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68A -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 Google Patents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68A
KR20150146268A KR1020140076613A KR20140076613A KR20150146268A KR 20150146268 A KR20150146268 A KR 20150146268A KR 1020140076613 A KR1020140076613 A KR 1020140076613A KR 20140076613 A KR20140076613 A KR 20140076613A KR 20150146268 A KR20150146268 A KR 201501462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lastic member
connection
connection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삼걸
Original Assignee
윤삼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삼걸 filed Critical 윤삼걸
Priority to KR102014007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268A/ko
Publication of KR20150146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5/00Arrangements or devices on vehicles for entrance or exit control of passengers, e.g. turnsti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6Type of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동하는 안내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에 결착되어 위험을 알려주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상기 샤프트(110)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상기 제1연결부(210)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과,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복원력을 갖되 상기 제2연결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밀림시키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타측으로 유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손 및 훼손 시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며, 무엇보다 안내표시부(200)가 1차적으로 유동하되, 외력에 의해 밀림될 시 2차적으로 꺾임되되 탄성부재(240)의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어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Safety and resilience to get on and off a vehicle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that car}
본 발명은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차량의 외부 일측에 결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유동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들이 결합 및 분리할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안내표시판이 외부요인에 의해 꺾임될 시 파손되지 않으며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통학하는 차량에는 버스(bus)나 미니밴(mini van) 등의 승합차가 주로 사용된다. 상기 승합차량은 차량의 우측방향으로 승/하차 할 수 있도록 도어가 마련되는데, 후방에서 접근하던 또 다른 차량이나 오토바이 및 자전거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아, 상기 통학차량에서 하차 중인 승객이 꼭 확인을 해야만 안전하게 하차가 가능했다. 또한 상기 통학차량에 동승한 승/하차 보조 인력이 없고, 어린이들만 탑승된 차량에서는 운전자가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진입하는 차량이 없을 때 문을 열어주어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하차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상기 통학차량은 작게는 7인승부터 크게는 45인승까지 그 부피가 커서, 후방에서 인접하여 뒤따르는 또 다른 차량의 시야확보가 어렵고, 사각지대에서 진입하는 차량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통학차량과 인도 사이에 진입하는 오토바이와 자전거 등의 이륜차는 인도와 차로 사이로 운행하기 때문에 이를 미처 확인하지 못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됐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186699(실) 통상의 각종 버스에 설치되어 개폐 작동실린더의 작동으로 개폐작동되는 하차문의 일측에 설치되는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버스 하차문용 안전장치는 버스의 하차문 외측 공간 일측으로 고정되는 슬로트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는 하차문 개폐용 작동실린더와 연동할 수 있는 작동실린더를 설치하여 피스톤로드 단부를 케이싱내에 축핀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차단부재의 일단과 축핀으로 연결된 작동레버와 축핀으로 연결하며; 상기 작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라 차단부재가 케이싱의 슬로트를 통하여 각운동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개번호 10-2011-0016695 (특) 차량의 배면 양측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하차 승객에 대한 주의표시를 하는 경고판; 상기 경고판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도어 개폐에 대응하여 상기 경고판을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한 쌍의 모터와, 상기 모터와 경고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모터의 축 회전력을 상기 경고판에 단속적으로 전달하는 한 쌍의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을 차량에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차량의 도어가 열리면 상기 모터에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 경고판이 각각 차량의 측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차량의 도어가 닫히면 상기 경고판은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20-0234021 (실) 일면에 경고문구가 배시되는 안전표시판이 일단에 결합된 차단바아의 타단을 터닝모터의 모터축에 축설하여 이를 승합차량의 후방저부에 설치하는 한편, 상기 터닝모터를 측면도어의 