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3729A - 차량용 비상 삼각대 - Google Patents

차량용 비상 삼각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3729A
KR20160063729A KR1020140167380A KR20140167380A KR20160063729A KR 20160063729 A KR20160063729 A KR 20160063729A KR 1020140167380 A KR1020140167380 A KR 1020140167380A KR 20140167380 A KR20140167380 A KR 20140167380A KR 20160063729 A KR20160063729 A KR 20160063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vehicle
emergency
tripod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완근
Original Assignee
박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완근 filed Critical 박완근
Priority to KR1020140167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3729A/ko
Publication of KR20160063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3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05Devices without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60Q7/0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to be attached to overhanging loads or extending parts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차량용 비상 삼각대는, 차량 내부의 뒷유리 또는 차량의 후방에 인접 설치된 셋 이상의 바아, 각각의 바아에 설치되어 선상으로 발광하는 점등부; 및 바아들이 통상의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통상위치 및 차량의 후방에서 뒷유리 측을 바라볼 때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비상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시인성이 높으며 운전자가 차량 외부로 나가지 않고도 내부에서 즉시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비상 상황에서는 자동으로 설치된다. 평상시에는 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비상 삼각대 {Emergency triangle lamp for use in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비상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차량 운행 중 사고나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차량의 트렁크에 삼각대를 비치하고 있다. 차량이 고장나거나 사고가 난 경우 운전자는 트렁크에서 삼각대를 꺼내어 도로의 주행방향의 후방에 삼각대를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사고를 방지한다.
그런데 이러한 삼각대는 통상적으로 시인성이 잘 확보되지 않아 삼각대 고유의 기능을 하기에 부족하며, 운전자가 차량 외부로 나와서 설치하여야 하므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만약 큰 사고로 인해 운전자가 정신을 잃거나 차량 외부로 나오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는 삼각대를 설치할 수가 없으므로, 후속되는 차량이 사고 차량을 발견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인성이 높으며 운전자가 차량 내부에서도 즉시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비상 상황에서 자동으로 설치될 수 있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는, 차량 내부의 뒷유리 또는 차량의 후방에 인접 설치된 셋 이상의 바아; 각각의 상기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바아를 선상으로 발광시키는 점등부; 및 상기 바아들이 통상의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통상위치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상기 뒷유리 측을 바라볼 때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비상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아들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바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두 개의 힌지, 및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바아 내지 상기 제3바아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적층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바아 내지 상기 제3바아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 직선을 이루도록 연속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아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3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바아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3바아가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는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둘 이상의 서브바아로 구성되어,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가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의 자유단부를 상기 제1바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를 수축 및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통상위치와 상기 비상위치간을 이동시킨다.
상기 구동수단 및 상기 점등부는, 상기 차량 내에 마련된 삼각대구동버튼 또는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등부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브레이크등으로 사용되도록 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센서에 의해 연동되어 점멸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등부 및 상기 구동수단에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공급장치가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바아들은 차량의 뒷 트렁크 또는 차량의 스포일러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바아들은 상기 통상위치에서 차량 내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시인성이 높으며 운전자가 차량 외부로 나가지 않고도 내부에서 즉시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비상 상황에서는 자동으로 설치된다. 평상시에는 브레이크등으로 사용함으로써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6 은 도 1 내지 도 3 의 삼각대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0 및 도 2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설치 위치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22 및 도 23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설치 위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 은 도 1 내지 도 3 의 삼각대 부분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삼각대는 차량 내부에 차량의 뒷유리 부근에 인접 설치되거나 차량의 뒷유리에 부착되도록 설치된다. (그 외에도 차량의 뒷 유리 외부나 트렁크 등에도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비상 삼각대는 세 개의 바아(11, 12, 13), 각각의 바아에 설치되어 바아(11, 12, 13)를 선상으로 발광시키는 점등부(40), 및 바아(11, 12, 13)들의 위치를 이동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점등부(40)는 통상적인 발광 수단으로 구성되나, 바람직하게는 LED 등으로 구성된다. 다수의 LED 가 각 바아(11, 12, 13)에 연속적으로 배치됨으로써 점등부(40)를 구성한다.
