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380Y1 - 차량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380Y1
KR200273380Y1 KR2020010037632U KR20010037632U KR200273380Y1 KR 200273380 Y1 KR200273380 Y1 KR 200273380Y1 KR 2020010037632 U KR2020010037632 U KR 2020010037632U KR 20010037632 U KR20010037632 U KR 20010037632U KR 200273380 Y1 KR200273380 Y1 KR 2002733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afety
human body
control signal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김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환 filed Critical 김종환
Priority to KR20200100376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3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380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 등의 하차시 후방 차량 등의 진입을 사전에 방지하여 차량에서 어린이 등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출발시에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차시에는 후속 차량에 탑승자의 하차를 알리는 하차알림 시스템과, 차량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인체감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vehicles}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린이 등의 하차시 후방 차량 등의 진입을 사전에 방지하여 차량에서 어린이 등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차량의 출발시에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원 차량 및 통학용 차량 등을 비롯한 승합차량의 경우, 다수의 인원이 수시로 승하차하게 된다는 차량의 특성상, 승객의 하차는 차량의 정지 시로부터 짧은 시간내에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승객의 하차 안전을 위하여 운전자는 백미러 등을 통해 후방을 확인한 후 문을 열어 승객을 하차시키고, 다시 운행할 때는 전방의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차량을 출발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빈번한 승하차에 자칫 운전자의 주의가 빼앗기게 되어, 운전자가 후방에서 진입해 오는 오토바이나 자전거, 또는 다른 차량과 하차 승객과의 충돌위험을 고려하지 않은 채, 무심코 차량의 문을 개방해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다. 또한, 운전자가 주의를 기울인다 하더라도,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이 주행 중 승객의 하차를 위하여 잠시 정차하는 경우에는, 도로 등에 비스듬히 정차하는 경우가 많아 운전자의 후방에 대한 시야확보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차량의 출발 시에 운전자가 전방의 장애물이 있는지 여부를 충분히 살피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이라 할 수 있지만, 대형차량의 경우 높이가 낮은 장애물은 운전자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은, 주변의 교통상태를 판단하여 자신의 안전을 도모할 만한 주의력을 갖춘 성인의 경우에는 그다지 문제시 되지 않을 수 있으나, 판단력 및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 등에 있어서는 그 안전을 크게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어린이 등의 하차시 안전대책 및 정지 차량의 출발 시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경광등이 구비되며 차량의 범퍼나 본닛 부위에 장착되어, 어린이 등의 하차 시 후방 차량 등의 진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의 출발시에는 전방의 장애물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장치의 외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봉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장치는,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차시에는 후속 차량에 탑승자의 하차를 알리는 하차알림 시스템과, 차량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인체감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은, 구동스위치와, 상기 구동스위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안전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 일단부에 경광등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차량의 내외부로 돌출/후퇴하도록 동작하는 안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은, 상기 안전봉의 표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 인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안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장치는 크게 후속 차량에 탑승자가 하차함을 알리는 하차알림 시스템과, 차량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 알리는 인체감지 시스템으로 구별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은 스위치(201)와, 제어부(10)와,안전봉(2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은 센서부(101)와, 제어부(10)와, 경보수단(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은, 탑승자의 하차를 알리기 위하여 차량의 본닛이나 범퍼등에 장착되는 안전봉(200)을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시키는 방식을 채용한다. 또한, 상기 안전봉에는 경광등을 설치하여 탑승자의 하차시에는 상기 안전봉을 돌출시킴과 동시에 경광등을 점등함으로써, 후속차량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탑승자의 하차가 종료된 후에는 안전봉을 후퇴시키고 경광등을 소등한다.
이와 같이 안전봉(200)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차량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안전봉을 돌출/후퇴 조작하기 위한 구동 스위치(201)가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안전봉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0)가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스위치는 전진 S/W와 후진 S/W로 이루어지며, 운전자는 탑승자의 하차시에는 전진 S/W를, 하차 종료후에는 후진 S/W를 온 상태로 조작하게 되며, 제어부는 상기 전진 및 후진 S/W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안전봉의 돌출/후퇴 동작에 필요한 모터구동과, 경광등의 점등 및 소등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은, 차량전방에 사람이 있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하여 안전봉의 표면에 센서부가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10)는 또한 센서부의 감지결과에 따라 경보수단(10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센서부는 사람의 체온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 또는열감지센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보수단은 차량에 설치된 부저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인체감지 시스템은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탑승자의 하차시에만 작동되는 것인 반면,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은 차량의 정차시 또는 운행시 어느 때나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차량전방에 사람이 있는 경우 운전자가 차량운행을 중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이 동작중인 경우, 즉 차량의 탑승자가 하차하고 있는 경우에는, 하차알림 시스템이 작동하고 있지 않는 경우와는 다른 경보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차알림 시스템이 동작중인 경우에는, 인체감지 시스템에 의해 차량 전방에 인체가 감지되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할 염려가 없음을 고려하여, 인체감지 경보의 경중을 구별하여 운전자에 알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안전장치의 외부구조가 도 2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하차알림 시스템의 안전봉(200)에는 인체감지 시스템의 센서부(101)가 장착되며, 본 고안의 안전장치를 차량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 받침대(300)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안전봉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봉은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모터(207)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정·역방향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207)와, 상기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왕복 직선운동하는 래크기어(20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래크기어(205)에는, 일단부에 경광등(202)이 장착되는 연장로드(204)가 마련된다.
