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039Y1 -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039Y1
KR960004039Y1 KR2019930028106U KR930028106U KR960004039Y1 KR 960004039 Y1 KR960004039 Y1 KR 960004039Y1 KR 2019930028106 U KR2019930028106 U KR 2019930028106U KR 930028106 U KR930028106 U KR 930028106U KR 960004039 Y1 KR960004039 Y1 KR 960004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hain
closing door
window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190U (ko
Inventor
위계성
Original Assignee
위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계성 filed Critical 위계성
Priority to KR2019930028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039Y1/ko
Publication of KR9500161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1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0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상태의 일예시 사시도.
제2a, b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정면에서 본 예시도.
제3a, b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평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닐하우스 2 : 고정문
3 , 3' : 개폐문 4 : 창틀
5 : 받침대 6 : 가름대
7 : 레일 10 : 감속모타
11 : 체인기어 12 : 체인
13 : 체인기어 14, 17 : 받침대
15 : 카바 16 : 지지대
18 : 고정편 20 : 움직막대
21, 22 : 고정쇠
본 고안은 비닐하우스에 설치되는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은 길게 설치되는 창틀 내부를 가름대에 의해 등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받침대에 2개의 레일을 병렬로 고정한 다음 각 레일 위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창문을 장착하는 창문에 있어서 창문중의 최외측 창문을 동력에 의하여 좌우로 작동시킴에 따라 이 작동창문과 연동되도록 막대로 연결된 창문들도 동시에 개폐되도록 된 것이다.
종래의 비닐하우스등 창문은 각 창문을 동시에 작동시켜 개폐하도록 하는 장치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비닐하우스용 창문도 일반건물용 샤시 창문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각 분할된 분할틀 내에는 문이 2개씩 레일위에 장착되는데 모든 창문은 사람이 직접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비닐하우스의 규모가 커서 창문이 많은 경우에는 여러 사람이 참여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특히 창문이 사람의 손이 닫지 않는 높은 위치에 구비되어 있을 경우에는 창문을 개폐하기가 극히 곤란하고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기구를 타고 올라서서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다분히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과 개폐시에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하고 간단한 조작에 의해 원거리에서도 개폐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이 장착된 상태의 일예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관게 설명 예시도이다.
창틀(4)의 내부를 가름대(6)에 의해 등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간의 받침대(5)에 레일(7)을 전후방 이중으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분할된 각 구간을 2등분하는 창문을 전후 레일(7)에 각각 입설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최외측 구간의 창문중 어느 하나에 한쌍의 고정편(18)을 간격을 두고 장설하여 각 고정편(18)의 외측으로 체인(12)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체인(12)이 좌우로 당겨지도록 체인(2)의 내방 좌우 양측에 체인기어(13)(11)을 축착하되 그중 하나의 체인기어의 축을 감속모타(10)의 회전축에 연결하여서 된 것이다.
체인(12)은 개폐되는 창문을 충분히 개폐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유지하며 가능한한 작동되는 쪽의 체인을 길게하여 개폐문을 완전히 열려줄 수 있도록 하여 준다.
또한 개폐문(18)에 고정쇠(21)를 장착하고 동일 레일 선상에 있는 개폐문(3')에 고정쇠(22)를 장착하여 개폐문의 고정쇠(21)와 각 개폐문(3')의 고정쇠(22)에 움직막대(20)를 일체화되게 고착하여 개폐문(3)이 개폐되면 각 개폐문(3')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하거나 비닐하우스(1)의 천장부에 설치되는 창문에 설치할 수 있다.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스위치(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켜 감속모타(10)를 정회전시키면 체인(12)이 체인기어(11)의 회전에 의해 공전하게 된다.
체인(12)이 회전할때 용이하게 공전하도록 타편의 체인기어(13)도 연동하므로 체인(12)은 용이하게 공전한다.
체인(12)이 작동하면 체인의 양끝을 고착하고 있는 고정편(18)도 체인에 의해 움직이므로 결국 개폐문(3)이 레일(7)위를 슬라이딩하면서 개방된다.
따라서 개폐문(3)은 부드럽게 개방되며 이 개폐문(3)과 움직막대(20)와 고정쇠(22)로 연결된 각 개폐문(3')들로 개폐문(3)과 동시에 개방된다.
반면 개폐문(3)(3')을 닫고자 할때에는 스위치를 역방향으로 ON시키면 감속모타(10)가 역회전하면서 체인기어(11)를 역회전시켜 체인(12)을 역회전시키므로 체인(12)의 양단을 고정하는 고정편(18)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개폐문(3)을 닫아주게 된다.
따라서 개폐문(3)과 연결된 각 개폐문(3')들로 개폐문(3)과 연동되어 닫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개폐장치는 원거리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간단히 작동시킬 수 있는데 본 고안을 지면에 설치할 경우 습기를 감안하여 체인기어(13)를 축착한 지지대(16)와 체인기어(11)가 축착된 감속모타(10)를 받침대 (17)(14)위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들을 별도의 카바(15)로 씌워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개폐문(3)의 양측이나 또는 좌우 이동하여 접하는 창틀(4)의 측면과 가름대(6)에 가령 마이크로스위치와 같은 감지장치를 구비할 경우 개폐문(3)(3')이 열려지거나 닫혀진 상태를 자동으로 OFF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주작동 스위치만 조작하여 주면 개방된 후 감속모타를 자동으로 정지시키고, 닫혀진 후에도 자동으로 작동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원거리에 설치되는 스위치에 의해 창문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고 특히 높은 위치의 창문도 자동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유용한 것이다.

