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021Y1 -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021Y1
KR200234021Y1 KR2020010006129U KR20010006129U KR200234021Y1 KR 200234021 Y1 KR200234021 Y1 KR 200234021Y1 KR 2020010006129 U KR2020010006129 U KR 2020010006129U KR 20010006129 U KR20010006129 U KR 20010006129U KR 200234021 Y1 KR200234021 Y1 KR 200234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
present
passengers
turning motor
block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진
조경진
Original Assignee
조은진
조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진, 조경진 filed Critical 조은진
Priority to KR2020010006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021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2)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1)의 타단을 터닝모터(3)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100)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3)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4)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1)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100)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작동구조로 기존의 승합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운송업체는 승객에 대한 일층 향상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여 승객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승객은 본 고안에 의해 오토바이의 접촉사고에 대한 우려에서 벗어나 안심하고 승합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protection of passenger getting off omnibus}
본 고안은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승합차량의 후방 저부에 장착되어 정차시 측면도어의 개방과 동시에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사전에 저지시켜 줌으로서 승합차량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인원이 탑승하게 되는 승합차량 즉, 버스의 경우 정류장에 정차하게 되는 시간이 촉박하기 때문에 승객의 승,하차가 신속히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운전자도 정차된 차량의 백미러를 통해 버스와 보도블럭 사이의 공간에 오토바이나 자전거등의 진입을 유념하여 승객을 안전하게 승,하차시키도록 세심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나 돌발적으로 진입하는 오토바이나 자전거의 접촉에 대해서는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상태이어서 승객의 안전이 항시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서 특허(공개번호) 제1998-04779호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에 의하면 승합차량의 출입문측 후미에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초음파센서와; 상기 초음파센서의 감지값을 처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경고표시등과 경고음발생장치 및 출구를 차단하는 보호장치로 구성되어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공간부로 진입하려는 오토바이 등의 진행을 상기 초음파센서가 감지하여 이를 운전석의 경고표시등으로 출력됨과 동시에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어서 측면도어 내측에 설치된 보호장치가 개방된 측면도어 부위를 차단시켜 줌으로서 승객의 하차를 중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제공된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는 승합차량의 후미와 측면도어의 길이가 그리 길지않은 구간이므로 초음파센서의 감지와 함께 경고표시등이 점등되고 경고음이 발생되며 보호장치가 개방된 측면도어 부위를 차단시켜 주게 되는 일련의 동작이 이루어지기까지 여러단계를 거쳐야 하며 또한 하차중인 승객이 보호장치의 작동에 의해 당황하게 되어 또다른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도 있다.
본 고안은 승합차량의 후방 저부에 장착되어 정차시 측면도어의 개방 과 동시에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용이하게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줌으로서 승합차량에서 승객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의 타단을 터닝모터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와 연결하여 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관련구성을 제공함으로서 승객이 승합차량에서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배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단바아 2 : 안전표시판
3 : 터닝모터 4 : 콘트롤러
본 고안은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2)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1)의 타단을 터닝모터(3)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100)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3)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4)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1)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100)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승합차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정구간만을 왕복하게 되는 터닝모터(3)를 채택하여 이를 승합차량(100)의 후방 저면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터닝모터(3)의 모터축에는 승합차량(100)과 보도블럭 사이의 공간을 용이하게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한 차단바아(1)가 설치되는 바, 상기 차단바아(1)는 일단에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운전자의 주위를 환기시켜 주기 위한 경고성 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2)이 결합되고 있다.
상기 터닝모터(3)는 측면도어의 개폐를 담당하는 콘트롤러(4)와 연결되어 승객의 하차를 위한 측면도어 개방과 동시에 최초 수직상으로 위치된 차단바아(1)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수평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용이하게 차단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운전석에 터닝모터(3)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도시않함)를 설치하여 정차시 차단바아(1)의 선택적인 작동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항시 측면도어의 개방과 함께 동시에 동작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 차단바아(1)는 오토바이 등과 접촉시 잘 손상되지 않는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의 것을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승합차량(100)의 배면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승합차량(100)의 후방 저부에 설치된 터닝모터(3)의 구동에 의해 이에 축설된 차단바아(1)가 승합차량(100)과 일측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용이하게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하여 하차하는 승객이 통로를 주행하는 오토바이 등의 접촉에 의한 상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승합차량(100) 주행시 터닝모터(3)에 설치된 차단바아(1)는 수직의 상태를 유지하다가 정류장에 진입하여 정차하게 되면 측면도어의 개방과 함께 차단바아(1)가 수평의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때에는 차단바아(1)에 의해 상기 통로가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오토바이 등의 진입이 불가능하게 되어 승객의 안전한 하차가 보장되게 된다.
본 고안은 터닝모터(3)를 이용한 간단한 구조의 안전장치를 승합차량(100)의 후방에 간단히 설치하는 것으로서 오토바이 진입으로부터 발생되는 돌발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승객이 편안한 마음으로 승합차량(10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간단한 작동구조로 기존의 승합차량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운송업체는 승객에 대한 일층 향상된 안전서비스를 제공하여 승객의 신뢰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승객은 본 고안에 의해 오토바이의 접촉사고에 대한 우려에서 벗어나 안심하고 승합차량에 승,하차 할 수 있다.

Claims (1)

  1.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2)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1)의 타단을 터닝모터(3)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100)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3)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4)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1)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100)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KR2020010006129U 2001-03-07 2001-03-07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KR200234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129U KR200234021Y1 (ko) 2001-03-07 2001-03-07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129U KR200234021Y1 (ko) 2001-03-07 2001-03-07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811A Division KR20020071651A (ko) 2001-03-07 2001-03-07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021Y1 true KR200234021Y1 (ko) 2001-09-26

Family

ID=7306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129U KR200234021Y1 (ko) 2001-03-07 2001-03-07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51A (ko) * 2001-03-07 2002-09-13 조은진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651A (ko) * 2001-03-07 2002-09-13 조은진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849B1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200234021Y1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US11173831B2 (en) Specific signalling system to warn road users of the imminent opening of vehicle doors
KR200415847Y1 (ko)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KR20020071651A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JP4689578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2003182365A (ja) 自動車の衝突事故防止装置
JPH0361120A (ja) 車両の危険防止装置
KR200291424Y1 (ko) 차량의 도어 오픈 경보 장치
KR100187296B1 (ko) 어린이 탑승객 보호 안전장치
KR200273277Y1 (ko) 차량 내부의 잔여인원 감지시스템
KR0140497Y1 (ko) 자동차의 하차시 충돌위험 방지장치
KR200227955Y1 (ko) 탑승자 하차 사전 예고장치
KR19980047796A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장치
KR20090058661A (ko)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19916A (ko)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탑재된 차량 손잡이
KR0123272Y1 (ko) 자동차의 도어개방시 후방물체감지장치
KR200270308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KR20140101911A (ko)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
KR200213496Y1 (ko) 차량의 도어개방 경고장치
KR20030009002A (ko) 차량문 안전경보시스템
KR19980010780U (ko) 도어 자동 록킹 시스템
KR200161417Y1 (ko) 자동차의 도어개폐시 시건장치
CN111038374A (zh) 一种车辆安全系统
KR200222524Y1 (ko) 자동차 도어 열림 경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