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50A - 원격 면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면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50A
KR20050107750A KR1020057014323A KR20057014323A KR20050107750A KR 20050107750 A KR20050107750 A KR 20050107750A KR 1020057014323 A KR1020057014323 A KR 1020057014323A KR 20057014323 A KR20057014323 A KR 20057014323A KR 20050107750 A KR20050107750 A KR 20050107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nt
image
function
ques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4964B1 (ko
Inventor
노조무 사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Publication of KR20050107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4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4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응모자에게 있어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고, 모집자에게 있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는 원격 면접 시스템을 제공한다. Web 서버 (110)와 쌍방향 통신 서버 (120)와 메일 서버 (130)와 면접 서버 (140)와 통신회선 접속 장치 (160)를 갖추고 통신회선 (20)을 개입시켜 응모자 단말 (30), 모집자 단말 (40)과 접속해 원격 면접을 실시한다. 면접 서버 (140)는, 지식 시험, 문장력 시험, 성격 진단, 구술시험에 의해 응모자를 사전 전형하는 기능을 가진다.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해 등록 화상과 조합하는 본인 확인 기능을 가져,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한다. 질문 영상을 응모자 단말로 전달하는 기능과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한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기능과 기록된 회답 영상을 모집자 단말로 전달하여 채점 평가를 실시하는 기능을 가져, 모집자가 대응할 필요 없이 구술시험을 원격으로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격 면접 시스템{REMOTE INTERVIEW SYSTEM}
본원 발명은, 화상 전화를 이용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관계되고, 특히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관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히 거절하지 않는 한, 「영상」에는 「음성」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기업에 있어서의 구인이나 탤런트의 오디션 등의 인재 모집에 대해, 모집자가 응모자와 대면해 실시하는 면접은 중요한 전형 수단이 되지만, 다수의 응모자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것은, 모집자에게 있어 장소나 인원의 확보가 필요한 등, 시간적·비용적으로 큰 부담이 발생한다. 또, 응모자에 있어서도 지정된 시간에 면접 장소까지 나가는 것이 필요해, 지리적·시간적인 제약이 크다.
근년, 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해, 화상 전화에 의해 원격지의 단말 간에 영상과 음성에 의한 실용 레벨에서의 대담이 가능해져 온 것으로부터, 응모자와 모집자가 화상 전화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방법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화상 전화를 이용한 면접이라도, 모집자에게 있어서는 다수의 응모자와 개별적으로 면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매우 큰 부담이 된다.
이 때문에, 미리 응모자에 대해서 지식 레벨을 진단하는 온라인 전형 시험을 실시하여, 소정의 합격 기준점을 획득한 사람에 대해서만 온라인 면접을 실시하는 방법이, 특개 2002-73914호 공보에서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온라인 전형 시험으로 면접 대상자를 선정하는 것으로, 모집자의 부담을 경감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또, 특개 2002-73914호 공보에서는, 온라인 면접으로서 영상과 음성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비디오 면접 외에, 선택 회답식의 면접 문제를 응모자에게 온라인으으로 회답시키는 버추얼 면접이나, 응모자와 모집자의 사이에 문자 메세지를 개입시켜 실시간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채팅 면접을 갖춘다. 이와 같이, 버추얼 면접을 갖추는 것으로 응모자는 24시간 언제라도 적절한 때에 면접을 접수할 수가 있고, 채팅 면접을 갖추는 것으로 대면식의 면접에 서투른 응모자들로부터 우수한 인재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고 하는 효과를 얻고 있다.
그렇지만, 이와 관련된 종래의 면접 시스템에서는, 모집자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사전 전형으로서 미리 등록한 문제를 화면에 표시하여, 이것에 대해서 응모자가 키보드로부터 입력한 회답을 컴퓨터로 집계하여 전형하기 때문에, 본인 이외가 회답하거나 본인이 제3자의 어드바이스를 받아 회답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일차 전형에 의해 선택된 응모자는 반드시 적절한 인재가 아닌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버추얼 면접이나 채팅 면접에서도, 이와 같이 본인 이외가 회답하거나 본인이 제3자의 어드바이스를 받아 회답할 수가 있어 최종적으로 전형되는 인재는 반드시 적절한 인재가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인재의 전형에서 모집자의 질문에 대한 응모자의 대답이나 표정은 인재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지극히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단지 선택 회답식의 온라인 전형 시험의 점수에 의해 사전 전형하거나 선택 회답식의 버추얼 면접의 점수에만 따라 응모자를 전형하면, 우수한 인재를 간과해 버릴 가능성이 높고, 적절한 인재를 전형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응모자에게 있어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고, 모집자에게 있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는 원격 면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집자측의 처리의 처리 플로우도(그 1)이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집자측의 처리의 처리 플로우도(그 2)이다.
도 4는,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집자측의 처리의 처리 플로우도(그 3)이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응모자측의 처리의 처리 플로우도(그 1)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에 있어서의 모집자측의 처리의 처리 플로우도(그 2)이다.
제7도는, 지식 시험 실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8도는, 문장력 시험 실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9도는, 성격 진단 실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10도는, 제한 시간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11도는, 본인 확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12도는, 구술시험 실시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13도는, 모집자 접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4도는, 모집 접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5도는, 모집 실시 메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6도는, 모집 요강 등록·편집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7도는, 지식 시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8도는, 문장력 시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19도는, 성격 진단 시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0도는, 구술시험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1도는, 구술시험 설정에 있어서의 영상 녹화시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2도는, 구술시험 설정에 있어서의 영상 재생시의 화면예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3도는, 원격 면접 설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4도는, 응모 상황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5도는, 응모자 상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6도는, 문장력 시험 채점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7도는, 구술시험 채점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8도는, 전형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29도는, 지식 시험 집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0도는, 문장력 시험 집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1도는, 성격 진단 집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2도는, 구술시험 집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3도는, 원격 면접 집계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4도는,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5도는, 모집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6도는, 모집 상세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7도는, 응모자 접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8도는, 응모자 로그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39도는, 응모자 실시 메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0도는, 지식 시험 실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1도는, 문장력 시험 실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2도는, 성격 진단 실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3도는, 구술시험 실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4도는,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제45도는, 본인 확인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발명의 개시}
청구항 1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하여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대해,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수단과 제시된 문제에 대해서 응모자가 입력한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수단과 취득된 회답을 채점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하는 응모자 화상 등록 수단과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는 응모자 화상 취득 수단과 취득된 화상을 등록된 화상과 조합하는 화상 조합 수단을 갖추어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집 접수 수단과 응모 접수 수단과 문제 제시 수단과 회답 취득 수단과 채점 수단을 가져,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응모자에게 있어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고, 모집자에 있어서도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좁힐 수가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응모자 화상 등록 수단과 응모자 화상 취득 수단과 화상 조합 수단을 가져,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또한, 사전 전형 시험 중인 응모자의 화상의 취득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실시해도 괜찮지만, 랜덤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으로 화상의 취득을 실시하는 것으로, 응모자가 제3자의 어드바이스를 받는 등의 부정을 방지하는 인센티브가 작용한다.
또, 화상의 조합은, 패턴 매칭 등의 화상 처리에 의해 본인 확인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고, 취득된 화상을 보존해 두어 채점 시에 모집자에게 등록 화상과 취득 화상을 비교해 판단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청구항 2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화상 조합 수단은 취득된 화상과 등록된 화상과의 매칭 처리를 실시해, 소정의 일치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취득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능을 가져, 채점 수단은 등록된 화상과 기록된 화상을 대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화상 조합 수단에 대해 등록 화상과 취득 화상을 조합해, 소정의 일치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취득 화상을 기록해 두어, 채점 시에 등록 화상과 취득 화상을 대비해 표시하여 모집자에게 판단시키도록 했으므로, 화상 처리의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서도, 모집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일 없이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발견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응모자 화상 등록 수단 및/또는 응모자 화상 취득 수단은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기능을 가져, 수신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정지 화상을 자르듯이 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나 응모자는,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말이 있으면, 특별한 프로그램을 인스톨 할 필요 없이, 원격 면접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본인 확인 기능을 가지는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지식 레벨을 확인하는 지식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미리 응모자의 지식 레벨을 확인해 모집자에게 제시할 수 있어 그 결과에 의해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 모집 접수 수단은, 지식 시험에 의한 전형 조건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지식 시험의 채점 결과에 근거하여 원격 면접을 받는 응모자를 자동 전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소정의 지식 레벨을 가지는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성격을 진단하는 성격 진단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미리 응모자의 성격을 분석하여 모집자에게 제시할 수 있어 그 결과에 의해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 모집 접수 수단은, 성격 진단 시험에 의한 전형 조건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져, 채점 수단은, 성격 진단 시험의 채점 결과에 근거해 원격 면접을 받는 응모자를 자동 전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소정의 성격을 가지는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문장력을 확인하는 문장력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미리 응모자의 문장력을 평가하여 모집자에게 제시할 수 있어 그 결과에 의해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 모집 접수 수단은, 문장력 시험에 의한 전형 조건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문장력 시험의 채점 결과에 근거해 원격 면접을 받는 응모자를 자동 전형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에게 큰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소정의 문장력을 가지는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모집 접수 수단은 문제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하는 문제를 설정하는 문제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는 모집의 목적에 따라 사전 전형 시험 내용을 커스터마이즈 할 수가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한, 문제의 설정에는, 문제를 등록하는 것 외에, 제한 시간 등의 시험 조건의 설정이나 회답의 평가 조건의 설정 등을 포함해도 괜찮다.
