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470A -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470A
KR20050109470A KR1020057013690A KR20057013690A KR20050109470A KR 20050109470 A KR20050109470 A KR 20050109470A KR 1020057013690 A KR1020057013690 A KR 1020057013690A KR 20057013690 A KR20057013690 A KR 20057013690A KR 20050109470 A KR20050109470 A KR 20050109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ke
assembly
stat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1301B1 (ko
Inventor
크리스토퍼 디. 코스비
더글라스 티. 크로우
데이비드 알. 하디
폴 이. 모간
두안 이. 뉴먼
제프 디. 스튜어트
마이클 엘. 웰쉬
Original Assignee
클럽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럽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클럽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10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3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B60Q1/441Electric switches operable by the driver's ped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6Mounting units comprising an assembly of two or more pedals, e.g. for facilitating moun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8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comprising means to continuously detect pedal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6Means, e.g. links, for connecting the pedal to the controlled uni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05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use of a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1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10T74/20534Accel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 또는 기능성 차량 페달 조립체 및 방법이 서술된다. 상기 페달 조립체는 모듈형이며, 전기 모터 구동시스템 또는 내연기관 구동시스템을 갖는 차량 및 기능성 차량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모듈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다수의 페달과,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출력 조절기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어형 소자와, 상기 기어형 소자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결합소자와, 상기 기어형 소자와 결합소자 사이의 결합을 제어하는 아암을 구비한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를 서술하고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차량 또는 기능성 차량의 브레이크 램프를 선택적으로 조명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는 비접촉식 센서를 서술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 램프를 선택적으로 조명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되는 타이머를 서술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MODULAR PEDAL ASSEMBLY FOR VEHICLES}
본 발명은 2003년 1월 24일자로 출원되고 본 발명에 참조인용된 미국 특허출원 제60/442.577호의 일부연속 출원을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본 발명은 골프카, 기능성 차량, 근접지역용 차량 등과 같은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차량을 위한 액셀 페달 및 브레이크 페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골프카 및 기능성 차량은 값이 비싸고, 조립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것은 현존의 대부분의 차량 및 기능성 차량이 한번에 일체형 부재로 조립되어 다음 부품상에 적층되기 때문이며, 또한 종래 차량의 조립에 요하는 노동력 및 시간이 실질적으로 이러한 처리에 소요되기 때문이다. 골프카 및 기능성 차량은 전기모터 구동시스템이나 내연기관 구동시스템을 가지며, 전기 구동시스템의 풋프린트(footprint) 및 패키징은 가스 구동시스템의 풋프린트 및 패키징과는 상당히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 골프카 또는 기능성 차량의 조립중, 부품의 크기 및 형태의 상이는 전기 및 가스 구동 차량에 대해 2개의 별도의 새시를 필요로 하며, 종래 대부분의 액셀 조립체는 전기 구동 차량과 가스 구동 차량에 대해 상이하다. 이것은 액셀에 결합된 부품과 상기 구동시스템과 액셀과의 상호연결이 구동시스템들 사이에 상당히 변화되기 때문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사시도.
도2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도시한 도1에 도시되어 있는 차량의 부분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차량의 장식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차량의 하부몸체 또는 새시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하부몸체의 부분사시도.
도6은 베이스의 하부몸체에 배치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과 상기 페달 및 제어출력 조절기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7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출력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8은 제어출력 조절기가 제거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일부 소자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9는 제어출력 조절기가 제거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여 모듈형 조립체의 부품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5에 도시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10은 베이스로부터 제거된 도5에 도시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11A는 전기구동 차량 및 전기차량의 부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출력 조절기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1B는 가스구동 차량 및 가스차량의 부품에 사용하기 위한 제어출력 조절기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2는 페달과, 축과, 핀과, 출력부와, 편향부를 포함하는 악셀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13A는 캐리지와, 레버와, 롤러와, 돌출부를 갖는 결합소자를 포하하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사시도.
도13B는 도13A에 도시된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의 일부의 상이한 각도를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기어부와, 출력부와, 주차 브레이크 페달과, 아암을 갖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도10에 도시된 부크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15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에 안착되고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에 상호연결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도시하는, 도14에 도시된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의 역전측을 부분사시도.
도16은 비작동 상태에서의 페달과 분리된 상태의 주차 브레이크를 도시하는, 도10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17은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의 기어부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페달에 연결된 아암을 도시하는, 도16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18은 작동상태에서의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과 아암에 의해 분리된 상태로 지지되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를 도시하는, 도10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19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가 기어부와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회전하는 아암과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작동상태인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도시하는, 도10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20은 페달 조립체를 주차상태로 위치시키기 위하여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작동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과 작동상태의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을 도시하는, 도10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21은 아암이 회전하고, 결합소자의 돌출부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의 기어부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20의 부분사시도.
도22는 가속기 페달 조립체상에서 핀과 접촉하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의 레버와 비작동 상태의 액셀 페달을 도시하는, 도20의 부분사시도.
도23은 액셀 페달 조립체상의 핀과 더 이상 접촉하지 않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의 레버와 작동중인 액셀 페달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22의 부분사시도.
도24는 아암과 결합소자와 세레이션 부분을 포함하여,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를 포함하는 일부 부품을 도시하는, 도10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5A는 서비스 브레이크가 작동될 때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리지상에서 롤러와 결합되는 아암의 캠면을 도시하는, 도24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5B는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을 허용하고 서비스 브레이크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인해 캐리지상에서 롤러와 분리되는 아암의 캠면을 도시하는, 도24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6은 아암과 롤러가 제거된, 도25B와 유사한 도면.
도27A는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어 있고, 액셀 페달 조립체가 비작동 상태에 있으며,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의 레버가 액셀 페달 조립체상의 핀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24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7B는 액셀 페달 조립체의 작동으로 인해 주차 브레이크가 분리된, 도27A와 유사한 도면.
도28은 브레이크 페달, 타이머, 브레이크 램프에 연결된 비접촉식 스위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29는 페달의 두 한계위치를 도시하는, 액셀 페달을 도시한 도면.
