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4791B1 -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 Google Patents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4791B1
KR101744791B1 KR1020160182505A KR20160182505A KR101744791B1 KR 101744791 B1 KR101744791 B1 KR 101744791B1 KR 1020160182505 A KR1020160182505 A KR 1020160182505A KR 20160182505 A KR20160182505 A KR 20160182505A KR 101744791 B1 KR101744791 B1 KR 10174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frame
cylinder
vehicle
proximity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문
Original Assignee
안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문 filed Critical 안희문
Priority to KR102016018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4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1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 B60S9/1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by fluid pressure of telescop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400/00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exterior signal lamps for vehicles
    • B60Q2400/50Projected symbol or information, e.g. onto the road or ca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조사하여 버스의 정차 위치를 가이드하는 레이저부; 인도와 차도의 경계에 형성되는 안전펜스, 상기 안전펜스에 형성되되 상기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 시에 상기 버스의 입구가 위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입구홈 및 상기 안전펜스에 형성되되 상기 버스가 상기 정차 위치에 정차 시에 상기 버스의 출구가 위치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출구홈을 포함하는 가이드부; 및 입력되는 번호에 따라 승차하고자 하는 버스의 노선 번호가 디스플레이되어, 승차 대기 중임을 알리는 승차 대기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차 대기 알림부를 이용하여 승차 대기 중인 승객의 유무를 알림으로써, 버스 운전자가 버스 승강장에 승객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버스 승강장에 정차하지 않고 지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A FRONT JOCKEY WITH PROXIMITY SENSORS}
본 발명은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행 시나 주차 시에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타이어가 펑크가 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면, 차체의 일 측이나 전체를 들어 올려서 펑크가 난 타이어를 교체하거나 차량의 문제 여부를 점검하게 된다. 이 때, 차량의 일 측이나 전체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작기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작기는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지만 주로 치차를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는 방식이나, 유압을 이용하여 차체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는 방식의 작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유압을 이용한 작기는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이 샤프트(Shaft)를 상승시켜 차체를 들어 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기존에는 이러한 작기가 차량과 별개의 장비로 구분됨에 따라 차량의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거나, 차량에 문제가 발생했을 시에만 차량에서 꺼내서 사용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사다리가 장착된 사다리차나 크레인 등의 작업 차량이 개발됨에 따라, 작업 차량이 작업을 실시 할 때 차량을 고정시키기 위한 작기가 차량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위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62208 호에는 유압을 이용한 쟈키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쟈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쟈키를 설명하자면, 장비의 하중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쟈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하운동을 하는 축(11), 상기 축(11)을 둘러싸면서 지지하는 원통형의 축 지지부(12), 상기 축 지지부(12)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몸체(13) 및 상기 몸체(13)와 연결되며, 장비의 하부에 투입되어 상기 장비를 들어올리기 위한 발톱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장비의 하중을 원통형의 견인부가 부담하고 유압을 외부에서 공급하여 장비의 하중에 의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차량의 하부에 결합시켜 사용 시 작업자가 쟈키의 사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쟈키를 분리시키지 않고 차량을 출발하여 쟈키가 분실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기술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23501 호에는 전도방지용 유압자키 다이가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의 전도방지용 유압자키 다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도방지용 유압자키 다이를 설명하자면, 유압자키의 피스톤부와 지지대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관 안내부를 통해 지지대와 유압자키의 피스톤부 사이의 연결부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 및 전도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전도방지용 유압자키 다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유압자키(21)의 실린더부(22)가 안착되는 제1가이드플레이트(23),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3)로부터 이격된 실린더부(22) 상측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플레이트(24), 상기 제1가이드플레이트(23)와 제2가이드플레이트(24) 둘레를 연결하는 연결바(25) 및 상기 제2가이드플레이트(24)의 중앙에 형성되어 유압자키(21)의 피스톤부와 지지대(27)의 하단 일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관안내부(28)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취약부인 지지대(27)와 유압자키(21)의 피스톤부 사이가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이탈 및 전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쟈키와 마찬가지로, 차량의 하부에 결합시켜 사용 시 작업자가 쟈키의 사용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에서 쟈키를 분리시키지 않고 차량을 출발하여 쟈키가 분실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62208 호(2014.05.23.) 공개특허공보 제 10-2014-0023501 호(2014.02.27.)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89833 호(2012.08.14.)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20-2011-0008272 호(2011.08.2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에 따라 적색LED 또는 청색LED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의 회동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는, 차량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일 측이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레그; 일 측이 상기 프레임의 타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레그;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레그에 설치되는 제1실린더;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타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레그에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제2실린더; 및 상기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의 타단에는 상기 차량의 무게를 균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가 설치되되, 상기 받침대는 상기 제1레그와 제1실린더의 제3회동연결부 및 상기 제2레그와 제2실린더의 제4회동연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에는 상기 프레임과 제1실린더의 제1회동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과 제2실린더의 제2회동연결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차량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며,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적색LED; 및 상기 근접 센서에 의해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청색LED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색LED 