차량의 운전석에서 구동스위치(201), 즉 안전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기 위한 스위치가 선택되면 제어부(10)는 상기 선택에 따른 안전봉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진 S/W 가 선택되었는지 후진 S/W가 선택되었는지에 따라 모터(208)의 회전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모터에 연동된 피니언 기어(207)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피니언 기어(207)와 맞물려 있는 래크기어(205)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의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는 래크기어가 전진하는 경우에는 래크기어의 연장로드(210)에 장착된 경광등(202)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래크기어가 후진하는 경우에는 경광등이 소등되도록 제어한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래크기어의 전진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1 스위치(206-1, 206-2)가 구비되며, 래크기어의 후진운동을 조절하기 위하여 제2 스위치(210-1, 210-2)가 구비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즉, 전진하던 래크기어가 제1 스위치가 닫혀지는 지점, 즉 206-1과 206-2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게 되면, 모터의 동작은 정지되고 이에 따라 전진하던 래크기어도 멈추도록 동작한다. 또한 운전자에 의해 후진 S/W가 선택되면 래크기어는 후진하게 되며, 래크기어가 제2 스위치가 닫혀지는 지점, 즉 210-1과 210-2가 만나는 지점에 이르게 되면 래크기어의 후진 동작은 정지됨과 동시에 경광등은 소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래크기어 지지축(211)을 하우징(203)내부에 설치하여, 래크기어가 하우징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지지되도록 하고 있으며, 연장로드(204)에는 베어링(210)을 설치하여 그 전진/후진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의 안전장치가 차량에 설치되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안전장치를 차량의 범퍼나 본닛 부위(P1, P2)에 장착하게 되면, 안전봉(200)이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을 통해 차량의 측면으로 돌출되어짐에 따라 탑승자의 하차를 외부에 알릴 수 있게 되는 한편, 차량 전방에 있는 인체가 센서부(101)에 의해 감지되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차량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어린이 등 탑승자의 하차 시에는 경광등이 구비된 안전봉이 차량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후방 차량 등의 진입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차량 전방에 있는 인체를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함으로써, 운전자의 차량운행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차시에는 후속 차량에 탑승자의 하차를 알리는 하차알림 시스템과, 차량 전방의 인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출력하는 인체감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안전장치로서,
    상기 하차알림 시스템은, 구동스위치와, 상기 구동스위치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안전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그 일단부에 경광등이 장착되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차량의 내외부로 돌출/후퇴하도록 동작하는 안전봉을 구비하며,
    상기 인체감지 시스템은, 상기 안전봉의 표면에 설치되어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결과 인체가 있는 것으로 판별되면 경보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동작하는 경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피니언 기어를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정·역방향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와, 일단부에 경광등이 장착되는 연장로드가 마련되며,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려 전진/후진 직선운동하는 래크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봉은, 상기 래크기어의 전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1 스위치와, 상기 래크기어의 후진운동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경보수단을 제어함에 있어서, 안전봉이 돌출상태인 경우에 출력되는 경보음과, 안전봉이 후퇴상태인 경우에 출력되는 경보음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장치.
KR2020010037632U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안전장치 KR200273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32U KR200273380Y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632U KR200273380Y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380Y1 true KR200273380Y1 (ko) 2002-05-03

Family

ID=73113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632U KR200273380Y1 (ko) 2001-12-06 2001-12-06 차량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3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5920B2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a vehicle door from opening into traffic
US5132662A (en) Vehicle safety system
JP471451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JP4644549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CN103707833A (zh) 车辆周界探测系统
JP2007145079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シートベルト装置、シートベルト装置付車両
WO2016169912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river assistance system of a motor vehicle with electronic rearview mirror, driver assistance system as well as motor vehicle
JP6999761B2 (ja) 車両用周辺監視装置
KR200273380Y1 (ko) 차량용 안전장치
US6084507A (en) Truck turning safety gate
CN206785164U (zh) 一种防碰撞车门延时开启系统及配备其的汽车
JP7298520B2 (ja) 降車支援装置
KR102053420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JP2005324574A (ja) 車両後方確認支援装置
KR102077030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2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6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29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1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3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KR102077035B1 (ko) 뒷좌석 탑승객용 후사경 제어 장치
JP2008230338A (ja) 車両の照明装置
KR0161176B1 (ko) 차량의 후진충돌 방지장치
JP2012086823A (ja) 侵入検知装置及び車載制御装置
KR20230119916A (ko)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버튼식 잠금장치가 탑재된 차량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