도30은 페달의 두 한계위치를 도시하는, 브레이크 페달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어회로와,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모듈형 페달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페달 조립체는 차량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브레이크 시스템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한다. 액셀 페달은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도록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터 및 제어회로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액셀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 센서가 제공되며, 이러한 센서는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로는 센서가 액셀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였을 때 모터를 제어 및/또는 구동시킨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가스 엔진 또는 전기모터 구동부를 갖는 골프카상에 모듈로서 장착가능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이다.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는 장착상태와, 비장착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장착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페달을 포함한다. 상기 제1페달은 모듈형 페달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브레이크 조립체에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제2페달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구동부에 결합되는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제2페달은 가속상태와 비가속 상태를 포함하며, 가속상태는 베이스에 대해 제2페달의 피봇 운동에 의해 한정된다. 또한, 제어출력 조절기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제2페달에 결합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구동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가스 엔진 및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된 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제2페달의 피봇 위치를 검출하고,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상기 위치를 구동부에 통신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차량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전기모터와 가스 엔진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차량을 위한 구동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와; 전기모터 및 가스 엔진을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는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모듈형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가속상태 및 비가속 상태를 갖는 액셀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 및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는 제어출력 조절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제어출력 조절기를 액셀 페달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액셀 페달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골프카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량에서 하나의 모듈로서 장착될 수 있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이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가 장착되는 장착상태와, 비장착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장착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한다. 액셀 페달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결합된다.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결합위치 및 비결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결합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소자는 브레이크 페달에 제공되는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와,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결합소자상에서의 상기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는 브레이크 페달상에서의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소자상에서의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의 결합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결합위치를 한정하는 오목부 및/또는 돌출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아암은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소자에 대해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갖는다. 상기 아암의 제1위치는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제한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비결합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아암의 제2위치는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허용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결합위치를 한정한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차량 새시를 제조하는 단계와; 구동시스템을 상기 새시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시스템을 새시에 결합하는 단계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조립하고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하나의 모듈로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캐리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포올을 캐리지에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 즉,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비작동 상태 및 작동상태를 갖는 액셀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 페달과의 선택적 결합을 위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 페달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결합위치와 분리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포올과의 선택적 결합을 위한 기어형 부분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로 작동가능한 제동 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의 비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개방 상태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폐쇄 상태를 갖는 회로를 포함한다. 비접촉식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에 인접하여 회로에 결합되며,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는 비작동 상태에서의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작동상태에서의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없다. 또한, 브레이크 램프는 회로에 연결되며, 회로가 개방되었을 때는 비조명 상태를, 회로가 폐쇄되었을 때는 조명 상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서술된다. 그러나, 첨부의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본 발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하기에 서술되는 다양한 소자와 이러한 소자들의 조합과 도면의 도시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내에서의 실시예로 귀결되도록 상이하게 정렬 및 조직되었다.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었으며, 도1 내지 도29에는 모터(2)와 상기 모터(2)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제어회로(3)와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1)에 사용하기 위한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양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차량(1)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11)와, 상기 베이스(11)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기로는 2개의 브레이크 페달(13, 14)과, 액셀 페달(12)의 변위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15)를 포함한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셀 페달(12)은 페달(12)이 "비작동 상태"로 있는 제1초기위치(PA1)와, 페달(12)이 "작동상태"로 있는 제2최대이동위치(PA2)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며, 상기 페달(12)은 두 제한위치(PA1, PA2) 사이의 모든 위치와 제2위치(PA2) 에서 "작동상태"로 있게 된다. 축선(12a) 주위로 각변위될 수 있도록, 액셀 페달(12)은 베이스(11)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며, 모터(2) 및/또는 제어회로(3)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초기위치(PB1)와 제2최대이동위치(PB2)(도30) 사이에서 축선(13a) 주위로 각변위될 수 있도록, 각각의 브레이크 페달(13, 14)은 베이스(11)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차량(1)의 브레이크 조립체(4)와 각각 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은 차량 작동중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제동하기 위해 사용되며,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휘일축(도시않음)과 결합된 브레이크 조립체(4)를 지지하는데 사용되며, 제2위치(PB2)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킹될 수 있다. 액셀 페달(12)은 주차 브레이크 페달(14)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브레이크 페달(14)이 제2위치(PB2)에 로킹되어 있을 때, 액셀 페달(12)의 변위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을 제2위치(PB2)로부터 해제시킨다.
또한, 하나이상의 센서(15)가 액셀 페달(14)의 변위를 검출하도록 사용되며, 이들 각각의 센서는 제어회로(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3)는 모터(2)를 제어 및/또는 작동시키거나, 센서(15)가 액셀 페달(123)의 변위를 검출하였을 때 즉, 초기 위치(PA1)로부터 제2최대이동위치(PA2)를 향한 변위에 의해 액셀 페달(12)이 "작동되었을 때 " 모터(2)를 작동시킨다. 상기 하나이상의 센서(15)는 하우징(24 또는 34)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10)의 제어출력 조절기(16)에 연합되며, 상기 센서(들)(15)는 하우징(24 또는 34)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24 또는 34)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센서(15)를 일반적으로 액셀 페달(12)에 인접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베이스(11)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
도11A 및 도11B에 있어서,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전기모터(28)이거나 내연기관 또는 "가스" 엔진(37)인 모터(2)를 갖는 차량에 사용되며, 이들의 주요한 차이점은 베이스(11)에 연결되는 특정의 제어출력 조절기(16)에 있다. 특히, 모터(2)가 전기모터(28)일 때, 차량(1)은 배터리(31)를 포함하며, 제어회로(3)는 배터리(31)와 모터(28) 사이에서 전압이나 전류를 제어하는 제어기(27)를 포함한다. "전기"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는 하우징(24)과, 상기 하우징(24)의 내부에 배치된 2개의 센서(15) 즉, 제1센서(25)와 제2센서(2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25)는 페달(12)이 초기 위치(PA1)로부터 제2위치(PA2)를 향하여 변위되었을 때 제어기(27)가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기(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이다. 상기 제2센서(26)는 초기위치(PA1)로부터 액셀 페달(12)의 변위(dA)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가변저항기 또는 포텐션미터(potentionmeter)이므로, 상기 제어기(27)는 일반적으로 페달 변위(dA)에 비례하는 모터(28)로의 전압이나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도29).
선택적으로, 모터(2)가 가스 엔진(37)일 때, 상기 엔진(37)은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기로는 다수의 점화플러그와 시동기 모터를 포함하며; 도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회로(3)는 시동기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솔레노이드(39)와 점화플러그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자석발전기(41)를 갖는 시동기 회로를 포함한다. "가스"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33)는 하우징(34)과, 상기 하우징(34)의 내부에 배치된 2개의 센서, 즉 제1센서(35)와 제2센서(36)를 포함한다. 상기 제1센서(35)는 솔레노이드(3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이므로, 액셀 페달(12)이 초기 위치(PA1)로부터 제2위치(PA2)를 향하여 변위될 때 엔진(37)의 시동기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센서(37)는 자석발전기(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미트 스위치이므로, 상기 자석발전기(41)는 액셀 페달(12)이 초기 위치(PA1)로부터 변위될 때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엔진(37)에 있어서, 상기 엔진(37)은 트로틀을 갖는 기화기(43)를 포함하며, 상기 액셀 페달(12)은 케이블(43a)에 의해 트로틀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기본 부품과 작동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모듈형 페달 조립체(12)의 기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하기에 상세히 서술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 있어서,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골프카(1) 또는 기능성 차량으로 구성된 차량(1)에 사용된다. 양호한 차량(1)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10)가 장착되는 하부몸체 부분(6)을 갖는 몸체 또는 새시(5)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부몸체 부분(6)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페달 그룹(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장착 공동(7)을 갖는다. 상술한 차량(1)에 양호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어떠한 차량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페달(10)은 페달 조립체(10)를 차량(1)에 연결하기 위해 그 어떠한 형태의 구동시스템 및/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구조체를 갖는, 표준형 승객용 차량,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 상업용 트럭, 오프로프 차량(예를 들어, 모래밭 주행용 차량)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페달 조립체(10)는 모듈형 유니트 또는 "모듈"로서 차량(1)에 결합된다. 특히, 베이스(11)는 전체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를 차량(1)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과 결합될 수 있으며, 베이스(11)는 차량(1)으로부터 전체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를 제거하기 위해 차량(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페달(12, 13, 14)은 베이스(11)가 차량(1)에 장착되기 전에 베이스(1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그후 베이스(11)가 연결되거나 장착되었을 때 페달(12, 13, 14)이 정확하게 배치된다. 도4 및 도5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10)가 차량에 장착되는, 양호하기로는 차량의 몸체(5)에 장착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차량 몸체 또는 새시(5)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를 차량(19)에 수용 및 고정하도록 설계된 개구 또는 장착 공동(7)을 포함한다. 또한, 새시(5)의 개구/공동(7)은 주위환경으로부터 많은 가동부 또는 전기부품을 수용 및 보호하도록 설계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와 페달(13, 14) 및 제어출력 조절기(16)를 포함하여,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조립된 모듈로서 새시(5)의 공동(7)에 배치된다. 따라서, 일단 새시(5)에 배치된 후에는 매우 적은 조종이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출력로드(17)는 브레이크 케이블(4a)에 의해 브레이크 시스템(4)에 연결되며, 2개의 전기연결부(3a)는 구동시스템에 따라 제어회로(3a, 3b)에 연결되며, 액셀 페달(12)은 모터(2)에 직접 연결된다. 이러한 부품들이 연결된 후, 바닥(9)을 포함하여 상부 몸체 패널(8)이 모듈형 페달 조립체(10) 주위에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하부몸체(6)에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9)은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전기부품과 케이블을 덮어 이들을 주위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도2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페달의 일부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쓰레기 차폐부(21)가 주위환경에 노출된다.
