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5629B1 -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5629B1
KR101415629B1 KR1020130040464A KR20130040464A KR101415629B1 KR 101415629 B1 KR101415629 B1 KR 101415629B1 KR 1020130040464 A KR1020130040464 A KR 1020130040464A KR 20130040464 A KR20130040464 A KR 20130040464A KR 101415629 B1 KR101415629 B1 KR 10141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iew
screen
image
service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호
정영호
Original Assignee
보아스소프트(주)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아스소프트(주),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보아스소프트(주)
Priority to KR1020130040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56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질문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에게 상기 질문지 정보를 전송하는 질문지 관리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뷰 영상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인터뷰 영상 관리부 및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평가 결과 관리부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view Ser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터뷰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포함한 영상 녹화를 전송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고, 인터뷰 학습 및 평가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는 노트북, 모바일 등의 단말기를 활용한 인터뷰 서비스의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네트워크 환경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이미 구축된 네트워크 인프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플랫폼에 종속적인 기존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접근성이 좋은 웹서비스 형태로 개발되면서 언제, 어디서든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소프트웨어 개발의 추세가 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와 같은 맥락으로 인터뷰를 통한 능력검증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현대에서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입학시업, 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 준비생의 필수 요소인 면접 또는 영어 말하기 능력시험의 준비 및 학습을 위해 스마트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학습 및 모의 실습, 평가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요구 사항이 있어 왔지만 웹 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의 한계성으로 인해 인터뷰 또는 영어 말하기 능력시험을 위한 학습 서비스 제공을 모바일을 통해 완벽하게 지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터뷰, 영어 스피킹(Speaking)의 중요성과 비중이 점차 높아지면서 인터넷의 보편적인 보급과 인터넷 통신 기술의 발전 및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 인프라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접근이 쉽고 편리하며 언제 어디서나 가능한 모의 인터뷰 학습 및 평가와 영어 스피킹 학습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의 보급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인터넷 등의 온라인 방식의 학습 시스템이나 어학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뷰를 실시, 어학학습 방법을 이용해왔으나 이는 이동성 측면과 시간적, 장소적 측면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등 모바일과 같이 휴대가 간편하고 용이하지 않다는 현실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실시예는,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터뷰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포함한 영상 녹화를 전송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고, 인터뷰 학습 및 평가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는 노트북, 모바일 등의 단말기를 활용한 인터뷰 서비스의 프레임워크(Framework)를 제공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질문지 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에게 상기 질문지 정보를 전송하는 질문지 관리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뷰 영상을 수신하여 관리하는 인터뷰 영상 관리부 및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평가 결과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상기 질문지 관리부는 인터뷰 종류에 따른 카테고리(Category)별로 상기 질문지 정보를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지 관리부는 상기 질문지 정보를 복수의 언어별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질문지 정보는 언어 기반의 텍스트, 오디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 관리부는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타 단말기의 접근 허용 여부에 관한 공유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공유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상기 타 단말기의 접근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뷰 영상 관리부는 관리하는 복수의 인터뷰 영상들 중에서 타 단말기의 접근이 허용된 인터뷰 영상들의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를 신청한 신청인 정보, 신청일 정보, 인터뷰 영상 첨부 유무 및 평가자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평가신청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영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인터뷰 서비스와 함께 상기 단말기에 제공될 광고를 관리하는 광고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에게 인터뷰 질문지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뷰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뷰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입력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타 단말기의 접근 허용 여부에 관한 공유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공유 설정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타 단말기의 접근을 관리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동영상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로 하여금, 인터뷰 서비스의 인터뷰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인터뷰 목록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명령을 입력받는 경우, 선택된 인터뷰에 해당하는 질문지 정보를 렌더링하면서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동영상을 촬영하도록 하고; 상기 동영상을 상기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전송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질문지 정보는 텍스트, 오디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동영상에 대한 타 단말기의 접근 허용 여부에 관한 