구동수단은 모터(30) 및 그 부속 부품(기어 조립체 등)으로 구성되며, 바아들(11, 12, 13)이 통상의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통상위치 및 차량의 후방에서 뒷유리를 바라볼 때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비상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에서 통상위치는 도 1 과 같이 비상 삼각대의 형상을 하지 않은 일반적인 상태에서의 위치를 의미하고, 비상위치는 도 3 과 같이 비상 삼각대의 형상을 한 상태에서의 위치를 의미한다.
도 1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아들(11, 12, 13)은 통상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바아(11~13)를 포함한다. 제1바아 내지 상기 제3바아(11~13)는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적층 배치된다.
상기 구동수단은, 제1바아(11)의 양단에 각각 제2바아(12) 및 상기 제3바아(13)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두 개의 힌지(21, 22), 및 제2바아(12)와 제3바아(13)를 힌지(21, 22)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30)를 포함한다. 모터(30)는 두 개의 힌지(21, 22)를 중심으로 각각 제2바아(12)와 제3바아(13)를 회동시키는 두 개의 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부품의 절감을 위해 도 4 내지 도 6 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0)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를 위하여, 모터(30)에 의해 제2 및 제3바아(12, 13)를 구동하는 구동축(32)이 마련되며, 이 구동축(32)은 별도의 기어조립체 구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모터(30)의 구동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통상의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4 와 같이 세 개의 바아(11~13)가 적층 배치되어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통상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세 개의 바아(11~13)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상 상황에서는 모터(30)의 구동에 의하여 도 2 및 도 5 의 상태를 거쳐 도 3 및 도 6 의 상태로 변경됨으로써 비상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점등부(40)도 점등되어 바아(11~13)들이 비상 삼각대의 기능을 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모터(30)가 제2바아(12)를 회전 구동하며, 제3바아(13)는 모터(30)에 의해 직접 구동되지 않고 제2바아(12)를 통해 간접 구동된다. 즉, 제2바아(12)의 일측 단부는 힌지(21)에 의해 제1바아(11)와 결합되고 자유단부는 제3바아(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제2바아(12)가 도 7 과 같은 상태에서 회동함에 따라 도 8 과 같이 그 자유단부가 제3바아(13)의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하고 이에 의하여 제3바아(13)가 회동하여 종국적으로 도 9 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모터(30)만을 이용하고 또한 그 기어 어셈블리와 같은 부속 부품의 기구적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바아(12)와 제3바아(13)는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둘 이상의 서브바아(12a, 12b, 13a, 13b))로 구성되어, 제2바아(12)와 제3바아(13)가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된다. 서브바아들은 속이 비어있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리브-가이드그루브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모터(30)는 구동축(32)을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며, 이에 의하여 제2바아(12)와 제3바아(13)의 자유단부를 제1바아(11)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바아(12) 및 제3바아(13)를 수축 및 신장시킴으로써 통상위치와 비상위치간을 이동시킨다.
도 13 내지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나, 차이점은 제1바아(11) 내지 제3바아(13)가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 직선을 이루도록 연속 배치된다는 것이다. 모터(30)는 제2바아(12)와 제3바아(13)를 회전시켜 도 14 의 상태를 거쳐 도 15 의 상태로 이동시킴으로써 비상 삼각대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브레이크등 등으로 사용시 일직선상의 점등부(40)가 점등된다.
도 16 내지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아(11)는 그 위치가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나 제2바아(12)와 제3바아(13)가 차량 뒷유리의 상부에 수평하게 연속 배치되어 제1바아(11)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제2바아(12)와 제3바아(13)의 접점에는 힌지(24)가 부착되어 있으며, 모터(30)에 의해 제2바아(12)와 제3바아(13)가 도 16 의 상태로부터 도 17 의 상태를 거쳐 도 18 의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삼각대를 구성한다.