페달 조립체(10)가 차량(1)의 바닥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상기 페달 조립체(10)는 차량(1)의 대시와 바닥 사이의 경사진 영역 등과 같은 기타 다른 영역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6 내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베이스(11)와 이러한 베이스(11)에 연결된 다수의 페달을 포함하며, 이들은 액셀 페달 조립체(12)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와, 주차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4)와, 클러치 페달 또는 기타 다른 적절한 차량용 페달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액셀 페달 조립체(12)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와, 주차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모든 용도에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상기 페달은 피봇 등과 같은 하나이상의 가동 연결부에 의해 베이스(11)에 결합된다. 액셀 페달(12)은 제1피봇(19)에 의해 베이스(114)에 결합되며, 서비스 브레이크(13) 및 주차 브레이크(14)는 제2피봇(20)에 의해 베이스(11)에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세레이션 피봇이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기타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보다 많거나 적은 피봇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는 2개 이상의 페달에 대해 단일의 피봇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6 내지 도10 및 도12에 있어서, 도시된 액셀 페달(12)은 피봇(19)에 결합되어 이를 둘러싸는 축부분(64)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19)은 액셀(12)이 작동될 때 액셀(12)과 함께 회전하기 위해 액셀축(64)에 고정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축(64)은 파스너, 수형/암형 연결부, 가압삽입, 마찰삽입, 접착제 등에 의해 상기 피봇에 고정된다. 또한, 액셀 페달(12)은 모든 실시예에서 피봇(19)에 고정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축부분(64)은 피봇(19)(구조는 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피봇된다. 액셀 페달 조립체(12)의 실시예에 있어서, 피봇(19)의 일부는 베이스(11)상에서 브래킷(40)을 거쳐 베이스(11)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피봇(19)의 일부는 브래킷(40)에 장착된 베어링에 안착된다. 도9 및 도10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19)의 일부는 브래킷(40)을 지나 연장된다. 이러한 피봇 부분은 액셀(12)이 작동될 때 회전한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피봇 부분은 제어출력 조절기(16)에 결합된다.
액셀(12)의 다른 부분(65)은 하나이상의 편의부재(18)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편의부재는 댐퍼부재를 포함한다. 도6에 도시된 편의부재(18)는 베이스(11)에도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액셀 페달(12)은 초기 위치 또는 비작동 위치(PA1)를 향해 편의된다. 따라서, 액셀 페달(12)이 작동될 때, 상기 편의부재(18)는 액셀 페달(12)의 일부(65)에 대해 힘을 발휘하여, 페달(12)상에 토오크를 생성한 후, 페달(12)을 비작동 위치를 향하여 편의시킨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는 피봇(20)에도 결합된다. 대부분의 액셀 조립체(12)와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의 피봇(20)은 베이스(11)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페달 조립체(13)에 고정되어, 베이스(11)의 내부에서 회전한다. 만일 피봇(20)이 페달 조립체(13)에 고정되어 베이스(11)에 대해 회전한다면, 베어링은 베이스(11)에 장착되어, 페달(13)을 작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키고 마모를 제거한다.
도5 내지 도10 및 도14 내지 도16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 및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각각의 페달은 조립체(13, 14)의 발판작동식 부분(73, 80)으로부터 축(75, 83)으로 연장되는 아암(74, 81)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44)의 아암(81)은 서비스 브레이크(13)의 아암(74)내에 안착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페달(13)의 동작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만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서가 아니라 베이스(11)에 대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브레이크 페달(14)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을 작동시키지 않고,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 및 베이스(11)에 대해 부분적으로 자동된다. 설정된 범위에서 이동한 후,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상의 접촉부(79)를 타격하여, 상기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이와 함께 이동되게 한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주파 브레이크 페달(14)의 계속적인 동작[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상의 접촉부(79)를 타격한 후]에 의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작동되고 주파 브레이크가 결합된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이 항상 브레이크 페달(13)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기 때문에, 편의부재(18)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에 결합되어, 두 페달(13, 14)을 비작동 위치를 향하여 편의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페달에 대해 별도의 편의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 14)의 하나이상의 부분(77)은 출력 로드(17) 등과 같은 하나이상의 출력부재에 결합된다. 이러한 출력부재는 일단 모듈형 페달 조립체(10)가 차량(1)에 장착되었다면, 차량(1)의 제동시스템에 결합된다.
도5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출력 조절기(16)는 페달 조립체(10)의 베이스(11)에 장착된다. 제어출력 조절기(16)는 액셀 페달 조립체(12)의 부분에 결합된다.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16)는 베이스(11)에 결합되어 하우징(24, 34)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기로는 2개의 센서(15)를 지지하는 하우징(24, 34)을 포함한다. 상기 센서(15)는 액셀 페달(12)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해 하우징(24, 34)의 내부에 배치된다. 액셀 피봇(19)의 일부가 제어출력 조절기(16)의 하우징(24 또는 34)의 내부로 연장되기 때문에, 상기 센서(15)는 피봇(19)의 회전을 양호하게 검출한다.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16)는 액셀 페달(12)이 작동되는지를 표시하는 차량(1)의 구동시스템과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16)는 구동시스템과 각변위(dA)의 양을 통신하며, 이에 의해 액셀 페달(12)이 작동되거나 변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단지 최소한으로 변형된 전기 구동시스템 또는 가스 구동시스템을 갖는 차량(1)에 사용된다. 베이스(11)와 페달은 전기 구동차량 및 가스 구동차량 모두 동일하다. 전기 구동시스템을 갖는 차량(1)은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를 사용하며, 가스 구동시스템은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33)를 사용한다. 상기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 및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33)는 일반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조절기(23, 33)는 일반적으로 두 구성이 동일한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나머지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모듈형 페달 조립체(10)는 전기모터나 가스 모터(2)에 각각 사용하는 경우 매우 적은 변형과 선택적인 부품만을 필요로 한다. 하기에 서술되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제어출력 조절기들 사이의 주요한 차이점은 하우징(24, 34)의 내부에 사용되는 형태의 센서(25, 26, 35, 36)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는 전기모터(28)와 배터리(31)와 제어기(27)를 포함하는 전기 구동시스템이 구비된 차량(12)에 사용된다. 상기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는 베이스(11)와 결합되는 하우징(2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4)은 액셀 피봇(19)의 일부를 수용하며; 적어도 하나의, 양호하기로는 2개의 센서(15)를 포함한다. 도11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센서(25, 26)는 하우징(24)의 내부에 내장된다. 제1센서(25)는 액셀 페달(12)의 작동을 검출하며, 페달(12)이 초기 위치(PA1)로부터 변위될 때 제어기(25)가 "작동되도록" 제어기(25)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리미트 스위치이다. 일단 상기 리미트 스위치(25)가 휴지 상태 및 비작동 상태로부터 액셀 페달(12)의 작동을 검출하였다면 제어기(27)에 신호를 전송한다.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어기(27)는 "작동되고" 신호를 모터(28)에 송신할 수 있게 된다. 만일 제어기(27)가 리미트 스위치(25)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면, 제어기(27)는 오프 상태가 되며 따라서 신호를 전기모터(28)에 송신할 수 없게 된다.
도시된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23)는 하우징(24)의 내부에 제2센서(26)를 포함한다. 상기 제2센서는 가변저항기 또는 포텐션미터로서, 액셀 페달(12)의 작동량이나 각변위량(dA)을 검출한다. 제2센서(26)는 제어기(27)와 통신하며, 일반적으로 액셀 페달(12)의 각변위(dA)(도29)에 비례하는 제어기(27)에 가변 신호를 발생 및 송신한다.
