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600Y1 -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600Y1
KR200492600Y1 KR2020190002376U KR20190002376U KR200492600Y1 KR 200492600 Y1 KR200492600 Y1 KR 200492600Y1 KR 2020190002376 U KR2020190002376 U KR 2020190002376U KR 20190002376 U KR20190002376 U KR 20190002376U KR 200492600 Y1 KR200492600 Y1 KR 200492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utomatic
wireless communication
footrest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구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쿠스
Priority to KR2020190002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 B60Q1/323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vehicle sides, e.g. clearance lights on or f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차량에 구비되는 차량무선모듈; 상기 차량무선모듈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수단; 상기 차량의 바디 저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발판장치;를 마련하여 차량의 승하차 시 자동발판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판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고, 특히 다리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치매환자 등의 승하차 시 발판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에 설치된 조명에 의해 야간의 승하차 시 도어 주변을 환하게 비출 수 있고, 조명모듈이 톱니고정돌기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되며, 탑승자 또는 사용자의 승하차 시 발이 연졀의 조명모듈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Automotive Scaffolding System}
본 고안은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 승합차 및 캠핑용 캐러반, 특수장비차량 등 지상 바닥면과 올라타야 하는 차량 등의 실내 바닥면의 중간에서 디딤발판 역할을 하는 자동 발판이 구비되어 탑승자의 승하차 시 발을 안전하게 딛을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및 승합차는 차체가 높아 지면과 출입문과의 높이가 높아 어린이나 노약자 및 장애인등이 승하차 시에 불편함이 있었으며 나아가 높은 차체에 의해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왔다.
또한, 승하차 시 불편함에 따라 장애인 전용 자동차 및 자가 차량 등을 통해 개인의 용무를 보러 가는 일들이 많아졌으며 그로 인한 교통비 급증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출입문 하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형태의 발판이 구비된 보조 발판 장치가 필요에 따라 인출되어 어린이나 노약자 및 장애인등이 승, 하차 시에 안전과 편리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승용차의 경우에는 지면에서 좌석까지의 높이가 그리 높지 않기 때문에 탑승자가 승하차하는데 큰 문제는 없으나, 최근 널리 보급된 승합차 또는 RV(recreational vehicle)와 같은 차들은 차고가 높고, 당연히 지면에서 좌석까지의 높이도 높기 때문에 탑승자의 승하차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어린이집이나 학원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통학 차량인 승합차의 경우에는 키가 작고 나이가 어린 아이들의 탑승이 많기 때문에 어린 아이들의 승하차 과정에서 높은 차고로 인해서 넘어지면서 부상을 입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승하차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차량 운행으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통학용 승합차의 경우에는 반드시 차량의 측면 출입구에 보조 발판을 설치하도록 하는 법규정이 신설될 정도로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자동차용 보조 발판의 설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용 보조 발판의 경우에는 자동차의 측면 출입구 하부에 보조 발판을 바깥쪽으로 고정 설치한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좁은 길을 운행할 경우 차량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 보조 발판이 다른 차량 또는 각종 장애물 등에 걸려서 접촉 사고를 유발하는 등 차량 통행에 방해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자와 접촉으로 인해 보행자에게 큰 부상을 입히는 경우도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SUV 차량이나 버스, 픽업트럭 등은 지상고가 일반 승용차보다 높아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발판이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보조발판은 차량의 지상고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외측으로 보조발판이 더 돌출되는 단점 및 실제 사용하기에 발로 딛고 사용할 수 있는 면적(또는 크기)가 충분하지 않아 탑승자가 발을 잘못 딛게 되거나 발이 보조발판에 부딪히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차량용 보조발판'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차량용 보조발판은 서로 이격되어 차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볼트결합을 위한 결합홀과,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형성하는 ㄴ 자 형상의 한 쌍의 고정대, 상기 고정대의 결합홀과 체결홀에 각각 대응되는 결합홀과 체결홀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대에 고정설치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대에 연결설치되도록 고정대와 지지브라켓의 체결홀에 대응되는 체결홀을 구성하여 상기 지지브라켓과 함께 고정대에 볼트체결되어 고정설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는 모터를 구성한 구동부, 일측이 상기 구동부의 모터에 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동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형성되어 고정대에 축 결합되는 스핀들로 구성된 모터스핀들, 링크작동부를 통해 상기 스핀들에 링크결합되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한 쌍의 작동암, 상기 작동암에 결합되는 발판부를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는 다수의 설치공을 형성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고, 양측 브라켓 외측 단부 사이에는 회전축을 축설하며, 회전축 양단부에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가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서 일측 지지대에 걸려서 회전축의 회전을 억제 가능케 하며,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부착판 상면에는 발판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회전축 일측 단부에는 구동용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된 와이어고정부를 형성하여, 일측 브라켓에 설치된 와이어구동부와 상기 와이어고정부 사이에 구동용와이어를 연결하여 와이어구동부에 의해 구동용와이어의 일단부가 고정된 회전축이 회전하게 구성한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구동부는 일측 브라켓 내측에 설치판을 볼트 너트 결합하고, 그 저면에는 피동기어와 일체로 된 와이어권취롤러를 설치하여 구동용와이어의 타단부를 상기 와이어권취롤러에 고정된다.
