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726B1 - 차량용 자동발판 - Google Patents

차량용 자동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726B1
KR102056726B1 KR1020180064960A KR20180064960A KR102056726B1 KR 102056726 B1 KR102056726 B1 KR 102056726B1 KR 1020180064960 A KR1020180064960 A KR 1020180064960A KR 20180064960 A KR20180064960 A KR 20180064960A KR 102056726 B1 KR102056726 B1 KR 10205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caffold
footrest
vehic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9696A (ko
Inventor
박성권
Original Assignee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창림모아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0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자동발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된 인출홀(10H)을 구비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어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상기 인출홀(10H)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에서 인출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에 상기 구동유닛을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발판(20)의 인출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상기 차량의 탑승구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탑승구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자동발판{Vehicle automatic foot panel device}
본 발명은 수동복귀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자동발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의 탑승 편의성을 향상시킨 새로운 수동복귀 구조를 구비한 차량용 자동발판에 관한 것이다.
버스나 승합차 등과 같은 다인 승차량은 차체가 높아 탑승객들의 승하차시 용이하지 못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특히,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가 탑승하는 차량은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교통약자가 편안하게 승하차할 수 있도록 일반 차량과 비교하여 탑승구의 계단을 좀 더 낮은 높이로 설치하고, 상기 탑승구의 계단에 보조 발판장치를 차량의 승강구에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교통약자용 보조 발판장치의 일례로, 차량의 승강구 하측에 차량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는 보조 발판장치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러한 보조 발판장치는 차량의 출입구 저면에 슬라이드블록이 고정되어 있고, 보조발판에는 상기 슬라이드블록에 차량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바아가 구비되어 있고, 차량의 저면에는 모터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모터와 보조발판에는 피니언기어와 랙기어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피니언기어를 정역회전시키면 피니언기어에 맞물린 랙기어가 차량의 측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보조발판을 차량의 측방향으로 출몰되도록 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08-0044371호(2008.05.21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1042호(1999.07.26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32041호(1998.08.17 공개)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59700호(1998.10.2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장애인과 같은 교통약자의 탑승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수동복귀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자동발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은 교통약자들이 안전하고 편안하게 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도록 주로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용 차량에 주로 설치되는 자동발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된 인출홀을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어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상기 인출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에서 인출되는 발판; 상기 발판에 상기 구동유닛을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발판의 인출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발판이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한 쌍의 픽싱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은 상기 차량의 탑승구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탑승구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픽싱 브라켓은 측면에서 볼 때에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어퍼 브라켓편과, 상기 어퍼 브라켓편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단부와 후단부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리니어 브라켓편을 포함한다.
상기 픽싱 브라켓은 전단부에 프론트 브라켓편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단부에 커버 브라켓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 브라켓에 상기 인출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상기 발판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복귀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이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상기 발판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복귀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의 인출시와 수납시 및 상기 발판의 작동 장애시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호음 발생부는 상기 발판의 정상 인출과 수납시에 정상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판의 작동 장애시에는 상기 정상 신호음과 음패턴이 다른 장애 신호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평시 발판 작동시 운전석 CRASH PAD 내측부 1개소/슬라이딩 도어부 사이드 스커트 내측부 1개소에서 비프음이 동시 발생된다.