예를 들어, 제2센서(26)가 포텐션미터 등과 같은 가변저항기인 실시예에서, 상기 포텐션미터(29)는 액셀(12)이 작동되는 양을 표시하기 위하여, 제어기(27)에 가변 전압을 송신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포텐션미터(29)는 액셀 페달(12)이 비작동 휴지 상태[즉, 초기 위치(PA1)]일 때 제어기(27)에 제로 전압을 송신하고 액셀 페달(12)이 완전히 작동된 상태 즉, 최대 이동위치(PA2)에 있을 때 5볼트까지 전압을 송신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만일 액셀 페달(12)이 휴지 상태, 비작동 상태와 완전 작동상태의 중간에 있을 경우, 포텐션미터(29)는 2.5볼트 정도의 크기를 갖는 신호를 제어기(27)에 송신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27)로 송신된 전압은 각변위(dA) 또는 액셀 페달(12)의 위치로 변화된다. 일단 제어기(27)가 센서(25, 26)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후에는 신호를 차량(1)의 모터(28) 송신한다. 상기 신호는 펄스-폭-변조 등과 같은 가변 신호이다. 제어기(27)로부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모터(28)는 액셀 페달(12)이 작동되는 양에 대응하여 가속되거나 감속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33)는 전기 제어출력 조절기(23)와 유사하게 구성되었다. 따라서, 제어출력 조절기(23, 33)는 사용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스톡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베이스(11)에 장착된다. 가스 제어출력 조널기(33)는 베이스(11)에 따라 수신되도록 적용된 하우징(34)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액셀 페달(12)의 위치를 검출하는 하나이상의 센서(35, 36)가 내장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11B에 도시된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33)의 실시예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35, 36)를 포함한다. 제1리미트 스위치(35)는 엔진(37)의 시동기 모터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솔레노이드(39)를 갖는 시동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회로(3)의 일부분이다.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35)는 액셀 페달(12)이 휴지 상태인 비작동 상태[즉, 초기 위치(PA1)에 있을 때]일 때, 상시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제1리리트 스위치(35)가 상시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회로는 상기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액셀 페달(12)의 작동에 따라, 제1센서(35)는 회로를 폐쇄하고, 신호를 솔레노이드(39)에 송신하여, 엔지(37)이 아이들링을 시작할 수 있게 한다. 액셀 페달(12)이 작동되는 양에 대응하여 차량(1)의 가속량 및 감속량을 직접 제어하기 위하여, 액셀 페달(12)은 엔진(37)의 기화기(43)에 연결된 트로틀 케이블(43a) 등과 같은 출력부재를 포함한다.
제2리미트 스위치(36)는 도시된 바와 같은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33)의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제2스위치(36)는 엔진(37)의 점화플러그(들)에 연결된 자석발전기(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스위치(36)는 액셀 페달이 휴지 상태인 비작동상태[즉, 초기 위치(PA1)]에 있을 때, 상기 폐쇄상태를 갖는다. 스위치(36)가 페쇄상태일 때는 자석발전기(41)를 접지시키고, 점화플러그로의 점화를 제거한다. 따라서, 액셀 페달(12)이 휴지상태인 비작동 상태일 때, 엔진(37)이 아이들되지 않는다. 그러나, 액셀 페달(12)의 작동에 따라, 제2리미트 스위치(36)는 자석발전기(41)가 내장된 제어회로(3)의 일부를 개방한다. 제2스위치(36)가 개방됨에 따라, 자석발전기(41)는 더 이상 접지되지 않으며, 점화플러그는 점화를 발생한다. 따라서, 엔진(37)이 아이들되고, 액셀 페달(12)의 작동량에 따라 차량(1)을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이다. 이러한 조립체는 도면에 많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도10과 도12 내지 도27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산업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는 차량(1)이 지면에 대해 구르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주차 브레이크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의 작동에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한정된 동작범위를 통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과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한정된 범위의 동작후, 또 다른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의 동작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상에서 주차 브레이크 페달(14)과 접촉부(79) 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의 동작을 유발시킨다.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을 유발시키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이 작동될 동안,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작동된다. 일단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면, 액셀 페달(12)의 동작은 주차 브레이크의 분리를 유발시킨다.
도시된 주차 브레이크는 베이스(11)에 결합된 캐리지(45)와, 상기 캐리지(45)에 결합된 결합소자 또는 포올(50)을 구비하는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44)를 포함한다. 도시된 캐리지(45)는 다수의 로드(46) 및 상기 로드(46)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이상의 브래킷(47)을 포함한다. 캐리지(45)를 베이스(11)에 결합시키는 로드(46)중 하나는 캐리지(45)를 위한 제1피봇점(57)을 형성한다. 전체 캐리지(45)는 베이스(11)에 대해 이러한 점에서 피봇될 수 있다.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을 형성하는 또 다른 로드(46)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피봇점(58)을 형성하는 이러한 로드(46)는 레버(49)에 결합된다. 상기 레버(49)는 캐리지(45)에 인접하여 있으며, 제2피봇점(58) 주위에서 캐리지(45)와는 독립적으로 피봇될 수있다. 하기에 상세히 서술되는 바와 같이, 캐리지(45)에 대한 레버(49)의 피봇운동에 의해,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5)는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를 향해 스프링(48)에 의해 편의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44)는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에 결합된 기어부 또는 기어(53)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에 결합된 아암을 포함한다.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의 기어부(53)는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상태에서 캐리지(45)상의 결합소자(50)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기어부(53)와 결합소자(50)는 주차 브레이크의 불시적인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저항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결합소자(50)가 주차 페달 조립체(13)의 기어부(53)와 결합될 때, 주차 브레이크는 "on"으로 결합된다. 그러나, 만일 결합소자(50)가 브레이크 조립체(13)의 기어부(53)와 결합하지 않는다면, 주차 브레이크는 개방된다.
캐리지[결합소자(50)를 포함](45)는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 14)[기어부(53)를 포함]를 향하여 편의된다. 따라서, 결합소자(50)를 기어부(53)로부터 분리시키는 장치가 없어도, 상기 결합소자(50)는 정상적인 구동상태에서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의 작동에 따라 기어(53)와 결합할 수 있으며, 무의식적으로 주차 브레이크와 결합된다. 따라서, 가동아암(52)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 14)와 결합하여, 기어부(53)에 의해 결합소자(50)의 위치를 제어하고, 불시의 결합을 방지한다.
아암(52)은 결합소자(50)와 기어부(53)의 결합을 방지하는 제1위치와, 상기 결합소자(50)와 기어부(53)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는 제2위치를 갖는다. 제1위치에서, 아암(52)은 주차 브레이크 결합없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의 작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아암(52)의 제2위치에서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의 작동중 결합소자(50)와 기어부(53) 사이의 결합이 가능하다. 아암(52)의 위치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아암(52)은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을 방지하기 위해 제1위치에 존재하며,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 충분히 작동되지 않는다.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4)에 대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의 충분한 작동은 아암을 제2위치에 위치시켜, 주차 브레이크의 결합을 가능하게 한다. 아암(52)의 운동은 페달(13, 14)의 상대운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4)에 대한 주차 브레이크 페달(13)의 상대운동은 아암(52)에 토오크를 유발시킨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아암(52)은 제1핀(60)에 의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결합되고, 제2핀(55)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에 결합된다. 따라서, 2개의 페달(13, 14) 사이의 상대운동은 아암(52)상에 토오크를 유발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아암(52)은 캠면을 가지며, 캐리지는 결합소자(50)에 인접하여 롤러(51)를 갖는다. 따라서, 롤러(51)는 아암(52)의 제1위치에서 캠면을 올라타며, 주차 브레이크는 결합이 방지된다. 상기 롤러(51)는 주타 브레이크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암(52)의 제2위치에서 아암(52)의 캠면과 충분히 결합되지 않는다.
일단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면, 액셀 페달(12)의 작동에 의해 해제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4)은 액셀 페달 조립체의 일부와 결합된다.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었을 때, 캐리지(45)와 결합된 레버(49)는 핀(54)과 접촉된 후, 핀(54)을 향해 편의된다. 상기 레버(49)는 제2피봇점(58) 주위에서 캐리지(45)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며, 캐리지(45)와는 독립적으로 제2피봇점(58) 주위에서 피봇될 수 있다. 레버(49)가 핀(54)과 접촉하지 않고서도, 상기 주차 브레이크는 기어부(53)에 의해 결합소자(50)상에 위치된 토오크로 인해 분리된다. 따라서, 핀(54)이 레버(49)로부터 멀리 이동될 때(액셀의 작동에 의해), 브레이크 조립체(13)에 결합된 기어부(53)로부터 결합소자(50)상에 위치된 토오크에 의해, 상기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 주위로 피봇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한다.