청구항 8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를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로 구분하여 지정하는 기능과 출제하는 문제수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문제 제시 수단은 필수 문제로 지정된 모든 문제와 선택 문제로 지정된 문제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된 문제를 이용하여 지정된 문제수를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필수 문제로 지정하는 것으로 전 응모자에게 출제되어 그 외의 문제에 대해서는 선택 문제로 지정하는 것으로 응모자마다 다른 문제가 출제되므로, 응모자의 평가의 균일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 먼저 수강한 응모자로부터 문제 정보를 입수하는 응모자가 있어도 어느 정도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제목의 회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기능과 사전 전형 시험의 시험 시간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문제 제시 수단은 지정된 시험 시간 내에 회답 가능한 문제를 편성하여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지정된 시험 시간 내에 회답 가능한 문제가 자동적으로 편성되어 출제되므로, 응모자는 각 문제에 대해서 내용을 파악해 회답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어 응모자를 보다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문제 제시 수단은 지정된 코스에 대응하는 분야의 문제를 편성하여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지정된 코스에 대응하는 분야의 문제가 자동적으로 편성되어 출제되므로, 모집자는 모집의 목적에 따라 전형을 보다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분야는 예를 들면 일반 교양, 문과 기초, 문과 전문, 이과 기초, 이과 전문, 어학, 시사 등으로 구분하며, 코스는 예를 들면 일반 코스, 사무계 코스, 기술계 코스, 종합 코스 등을 준비하여, 예를 들면 일반코스에서는 일반 교양, 문과 기초, 이과 기초, 어학, 시사의 문제를 편성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취득된 회답을 정답과 조합해, 지정된 분야별로 회답을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지식 시험 등과 같은 정답과 조합하는 것으로 채점 가능한 전형 시험에 있어, 응모자의 회답으로부터 자동 채점되므로, 모집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 응모자의 회답으로부터 분야별의 득점이 집계되므로, 응모자의 능력을 보다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지정된 평가 구분별로 회답을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성격 진단 시험 등과 같은 평가 구분에 대응하는 문제를 출제하는 전형 시험에 있어, 응모자의 회답으로부터 평가 구분별의 평가가 자동 집계되므로, 모집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별의 배점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취득된 회답을 제시하는 기능과 제시된 회답에 대한 평가 구분별의 평가를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된 평가와 지정된 배점으로부터 평가 구분별의 평가를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문장력 시험 등과 같은 전형자가 응모자의 회답을 기초로 평가할 필요가 있는 전형 시험에 있어, 미리 평가 항목을 정해 두어 각 문제에 대해 평가 항목별의 배점을 지정해 두는 것으로, 전형자는 각 제목의 출제 의도 등을 생각할 필요 없이, 단지 각 회답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는 것으로 응모자의 평가를 적절히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평가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문장력 시험에서는 말씨, 표현력, 논리성, 독해력, 설득력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14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3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채점 수단은 취득된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제시하여 평가를 취득하는 것이며, 동일한 응모자에 대해서 각 문제의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과 동일한 문제에 대해 각 응모자의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을 갖춘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응모자에 대한 문제간의 평가의 격차나, 동일한 문제에 대한 응모자 사이의 평가의 격차를 고려하면서 채점할 수 있으므로, 응모자를 보다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채점 수단은 집계된 평가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집계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써, 응모자의 특성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특히, 각 응모자에 따른 전형 시험의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여 일람표시 하면,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문제 제시 수단은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회답 취득 수단은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을 포함하며, 채점 수단은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응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평가 수단을 포함하고,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할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어, 모집자도 적당할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채점할 수가 있다. 또, 모집자는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서의 응모자의 반응을 영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대해,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과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과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한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으므로,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다. 또, 모집자도 적당한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응모자를 사전 전형할 수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더욱, 모집자는 응모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청구항 18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7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질문 영상 전달 수단, 회답 영상 기록 수단 및 회답 영상 전달 수단은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나 응모자는,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말이 있으면, 특별한 프로그램을 인스톨 하는 일 없이, 원격 면접 시스템에 액세스하여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할 수가 있다.
청구항 19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모집 접수 수단은 문제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되는 질문 영상을 설정하는 질문 영상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는 모집의 목적에 따라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의 내용을 커스터마이즈 할 수가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또한, 질문 영상의 설정에는, 질문 영상을 등록하는 것 외에, 제한 시간 등의 시험 조건의 설정이나 회답 영상의 평가 조건의 설정 등을 포함해도 괜찮다.
청구항 20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질문 영상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별의 배점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취득된 회답 영상을 제시하는 기능과 제시된 회답 영상에 대한 평가 구분별의 평가를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된 평가와 지정된 배점으로부터 평가 구분별의 평가를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구술시험에 있어서는 전형자가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기초로 평가할 필요가 있지만, 미리 평가 항목을 정해 두어 각 질문에 대해 평가 항목별의 배점을 지정해 두는 것으로, 전형자는 각 질문의 출제 의도 등을 생각할 필요 없이, 단지 각 회답 영상에 대한 평가를 입력하는 것으로 응모자의 평가를 적절히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평가 항목으로서는, 예를 들면 태도, 의욕, 청취력, 판단력, 표현력 등을 이용할 수가 있다.
청구항 21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20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채점 수단은 취득된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제시해 평가를 취득하는 것이며, 동일한 응모자에 대해서 각 질문의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과 동일한 질문에 대해 각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을 갖춘 것이다.
이것에 의해, 동일한 응모자에 대한 문제간의 평가의 격차나, 동일한 문제에 대한 응모자 사이의 평가의 격차를 고려하면서 채점할 수 있으므로, 응모자를 보다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채점 수단은 집계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평가 항목별로 집계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써, 응모자의 특성을 직감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응모자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특히, 각 응모자에 의한 전형 시험의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함으로써 일람표시 하면, 적절한 인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2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회답 영상 취득 수단은 전달된 질문에 대해서 응모자가 회답을 개시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과 응모자가 회답한 회답 시간을 계측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계측된 응답 시간과 회답 시간을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응답 시간과 회답 시간을 전형자에게 제시하는 것으로써 전형자는 응모자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응모자의 의욕이나 표현력 등을 보다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3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질문 영상 전달 수단은 전달된 질문 영상을 응모자로부터의 질문 확인 요구에 의해 재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채점 수단은 응모자가 질문 확인한 회수를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질문 확인 회수를 전형자에게 제시하는 것으로써 전형자는 응모자의 반응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응모자의 청취력이나 주의력 등을 보다 적절히 평가할 수 있다.
청구항 25에 있어서 원격 면접 시스템은,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과,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과,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한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으므로,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다. 또, 모집자도 적당한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응모자를 전형할 수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더욱, 모집자는 응모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청구항 26에 있어서 원격 면접 방법은,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하여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에 대해,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문제를 제시하는 스텝과, 제시된 문제에 대해서 응모자가 입력한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회답을 채점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이며,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하는 스텝과,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취득된 화상을 등록된 화상과 조합하는 스텝을 갖추어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문제를 제시하는 스텝과,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과, 채점하는 스텝을 가져,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므로, 응모자에게 있어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고, 모집자에 있어서도 실제로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좁힐 수가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하는 스텝과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화상을 조합하는 스텝을 가져,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또한,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의 취득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실행해도 괜찮지만, 랜덤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랜덤으로 화상의 취득을 실시하는 것으로, 응모자가 제3자의 어드바이스를 받는 등의 부정을 방지하는 인센티브가 작용한다.
또, 화상의 조합은, 패턴 매칭 등의 화상 처리에 의해 본인 확인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고, 취득된 화상을 보존해 두어 채점 시에 모집자에게 등록 화상과 취득 화상을 비교해 판단시키도록 해도 괜찮다.
그 외,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5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된 원격 면접 시스템의 각 수단을 스텝으로 한 원격 면접 방법에 따라도, 각 청구항에 기재된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27에 있어서 원격 면접 방법은, 청구항 26에 기재한 원격 면접 방법이며, 문제를 제시하는 스텝은 응모를 접수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은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여, 채점하는 스텝은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응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하여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한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으므로,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다. 또, 모집자도 적당할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응모자를 사전 전형할 수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더욱, 모집자는 응모자의 반응을 영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청구항 28에 있어서 원격 면접 방법은,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하여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에 대해,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응모를 접수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과,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과,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한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으므로,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다. 또, 모집자도 적당한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응모자를 사전 전형할 수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더욱, 모집자는 응모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그 외, 청구항 18 내지 청구항 24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된 원격 면접 시스템의 각 수단을 스텝으로 한 원격 면접 방법에 따라도, 각 청구항에 기재된 작용 효과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29에 기재한 원격 면접 방법은,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응모를 접수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과,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과,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적당한 때에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의 전달을 받아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으므로,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다. 또, 모집자도 적당한 때에 기록된 회답 영상의 전달을 받아 응모자를 원격으로 전형할 수 있으므로, 부담이 경감된다. 더욱, 모집자는 응모자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방지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가 있다.
청구항 30에 있어서 원격 면접 프로그램은,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의 어느 쪽인가에 기재한 원격 면접 방법의 각 스텝을 수단으로 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실행시키는 것으로,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해 실시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히 하도록 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에 본원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계된 원격 면접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를 나타낸다. 그림에서, (10)은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Web 서버 (110)과 쌍방향 통신 서버 (120)과 메일 서버 (130)과 면접 서버 (140)과 통신회선 접속 장치 (160)이, 네트워크 (170)에 의해 접속되고 있어 원격 면접 서비스의 제공시에는 통신회선 (20)을 개입시켜, 인재의 모집을 실시하는 모집자가 사용하는 모집자 단말 (40), 해당 모집에 응모하는 응모자가 사용하는 응모자 단말 (30)으로 접속된다.
Web 서버 (110)은, 본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창구가 되는 WWW 서버이며, 응모자나 모집자는 각각 응모자 단말 (30) 또는 모집자 단말 (40)으로부터 Web 브라우저를 이용해 소정의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는 것으로써, 원격 면접 수속을 실시할 수가 있다.
쌍방향 통신 서버 (120)은, 접속하는 단말의 단말 주소를 설정하는 접속처 테이블 (122)를 갖추어, 접속처 테이블 (122)로 설정된 단말 간을 접속해, 영상 및 음성에 의한 쌍방향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원격 면접중은, 접속처 테이블에는 모집자가 사용하는 모집자 단말 (40)의 단말 주소와 응모자가 사용하는 응모자 단말 (30)의 단말 주소가 설정되어 모집자 단말 (40)과 응모자 단말 (30)과의 사이에서 화상 전화에 의한 면접을 실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쌍방향 통신 서버 (120)은, 접속되는 응모자 단말 (30)이나 모집자 단말 (40)이 사용하는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한다.
메일 서버 (130)은, 응모자에 대해서 전형 결과의 통지를 실시하거나, 원격 면접의 시각이 되었을 때에 모집자와 응모자에게 통지하는 등을 위해서 사용된다.
면접 서버 (140)은, 원격 면접을 운영 관리하는 서버이며, 제공하는 면접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각종 테이블을 기억시킨 면접 데이타베이스 (150)을 갖추어 모집자의 등록을 실시하는 모집자 등록 처리, 등록된 모집자에 의한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처리,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지식 시험의 내용을 설정하는 지식 시험 설정 처리,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문장력 시험의 내용을 설정하는 문장력 시험 설정 처리,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성격 진단 시험의 내용을 설정하는 성격 진단 설정 처리,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구술시험의 내용을 설정하는 구술시험 설정 처리,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원격 면접의 예약 등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설정 처리, 실시한 각 시험중 면접자의 판단이 필요한 문장력 시험이나 구술시험에 대한 채점을 실시하거나 각 시험의 채점 결과에 근거하는 전형을 실시하는 채점 전형 처리, 등록된 모집에 대해서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처리, 응모자에 대해서 설정된 지식 시험을 실시하는 지식 시험 실시 처리, 응모자에 대해서 설정된 문장력 시험을 실시하는 문장력 시험 실시 처리, 응모자에 대해서 설정된 성격 진단 시험을 실시하는 성격 진단 실시 처리, 응모자가 지식 시험·문장력 시험·성격 진단 시험을 실시할 때의 본인 확인을 실시하는 본인 확인 처리, 시험의 시간을 관리하는 제한 시간 처리, 응모자에 대해서 설정된 구술시험을 실시하는 구술시험 실시 처리, 모집자와 응모자의 사이에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실시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한다.