상기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방시에 부저 울림과 동시에 상기 발판이 수납되는 상기 하우징 전면의 엘이디 바아가 점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다음 부저 울림의 종료와 동시에 상기 엘이디 바아가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의 인출 중에 발판 모터 부하량 증가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발판 모터 부하양 증가로 인한 인풋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풋 신호는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된 상기 인풋 신호에 의해 피씨비 내부에서 장애감지동작 시퀀스로 변경되고, 상기 발판 모터 역회전 아웃풋 신호를 상기 발판 모터로 송출하고, 상기 발판 모터의 역회전으로 상기 발판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어린이와 노약자들이 버스나 승합차에 승하차시에 발판이 앞으로 돌출되어 나와서 어린이나 노약자와 같은 교통약자들이 발판을 딛고서 차량에 승하차할 수 있어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야간 시인성 확보를 위해 발판(보조발판)의 전면부측 돌출시 LED가 점등되어, 야간에도 교통약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승하차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판이 나와있는 상태에서 자동으로 복귀가 안될 때에 수동으로 발판을 수납시킬 수 있어서 승객의 하차를 위하여 인출된 발판이 원위치로 들어가지 못하여 차량 운행에 지장을 주는 경우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발판을 채용한 차량 사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자동발판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발판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풋트 패널이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우징 바디의 프론트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하우징 바디와 프론트 커버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3의 정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풋트 패널의 외관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구동모터와 풋트 패널의 모터 장착부를 보여주는 사진
도 14는 도 14의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된 스프로켓과 모터 장착부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15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풋트 패널의 인출 작동을 위한 스프로켓과 체인 및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장착된 모터 스프로켓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발판의 주요부인 하우징과 풋트 패널의 결합 구조를 저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발판의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A-A선 종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B-B선 종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수동 복귀장치의 고정볼트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수동 복귀장치의 체인 디스크와 고정볼트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수동 복귀장치의 체인 디스크에 고정볼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발판의 작동을 제어하는 발판 작동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발판 작동유닛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자동발판은 차량의 탑승구 저면 위치에 고정된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에 내장되어 하우징(10) 전단부의 인출홀(10H)을 통해 인출 작동되는 발판(20)과, 발판(20)의 인출을 위한 구동유닛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0)은 픽싱 브라켓(30)에 의해 차량의 탑승구와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10) 바디(12)와 프론트 커버(1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 바디(12)는 좌우 측벽과 바닥부(11)와 상면부를 구비한 육면체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 바디(12)는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한다. 하우징(10) 바디(12)의 바닥부(11)의 전단부에는 상향 연장된 커버 고정편(12CP)이 구비된다. 커버 고정편(12CP)에는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수용부를 구비한다. 수용부는 발판(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이다. 하우징(10)의 전단부에는 내부의 수용부와 연통된 인출홀(10H)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에 발판(20)이 인출 가능하게 내장된다. 발판(20)은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상기 인출홀(10H)을 통해 하우징(10)의 앞으로 인출된다. 하우징(10)의 앞으로 발판(20)이 돌출되고, 발판(20)이 돌출된 상태에서는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로 발판(20)이 다시 들어간다.
상기 발판(20)은 동력전달유닛을 통해서 구동유닛을 동력을 전달받아 하우징(10)의 전단부에 구비된 인출홀(10H)을 통해서 하우징(10)의 앞으로 나오고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로 들어간다.
상기 발판(20)에는 구동모터(MD)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MD)의 모터축에는 스프로켓(SP)이 구비된다. 발판(20)의 후방쪽에 구비된 모터 장착부(26)에 구동모터(MD)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의 후단부와 인접한 상면에는 리어 스프로켓(SP)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의 바닥판의 전단부와 인접한 상면에는 프론트 스프로켓(SP)이 구비되고, 상기 리어 스프로켓(SP)과 프론트 스프로켓(SP)에는 체인(CA)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MD)와 스프로켓(SP)과 리어 스프로켓(SP)과 프론트 스프로켓(SP) 및 체인(CA)이 동력전달유닛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발판(20)은 엘엠 가이드에 의해 하우징(10) 내부의 수용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D)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로켓(SP)이 회전하면서 체인(CA)을 따라 전후진되므로, 상기 발판(20)이 엘엠 가이드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의 수용부에서 하우징(10) 전단부의 인출홀(10H)을 통해서 하우징(10) 앞으로 나오고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로 들어간다.