도23 및 도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셀 페달(12)의 실질적인 작동에 따라(도면에서는 4°), 레버(49)는 더 이상 핀(54)과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 주위로 피봇될 수 있어,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소자(50)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로부터, 캐리지(45)에 결합된 편의소자(48)로부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그 토오크에 의해 제2피봇점(58) 주위로 피봇된다.
도24 내지 도27을 참조하여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동작에 대해 서술하기로 한다. 도24는 분리된 상태에서의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주차 브레이크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지(45)는 제1피봇점(57)과, 제2피봇점(58)과, 상기 제2피봇점(58)에서 캐리지(45)에 부착된 결합소자 또는 포올(50)을 포함한다. 아암(52)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 14)에 결합되고, 캐리지(45)의 일부와 결합되므로써,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25A는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해 일부 부품이 제거된 도24에 도시된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도면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작동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의 동작은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의 동작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에서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이 작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아암(52)이 베이스(11)에 대해 작동되었다 하더라도, 아암(52)은 페달(13, 14)에 대해 도24에 도시된 위치에 머물러서, 아암(52)의 캠면을 올라타는 캐리지(45)상의 롤러(51)로 인해 결합소자(50)가 기어부(53)와 결합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도25B에서는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작동되고, 이러한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14)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아암(52)은 도며에 도시된 제2위치로 피봇되어(페달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됨에 따라, 결합소자(50)상의 돌출부(59)는 기어부(53)와 결합하여,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을 작동위치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도면에서는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된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도26은 명확성을 위하여 아암(52) 및 롤러(51) 등과 같은 여러개의 부품이 제거된, 결합된 위치에서의 주차 브레이크를 도시하고 있다. 도27A는 도25B와 유사하지만, 결합소자(50)가 기어부(53)와의 결합을 벗어나 토오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셀(12)상의 핀(54)을 부가로 도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도27B는 휴지상태의 비작동 상태 또는 초기 위치(PB1)로부터 약 4°로 작동된 액셀(12)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액셀(12)상의 핀(54)은 캐리지(45)에 인접한 레버(49)와 더 이상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 주위로 회전할하여 주차 브레이크를 분리하기 시작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소자(50)는 제2피봇점(58) 주위로 계속 회전하여, 주차 브레이크의 분리를 완성시킨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 조립체(13)의 작동을 검출하기 위하여 적외선 스위치(88) 또는 비접촉식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88)는 브레이크 페달(13)의 작동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브레이크 램프(8)에 결합된다. 상기 스위치는 수신기(90)와, 상기 수신기와 통신하는 송신기(89)를 포함한다. 수신기(90)에 의해 수신된 메시지의 상태 변화는 브레이크 페달(13)의 상태가 변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8)는 고형 상태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는 페달 조립체(10)의 베이스(11)에 부착된다. 셔터(92)는 서비스 브레이크(13)에 부착되어, 서비스 브레이크(13)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서비스 브레이크(13)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셔터(92)는 스위치 하우징(88)의 홈내에서 이동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88)는 상시개방 상태를 갖는 포지티브 절환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셔터(92)가 송신기(89)와 수신기(90) 사이의 적외선 비임이나 통신을 두절시켰을 때는 회로가 폐쇄되고, 브레이크 램프가 조명된다. 또한, 비작동 상태로의 페달(13)의 운동은 셔터(92)를 이동시키고, 브레이크 램프(8)의 출력을 중지시킨다.
주차 브레이크 페달(14) 및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13)이 일부 실시예에서 함께 구동되는 것으로 정렬되었기 때문에, 두 브레이크 페달은 광스위치(88)를 작동시킨다. 적외선 스위치(88)가 비접촉식 스위치(88)인 경우에는 마모가 제거된다. 상기 스위치(88)에 의해, 브레이크 램프(8)가 조명되고, 차량(1)은 주차 상태로 있게 된다.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브레이크 램프(8)의 조명을 제공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에는 타이머(91)가 설치된다. 상기 타이머(91)는 주차 브레이크가 결합되어 있을 때 일정시간 주기동안 브레이크 램프(8)가 조명되도록 프로그램된다. 위험상 상태를 피하고 차량(1)의 배터리 수명을 보존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4분 정도의 일정시간 주기가 바람직하다. 시간이 지났을 때, 재동작이나 브레이크 페달(13)의 동작 등과 같은 시스템으로의 또 다른 입력이 없다면 상기 브레이크 램프(8)는 더 이상 조명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개념 및 원리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로부터의 일탈없이 여러 소자와 그 형상 및 배치에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 조립체를 참고로 조립체의 다양한 변경이 서술된다. 상술한 바의 적외선 스위치(88) 및/또는 타이머(91)는 종래방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하나의 모듈형 유니트로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 결합조립체(44)는 종래방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또는 모듈형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로서 차량에 장착될 수 있으며, 또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10)의 일부로서 차량(1)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차량을 참조하여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능성 차량 등을 포함하여 여러 형태의 차량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7)

  1. 모터와 상기 모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회로와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 조립체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브레이크 페달과,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변위가능하도록 또한 모터와 제어회로중 하나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셀 페달과,
    회로가 모터를 제어하고 센서가 액셀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였을 때 상기 모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액셀 페달의 변위를 검출하고 상기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전체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해 차량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는 전체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차량으로부터제거하기 위해 차량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은 브레이크 조립체가 작동되지 않는 제1위치와 브레이크 조립체가 작동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제2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로킹될 수 있으며,
    액셀 페달은 브레이크 페달이 제2위치에 로킹될 때 페달의 변위가 브레이크 페달을 제2위치로부터 해제하도록, 브레이크 페달과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전기 모터 및 내연기관중에서 선택되며, 상기 제어회로는 전기모터에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전기모터 제어회로와 엔진에 사용하기 위한 엔진 제어회로로 선택되며, 상기 센서는 전기모터에 사용하기 위한 센서와 내연기관에 사용하기 위한 센서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센서를 액셀 페달에 인접하여 배치하기 위해 베이스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모터는 전기모터이며, 차량은 배터리를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배터리와 모터 사이의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센서는 제어회로가 페달 변위에 비례하는 모터로 전압 및 전류중 하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초기 위치로부터 액셀 페달의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가변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전기모터이며, 차량은 배터리를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배터리와 모터 사이의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해 변위될 때 제어기가 작동되도록,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모터는 전기모터이며, 차량은 배터리를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배터리와 모터 사이의 전류 및 전압을 조절하며; 상기 센서는 제어회로가 페달 변위에 비례하는 모터로 전압 및 전류중 하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초기 위치로부터 액셀 페달의 변위에 비례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가변저항기이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액셀 페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제어기가 작동되도록,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내연기관과 시동기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시동기 모터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동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솔레노이드가 시동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솔레노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모터는 적어도 하나의 점화 플러그를 갖는 내연기관을 포함하며, 제어회로는 상기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석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자석발전기가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자석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적어도 하나의 점화 플러그와 시동기 모터를 갖는 내연기관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시동기 모터와 작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시동기 회로와, 상기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자석발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솔레노이드가 시동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솔레노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이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는 액셀 페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센서는 페달이 초기 위치로부터 제2위치를 향하여 변위될 때 자석발전기가 점화 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자석발전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2. 브레이크 조립체를 갖는 차량에 따라 하나의 모듈로서 장착가능하고, 가스 엔진 또는 전기모터 구동부를 갖는 차량에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된 장착상태와 비장착 상태를 갖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에서,
    장착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브레이크 조립체에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 제1페달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 상태에서 구동부에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 제2페달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제2페달에 결합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구동조립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출력 조절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페달은 비작동 상태와 작동상태를 가지며, 상기 작동상태는 베이스에 대한 제2페달의 피봇 운동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가스 엔진 및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차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페달의 피봇 위치를 검출하고 그 위치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구동부에 통신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센서이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페달의 피봇 위치를 검출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피봇 위치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구동부에 통신할 수 있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리미트 스위치이고, 상기 제2센서는 포텐션미터이며; 상기 리미트 스위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제2페달의 상태를 검출하고, 그러한 상태를 전기모터 구동부에 통신하며; 상기 포텐션미터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제2페달의 상태를 검출하고, 제2페달의 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압을 송신하므로써 그러한 상태를 전기모터에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는 제1리미트 스위치이고, 제2센서는 제2리미트 스위치이며, 상기 제1 및 제2리미트 스위치는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1리미트 스위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제2페달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러한 상태를 제1회로를 통해 가스 엔진 구동부에 통신하며; 제2리미트 스위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제2페달의 상태를 검출하고, 이러한 상태를 제2회로를 통해 가스 엔진 구동부에 통신하며; 상기 가스 엔진 구동부는 폐쇄된 제1리미트 스위치 및 개방된 제2리미트 스위치와 작동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제1리미트 스위치와 폐쇄된 제2리미트 스위치와 함께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브레이크 조립체에 결합되는 부분을 갖는 제3페달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17. 