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084Y1 -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084Y1
KR200153084Y1 KR2019970002581U KR19970002581U KR200153084Y1 KR 200153084 Y1 KR200153084 Y1 KR 200153084Y1 KR 2019970002581 U KR2019970002581 U KR 2019970002581U KR 19970002581 U KR19970002581 U KR 19970002581U KR 200153084 Y1 KR200153084 Y1 KR 200153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guide
coupling
coupl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2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202U (ko
Inventor
조레오
Original Assignee
박동규
쌍용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규, 쌍용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동규
Priority to KR2019970002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084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슬라이딩도어(20)가 장착되는 차체(21)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부싱(3)을 설치하며, 상기 차체(21)의 일측저부 및 전방에 리미트스위치(7)(6)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차체(21)의 내측에 모터(1)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가이드(2)를 결합고정하며, 상기 모터(1)의 일측에 감속기어와 일체로 치합되는 기어(23)가 착설되고, 상기 결합가이드(2)의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24)이 형성되어 결합홈(24')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25)가 그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가이드(2)의 상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11)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차체(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20)의 내부 일측에 가이드브라켓(4)이 스크류(14) 결합되어 그 상측에 가이드로울러(11)가 입설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타측에 고정브라켓(5)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에 일단이 결합되는 체인(8)이 결합가이드(2) 상측의 가이드로울러(11) 및 가이드브라켓(4)의 가이드로울러(1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프링(10)의 후크(9)에 타단이 결합고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본 고안은 승합자동차의 슬라이딩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폐 가능토록 하여 도어의 개폐에 따른 탑승자의 불편을 최소화 할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되는 차체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부싱을 설치하고, 상기 차체의 내측에 모터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를 결합고정하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감속기어가 연결되어 그 단부에 기어가 착설되고, 상기 결합가이드의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가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가이드의 상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자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의 내부 일측에 가이드브라켓이 스크류 결합되어 그 상측에 가이드로울러가 입설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타측에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는 체인이 결합가이드상측의 가이드로울러 및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로울러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도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후크에 타단이 결합고정됨으로 인하여, 모터와 체인 및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고, 슬라이딩도어를 탑승자가 직접 개방 및 폐쇄 시킬필요없이 자동으로 개폐가능토록 하여 탑승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슬라이딩도어의 개폐를 중앙집중식으로 운전자가 개폐토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여 이에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탑승시 도어를 직접조작하지 않아도 개폐가능하고, 별도의 도어록킹장치가 필요없이도 도어를 견고하게 장착되어 탑승자의 부주위에도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승합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에 있어서는, 승합자동차의 일측에 일측면을 개방하여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승객이 용이하게 승, 하차할수 있도록 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의 상,하측에 도어지지대가 각각 설치되어 그 단부에 로울러가 설치되며, 상기 로울러는 차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에 삽입되어 회전주행토록 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측면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록킹장치를 해제하여 슬라이딩도어를 후방으로 당기면 슬라이딩도어가 개방되어 승객이 승, 하차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슬라이딩도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60)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슬라이딩도어(58)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58)의 상,하측에 도어지지대(53)를 설치하여 로울러(54)가 설치되며, 상기 로울러(54)는 플로어패널(51) 측방의 스텝플레이트 지지부재(52)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55)에 삽입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55) 및 상측로울러(59)가 설치되는 레일홈(56)의 상측에 스탭 플레이트(57)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도어는, 자동차(60)의 일측면 개방부에 슬라이딩도어(58)를 설치하여 승객의 승, 하차시 상기 슬라이딩도어(58)를 개방토록 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58)는 상, 하측에 일체로 연결되는 도어지지대(53)의 단부에 로울러(54)를 설치하여 차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부재(55) 및 레일홈(56)에 용이하게 주행토록 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58)의 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61)의 록킹장치(62)를 해제하면 