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1673B1 -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 Google Patents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1673B1
KR100401673B1 KR10-2001-0040079A KR20010040079A KR100401673B1 KR 100401673 B1 KR100401673 B1 KR 100401673B1 KR 20010040079 A KR20010040079 A KR 20010040079A KR 100401673 B1 KR100401673 B1 KR 100401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emergency exit
switch
bus
driv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4565A (ko
Inventor
홍종화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673B1/ko
Publication of KR2003000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4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36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side panels, sill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 측면에 비상구가 구비된 버스에 있어서, 버스의 플로어패널 하측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버스(B)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비상구(10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일정구간 다수개의 유동홈(211)이 형성된 두 개의 몸체봉(210)과, 패널형태로 양측 중앙단부가 상기 두 몸체봉(210)에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디딤판(220)과, 일측은 상기 디딤판(220)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몸체봉(210)의 유동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디딤판(220)이 접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디딤판링크(230)와, 상기 몸체봉(210)의 상측단부 외측면에 체결되어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240)로 이루어진 보조계단(200)과;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계단(200)의 두 몸체봉(210) 상측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에 기어형상의 제2기어부(310)가 형성된 두 개의 이동부(300)와; 상기 비상구(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플로어패널의 저면부에 상기 보조계단(200)과 이동부(300)가 나란하게 수납되어 횡방향으로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400)과; 상기 보조계단(200)의 제1기어부(240)와 맞물려 상기 보조계단(200)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구동모터(510)와, 상기 이동부(300)의 제2기어부(310)와 맞물려 상기 이동부(300)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구동모터(520)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온"과 "오프"로 작동하는 스위치(530)와, 상기 스위치(530)가 "온"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510) 및 제2구동모터(520)가 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정구동릴레이(540)와, 상기 스위치(530)가 "오프"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510) 및 제2구동모터(520)가 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구동릴레이(550)와, 상기 정구동릴레이(540)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2구동모터(52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1구동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역구동릴레이(550)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1구동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2구동모터(52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타임릴레이(560)로 이루어진 제어부(500)로 구성되어, 버스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Assistant stepper for a emergency door of buses}
본 발명은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방 측면에 비상구가 구비된 버스에 있어서, 버스의 플로어패널 하측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버스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객의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는 많은 승객을 탑승시킨 후 운송시키는 대표적인 대중교통수단 중 하나로써,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출입구가 버스의 전방 또는 중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버스의 플로어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상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탑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출입구에는 계단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특수목적의 버스에는 후방측면에 차량 화재 등의 비상시 개방하여 승객이 하차할 수 있도록 비상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비상구는 차량의 플로어패널이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비상구의 하측에는 엔진룸, 밧데리룸, 후륜축, 타이어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사용하는 출입구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상구를 구비한 버스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상구를 구비한 버스는 버스(B)의 전방 측면에 출입구(20)가 구비되어 있으며, 버스의 후방 측면에는 비상구(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비상구를 구비한 버스는, 평상시에는 상기 출입구(20)를 개방한 후 승객이 승차 및 하차할 수 있으며, 차량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하여 빠른 시간 내에 하차시키기 위하여 버스(B)의 후방 측면에 비상구(10)를 개방시킨 후 상기 비상구(10)를 통하여 승객이 탈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구를 구비한 버스에는 차량 후방 하측에 엔진룸, 밧데리룸, 후륜축, 타이어 등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평상시에 사용하는 출입구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비상구가 구비되어 있어, 비상시 노약자 또는 어린이가 상기와 같이 높은 위치에 구비된 비상구에서 하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하차시 승객이 상해를 입기 쉽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버스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스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비상구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일정구간 다수개의 유동홈이 형성된 두 개의 몸체봉과, 패널형태로 양측 중앙단부가 상기 두 