상기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차량의 탑승구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을 탑승구 위치에 고정한다. 즉,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서 위로 올라온 픽싱 브라켓(30)이 차량의 탑승구 아래의 차량 바닥판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이 차량의 탑승구 아래에 고정된다.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어퍼 브라켓편(32)과 리니어 브라켓편(34)을 구비한다. 어퍼 브라켓편(32)은 픽싱 브라켓(30)의 측면에서 볼 때에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리니어 브라켓편(34)은 어퍼 브라켓편(32)에 연결된다. 리니어 브라켓편(34)은 하우징(10)의 전단부와 후단부 방향(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니어 브라켓편(34)에는 장홀 형상의 리니어홀(34H)이 구비된다. 리니어홀(34H)은 하우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다. 리니어홀(34H)은 일자형으로 길게 연장된 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니어홀(34H)을 관통한 볼트 등의 체결구를 상기 하우징(10)의 양쪽 측면부에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좌우 픽싱 브라켓(30)을 하우징(10)의 양쪽 측면에 고정하게 된다.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상단부에 픽싱 브라켓(30)편을 구비한다. 픽싱 브라켓(30)편은 차량의 탑승구 아래의 차량 바텀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픽싱 브라켓(30)편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픽싱 브라켓(30)편의 체결구 결합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관통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체결구를 차량 바텀부에 조여줌으로써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을 차량 바텀부에 고정하고,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을 차량 바텀부에 고정하면 하우징(10)이 차량 탑승구 아래의 차량 바텀부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전단부에 프론트 브라켓편(36)을 구비한다. 프론트 브라켓편(36)은 픽싱 브라켓(30)의 전후단 방향(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측면 방향으로 절곡된 구조이다. 프론트 브라켓편(36)에는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체결구 결합홀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관통하도록 결합하여 차량의 바닥부(11)에 조여주면 픽싱 브라켓(30)이 상단부의 픽싱 브라켓(30)편과 프론트 브라켓편(36)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차량 바텀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픽싱 브라켓(30)의 하단부에는 걸침 브라켓편(38)이 구비된다. 픽싱 브라켓(30)을 구성하는 리니어 브라켓편(34)의 하단부에 걸침 브라켓편(38)이 구비된다. 걸침 브라켓편(38)은 픽싱 브라켓(3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걸침 브라켓편(38)은 하우징(10)의 바닥부(11)를 아래에서 받쳐준다. 걸침 브라켓편(38)에 형성된 체결구 결합홀에 체결구를 관통시켜서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조여줌으로써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의 걸침 브라켓편(38)이 하우징(10)의 밑에서 받쳐주고 있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픽싱 브라켓(30)편의 걸침 브라켓편(38)이 하우징(10)을 밑에서 받쳐주므로, 픽싱 브라켓(30)으로 하우징(10)을 아래에서 받쳐주는 구조(하부 지지 구조)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전단부에 프론트 커버(1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4)에 인출홀(10H)이 구비된다. 하우징(10)의 전단부에 구비된 프론트 커버 고정편(12CP)에 복수개의 체결구 결합홀이 구비되어, 프론트 커버(14)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구 관통홀에 체결구를 관통시켜서 프론트 커버(14) 브라켓편의 체결구 결합홀에 조여주면, 프론트 커버(14)이 하우징(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4)이 하우징(10)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하우징(10)의 내부 점검 작업 등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 프론트 커버(14)을 하우징(10)의 전단부에 분리하면 되므로,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점검 작업 등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론트 커버(14)의 상단부에는 커버 비드부(114)가 더 구비된다. 커버 비드부(114)는 하우징(10)의 상면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로우 비드편(114A)과, 이 로우 비드편(114A)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이렉트 비드편(114B)과, 이 이렉트 비드편(114B)에서 로우 비드편(114A)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어퍼 비드편(114C)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커버 비드부(114)에 의해 프론트 커버(14)의 강도가 더 강화되므로, 발판(20)이 하우징(10)의 인출홀(10H)을 통해서 앞으로 나온 상태에서 차량 탑승자가 발판(20) 위에 올라설 때의 하중 등에 프론트 커버(14)이 보다 강하게 버틸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에는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20)의 돌출 및 복귀 작동시에 발판(20)에 구비된 오버슬램 범퍼(122)가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에 접촉된다. 상기 오버슬램 범퍼(122) 또는 상기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112)에는 완충재(고무재질 등)가 구비된다.