상기 피동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설치판 일측 저면에 설치하고, 설치판 일측에는 호형의 안내공을 형성하여 상기 와이어권취롤러의 상면에 나사결합된 안전핀이 상기 안내공을 관통하여 설치판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761841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40985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4151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발판 시스템의 발판이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어 필요한 상황에 자동으로 전개되고, 이후 탑승이 완료되면 발판이 차양의 하부에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진입하게 되어 발판의 밟는 공간의 확보로 탑승자의 승하차 시에 편리성을 제공하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설치된 차량 무선모듈을 이용하여 차량의 스마트키 또는 등록된 스마트폰 등을 가지고 차량에 근접하게 되면 자동으로 차량의 잠김 상태를 해제하여 미리 자동발판이 전개되도록 함은 물론 사용하여 하여금 별도의 잠금 및 해제하는 수고로음을 줄여주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발판에 일체화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야간 및 승하차시에 안정성을 보장하며, 차량의 디자인적인 요소를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명장치의 투습, 이슬 맺힘 등의 현상을 방지함은 물론 자동발판이 전개되어 나올 때 사용자와의 충돌 상황을 고려하여 조명장치를 연질로 형성하여 사용자와 자동발판의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은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차량(11)에 구비되는 차량무선모듈(10); 상기 차량무선모듈(10)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수단(20); 상기 차량의 바디 저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발판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근접하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상기 차량(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진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무선모듈(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출몰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회로모듈(31);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가 출몰되도록 구동되는 발판구동부(32);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구동에 따라 빛이 발산되도록 구비되는 조명 모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관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이 형성된 관절브래킷(33); 상기 관절브래킷(33)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 상기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한 쌍의 관절본체(37)가 구비되고, 상기 관절본체(37)의 일단이 상기 관절결합구멍(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힌지구멍(38)이 형성되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이 결합되도록 상기 관절본체(37)의 타단에 제2 힌지구멍(39)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관절부재(36); 상기 한 쌍의 관절부재(36)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 상기 발판회전브래킷(40)에 의해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출몰되어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재(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동발판장치(30)에는 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발판부재(41)의 일측에 조명모듈(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모듈(50)은 소정의 높이와 폭을 이루어지는 하우징본체(52)와 상기 하우징본체(52)에 면발광체가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삽입홈부(53)가 형성되는 조명확산하우징(51); 상기 삽입홈부(5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신호에 따라 빛을 발산시키는 엘이디(57)가 설치된 면발광체(55); 상기 면발광체(55)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발판부재(41)의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조명확산하우징(51)의 외면에 설치되는 조명반사커버(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재(41)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설치되도록 일측에 조명모듈결합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분리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의 상측과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톱니고정돌기(4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승하차 시 자동발판장치의 구동에 의해 발판을 이용하여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고, 특히 다리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치매환자 등의 승하차 시 발판을 이용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판에 설치된 조명에 의해 야간의 승하차 시 도어 주변을 환하게 비출 수 있고, 조명모듈이 톱니고정돌기에 의해 안정되게 설치되며, 탑승자 또는 사용자의 승하차 시 발이 연질의 조명모듈에 부딪히게 되더라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의 승하차 시 발생할 수 있는 불편을 해소함과 더불어 유동적인 발판을 차량의 저면으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고, 무선통신수단 또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발판을 출몰시켜 발판의 사용에 따라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은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차량(11)에 구비되는 차량무선모듈(10), 상기 차량무선모듈(10)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수단(20), 상기 차량의 바디 저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발판장치(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30)은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근접하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상기 차량(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1)에는 무선통신수단(20)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차량무선모듈(10)이 설치된다. 이러한 차량무선모듈(10)은 차량(11)에 설치되어 무선통신수단(20)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통신은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무선통신(NFC: Near Field Communication)으로 이루어짐은 물론 무선통신수단(20)은 차량무선모듈(10)과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스마트키 또는 스마트폰을 이용한다.
