커버(39)가 결합된다.
상기 고정판(32)에 고정된 구동부재(33)는 컨트롤러(14)의 제어신호로 정역 회전하는 모터(34)가 구비되고, 모터(34)의 회전축에는 웜(35)이 장착되며, 웜(35)은 웜(35)과 치합되는 웜 휠(36)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웜 휠(36)의 회전축에는 피니언(37)이 결합되고, 피니언(37)과는 랙(38)이 치합되며, 랙(38)은 발판(29)의 저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발판(20)은 케이스(24) 내를 왕복운동하면서 출입하는 발판(29)이 구비되고, 발판(29)은 고정판(32)에 고정된 구동부재(33)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부재를 모터 등으로 구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발판을 케이스로부터 출입시킬 수 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은 상기 보조 발판의 제어와 동시에 차량의 도어의 개폐작동을 감시하고,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된 경고를 위하여 설치된 보호등의 점멸 및 소등도 제어하게 된다.
보조 발판은 기본적으로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수동으로 해당하는 작동을 조작할 수도 있다.
즉 도 4의 컨트롤러(14)의 제어패널(15)은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스위치(40)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작동상태는 복수의 표시램프(42)를 통하여 가시적으로 표시하며, 멜로디 선택스위치(44)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절환하여 작동상태를 운전자가 가청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동모드에서 발판(29)의 출입은 출입스위치(46)를 선택함으로서 보조 발판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수동모드에서는 복수의 조작스위치(48)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해당 작동을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컨트롤러의 제어패널은 도 5에서, 제어패널(15)은 전원스위치(50)의 조작으로 보조 발판 및 전방 보호등(10) 및 후방 보호등(12)의 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부가적으로 발판 작동스위치(56)의 작동에 의하여 발판(29)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정차스위치(52)의 작동에 의하여 모든 작동상태를 해지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작동상태는 복수의 표시램프(54)의 점등 및 소등으로서 인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스피커(58)가 내장되어 있어 작동에 따른 멜로디가 출력된다.
도어램프 스위치(17)는 도어의 상단에 장착된 도어램프(18)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고, 전원공급수단(19)은 차량용 배터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의 작동상태를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시동스위치를 구동시켜 차량을 기동시킨다(S10). 차량이 기동되면 컨트롤러(14)의 전원을 온시킨다(S11). 이때, 컨트롤러(14)의 전원이 차량의 시동과 동시에 온상태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과 수동의 겸용의 컨트롤러(14)일 경우에는 자동모드인지 수동모드인지를 설정한다(S12). 운전자가 수동모드로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해당하는 작동에 대하여 조작스위치(48)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S13).
그러나 운전자가 도 4의 제어패널(15)에서 선택스위치(40)를 자동모드로 설정한 경우에는 도 5와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모드일 경우에는 도 4와 도 5의 작동을 동일하게 설명한다.
한편, 선택스위치(40)가 자동모드이거나 도 5의 전원스위치(50)가 온상태인 경우이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16)가 온상태인지를 먼저 판단한다(S14). 즉 차량의 운행 도중에 승차 또는 하차를 위하여 도어를 개방하게 되면 도어 스위치(16)가 온상태가 된다. 도어 스위치(16)가 온상태가 되면, 도어램프(18)는 점등되고, 전방 보호등(10) 및 후방 보호등(12)의 적색 보호등(10a, 10d) 및 (12a, 12d)이 점멸된다(S15).