공유 설정 정보를 입력받게 하고; 상기 동영상에 대한 상기 공유 설정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에 대한 평가결과를 수신하도록 하고; 수신한 상기 평가결과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상기 서버로부터 타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수신하도록 하고; 수신한 상기 타 서비스 이용자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인터뷰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인터뷰 선택신호 수신부, 상기 인터뷰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인터뷰 영상을 녹화하는 영상 녹화부, 상기 인터뷰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에 질문지 정보를 출력하는 질문지 제공부 및 상기 인터뷰 영상을 포함하는 평가신청 메시지를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평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는 모바일 디바이스 등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터뷰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포함한 영상 녹화를 전송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고, 인터뷰 학습 서비스 및 평가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중국어, 일본어를 포함한 외국어 인터뷰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화 되어가는 인터뷰에 대한 학습 및 평가를 통해 다국어 인터뷰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이나 필요성에 따라 기업 면접, 공무원 면접, 교원임용 면접 등 인터뷰 종류에 따른 카테고리별 질문유형을 선택함에 따라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키고, 실제 기업 면접을 진행하는 기업 채용 담당자가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면접자들로부터 개개인 인터뷰 영상을 전송받음으로써 면접 장소 대여비를 포함한 면접 기회비용을 줄이고 채용 절차를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OPIc(Oral Proficiency Interview-computer) 등 영어 말하기 능력시험을 포함한 외국어 인터뷰 대비를 위한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외국어 인터뷰를 지원하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는 향후에 글로벌 인터뷰 시장의 확대 추세와 더불어 인터뷰 학습 제공 분야, 외국어 인터뷰 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모바일을 통하여 원하는 인터뷰를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진행함으로써 효율적인 인터뷰 학습 효과를 제공하여 모바일을 활용한 인터뷰, 영어 말하기 능력시험에 대한 새로운 서비스 모델의 구축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어 새로운 컨텐츠의 창출 및 새로운 수요의 창출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기에서의 인터뷰 학습 및 평가의 수행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업 면접에서의 활용 및 평가 수행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뷰 진행 과정의 일 구현예이다.
도 6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뷰 영상 리스트 출력과 녹화된 인터뷰 영상을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의 일 구현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인터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200), 광고 제공 장치(300)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400)와 유선 또는 무선 등의 네트워크망(500)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넷을 통하여 구현되는 서버 형태 등으로 구현되며, 이하 설명되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각 구성요소는 서버의 논리적 기능을 구별하기 위한 개념상의 구분일 뿐 물리적 구분이 아님은 자명하며,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단말기(200)와 인터뷰 학습 및 평가를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상호 입출력하게 된다.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유무선 통신 수단 등으로 인터뷰 진행 및 평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하므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면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해당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말기(200)는 단말기(200)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한다. 도 1에서는 간략화를 위해 네트워크망에 연결된 1 개의 단말기(200)만을 도시하였지만,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복수의 단말기가 존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의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등과 같은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모바일 단말로 구현함으로써 휴대성과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400)는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관리한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400)은 통상의 모바일 앱 마켓일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200)는 네트워크망(500)을 거쳐 연결된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400)로부터 인터뷰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그 업데이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광고 제공 장치(300)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기업이나 유무형 상품, 용역 등의 광고를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광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광고를 인터뷰 서비스와 함께 단말기(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이라기보다는 수행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논리적으로 구분된 것에 해당하므로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 질문지 관리부(12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 광고 관리부(140), 평가 결과 관리부(150), 외국어 지원부(160), 관리자 영역부(170) 및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질문지 관리부(120)는 질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인터뷰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기(200)에게 질문지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질문지 정보는 언어 기반의 텍스트, 음성 및 동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질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질문지 관리부(120)는 인터뷰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Category)를 생성하여 상기 카테고리별로 질문지 정보를 분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뷰 종류는 기업 면접, 공무원 면접, 교원임용 면접, 영어 면접 등과 같이 면접 종류에 따라 카테고리를 생성하여 카테고리별로 질문지 정보를 분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사용자 선택의 편의성을 높이고 인터뷰 종류별 구분을 통하여 체계적인 인터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는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답변 정보를 포함한 녹화된 인터뷰 영상을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의 인터뷰 평가 신청 신호 데이터를 포함한 인터뷰 녹화 영상 파일을 수신한다.