콘트롤러와 연결하여 측면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상기 차단바아가 일측으로 회동되어 승합차량과 보도블럭 사이의 통로를 차단하여 오토바이 등의 진입을 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등록번호 10-0840754 (특)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수단; 및 차량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공급수단으로부터 내부로 주입된 공기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여 차량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풍선형태의 하차경고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차량의 내부에서 외부로 차단부가 인출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는 차량의 외형을 가변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하는 이동수단 등과 부딪힐 경우 회전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하여 차량의 도어가 열리게 되면 후방에서 디스플레이부에서 식별력을 주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측면에서 오는 차량들이 대각선으로 확인을 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고, 또 다른 형태의 기술을 보면, 차량의 후방 저부에서 외측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처럼 이동수단과 부딪히게 될 경우 회동하는 방향이 다른 방향이기 때문에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 다른 형태를 보면, 차량의 외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하도록 하는 풍선형태의 하차경고부로 구성되는데, 공기를 주입하게 되어 뾰족한 이동물체와 부딪히게 될 경우 하차경고부가 훼손 및 찢어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을 종합해보면, 외력에 의해 부딪힘이 발생 시 그대로 파손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각각의 구성들의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아 파손 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용 승하차 차량의 외부 일측에 결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유동되되, 외부요인에 의해 안내표시부가 밀림될 시 파손되지 않고 자연스레 밀림되되 밀림 된 후 상기 안내표시부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여 안내표시부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구성들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훼손 및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동하는 안내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에 결착되어 위험을 알려주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상기 샤프트(110)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상기 제1연결부(210)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과,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복원력을 갖되 상기 제2연결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밀림시키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타측으로 유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손 및 훼손 시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며, 무엇보다 안내표시부가 1차적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유동하되, 외부요인에 의해 밀림될 시 2차적으로 꺾임되되 탄성부재의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어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본 발명은 차량의 외부 일측에 결착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회동되게 구성되며 각각의 구성들이 결합 및 분리할 있는 구조로 구성되고, 안내표시판(230)이 외력에 의해 꺾임될 시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동하는 안내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에 결착되어 위험을 알려주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상기 샤프트(110)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상기 제1연결부(210)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과,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복원력을 갖되 상기 제2연결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밀림시키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타측으로 유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안내표시부(200)를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10)와 일측이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상기 제1연결부(210)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과,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복원력을 갖되 상기 제2연결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밀림시키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타측으로 유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안내표시부(20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안내표시부의 표현을 돕기 위한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10)는 하단면이 ‘ㄴ’자 형태로 형성되되 상하 양측에 내측으로 꺾임되며 하기될 제2연결부(220)와 힌지축(222)으로 결합되는 결합홈(211)이 각각 형성되며, 외측에 샤프트(110)와 통상의 결합부재(부호미도시)로 결합되는 홈(부호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10)의 홈 개수에 맞춰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본체부(100)는 일측에 다수의 개방된 홈(부호미도시)이 3개, 샤프트(110)의 홈(부호미도시)이 3개, 제1연결부(210)의 홈(부호미도시)이 3개로 구성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결합홈(211)은 