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576A -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576A
KR20160131576A KR1020150064308A KR20150064308A KR20160131576A KR 20160131576 A KR20160131576 A KR 20160131576A KR 1020150064308 A KR1020150064308 A KR 1020150064308A KR 20150064308 A KR20150064308 A KR 20150064308A KR 20160131576 A KR20160131576 A KR 20160131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hinge
poi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케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6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576A/ko
Publication of KR20160131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출입문 또는 이 출입문의 앞쪽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차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 패널에 장착되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밀착하도록 수축되는 수축 위치와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제1 패널의 제1 단부는 베이스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2 패널의 제1 단부는 베이스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인접하는 제2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3 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각각 그 제1 단부 및 이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의 일점에 배치되는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축 위치에서 제2 힌지가 제1 지점에 배치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연장 위치에서는 제2 힌지가 제3 지점에 배치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APPARATUS FOR SAFETY DURING GETTING ON OR OFF A AUTOMOBILE}
본 발명의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출입문의 전방 또는 후방 패널에 설치되어 사람이 출입문으로 승차 또는 하차할 때 사람의 안전을 지켜주는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버스 등의 승합 차량의 출입문은 차량 내측으로 개폐되거나 차량의 차체 패널을 따라 슬라이드하여 개폐되기 때문에, 승합 차량이 차도에 정차하여 차량으로부터 사람이 인도로 하차할 때, 차량의 출입구가 열린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가 차도와 인도 사이의 갓길을 통하여 통행하면서 승합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과 충돌하는 일이 빈번하다.
특히, 유치원이나 어린이집 또는 체육관 등에서 운영하는 차량의 경우에는 주의력이 부족한 아동들이 탑승하고 하차하는 과정에서 차량 출입구 주변을 지나는 이륜차 등이 어린이를 치는 사고가 빈번하며, 또한 이러한 유형의 차량들은 버스 정류소가 아닌 곳에서 정차하기 때문에 갓길을 지나는 이륜차가 이러한 차량으로부터 하차하는 사람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음으로 인하여 사고가 더욱 빈번하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운행하는 차량은 보육 교사 등이 동승하여 어린이들이 승하차 시에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지만, 잘 통제가 되지 않는 아동들이 보육 교사의 통제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출입문으로부터 예측할 수 없는 경로로 뛰쳐 나가는 경우도 있어서 사고의 우려가 크다.
그러나, 이러한 사고에 대한 대책은 단지 보육 시설에서 운행하는 차량에 보육 교사가 동승하는 것을 강제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지책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출입문으로부터 하차하거나 승차하는 사람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대책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러한 대책으로서 차량의 출입문 주위에 설치되어 사람이 승하차하는 차량의 출입문 주변으로 이륜차나 기타 승하차하는 사람에게 위험 요소가 될 수 있는 이동체가 접근할 수 없도록 해주는 안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출입문을 개방하고 사람이 승하차할 때에 출입문 주변으로 이륜차 등의 위험 요소가 접근할 수 없거나 접근하는 위험 요소를 소지하거나 운전하는 사람에게 차량이 정차하여 출입문이 개방된 사실을 알릴 수 있는 안전 장치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이 정차하고 출입문이 개방되어 사람이 승하차할 때에 쉽게 설치되고 차량이 이동할 때에는 차량의 운행에 방해가되지 않으며 설치가 간편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한 안전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차량의 출입문 또는 이 출입문의 앞쪽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승하차용 안전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승하차용 안전 장치는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 패널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수축되는 수축 위치와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에서, 상기 제1 패널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인접하는 제2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3 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각각 그 제1 단부 및 이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의 일점에 배치되는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는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는, 차량이 정차하고 출입문이 개방되어 사람이 승차 또는 하차할 때에는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 상태는 제1 및 제2 패널의 연장 위치에 해당하는데, 이들 패널은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의 출입문 또는 출입문의 앞쪽 또는 뒤쪽에서 제1 및 제2 패널이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이들 패널에 의해 차량에 승하차하는 사람과 충돌할 수 있는 이륜차 등의 운전자가 차량의 출입문으로부터 사람이 승하차하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차량의 출입문을 통하여 승하차하는 사람은 이들 패널을 넘어 이동하지 않고 이들 패널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사람이 차량에 승차하거나 차량으로부터 하차한 후에 차량이 운행을 개시할 때에는 제1 및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는 수축 위치로 배치되는데, 이 수축 위치에서 제1 및 제2 패널은 베이스 패널에 밀착, 즉 차량의 출입문 또는 차량의 차체에 밀착되어 차량의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수축 위치와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제공하는 댐퍼가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힌지와 제3 힌지 사이의 일 지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전 장치에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이들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을 사람이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해 수축 위치와 연장 위치로 배치될 수 있는데, 패널들이 그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수축되거나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제1 패널은 베이스 패널과의 사이에 부착된 댐퍼에 의해 수축 위치 또는 연장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회전하는 데 대한 저항력이 작용하므로, 외력이나 자중에 의해 쉽게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수축 위치와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힌지와 제3 힌지 사이의 일 지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에 부착된다.