따라서, 발판(20)이 하우징(10)의 인출홀(10H)을 통해 하우징(10) 앞으로 돌출되거나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로 들어갈 때에 발판(20)이 하우징(10)에 과도한 힘으로 충돌하여 발판(20)과 하우징(10)의 변형이 생기는 경우가 방지되고 충돌로 인한 소음 발생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은 발판(20)의 돌출 및 복귀 행정시, 발판(20) 하부측의 오버슬램 범퍼(122)가 하우징(10)의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에 서로 맞닿게 되면서 기어의 스프로켓(SP) 단차유격 보정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에는 하부 보강 프레임(124)이 구비된다. 하부 보강 프레임(124)은 하우징(10)의 바닥부(11) 상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보강 프레임(124)이 하우징(10)의 강도를 보다 높여주므로, 상기 발판(20)이 하우징(10)의 인출홀(10H)을 통해서 하우징(10) 앞으로 나온 상태에서 차량 탑승객이 발판(20)(발판(20)) 위에 올라선 하중 등에 하우징(10)의 더욱 강하게 버티는 힘을 보유하도록 한다.
상기 발판(20)은 엘엠가이드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0)에는 엘엠가이드를 지지하는 리니어가이드 패치(126)가 구비된다. 리니어가이드 패치(126)에 의해 엘엠가이드를 지지하는 구조의 강도를 더욱 높이게 된다. 즉, 리니어가이드 패치(126)는 발판(20) 슬라이드 역할을 하는 엘엠가이드의 바닥 지지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어 스프로켓(SP)은 체인(CA) 장력브라켓에 장착되고, 상기 체인(CA) 장력브라켓은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되며, 상기 체인(CA) 장력브라켓은 포지션 셋터에 의해 하우징(10)의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어 셋팅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의 후단부에는 리어 측벽부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CA)장력 브라켓(112CB)은 후단 측벽부가 리어 측벽부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포지션 셋터는 하우징(10)의 리어 측벽부에 결합됨과 동시에 체인(CA)장력 브라켓(112CB)의 리어 측벽부를 관통하여 결합된 포지션 볼트와, 상기 포지션 볼트에 결합된 포지션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포지션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줌에 따라 체인(CA) 장력브라켓이 하우징(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경로(길이 방향 경로)를 따라 전후진되고, 체인(CA) 장력브라켓의 전후진에 따라 리어 스프로켓(SP)도 전후진되면서 리어 스프로켓(SP)과 프론트 스프로켓(SP)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며, 리어 스프로켓(SP)과 프론트 스프로켓(SP) 사이의 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체인(CA)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포지션 볼트와 포지션 너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체인(CA)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체인(CA)의 장력을 조절한다 함은 발판(20)이 하우징(10)의 전단부 인출홀(10H)을 통해서 원활하게 인출 작동되도록 조절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발판(20)이 하우징(10)의 앞으로 제대로 인출되지 못하거나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로 제대로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기와 같이 체인(CA)의 장력을 조절하여 발판(20)이 하우징(10)의 앞으로 원활하게 돌출되고 하우징(10) 내부의 수용부로 원활하게 들어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어린이와 노약자들이 버스나 승합차의 승하차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차량의 발판(20)장치이다.
상기 하우징(10)(발판 케이스)의 하부측에 슬라이드구조의 LM가이드 블록이 발판(20)(발판(20))을 지지하고 고정하며, 발판(20)의 차량 내측부에 모터가 고정되어있다. 모터는 발판(20)케이스 하부의 가이드 체인(CA)과 맞물려 있다. 상기와 같이, 발판(20)에 구비된 모터의 모터축에 구비된 스프로켓(SP)이 하우징(10)에 구비된 가이드 체인(CA)과 맞물려 있다.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모터부 기어, 다시 말해, 리어 스프로켓(SP)과 프론트 스프로켓(SP)의 스프로켓(SP)이 체인(CA)에 맞물려 정역회전하면서 본 발명의 주요부인 발판(20)을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하우징(10)의 내부로 수납하게 된다.