통신회선 (20)은, 유선의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의 컴퓨터 네트워크, 전화 회선, 위성 회선, 인터넷 등, 어떠한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것이어도 괜찮지만, 여기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했을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통신회선 접속 장치 (160)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라우터를 사용한다.
응모자 단말 (30)은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갖춘 컴퓨터 (30 a)와, 응모자가 커맨드나 메세지의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30 b) 및 마우스 (30 c)와,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 (30 d)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30 e)와 응모자의 영상을 취득하는 화상 카메라 (30 f)와, 응모자의 음성을 취득하는 마이크로폰 (30 g)로 구성되어 컴퓨터 (30 a)에는 응모자의 영상 및 음성을 취득해 쌍방향 통신 서버 (120)에 송신함과 함께, 쌍방향 통신 서버 (120)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모니터 화면 및 스피커에 출력하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과 Web 서버 (110)에 액세스하기 위한 Web 브라우저가 인스톨 되고 있다.
한편, 모집자 단말 (40)은, 여기에서는 면접 담당자가 일동과 만나는 회의실에 설치되는 단말이며, 응모자 단말 (30)과 마찬가지로,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네트워크 접속 장치를 갖춘 컴퓨터 (40 a)와, 면접 진행자가 커맨드나 메세지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40 b) ·마우스 (40 c)와,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 화면 (40 d)와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40 e)와, 모집자의 영상을 취득하는 화상 카메라 (40 f)와, 모집자의 음성을 취득하는 마이크로폰 (40 g)로 구성되어 컴퓨터 (40 a)에는 모집자의 영상 및 음성을 취득해 쌍방향 통신 서버 (120)으로 송신함과 함께, 쌍방향 통신 서버 (120)으로부터 송신되는 영상 및 음성을 모니터 화면 및 스피커에 출력하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과 Web 서버 (110)에 액세스하기 위한 Web 브라우저가 인스톨 되고 있다.
응모자 단말 (30)이나 모집자 단말 (40)에 인스톨 되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으로서는, 여기에서는 통신회선으로서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예를 들면 ITU-T권고의 H. 323에 준거한 IP형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통신회선으로서 ISDN 공중회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ITU-T권고의 H. 320에 준거한 ISDN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화상 전화 프로토콜은 이것들에 한정하지 않고,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영상 및 음성의 쌍방향 통신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인 한, 어떠한 것이어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응모자 단말 (30)이나 모집자 단말 (40)으로서 영상 입력 인터페이스·음성 입출력 인터페이스·네트워크 통신 장치를 갖춘 컴퓨터에 화상 전화 프로그램과 Web 브라우저를 인스톨 한 것을 사용한다고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전화 기능과 Web 브라우저 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어떠한 단말이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4명의 면접 담당자와 1명의 기록자가 화상 전화 단말을 갖춘 회의실에 집합해 응모자와 원격으로 면접 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어, 모집자 단말과 응모자 단말이 1대 1로 통신하므로, 반드시 쌍방향 통신 서버를 경유해 통신할 필요는 없고, 모집자 단말과 응모자 단말과의 사이에 직접 화상 전화 접속하도록 해도 괜찮다. 그 경우에, 쌍방향 통신 서버를 생략 하고, Web 서버에 접속하는 각 단말에 대해서 IP주소를 중개하는 기능을 갖게 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쌍방향 통신 서버 (120)을 갖추므로 3이상의 화상 전화 단말을 접속하는 다지점 접속이 가능하고, 복수의 면접 담당자가 각각 개별적으로 모집자 단말을 사용해 쌍방향 통신 서버 (120)에 접속하는 것으로 원격 면접을 실시할 수가 있어 하나의 원격 면접에 복수의 응모자 단말을 접속해 집단 면접이나 좌담회 형식의 면접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각 모집해서 모은 자의 단말의 영상과 응모자 단말의 영상을 합성해 각 단말에 전달하도록 해도 괜찮고, 각 단말의 영상을 서로 다른 단말에 송신해 자기의 단말상에서 나열하여 배치하도록 해도 괜찮다.
다음으로, 본 원격 면접 시스템 (10)에 의해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순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로부터 도 4에 모집자측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다.
모집자가 모집자 단말 40으로부터 모집자전용의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자 접수 화면이 표시된다(S102). 모집자 접수 화면에서 「로그인」버튼을 클릭하면(S104), 모집자가 입력한 모집자 ID와 모집자 패스워드가 모집자 테이블과 조합되고(S106), 정규의 응모자이면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 접수 화면이 표시되고(S108), 정규의 응모자가 아닌 경우는 재입력이 요구된다(S110). 또, 「이쪽」을 클릭하면(자) 신규 등록이라고 판단되고(S112), 모집자 등록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114). 모집자 등록 화면에서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S116), 신규로 모집자 ID와 모집자 패스워드가 발행되고(S118), 모집자가 입력한 정보가 모집자 테이블에 등록된다(S119). 발행된 모집자 ID와 모집자 패스워드는, 등록된 모집자의 이메일 주소에 통지되어 모집자가 향후 로그인할 때에 사용된다.
도 14의 모집 접수 화면에서, 「신규 모집」버튼이 클릭되었을 경우는(S120),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 요강 등록·편집 화면이 표시되고(S122), 모집자는 모집자명, 모집자의 주소, 모집자의 상세 정보로 액세스할 때의 URL, 채용 담당, 채용 담당의 이메일 주소, 모집 내용을 입력한다. 모집 내용으로서는 직종, 근무지, 모집 인원수, 모집 기간, 근무시간, 휴일 규정, 보수 규정, 특기 사항 등을 등록할 수 있다.
또, 모집자는 모집에 즈음하여 실시하는 전형 시험 실시 항목을 선택한다. 선택 시험 실시 항목으로서는, 응모자의 지식을 확인하는 지식 시험, 응모자의 문장력을 확인하는 문장력 시험, 응모자의 성격을 진단하는 성격 진단 시험, 응모자에 대해서 등록된 영상을 전달해 면접을 실시하는 구술시험, 모집자와 응모자의 사이에 화상 전화를 사용해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을 갖추고 있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는, 각 선택 시험의 실시 요강을 설정하는 「설정」버튼을 갖추고 있어 모집자는 각 「설정」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각 선택 시험의 실시 요강을 설정할 수 있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서 지식 시험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S124), 도 1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지식 시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26). 지식 시험 설정 화면에서, 모집자가 코스를 지정하면 각 코스의 표준 설정이 이루어진다. 코스로서는, 일반 상식을 확인하는 일반코스, 사무계의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확인하는 사무계 코스, 기술계의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확인하는 기술계 코스, 종합적인 지식을 확인하는 종합 코스를 갖출 수 있어 표준 문제가 등록되어 있다. 여기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표준 설정 내용이 지식 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된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목적에 따라 지식 시험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기능을 가진다.
지식 시험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할 때는, 우선 문제의 선택·등록을 실시한다. 새로운 문제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는, 문제 선택·등록부의 미등록란에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여, 문제문과 정답과 회답 시간을 입력해, 채택 여부를 지정한다. 문제는 자동 채점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여기에서는 번호·기호에 의해 정답을 선택할 수 있는 선택식의 문제를 사용했지만, 직접 키보드로 번호나 기호를 입력시켜도 좋고, 문자열을 입력시켜 정답의 문자열과 비교하도록 해도 괜찮다. 문제의 분야는, 여기에서는 일반 교양, 문과 기초, 문과 전문, 이과 기초, 이과 전문, 어학, 시사의 5항목으로 나누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항목을 더하거나 다른 분류를 이용해도 괜찮다. 회답 시간은, 그 문제를 회답하는 표준시간이며, 후술의 제한 시간을 정할 때의 기준으로서 이용하도록 했지만, 모든 문제를 일정시간으로 회답 가능한 것으로 하여, 회답 시간의 지정을 생략하도록 해도 괜찮다.
문제의 추가가 완료되면,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채택 여부를 지정한다. 채택 여부는, 여기에서는 응모자마다 문제의 편성을 변경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로 나누어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내용이 기록된다.
다음에, 응모자에게 출제하는 문제수와 배점과 전형 조건을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문제수와 배점과 전형 조건을 전술의 분야마다 개별적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문제수는 각 구분마다 필수로 지정된 문제수 이상, 필수로 지정된 문제수와 선택으로 지정된 문제수의 합계수 이하로 지정한다. 실제로 응모자에게 출제하는 문제는, 각분야마다, 모든 필수 문제와 지정된 문제수로부터 필수 문제의 문제수를 제외한 나머지를 선택 문제로부터 랜덤으로 선택한 문제를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전원에게 실시하면서, 그 외의 문제에 대해서는 응모자마다 다르게 되므로, 응모자의 평가의 균일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 먼저 수강한 응모자로부터 문제 정보를 입수하는 응모자가 있어도 어느 정도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전형 조건은, 지식 시험에 의해 응모자를 1차 탈락시키는 경우로 설정해서, 문제의 분야마다 지정해도 괜찮고, 합계점에 대해서 지정해도 괜찮다. 1차 탈락시키지 않는 경우는 공란으로 하든지, 0을 입력한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합계 문제수 및 합계점이 표시되어 입력 내용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시험 시간을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설정된 문제수로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회답 시간부터,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이 계산되어 예측 시간으로서 표시되도록 했다. 모집자는 이것을 참조해 시험 시간을 정하여 입력하지만, 입력된 시험 시간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는, 전술한 문제수의 설정이나 문제의 선택·등록으로 돌아가 재설정한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시험 시간이 기록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사전 전형 시험의 문제수를 정해서, 거기에 대응하여 시험 시간을 지정하도록 했지만, 반대로 시험 시간만을 정해, 거기에 기초를 두어 시험 시간 내에 회답 가능한 문제를 선택해 출제하도록 해도 괜찮다.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필수 문제의 회답 시간의 합계로부터, 남겨진 시험 시간 내에 회답 가능한 문제를 랜덤으로 선택하여 출제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마지막으로, 지식 시험 설정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용이 지식 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되어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지식 시험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S128).
또한, 지식 시험 설정에 대해서는, 모집 내용에 따른 표준 코스를 가져, 그 중에서 선택해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수 등록된 문제로부터 모집자가 임의로 선택하거나 임의로 문제를 추가하는 것으로써 커스터마이즈 하도록 해도 괜찮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서 문장력 시험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S129), 도 18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장력 시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30). 문장력 시험 설정에 대해서도, 미리 표준 문제가 등록되어 있어 최초의 설정인 채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표준 설정이 문장력 시험 설정 테이블로 설정된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목적에 따라 문장력 시험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기능을 가진다.
