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849B1 -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849B1
KR100569849B1 KR1020040012459A KR20040012459A KR100569849B1 KR 100569849 B1 KR100569849 B1 KR 100569849B1 KR 1020040012459 A KR1020040012459 A KR 1020040012459A KR 20040012459 A KR20040012459 A KR 20040012459A KR 100569849 B1 KR100569849 B1 KR 100569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nsor
child
safety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6107A (ko
Inventor
임광희
강주일
Original Assignee
(주)성진전자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진전자,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성진전자
Priority to KR102004001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98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86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05Holding-devices for laces the devices having means to hold the traditional knots or part of it tightened

Landscapes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의 통학에 사용되는 어린이 운송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린이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방에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한편 차량의 측면을 감시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차량의 내부에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과 측면의 장애물을 경고하는 한편 차량의 내부에 잔여인원이 남아있는 것을 감지해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차량의 정차와 출발 및 후진시에는 측면과 후방에 설치된 감지센서로 장애물을 경고해주도록 하고, 잔여인원의 감지와 경고는 엔진 정지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안에 인원이 남아 있는 상태로 차량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어린이, 통학, 안전사고, 경고

Description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Safety service system of child transport vehicles}
도 1은 기존의 안전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안전운행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감지센서
10,30 : CPU 모듈
20 : 경고장치
본 발명은 어린이의 통학에 사용되는 어린이 운송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린이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 운송차량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종류는 차가 완전히 멈추기 전 에 내리는 경우와 어린이가 완전히 타기 전에 출발하는 경우 및 차가 완전히 정차한 상태라도 문을 열고 내릴 때 문 가까이에 장애물이 있거나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가 달려오는 경우 또는 차량의 앞,뒤에 어린이가 있는 줄 모르고 전,후진 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어린이가 차에 남아 있는 줄 모르고 문을 닫아 어린이가 호흡곤란을 일으키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 또는 승차보조 요원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기울여 차가 완전히 멈춘 후 자전거나 오토바이가 접근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여 문을 열고 하차시켜야 하고, 어린이가 완전히 승차한 후에 출발하여야 하며, 차안에 어린이가 남아있지 않은 상태에서 문을 닫아야 하고, 주차시 후방 상태를 확인하여야 후진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었다.
특히 어린 아기일수록 차속에 혼자 방치하면 안되는 것으로, 어린 아기가 자고 있다고 하여 잠시 차에서 이탈하거나 어린이가 남아 있는지 모르고 문을 잠그고 차를 이탈할 경우 차안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키거나 질식할 염려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어린이 안전교육 실천화, 교사 안전교육 의무화, 보험가입 의무화, 선탑 동승자 배치 등 어린이 통학 차량의 운행에 안전관리 주의가 필요하고, 도로교통법(2001. 12. 31개정)에도 어린이를 운송하는 통학버스는 반드시 신고를 해야하며 반드시 도장 및 안전표시(안전기기, 표시등, 보조발판, 제어기 등)를 해야하는 조항이 강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어린이 통학 차량의 출발에서 도착할 때까지 운전자가 모든 조작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고, 도로교통법에 의한 안전표시인 도장, 표시등, 보조발판, 제어기 및 안전기기 등을 의무사항으로 요구하지만 안전장치를 갖춘 차량도 많지 않아 이로 인한 안전사고가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일부 차량의 경우 차량용 안전시스템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 후방부에 2개의 감지센서(1)(2)를 설치하고, 차량의 내부에 감지센서(1)(2)의 감지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 또는 크락션의 경고장치(20)를 구동시키는 CPU 모듈(10)을 설치한 것이 있으나, 상기된 기존 안전시스템은 어린이 교통사고의 원인 중 하나인 전진이나 후진시 사각지대에 어린이가 있을 때 발생하는 사고에 의한 예방만이 가능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어린이 통학차량의 측면 사각지대와 자전거 및 오토바이의 접근을 감지하는 한편 전방 및 후방의 사각지대를 감지하는 동시에 차내에 어린이가 남아 있는 것을 감지하여 경고해 주도록 하므로서 어린이 안전사고 발생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방에 감지센서를 설치하는 한편 차량의 측면을 감시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차량의 내부에는 인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차량의 후방과 측면의 장애물을 경고하는 한편 차량의 내부에 잔여인원이 남아있는 것을 