및 청색LED는 상기 차량의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색LED 및 청색LED는 상기 차량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적색LED 및 청색LED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차량 전방의 지면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색LED 및 청색LED는 차량 운행이 시작된 이후 5 ~ 10초 이내에 자동으로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와 제2레그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레그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레그에는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 방향으로 회전되는 결합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어, 근접되는 상기 제1레그 및 제2레그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의하면,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에 따라 적색LED 또는 청색LED가 발광되도록 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의 회동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압을 이용한 쟈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전도방지용 유압자키 다이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적색LED 및 청색LED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적색LED 및 청색LED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결합돌기 및 결합고리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은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확인하고 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3a 내지 도 5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는 차량(2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10), 일측이 상기 프레임(110)의 일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레그(120), 일 측이 상기 프레임(110)의 타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레그(130), 일단은 상기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레그(120)에 설치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1실린더(140), 일단은 상기 프레임(110)의 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레그(130)에 설치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1실린더(140)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제2실린더(150) 및 상기 프레임(110), 제1실린더(140) 및 제2실린더(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16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의 상하부 방향 회동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1실린더(140) 및 제2실린더(150)가 서로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그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10)의 단면에 형성되는 구동홈(111)에는 상기 제1레그(120)의 일 측 일부와 상기 제2레그(130)의 일 측 일부가 상하부 방향으로 구동되면서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10)의 구동홈(111)에 수용되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는 상부로 회동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구동홈(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구동홈(111)에 수용된 일 측 일부의 면적이 점차 줄어들게 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이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수용되는 구동홈(111)의 형상이 수평을 이루는 형상이기 때문에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일 측 일부가 상기 구동홈(111)에서 점차 빠져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타 측에는 상기 차량(200)의 무게를 균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받침대(170)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1실린더(140)의 제3회동연결부(142) 및 상기 제2레그(130)와 제2실린더(150)의 제4회동연결부(1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70)는, 무게 중심이 하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의 회동 상태와 무관하게 하부가 항상 지면을 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지면과 대응되는 형상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대(170)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로 회동되었을 때도 하부가 지면을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로 회동되었을 때도 마찬가지로 하부가 지면을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면의 높이가 다소 높은 곳에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어도 상기 받침대(170)의 하부가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회동 상태와 관계없이 지면을 향하고 있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되지 않아도 충분하게 상기 차량(200)을 균형적으로 지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제1실린더(140)의 제1회동연결부(141) 및 상기 프레임(110)과 제2실린더(150)의 제2회동연결부(151)가 수용되는 수용홈(125)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동연결부(141)와 제2회동연결부(151)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길목에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홈(125)은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각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상기 제1회동연결부(141) 및 제2회동연결부(151)와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125)은 적어도 상기 제1회동연결부(141) 및 제2회동연결부(151)의 형상보다 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강성에 지장이 없는 한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용홈(125)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기 차량(200)을 지지하기에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수용홈(125)이 형성되는 주변의 강성을 더욱 강하게 함으로써, 상기 차량(200)의 무게를 분산시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차량(200)의 폭보다 좁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로 회동되어 상기 차량(200)이 운행 중일 때도 다른 차선에서 주행하고 있는 차량에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는 일단이 상기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가 적어도 상기 차량(200)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60)는 Autonics사의 PRT18-5DO 모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에 따라서, 감지 거리(Sensing Distance)가 4 ~ 6mm이고, 전압(Voltage)이 12 ~ 24vdc이며, 감지 진동수(Frequency)가 500Hz인 감지 센서라면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140) 및 제2실린더(150)에는, 상기 제1실린더(140) 및 제2실린더(150)의 조정된 길이를 고정시켜주는 체크밸브(143, 153)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적색LED 및 청색LED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적색LED 및 청색LED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6 내지 도 7c에 따르면, 본 발명의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에는 상기 근접 센서(160)에 의해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적색LED(180) 및 상기 근접 센서(160)에 의해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청색LED(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는 상기 차량(200)의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거나, 사다리차 및 크레인 등에서 사다리를 조종하는 조종석 근처에 구비되어, 사다리의 조종이 끝난 이후에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를 상부 방향으로 회동시켜야 한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는 상기 차량(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차량(200) 전방의 지면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이 끝난 이후 상기 차량(200)을 운행하려는 운전자가 상기 적색LED(180) 또는 청색LED(190)에서 발광되어 지면에 비치는 색상을 시각으로 