발판(20) 하부에 장착된 리미트센서 터치 브라켓이 발판 케이스(하우징(10)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과 발판 케이스를 혼용하여 사용함) 하부에 장착된 리미트센서와 접촉하면서 발판(20) 이동량을 제어해 준다. 리미트 센서(22)는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에 구비된 센서 브라켓(16)에 장착된다.
장착위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 하단부에 픽싱 브라켓(30)이 장착되며, 상기 픽싱 브라켓(30)의 내측으로 자동발판이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픽싱 브라켓(30)이 차량의 하부 바닥판 저면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과 발판(20)이 차량의 탑승구 아래에 장착된다.
자동발판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이나 이물질은 하우징(10) 전후방부 사이(케이스 전후방부 사이)의 사이드 엣지부(24)에 형성된 드레인홀로 배출되며, 유입된 이물질들은 발판(20) 슬라이드 구조인 LM가이드가 케이스 하단부면에 오프셋이 되어 있으므로, 구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구조이다. 즉, 엘엠 가이드가 발판(20)의 인출 작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시인성 확보를 위해 발판(20)(발판(20))의 전면부측 돌출시 LED가 점등된다.
오직 PARKING 신호에만 발판(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안전성을 확보한다. 보조 발판(20)에 전원이 공급된다 함은 발판(20)의 인출 작동을 하는 동력원인 구동모터(MD)에 전원을 공급한다는 의미이다.
발판(20)의 전면 돌출시 엘이디가 점등되는 작동이나 파킹 신호에서만 발판(20) 구동원인 구동모터(MD)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작동은 제어부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발판(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발판(2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복귀장치(21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동 복귀장치(210)는 체인 디스크(212)와 고정볼트(214)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는 축부재가 결합된다. 상기 축부재에는 체인 디스크(212)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체인 디스크(212)가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축부재에는 상기 프론트 스프로켓(SP)(체인기어라 할 수도 있음)의 중심부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스프로켓(SP)이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스프로켓(SP)과 리어 스프로켓(SP)에 상기 체인(CA)이 결합된다.
상기 체인 디스크(212)의 중심부가 상기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체인 디스크(212)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 결합홀(212BH)을 구비한다. 체인 디스크(212)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볼트 결합홀(212BH)이 구비된다. 볼트 결합홀(212BH)은 체인 디스크(212)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볼트 결합홀(212BH)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홀로 구성된다. 볼트 결합홀(212BH)은 고정볼트(214)를 체결할 수 있는 홀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는 볼트 통과홀(11PH)이 구비된다. 볼트 통과홀(11PH)은 체인 디스크(212)의 볼트 결합홀(212BH)과 만나게 된다. 이때, 볼트 통과홀(11PH)은 체인 디스크(212)의 복수개의 볼트 결합홀(212BH)이 배치된 궤적을 따라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볼트 결합홀(212BH)이 체인 디스크(212)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상기 볼트 통과홀(11PH)은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14)는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형성된 볼트 통과홀(11PH)을 지나서 상기 체인 디스크(212)의 볼트 결합홀(212BH)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볼트(214)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파지부를 구비한 나비볼트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14)를 체인 디스크(212)의 볼트 결합홀(212BH)에 체결하면, 상기 나비볼트의 파지부가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가압되므로, 상기 체인 디스크(212)가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한편, 상기 프론트 스프로켓(SP)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20)이 하우징(10)에서 정상적으로 인출되고 수납되는 평시에는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나비볼트에 의해 체인 디스크(212)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발판(20) 복귀 기능 장애시에는 상기 나비볼트를 풀어준다. 발판(20) 복귀 기능 장애라 함은 하우징(10)에서 인출된 발판(20)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다시 들어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나비볼트를 풀어서 상기 체인 디스크(212)의 볼트 결합홀(212BH)에서 탈거한다. 나비볼트를 탈거하면 체인 디스크(212)는 고정형 체인 디스크(212)에서 회전형 체인 디스크(212)로 전환된다. 