평가 결과 관리부(150)는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평가 결과 정보는 면접자의 인터뷰 내용을 평가하는 기업 채용 담당자, 면접관, 컨설턴트, 전문가 등 인터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평가 결과 정보가 저장되면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에서 단말기(200)로 평가 결과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는 인터뷰 영상에 대해 사용자간의 공유 여부를 선택하는 공유영상 선택신호를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하여 공유대상으로 지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사용자의 인터뷰 영상을 타인에게 열람 등이 가능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공유 선택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는 지정된 인터뷰 영상을 검색하여 공유영상 선택신호에 의해 공유대상으로 지정된 인터뷰 영상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에게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영역부(170)는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를 신청한 신청인 정보, 신청일 정보, 인터뷰 영상 첨부 유무 및 평가자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평가신청 데이터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평가자 성명을 포함한 평가자 정보는 인터뷰 평가자로부터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30)에서 관리자 영역부(170)로 전송하게 된다.
외국어 지원부(160)는 면접카테고리를 포함한 질문지 정보를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포함한 외국어로 지원해 사용자가 외국어 질문지 정보를 통하여 외국어 인터뷰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광고 관리부(140)는 단말기(200)에 전송할 광고를 광고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광고는 기업 브랜드, 유무형의 상품, 용역 등을 포함하며 이미지, 텍스트 등을 통해 단말기(200)에서 면접녹화 영상 리스트와 함께 출력되게 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단말기(200)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이라기보다는 수행하는 기능을 기준으로 논리적으로 구분된 것에 해당하므로 인터뷰 진행 및 평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지칭되는 명칭에 국한되지 않고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200)는 인터뷰 선택신호 수신부(210), 영상 녹화부(220), 질문지 제공부(230), 외국어 선택부(240), 녹화 영상 재생부(250), 평가 관리부(260), 인터뷰 결과 제공부(270), 광고 표출부(280), 애플리케이션 관리부(290), 공유영상 구동부(2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200)의 인터뷰 선택신호 수신부(210)는 인터뷰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인터뷰 선택신호는 인터뷰 영상의 녹화 시작을 알리는 시작 정보 및 인터뷰 종류별 카테고리에 대한 선택 정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영상 녹화부(220)는 인터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며, 구비된 카메라모듈을 이용하여 음성데이터를 포함한 인터뷰 영상을 녹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모듈은 단말기(200)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되어 음성을 포함한 동영상을 녹화할 수 있다.
질문지 제공부(230)는 인터뷰 영상을 녹화하는 경우에 질문지 정보를 함께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면에 출력되는 질문지 정보를 보면서 인터뷰 영상을 녹화할 수 있도록 인터뷰 진행과 함께 질문지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또한, 질문지 제공부(230)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카테고리를 포함 또는 카테고리별 구분이 없는 질문지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질문지 정보에 대한 텍스트, 음성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평가 관리부(260)는 인터뷰 영상을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고,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인터뷰 영상에 대응되는 평가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뷰 영상에 대응되는 평가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인터뷰 결과 제공부(270)에서 평가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평가 결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인터뷰를 진행함에 있어 보완할 점을 찾아 인터뷰 능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공유영상 구동부(295)는 인터뷰 영상에 대해 사용자간의 공유 여부를 선택하는 공유영상 선택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아, 공유영상 선택신호를 인터뷰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전송하고, 공유대상으로 지정된 인터뷰 영상에 대한 정보를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녹화영상 재생부(250)는 인터뷰 영상이 녹화된 날짜정보, 시간정보 및 재생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터뷰 영상 리스트(list)를 제공하고, 인터뷰 영상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뷰 영상을 재생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이전 인터뷰 영상을 반복 재생해서 플레이(Play)함으로써 자가 점검 및 반복 학습을 통한 단점 보완을 통해 인터뷰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광고 표출부(280)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광고를 전송 받고, 녹화영상 재생부(250)에서 인터뷰 영상 리스트를 제공할 경우 광고를 인터뷰 영상 리스트 상단 또는 하단에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광고를 인터뷰 영상 리스트 상단 또는 하단에 출력함으로써 광고 홍보 효과 및 효율적인 정보 제공을 할 수 있다.