이러한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가 마련된 차량의 운전자 또는 안전 장치를 작동하는 사람은 제1 패널 또는 제2 패널을 직접 밀거나 당겨서 수축 또는 연장할 필요 없이 액츄에이터를 작동시켜서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수축 또는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안전 장치는, 제1 단부가 상기 제1 패널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패널과 제1 단부가 상기 제2 패널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널과 제4 패널은 그 양 단부 사이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상기 수축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제1 단부와 대향하는 각각의 제2 단부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패널 및 제2 패널에 추가로 제3 패널 및 제4 패널이 부착되고, 이들 제3 및 제4 패널은 연장 위치에서 제1 및 제2 패널로부터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의 수축 상태에서 이들 제3 및 제4 패널은 제1 패널 및 제2 패널과 함께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는 상태에 배치된다.
따라서, 차량이 정차하고 출입문이 열린 상태에서 승하차하는 사람의 안전을 담보하는 패널들은 차량의 측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차량의 운행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패널들만이 마련된 경우와 동일하게 추가의 제3 및 제4 패널도 차량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 양태로서, 상기 제1 내지 제4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램프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램프가 부착된 본 발명의 안전 장치의 구성에 따르면, 차량이 정차하고 출입문이 개방되어 패널들이 연장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패널들에 부착된 램프가 점등되어 있으면 차량 주변을 지나는 이륜차 등의 운전자들이나 그 밖의 사람들에게 차량이 정차하여 출입문이 개방되어 있다는 사실이 더 명확히 인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가 차량에 부착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가 차량의 차체 패널에 부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으로 본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도 2b에 도시한 상태의 안전 장치를 차량의 측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가 부착된 2가지 형식의 승합 차량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와 (b)에 도시한 차량은 각각 버스(80)와 소형 승합차(90)이다.
버스(80)는 출입문(81)의 개폐와 무관하게 차량의 외부로 노출되는 차체 패널(82)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들 차체 패널(82)에 본 실시예의 안전 장치(1)를 부착할 수 있다.
안전 장치(1)는 베이스(2)에 그 단부가 회전 또는 선형으로 슬라이드 되게 부착된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이 포함되고, 이들 패널에 단부가 부착된 제3 패널(30)과 제4 패널(40)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도 1의 (b)에 도시한 9인승 또는 12인승의 소형 승합차(90)의 경우에는 승객용 출입문(91)을 개방하면 이 출입문(91)이 차체 패널을 덮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안전 장치(1)는 출입문(91)의 패널에 부착된다.
이하,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안전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차체 패널(8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장치(1)의 베이스(2)가 나사들(3)에 고정되어 있다. 베이스(2)는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차체 패널(82)에 장착되어, 안전 장치(1)는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지만, 외부의 차체 패널(82)을 절단하고 차체의 내측 패널에 베이스(2)를 부착하여 안전 장치(1)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베이스(2)는 차체 패널(82)에 부착되는 바닥판(4)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는 측판(5)들을 포함하고 있다.
측판(5)에는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의 제1 단부(11, 21)이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측판(5)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가이드(50)가 측판(5)의 상하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슬라이드 가이드(50)는 측판(5)과의 사이에, 제2 패널(20)의 제1 단부(21)에 고정되는 힌지핀(23)의 단부가 삽입되어 그 내부에서 활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힌지핀(23)이 이를 관통하는 홈(51)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 내지 제4 패널(10, 20, 30, 40)은 길이가 긴 패널 형태로 형성되고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폭 방향 중간에 비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패널(10)은 제1 단부(11)에서 힌지핀(13)에 의해 측벽(5)의 하단 측에 부착되어 이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 패널(20)은 제1 단부(21)에 고정된 힌지핀(23)의 단부(231)가 슬라이드 가이드(50)에 삽입되어 이 슬라이드 가이드(50)를 따라, 측벽(5)의 길이 방향, 즉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의 제1 단부(11, 21)와 제2 단부(12, 22) 사이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힌지핀(15)이 제2 패널(20)을 관통하여 제1 패널(10)에 고정되어 있어 이 힌지핀(15)을 중심으로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의 제2 단부(12, 22)에도 각각 힌지핀(14, 24)이 부착되어 있다. 힌지핀(14)은 제3 패널(30)의 제1 단부(31)를 관통하여 제1 패널(40)의 제2 단부(42)에 고정되어 있고, 힌지핀(24)은 제4 패널(40)의 제1 단부(41)를 관통하여 제2 패널의 제2 단부(22)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제3 패널과 제4 패널(40)의 제1 단부(31, 41)와 제2 단부(32, 42) 사이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힌지핀(35)이 제3 패널(30)을 관통하여 제4 패널(40)에 고정되어 있어 이 힌지핀(35)을 중심으로 제3 패널(30)과 제4 패널(40)이 상대 회전 가능하다.
