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165A -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 Google Patents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165A
KR20050105165A KR1020057007165A KR20057007165A KR20050105165A KR 20050105165 A KR20050105165 A KR 20050105165A KR 1020057007165 A KR1020057007165 A KR 1020057007165A KR 20057007165 A KR20057007165 A KR 20057007165A KR 20050105165 A KR20050105165 A KR 200501051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differential
sequence
phases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252B1 (ko
Inventor
빈 리
로버트 에이 디파지오
도날드 엠 그리코
아리엘라 제이라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105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2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1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wherein the received signal is demodulated using one or more delayed versions of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H04L25/03184Details concerning the metric
    • H04L25/03197Details concerning the metric methods of calculation involving met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04L27/233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 H04L27/233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using non-coherent demodulation using a non-coherent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M진 (M-ary) 통신 데이터의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의 방법은 M개의 전송 위상 중의 하나를 갖는 각각의 N개 순차적 부호 r1 ... rN 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N-1개 요소 중 선택된 시퀀스는 다중 부호 차동 검출기를 이용하여 가능 위상 차동 시퀀스로 게산되는 가능 위상 차동 시퀀스로 나타난다. 다음에, 각 위상 차동 추정치에 대한 기준으로서, r1 을 사용하고, SN-1 개 위상 차동 시퀀스는 상기 부호 세트를 계산하는 동안 (i= 1내지 s) 형태(P2i, P3i,...,PNi) 안에서 선택되고 여기에서 s는 미리 결정되고, 1<s<M이다. 추정된 위상 차동 값 S의 세트는 실제 전송된 위상 차동 값의 근사값에 기초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위상 차동 추정치는 통상의 차동 검출을 이용하여 최대값을 산출하는 것과 같이 수학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다중 위상 편이 방식(MPSK) 변조의 차동 검파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디지털 통신에 관한 것이지만 CDMA 시스템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통신 수신기는 2가지 종류(동기 검파와 차동 검파)의 MPSK 변조 신호 검파를 이용한다. 동기 검파(coherent detection)에 있어서, 반송파 위상 기준은 수신기에서 검출되는데, 이 수신기에서 실제 정보 위상을 측정하기 위해 연속 부호 위상등을 비교한다. 차동 검파는 2대의 연속 부호의 수신된 위상차를 처리하여 실제 위상을 결정한다. 2개의 연속 부호중 처음 부호의 위상을 기준으로 삼아, 위상 차를 얻을 수 있다. 비록 차동 검파기는 수신기에서 반송파 위상 기준 처리의 필요성을 배제하지만, 소정의 부호 에러 율의 높은 신호대 잡음비를 필요로 한다.
부가적인 백색 가우시안 잡음(AWGN) 채널에서의 차동 검파는 구현의 간소화와 강건함이 수신기 감도 성능보다 우선할 때 동기 검파보다 바람직하다. 차동 검파는 동기 복조 기준 신호를 생성하기 어려울때도 바람직하다. 다중 위상 편이 방식 변조의 경우, 입력 위상 정보는 송신기에서 차동적으로 인코딩된 다음에, 연속 부호 간격 사이에 수신된 위상을 비교함으로써 구현된다. 따라서, 적당한 동작에 있어서, 수신된 반송파 기준 위상이 적어도 2개의 부호 간격에 걸쳐서 일정해야 한다.
다중 부호 차동 검파(MSDD)는 2개 이상의 연속 부호를 사용하며, 오직 2개의 연속 부호를 사용하는 통상의 차동 검파(DD) 보다 양호한 에러율을 제공할 수가 있다. DD의 경우에서와 같이, MSDD는 수신된 반송파 기준 위상이 프로세스에서 사용된 연속 부호 간격에 걸쳐서 일정할 것을 필요로 한다.
MSDD와 다중 부호 검파(MSD)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of MPSK"(Divesalar et al.,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38, No.3, March 1990) 및 "Multiple-symbol Detection for Orthogonal Modulation in CDMA System"(Liet al., IEEE TRANSACTIO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50, No.1, January 2001)에서 찾을 수 있다.
이후 일반적인 MPSK MSDD에 대해서 다음의 도 1 및 도 2와 연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MPSK 신호 시퀀스 r을 가진 AWGN 통신 채널(101)을 도시하는데, 시퀀스 r은 수신기(110)에 의해 수신된 N개의 연속 부호 r1 ... rN을 포함한다. 부호 rk N개의 시퀀스 r의 컴포넌트 kth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1≤k≤N이다.
rk 값은 방정식(1)에 의해 표시된 백터이다.