문장력 시험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할 때는, 우선 문제의 선택·등록을 실시한다. 새로운 문제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는, 문제 선택·등록부의 미등록란에 문제문을 입력해, 채점할 때의 평가 항목에 있어서의 배점과 회답 시간을 입력한다. 평가 항목은, 여기에서는 표현, 표현력, 논리성, 독해력, 설득력의 5항목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그 외의 항목을 더하거나 다른 편성을 이용하도록 해도 괜찮다. 문제의 추가가 완료되면,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채택 여부를 지정한다. 채택 여부는, 여기에서는 전술한 지식 시험과 마찬가지로 응모자마다 문제의 편성을 변경하도록 하기 위해,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로 나누어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내용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문제수를 입력한다. 문제수는, 전술한 지식 시험과 마찬가지로 필수로 지정된 문제수 이상, 필수로 지정된 문제수와 선택으로 지정된 문제수의 합계수 이하로 지정한다. 실제로 응모자에게 출제하는 문제는, 모든 필수 문제와 지정된 문제수로부터 필수 문제의 문제수를 제외한 나머지를 선택 문제로부터 랜덤으로 선택한 문제를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는 전원에게 실시하면서, 그 외의 문제에 대해서는 응모자마다 다르게 되므로, 응모자의 평가의 균일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 먼저 수강한 응모자로부터 문제 정보를 입수하는 응모자가 있어도 어느 정도 공평하게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문제수가 기록된다.
다음으로, 시험 시간을 입력한다. 여기에서는, 상기 설정된 문제수로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회답 시간부터 문제 전체의 회답에 필요로 하는 최소 시간과 최대 시간이 계산되어 예측 시간으로서 표시되도록 했다. 모집자는 표시된 예측 시간을 참조하여 시험 시간을 정해 입력하지만, 입력된 시험 시간이 적절한 시간이 아닌 경우는, 전술한 문제수의 설정이나 문제의 선택·등록으로 돌아가 재설정한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시험 시간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문장력 시험의 채점 결과에 따라 응모자를 1차 탈락시키는 경우는 전형 조건을 입력한다. 1차 탈락시키지 않는 경우는 공란으로 하든지 0을 입력한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전형 조건이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문장력 시험 설정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용이 문장력 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되어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문장력 시험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S132).
또한, 문장력 시험 설정에 대해도, 전술한 지식 시험과 마찬가지로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마련해 모집 내용에 따른 코스를 설정해 출제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시험 시간의 처리에 대해서도, 전술한 지식 시험과 마찬가지로 각 문제의 회답 시간을 참조하여 문제를 선택해 출제하도록 해도 괜찮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서 성격 진단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S134), 도 1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격 진단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36). 성격 진단 설정 화면에도, 미리 표준 문제가 등록되어 있어, 최초의 설정인 채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표준 설정이 성격 진단 설정 테이블로 설정된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목적에 따라 성격 진단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하는 기능을 가진다.
성격 진단 설정을 커스터마이즈 할 때는, 우선 문제의 선택·등록을 실시한다. 새로운 문제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는, 문제 선택·등록부의 미등록란에 문제문을 입력해, 그 문제가 의도하는 성격 진단의 평가 구분을 지정한다. 평가 구분은 각 문제가 의도하는 성격 진단 파라미터이며, 여기에서는 적극성, 협조성, 유연성, 자립성, 인내성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항목을 더하거나 다른 편성을 이용해도 괜찮다. 문제의 추가가 완료되면,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채택 여부를 지정한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각 평가 구분마다 문제수가 결정되어, 입력 내용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시험 시간을 입력한다. 성격 진단은 단순한 질문이며, 직감적인 대답을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문제의 선택·등록에 의해 선택된 문제수에 따라 설정하면 좋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내용이 기록된다.
다음으로, 성격 진단에 의해 응모자를 1차 탈락시키는 경우는 전형 조건을 입력한다. 전형 조건은 상기 평가 구분별로 설정한다. 여기에서도 1차 탈락시키지 않는 경우는 공란으로 하든지 0을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성격 진단 설정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용이 성격 진단 설정 테이블로 등록되어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성격 진단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S138).
또한, 성격 진단에 있어서는, 모든 응모자를 동일 기준으로 평가하기 위해, 선택한 모든 문제를 필수 문제로서 사용하도록 했지만, 사전에 문제의 정보를 입수한 응모자에 의한 작위적인 회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식 시험 등과 같이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를 마련해 선택 문제로부터 랜덤으로 문제를 선택해, 응모자마다 일부 문제가 다르도록 해도 괜찮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서 구술시험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S140),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술시험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42). 구술시험 설정 화면에도, 미리 표준 문제가 등록되어 있어 최초의 설정인 채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표준 설정 내용이 구술시험 설정 테이블로 설정된다. 설정되어 있는 질문의 내용은 질문 내용란에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고, 질문 영상란의 「재생」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영상 재생 화면이 열려, 영상 재생 화면 내의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기록되어 있는 영상이 모집자 단말에 전달되어 재생된다.
또, 본 시스템에서는, 모집자 측의 채용 담당자가 질문 영상 및 음성을 등록해 구술시험을 실시하는 커스터마이즈 기능을 가진다.
질문 영상을 등록할 때는, 질문 내용란에 질문 내용을 문장으로 입력하여, 질문 영상란의 「녹화」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질문 영상을 기록해, 응모자의 회답 시간을 입력한다.
또한, 질문 영상란의 「녹화」버튼을 클릭하면, 도 2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영상 녹화 화면이 열려, 영상 녹화 화면 내의 「녹화」버튼을 클릭하면, 모집자 단말로부터 화상 영상이 수신되어「종료」버튼이 클릭될 때까지의 영상이 기록된다. 또, 질문 영상란의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도 2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영상 재생 화면이 열려, 영상 재생 화면내의 「재생」버튼을 클릭하면, 등록되어 있는 질문 영상이 모집자 단말에 송신된다. 질문 영상의 재생중에 「종료」버튼이 클릭되면, 모집자 단말로 영상 송신이 중단된다.
질문 영상의 녹화가 완료되면, 등록되어 있는 문제의 채택 여부를 지정한다. 채택 여부는, 여기에서는 전술한 지식 시험 등과 같이 응모자마다 질문의 편성을 변경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로 나누어 지정할 수 있도록 했다. 여기서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입력 내용이 기록된다.
마지막으로, 구술시험 설정 화면에 있어,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용이 구술시험 설정 테이블에 기록되어「종료」버튼을 클릭하면 구술시험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S144).
상기와 같은 질문 영상의 녹화는, 면접 서버 (140)에서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해, 쌍방향 통신 서버 (120) 경유 또는 직접 모집자 단말로부터 화상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질문 영상의 재생은, 마찬가지로 면접 서버 (140)에서 에뮬레이트 한 화상 전화 단말로부터 쌍방향 통신 서버 경유 또는 직접 모집자 단말로 질문 영상을 송신해, 모집자 단말의 화상 전화 기능에 의해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고, Web 서버 경유로 모집자 단말로 질문 영상을 전달해 Web 브라우저로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면접 서버에서 대해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하여 모집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써, 모집자 단말에 특별한 통신 프로그램을 인스톨 할 필요 없이, 표준의 화상 전화 프로그램과 Web 브라우저를 이용해 구술시험 설정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술시험의 질문 내용의 편집이나 확인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질문 내용을 문장으로 입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단지 표제가 되는 말을 입력하도록 해도 괜찮고, 완전히 생략해도 괜찮다.
또, 구술시험 설정에 대해서도, 전술한 지식 시험 등과 같이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마련하여 모집 내용에 따른 코스를 설정해 출제하도록 해도 괜찮다.
모집 요강 등록·선택 화면에서 원격 면접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S146), 도 2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격 면접 설정 화면이 표시된다(S148). 원격 면접의 설정은, 쌍방향 통신 서버 (120)에 대해서 화상 회의의 예약을 하는 것으로, 예약 일시와 면접 담당자의 이름, 단말 주소, E메일 주소가 등록된다. 일자의 「설정」버튼을 클릭하면, 지정된 날의 예약 상황이 표시되고, 예약 상황 표시에서 예약 접수 중의 시간대를 클릭하면, 그 시간대가 기록되고,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설정 내용이 원격 면접 설정 테이블에 등록되고,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원격 면접 설정 처리가 종료된다(S150).
모집 요강 등록·편집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S152), 상기 설정된 내용이 모집 테이블에 등록되고(S154), 등록 완료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156).
모집 요강 등록·편집 화면에서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158), (S108)로 돌아간다.
도 14의 모집 접수 화면에서 특정의 모집 ID가 클릭되었을 경우는(S160), 도 1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 실시 메뉴 화면이 표시된다(S162).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모집 요강 편집」버튼을 클릭하면(S164), 도 16의 모집 요강 등록·편집 화면이 표시되어, 전술한 모집 요강의 등록과 같은 수속에 의해 등록되어 있는 모집 요강의 설정의 편집을 실시할 수 있다.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응모 상황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170), 도 2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응모 상황 확인 화면이 표시된다(S172). 응모 상황 확인 화면에서는, 그림과 같이 현재의 응모자수가 표시되는 것과 동시에, 각 응모자의 응모 ID, 응모자명, 지역, 연령, 성별, 전형 시험 실시 상황이 표시된다. 또, 각 응모자의 응모 ID를 클릭하면, 도 25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응모자 상세 화면이 열려, 각 응모자가 등록한 상세 프로필을 확인할 수 있다. 응모 상황 확인 화면에서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응모 상황 확인 처리가 종료된다(S174).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문장력 시험 채점」버튼을 클릭하면(S176), 도 2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장력 시험 채점 화면이 표시된다(S178). 문장력 시험 채점 화면은, 그림과 같이 출제한 문제문과 응모자의 회답이 표시되어 문장력 시험의 평가 항목별로 평가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표시된다. 화면의 하부에는, 「다음 문제」버튼과 「이전 문제」버튼이 갖추어져 있어, 채점자가 이것을 클릭하면서 각 문제의 회답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응모자의 회답을 채점할 수 있다. 또, 화면의 하부에는 「다음 응모자」버튼과 「이전 응모자」버튼이 갖추어져 있어 문장력 시험을 끝낸 모든 응모자에 대한 채점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문제에 대한 각 응모자의 회답을 차례차례 비교하면서 채점할 수도 있으므로, 공평한 평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채점은 여기에서는 5 단계 평가를 버튼에 의해 선택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점수를 입력하도록 해도 괜찮다.