이로써, 제1 패널(10)과 제3 패널(30) 및 제2 패널(20)과 제4 패널(40)은 그 단부에서 서로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1 패널(10)의 제1 단부(11)와 힌지핀(14) 사이의 일 지점과 측벽(5)의 일 지점 사이에는 댐퍼(60)가 부착되어 있다. 댐퍼(60)는 실린더(61)와 피스톤(62)으로 구성되어 피스톤(62)이 실린더(61)에 대해 왕복동 운동하는 것에 대한 감쇄력을 제공한다.
실린더(61)의 단부가 측벽(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피스톤(62)의 단부가 제1 패널(1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로써, 제1 패널(10)이 힌지핀(13)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댐퍼(60)에 의해 제1 패널(10)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제1 패널(10)은 충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른 제1 내지 제4 패널(10, 20, 30, 40)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들 패널들은 본 실시예의 안전 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 2b에 도시한 수축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패널들은 서로 인접한 상태로 되어 베이스(2)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베이스(2)의 측벽(5)에는 커버(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차량의 운행 중에는 커버가 베이스(2)의 내측 공간 및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패널들(10~4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차량이 정지하고 출입문으로부터 사람이 승하차하는 경우에는 패널들(10~40)을 길이 방향으로 펼쳐지는 연장 상태로 전환한다. 전환을 위해서는 외측에 배치된 제3 패널(30) 또는 제4 패널(40)을 당긴다. 이들 패널(30, 40)에 적절한 손잡이를 형성하거나 부착하여 패널의 연장을 편리하게 할 수도 있다.
제3 패널(30) 또는 제4 패널(40)을 차량의 외측으로 당기면, 제3 패널(30)과 제4 패널(40)이 수직에 가까운 수축 상태에서 힌지핀(35)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면서 펼쳐지고, 힌지핀(14, 24)에 의해 이들과 결합된 제1 패널(10)과 제2 패널(20)도 힌지핀(15)을 중심으로 서로 회전하면서 수축 상태로부터 연장 상태로당겨져 펼쳐진다.
이 때, 제1 패널(10)은 힌지핀(13)을 중심으로 측벽(5)에 대해 회전하고, 제2 패널(20)의 제1 단부(21)는 힌지핀(23)이 슬라이드 가이드(50)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으로 슬라이드 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패널(10 ~ 40)이 펼쳐진 상태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댐퍼(50)는 제1 패널(10)이 회전하는 것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저항력은 전체 패널이 수축 상태로부터 연장 상태로 전환하는 것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패널들이 빨리 펼쳐짐으로 인해 조작하는 사람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패널들에 부딪혀 부상하는 것을 방지한다.
출입문(81)으로부터 사람이 승차 또는 하차한 후에 차량이 운행하려는 경우에 안전 장치(1)는 도 2a의 연장 상태에서 도 2b의 수축 상태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3 패널(30) 또는 제4 패널(40)을 차량 내측 방향으로 민다. 이에 따라 패널들이 힌지핀들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 패널(20)의 제1 단부(21)은 힌지핀(23)을 따라 슬라이드하면서 상승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댐퍼(50)는 패널들(10 ~ 40)의 회전에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패널들이 급격히 접히면서 충격이 발생하지 않게 해준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댐퍼(50)를 베이스(1)의 측벽(5)과 제1 패널(10) 사이에 설치하였지만, 댐퍼(50)는 베이스(1) 상의 다른 지점 또는 제2 패널(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댐퍼(50)를 대신하여 솔레노이드 또는 모터 등에 의해 작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설치하고, 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패널들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의 작동 버튼을 운전석 등의 차량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출입문의 개방에 앞서 안전 장치를 연장시킴으로써 안전을 확보한 후에 출입문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선형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를 액츄에이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추에이터의 양단이 각각 베이스(1)의 일 지점과 제1 패널(10) 또는 제2 패널(20) 사이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전기 모터를 액추에이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모터 또는 감속기의 출력축을 제1 패널(10)의 힌지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패널(10)의 제2 단부(12)와 제3 패널(30)의 제1 단부(31)는 패널의 다른 부분으로부터 단차가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단차에 의해 제1 패널(10)의 제2 단부(12)와 제3 패널(30)의 제1 단부(31)는 서로 가깝게 배치되므로, 이들 사이에 힌지핀(14)을 설치하기가 용이하고, 이 힌지핀(14)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도 원할하게 된다.