꺾임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통상의 너트형태로 구성하여 상기 제1연결부(210)의 상하부에 통상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은 결합홈(211)을 가진 브래킷형태로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상기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대응되게 위치되되 상하 양측에 내측으로 꺾임되며 체결홈(2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11)과 힌지축(222)으로 힌지 결합되는데, 각각의 상기 체결홈(221)이 결합홈(211)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힌지축(222)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연결부(220)의 상하 길이가 제1연결부(210)의 상하 길이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연결부(220)의 상측에는 안내표시판(230)과 결합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홈(부도미도시)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내표시판(230)에 형성된 홈(부호미도시)의 개수에 따라 동일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222)의 외주에 탄성부재(240)가 끼움되어 고정 구성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40)는 탄성력을 갖되 양끝부가 돌출되며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10)의 내측과 맞닿아지고, 돌출된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220)의 외측과 맞닿되 감싸지게 구성되되 탄성력에 의해 자연스레 제2연결부(220)를 밀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240)는 인장력을 이용하여 제2연결부(220)의 외주를 감싸며 일측방향으로 밀고 있기 때문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20)를 밀림 시키고 있는데, 이때 상기 제2연결부(220)가 더 이상 밀림되지 않고 일정부분까지 밀려 고정될 수 있게 상기 제1연결부(210)의 하부에 고정부재(212)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12)가 구성되는 이유는, 상기 제2연결부(220)에는 안내표시판(230)이 결합 구성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40)에 의해 제2연결부(220)가 밀림되되 일정부분까지만 밀림되도록 하여 상기 제2연결부(220)에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안내표시판(230)이 유동 시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40)의 구성의 핵심목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10)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샤프트(110)와 연결된 안내표시부(200)가 1차적으로 90°까지 작동하되, 외부요인으로 인해 상기 안내표시부(200)의 안내표시판(230)이 밀림 될 시 2차적으로 90°방향으로 더 꺾임 될 수 있도록 하여 안내표시판(230)의 파손 방지와 더불어, 꺾임이 발생한 후, 상기 안내표시판(230)이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인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240)는 외부요인으로 꺾임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켜 안내표시판(230)의 본연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안내표시판(230)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연결되는 부분의 상하부에 각각 구성되어 탄성력 및 복원력을 높여 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40)가 하나만 구성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결부(210)의 일측에 홈(h)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부(220)의 일측에 홈(h`)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240)의 끝부를 각각의 홈(h, h`)에 걸림 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40)의 일측 끝부를 제1연결부(210)의 홈(h)에 걸림시키고, 타측 끝부를 제2연결부(220)의 홈(h`)에 걸림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240)의 탄성력으로 항상 제1,2연결부(210, 220)을 당기도록 되어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20)가 일측 방향으로 더 밀림될 시에는 탄성부재(240)가 늘어나면서 제2연결부(220)가 밀림된 후 탄성력을 통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제2연결부(220)가 유동 후 원래의 위치도 복원 될 시 90°의 수직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게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사이에 고정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안내표시판(230)은 통상적인 구성으로써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의 유동에 따라 동시에 작동하는 것으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표면에 안내표시를 위한 문구를 기재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안내표시부(200)를 종합적으로 설명하면, 제1연결부(210)는 본체부(100)의 샤프트(110)와 결합되고, 제2연결부(22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힌지축(222)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안내표시판(230)은 제2연결부(220)의 유동과 동시에 움직이도록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탄성부재(240)는 상기 안내표시판(230)이 원래의 목적대로 1차적으로 유동된 후 갑작스런 외부요인(외력)에 의해 2차적으로 더 꺾임 되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 하면서도 꺾임된 후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각각의 구성들이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의 구성들 중 하나의 구성이 훼손될 시에는 교체가 용이한 경제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를 차량에 설치한 상태에 그 사용 및 작동을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먼저, 본 발명의 사용 목적은 어린이들이 주로 탑승하는 어린이용 차량의 일측 즉, 승하차시 열림되는 도어의 근처에 구성시킨 후, 승하차 시 차량의 도어가 열림되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안내표시부(200)가 1차적으로 유동하게 된다.