자동차(60)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63)에서 록킹장치(62)가 해제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58)를 일측으로 더욱 밀면 슬라이딩도어(58)가 가이드부재(55) 및 레일홈(56)을 따라 주행하여 자동차(60)의 측면이 개방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도어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도어(58)를 탑승자가 직접 개방 및 폐쇄하여야 함으로써 노약자 및 장애인등의 슬라이딩도어(58) 개폐가 불가능하여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고, 슬라이딩도어(58)의 록킹장치(62)가 슬라이딩도어(58)의 내측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어개방이 발생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탑승시에는 슬라이딩도어(58)를 운전자 및 보조탑승자에 의해 개방 및 폐쇄하여야 하여 별도의 인원 및 불편함이 가중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모터와 체인 및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지고, 슬라이딩도어를 탑승자가 직접 개방 및 폐쇄 시킬필요없이 자동으로 개폐가능토록 하여 탑승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슬라이딩도어의 개폐를 중앙 집중식으로 운전자가 개폐토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여 이에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탑승시 도어를 직접조작하지 않아도 개폐가능하고, 별도의 도어록킹장치가 필요없이도 도어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탑승자의 부주의에도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되는 차체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부싱을 설치하고, 상기 차체의 내측에 모터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가이드를 결합고정하며, 상기 모터의 일측에 감속기어가 연결되어 그 단부에 기어가 착설되고, 상기 결합가이드에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홈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가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가이드의 상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의 내부 일측에 가이드브라켓이 스크류 결합되어 그 상측에 가이드로울러가 입설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타측에 고정브라켓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일단이 결합되는 체인이 결합가이드상측의 가이드로울러 및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로울러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도어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프링에 후크에 타단이 결합고정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제1도는 종래의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모터 2 : 결합가이드
3 : 부싱 4 : 가이드브라켓
5 : 고정브라켓 6 : 리미트스위치
8 : 체인 9 : 후크
10 : 스프링 18 : 볼트
20 : 슬라이딩도어 21 : 차체
22 : 결합편 23 : 기어
24 : 스크류홈 25 : 보조가이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상태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은, 슬라이딩도어(20)가 장착되는 차체(21)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부싱(3)을 설치하며, 상기 차체(21)의 일측저부 및 전방에 리미트스위치(7)(6)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차체(21)의 내측에 모터(1)가 이체로 결합되는 결합가이드(2)를 스크류(15)로서 차체(21)에 결합고정하며, 상기 모터(1)의 일측에 감속기어와 일체로 치합되는 기어(23)가 착설되고, 상기 결합가이드(2)의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24)이 형성되어 결합홈(24')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25)가 그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가이드(2)와 보조가이드(25)는 볼트(18)와 너트(19)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결합가이드(2)의 상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11)가 결합사이드(2)에 일체로 결합되는 롤러축(12)에 삽입되어 핀(13)으로서 고정되며, 상기 차체(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20)의 내부 일측에 가이드브라켓(4)이 스크류(14) 결합되어 그 상측에 롤러축(12)에 핀(13) 고정되는 가이드로울러(11)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타측에 고정브라켓(5)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라켓(5)에 일단이 결합되는 체인(8)이 결합가이드(2) 상측의 가이드로울러(11) 및 가이드브라켓(4)의 가이드로울러(1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내측면에 경합되는 스프링(10)의 후크(9)에 타단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스프링(10)의 단부는 와셔(17)를 개재한 스크류(16)로서 슬라이딩도어(20)에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라이딩도어(20)가 장착가능토록 차체(21)의 일측면을 개방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장착하고, 상기 차체(21)의 모서리부에 부싱(3)을 설치하여 이에 접촉되는 체인(8)이 용이하게 이송토록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시 모터(1)에 연결되는 스위치를 누르면 모터(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모터(1)에 연결되는 기어(2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이에 치합되는 체인(8)을 일측으로 당기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체인(8)이 일측으로 당겨지면 이에 후크(9)연결되는 스프링(10)을 팽창시키게 되고, 상기 스프링(10)이 탄성범위내로 팽창한후 팽창이 중지되어 이때부터 체인(8)만이 움직이게 되며, 반대방향의 체인(21)은 지지되는 가이드로울러(11)를 통하여 그 단부가 슬라이딩도어(20)의 일측에 지지됨으로서 슬라이딩도어(20)를 밀게 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20)는 상, 하부에 설치되는 로울러에 의해서만 이송토록 됨으로써 체인(8)의 단부가 슬라이딩도어(20)를 밀 때 손쉽게 개방토록 되고, 슬라이딩도어(20)가 완전히 개방되면 리미트스위치(7)가 작동하여 전원을 끊음으로써 개방이 완료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닫힘시에 운전석에 마련된 닫힘스위치를 누르면 모터(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토록 되어 이에 연결되는 기어(2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기어(23)가 일체로 결합되는 체인(8)를 타측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이때 슬라이딩도어(20)에 고정되는 체인(8)을 끌게되어 슬라이딩도어(20)가 닫힘동작이 시작된다.