마지막으로, 문장력 시험 채점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채점 결과가 채점 전형 테이블에 등록되어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문장력 채점 처리가 종료된다(S180).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구술시험 채점」버튼을 클릭하면(S182), 도 27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술시험 채점 화면이 표시된다(S184). 구술시험 채점 화면은, 그림과 같이 송신한 질문문에 대한 응모자의 회답 영상이 표시되고, 구술시험의 평가 항목별로 평가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 표시된다. 응모자의 회답 영상은, 회답 영상 표시부의 하부에 설치된 재생 컨트롤부의 조작에 의해 몇 번이라도 확인할 수 있다. 또, 회답 영상 표시부의 오른쪽에는, 응모자의 회답시의 질문 확인 회수, 응답할 때까지의 시간, 회답의 시간이 표시되어 있어 채점자는 청취력이나 판단력 등을 판단할 때 참고로 할 수가 있다. 화면의 하부에는, 「다음 질문」버튼과 「이전 질문」버튼이 있어, 채점자가 이것을 클릭하면서 각 질문의 회답을 평가하는 것으로, 각 응모자의 회답을 채점할 수 있다. 또, 화면의 하부에는 「다음 응모자」버튼과 「이전 응모자」버튼이 갖추어져 있어, 구술시험을 끝낸 모든 응모자에 대한 채점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문제에 대한 각 응모자의 회답을 차례차례 비교하면서 채점할 수도 있으므로, 공평한 평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채점은 여기에서는 5 단계 평가를 버튼에 의해 선택하도록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점수를 입력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상기 회답 영상의 재생은, 면접 서버에 기록되고 있는 회답 영상을 Web 서버 경유로 모집자 단말에 전달해 Web 브라우저로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고, 면접 서버에 대해 에뮬레이트 한 화상 전화 단말에 회답 영상을 송신해, 모집자 단말의 화상 전화 기능에 의해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다.
마지막으로, 구술시험 채점 화면에 있어,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채점 결과가 채점 전형 테이블에 등록되어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구술시험 채점 처리가 종료된다(S186).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전형」버튼을 클릭하면(S188), 도 2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전형 화면이 표시된다(S190). 전형 화면은, 그림과 같이 각 응모자에 대해 각 전형 시험의 평가 결과가 막대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평가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으로 모집자는 각 모집자의 특징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다수의 모집자를 비교하여 필요로 하는 인재를 신속하고 적확하게 전형할 수가 있다. 또, 각 전형 시험에 있어서 평가의 자세한 것은 막대그래프의 표시부를 클릭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가 있다.
지식 시험 평가의 막대그래프를 클릭하면, 도 2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지식 시험 집계 화면이 표시된다. 그림과 같이, 지식 시험 집계 화면에서는 각 문제의 회답과 정답이 표시되어 구분별로 지식 시험 설정으로 설정된 배점에 따라 집계되어 표시된다.
문장력 시험 평가의 막대그래프를 클릭하면, 도 30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장력 시험 집계 화면이 표시된다. 그림과 같이, 문장력 시험 집계 화면에서는 각 문제의 회답이 표시되어 평가 항목별 모집자의 평가를 문장력 시험 설정으로 설정된 배점에 따라 집계되어 표시된다.
성격 진단 평가의 막대그래프를 클릭하면, 도 3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격 진단 집계 화면이 표시된다. 그림과 같이, 성격 진단 집계 화면에서는 각 문제의 회답이 표시되어 성격 진단 설정으로 설정된 구분에 따라 집계되어 표시된다.
지식 시험, 문장력 시험, 성격 진단에 있어 후술과 같이 본인 확인을 실시하여, 전형 시험 중에 취득된 응모자의 화상과 등록 화상을 조합한 결과가 소정의 일치도를 채우지 않는 경우에는 취득된 화상이 기록되어, 부정확인 플래그가 세트 된다. 부정확인 플래그가 세트 되어 있는 경우는, 전형 화면의 막대 그래프부에는 「부정확인」이라고 표시되고, 해당 전형 시험의 집계 화면에서「화상 확인」버튼이 나타난다. 전형 시험의 집계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 확인」버튼을 클릭하면, 도 4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인 확인 화면이 표시되고 등록 화상과 기록화상이 대비되어 표시된다. 기록화상이 복수 기록되고 있는 경우는 「다음으로」버튼이나 「이전으로」버튼이 표시되어 있어, 이러한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기록되고 있는 화상을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형자는 응모자가 정말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을 했는지 안했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응모자가 부정을 실시하고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는 「부정있음」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전형 화면의 막대 그래프부에 「부정있음」이라고 표시되고, 화상의 불량 등이어 응모자가 부정을 실시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는 「부정없음」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전형 화면의 막대 그래프부에 「부정없음」라고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모집자는 전형 화면에서 대역 수강 등의 부정의 유무를 고려하면서 응모자의 전형을 실시할 수가 있다.
구술시험 평가의 막대그래프를 클릭하면, 도 32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술시험 집계 화면이 표시된다. 그림과 같이, 구술시험 집계 화면에서는 각 질문에 대한 회답 영상을 「재생」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어 평가는 구분별로 집계되어 표시된다.
원격 면접 평가의 막대그래프를 클릭하면, 도 33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격 면접 집계 화면이 표시된다. 그림과 같이, 원격 면접 집계 화면에서는 각 질문에 대한 평가가 구분별로 집계되어 표시된다.
또한, 원격 면접에 대해서도, 구술시험과 같이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기록하고, 원격 면접 집계 화면에서 「재생」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기록된 구술시험의 회답 영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다.
모집자는 지식 시험 평가, 문장력 시험 평가, 성격 진단 평가, 구술시험 평가를 기초로 원격 면접 대상자를 전형하여, 대상자를 선택해 「1차 전형 통지」버튼을 클릭한다. 전형 화면에서 「1차 전형 통지」버튼을 클릭하면, 전형된 응모자에 대해서 원격 면접의 일시를 지정한 원격 면접 통지 메일이 발신된다. 원격 면접의 일시는, 전술한 원격 면접 설정으로 예약한 시간대부터 선택된다. 또한, 원격 면접 통지에 대해 모집자가 예약하고 있는 원격 면접의 시간대를 제시해, 응모자가 희망하는 일시를 클릭하는 것으로 원격 면접 일시를 결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응모자의 원격 면접이 종료하면 원격 면접의 평가 결과가 막대그래프로 표시되므로, 모집자는 그 평가 결과를 기초로 응모자의 최종 전형을 실시하여, 대상자를 선택해 「최종 전형」버튼을 클릭한다. 또한, 여기서 원격 면접의 평가가 모집자가 기대한 레벨이 아닌 경우는, 재차 1차 전형 평가를 재평가하여 원격 면접을 실시하는 응모자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각 전형 시험 평가 결과를 일람표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1차 전형으로 전형되지 않았던 응모자여도 종합적으로 뛰어난 응모자에 대해 간과하는 일 없이 전형할 수 있다.
「최종 전형」버튼을 클릭하면, 전형된 응모자에 대해서 최종 전형 통지 메일이 발신된다. 이것에 의해, 최종 전형된 응모자를 채용하도록 해도 괜찮고, 다시 직접 면담을 실시해 채용 결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전형 처리 화면에서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전형 처리가 종료된다(S192).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모집자가 예약한 원격 면접의 일정시간 전이 되면 「원격 면접」버튼이 표시되어,「원격 면접」버튼을 클릭하면(S192), 도 3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이 표시된다(S194).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에는, 그림과 같이 접속 중의 응모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그 옆에 해당 응모자의 프로필이 표시된다. 화면의 좌하부에는 면접 담당자에 의한 채점표를 갖출 수 있어 각 면접 담당자의 평가를 입력한다. 또, 화면의 우하부에는 면접 예정자 리스트가 표시된다. 면접 예정자 리스트에는, 응모 ID, 원격 면접 예정 시간, 접속 상황을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입실 통지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스테이터스부에는, 면접을 종료한 응모자는 「면접끝남」, 현재 면접 중의 응모자는 「면접중」, 면접을 위해서 로그인해 후술한 대기실에 입실중인 응모자는 「대기중」, 아직 대기실에 입실하고 있지 않는 응모자는 「미착」이라고 표시된다. 또, 대기실에 입실 끝난 응모자의 입실 통지부에는 「송신」버튼이 표시되어, 이 「송신」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응모자에 대해서 입실을 재촉하는 통지가 송신되어 응모자 단말의 대합실 화면에는 「입실」버튼이 표시된다. 응모자가 그 「입실」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응모자 단말의 단말 주소가 쌍방향 통신 서버 (120)의 접속처 테이블에 세트 되어 해당 응모자의 영상이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에 표시되어 면접이 개시된다. 면접 담당자는, 응모자와의 면접을 종료하면 응모자에게 그 취지를 고해, 응모자가 후술과 같이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의 「퇴실」버튼을 클릭하면 응모자 단말과의 접속이 절단된다. 또한, 모집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에는 현재 시각과 원격 면접의 개시부터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에서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원격 면접 실시 처리가 종료된다(S198).
모집 실시 메뉴 화면에서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200), (S108)로 돌아간다.
또, 모집 접수 화면에서 「로그아웃」버튼을 클릭하면(S202), 로그아웃 하여 모집 등록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도 5로부터 도 6에 응모자측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낸다.
응모자가 응모자 단말로부터 응모자전용의 Web 페이지에 액세스하면, 도 3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S302). 모집 표시 화면은, 현재 등록되어 있는 모집의 일람을 나타내는 것으로, 모집 ID, 모집자명, 직종, 근무지, 모집 인원수, 모집 기간 등의 모집의 개요가 표시된다.
모집 표시 화면의 모집 ID를 클릭하면(S304), 도 3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집 상세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S306).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모집의 상세 내용을 확인해, 「응모」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해당 모집에 응모할 수가 있고, 이미 응모되어 있는 경우에는 「로그인」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써 해당 모집의 전형 시험을 볼 수가 있다.
모집 상세 표시 화면에 「응모」버튼을 클릭하면(S308), 도 3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응모 접수 화면이 표시된다(S310). 응모 접수 화면은, 응모자에 대해서 응모자명, 주소, E메일 주소, 생년월일, 성별, 출신지, 출신 학교, 보유자격, 취미, 특기, 특기 사항 등의 응모자 정보의 입력과 지식 시험·문장력 시험·성격 진단에 있어서 본인 확인에 사용하는 응모자의 화상의 등록을 재촉한다. 응모자의 화상은, 전술한 구술시험의 경우와 같이, 면접 서버 (140)에 서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하여, 쌍방향 통신 서버 (120) 경유 또는 응모자 단말로부터 직접 화상 영상을 수신해, 「화상」버튼이 클릭되었을 때의 화상 영상으로부터 잘라진 정지화상을 응모자 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 단말이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말이면, 특별한 프로그램을 인스톨 할 필요 없이, 응모자 화상의 등록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응모 접수 화면에서 「등록」버튼을 클릭하면, 응모자에 대해서 응모 ID와 응모 패스워드가 발행되고(S314), 입력된 응모자 정보 및 기록된 응모자 화상과 함께 응모 테이블에 등록된다(S316). 발행된 응모 ID와 응모 패스워드는, 등록된 응모자의 이메일 주소에 통지되어 응모자가 전형 시험을 보기 위해서 로그인할 때에 사용된다.
응모 접수 화면에 있어 「종료」버튼이 클릭되면(S318), 응모자 등록 처리가 종료된다.
모집 상세 표시 화면에서 「로그인」버튼을 클릭하면(S320), 도 3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응모 로그인 화면이 표시된다(S324). 또, 모집 상세 표시 화면에서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322), (S302)로 돌아가, 모집 표시 화면이 표시되어 재차 다른 모집 ID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응모 로그인 화면에서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면(S326), 입력된 응모 ID와 응모 패스워드가 응모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응모자와 조합되고(S330), 정규 응모자인 경우에는, 도 39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응모 실시 메뉴 화면이 표시되고(S334), 정규 응모자가 아닌 경우에는 재입력이 요구된다(S332).