나비볼트가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체인 디스크(212)를 잡고 있을 때에는 체인 디스크(212)가 고정형 체인 디스크(212)이지만, 상기 나비볼트를 탈거하면 체인 디스크(212)가 상기 바닥부(11)에 구비된 축부재를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한 회전형 체인 디스크(212)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체인 디스크(212)를 회전형 체인 디스크(212)로 기능 전환을 한 다음에는 상기 하우징(10)에서 인출되어 나온 발판(20)을 수동으로 하우징(10) 내부로 다시 밀어넣는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상기 체인 디스크(212)가 회전형 체인 디스크(212)로 되어 있어서 상기 체인 디스크(212)가 회전하면서 상기 발판(20)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다시 수납될 수 있다. 수동으로 발판(20)을 하우징(10)의 내부로 밀어넣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발판(20)이 하우징(10)의 내부로 다시 들어간 상태에서 상기 나비볼트를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형성된 볼트 통과홀(11PH)로 통과시켜서 다시 상기 체인 디스크(212)의 볼트 결합홀(212BH)에 체결한다. 그러면, 상기 나비볼트가 하우징(10)의 바닥부(11)에 고정되도록 하므로 상기 체인 디스크(212)가 다시 고정형 체인 디스크(212)로 기능 전환이 되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발판(20)이 들어가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판(20)이 하우징(10)에서 바깥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발판(20)이 자동으로 하우징(10)에 들어가지 못하는 기능 장애가 발생할 때에 수동으로 발판(20)을 하우징(10)에 다시 밀어넣을 수 있으므로, 발판(20)의 기능 장애시 발판(20)이 하우징(10)에 제대로 들어가 못하여 차량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발판(20)이 돌출되어 나온 상태에서 차량을 운행하면 발판(20)이 운행 중에 도로의 연석에 걸리는 것과 같은 여러 가지 곤란함이 초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발판(20)이 자동으로 원위치로 들어가는 기능 장애가 발생할 경우 수동으로 발판(20)을 원위치로 밀어넣을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운행 등에 있어서 곤란을 겪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20)의 인출시와 수납시 및 발판(20)의 작동 장애시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 발생부를 더 포함한다. 신호음 발생부는 차량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의 발판(20)이 인출 및 수납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신호음 발생부는 발판(20)의 인출과 수납을 감지함은 물론 발판(20)의 작동 장애(즉, 발판(20)이 하우징(10)에서 제대로 나오지 않거나 하우징(10)에서 인출된 발판(20)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는 작동 장애)을 감지하는 센서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센서의 감지 신호에 따라 신호음 발생부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상시 발판(20) 작동시 운전석 CRASH PAD 내측부 1개소와 슬라이딩 도어부 사이드 스커트 내측부 1개소에 신호음 발생부가 구비되어, 상기 신호음 발생부에서 비프음을 동시에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호음 발생부는 발판(20)의 정상 인출과 수납시에 정상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판(20)의 작동 장애시에는 정상 신호음과 음패턴이 다른 장애 신호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신호음 발생부에서 발판(20)의 정상 작동 신호음을 발생시킬 때에는 운전자 등이 정상 작동 상태를 인지하는 한편, 신호음 발생부에서 장애 신호음을 발생시킬 때에는 운전자 등으로 하여금 발판(20)의 비정상 작동 여부를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 등이 발판(20)의 정상 작동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방시에 부저 울림과 동시에 상기 발판(20)이 수납되는 하우징(10) 전면의 엘이디 바아가 점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다음 부저 울림의 종료와 동시에 엘이디 바아가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저 울림은 상기 신호음 발생부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별도의 부저음 발생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엘이디 바아는 엘이디가 바아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신호음 발생부 또는 부저음 발생부와 연동되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방시에 부저울림과 동시에 발판(20) 전면부 1자형 LED바아가 점등되고, 슬라이딩 도어 닫힘 후에는 부저울림 종료와 동시에 발판(20) 전면부 LED 바아가 소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판(20)의 인출 중에 발판(20) 모터 부하량 증가 신호가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모터 부하량 발생 증가 신호부가 발판(20) 작동용 모터에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 부하량 발생 증가 신호부에서 발판(20) 모터 부하량 증가로 인한 인풋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풋 신호는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된 상기 인풋 신호에 의해 피씨비 내부에서 장애감지동작 시퀀스로 변경된다. 