차량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전기모터 및 가스 엔진중 하나를 선택하고, 차량을 위한 구동시스템의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가스 모터 및 가스 엔진중 하나를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시스템을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비작동 상태 및 작동상태를 갖는 액셀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 및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는 제어출력 조절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제어출력 조절기를 액셀 페달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센서이고, 상기 차량은 모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제어기를 구비한 모터 구동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는 제1센서를 액셀 페달 및 제어기에 결합하는 단계와, 제2센서를 액셀 페달 및 제어기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를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신호는 액셀 페달의 운동량에 따른 가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센서와 제어기 사이에 제1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센서와 제어기 사이에 제2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제1회로 및 제2회로중 하나가 개방된 경우 전류를 모터로 전송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센서는 제1센서이고, 차량은 가스 엔진 구동시스템을 가지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시스템에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결합하는 단계는 제1센서를 액셀 페달 및 엔진에 결합하는 단계와, 제2센서를 액셀 페달 및 엔진에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엔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를 엔진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제1센서와 엔진 사이에 제1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센서와 엔진 사이에 제2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회로는 액셀 페달이 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비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엔진은 폐쇄된 제1회로 및 개방된 제2회로와 함께 작동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제1회로 및 폐쇄된 제2회로에는 작동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조방법.
  22. 차량 몸체를 제조하는 단계와,
    전기모터 및 가스 엔진중 하나를 선택하고, 차량을 위한 구동시스템의 형태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기 가스 모터 및 가스 엔진중 하나를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시스템을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비작동 상태 및 작동상태를 갖는 액셀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가스 제어출력 조절기 및 모터 제어출력 조절기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구동시스템의 형태에 대응하는 제어출력 조절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제어출력 조절기를 액셀 페달에 결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제1센서이고, 상기 차량은 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를 갖는 전기모터 구동시스템을 가지며, 상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는 제1센서를 액셀 페달 및 제어기에 결합하는 단계와, 제2센서를 액셀 페달 및 제어기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를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신호는 작동된 액셀 페달의 양에 따른 가변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4. 제23항에 있어서, 제1센서와 제어기 사이에 제1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센서와 제어기 사이에 제2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제1회로 및 제2회로중 하나가 개방된 경우 전류를 모터로 전송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5. 제22항에 있어서, 센서는 제1센서이고, 차량은 가스 엔진 구동시스템을 가지며, 제어출력 조절기는 제2센서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구동시스템에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결합하는 단계는 제1센서를 액셀 페달 및 엔진에 결합하는 단계와, 제2센서를 액셀 페달 및 엔진에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엔진에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센서는 액셀 페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신호를 엔진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센서와 엔진 사이에 제1회로를 형성하는 단계와, 제2센서와 엔진 사이에 제2회로를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1회로는 액셀 페달이 비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제2회로는 액셀 페달이 작동 상태인 개방상태와, 액셀 페달이 비작동상태인 폐쇄상태를 가지며; 상기 엔진은 폐쇄된 제1회로 및 개방된 제2회로와 함께 작동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제1회로 및 폐쇄된 제2회로에는 작동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7. 차량에 하나의 모듈로서 장착가능하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가 차량에 장착된 장착상태와 비장착 상태를 갖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장착상태에서 차량에 장착되는 베이스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액셀 페달과,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결합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 결합소자와,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소자에 대해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갖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브레이크 페달상에 형성되고, 결합소자상에 형성된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 페달상에 형성된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소자상에 형성된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와 브레이크 페달상에 형성된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의 결합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아암의 제1위치는 결합소자와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한정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비결합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아암의 제2위치는 결합소자와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허용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결합된 위치와 비결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의 작동으로 인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29. 제28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의 액셀 페달의 운동으로 인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이며;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비장착 상태에서 베이스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고, 모듈형 페달 조립체의 장착상태에서 제동 조립체에 결합된 부분을 갖는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인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2. 제27항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아암은 캠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결합소자에 결합된 롤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캠은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한정하기 위해 제1위치에서 롤러와 결합되고; 상기 캠은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보장하기 위해 제2위치에서 롤러와 충분히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3. 제27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 페달상에 기어면을 포함하며, 결합소자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는 피봇가능한 포올상에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가능한 포올상의 돌출부는 브레이크 페달상의 기어면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페달 조립체.
  34. 새시와 상기 새시에 결합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새시에 결합되는 액셀 페달을 갖는 차량을 위한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에서,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 페달은 비작동 상태 및 작동상태를 가지며,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차량의 운동이 제한되는 결합 위치와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차량의 운동이 가능한 비결합 위치를 갖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에 있어서,
    새시에 결합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결합위치와 비결합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결합소자와,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와,
    상기 결합소자에 대해 제1위치 및 제2위치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되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소자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 페달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며, 결합소자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와 브레이크 페달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다른 하나와의 결합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의 결합 위치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아암의 제1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와 결합소자의 결합을 제한하고,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비결합 위치를 한정하며; 상기 아암의 제2위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결합 위치를 부분적으로 한정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와 결합소자의 결합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비작동 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의 브레이크 페달의 제2부분의 운동으로 인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36. 제3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제2부분은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비작동 상태로부터 작동상태로의 액셀 페달의 운동으로 인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브레이크 페달에 인접하여 새시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된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으로 인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아암은 갬면을 포함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는 결합소자에 결합되는 롤러를 부가로 포함하며, 상기 캠은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한정하기 위해 제1위치에서 롤러와 결합되고; 상기 캠은 결합소자의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허용하기 위해 제2위치에서 롤러와 충분히 결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40. 제34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는 브레이크 페달상에 기어면을 포함하며, 결합소자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중 적어도 하나는 피봇가능한 포올상에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봇가능한 포올상의 돌출부는 차량의 롤링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상의 기어면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
  41.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비한 차량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차량 새시를 제조하는 단계와,
    구동시스템을 상기 새시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시스템을 새시에 결합하는 단계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하나의 모듈로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와,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구동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캐리지를 제공하는 단계와, 포올을 캐리지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형 페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비작동 상태 및 작동상태를 갖는 액셀 페달을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 페달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브레이크 페달 및 액셀 페달에 인접하여 배치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결합위치와 분리위치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베이스에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브레이크 페달은 포올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기어부와, 상기 브레이크 페달에 피봇가능하게 결합되는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의 일부와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브레이크 조립체를 조립하는 단계는 아암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롤러를 캐리지에 결합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방법.