응모 실시 메뉴 화면에서 「지식 시험」버튼을 클릭하면(S336), 도 4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지식 시험 실시 화면이 표시된다(S338). 지식 시험 실시 화면에서는, 지식 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된 문제가 지정된 조건으로 선택되어 차례차례 출제된다. 그림과 같이, 여기에서는 5지 택일식의 문제문이 표시되어 응모자는 그 문제에 대한 대답을 버튼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 다음의 문제로 진행되어, 「이전으로」버튼을 클릭하기 전의 문제로 돌아간다. 마지막으로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등록된다. 또,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지식 시험 실시 화면에는 시험 시간과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도 7에, 지식 시험 실시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맨 처음에 지식 시험 설정 테이블에서 문제가 선택되고(S402), 지식 시험의 실시 요령을 설명한 지식 시험 개시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404). 지식 시험 개시 화면에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 후술의 제한 시간 처리가 기동되고(S408), 후술의 본인 확인 처리가 기동된다(S410). 다음으로, 선택된 문제가 차례차례 꺼내어져 응모자 단말로 전달된다(S412). 여기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414),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다음의 문제로 진행되고(S416),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418),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전의 문제로 돌아간다(S420). 「종료」버튼을 클릭하든지(S422), 제한 시간 처리에 의한 종료 플래그가 세트 되면(S424), 회답이 취득되고(S426), 응모자에 대해서 종료 확인을 하는 지식 시험 종료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428). 지식 시험 종료 화면에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430), 취득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기록되고(S432), 기록된 회답이 지식 시험 설정 테이블의 설정에 따라 채점되고(S434), 지식 시험이 종료된다(S340).
응모 실시 메뉴 화면에서「문장력 시험」버튼을 클릭하면(S342), 도 4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장력 시험 실시 화면이 표시된다(S344). 문장력 시험 실시 화면에서는, 문장력 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된 문제가 지정된 조건으로 선택하여 차례차례 출제된다. 그림과 같이, 응모자는 그 문제에 대한 대답을 문장으로 입력한다.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 다음의 문제로 진행되어, 「이전으로」버튼이 클릭되기 전의 문제로 돌아간다. 마지막에 「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등록된다. 또,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문장력 시험 실시 화면에는 시험 시간과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도 8에, 문장력 시험 실시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최초로 문장력 시험 설정 테이블에서 문제가 선택되고(S502), 문장력 시험의 실시 요령을 설명한 문장력 시험 개시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504). 문장력 시험 개시 화면에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506), 후술의 제한 시간 처리가 기동되고(S508), 후술의 본인 확인 처리가 기동된다(S510). 다음에, 선택된 문제가 차례차례 꺼내져 응모자 단말로 전달된다(S512). 여기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514),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다음 문제로 진행된다(S516).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518),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전의 문제로 돌아간다(S520). 「종료」버튼을 클릭하든지(S522), 제한 시간 처리에 의한 종료 플래그가 세트 되면(S524), 회답이 취득되고(S526), 응모자에 대해서 종료 확인을 하는 문장력 시험 종료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528). 문장력 시험 종료 화면에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530), 취득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기록되고(S532), 문장력 시험이 종료된다(S346).
응모 실시 메뉴 화면에서 「성격 진단」버튼을 클릭하면(S348), 도 4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성격 진단 실시 화면이 표시된다(S350). 성격 진단 실시 화면에서는, 성격 진단 설정 테이블에 등록된 문제가 차례차례 출제된다. 그림과 같이, 여기에서는 5지 택일식의 문제문이 표시되어 응모자는 그 문제에 대한 대답을 버튼에 의해 선택한다.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 다음 문제로 진행되어, 「이전으로」버튼이 클릭되기 전의 문제에 돌아간다. 마지막에「종료」버튼을 클릭하면 입력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등록된다. 또,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성격 진단 실시 화면에는 시험 시간과 시험이 개시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도 9에, 성격 진단 실시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최초로 성격 진단 설정 테이블에서 문제가 선택되고(S602), 성격 진단의 실시 요령을 설명한 성격 진단 개시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604). 성격 진단 개시 화면에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606), 후술의 제한 시간 처리가 기동되고(S608), 후술의 본인 확인 처리가 기동된다(S610). 다음에, 선택된 문제가 차례차례 꺼내어져 응모자 단말에 전달된다(S612). 여기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614),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다음의 문제로 진행된다(S616). 「돌아가기」버튼을 클릭하면(S618), 응모자의 회답이 취득되어 전의 문제로 돌아간다(S620). 「종료」버튼을 클릭하든지(S622), 제한 시간 처리에 의한 종료 플래그가 세트 되면(S624), 회답이 취득되고(S626), 응모자에 대해서 종료의 확인을 하는 진단 진단 종료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628). 성격 진단 종료 화면에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630), 취득된 회답이 채점 전형 테이블에 기록되고(S632), 기록된 회답이 성격 진단 설정 테이블의 설정에 따라 채점되고(S634), 성격 진단이 종료된다(S352).
도 10에, 제한 시간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최초로 타이머를 기동해(S702), 표시의 갱신 시각이 되면(S704), 화면의 경과시간 표시를 갱신한다(S706). 시험 시간 종료의 X분전이 되면(S708), 「종료 X분전입니다」라는 메세지를 보낸다(S710). 시험 시간이 경과하면(S712), 「종료 시각입니다」라는 메세지를 보내(S714), 종료 플래그를 세트 하고(S716), 타이머를 정지하여(S718), 종료한다. 또한, 메세지는 음성 메세지여도 좋고, pop-up 화면에 의한 표시라도 좋다.
도 11에, 본인 확인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본인 확인의 시각이 되면(S802), 「본인 확인을 실시하겠으니 화면 중앙을 봐 주세요」라는 메세지 화면(도시 생략)을 표시한다(S804). 본인 확인은, 일정시간 간격으로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지만, 응모자가 확인 시각을 예측할 수 없도록 랜덤 시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세지 화면에 설치된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806), 응모자 단말의 화상 영상을 수신하여, 정지화상을 잘라 취득해(S808), 응모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는 응모자 화상과 조합한다(S810). 화상의 조합은, 등록되어 있는 응모자 화상을 템플레이트로서 취득된 화상에 대해서 직접 매칭 처리를 실시해, 일치도가 가장 높은 점을 구한다. 또한, 취득된 화상에 대해 외형 윤곽, 목·코·입 등의 위치나 형상 등의 특징점을 요구하는 특징 추출 연산을 실시해 화상 사이즈를 정규화한 다음 매칭 처리를 실시해도 괜찮고, 해당 응모자 화상에 대해 특징 추출한 결과와 비교하도록 해도 괜찮다. 조합의 결과, 소정의 일치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는(S812), 「화상이 일치하지 않으므로 화상을 기록합니다」라는 메세지를 보내(S814), 전술과 같이 모집자가 나중에 화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취득한 화상을 응모자 테이블에 추가등록 하여(S816), 부정 검지 플래그를 세트 한다(S818). 여기서, 소정의 일치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화상을 추가등록 하도록 한 것은, 화상의 조합은 반드시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소정의 일치도를 얻을 수 없는 경우는 그 화상을 기록해 두어, 후일 모집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화상의 조합이 충분한 신뢰성을 가지는 경우는, 응모자에 대해서, 예를 들면 「부정 수강을 검출했습니다」라는 메세지를 보내 전형 시험을 중단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반대로 시험중은 화상의 조합을 실시할 필요 없이, 단지 화상을 기록해 두어, 채점 시에 모집자가 기록된 화상을 차례차례 꺼내 확인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의 처리를 (S802)로부터 반복해, 종료 플래그가 세트 되면(S820), 본인 확인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응모자 화상의 취득은, 전술한 응모자 화상의 등록과 같이, 면접 서버 (140)에 대해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해, 쌍방향 통신 서버 (120) 경유 또는 응모자 단말로부터 직접 화상 영상을 수신해, 화상 영상으로부터 잘라진 정지화상을 응모자 화상으로서 기록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S804)의 메세지 화면에 대해서 일정 시간 내에「확인」버튼이 클릭되지 않았던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했지만, 그 경우에도 부정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응모자에게 경고를 내거나 강제적으로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거나 부정 플래그를 세트 해 강제 종료하도록 해도 괜찮다.
응모 실시 메뉴 화면에서 「구술시험」버튼을 클릭하면(S354), 도 4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술시험 실시 화면이 표시된다(S356). 구술시험 실시 화면에서는, 구술시험 설정 테이블에 등록된 모집자의 질문 영상이 지정된 조건으로 꺼내져 차례차례 재생된다. 응모자는, 각 질문에 대해서 「발언 개시」버튼을 클릭하여, 응모자 단말의 화상 카메라와 마이크로폰을 향해 회답을 개시하고, 회답을 종료하면 「발언 종료」버튼을 클릭한다. 또, 응모자가 질문을 잘 듣지 못했을 때는, 「질문 확인」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동일한 질문 영상이 구술시험 실시 화면에 재차 재생된다. 질문 영상의 재생이 종료하고 나서 「발언 개시」버튼이 클릭될 때까지의 시간은 응답 시간으로서 기록되고, 「발언 개시」버튼이 클릭되고 나서 「발언 종료」버튼이 클릭될 때까지의 시간은 회답 시간으로서 기록되고, 「질문 확인」버튼이 클릭된 회수는 질문 확인 회수로서 기록되어 각각 구술시험의 채점 평가에 대해 참작된다. 또,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구술시험 실시 화면에는 각 질문에 대한 회답 시간과 질문이 종료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도 12에, 구술시험 실시 처리의 처리 순서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과 같이, 최초로 구술시험 설정 테이블에서 질문 영상이 선택되고(S902), 구술시험의 실시 요령을 설명한 구술시험 개시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904). 구술시험 개시 화면에서 「다음으로」버튼을 클릭하면(S906),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질문 영상이 전달되고(S908), 전술한 제한 시간 처리가 기동된다(S910). 여기서, 「질문 확인」버튼을 클릭하면(S912), 질문 확인 회수가 인크리먼트 된다(S914). 「발언 개시」버튼을 클릭하면(S916), 응답 시간이 기록되고(S918), 응모자의 회답 영상의 기록이 개시된다(S920). 다음에, 「발언 종료」버튼을 클릭하든지(S922), 또는 제한 시간의 종료 플래그가 세트 되면(S924), 회답 영상의 기록이 종료되고(S926), 회답 시간이 기록된다(S928). 이상의 처리를 (S908)로부터 반복해, 모든 질문이 종료하면(S930), 구술시험 종료 화면이 표시되고(S932), 구술시험 실시 처리가 종료한다(S358).
