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8661A -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8661A
KR20090058661A KR1020070125353A KR20070125353A KR20090058661A KR 20090058661 A KR20090058661 A KR 20090058661A KR 1020070125353 A KR1020070125353 A KR 1020070125353A KR 20070125353 A KR20070125353 A KR 20070125353A KR 20090058661 A KR20090058661 A KR 20090058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enger
door
getting
infrared senso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5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0551B1 (ko
Inventor
이갑종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5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5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 시에 도어의 문틈에 승객의 옷 등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는, 차량 도어(110)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102)에 고정되는 브라켓(103)과; 상기 브라켓(103)의 외측에 고정되어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21)와; 상기 브라켓(103)의 내측에 고정되는 스텝 램프(122)로 구성되어, 버스와 같은 승합 차량에서 승객의 승하차 과정에서 차량 도어 바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스, 도어, 승하차, 적외선 감지센서, 스텝 램프.

Description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 passe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의 승하차 시에 문틈에 승객의 옷 등이 끼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스와 같은 대형 승합 차량에는 운전자가 직접 도어의 개폐를 조작하게 되며, 이때 운전자가 승하차하는 승객을 인지하지 못하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승하차 시에 차량 도어 안쪽에서 승객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도어 근처에 설치되어 승객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센서는 도어 안쪽에 설치되어 차실 측의 승객만을 감지하게 되므로, 승객의 하차한 후에 도어가 닫히는 과정에서 승객의 옷이나 가방 등의 소지품이 도어에 껴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는 방지할 수가 없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승객이 하차하는 경우에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기 쉬우며, 작은 부주의에 의해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와 같은 승합 차량에서 승객의 승하차 시에 차량 도어 바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는, 차량 도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어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와;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고정되는 스텝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의한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 도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의 외측에 고정되는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어 닫힘 스위치가 작동되고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설정구간 내에서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정구간 내에서 승객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고, 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어를 닫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버스와 같은 승합 차량에서 승객의 승하차 과정에서 차량 도어 바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는, 차량(100)의 도어(110)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102)에 고정되는 브라켓(103)과; 상기 브라켓(103)의 외측에 고정되어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21)와;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고정되는 스텝 램프(12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부호 101은 루프 패널이다.
브라켓(103)은 도어 어패 패널(102)에 고정되는 것으로, 승객의 승하차 시에 조명을 위한 스텝 램프(122)가 고정됨과 동시에 적외선 감지센서(121)를 같이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브라켓(103)에는 스텝 램프에 필요한 배선과 적외선 감지센서로 연결되는 배선들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 적외선 감지센서는 주지의 근적외선 반사식 감지기(Active Infrared Sensor)로서 일정한 범위 내에 승객의 유무를 감지할 수가 있으며, 최근에는 눈, 비, 벌레등의 환경적인 요소의 조절도 가능한 것이 나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고하면, 제1단계는 도어 닫힘 스위치가 작동되고 적외선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과정이다(S10)(S20).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 승객이 하차하게 되면, 운전자는 운전석에 위치한 도어 스위치를 조작하여 도어를 닫게 된다.
이때, 도어 닫힘 스위치의 조작과 함께 적외선 감지센서가 작동한다.
제2단계는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설정구간(A) 내의 승객 유무를 감지하는 과정이다(S30).
적외선 감지센서의 설정구간은 차량의 도어와 인접한 임의의 구간이며, 승객이 위치할 경우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적절 구역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가 있다.
제3단계는 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S31)하며, 이때 경 고음의 출력과 함께 도어 닫힘 스위치에 의한 도어 닫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경고음으로부터 도어 바깥에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음을 인지할 수가 있으며, 적절한 조치 후에 도어 스위치를 재조작하도록 유도할 수가 있다.
한편, 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어 스위치에 의한 도어 닫힘 동작이 이루어진다(S40).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 적외선 감지센서의 설정구간은 다단계로 설정되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은, 도어가 닫힌 후에 적외선 감지센서에 의해 제2설정구간 내에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4단계(S50)와; 제4단계(S50)에서 제2설정구간(B) 내에서 승객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S51)하고, 제2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5단계(S60)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있어 적외선 감지센서는 기본 설정구간(A)과 제2설정구간(B)으로 구분될 수가 있다.
기본 설정구간(A)은 차량 도어와 상당히 인접한 구간을 의미하며, 이 구간에서는 승객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상당히 높으며, 따라서 적외선 감지센서가 기본 설정구간에서 작동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작동(도어의 닫힘)을 중단하고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제2설정구간(B)은 기본 설정구간(A) 바깥의 일정 영역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구간에서는 승객의 안전사고의 우려는 기본 설정구간 보다는 낮으나 이 구간에서 적외선 감지센서가 작동하는 경우에는 운전자로 하여금 주의를 환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를 이용한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도어 102 : 도어 어퍼 패널
103 : 브라켓 121 : 적외선 감지센서
122 : 스텝 램프