즉, 블루투스 또는 근거리무선통신 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스마트키 또는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다른 기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12)의 개폐 여부에 따라 자동발판장치(30)의 발판부재(41)가 출몰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11)에는 자동발판장치(30)가 설치되며,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무선모듈(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출몰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회로모듈(31),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가 출몰되도록 구동되는 발판구동부(32),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구동에 따라 빛이 발산되도록 구비되는 조명 모듈(5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은 차량무선모듈(10)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차량무선모듈(10)과 제어회로모듈(31)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자동발판장치(30)에는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구동부(32)가 설치되고, 상기 발판구동부(32)의 구동에 따라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출몰되는 발판부재(4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자동발판장치(30)에는 탑승자가 차량(11)을 탑승하거나 하차 시 조명을 비추어 줌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 시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명모듈(5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관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이 형성된 관절브래킷(33), 상기 관절브래킷(33)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 상기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한 쌍의 관절본체(37)가 구비되고, 상기 관절본체(37)의 일단이 상기 관절결합구멍(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힌지구멍(38)이 형성되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이 결합되도록 상기 관절본체(37)의 타단에 제2 힌지구멍(39)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관절부재(36), 상기 한 쌍의 관절부재(36)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 상기 발판회전브래킷(40)에 의해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출몰되어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재(41)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재(41)는 탑승자가 승하차 시 발판을 밟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재(41)에는 한 쌍의 발판구동부(32a, 32b)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발판구동부(32)는 제어회로모듈(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 발판부재(41)가 안정되게 출몰되면서 탑승자가 발로 밟을 때 강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관절브래킷(33)은 차량(11)의 바디(미도시)에 설치되며, 상기 관절브래킷(33)은 관절부재(36)가 설치되도록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관절브래킷(33)에는 관절부재(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관절결합구멍(34)이 형성되며, 상기 관절결합구멍(34)은 2개의 관절부재(36)가 설치되도록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관절브래킷(33)의 저면에는 관절부재(36)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5)가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6)는 관절브래킷(33)의 측면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관절부재(36)는 2개의 관절본체(37)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절본체(37)의 일측에는 관절브래킷(33)과 결합되도록 제1 힌지구멍(38)에 형성되고, 관절본체(37)의 타측에는 발판회전브래킷(40)과 결합되도록 제2 힌지구멍(39)이 형성된다.
이들 힌지구멍(38, 39)에는 자유로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각각 힌지(38a)가 결합된다. 상기 힌지(38a)는 관절결합구멍(34), 제1 힌지구멍(38), 제2 힌지구멍(39) 및 발판회전브래킷(40)에 결합됨은 물론이다.
상기 발판회전브래킷(4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평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판회전브래킷(40)의 일측에는 관절부재(36)가 결합되며, 발판회전브래킷(40)의 타측에는 발판부재(41)가 결합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41)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설치되도록 일측에 조명모듈결합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분리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의 상측과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톱니고정돌기(43)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발판부재(41)는 소정의 길이와 폭을 형성되며, 상기 발판부재(41)의 전면에는 조명모듈(5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조명모듈결합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의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톱니고정돌기(43)가 형성된다.
이러한 톱니고정돌기(43)는 조명모듈결합홈부(4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명모듈(50)의 결합 시 용이하게 결하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톱니고정돌기(43)에 의해 조명모듈(50)이 이탈 또는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발판부재(41)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재(41)의 양측에는 각각 발판부재(41)에 결합되는 발판측면커버(45)가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조명모듈(50)은 소정의 높이와 폭을 이루어지는 하우징본체(52)와 상기 하우징본체(52)에 면발광체가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삽입홈부(53)가 형성되는 조명확산하우징(51), 상기 삽입홈부(5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신호에 따라 빛을 발산시키는 엘이디(57)가 설치된 면발광체(55), 상기 면발광체(55)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발판부재(41)의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조명확산하우징(51)의 외면에 설치되는 조명반사커버(58)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모듈(5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시켜 탑승자의 승하차 시 자동발판장치(30)의 주변을 밝게 비추게 된다.