상기 응모자 단말에 있어서의 질문 영상의 재생은, 전술한 구술시험 설정에 있어서의 질문 영상의 재생과 같이, 면접 서버 (140)에 대해 에뮬레이트 한 화상 전화 단말로부터 응모자 단말로 질문 영상을 송신해, 응모자 단말의 화상 전화 기능에 의해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고, Web 서버 경유로 응모자 단말에 질문 영상을 전달해 Web 브라우저로 재생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회답 영상의 기록도, 전술한 구술시험 설정에 있어서의 질문 영상의 녹화와 같이,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쌍방향 통신 서버 경유 또는 직접, 면접 서버 (140)에서 에뮬레이트 한 화상 전화 단말로 수신해 기록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한, 면접 서버에서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하여, 응모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으로써, 응모자 단말에 특별한 통신 프로그램을 인스톨 할 필요 없이, 표준의 화상 전화 프로그램과 Web 브라우저를 이용해 구술시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응모 실시 메뉴 화면에서 「원격 면접」버튼을 클릭하면(S360), 맨 처음에 원격 면접의 차례를 기다리는 대합실 화면(도시 생략)이 표시된다(S362). 전술한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에서 모집자가 입실 통지의 「송신」버튼을 클릭하면, 대합실 화면에 면접실로의 입실이 통지되어 「입실」버튼이 표시된다. 여기서, 대합실 화면의 「입실」버튼을 클릭하면(S364), 도 4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이 표시된다(S366).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에서는, 모집자 단말의 화상 영상이 표시되어 모집자 단말의 원격 면접 실시 화면(모집자측)과의 사이에 화상 전화에 의한 원격 면접을 실시할 수가 있다.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에는, 「퇴실」버튼이 갖추어져 있어 원격 면접이 종료되면 「퇴실」버튼을 클릭하는 것으로 모집자 단말과의 접속이 단절되어 원격 면접 실시 처리가 종료한다(S368). 또, 응모자의 편의를 위해, 원격 면접 실시 화면(응모자측)에는 현재 시각과 원격 면접의 개시부터의 경과시간이 표시된다.
이상, 이와 같은 Web 서버 (110)에 의한 면접 서비스의 제공은, Web 서버 (110)의 CGI를 경유해 면접 서버 (140)을 기동하는 것으로써 실현될 수가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문장력 시험 채점 처리나 후술 시험 채점 처리에 대해, 단일의 모집자가 채점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복수의 모집자가 개별적으로 채점해, 그것을 집계하도록 해도 괜찮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술시험 실시 처리에 대해, 회답 영상의 기록은, 응모자가 발언 개시 버튼과 발언 종료 버튼을 이용해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음성의 레벨을 감시해, 소정 레벨을 넘었을 때에 기록을 개시하고, 소정의 레벨 이하의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 계속했을 때에 종료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응모자는 하나하나 버튼을 클릭할 필요가 없고, 응모자 단말을 향해 발언하는 것만으로 회답 영상이 자동적으로 기록되게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구술시험 실시 처리에 대해, 응모자가 발언을 개시했을 때로부터 회답 영상을 기록하도록 했지만, 질문 영상의 전달 개시 시각부터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기록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것에 의해, 질문 중의 응모자의 청취 태도에 대해서도 평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원격 면접 실시 처리에 대해, 모집자는 응모자와 온라인으로 대화하면서 채점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원격 면접 시의 응모자의 영상을 기록해 두어, 다음에 재생하여 채점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식 확인 시험·문장력 시험·성격 진단 시험 등의 실시 처리에 대해, 1 화면에 1문씩 제시해, 「다음으로」버튼이나 「돌아가기」버튼을 이용해 문제를 하나씩 넘기면서 회답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1개의 화면 내에 복수의 문제를 포함해 응모자가 화면을 스크롤 하는 것으로 회답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식 시험·문장력 시험·성격 진단 시험과 같이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원격으로 실시하는 시험이며,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된 해당 응모자의 화상과 조합하는 본인 확인 기능을 갖춘 사전 전형 시험과, 구술시험과 같이 영상을 사용해 원격으로 실시하는 사전 전형 시험의 양쪽 모두를 갖춘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어느 쪽이든 한 쪽을 갖추는 것이라도 좋고, 본원 발명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 영상을 사용하지 않는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여기에서는 지식 시험과 문장력 시험과 성격 진단 시험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응모자의 적성을 시험하는 모든 시험 방법을 포함해, 그것을 필요에 따라서 임의로 편성하여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집자와 응모자가 원격으로 면접하는 기능을 가져, 지식 시험이나 문장력 시험이나 성격 진단 시험과 같이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원격으로 실시하는 시험이며,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된 해당 응모자의 화상과 조합하는 본인 확인 기능을 갖춘 사전 전형 시험이나, 구술시험과 같이 영상을 사용해 원격으로 실시하는 사전 전형 시험은, 원격 면접의 사전 전형으로서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러한 사전 전형 시험 기능만을 갖추어 모집자와 응모자가 직접 면접하는 경우의 사전 전형으로서 실시하는 것이어도 괜찮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면접 서버에 화상 전화 단말을 에뮬레이트 하는 것으로써, 모집자 단말이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영상의 통신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집자 단말이나 응모자 단말에 전용의 통신 프로그램을 인스톨 하여 면접 서버와의 사이에 직접 화상 영상의 통신을 실시하도록 해도 괜찮다.
이상 말한 것처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응모자에게 있어 지리적·시간적 제약이 적고, 모집자에게 있어 적절한 인재를 효율적으로 전형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0)

  1.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대해,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문제를 제시하는 문제 제시 수단과, 상기 제시된 문제에 대해서 응모자가 입력한 회답을 취득하는 회답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된 회답을 채점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원격 면접 시스템이며,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하는 응모자 화상 등록 수단과, 상기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는 응모자 화상 취득 수단과, 상기 취득된 화상을 상기 등록된 화상과 조합하는 화상 조합 수단을 갖추어 상기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상 조합 수단은, 상기 취득된 화상과 상기 등록된 화상과의 매칭 처리를 실시해, 소정의 일치도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 취득된 화상을 기록하는 기능을 가져,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등록된 화상과 상기 기록된 화상을 대비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응모자 화상 등록 수단 및/또는 상기 응모자 화상 취득 수단은,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기능을 가져, 수신된 화상 영상으로부터 정지화상을 자르듯이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지식 레벨을 확인하는 지식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성격을 진단하는 성격 진단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사전 전형 시험으로서 응모자의 문장력을 확인하는 문장력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모집 접수 수단은, 상기 문제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하는 문제를 설정하는 문제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를 필수 문제와 선택 문제로 구분하여 지정하는 기능과 출제하는 문제수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져, 상기 문제 제시 수단은, 상기 필수 문제로 지정된 모든 문제와 상기 선택 문제로 지정된 문제로부터 랜덤으로 선택된 문제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문제수를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회답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지정하는 기능과 상기 사전 전형 시험의 시험 시간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문제 제시 수단은, 상기 지정된 시험 시간 내에 회답 가능한 문제를 편성하여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0.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9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문제 제시 수단은, 지정된 코스에 대응하는 분야의 문제를 편성하여 출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1.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0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분야를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취득된 회답을 정답과 조합해, 상기 지정된 분야별로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2.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지정된 평가 구분별로 회답을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3.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2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문제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별 배점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취득된 회답을 제시하는 기능과, 상기 제시된 회답에 대한 상기 평가 구분별 평가를 취득하는 기능과, 전상 취득된 평가와 상기 지정된 배점으로부터 상기 평가 구분별 평가를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취득된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제시해 평가를 취득하는 것이며, 동일한 응모자에 대해서 각 문제의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과 동일한 문제에 대해 각 응모자의 회답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집계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5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문제 제시 수단은,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답 취득 수단은,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하여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평가 수단을 포함하고,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7.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에 대해,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과,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과,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질문 영상 전달 수단, 상기 회답 영상 기록 수단 및 상기 회답 영상 전달 수단은, 화상 전화 프로토콜에 대응한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19. 청구항 17 또는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모집 접수 수단은, 상기 문제 제시 수단에 의해 제시되는 질문 영상을 설정하는 질문 영상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질문 영상 설정 수단은, 각 문제의 평가 구분별 배점을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취득된 회답 영상을 제시하는 기능과, 상기 제시된 회답 영상에 대한 상기 평가 구분별의 평가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취득된 평가와 상기 지정된 배점으로부터 상기 평가 구분별 평가를 집계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취득된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제시해 평가를 취득하는 것이며, 동일한 응모자에 대해서 각 질문의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과 동일한 질문에 대해 각 응모자의 회답 영상을 차례차례 꺼내 평가하는 기능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2.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집계된 결과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3.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2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회답 영상 취득 수단은 상기 전달된 질문에 대해서 응모자가 회답을 개시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과 응모자가 회답한 회답 시간을 계측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상기 계측된 응답 시간과 회답 시간을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4.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23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상기 질문 영상 전달 수단은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을 응모자로부터의 질문 확인 요구에 의해 재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상기 채점 수단은 응모자가 질문 확인한 회수를 제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5.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모집 접수 수단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응모 접수 수단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질문 영상 전달 수단과,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회답 영상 기록 수단과,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채점 수단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시스템.
  26.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에 대해,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문제를 제시하는 스텝과, 상기 제시된 문제에 대해서 응모자가 입력한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된 회답을 채점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이며,
    응모자의 화상을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사전 전형 시험 중의 응모자의 화상을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취득된 화상을 상기 등록된 화상과 조합하는 스텝을 갖추어 상기 사전 전형 시험에 있어 해당 응모자 본인이 수강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방법.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문제를 제시하는 스텝은,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회답을 취득하는 스텝은,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채점하는 스텝은,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응해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방법.
  28.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응모자 단말과 화상 전화 기능을 가지는 단수 또는 복수의 모집자 단말을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해 원격으로 면접을 실시하는 원격 면접 방법에 대해,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과,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구술에 의한 사전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방법.
  29.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모집자 단말로부터 모집을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접수된 모집에 대해서 통신회선을 개입시켜 접속된 응모자 단말로부터의 응모를 접수하는 스텝과, 상기 응모를 접수된 응모자 단말에 대해서 미리 등록된 질문 영상을 전달하는 스텝과, 상기 전달된 질문 영상에 대해서 상기 응모자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회답 영상을 수신해 기록하는 스텝과, 상기 모집자 단말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상기 기록된 회답 영상을 전달해 모집자의 평가를 취득하는 스텝을 갖추어 응모자에 대해서 원격으로 구술에 의한 전형 시험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면접 방법.
  30. 청구항 26 내지 청구항 29의 어느 쪽인가에 있어서, 원격 면접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원격 면접 프로그램.