그리고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컨트롤러(14)의 제어신호로 구동부재(33)의 모터(34)가 작동하게 된다. 이는 도 6a 및 6b에서 모터(34)의 회전축에 결합된 웜(35)이 정회전하면 웜(35)과 치합된 웜 휠(36)이 회전을 하게 되고, 웜 휠(36)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37)이 회전하게 되고, 피니언(37)과 랙(38)의 치합에 의하여 발판(29)의 랙(38)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보조 발판(20)의 발판(29)이 배출되게 된다(S16). 그리고 발판(29)의 배출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데(S17), 발판(29)의 배출은 컨트롤러(14)가 구동부재(33)을 구동시키면서 일정시간, 예를 들어, 5초 내지 10초를 카운트하여 발판(29)의 배출을 완료하게 된다. 이는 컨트롤러(14)에 설정된 값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발판(29)의 배출과 동시에 전방 보호등(10) 및 후방 보호등(12)의 황색 보호등(10b, 10c) 및 (12b, 12c)이 소등되고, 적색 보호등(10a, 10d) 및 (12a, 12d)이 점멸된다(S18). 황색 보호등(10b, 10c) 및 (12b, 12c)의 점멸은 전방 또는 후방에서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주의를 요구하는 것이고, 적색 보호등(10a, 10d) 및 (12a, 12d)이 점멸은 보다 더 주의를 요하는 경고를 요구하는 것이다.
발판(29)의 배출 후에 차량의 승강구를 통하여 탑승이나 하차가 이루어지고(S19), 컨트롤러(14)는 도어 스위치(16)가 오프되는 지를 감지하게 된다(S20). 도어 스위치(16)가 오프상태가 되면 도어램프(18)는 소등되고, 적색 보호등(10a, 10d) 및 (12a, 12d)은 소등되고, 황색 보호등(10b, 10c) 및 (12b, 12c)은 점멸상태가 된다(S21). 그리고 컨트롤러(14)의 제어로 구동부재(33)가 구동되어 배출된 발판(29)의 삽입이 이루어진다(S22). 구동부재(33)의 구동은 상기 발판(29)이 배출될 때와 반대로 모터(34)의 역회전과, 모터(34)의 회전축에 결합 및 치합된 웜(35)과 웜 휠(36), 그리고 피니언(37)과 랙(38)의 작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 후에 컨트롤러(14)는 발판(29)의 삽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 발판(29)의 케이스(24) 내로 삽입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는 도 7a 및 도 7b의 작동도에서, 케이스(24)의 프레임(28) 일측에 장착된 감지센서(21)의 작동에 의하여 컨트롤러(14)가 이를 인식하게 되어 구동부재(33)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즉 발판(29)이 케이스(24) 내로 삽입될 때, 발판(29)의 전면의 패널이 케이스(24)의 프레임(28)에 장착된 감지센서(21)를 누르면, 컨트롤러(14)는 이를 인식하게 되어 구동부재(3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다. 한편 도 7a 및 도 7b에서는 상기 감지센서를 푸쉬버튼 스위치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리미트 스위치, 근접센서 또는 광전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컨트롤러(14)는 보조 발판(20)의 발판(29)이 케이스 내로 삽입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한다(S23). 점멸중인 황색 보호등(10b, 10c) 및 (12b, 12c)을 일정시간후 소등시킨다(S24). 그리고 차량이 주행중인지를 판단하고(S25), 주행중일 경우에는 제어패널(15)의 표시램프(42)를 통하여 주행중임을 표시하게 된다(S26).