장애감지 동작 시퀀스 작동부에 의해 상기 인풋 신호를 피씨비 내부에서 장애감지동작 시퀀스로 변경되고, 상기 발판(20) 모터 역회전 아웃풋 신호를 상기 발판(20) 모터로 송출한다. 발판(20) 모터 역회전 아웃풋 신호 발생부에서 발판(20) 모터 역회전 아웃풋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판(20) 모터의 역회전으로 상기 발판(20)이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판(20)이 전방으로 돌출 중에 발판(20)이 보도블럭 및 장애물에 부딪히면 발판(20)모터 부하량이 증가하면, 부하량 증가신호가 발생하고, 모터 부하 증가로 인한 INPUT 신호가 발생하여 MAIN PCB 제어보드로 전달된다. MAIN PCB 제어보드로 전달된 INPUT 신호로 PCB 내부에서 장애감지동작 시퀀스로 변경하고, 모터 역회전 OUTPUT 신호를 모터부로 송출하여, 모터 역회전 발생으로 발판(20)이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20) 인출시에 발판(20)이 외부 물체에 부딪혀서 모터에 부하가 생기면 즉시 모터를 역회전시켜서 발판(20)을 다시 수납되도록 하므로,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경우를 방지하고 모터가 과부하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하우징 12. 하우징 바디
14. 프론트 커버 16. 센서 브라켓
20. 발판 22. 리미트 센서
24. 사이드 엣지부 26. 모터 장착부
30. 픽싱 브라켓 32. 어퍼 브라켓편
34. 리니어 브라켓편 36. 프론트 브라켓편
38. 걸침 브라켓편 210. 수동 복귀장치
212. 체인 디스크 214. 고정볼트

Claims (9)

  1. 차량(2)의 탑승구(3) 위치에 고정되며 내부에 수용부가 구비되고 전단부에는 상기 수용부와 연통된 인출홀(10H)을 구비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수용부에 내장되어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상기 인출홀(10H)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에서 인출되는 발판(20);
    상기 발판(20)에 상기 구동유닛을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발판(20)의 인출 작동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에는 한 쌍의 픽싱 브라켓(30)이 구비되고, 상기 픽싱 브라켓(30)은 상기 차량의 탑승구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10)을 상기 탑승구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10)은 하우징 바디(12)의 전단부에 프론트 커버(14)가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 커버(14)의 상단부에는 커버 비드부(1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커버 비드부(114)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부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로우 비드편(114A)과, 상기 로우 비드편(114A)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이렉트 비드편(114B)과, 상기 이렉트 비드편(114B)에서 상기 로우 비드편(114A)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어퍼 비드편(114C)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수용부에는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112)이 구비되고, 상기 발판(20)의 돌출 및 복귀 작동시에 상기 발판(20)에 구비된 오버슬램 범퍼(122)가 상기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112)에 접촉되고, 상기 오버슬램 범퍼(122) 또는 상기 오버슬램 범퍼 브라켓(112)에는 완충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발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이 인출된 상태에서 수동으로 상기 발판(20)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복귀장치(2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발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인출시와 수납시 및 상기 발판(20)의 작동 장애시에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신호음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신호음 발생부는 상기 발판(20)의 정상 인출과 수납시에 정상 신호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발판(20)의 작동 장애시에는 상기 정상 신호음과 음패턴이 다른 장애 신호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발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 개방시에 부저 울림과 동시에 상기 발판(20)이 수납되는 상기 하우징(10) 전면의 엘이디 바아가 점등되고, 상기 슬라이딩 도어가 닫힌 다음 부저 울림의 종료와 동시에 상기 엘이디 바아가 소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자동발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인출 중에 발판(20) 모터 부하량 증가 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발판(20) 모터 부하양 증가로 인한 인풋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인풋 신호는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되고, 상기 메인 피씨비 제어보드로 전달된 상기 인풋 신호에 의해 피씨비 내부에서 장애감지동작 시퀀스로 변경되고, 상기 발판(20) 모터 역회전 아웃풋 신호를 상기 발판(20) 모터로 송출하고, 상기 발판(20) 모터의 역회전으로 상기 발판(20)이 복귀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자동발판.