감지해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차량의 정차와 출발 및 후진시에는 측면과 후방에 설치된 감지센서로 장애물을 경고해주도록 하고, 잔여인 원의 감지와 경고는 엔진 정지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차안에 인원이 남아 있는 상태로 차량을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되어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어 측면 장애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와, 차량의 내부에 감지되어 잔여인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6)를 구비한 후 상기 감지센서(1-6)의 감지신호는 CPU모듈(30)에 인가되어 경고장치(2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차량의 전,후방과 측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2)(3)는 초단파 감지센서(Ultrashort wave sensor)를 이용하고, 차량의 잔류인원을 확인하기 위한 감지센서(4-6)는 열감지 센서(Thermal detector)를 이용하되 상기 감지센서(1-6)는 초단파 센서 또는 열감지 센서 이외의 센서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전방과 후방및 측면의 물체를 감지할 수 있거나 차량 내부의 인원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면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차량의 측면을 감시하는 감지센서(3)는 사이드 밀러에 설치하여 차량의 측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에 남아있는 인원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4-6)는 차량의 의자가 여러 개 놓이는 승합차량의 경우 각 의자 열마다 설치하여 잔류인원의 존재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된 감지센서(1-6)의 출력은 CPU 모듈(3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CPU모듈(30)은 감지센서(1-6)의 감지신호 입력에 의해 경고장치(20)를 제어하 여 크락션이나 스피커를 이용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해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CPU 모듈(30)은 차량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차량의 내부 전원(B+)를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차량의 엔진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CPU 모듈(30)의 작동은 차량의 엔진을 기동시키는 순간부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CPU 모듈(30)을 운전석의 적정장소에 고정 설치하고, 자동차의 밧데리 전원(B+)을 연결하는 한편 감지센서(1-6)를 설치한 후 상기 감지센서(1-6)의 감지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연결하며, 또한 엔진을 작동시키는 기동스위치의 신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크락션이나 스피커에 경고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도록 신호 출력라인을 연결한다.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기동스위치를 작동시켜 차량의 시동을 걸게되는 순간부터 본 발명은 작동을 시작하게 되며, 차량의 후진이나 전진시에는 차량의 전,후방에 설치된 감지센서(1)(2)를 이용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 어린이 및 장애물이 위치하는 가를 감지하여 경고장치(20)로 경고해 줄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전,후진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해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차량의 운행하는 도중에 차량의 주,정차를 위하여 차량을 도로의 우측에 접근시킬 때에는 차량의 우측 사이드 밀러에 설치된 감지센서(3)에서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는 자전거나 오토바이 등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고해 줄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감지센서(3)는 차량이 정차한 후에는 차량에서 어린이가 완전히 하차 하였는지 하차 중인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측면 감지용 감지센서(3)는 차량의 측면에 위치하는 장애물 및 차량에서 하차하는 어린이를 감지하여 경고해 줄 수 있게 되어 장애물이 있는 경우 차량의 문을 열지않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어린이가 내리고 있는 중에는 차량의 문을 닫지 않아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기존에는 차량의 측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승,하차 중에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해서는 사이드 밀러를 보고 감각적으로 파악하게 되는 운전자의 감지능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므로, 뒤에서 달려오는 장애물이나 하차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하게 되는 등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높았으나, 본 발명은 별도의 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의 측면상황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표시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발생을 없앨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에 잔여인원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모르고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 열감지 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센서(4)(5)(6)를 설치하여 차량의 내부에 승차한 인원의 존재여부를 감지센서(4)(5)(6)로 감지하고, 그 결과를 CPU 모듈(30)에 인가시키도록 하며, CPU 모듈(30)에서는 잔여인원이 차량에 있을 경우 경고를 하도록 한다.
잔여인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5)(6)는 한 개의 의자 열마다 하나씩 설치하여 정확히 잔여인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잔여인원의 감지에 따른 경고는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는 경우에 작동하도록 한다.