한편, 상기 단계를 통하여 발판(29)의 출입 중에는 멜로디 음이 발생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청각적인 주의를 요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운전자는 본 발명의 차량의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의 이용시에 보조 발판의 작동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패널(15)의 표시램프(42, 54)의 점등과 소등, 그리고 멜로디 음 등을 보다 주의 깊게 살펴야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14)는 차량의 키박스내의 시동스위치(64)의 온(ON)/오프(OFF) 출력신호 및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21)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클락션(klaxon) 등의 경적음 발생부재(66)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발판(29)이 케이스(24)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차량 운전자가 차량의 시동을 오프(OFF)한 체 오랜시간동안 정치 또는 주차시킨 경우 인출된 발판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거나 인출된 발판에 의하여 보행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상태로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4)가 경적음이 발생하도록 경적음 발생부재(66)를 제어하여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고 발판(29)을 인입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컨트롤러(14)가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33)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이 자동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어린이를 운송하는 스쿨버스가 대형 버스인 경우 앞좌석의 등받침부재에 좌석에 앉아 있는 어린이가 가려 운전자가 좌석에 어린이가 앉아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대형버스의 경우 운전자가 주의깊게 어린이들의 승차 및 하차여부를 확인하지 않는 이상 어린이가 특정장소에서 승차 및 하차를 했는지를 알 수 없으며,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아니하고 특정장소에서 어린이를 하차시켜주지 못한 경우 다시 그 특정장소로 돌아가야하는 번거로움 및 돌아가는 동안 학부모에게 근심/걱정을 끼쳐드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탑승 어리인 중 일부 어린이가 하차하지 않은 사실을 모른 체 버스를 주차장 등에 주정차 시킬 경우에는 보다 큰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내에 운전자가 탑승자의 전원 승하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체크스위치(62)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크스위치(62)는 차량의 맨 뒷좌석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차량의 맨 뒤좌석에 상기 체크스위치(62)가 설치된 경우 운전자는 상기 체크스위치(62)를 조작하기 위해 뒷좌석까지 이동을 해야하며,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운전자는 앞좌석부터 맨 뒷좌석에 이르기까지 탑승 어린이의 승하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운전자가 상기 체크스위치(62)를 조작하지 아니하고 차량의 도어를 닫거나 차량의 시동을 오프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14)는 경적음이 울리도록 상기 경적음 발생부재(66)를 제어하여 운전자에게 차량내 탑승객의 승하차여부를 독려함으로써 어린이 등의 탑승객이 장시간 동안 차량내에 갇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다시 특정 장소로 차량을 운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크스위치(62) 대신에 전좌석에 탑승객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장착하여 운전자가 간편하게 탑승객의 승하차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은 교통안전에 취약한 어린이용 보호 차량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된 보조 발판의 자동제어 및 보호등에 의한 주의 및 경고 등을 통하여 어린이용 보호차량의 안전유지와 보조 발판에 의한 승하차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운전자에게 보다 향상된 차량의 운행 및 안전을 제공한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보조 발판을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상에서 구동부재에 의하여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발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모든 차량의 도어부분에 쉽게 장착할 수 있는 등 호환성이 우수하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를 웜이 결합된 모터와, 상기 웜에 웜휠에 의해 연동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고 발판에 고정되는 랙으로 구성함으로써, 발판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케이스로부터 인출 및 케이스내로 인입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발판을 인출, 인입시키는 구동부재에 부하걸리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부재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가 도어스위치, 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 및 전방/후방 보호등을 제어하여, 도어스위치를 작동하여 도어를 연 경우 자동으로 발판이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고, 역으로 도어스위츠를 작동하여 도어를 닫은 경우 자동으로 발판이 케이스내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보조발판을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 개폐와 보조 발판의 작동에 따라 전방 및 후방 보호등을 선택적으로 점멸시켜 어린이, 노약자 등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가 차량의 시동스위치 및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발판이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컨트롤러가 경적음이 울리도록 상기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인출된 발판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할 우려 및 인출된 발판에 의하여 보행자가 부상을 입을 우려가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내에 운전자가 탑승자의 전원 승하차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체크스위치를 구비하여, 상기 체크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 도어를 닫거나 차량의 시동을 오프한 경우 상기 컨트롤러가 일정시간 경과후에 경적음이 울리도록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하여, 어린이 및 노약자 등의 탑승자가 특정 장소에서 승하차하였는지를 주의깊게 확인하도록 운전자에게 독려함으로써 탑승자가 특정 장소에 하차하지 못하여 다시 돌아가야하는 번거로움 및 탑승자가 차량내에 갇히는 사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발판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보조 발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및 수동 겸용 컨트롤러의 제어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전용 컨트롤러의 제어패널을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보조 발판 구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
도 7a 및 도 7b는 보조 발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전방 보호등 12: 후방 보호등
14: 컨트롤러 15: 제어패널
20: 보조 발판 24: 케이스
25, 26: 레일 30, 31: 가이드
32: 고정판 33: 구동부재
34: 모터 35: 웜
36: 웜 휠 37: 피니언
38: 랙 39: 커버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차량의 도어하단에 장착되는 보조발판과, 제어패널 및 각종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보조발판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보조발판에 있어서,
    상기 보조발판은 내측면 양단에 레일이 구비되고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레일상에 슬라이딩 운동을 하는 발판과;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의 개방부로 상기 발판을 출입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정역 회전하고 상기 케이스 저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웜과, 상기 웜과 치합되는 웜 휠과, 상기 웜 휠의 회전축에 결합된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고 발판의 저면에 고정된 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감지센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제어패널, 차량의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부재, 차량의 루프상에 설치된 전방 및 후방 보호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제어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량의 시동스위치의 출력신호 및 상기 발판의 출입정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발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된 경우 컨트롤러가 소정의 경적음이 발생하도록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제어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차량내에 운전자가 탑승자의 전원 승하차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체크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체크스위치의 출력신호에 따라 차량의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체크스위치로부터 체크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차량의 도어가 닫힌 경우 컨트롤러가 소정의 경적음이 발생하도록 경적음 발생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보조발판 제어시스템.