외국어 선택부(240)는 인터뷰 진행을 위한 외국어 선택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국어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을 포함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어, 독어 등 다수의 외국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단말기에서의 인터뷰 학습 및 평가의 수행 과정을 예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흐름 관계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인터뷰 종류에 따른 질문지 정보를 선택하면(S310), 단말기 화면에서 나오는 인터뷰 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녹화 후, 인터뷰 평가 신청과 함께 녹화된 영상을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한다(S320).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의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에서 녹화된 영상을 수신한 후, 평가 결과 관리부(150)에 전송하면 기 등록된 평가자가 인터뷰 영상을 평가하고(S330), 인터뷰 평가 결과 정보를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를 통해 단말기(200)의 평가 관리부(260)로 전송하며(S340), 사용자가 인터뷰 결과 제공부(270)에서 인터뷰 평가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350). 이상의 각 과정(S310~S350)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사항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의 기업 면접에서의 활용 및 평가 수행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흐름 관계를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기업 채용 담당자가 인터뷰 질문지 정보를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질문지 관리부(120)에 업로드(Upload)하면(S410),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인터뷰 질문지 정보를 확인 후,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인터뷰 질문지에 대한 답변을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통해 녹화 후, 녹화된 인터뷰 영상을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전송한다(S420).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인터뷰 영상 관리부(110)에서 녹화된 인터뷰 영상을 수신한 후, 평가 결과 관리부(150)에 전송하고(S430), 평가 결과 관리부(150)에서 기업 채용 담당자 또는 인터뷰 평가자가 인터뷰 영상을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S440). 이상의 각 과정(S410~S440)에서 수행되는 구체적인 사항은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흐름도의 각 단계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즉,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뷰 진행 과정의 일 구현예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한 단말기(200)에서 인터뷰 진행 과정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는 단말기(200)에서 인터뷰 서비스 시작 화면을 나타내는 실시예이고, 도 5(b)는 인터뷰 서비스에 관한 설명을 하는 실시예이다. 도 5(c)는 국문 면접, 유형별 면접, 공무원 면접, 교원임용 면접, 영어 면접 등 카테고리별 인터뷰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도 5(d)는 실제 질문지가 단말기 화면 하단에 출력되면서 인터뷰 영상을 녹화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도 6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뷰 영상 리스트 출력과 녹화된 인터뷰 영상을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의 일 구현예이다.
도 6(a)는 사용자가 인터뷰 영상 녹화를 마친 경우 인터뷰 영상 녹화를 다시 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녹화한 영상을 재생(Play)할지 여부를 선택하는 실시예이고, 도 6(b)는 녹화한 인터뷰 영상을 포함한 기 저장된 녹화 영상 리스트(list)가 녹화 영상 리스트 하단에 광고와 함께 출력되는 실시예이다. 또한, 도 6(c)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인터뷰 평가 신청을 하는 실시예이며, 도 6(d)는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네트워크를 이용해 인터뷰 녹화 영상 전송이 완료됨을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술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100) 및 단말기(200)의 각 구성요소는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요소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각각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실현하기 위하여 논리적인 구성요소에 해당하므로 각각의 구성요소가 통합 또는 분리되어 수행되더라도 본 발명의 논리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이 실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라면 그 명칭 상의 일치성 여부와는 무관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고 해석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바일 등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해 인터뷰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을 포함한 영상 녹화를 전송함으로써 평가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할 수 있고, 인터뷰 학습 및 평가를 시간, 장소의 제약없이 제공하는 과정을 구현함으로써 타 시스템이나 프로그램에 비해 향후 확장성이나, 빠른 추가 기능의 개발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향후 모바일을 이용한 인터뷰 학습 및 외국어 스피킹 인터뷰 분야에서 널리 활용될 부분이 기대되어 유용한 발명이다.