계속하여, 상기 기어(23)가 계속작동하면 스프링(10)이 복원이 시작되고 이와동시에 체인(8)이 슬라이딩도어(20) 내측으로 이동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닫힘이 완료되고, 상기 차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리미트스위치(6)가 슬라이딩도어(20)의 일측에 접촉되어 모터(1)의 전원을 끊어줌으로써 닫힘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작동중 위급상황이 발생하면 슬라이딩도어(20)가 정지토록 비상스위치를 설치하고, 상기 결합가이드(2)에 삽입되는 보조가이드(25)에 다수의 스크류홈(24)(24')이 각각 형성되어 볼트(18)를 결합할 때 확대 및 축소 가능토록 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크기에 따라 스프링(10)의 탄성을 조정토록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에 의하면, 모터와 체인 및 가이드로울러를 설치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작 및 설치가 손쉽게 이루어 지고, 슬라이딩도어를 탑승자가 직접 개방 및 폐쇄 시킬필요없이 자동으로 개폐가능토록 하여 탑승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슬라이딩도어의 개폐를 중앙집중식으로 운전자가 개폐토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한 도어개방을 방지하여 이에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노약자나 장애인 등의 탑승시 도어를 직접조작하지 않아도 개폐가능하고, 별도의 도어록킹장치가 필요없이도 도어를 견고하게 장착되어 탑승자의 부주의에도 도어의 개방이 방지되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슬라이딩도어(20)가 장착되는 차체(21)의 일측면 모서리부에 부싱(3)을 설치하며, 상기 차체(21)의 일측저부 및 전방에 리미트스위치(7)(6)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차체(21)의 내측에 모터(1)가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가이드(2)를 결합고정하며, 상기 모터(1)의 일측에 감속기어와 일체로 치합되는 기어(23)가 착설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2)의 측면에 다수의 결합홈(24)이 형성되어 결합홈(24')이 일체로 형성되는 보조가이드(25)가 그 내측에 삽입되며, 상기 결합가이드(2)의 상측면에 다수의 가이드로울러(11)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차체(21)의 일측에 설치되는 슬라이딩도어(20)의 내부 일측에 가이드브라켓(4)이 스크류(14) 결합되어 그 상측에 가이드로울러(11)가 입설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타측에 고정브라켓(5)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브라켓(5)에 일단이 결합되는 체인(8)이 결합가이드(2) 상측의 가이드로울러(11) 및 가이드브라켓(4)의 가이드로울러(11)를 경유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스프링(10)의 후크(9)에 타단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20)는, 모터(1)의 구동을 정지토록 비상스위치가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2019970002581U 1997-02-20 1997-02-20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53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81U KR200153084Y1 (ko) 1997-02-20 1997-02-20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2581U KR200153084Y1 (ko) 1997-02-20 1997-02-20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202U KR19980058202U (ko) 1998-10-26
KR200153084Y1 true KR200153084Y1 (ko) 1999-08-02

Family

ID=19495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2581U KR200153084Y1 (ko) 1997-02-20 1997-02-20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0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202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3043C (en) Powered sliding door opener/closer for vehicles
US3874527A (en) Vehicle mounted access ramp for wheelchair users
JP2008511488A (ja) 自動車のフレームレスなサイドウインドウ用のシールストリップ
US20030071434A1 (en) Dual function passenger access system for a vehicle
JP4679196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0153084Y1 (ko) 자동차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 개폐장치
EP1772306A2 (en) A vehicle seat rotative assembly
EP1785557A2 (en) Door Latch
JP2662890B2 (ja) 自動車のステップ装置
JP2004168294A (ja) 自動車のための取外し可能なルーフ
KR0149072B1 (ko) 자동차 도어 오픈시 출발방지장치
JPH053387Y2 (ko)
JPH06135270A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KR200146217Y1 (ko) 자동차의 차일드록 자동해제장치
KR100214967B1 (ko) 후드 개방시의 주차 브레이크 유지장치
KR960005855B1 (ko) 차량개구 폐쇄조립체
FI109776B (fi) Laitteisto auton liukuovityyppisen sivuoven avaamiseksi ja sulkemiseksi
JPH051565U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0173634B1 (ko) 중앙집중식 자동도어 잠금시스템의 고장감지 장치
GB2315207A (en) Rotating easy-access vehicle seats
KR200205663Y1 (ko) 시트 백 고정장치
KR100472138B1 (ko) 차량의 어린이보호용 잠금장치
KR100199947B1 (ko) 자동차용 후방 확인장치
KR0184983B1 (ko) 자동차용 도어 개폐 장치
KR19980069314A (ko) 승합차용 사이드 도어의 록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