KR1020057014323A 2003-02-04 2004-02-04 원격 면접 시스템 KR1007549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7646 2003-02-04
JP2003027646 2003-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50A true KR20050107750A (ko) 2005-11-15
KR100754964B1 KR100754964B1 (ko) 2007-09-04

Family

ID=32844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323A KR100754964B1 (ko) 2003-02-04 2004-02-04 원격 면접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350329A1 (ko)
EP (1) EP1598760A1 (ko)
JP (1) JPWO2004070639A1 (ko)
KR (1) KR100754964B1 (ko)
CN (1) CN1748223A (ko)
TW (1) TW200423696A (ko)
WO (1) WO20040706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29B1 (ko) * 2013-04-12 2014-07-04 보아스소프트(주)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186641B1 (ko) 2019-11-06 2020-12-03 김정현 인공지능 기반 음성 답변 자동채점을 통한 지원자 평가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8242A1 (en) * 2005-06-01 2006-12-07 Siromedia Pty Ltd Remote video packaging system
JP2007265369A (ja) * 2006-03-01 2007-10-11 Kazuyuki Shoji 動画機能及びtv電話機能付携帯電話を利用した人材募集・応募支援システム
JP4697972B2 (ja) * 2006-12-28 2011-06-08 株式会社ヒューマ 被験者募集方法、仲介者のサーバ、ソフトウェア、記録媒体
US7617245B2 (en) * 2007-02-26 2009-11-10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Workflow definition and management system
US20080280662A1 (en) * 2007-05-11 2008-11-13 Stan Matwin System for evaluating game play data generated by a digital games based learning game
CN101763588A (zh) * 2009-12-10 2010-06-30 上海众恒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人员选拔系统及方法
JP5271951B2 (ja) * 2010-03-30 2013-08-21 楽天株式会社 サーバ装置、評価方法、評価プログラム、及び評価システム
JP5622472B2 (ja) * 2010-07-29 2014-11-12 ディップ株式会社 求職情報提供システム、求職情報提供システムのウェブサーバ、求職情報提供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求職情報提供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FI20105976A (fi) * 2010-09-22 2012-03-23 Mobilecv Oy Menetelmä, järjestely ja tietokoneohjelma asianhallintaan
CN102339427A (zh) * 2011-09-16 2012-02-01 复旦大学 一种农产品电子履历系统
CN104412577A (zh) 2012-02-23 2015-03-11 大专院校网站公司 异步视频面试系统
US8786662B2 (en) 2012-08-11 2014-07-22 Nikola Vladimir Bicanic Successive real-time interactive video sessions
US8856000B1 (en) * 2013-12-09 2014-10-07 Hirevue, Inc. Model-driven candidate sorting based on audio cues
US8751231B1 (en) 2013-12-09 2014-06-10 Hirevue, Inc. Model-driven candidate sorting based on audio cues
EA201400144A1 (ru) * 2013-12-27 2015-06-30 Зао "Экопси"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компетенции сотрудника
CN106663383B (zh) * 2014-06-23 2020-04-28 因特维欧研发股份有限公司 分析受试者的方法和系统
US20170116870A1 (en) * 2015-10-21 2017-04-27 Duolingo, Inc. Automatic test personalization
CN105810036A (zh) * 2016-04-08 2016-07-27 尚学博志(上海)教育科技有限公司 用于网络习题训练的题目呈现与答题结果统计方法及系统
JP6042015B1 (ja) * 2016-06-07 2016-12-14 株式会社採用と育成研究社 オンライン面接評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41249A (ja) * 2016-09-07 2018-03-15 株式会社ブルーエージェンシー 面接管理プログラム、そ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18181257A (ja) * 2017-04-21 2018-11-15 株式会社ブルーエージェンシー 面接管理プログラム及び面接管理装置
JP7144784B2 (ja) * 2017-07-21 2022-09-30 株式会社Niコンサルティング 勤務状況確認システム
CN108171463A (zh) * 2017-12-01 2018-06-15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远程面签方法、电子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9164582A (ja) * 2018-03-20 2019-09-2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876282A (zh) * 2018-04-26 2018-11-23 昆明理工大学 一种智能集成面试系统
JP7197763B2 (ja) * 2018-07-31 2022-12-2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7197764B2 (ja) * 2018-07-31 2022-12-2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7137055B2 (ja) * 2018-07-31 2022-09-14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983747B2 (ja) * 2018-12-05 2021-12-17 アンリツ株式会社 物品検査情報管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及び物品検査システム
CN109637223A (zh) * 2019-02-12 2019-04-16 青岛科技大学 一种终端考试机及在线考试系统
JP6764101B1 (ja) * 2019-04-05 2020-09-30 株式会社エナジード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0827835A (zh) * 2019-11-21 2020-02-21 上海好学网络科技有限公司 口语考试系统和方法
US11320897B2 (en) 2020-09-28 2022-05-03 Bank Of America Corporation Adjustable user preference settings using a virtual reality device
WO2022159729A1 (en) 2021-01-22 2022-07-28 Voomer, Inc. Machine learning for video analysis and feedback
CN113241076A (zh) * 2021-05-12 2021-08-10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语音处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3709028A (zh) * 2021-09-29 2021-11-26 五八同城信息技术有限公司 面试视频的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介质
US11538462B1 (en) * 2022-03-15 2022-12-27 My Job Matcher,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querying and transcribing video resume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7228A (en) * 1971-11-15 1973-07-24 Y Yamamoto Interview machine
US5592375A (en) * 1994-03-11 1997-01-07 Eagleview, Inc. Computer-assisted system for interactively brokering goods or services between buyers and sellers
US7207804B2 (en) * 1996-03-27 2007-04-24 Michael Hersh Application of multi-media technology to computer administered vocational personnel assessment
US6272467B1 (en) * 1996-09-09 2001-08-07 Spark Network Services, Inc. System for data collection and matching compatible profiles
US5978768A (en) * 1997-05-08 1999-11-02 Mcgovern; Robert J. Computerized job search system and method for posting and searching job openings via a computer network
US6185573B1 (en) * 1998-04-22 2001-02-06 Millenium Integrated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the integrated storage and dynamic selective retrieval of text, audio and video data
US7457764B1 (en) * 2000-02-04 2008-11-25 Iq Navigator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human resources to human resource needs
GB0003509D0 (en) * 2000-02-16 2000-04-05 Collins John R Communications network based recruitment
WO2001061611A1 (en) * 2000-02-16 2001-08-23 Click2Hire, L.L.C.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a candidate with an employer
AU2001267776A1 (en) * 2000-05-17 2001-11-26 Esaress Holdings Ltd. Internet based employee/executive recruting system and method
WO2001097083A1 (en) * 2000-06-12 2001-12-20 Epredix.Com Computer-implemented system for human resources management
US7496518B1 (en) * 2000-08-17 2009-02-24 Strategic Outsourc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screening and qualification of employment candidates
JP2002073914A (ja) * 2000-08-28 2002-03-12 Fujitsu Ltd 人材仲介装置、人材仲介方法および人材仲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A2317786A1 (en) * 2000-09-06 2002-03-06 Advantage Interactive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utomated interview
KR20020026048A (ko) * 2000-09-30 2002-04-06 김홍철 인터넷을 통한 화상면접 시스템
GB0028835D0 (en) * 2000-11-27 2001-01-10 Arenbee Media Consultants Pvt An examination implementation method and system
JP2002199364A (ja) * 2000-12-26 2002-07-12 Ines Corp 説明会放映方法、説明会放映システム、情報管理業者ネットワーク及びその記録媒体
KR20020064092A (ko) * 2001-01-31 2002-08-07 구현사 면접대상자의 전문지식 및 적성평가를 인터넷을 통하여전문적으로 시행하고 이를 신청한 회사로부터 경제적보상을 받는 상거래방법
JP2002251380A (ja) * 2001-02-22 2002-09-06 Omron Corp 利用者照合システム
US20020143573A1 (en) * 2001-04-03 2002-10-03 Bryce John M. Integrated automated recruiting management system
JP3983993B2 (ja) * 2001-04-13 2007-09-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顔写真付き申請書データ作成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
US20020169631A1 (en) * 2001-04-23 2002-11-14 Lewis David M.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mployers with virtual interviews of potential job candidates
JP2002351842A (ja) * 2001-05-23 2002-12-06 Omron Corp バイオメトリクス資格データバンクシステム,バイオメトリクス資格データバンク,資格情報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バイオメトリクス試験管理システム,試験管理機関,ネットワーク上での試験実施方法及びプログラム,ネットワーク上での受験状況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778938B2 (en) * 2001-06-05 2010-08-17 Accuhire.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creening of job applicants
US20030050816A1 (en) * 2001-08-09 2003-03-13 Givens George R.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based employment decisioning
US20040093263A1 (en) * 2002-05-29 2004-05-13 Doraisamy Malchiel A. Automated Interview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629B1 (ko) * 2013-04-12 2014-07-04 보아스소프트(주)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2186641B1 (ko) 2019-11-06 2020-12-03 김정현 인공지능 기반 음성 답변 자동채점을 통한 지원자 평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4964B1 (ko) 2007-09-04
US20210350329A1 (en) 2021-11-11
TW200423696A (en) 2004-11-01
JPWO2004070639A1 (ja) 2006-05-25
CN1748223A (zh) 2006-03-15
WO2004070639A1 (ja) 2004-08-19
EP1598760A1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4964B1 (ko) 원격 면접 시스템
JP3930022B2 (ja) 遠隔教育システム、受講確認方法および受講確認プログラム
Yuan et al. The effects of multimedia communication on web-based negotiation
Goodman et al. Hearsay versus children's testimony: Effects of truthful and deceptive statements on jurors’ decisions
Chang et al. Measuring participation as communicative action: A case study of citizen involvement in and assessment of a city's smoking cessation policy-making process
EP1403796A1 (en) Education service system using communicate line and educ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Rose Partnership, co-ordination of care and the place of user involvement
McKeever et al. Litigants in Person in Northern Ireland: Barriers to Legal Participation-Summary Report
Kuipers et al. Common problems and solutions in experiments
Rack Jr Thoughts of a Chief Circuit Mediator on Federal Court-Annexed Mediation
Davidson Psychology and Aborigines: The place of research
Ferens et al. Industry focus group forum approach for assessing undergraduate engineering program outcomes
Ferran-Urdaneta The effects of videoconferencing on persuasion
Aimiuwu et al. Augmented Reality &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Optimizing Workforce Diversity
Van Scoy et al. STUDY PROTOCOL
JPH0965306A (ja) 双方向通信システム
Hoylman The role of evidence-based research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perceived by local board of education policymakers in West Virginia
Kulig et al. Expanding the knowledge base about child advocacy centers
Wihby et al. Deans’ Roles in the Administration of Secondary Schools in an Education District in Trinidad and Tobago
Scholar et al. Evaluation of the Virtual Independent Visitor Pilot Project: November 2017 The Children's Society and the University of Salford
Nicoll et al. Exposure Draft: Crimes and Other Legislation Amendment (Strengthening the Criminal Justice Response to Sexual Violence and other Measures) Bill 2022
Baumgartner et al. Fathers and Continuous Learning in Child Welfare: Descriptive Evaluation Design Report
Doak et al. Mapping the changing face of cross-examination
Sullivan Youth attendance at dependency court proceedings: a mixed methods study of judicial officers and youth
Greer Implementing trauma-informed care practices in the workplace: a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