상기 조명확산하우징(51)은 조명모듈결합홈부(42)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하우징본체(52)와, 상기 하우징본체(52)에서 발산되는 빛을 발판부재(41)의 전면으로 발산시키는 면발광체(55)와, 상기 면발광체(55)에서 발산된 빛이 전면으로 조사되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조명반사커버(58)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확산하우징(51)은 하우징본체(52)와 상기 하우징본체(52) 내부에 매립되는 면발광체(5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본체(52)는 조명모듈결합홈부(42)에 용이하게 결합됨은 물론 조명모듈(50)의 이탈 및 탈리를 방지하도록 PVC 또는 실리콘 등의 연성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본체(52)에는 빛을 발산시키는 면발광체(55)가 설치되도록 삽입홈부(53)가 형성되며, 하우징본체(52)의 외면에는 조명반사커버(58)가 결합되도록 반사커버홈부(54)가 형성된다.
또 상기 면발광체(55)는 플렉시블기판(56)과, 상기 플렉시블기판(56)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엘이디(57)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본체(52)의 반사커버홈부(54)에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명반사커버(58)가 설치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의 자동발판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1)에는 차량무선모듈(10)이 설치되고, 차량무선모듈(10)과 통신이 이루어지는 무선통신수단(20)을 구비하게 된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차량(11)의 도어(12) 저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차량(11)을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 또는 탑승자가 무선통신수단(20)을 휴대한 채로 차량(11)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차량무선모듈(10)과 무선통신수단(20) 간에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차량무선모듈(10)과 통신이 가능한 거리를 유지하게 되면, 차량무선모듈(10)은 사용자 또는 탑승자가 근거리에 있음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제어회로모듈(31)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은 발전구동부(32)의 구동모터(35)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구동모터(35)가 구동됨에 따라 한 쌍의 관절부재(36)가 회전된다.
이와 함께 관절부재(36)가 회전됨에 따라 발판회전브래킷(40)이 회전되면서 발판부재(41)가 차량(11)의 도어(12)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탑승자 또는 사용자는 발판부재(41)를 밟고서 차량(11)에 승차하게 된다.
한편 차량(11)에 탑승한 탑승자 또는 사용자가 차량(11)에서 하차하여 차량(11)으로 멀리 떨어지게 되면, 무선통신수단(20)과 차량무선모듈(10) 간의 통신이 끊어지게 되고, 이에 차량무선모듈(10)은 자동발판장치(30)의 제어회로모듈(31)에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발판구동부(32)는 구동모터(35)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35)의 회전에 의해 한 쌍의 관절부재(36)가 회전되며, 이에 발판회전브래킷(40)이 발판부재(41)를 차량(11)의 내측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발판부재(41)는 차량(11)의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발판부재(41)가 차량(11)의 외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발판부재(41)에 설치된 조명모듈(50)은 인가된 전원에 의해 빛을 발산시키게 되고, 탑승자 또는 사용자는 조명모듈(50)에서 발산된 조명에 의해 승하차 시 안전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차량무선모듈 11: 차량
12: 도어 20: 무선통신수단
30: 자동발판장치 31: 제어회로모듈
32: 발판구동부 33: 관절브래킷
34: 관절결합구멍 35: 구동모터
36: 관절부재 37: 관절본체
38: 제1 힌지구멍 39: 제2 힌지구멍
40: 발판회전브래킷 41: 발판부재
42: 조명모듈결합홈부 43: 톱니고정돌기
44: 미끄럼방지돌기 45: 발판측면커버
50: 조명모듈 51: 조명확산하우징
52: 하우징본체 53: 삽입홈부
54: 반사커버홈부 55: 면발광체
56: 플렉시블기판 57: 엘이디
58: 조명반사커버

Claims (6)

  1.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차량(11)에 구비되는 차량무선모듈(10);
    상기 차량무선모듈(10)과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스마트폰 또는 스마트키로 구성되는 무선통신수단(20);
    상기 차량의 바디 저면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자동발판장치(30);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근접하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이 상기 차량(11)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되면 상기 무선통신수단(20)의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진입하게 되고,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무선모듈(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출몰을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제어회로모듈(31);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자동발판장치가 출몰되도록 구동되는 발판구동부(32); 상기 자동발판장치(30)의 구동에 따라 빛이 발산되도록 구비되는 조명 모듈(50);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발판장치(30)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관절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이 형성된 관절브래킷(33); 상기 관절브래킷(33)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5); 상기 한 쌍의 관절결합구멍(34)에 결합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한 쌍의 관절본체(37)가 구비되고, 상기 관절본체(37)의 일단이 상기 관절결합구멍(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제1 힌지구멍(38)이 형성되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이 결합되도록 상기 관절본체(37)의 타단에 제2 힌지구멍(39)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한 쌍의 관절부재(36); 상기 한 쌍의 관절부재(36)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발판부재(41)를 출몰시키는 발판회전브래킷(40); 상기 발판회전브래킷(40)에 의해 차량(11)의 도어(12) 하측으로 출몰되어 발로 밟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발판부재(4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발판장치(30)에는 빛이 발산되도록 상기 발판부재(41)의 일측에 조명모듈(50)이 설치되고,