  43. 지면에 대한 차량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단계와,
    주차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주차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응답하여 주차 브레이크 페달에 결합된 아암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아암의 이동에 응답하여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을 향해 포올을 이동시키는 단계와,
    차량의 롤링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포올과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을 결합하는 단계와,
    롤링 운동이 가능하도록 액셀 페달을 가압하는 단계와,
    액셀 페달의 가압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페달에 대해 포올을 피봇하는 단계와,
    포올의 피봇에 응답하여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포올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은 아암이 포올과 기어와의 결합을 방지하는 제1위치와, 아암이 포올과 기어와의 결합을 방지하지 않는 제2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이동 제어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포올과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단계에 이어 액셀에 의한 포올의 회전을 방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이동 제어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로부터 포올의 분리에 이어 주차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될 때까지, 포올과 서비스 브레이크 페달과의 결합을 방지하는 제1위치로 아암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이동 제어방법.
  46.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과 작동가능한 제동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의 비작동 상태에 대응하는 개방상태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상태를 갖는 회로와,
    브레이크 페달에 인접하여 상기 회로에 결합된 비접촉식 스위치와,
    상기 회로에 결합된 브레이크 램프를 포함하며,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가지며; 상기 송신기는 비작동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작동상태의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없으며; 광은 회로가 개방되었을 때 비조명 상태이고 회로가 폐쇄되었을 때 조명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47. 제45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램프에 결합되며, 회로가 설정의 시간주기동안 폐쇄될 동안 조명상태로부터 비조명 상태로 브레이크 램프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타이머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적외선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49.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를 갖는 브레이크 페달과 작동가능한 제동시스템을 갖는 차량용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에 인접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개방상태에 대응하는 개방상태와, 상기 스위치의 폐쇄상태에 대응하는 폐쇄상태를 갖는 회로와,
    상기 회로에 결합된 브레이크 램프와,
    브레이크 램프에 결합되며, 회로가 설정의 시간주기동안 폐쇄될 동안 조명상태로부터 비조명 상태로 브레이크 램프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중 하나에 대응하는 개방상태와,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중 다른 하나에 대응하는 폐쇄상태를 가지며; 이러한 상태들 사이에서의 브레이크 페달의 이동은 스위치의 상태를 변화시키며; 광은 회로가 개방되었을 때 비조명 상태이고, 회로가 폐쇄되었을 때 조명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비접촉식 스위치이며; 상기 송신기는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중 한쪽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있고, 작동상태 및 비작동 상태중 다른쪽 상태에서 페달에 의해 수신기와 통신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적외선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램프 조명시스템.
  52. 차량에서 브레이크 램프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램프에 인접하여 비접촉식 스위치와 브레이크 램프 사이에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송신기로부터 수신기로 비접촉식 스위치내의 신호를 전송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와,
    수신기로의 신호 도달방지에 응답하여 회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회로 폐쇄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램프를 조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53. 제5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램프를 위해 조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의 시간주기후 브레이크 램프가 조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로의 신호 도달방지 단계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에 의해 신호가 수신기에 수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55. 제52항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을 비작동 상태로 복귀시키는 단계와, 상기 신호를 수신기에 도달시키는 단계와, 회로를 개방하는 단계와, 페달을 비작동 상태로 복귀시키므로써 브레이크 램프의 조명을 방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56. 차량상에 브레이크 램프의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에 인접하여 브레이크 램프와 스위치 사이에 회로를 제공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므로써 스위치를 폐쇄하는 단계와,
    스위치 폐쇄에 응답하여 회로를 폐쇄하는 단계와,
    회로의 폐쇄에 응답하여 브레이크 램프를 조명하는 단계와,
    브레이크 램프를 위하여 조명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와,
    설정의 시간주기 후에 브레이크 램프의 조명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송신기와 수신기를 갖는 적외선 스위치이며,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키므로써 스위치를 폐쇄하는 단계는 브레이크 페달의 일부에 의해 송신기가 수신기와 통신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제어방법.
KR1020057013690A 2003-01-24 2004-01-26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 KR101271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257703P 2003-01-24 2003-01-24
US60/442,577 2003-01-24
PCT/US2004/002120 WO2004068254A2 (en) 2003-01-24 2004-01-26 Modular pedal assembly for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470A true KR20050109470A (ko) 2005-11-21
KR101271301B1 KR101271301B1 (ko) 2013-06-04

Family

ID=3282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690A KR101271301B1 (ko) 2003-01-24 2004-01-26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60230869A1 (ko)
EP (1) EP1588226B1 (ko)
JP (1) JP2006520286A (ko)
KR (1) KR101271301B1 (ko)
AU (2) AU2004207396B2 (ko)
ES (1) ES2281782T3 (ko)
PT (1) PT1588226E (ko)
WO (1) WO2004068254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3556S1 (en) 2018-08-10 2020-12-01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3877S1 (en) 2018-08-10 2021-03-23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6632S1 (en) 2018-08-10 2021-04-20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7354S1 (en) 2018-08-10 2021-04-27 Ka Group Ag Pedal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3993B1 (fr) * 2003-12-23 2006-04-14 Poclain Hydraulics Ind Dispositif de pedale de freinage pour effectuer un freinage de service et un freinage de blocage
EP1772365B1 (en) * 2004-07-26 2014-03-26 Yamaha Hatsudoki Kabushiki Kaisha Shift controller of saddle-riding type vehicle
KR100605009B1 (ko) * 2004-12-27 2006-07-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차량용 공용 페달 장치
US20070138863A1 (en) * 2005-11-01 2007-06-21 Warren Clark Modular Pedal Box Assembly
US20070205033A1 (en) * 2006-03-01 2007-09-06 Textron Inc. Accelerator and brake assembly protection system
US7270363B1 (en) 2006-03-07 2007-09-18 Textron Inc. Golf car splash guard
US7400238B2 (en) 2006-06-02 2008-07-15 Textron Inc. Brake light system
US7604303B2 (en) * 2007-01-12 2009-10-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edal travel audit system
US8205523B2 (en) 2007-12-10 2012-06-26 Club Car, Llc Pedal assembly for vehicles
EP2225138A4 (en) * 2007-12-20 2011-05-04 Graco Minnesota Inc FOOTBRAKE FOR DRIVING VEHICLES
US8182018B2 (en) * 2008-01-24 2012-05-22 Club Car, Llc Dash assembly for golf cars or similar vehicles
ATE483607T1 (de) * 2008-02-21 2010-10-15 Cnh Italia Spa Steuer- und bremspedalanordnung für traktoren
GB2475711A (en) * 2009-11-27 2011-06-01 Sunpex Technology Co Ltd Mobility pedal structure for electric scooter
CN104602978B (zh) 2012-08-14 2017-03-08 康斯博格动力生产系统第一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踏板设备
USD746174S1 (en) * 2013-03-15 2015-12-29 Jimmy Storms Golf cart rear body
US10353422B2 (en) 2015-06-23 2019-07-16 Kongsberg Power Products Systems I, Inc. Bidirectional pedal assembly
USD892676S1 (en) 2017-01-25 2020-08-11 Jh Global Services, Inc. Powered golf car
USD867205S1 (en) 2017-01-26 2019-11-19 Jh Global Services, Inc. Vehicle dash for a golf car
USD855842S1 (en) 2017-02-02 2019-08-06 Jh Global Services, Inc. Tail lights for golf car
USD856549S1 (en) 2017-02-03 2019-08-13 Jh Global Services, Inc. Headlights for a golf car