도 19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비상 삼각대의 제어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차량 내부의 운전석 근처에는 비상버튼(61)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차량 내에는 에어백의 터짐을 감지하는 에어백센서(62) 및 브레이크를 밟을 때 이를 감지하는 브레이크센서(63)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센서가 동작되면, 즉 운전자가 비상버튼(61)을 누르거나 에어백이 터지거나 브레이크를 밟으면 이 신호는 제어부(70)에 전달되고, 제어부(70)는 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30)와 점등부(20)를 제어한다. 이때, 비상버튼(61) 또는 에어백센서(62)가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는 구동모터(30)는 비상위치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점등부(20)는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브레이크센서(63)로부터의 신호는 비상버튼(61)과 에어백센서(62)가 감지하지 않는 경우, 즉 바아(11~13)들이 통상위치에 있는 상태인 경우에만 점등부(40)가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상버튼(61)은 삼각대 구동을 위한 삼각대구동버튼으로서 기능하는 버튼이며, 본 실시예와 같이 삼각대 구동을 위해 통상적으로 차량 내에 마련된 비상버튼과 연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비상버튼(61) 외에 별도의 삼각대 구동버튼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센서의 예로서 에어백센서(62)를 예시하였으나, 에어백센서(62)가 아닌 별도의 충격센서를 마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삼각대 구동을 위한 센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에어백센서(62)가 터지는 충격 강도와 다른 충격 강도에 의해 삼각대가 구동되도록 충격 강도를 별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나아가, 본 발명의 삼각대 자체를 충격센서와 하나의 세트로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통상적인 상황에서는 점등부(40)는 브레이크센서(63)에 연동되어 점멸됨으로써 본 발명의 비상 삼각대가 브레이크등으로서 기능하도록 제어되고, 비상 상황에서는 브레이크등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안전 삼각대로서만 기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도 19 의 구성에 대해 보조전원장치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보조전원장치는 보조 배터리나 충전기 등으로 구성되어 제어부(70)와 구동모터(30) 및 점등부(40) 등에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운행 중이나 사고로 인해 차량 내의 배터리가 방전되거나 또는 삼각대가 차량 내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하도록 단선되는 등의 상황 발생시, 보조전원장치는 본 발명의 삼각대가 정상 구동할 수 있는 전력을 공급한다. 따라서, 극단의 상황에서도 본 발명의 삼각대는 차량의 위험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정상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비상 삼각대는 차량 내부 뿐만아니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바아들은 차량의 뒷 트렁크 또는 차량의 스포일러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바아들은 통상위치에서 차량 내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통상위치에서는 노출되지 않거나 브레이크등으로서 기능하는 범위 내에서만 노출되고 비상위치에서만 외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비상 삼각대의 기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 은 차량 후방의 스포일러에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평상시에는 도 20 과 같이 스포일러 내에 인입되어 점등부만이 외부에 노출됨으로써 브레이크등의 기능을 하며, 비상시에는 도 21 과 같이 외부로 인출되어 비상 삼각대의 기능을 한다.
도 22 및 도 23 은 차량의 외부 후방의 뒷유리 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Claims (11)

  1. 차량 내부의 뒷유리 또는 차량의 후방에 인접 설치된 셋 이상의 바아;
    각각의 상기 바아에 설치되어 상기 바아를 선상으로 발광하는 점등부; 및
    상기 바아들이 통상의 상태에서 소정의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통상위치 및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상기 뒷유리 측을 바라볼 때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비상위치간을 위치이동하도록 구동하는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들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바아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바아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두 개의 힌지, 및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아 내지 상기 제3바아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나란히 적층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아 내지 상기 제3바아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일 직선을 이루도록 연속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아의 자유단부는 상기 제3바아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바아의 회동에 의하여 상기 제3바아가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는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둘 이상의 서브바아로 구성되어,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가 그 길이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2바아와 상기 제3바아의 자유단부를 상기 제1바아에 대해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2바아 및 상기 제3바아를 수축 및 신장시킴으로써 상기 통상위치와 상기 비상위치간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 및 상기 점등부는, 상기 차량 내에 마련된 삼각대구동버튼 또는 차량의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센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부는 상기 통상위치인 상태에서 브레이크등으로 사용되도록 브레이크의 동작을 감지하는 브레이크센서에 의해 연동되어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부 및 상기 구동수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전원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들은 차량의 뒷 트렁크 또는 차량의 스포일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들은 상기 통상위치에서 차량 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비상 삼각대.