Claims (3)

  1. 차량 도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에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어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와;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 고정되는 스텝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2. 차량 도어의 상단에 위치하는 도어 어퍼 패널의 외측에 고정되는 승하차 탑승객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도어 닫힘 스위치가 작동되고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가 작동되는 제1단계와;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로부터 설정구간 내에서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설정구간 내에서 승객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고, 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도어를 닫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후에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에 의해 제2설정구간 내에 승객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제2설정구간 내에서 승객이 감지되면 경고음을 출력하고, 제2설정구간 내에 승객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적외선 감지센서의 작동을 중단하는 제5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70125353A 2007-12-05 2007-12-05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0930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53A KR100930551B1 (ko) 2007-12-05 2007-12-05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5353A KR100930551B1 (ko) 2007-12-05 2007-12-05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661A true KR20090058661A (ko) 2009-06-10
KR100930551B1 KR100930551B1 (ko) 2009-12-09

Family

ID=4098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5353A KR100930551B1 (ko) 2007-12-05 2007-12-05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127B1 (ko) * 2013-12-06 2015-07-14 선우기술 주식회사 차량용 문끼임 감지시스템
KR20190062728A (ko) * 2017-11-29 2019-06-07 에스엘 주식회사 도어 끼임 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552A (ja) * 2001-04-16 2002-10-23 Hitachi Ltd ドア開閉制御装置
KR100520356B1 (ko) * 2003-07-10 2005-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합차량의 도어끼임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5307678A (ja) * 2004-04-26 2005-11-04 Shi Xiong Li 乗り物のドアに使用される検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127B1 (ko) * 2013-12-06 2015-07-14 선우기술 주식회사 차량용 문끼임 감지시스템
KR20190062728A (ko) * 2017-11-29 2019-06-07 에스엘 주식회사 도어 끼임 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551B1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US9308860B2 (en) Passenger protection apparatus using graphic light projection and method thereof
WO2016208086A1 (ja) 車両用窓ガラス昇降装置及び車両
WO2007090152A3 (en) Passenger detection system
CN106934988A (zh) 车辆后排遗留儿童的提醒方法和系统
KR100930551B1 (ko) 승하차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0415847Y1 (ko) 자동차 도어 개방 경보장치
KR20050086107A (ko) 어린이 운송차량의 안전운행 시스템
KR100762789B1 (ko) 차량용 발판장치 제어시스템
CN201872668U (zh) 开车门智能示警及解中控锁的装置
JP7040931B2 (ja) 乗員保護装置
EP2666945A1 (en) A door stop system
KR200459228Y1 (ko) 차량 도어 개방 경보 장치
CN111060976A (zh) 天窗探出检测装置
KR200355804Y1 (ko) 열차 플랫폼 안전장치
KR20080000200U (ko) 엘리베이터 안전 시스템
KR20170014187A (ko) 통학차량용 동작 감지 시스템
CN211206804U (zh) 天窗探出检测装置
KR200234021Y1 (ko) 승합차량의 하차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KR0130819Y1 (ko) 자동차의 도어 오픈 경고등
KR200158325Y1 (ko) 차량용 엔진후드의 열림대비 안전장치
KR100452205B1 (ko) 버스 도어의 안전 개폐방법
KR20140029078A (ko) 옷이 낌을 알려주는 자동차 문의 안전경보장치
KR20130053967A (ko) 자동차의 도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