KR1020180064960A 2017-07-19 2018-06-05 차량용 자동발판 KR102056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91339 2017-07-19
KR1020170091339 2017-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96A KR20190009696A (ko) 2019-01-29
KR102056726B1 true KR102056726B1 (ko) 2019-12-17

Family

ID=6532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960A KR102056726B1 (ko) 2017-07-19 2018-06-05 차량용 자동발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7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0783A1 (en) * 2021-06-25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Ramp system of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8018Y1 (ko) * 2023-05-19 2024-05-22 장정환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KR200497328Y1 (ko) * 2023-05-19 2023-10-10 장정환 철도차량용 안전발판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1042U (ko) 1997-12-30 1999-07-26 추호석 차량용 절첩식 발판
KR19980032041U (ko) 1998-05-19 1998-08-17 남상진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KR19980059700U (ko) 1998-07-28 1998-10-26 조인희 통학차량용 보조발판
KR20080044371A (ko) 2006-11-16 2008-05-21 남궁정배 차량용 보조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27B1 (ko) * 2014-06-17 201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럭의 스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0783A1 (en) * 2021-06-25 2022-12-29 Hyundai Motor Company Ramp system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9696A (ko) 201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726B1 (ko) 차량용 자동발판
US7429155B2 (en) Wheelchair-fixing device, wheelchair-loadable vehicle, and wheelchair system
US6543848B1 (en) Vehicular turning seat
EP0483141B1 (en) An antitheft pedal-locking device for vehicles
KR101535027B1 (ko) 트럭의 스텝
KR100509719B1 (ko) 차량용 보조 발판 제어시스템
CN109733417B (zh) 列车站台伸缩踏板装置
US5951098A (en) Safety door for right-hand stand-up truck
KR101199886B1 (ko) 이륜차용 주차장치
CN210706896U (zh) 一种座椅导轨固定式手动驾驶汽车辅助装置
KR200414683Y1 (ko)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
CN201015964Y (zh) 多功能驾驶员座椅
CN201015963Y (zh) 双保险驾驶员座椅
KR101694863B1 (ko) 어린이 승합차용 보조발판장치의 리어 프레임 구조
JPH086595Y2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142736Y1 (ko) 자동차용풋레스트(footrest)
KR20120118317A (ko) 어린이통학 버스용 보조발판장치
JPS6171233A (ja) 車両用シ−ト
JP5016499B2 (ja) ドアアンロック装置
KR0115636Y1 (ko) 자동차의 시트 안전장치
KR20090069746A (ko) 상해방지를 위한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JP3502935B2 (ja) 小型車両
JP2006192182A (ja) 電動ゴルフカート
DE102004029628A1 (de) Airbag-Steuergerät für einen Airbag in einem Kraftfahrzeug
KR200153084Y1 (ko)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