US11597366B2 (en) 2019-05-09 2023-03-07 Cts Corporation Vehicle brake pedal with pedal resistance assembly and force/position sensor
JP6768020B2 (ja) * 2018-03-06 2020-10-14 太陽誘電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装置及び電動アシスト車
US20230185325A1 (en) * 2020-04-30 2023-06-15 Axon Simulator Ltd. Pedal adjustment system and seat adjustment system, and apparatus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5430A (en) * 1919-12-16 Accelebatob
US1469258A (en) * 1920-04-03 1923-10-02 Gen Motors Corp Clutch and brake lever supporting bracket
US1459233A (en) * 1922-09-06 1923-06-19 Otto A Moldenhauer Foot accelerator
US1455570A (en) * 1922-10-11 1923-05-15 Cassara Pasquale Motor and steering control for automobiles
US1562057A (en) * 1925-03-30 1925-11-17 Edgar Rogers Clutch-pedal lock
US1608382A (en) * 1926-08-17 1926-11-23 Harold C Fox Transmission-gear-shifting attachment
US2542410A (en) * 1947-03-07 1951-02-20 Tabor Mfg Co Motor vehicle control mechanism
US3003365A (en) * 1958-07-03 1961-10-10 Walker Mfg Co Foot operated mechanism
US3109320A (en) * 1961-04-12 1963-11-05 Gen Motors Corp Brake lever
US3273418A (en) * 1963-12-12 1966-09-20 Elmer F Ellis Vehicle parking brake control
US3240299A (en) * 1964-01-03 1966-03-15 Gen Motors Corp Vehicle control pedals
US3630326A (en) * 1970-07-27 1971-12-28 Yukinori Kawaguchi Accelerator and brake pedal combination
US3936707A (en) * 1973-02-14 1976-02-03 Kabushiki Kaisha Meidensha Operating apparatus for electrically driven vehicles
US4060144A (en) * 1976-01-12 1977-11-29 Pyott-Boone Machinery Corporation Combined accelerator and brake assembly
US4036078A (en) * 1976-06-03 1977-07-19 Muehling Anthony A Brake pedal positioning mechanism
US4087776A (en) * 1976-12-22 1978-05-02 Drexel Industries, Inc. Accelerator switch assembly
US4142135A (en) * 1977-04-29 1979-02-27 Shinko Electric Co., Ltd. Fork lift truck with balance weight using batteries as power source
JPS5465931A (en) * 1977-11-04 1979-05-28 Yamaha Motor Co Ltd Apparatus for peleasing parking brake
US4297550A (en) * 1979-03-01 1981-10-27 Betty Leighton Method and construction for vehicle brake pedal and switch assembly
JPS5647339A (en) * 1979-09-20 1981-04-30 Nissan Motor Co Ltd Pedal type parking brake device
US4441380A (en) * 1981-11-11 1984-04-10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oot-operated control device for parking brake
JPS58105860A (ja) * 1981-12-16 1983-06-23 Toyota Motor Corp 足踏式パ−キングブレ−キ操作装置
JPS5976424U (ja) * 1982-11-15 1984-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始動装置
US5056742A (en) * 1987-11-13 1991-10-15 The Boeing Company Modular rudder pedal and brake control assembly for aircraft
US4884403A (en) * 1988-07-21 1989-12-05 Itt Corporation Modular brake actuator
US5217280A (en) * 1989-07-06 1993-06-08 Nartron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signal device for vehicle brake pedal
DE4029334A1 (de) * 1990-09-15 1992-03-19 Teves Gmbh Alfred Pedaleinheit fuer ein kraftfahrzeug
US5438516A (en) * 1993-10-29 1995-08-01 Williams Controls, Inc. Integrated vehicle brake control device position sensor with precalibrated multiple sensor outputs
US5477116A (en) * 1993-11-22 1995-12-19 Textron Inc. Golf car having modular accelerator pedal assembly with non-contacting position sensor
US5588335A (en) * 1995-04-28 1996-12-31 Strait; Daniel L. Torsion lock parking brake actuator with push down release
DE19531734C2 (de) * 1995-08-29 1998-09-10 Daimler Benz Ag Trägerrahmen für eine Fahrpedaleinheit von Kraftfahrzeugen
DE19536699A1 (de) * 1995-09-30 1997-04-03 Bosch Gmbh Robert Fahrpedalmodul
US5886628A (en) * 1997-07-29 1999-03-23 Alhassoon; Adel A. Delayed auto brake light
JPH11217029A (ja) * 1997-10-22 1999-08-10 Chuo Spring Co Ltd 電子式レバー機構
DE19817710A1 (de) * 1998-04-21 1999-10-28 Scharwaechter Ed Gmbh Aushängebare Pedallagerung
US6138802A (en) * 1998-11-20 2000-10-31 Teleflex Incorporated Modular pedal assembly
WO2000047444A1 (en) * 1999-02-11 2000-08-17 Intellibrake (Proprietary) Limited Progressive braking system
US6324939B1 (en) * 1999-02-14 2001-12-04 Edmond B. Cicotte Adjustable automobile pedal system
AU3511800A (en) * 1999-03-02 2000-09-21 Hayes Brake, Llc Golf car having disk brakes and single point latching brake
DE19918119A1 (de) * 1999-04-22 2000-10-26 Bosch Gmbh Robert Pedalwertgeberanordnung
US6415681B1 (en) * 1999-11-17 2002-07-09 Orscheln Products Llc Pedal assembly
US6364047B1 (en) * 2000-09-27 2002-04-02 Teleflex Incorporated Adjustable pedal assembly—floating floor
US6962094B2 (en) * 2001-01-24 2005-11-08 Orscheln Products Ll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536300B1 (en) * 2001-07-18 2003-03-25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foot pedal apparatus
US6862950B2 (en) * 2001-11-02 2005-03-08 Ksr Industrial Corporation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886427B2 (en) * 2002-05-17 2005-05-03 Logitech Europe S.A. Floor lock for foot-operated device
DE20209568U1 (de) * 2002-06-20 2002-08-29 Deschler Gerhard Steuereinrichtung für Bremslicht
ITTO20020866A1 (it) * 2002-10-08 2004-04-09 Fiat Ricerche Pedaliera regolabile per autovettura.
FR2866130B1 (fr) * 2004-02-05 2006-04-07 Renault Sas Agencement de securit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pedalier electrique au plancher
DE102007040541B4 (de) * 2007-08-28 2014-04-30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Pedalsteuerung für ein Fahrzeu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03556S1 (en) 2018-08-10 2020-12-01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3877S1 (en) 2018-08-10 2021-03-23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6632S1 (en) 2018-08-10 2021-04-20 Ka Group Ag Pedal apparatus
USD917354S1 (en) 2018-08-10 2021-04-27 Ka Group Ag Ped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213100B2 (en) 2012-04-26
US20110023652A1 (en) 2011-02-03
WO2004068254A9 (en) 2004-09-30
WO2004068254A2 (en) 2004-08-12
EP1588226B1 (en) 2007-03-14
AU2009213100A1 (en) 2009-10-08
KR101271301B1 (ko) 2013-06-04
AU2004207396B2 (en) 2009-06-11
AU2004207396A1 (en) 2004-08-12
ES2281782T3 (es) 2007-10-01
JP2006520286A (ja) 2006-09-07
US10296036B2 (en) 2019-05-21
US20060230869A1 (en) 2006-10-19
WO2004068254A3 (en) 2004-11-11
EP1588226A2 (en) 2005-10-26
PT1588226E (pt) 2007-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301B1 (ko) 차량용 모듈형 페달 조립체
US5964680A (en) Power train for a motor vehicle
EP1813492B1 (en) Vehicle control system
US6125983A (en) Electric parking sprag
GB2326683A (en) Automatic clutch having an emergency operating mode initiated by a malfunction
JP2003200820A (ja) 車輛のブレーキシステム
US6213911B1 (en) Power train with automated transmission
KR19980018405A (ko) 자동차
CN111806227A (zh) 一种改进型汽车踏板装置
US6382041B1 (en) Gearshift device
GB2313425A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ndering operative a clutch actuator
US5083542A (en) Link mechanism for a vehicular cruise control apparatus
JP3958930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EP2660114B1 (en) Tractor park brake force sensing system
JP3176524B2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KR20030090160A (ko) 자동차의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장치
JPH08216845A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KR950009141Y1 (ko) 오토크루즈 겸용 트랙션 콘트롤 시스템
KR200287023Y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372460B1 (ko) 자동차용 페달 높낮이 조절 장치
JP3424783B2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ルーム用リッド開閉センサの取付構造
JP2794738B2 (ja) スロットル制御装置
JPS6134921Y2 (ko)
KR19980061364A (ko) 무인 시험자동차의 속도제어장치
JPH08216843A (ja) 車両用パーキ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