인식하여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의 회동 상태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에서 발광되는 빛은 별도의 작동 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소등되도록 하거나, 차량 운행이 시작된 이후 5 ~ 10초 이내에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에서 발광되는 빛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하는 구성은 별도의 진동 감지 센서 등에 의한 차량의 진동 감지나, 별도의 모션 센서 등에 의한 차량의 이동 감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의 결합돌기 및 결합고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 8a 및 도 8b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며, 상기 제1레그(120)에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레그(130)에는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2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결합고리(1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돌기(121) 및 결합고리(131)는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상기 결합돌기(121) 및 결합고리(131)에 의해 상호 결속되도록 하여 상기 차량(200)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121) 및 결합고리(131)의 형태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호 결속되어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 센서가 구비됨으로써, 제1레그 및 제2레그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110 : 프레임 111 : 구동홈
120 : 제1레그 121 : 결합돌기
125 : 수용홈
130 : 제2레그 131 : 결합고리
140 : 제1실린더 141 : 제1회동연결부
142 : 제3회동연결부
150 : 제2실린더 151 : 제2회동연결부
152 : 제4회동연결부
160 : 근접 센서 170 : 받침대
180 : 적색LED 190 : 청색LED
200 : 차량

Claims (10)

  1. 차량(200)의 전방 하부에 설치되는 프레임(110);
    일 측이 상기 프레임(110)의 일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1레그(120);
    일 측이 상기 프레임(110)의 타 측에 상하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 측의 일부가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2레그(130);
    일단은 상기 프레임(110)의 일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레그(120)에 설치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한 제1실린더(140);
    일단은 상기 프레임(110)의 타 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레그(130)에 설치되고, 길이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제1실린더(140)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제2실린더(150); 및
    상기 프레임(110), 제1실린더(140) 및 제2실린더(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근접 센서(160);
    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센서(160)에 의해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적색LED(180) 및 상기 근접 센서(160)에 의해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된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에 발광되는 청색LED(190)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는, 상기 차량(20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에서 발광되는 빛이 상기 차량(200) 전방의 지면으로 조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레그(120) 및 제2레그(130)는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인접한 위치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1레그(120)에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레그(130)에는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2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결합고리(1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의 타단에는,
    상기 차량(200)의 무게를 균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170)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대(170)는,
    상기 제1레그(120)와 제1실린더(140)의 제3회동연결부(142) 및 상기 제2레그(130)와 제2실린더(150)의 제4회동연결부(15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에는,
    상기 프레임(110)과 제1실린더(140)의 제1회동연결부(141) 및 상기 프레임(110)과 제2실린더(150)의 제2회동연결부(151)가 수용되는 수용홈(1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차량(200)의 폭보다 좁게 구성되며,
    상기 제1레그(120)와 제2레그(130)가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제1레그(12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레그(130)의 타단까지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는,
    상기 차량(200)의 운전석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색LED(180) 및 청색LED(190)는,
    차량 운행이 시작된 이후 5 ~ 10초 이내에 자동으로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82505A 2016-12-29 2016-12-29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KR10174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05A KR101744791B1 (ko) 2016-12-29 2016-12-29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505A KR101744791B1 (ko) 2016-12-29 2016-12-29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4791B1 true KR101744791B1 (ko) 2017-06-09

Family

ID=59220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505A KR101744791B1 (ko) 2016-12-29 2016-12-29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47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471A (en) 1973-10-15 1975-10-28 Erven Tallman Outrigger stabilizer and leveler
US4905953A (en) 1988-10-04 1990-03-06 Jewell Wilson Fifth wheel stabilizer
US8286997B2 (en) 2010-05-19 2012-10-16 Midwest Industrial Door, Inc. Trailer stabilizer
JP2012247369A (ja) * 2011-05-30 2012-12-1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投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5471A (en) 1973-10-15 1975-10-28 Erven Tallman Outrigger stabilizer and leveler
US4905953A (en) 1988-10-04 1990-03-06 Jewell Wilson Fifth wheel stabilizer
US8286997B2 (en) 2010-05-19 2012-10-16 Midwest Industrial Door, Inc. Trailer stabilizer
JP2012247369A (ja) * 2011-05-30 2012-12-13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投影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260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US20100207355A1 (en) Lifting device for tow car
US20150273255A1 (en) Firefighting or rescue apparatus including ladder with status indicators
KR20160063729A (ko) 차량용 비상 삼각대
WO2005007479A1 (en) A safety device of platform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101744791B1 (ko) 근접 센서가 구비되는 앞작기
JP2009249138A (ja) トラッククレーン
JP6843389B2 (ja) 車両用格納式補助ステップ
JP7208808B2 (ja) 高所作業車
KR101703736B1 (ko) 비상등 표시수단을 갖는 높이 확장형 단일몸체 경광등
JP3750804B2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KR101962704B1 (ko)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WO2007074643A1 (ja) 運搬車両及び運搬車両のバンパー装置
US20170137070A1 (en) Mud flap lifter
KR101220517B1 (ko) 차량용 경광등 높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JP2007176465A (ja) 運搬車両
JP4221257B2 (ja) 軌陸作業車の逸走防止装置
CN111395840A (zh) 一种机械式停车设备的平稳旋转机构
JP2007176433A (ja) 運搬車両
JP4166038B2 (ja) 車両用昇降装置
JP2005330801A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CN217227405U (zh) 一种可翻转的偏置码头牵引车侧门上车踏步装置
KR100717218B1 (ko) 차속연동식 경광등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