몸체봉에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디딤판과, 일측은 상기 디딤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몸체봉의 유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딤판이 접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디딤판링크와, 상기 몸체봉의 상측단부 외측면에 체결되어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로 이루어진 보조계단과;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계단의 두 몸체봉 상측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에 기어형상의 제2기어부가 형성된 두 개의 이동부와; 상기 비상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플로어패널의 저면부에 상기 보조계단과 이동부가 나란하게 수납되어 횡방향으로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된수납공간과; 상기 보조계단의 제1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보조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부의 제2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부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구동모터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온"과 "오프"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정구동릴레이와,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구동릴레이와, 상기 정구동릴레이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1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역구동릴레이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1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타임릴레이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버스의 비상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도 3의 C부분의 상세도,
도 6은 도 3의 D부분의 상세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도 7c의 E부분의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비상구 200 : 보조계단
210 : 몸체봉 211 : 유동홈
220 : 디딤판 230 : 디딤판링크
240 : 제1기어부 300 : 이동부
310 : 제2기어부 400 : 수납공간
410 : 밀폐패널 500 : 제어부
510 : 제1구동모터 520 : 제2구동모터
530 : 스위치 540 : 정구동릴레이
550 : 역구동릴레이 560 : 타임릴레이
570 : 보조계단등 B : 버스
도 2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상세도이며, 도 5는 도 3의 C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6은 도 3의 D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의 작동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c의 E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의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은, 버스(B)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비상구(100)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일정구간 다수개의 유동홈(211)이 형성된 두 개의 몸체봉(210)과, 패널형태로 양측 중앙단부가 상기 두 몸체봉(210)에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디딤판(220)과, 일측은 상기 디딤판(220)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몸체봉(210)의 유동홈(211)에 삽입되어 상기 디딤판(220)이 접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디딤판링크(230)와, 상기 몸체봉(210)의 상측단부 외측면에 체결되어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240)로 이루어진 보조계단(200)과;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계단(200)의 두 몸체봉(210) 상측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에 기어형상의 제2기어부(310)가 형성된 두 개의 이동부(300)와; 상기 비상구(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플로어패널의 저면부에 상기 보조계단(200)과 이동부(300)가 나란하게 수납되어 횡방향으로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400)과; 상기 보조계단(200)의 제1기어부(240)와 맞물려 상기 보조계단(200)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구동모터(510)와, 상기 이동부(300)의 제2기어부(310)와 맞물려 상기 이동부(300)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구동모터(520)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온"과 "오프"로 작동하는 스위치(530)와, 상기 스위치(530)가 "온"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510) 및 제2구동모터(520)가 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정구동릴레이(540)와, 상기 스위치(530)가 "오프"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510) 및 제2구동모터(520)가 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구동릴레이(550)와, 상기 정구동릴레이(540)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2구동모터(52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1구동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역구동릴레이(550)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1구동모터(510)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2구동모터(520)에 전원을 공급하는 타임릴레이(560)로 이루어진 제어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은, 평상시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계단(200)과 이동부(300)가 비상구(100)의 저면에 위치한 수납공간(400)에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며, 차량화재 등의 비상시에는 승객이 버스(B)의 후방 측면에 구비된 상기 비상구(100)를 개방한 후, 제어부(500)의 스위치(530)를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전환하게되면 상기 스위치(530)를 통하여 배터리(미도시)의 전원이 정구동릴레이(540)를 통과하여 제2구동모터(520)를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2구동모터(520)가 회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모터(520)에 맞물린 이동부(300)의 제2기어부(310)가 버스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부(300)에 힌지 결합된 보조계단(200)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이 버스(B)의 외측으로 평행하게 돌출 된다.
이후, 상기 정구동릴레이(540)와 연결된 타임릴레이(560)에 의하여 제2구동모터(520)는 정지하게 되고, 제1구동모터(510)가 회동하게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510)에 맞물린 보조계단(200)의 제1기어부(240)가 회동하게되어 상기 보조계단(20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의 하측단이 지면과 접촉하게된다.