한편, 제3 패널(30)과 제4 패널(40)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표면에는 재귀반사판(37, 47)이 이 패널들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재귀반사판(37, 47)은 이것에 입사되는 광이 어느 방향으로 입사되든 광을 그 광원쪽으로 되돌려 반사하는 요소이다.
야간에 차량이 정차하고 사람이 승하차할 때에 갓길을 주행하는 이륜차 등의 운전자는 이 재귀반사판에 의해 자신에게 반사되는 광을 통하여 본 실시예의 안전 장치(1)가 자신의 주행 진로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재귀반사판(37, 47)을 대신하여 패널들에 LED 램프를 설치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3 패널(30)과 제4 패널(40)에만 재귀반사판(37, 47)을 설치하였지만, 전체 패널에 재귀반사판 또는 LED 램프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변형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경과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제1 패널 20: 제2 패널
30: 제3 패널 40: 제4 패널
5: 슬라이드 가이드 60: 댐퍼

Claims (5)

  1. 차량의 출입문 또는 이 출입문의 앞쪽 또는 뒤쪽에 설치되는 승하차용 안전 장치로서,
    차량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차량의 차체 패널 또는 출입문 패널에 장착되는 베이스 패널; 및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수축되는 수축 위치와 차량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제1 패널 및 제2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널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일 단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패널의 제1 단부는 상기 베이스 패널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에 인접하는 제2 지점과 상기 제1 지점에 인접한 제3 지점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힌지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은 각각 그 제1 단부 및 이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 사이의 일점에 배치되는 제3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제1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는 상기 제2 힌지가 상기 제3 지점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제2 단부가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승하차용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상기 수축 위치와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의 회전에 대해 저항력을 제공하는 댐퍼가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힌지와 제3 힌지 사이의 일 지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에 부착되는 것인 승하차용 안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이 상기 수축 위치와 상기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츄에이터가 상기 제1 패널의 상기 제1 힌지와 제3 힌지 사이의 일 지점과 상기 베이스 패널 사이에 부착되는 것인 승하차용 안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단부가 상기 제1 패널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패널과 제1 단부가 상기 제2 패널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패널과 제4 패널은 그 양 단부 사이의 일 지점에 배치되는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1 패널과 제2 패널이 상기 수축 위치와 연장 위치 사이에서 회전함에 따라 각각의 제1 단부와 대향하는 각각의 제2 단부가 상기 수축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에 밀착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장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 패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인 승하차용 안전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패널 중 적어도 하나의 패널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램프 또는 재귀반사판이 부착되는 것인 승하차용 안전 장치.
KR1020150064308A 2015-05-08 2015-05-08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KR20160131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08A KR20160131576A (ko) 2015-05-08 2015-05-08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308A KR20160131576A (ko) 2015-05-08 2015-05-08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576A true KR20160131576A (ko) 2016-11-16

Family

ID=5754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308A KR20160131576A (ko) 2015-05-08 2015-05-08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5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16B1 (ko) 2017-01-13 2018-06-11 박성재 후방 경고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16B1 (ko) 2017-01-13 2018-06-11 박성재 후방 경고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910B1 (ko) 전동식 스텝장치
JP6341982B2 (ja) ホームドア装置
KR101345534B1 (ko) 바리케이드 겸용 볼라드
JP2012501897A (ja) 地下鉄乗り場の安全足場
KR100641268B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CN103561980B (zh) 用于机动车辆的侧部保护装置、以及相关联的机动车辆
KR20160131576A (ko) 차량의 승하차용 안전 장치
JP2017214043A (ja) スライドドア用アームレスト構造
KR102035722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US4660878A (en) Motor vehicle security device
KR102141466B1 (ko)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US4143281A (en) Vehicle for the handicapped
EP2555950A1 (en) Security shield for bus driver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KR20150001553A (ko) 고정력과 작동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보조 발판장치
KR102440495B1 (ko) 차량 내장형 과속 방지턱 어셈블리
KR20200027379A (ko) 대향형 슬라이딩 도어 장치
KR101666274B1 (ko) 차량에 결착되는 승하차 안전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가 구성된 안전장치
KR101387437B1 (ko) 철도차량용 출입구 폐쇄장치
KR100626692B1 (ko) 기어를 이용한 자동차의 사이드 스텝 돌출 및 퇴거장치
KR20230123145A (ko) 스쿨 존 스크린도어
KR100346368B1 (ko) 자동차의 개폐식 지붕
KR20150146268A (ko)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20140101911A (ko) Led 안전표시장치를 갖는 차량의 어린이 승하차 안전 보호장치
KR960004039Y1 (ko)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