KR1020140167380A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비상 삼각대 KR20160063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80A KR20160063729A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비상 삼각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380A KR20160063729A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비상 삼각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3729A true KR20160063729A (ko) 2016-06-07

Family

ID=5619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380A KR20160063729A (ko) 2014-11-27 2014-11-27 차량용 비상 삼각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3729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71A (ko) 2016-12-13 2018-06-21 이상운 스마트 차량 시스템
KR20190133146A (ko) * 2017-01-04 2019-12-02 테크니플라스, 엘엘씨 토노 커버
KR102076114B1 (ko) 2019-08-12 2020-02-11 (주)우리식품 연잎밥 제조방법
WO2020256279A1 (ko) * 2019-06-21 2020-12-24 장지수 변형 가능한 차량용 보조제동등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제동시스템
KR20200145640A (ko) * 2019-06-21 2020-12-30 장지수 변형 가능한 차량용 보조제동등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제동시스템
EP3948072A4 (en) * 2019-03-28 2023-01-04 Ess-Help, Inc. REMOTE DANGER AND COMMUNICATION BEACON FOR VEHICLES
US11904765B2 (en) 2018-12-11 2024-02-20 Ess-Help, Inc. Enhanc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US11981254B2 (en) 2019-03-15 2024-05-14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971A (ko) 2016-12-13 2018-06-21 이상운 스마트 차량 시스템
KR20190133146A (ko) * 2017-01-04 2019-12-02 테크니플라스, 엘엘씨 토노 커버
US11904765B2 (en) 2018-12-11 2024-02-20 Ess-Help, Inc. Enhanced operation of vehicle hazard and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US11981254B2 (en) 2019-03-15 2024-05-14 Ess-Help, Inc. Control of high visibility vehic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EP3948072A4 (en) * 2019-03-28 2023-01-04 Ess-Help, Inc. REMOTE DANGER AND COMMUNICATION BEACON FOR VEHICLES
US11938862B2 (en) 2019-03-28 2024-03-26 Ess-Help, Inc. Remote vehicle hazard and communication beacon
WO2020256279A1 (ko) * 2019-06-21 2020-12-24 장지수 변형 가능한 차량용 보조제동등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제동시스템
KR20200145640A (ko) * 2019-06-21 2020-12-30 장지수 변형 가능한 차량용 보조제동등 및 이를 포함하는 보조제동시스템
KR102076114B1 (ko) 2019-08-12 2020-02-11 (주)우리식품 연잎밥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3729A (ko) 차량용 비상 삼각대
CN106696819B (zh) 警示车辆车门开启的系统和方法
US20130041555A1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electric actuators for door-related accessories in vehicle
KR20120046518A (ko) 원격조종 안전 삼각대
CN205354136U (zh) 一种汽车行车记录仪器
KR101251037B1 (ko) 차량용 실내 안전 삼각대
KR20170022225A (ko) 차량용 엘이디 비상등
KR101105551B1 (ko) 자전거용 방향등
KR20140010804A (ko) 차문의 손잡이 모듈에 설치되는 근접센서와 엘이디를 갖는 근접 경보장치
KR20200062619A (ko) 안전삼각대 설치 로봇
KR101220517B1 (ko) 차량용 경광등 높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KR101363706B1 (ko) 주행상태 표시기능을 갖는 레저 장비용 헬멧 장치
KR102431628B1 (ko) 암레스트의 안전삼각대 및 리플렉터 조립체
KR101962704B1 (ko) 차량용 2차사고 방지장치
ITBO20070181A1 (it) Metodo e dispositivo per il controllo dei fari retronebbia dei veicoli
KR200474493Y1 (ko) 자동차안전 표시용 엘이디삼각대
JP3175790U (ja) 後輪照明装置
KR200484011Y1 (ko) 차량장착용 교통 안내장치
KR101698576B1 (ko) 시설물의 조사측정이 원거리에서 확인이 용이한 차량 통제용 안전진단점검 경광봉
KR20170066162A (ko) 측면 인접 주행 차량에 대한 사이드 미러의 사각지대 감지 장치
KR101105133B1 (ko) 자동차용 후방보조램프장치
EP2813396A2 (en) Vehicle light system
KR101537049B1 (ko) 차량 설치형 안전표지 삼각대
CN108128235A (zh) 一种电动车自动亮灯装置
KR101583020B1 (ko) 차량용 비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