이와 같이 보조계단(200)의 하측단을 지면에 접촉시킨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에 힌지 결합된 디딤판(220)을 회동시키면 상기 디딤판(220)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보조계단(200)의 몸체봉(210)에 형성된 유동홈(211)에 삽입되어 일정구간 유동 가능한 디딤판링크(230)에 의하여 상기 디딤판(220)은 수평을 유지하게되어 승객은 상기 보조계단(200)의 디딤판(220)을 밟고 신속하게 하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계단(200)을 버스(B)의 수납공간(400)으로 복귀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 6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에 힌지 결합된 디딤판(200)을 접동 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상기 스위치(530)를 "온"상태에서 "오프"상태로 전환하게되면 상기 스위치(530)를 통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역구동릴레이(550)를 통과하여 제1구동모터(510)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상기 제1구동모터(510)가 역방향으로 회동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모터(510)에 맞물린 보조계단(200)의 제1기어부(240)가 역방향으로 회동하게되어 상기 보조계단(20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이 이동부(300)와 수평을 이루게 된다.
이후, 상기 역구동릴레이(550)와 연결된 타임릴레이(560)에 의하여 제1구동모터(510)는 정지하게 되고, 제2구동모터(520)가 회동하게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구동모터(520)에 맞물린 이동부(300)의 제2기어부(310)가 버스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부(300)에 결합된 보조계단(310)도 함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계단(200)이 버스(B)의 수납공간(400)으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530)를 "온" 또는 "오프"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비상구(100)의 하측에 보조계단(200)을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스위치(530)를 비상구(100)의 개폐부위에 설치하여 비상구(100)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5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530)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점등되는 보조계단등(570)을 추가로 연결하여 버스(B)의 내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보조계단등(570)을 통하여 운전자 및 승객이 상기 비상구(100)의 개폐상태를 용이하게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계단(200)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수납공간(400)의 외측을 밀폐 가능한 패널형태의 밀폐패널(410)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계단(200)이 수납공간(400)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수납공간(400)을 밀폐시키도록 하여, 평상시 상기 수납공간(4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은 비상구가 구비된 버스에 구비되어 비상시 상기 비상구를 통하여 승객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하차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버스에 비상계단을 수납하도록 하여, 비상시 스위치의 제어나 비상구의 개방만으로 비상구로부터 지면까지 보조계단이 형성되도록 하여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탑승객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하차 가능하도록 하여 탑승객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버스의 후방 측면에 형성된 비상구와;
    평행하게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일정구간 다수개의 유동홈이 형성된 두 개의 몸체봉과, 패널형태로 양측 중앙단부가 상기 두 몸체봉에 일정간격으로 힌지 결합된 다수개의 디딤판과, 일측은 상기 디딤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하며, 타측은 상기 몸체봉의 유동홈에 삽입되어 상기 디딤판이 접동가능 하도록 형성된 디딤판링크와, 상기 몸체봉의 상측단부 외측면에 체결되어 외주면의 일정구간에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로 이루어진 보조계단과;
    일측단부가 상기 보조계단의 두 몸체봉 상측단부와 각각 힌지 결합하여 평행하게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도록 내측에 기어형상의 제2기어부가 형성된 두 개의 이동부와;
    상기 비상구의 하부에 위치하여 플로어패널의 저면부에 상기 보조계단과 이동부가 나란하게 수납되어 횡방향으로 일정구간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과;
    상기 보조계단의 제1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보조계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1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부의 제2기어부와 맞물려 상기 이동부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구동모터와,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온"과 "오프"로 작동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가 정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정구동릴레이와, 상기 스위치가 "오프"되었을 때 상기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역구동릴레이와, 상기 