    상기 조명모듈(50)은 소정의 높이와 폭을 이루어지는 하우징본체(52)와 상기 하우징본체(52)에 면발광체가 삽입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삽입홈부(53)가 형성되는 조명확산하우징(51); 상기 삽입홈부(53) 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회로모듈(31)의 신호에 따라 빛을 발산시키는 엘이디(57)가 설치된 면발광체(55); 상기 면발광체(55)에서 발산된 빛이 상기 발판부재(41)의 외측으로 확산되도록 상기 조명확산하우징(51)의 외면에 설치되는 조명반사커버(58);를 포함하며,
    상기 발판부재(41)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설치되도록 일측에 조명모듈결합홈부(42)가 형성되고,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에는 상기 조명모듈(50)이 분리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상기 조명모듈결합홈부(42)의 상측과 하측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톱니고정돌기(43)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41)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미끄럼방지돌기(44)가 형성되고, 상기 발판부재(41)의 양측에는 각각 발판부재(41)에 결합되는 발판측면커버(45)가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52)는 연성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90002376U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KR200492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76U KR200492600Y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376U KR200492600Y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600Y1 true KR200492600Y1 (ko) 2020-11-10

Family

ID=73197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376U KR200492600Y1 (ko) 2019-06-11 2019-06-11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60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853A (ja) * 2005-01-27 2006-08-10 Aisin Seiki Co Ltd 車両の電動ステップ
KR100681074B1 (ko) * 2005-04-18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텝몰드
KR200440985Y1 (ko) 2007-04-17 2008-07-16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130041514A (ko) 2011-10-17 2013-04-25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접이식 발판
US20160023609A1 (en) * 2014-07-23 2016-01-28 Magna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 running board and sidestep having a linear drive
KR101761841B1 (ko) 2017-02-01 2017-07-26 김기호 차량용 보조발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5853A (ja) * 2005-01-27 2006-08-10 Aisin Seiki Co Ltd 車両の電動ステップ
KR100681074B1 (ko) * 2005-04-18 2007-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텝몰드
KR200440985Y1 (ko) 2007-04-17 2008-07-16 윤삼걸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KR20130041514A (ko) 2011-10-17 2013-04-25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접이식 발판
US20160023609A1 (en) * 2014-07-23 2016-01-28 Magna International Inc. Combination running board and sidestep having a linear drive
KR101761841B1 (ko) 2017-02-01 2017-07-26 김기호 차량용 보조발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96819B (zh) 警示车辆车门开启的系统和方法
CN111051135B (zh) 照明模块
US20200312201A1 (en) Courtesy Flag
KR101761841B1 (ko) 차량용 보조발판
KR100509719B1 (ko)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KR20050041574A (ko) 자동차의 비상사태 표출방법 및 그 장치
KR200492600Y1 (ko) 차량용 자동 발판 시스템
JP6383894B2 (ja) Led安全三角表示板を含む自動車用マット
JP2018172076A (ja) 車両用乗降装置
JP2018044424A (ja) 迷惑駐車防止抑制装置
KR101485044B1 (ko) 발광 신호 수신 및 광 조사를 통한 차량 위치 알림 장치
US20090172982A1 (en) Freestanding child on board indicator
KR20190009696A (ko) 차량용 자동발판
KR200437864Y1 (ko) 자동차용 보조 발판 장치
JPH11105621A (ja) 車輌用ドア近傍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付ドアミラー
KR101522545B1 (ko) 객실의자 겸용 승객 비상탈출용 사다리
JP2005280657A (ja) 車両用灯具
TWM536631U (zh) 車用無線警示裝置
KR20120004512U (ko) 뒷좌석 승객용 백미러
US8562156B2 (en) Mirror for improved visibility of danger zone area on right side of school buses
JP2010058736A (ja) 特装車両
KR200350263Y1 (ko) 반사경을 구비한 버스 승강장
KR101744791B1 (ko)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JP3091312U (ja) 後方車両に対するアラームモジュール
KR200349241Y1 (ko) 자동차 후방범퍼 비상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