Claims (2)

  1. 창틀(4)의 내부를 가름대(6)로 등간격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구간의 받침대(5)에 레일(7)을 전후방 이중으로 나란하게 설치하여 분할된 각 구간을 2등분하는 창문을 전후 레일(7)에 각각 입설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최외측 구간의 창문중 어느 하나에 한쌍의 고정편(18)을 간격을 두고 장설하여 각 고정편(18)의 외측으로 체인(12)의 양단을 각각 고정하여 체인(12)이 좌우로 당겨지도록 체인(2)의 내방 좌우 양측에 체인기어(13)(11)을 축착하되 그중 하나의 체인기어의 축을 감속모타(10)의 회전축에 연결하여서 된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폐문(18)에 고정쇠(21)를 장착하고 동일 레일 선상에 있는 개폐문(3')에 고정쇠(22)를 장착하여 개폐문의 고정쇠(21)와 각 개폐문(3')의 고정쇠(22)에 움직막대(20)를 일체화되게 고착하여 개폐문(3)이 개폐되면 각 개폐문(3')도 연동되어 개폐되도록 된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KR2019930028106U 1993-12-16 1993-12-16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KR960004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106U KR960004039Y1 (ko) 1993-12-16 1993-12-16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106U KR960004039Y1 (ko) 1993-12-16 1993-12-16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190U KR950016190U (ko) 1995-07-20
KR960004039Y1 true KR960004039Y1 (ko) 1996-05-17

Family

ID=1937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106U KR960004039Y1 (ko) 1993-12-16 1993-12-16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81B1 (ko) * 2001-06-28 2004-06-25 삼부크러치주식회사 칼라강판을 사용한 목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481B1 (ko) * 2001-06-28 2004-06-25 삼부크러치주식회사 칼라강판을 사용한 목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190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1202A (en) Sliding door operator and lock
US5355624A (en) Modular, powered closure apparatus
CA2180396A1 (en) Latching Mechanism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CA2207157A1 (en) Door sill arrangement in an elevator car
WO2006059657A1 (ja) 折戸の吊設機構及びこの吊設機構を用いた折戸システム
EP0423103A2 (en) Retractable elevator door
KR960004039Y1 (ko) 비닐하우스용 창문 개폐장치
US4125966A (en) Electric security door and unitized frame
KR102035722B1 (ko) 두 가지 동작모드를 갖는 다단 플랫폼 스크린도어 및 이를 위한 구동장치
US6880610B1 (en) Drive for multiple suspended doors
JP2597524Y2 (ja) サンルーフ装置
GB2277958B (en) Locking system for doors and windows
GB2317910A (en) Security grille with retractable sliding bars
US4653228A (en) Window operating apparatus
CN2223773Y (zh) 隐形电动防护栏
JP2504477Y2 (ja) 電動式多重引き戸装置
KR102523703B1 (ko) 4연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CN2218822Y (zh) 多功能安全防盗门
JPH0627742Y2 (ja) ル−バ−窓の電動開閉装置
DE59806702D1 (de) Schwenkschiebetür
KR880014216A (ko) 수동겸용 자동식 미닫이 금고문
JP2002061470A (ja) 電動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装備した電動面格子
JPH0414631Y2 (ko)
JPH01116183A (ja) 折畳み扉の自動開閉装置
KR200399721Y1 (ko) 분산 전개구조를 갖는 자동회전문용 회전날개의 자동접철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