정구동릴레이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1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역구동릴레이에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에는 일정시간 제1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한 후 제2구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타임릴레이로 이루어진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계단의 하측단부에는 상기 수납공간의 외측을 밀폐 가능한 패널형태의 밀폐패널이 구비되어 상기 보조계단이 수납공간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수납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비상구에 위치하여 비상구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오프"상태를 유지하고, 비상구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온"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는 보조계단등이 추가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스위치의 "온"과 "오프" 전환에 따라 보조계단등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10-2001-0040079A 2001-07-05 2001-07-05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100401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79A KR100401673B1 (ko) 2001-07-05 2001-07-05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0079A KR100401673B1 (ko) 2001-07-05 2001-07-05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565A KR20030004565A (ko) 2003-01-15
KR100401673B1 true KR100401673B1 (ko) 2003-10-17

Family

ID=27713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079A KR100401673B1 (ko) 2001-07-05 2001-07-05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16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33B1 (ko) * 2017-08-29 2018-05-18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129B1 (ko) * 2013-03-05 2014-06-17 주식회사 프로모텍 차량용 비상탈출 장치
KR101500235B1 (ko) * 2013-12-20 2015-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사이드스텝 장치
KR20210015094A (ko) 2019-07-31 2021-02-10 안재훈 길이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버스 계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707A (en) * 1991-08-16 1993-07-20 Carriage, Inc. Retractable vehicle step
JPH0646456U (ja) * 1992-12-10 1994-06-28 進 笹津 人工漁礁
JPH10109538A (ja) * 1996-10-08 1998-04-28 Nippon Jidosha Kenkyusho バスの非常脱出装置
KR19980031491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3-도어를 장착한 저상버스의 구조
KR19990027955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차고가 높은 차량의 승하차시 보조 발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8707A (en) * 1991-08-16 1993-07-20 Carriage, Inc. Retractable vehicle step
JPH0646456U (ja) * 1992-12-10 1994-06-28 進 笹津 人工漁礁
JPH10109538A (ja) * 1996-10-08 1998-04-28 Nippon Jidosha Kenkyusho バスの非常脱出装置
KR19980031491A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3-도어를 장착한 저상버스의 구조
KR19990027955U (ko) * 1997-12-24 1999-07-15 양재신 차고가 높은 차량의 승하차시 보조 발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933B1 (ko) * 2017-08-29 2018-05-18 (주)케이에스피 이앤엠 스마트 밸브실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4565A (ko) 2003-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4527A (en) Vehicle mounted access ramp for wheelchair users
US6203266B1 (en) Power safety barrier for wheelchair lift
KR101262910B1 (ko) 전동식 스텝장치
JPH07108958A (ja) 自動車のロッカカバー
KR100401673B1 (ko) 버스의 비상구에 구비된 보조계단
KR20130051158A (ko) 자동문 개폐 연동 안전 발판
JPH0920235A (ja) 列車乗降補助装置
US4143281A (en) Vehicle for the handicapped
JP2000043718A (ja) 鉄道車両
JPH11173045A (ja) 開閉式梯子
KR200271320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접이식 부채살형상)
KR200261407Y1 (ko) 전철차량용 보조발판
KR100788747B1 (ko) 전동식 슬로프를 구비한 장애인용 차량
JPH0958955A (ja) エレベータの敷居隙間縮小装置
JPH07139276A (ja) 電動シャッターの開閉方法
JP3810180B2 (ja) 車両に装備されるスロープ板装置
KR100762791B1 (ko) 차량용 발판장치
JP2579338Y2 (ja) 車両用回転シート
JPS5916384Y2 (ja) エレベ−タドアの安全装置
IT202000015358A1 (it) Veicolo per persona affetta da disabilita&#39;
JPH11199162A (ja) 乗用二方向エレベータのかご
JP2003220093A (ja) 鉄道車両用の車椅子リフタ装置
JPH09165184A (ja) 車椅子用エスカレーター
KR100426872B1 (ko) 대형버스의 화물상 보조장치
KR19990027955U (ko) 차고가 높은 차량의 승하차시 보조 발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