100 :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200 : 단말기
300 : 광고 제공 장치 400 : 애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500 : 네트워크망 110 : 인터뷰 영상 관리부
120 : 질문지 관리부 13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40 : 광고 관리부 150 : 평가 결과 관리부
160 : 외국어 지원부 170 : 관리자 영역부
210 : 인터뷰 선택신호 수신부 220 : 영상 녹화부
230 : 질문지 제공부 240 : 외국어 선택부
250 : 녹화 영상 재생부 260 : 평가 관리부
270 : 인터뷰 결과 제공부 280 : 광고 표출부
290 : 애플리케이션 관리부 295 : 공유영상 구동부

Claims (19)

  1. 인터뷰 종류에 따른 카테고리별로 질문지 정보를 분류하여 관리하며, 인터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인터뷰 서비스의 제공자 로고가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제1화면과, 상기 인터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는 제2화면과,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면접 카테고리별 인터뷰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상부에서부터 복수의 질문유형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하단부에 메뉴바가 표시되는 제3화면과, 인터뷰 영상의 녹화를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메뉴바가 표시되었던 화면 부분에 시간이 표시되며 그 위로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영상 부분 중 그 하단부에는 질문 내용이 표시되는 제4화면과,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인터뷰 영상 녹화를 마친 경우 인터뷰 영상 녹화를 다시 하거나 또는 녹화한 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5화면과, 상기 단말기 화면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복수의 녹화 영상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단말기 화면의 중앙 아래의 부분에 광고가 표시되는 제6화면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녹화 영상에 대해 평가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단말기 화면의 중앙 아래의 부분에 광고가 표시되는 제7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로부터 송신 받은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인터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터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질문지 정보를 상기 제4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질문지 관리부;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뷰 영상 및 평가신청과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공유 여부 정보을 수신하며,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결과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인터뷰 영상 관리부;
    기등록된 평가자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로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인터뷰를 진행함에 있어 보완할 점과 관련된 내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인터뷰 영상 관리부가 상기 평가결과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결과 관리부;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를 신청한 신청인 정보, 신청일 정보, 인터뷰 영상 첨부 유무 및 평가자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평가신청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영역부; 및
    광고제공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광고가 상기 제6화면 및 제7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광고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광고관리부;
    를 포함하되, 상기 인터뷰 영상 관리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 및 상기 평가 결과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사용자 그룹의 멤버간의 공유 여부를 선택한 공유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유영상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인터뷰 영상 및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그룹으로만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 관리부는,
    상기 질문지 정보를 복수의 언어별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지 정보는,
    언어 기반의 텍스트, 오디오 및 동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형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인터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인터뷰 서비스의 제공자 로고가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는 제1화면과, 상기 인터뷰 서비스에 대한 설명이 표시되는 제2화면과,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면접 카테고리별 인터뷰 종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상부에서부터 복수의 질문유형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화면의 하단부에 메뉴바가 표시되는 제3화면과, 인터뷰 영상의 녹화를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메뉴바가 표시되었던 화면 부분에 시간이 표시되며 그 위로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사용자 영상 부분 중 그 하단부에는 질문 내용이 표시되는 제4화면과,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인터뷰 영상 녹화를 마친 경우 인터뷰 영상 녹화를 다시 하거나 또는 녹화한 영상을 재생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5화면과, 상기 단말기 화면에 있어서 상부로부터 복수의 녹화 영상 리스트가 표시되고 상기 단말기 화면의 중앙 아래의 부분에 광고가 표시되는 제6화면과, 상기 사용자가 선택된 녹화 영상에 대해 평가신청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화면으로서, 상기 단말기 화면의 중앙 아래의 부분에 광고가 표시되는 제7화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제공장치로부터 송신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제1과정;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인터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터뷰 서비스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질문지 정보를 상기 제4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2과정;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지 정보에 대응하는 인터뷰 영상 및 평가신청과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공유 여부 정보를 수신하는 제3과정;