즉 엔진 시동을 정지한다는 의미는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하는 경우이고 이때 차량의 내부에 잔여인원이 남아 있는 것을 운전자가 인지하지 못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면 잔여인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5)(6)의 출력을 CPU 모듈(30)에서 인식하여 잔여인원이 존재할 경우 경고장치(20)를 구동시켜 운전자에게 잔여인원이 남아 있음을 인식시킴으로서 차량의 내부에 잔여인원이 존재한 상태에서 차량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특히 잔여인원의 감지에 따른 경고는 크락션을 이용하여 경고해 주도록 하여야만 운전자가 정확히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어린이 통학차량에 있어서, 전,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고해 주도록 하여 전,후진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해주도록 하는 한편 측면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고해 주도록 하여 차량의 정차시나 어린이의 하차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해주도록 하며, 또한 차량의 잔여인원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이탈할 때 경고해 주도록 하므로서 차량에 잔여인원이 혼자 남아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어린이 통학차량의 안전사고 발생 요인을 자동으로 사전에 경고해 주도록 하므로서, 어린이 통학차량의 운행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어린이 통학 차량의 내부에 존재하는 잔여인원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5)(6)를 구비하되, 감지센서(4)(5)(6)는 열감지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지센서(4)(5)(6)는 한 개의 의자 열마다 하나씩 설치하며, 상기 감지센서(4)(5)(6)에서 잔여인원이 감지될 때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20040012459A 2004-02-25 2004-02-25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569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59A KR100569849B1 (ko) 2004-02-25 2004-02-25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2459A KR100569849B1 (ko) 2004-02-25 2004-02-25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07A KR20050086107A (ko) 2005-08-30
KR100569849B1 true KR100569849B1 (ko) 2006-04-11

Family

ID=3727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459A KR100569849B1 (ko) 2004-02-25 2004-02-25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98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916B1 (ko) 2017-11-15 2018-07-19 (주)디 넷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 및 경보 장치
KR20190040168A (ko) 2019-04-09 2019-04-17 아바드(주) 통학버스의 안전시스템.
KR20190071649A (ko) 2019-06-12 2019-06-24 아바드(주) 통학버스의 안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활동 준수방법.
KR20200019440A (ko) 2018-08-14 2020-02-24 오주석 통학차량 안전 관리 시스템
KR20200071709A (ko) 2020-06-05 2020-06-19 아바드(주) 통학차량의 인솔교사 또는 운전기사의 안전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00405A (ko) 2021-12-28 2023-07-05 (주)디 넷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13B1 (ko) * 2009-02-05 2009-07-31 강종원 영상 정보를 이용한 어린이 운송차량용 어린이 보호 시스템
KR101482189B1 (ko) * 2013-06-04 2015-01-14 서현택 운송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1602250B1 (ko) * 2014-12-26 2016-03-10 주식회사 한국아이디어연구소 어린이 통학 및 통원용 차량에서의 승하차 확인 및 이력관리를 위한 방법
KR101895999B1 (ko) * 2016-11-25 2018-09-06 (주)넥스트팩토리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장치 및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102017570B1 (ko) * 2018-01-25 2019-09-05 나래아이시티 주식회사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916B1 (ko) 2017-11-15 2018-07-19 (주)디 넷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 및 경보 장치
US10351102B2 (en) 2017-11-15 2019-07-16 Dnet Co., Ltd. Apparatus for sensing remaining passenger in vehicle and generating alarm
KR20200019440A (ko) 2018-08-14 2020-02-24 오주석 통학차량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90040168A (ko) 2019-04-09 2019-04-17 아바드(주) 통학버스의 안전시스템.
KR20190071649A (ko) 2019-06-12 2019-06-24 아바드(주) 통학버스의 안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활동 준수방법.
KR20200071709A (ko) 2020-06-05 2020-06-19 아바드(주) 통학차량의 인솔교사 또는 운전기사의 안전활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00405A (ko) 2021-12-28 2023-07-05 (주)디 넷 차량 내 잔류승객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107A (ko) 2005-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KR101717080B1 (ko)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제어 방법
CN109455139B (zh) 一种基于汽车开门的警示保护装置
KR100569849B1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WO2016004841A1 (zh) 车门保护装置
KR102420218B1 (ko) 하차 승객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10025B (zh) 一种车辆安全起步控制方法及实现该方法的装置
KR20140126928A (ko) 차량용 하차 경고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72653Y1 (ko) 어린이 통학용 차량
KR20200053851A (ko) 통학차량의 슬리핑 차일드 방지 시스템
WO2016004840A1 (zh) 车门保护器
TWI597192B (zh) Car door collision and early warning methods
KR200415847Y1 (ko)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US200900093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moting safe driving
KR200459228Y1 (ko) 차량 도어 개방 경보 장치
KR20170014187A (ko) 통학차량용 동작 감지 시스템
KR200227955Y1 (ko) 탑승자 하차 사전 예고장치
KR100187296B1 (ko) 어린이 탑승객 보호 안전장치
KR20120054821A (ko) 차량 도어 충돌방지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00493U (ko) 자동차의 안전거리 유지 경고장치
TW201442899A (zh) 開門警示系統
KR200488674Y1 (ko) 차량 갇힘 사고 방지 장치
KR0171342B1 (ko) 자동차 탑승객 소지품 분실방지 경보장치
KR200234021Y1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KR19980047796A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