여기서, 어린이 또는 기타 외부요인으로 인해 안내표시부(200)의 안내표시판(230)에 물리적인 충격 또는 밀림 되었을 시에는 밀림된 방향으로 꺾임되어 안내표시판(230)이 파손되지 않으며, 상기 안내표시판(230)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에는 통상의 구성인 샤프트(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에 의하면, 간단한 구조로 결합 및 분리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파손 및 훼손 시 부분적인 교체가 용이하며, 무엇보다 안내표시부(200)가 1차적으로 유동하되, 외부요인에 의해 밀림될 시 2차적으로 꺾임되되 탄성부재(240)의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어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은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샤프트
200 : 안내표시부 210 : 제1연결부 211 : 결합홈
212 : 고정부재
220 : 제2연결부 221 : 체결홈 222 : 힌지축
230 : 안내표시판 240 : 탄성부재

Claims (6)

  1. 내부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10)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샤프트(110)의 일측과 연결되어 유동하는 안내표시부(200)로 구성되어 차량의 측면에 결착되어 위험을 알려주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상기 샤프트(110)와 결합되는 제1연결부(210)와, 상기 제1연결부(210)와 힌지 결합되는 제2연결부(220)와, 상기 제2연결부(220)와 결합되는 안내표시판(230)과,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 복원력을 갖되 상기 제2연결부(220)를 일측 방향으로 밀림시키는 탄성부재(240)로 구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220)가 외력에 의해 타측으로 유동 시 상기 탄성부재(240)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표시부(200)는,
    상기 제1연결부(210)의 상하 양측에 내측으로 꺾임되며 결합홈(2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연결부(220)의 상하 양측에 내측으로 꺾임되며 체결홈(221)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211)과 힌지축(222)으로 힌지 결합되며,
    상기 탄성부재(240)는 양측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222)에 끼워져 고정되되 돌출된 일측이 상기 제1연결부(210)의 내측과 맞닿아지고, 돌출된 타측이 상기 제2연결부(220)의 외측과 맞닿되 감싸지며 제2연결부(220)를 밀림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40)는 상기 제1연결부(210)와 제2연결부(220)의 연결되는 부분의 양측에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10)의 일측에는 제2연결부(220)가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방향으로 밀림되어 완전히 꺾임되어 안내표시판(230)의 파손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고정부재(21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210)의 일측에 홈(h)을 형성하고, 상기 제2연결부(220)의 일측에 홈(h`)을 형성하여,
    상기 탄성부재(240)의 끝부를 각각의 홈(h, h`)에 걸림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20140076613A 2014-06-20 2014-06-20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201501462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13A KR20150146268A (ko) 2014-06-20 2014-06-20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13A KR20150146268A (ko) 2014-06-20 2014-06-20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68A true KR20150146268A (ko) 2015-12-31

Family

ID=55128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13A KR20150146268A (ko) 2014-06-20 2014-06-20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26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10U (ko) 2019-03-28 2020-10-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문을 열 때의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210U (ko) 2019-03-28 2020-10-0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문을 열 때의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223A1 (en) Electric step apparatus
KR101223285B1 (ko) 원격조종 안전 삼각대
RU2655987C2 (ru) Автомобиль, снабженный подключаемым заряд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WO2013107282A1 (zh) 逃生门
KR20150146268A (ko) 복원력을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KR101694898B1 (ko) 통학차량용 승하차 표시장치
KR101625301B1 (ko)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와 차량 도어의 배선 연결구조
KR101666274B1 (ko) 차량에 결착되는 승하차 안전장치용 구동장치 및 그 구동장치가 구성된 안전장치
KR101085747B1 (ko) 승객 승하차 보호용 경고장치
JP2017537030A (ja) ワンタッチ安全三角表示板
CN204109892U (zh) 一种汽车开门警示装置
KR20150085452A (ko)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N102120444A (zh) 汽车紧急制动辅助减速伞系统
KR20150110239A (ko) 밀착구조를 갖는 차량용 승하차 안전장치 및 그 안전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CN106120603A (zh) 一种智能机动车故障警示装置
CN104875818A (zh) 一种轻型车辆及其安全锁
KR101355619B1 (ko) 차량용 사이드 스텝 장치
CN105197153A (zh) 一种自平衡车
CN201998898U (zh) 车用电动伸缩踏步
US8430444B1 (en) Vehicle covering system
KR20160044076A (ko) 버스용 보조 노선 안내장치
JP2006161532A (ja) 引込式車止め
CN206644727U (zh) 一种校车安全下车辅助装置
KR200371021Y1 (ko) 버스승객 안전장치
CN205149662U (zh) 一种汽车外后视镜电动折叠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71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27

Effective date: 2017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