    기등록된 평가자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로서 상기 서비스 사용자가 인터뷰를 진행함에 있어 보완할 점과 관련된 내용을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 결과 정보를 생성하는 제4과정;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결과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5과정;
    상기 인터뷰 영상에 대한 평가를 신청한 신청인 정보, 신청일 정보, 인터뷰 영상 첨부 유무 및 평가자 성명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평가신청 데이터를 관리하는 제6과정; 및
    광고제공장치로부터 광고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광고가 상기 제6화면 및 제7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광고를 상기 서비스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7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인터뷰 영상 및 상기 평가 결과 정보에 대해 기 설정된 사용자 그룹의 멤버간의 공유 여부를 선택한 공유 영상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공유영상 선택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인터뷰 영상 및 상기 평가 결과 정보를 상기 기 설정된 사용자 그룹으로만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뷰 학습 및 평가 서비스를 위한 인터뷰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040464A 2013-04-12 2013-04-12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KR101415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64A KR101415629B1 (ko) 2013-04-12 2013-04-12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64A KR101415629B1 (ko) 2013-04-12 2013-04-12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5629B1 true KR101415629B1 (ko) 2014-07-04

Family

ID=5174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64A KR101415629B1 (ko) 2013-04-12 2013-04-12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5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750A (ko) * 2003-02-04 2005-11-15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원격 면접 시스템
KR20120098372A (ko) * 2011-02-25 2012-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맞춤형 경험 샘플링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7750A (ko) * 2003-02-04 2005-11-15 가부시키가이샤 깅가네트 원격 면접 시스템
KR20120098372A (ko) * 2011-02-25 2012-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 맞춤형 경험 샘플링 방법 및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셀프 면접 시스템(WonderView) 사용 후기(2011.08.03.) *
[블로그] 셀프 면접 시스템(WonderView) 사용 후기(2011.08.03.)*
[유튜브] 온라인 모의 면접 시스템 셀프뷰(SelfView) 소개 동영상(2012.01.03.) *
[유튜브] 온라인 모의 면접 시스템 셀프뷰(SelfView) 소개 동영상(201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wie et al. It’s never too late: An overview of e-learning
Betty Creation, management, and assessment of library screencasts: The Regis Libraries animated tutorials project
US9229929B2 (en) Modular translation of learning applications in a modular learning system
Wilken et al. Placemaking through mobile social media platform Snapchat
Rathmel et al. Tools, techniques, and training: Results of an e-resources troubleshooting survey
CN112329403A (zh) 一种直播文档处理方法和装置
Basaraba et al. Digital narrative conventions in heritage trail mobile apps
Kelly et al. Library 2.0: balancing the risks and benefits to maximise the dividends
Abud Indonesia: New digital nation
US201601477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lingual translation
Chaputula eReadiness of public university libraries in Malawi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use of mobile phones in the provision of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Silva et al. Share yourself first: exploring strategies for the creation of locative content for and by low-literacy communities
King Running the digital branch: Guidelines for operating the library website
KR101415629B1 (ko) 인터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방법
Valente et al. Celebrating is remembering: OUTing the Past as a study in the reflective and transformative potential of small events
JP2004126401A (ja) 履歴情報活用型教育方法及び履歴情報活用型教育システム
Sharma et al. To Study the Role of Mobile Marketing Technique as Direct Marketing Tool Under Promotion Mix in Business Schools
Murray The best things in life are free (or pretty cheap): Three mobile initiatives that can be done now
Collins et al. Convergence or business as usual?: Comparing new media use at television stations and newspapers
Mavropoulou Platforms for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educational purposes
Perriam Theatres of Failure: digital demonstrations of disruption in everyday life
US2024012737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teractive virtual tour of real estate property
US86402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uperior/subordinate interactions
Murray et al. Editorial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Viral Science Fiction: What Does It Mean to Go Viral After 2020?
Chokshi Designing Social Media Tools for Emergency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