KR1020050020987A 2004-12-30 2005-03-14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KR100509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17043 2004-12-30
KR1020040117043 2004-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719B1 true KR100509719B1 (ko) 2005-08-23

Family

ID=37304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987A KR100509719B1 (ko) 2004-12-30 2005-03-14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7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89B1 (ko) *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KR100762791B1 (ko) *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KR100821687B1 (ko) 2007-05-29 2008-04-14 마노자동차(주) 모터 보호용 회로를 구비한 자동 발판 제어 시스템
CN102424021A (zh) * 2011-11-11 2012-04-25 浙江工业大学 一种越野车电动自动伸缩踏板
KR101262910B1 (ko) * 2012-08-27 2013-05-09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장치
KR101334525B1 (ko) * 2006-12-19 2013-11-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발판선회장치
KR101474470B1 (ko) * 2013-09-16 2014-12-22 이강식 차량 안전운행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28241A (zh) * 2021-10-19 2022-01-14 武汉萨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拖挂类房车操控平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789B1 (ko) *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KR100762791B1 (ko) * 2006-07-13 2007-10-09 마노자동차(주) 차량용 발판장치
KR101334525B1 (ko) * 2006-12-19 2013-11-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발판선회장치
KR100821687B1 (ko) 2007-05-29 2008-04-14 마노자동차(주) 모터 보호용 회로를 구비한 자동 발판 제어 시스템
CN102424021A (zh) * 2011-11-11 2012-04-25 浙江工业大学 一种越野车电动自动伸缩踏板
KR101262910B1 (ko) * 2012-08-27 2013-05-09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장치
KR101474470B1 (ko) * 2013-09-16 2014-12-22 이강식 차량 안전운행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28241A (zh) * 2021-10-19 2022-01-14 武汉萨普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拖挂类房车操控平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9719B1 (ko)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JP2011105163A (ja) 車両用照明装置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56243B1 (ko) 차량 비상등 원터치 자동 점멸 장치
CN108513399B (zh) 一种照地灯装置及照明控制方法
JP6442454B2 (ja) 車両用照明機構
EP1831054B1 (en) Vehicle storage system
KR20230104672A (ko) 차량의 주변 조명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0569849B1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2056726B1 (ko) 차량용 자동발판
KR200415847Y1 (ko)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JP4780091B2 (ja) 車両の照明装置
KR100762789B1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KR200459228Y1 (ko) 차량 도어 개방 경보 장치
KR20120118321A (ko) 어린이통학버스용 보조발판 제어장치
JP4770824B2 (ja) 車両の照明装置
CN201265784Y (zh) 汽车门把手照地灯
KR100788747B1 (ko)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US20040150513A1 (en) Vehicle with alighting passenger signaling capability
CN211166452U (zh) 一种车门警示装置和车辆
KR200492600Y1 (ko)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JP6528348B1 (ja) 機械式駐車装置及び機械式駐車装置の制御方法
JP3055898B1 (ja) 車両用パ―キングランプ操作装置
JP3100024U (ja) 自動車の補助方向指示器兼側面照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