식.(1)
여기서 Es는 부호 에너지, Ts는 부호 간격이고 φk는 전송 위상이고, j=이다. nk값은 제로 평균화한, 고정 복소 백색 가우시안 잡음 처리로 부터 얻은 샘플이다. θk값은 채널에서 도입된 임의의 랜덤 채널 위상 편이이고, 간격(-π,π)에서 균등하게 분배된다고 가정한다. 채널 위상 편이 값 θk는 알지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차동 검파는 θk가 관측된 부호 r1에서 rN 사이의 간격에 걸쳐 일정하다는 것을 가정하여 연산한다. 차동 MPSK(DMPSK)의 경우, 위상 정보는 송신기에서 차동적으로 인코딩되고, 전송된 위상 Φk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식(2) Φk = Φk-1 + ΔΦk
여기에서 ΔΦk는 그레이 매핑 방법에서와 같이 단위원 둘레의 세트 Ω = {2πm/M, m=0, 1,...,M-1} 안에서 M 균등하게 분배된 값들 중의 하나를 취하는 kth전송 간격에 대응하는 전송된 정보 위상 차동 값이다. 예를 들어, QPSK에서, M=4 이고 1에서 N까지 각각의 k에 대해 ΔΦk = 0, π/2, π,3π/2 이다.
임의의 위상 값 θk 은 관측된 시퀀스의 N 길이에 걸쳐서 일정하게 (θk =θ)로 간소화됨을 가정한다.
수신기에서, 다중 부호 차동 검파(MSDD)를 사용한 최적의 검파는 위상 차동`
의 추정된 시퀀스를 선택함으로써 성취되며, 추정된 시퀀스는 다음의 판별 통계치를 최대화하한다.
식) (3)
식 (3)에 의해서, 수신된 신호는 최적의 추정 위상 시퀀스 를 동시적으로 선택하는 동안 N 부호 배 간격에 걸쳐서 관측된다.
N길이 신호 시퀀스 rk 의 최대화된 벡터 합은 최우도 검출(maximum-likehood detection)을 제공하고, 추정된 위상 차동 는 추정된 위상 m+1와 제1 위상 1의 추정치 사이의 차이값이다.
식 (4)
전송된 정보 위상 시퀀스 의 추정치는 방정식(5)를 사용하여 추정된 위상 시퀀스로 부터 얻어 진다.
식 (5)
는 전송된 위상 차동 의 추정치이다. k는 M개의 균등하게 분배된 Ω값{2πm/M m=0,1,...,M-1}중 하나를 취하기 때문에, 통상적인 MSDD 검파는 모든 가능한 위상 차동 시퀀스를 검색하고, 각 위상은 MN-1개 이다. 에러율 성능은 관측된 시퀀스 길이 N이 증가함에 따라 향상되고, N=4 혹은 N=5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5인 16PSK 변조의 경우, 검색할 위상 차동 시퀀스의 수는 164=65536개이다. 이 고려할 많은 수의 시퀀스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에러율 성능을 달성하기 위해서 검색 시퀀스의 간소화는 희생된다.
도 2는 알고리즘(200)의 처리 흐름도를 도시하며, 통상적인 MSDD를 수행한다. 단계(201)에서 시작되고, k = 1 내지 N의 N개 연속 부호 rk 가 관측된다. 다음에, 위상 차동 시퀀스의 가능 세트의 각 k(k=1내지 N-1)는 세트 Ω = {2πm/M, m=0, 1,...,M-1} 안에서 M 개의 균일 분배 위상 값의 세트중의 하나이다. 가능 세트는 MN-1개이다. 도 5는 이러한 세트의 배열의 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N=4 이고 M=4 이며, 가능 위상 차동 시퀀스 44-1=64 개의 세트를 도시한다. 단계(203)에서, 각 가능 위상 시퀀스는 전체 MN-1개의 값을 부여하는 로 표현된다. 다음에, 단계(204)에서는 단계(203)에 대한 최대 값을 찾을 수 있고, 이 최대값은 최상의 추정 위상 차동 시퀀스이다. 마지막으로, 단계(205)에서는, 최종 정보 위상 시퀀스는 방정식(5)를 사용하여 로 부터 추정되고, 정보 비트는 위상과 비트 사이에서 그레이 디 매핑으로부터 얻어진다.
MSDD가 통상적인 DD(Symbol-by- symbol)보다 더 향상된 에러 성능을 제공하지만, MSDD의 복잡도는 현저하게 크다. 그러므로, 덜 복잡한 MSDD 시스템과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수신기의 채널 부호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MSDD의 알고리즘(200) 처리 흐름도이다.
도 3a는 복잡도가 감소된 MSDD의 알고리즘(300) 처리 흐름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단계(302)의 상세한 처리 흐름도이다.
도 4a,4b,4c는 복잡도가 감소된 MSDD의 알고리즘 실행 블럭도이다.
도 5는 통상의 MSDD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된 가능한 위상 시퀀스 표이다.
도 6은 통상의 간략화된 MSDD 알고리즘의 부호 에러율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M진 (M-ary) 통신 데이터의 다중 부호 차동 검파 위상 평가 방법이 이용되며, 통신 데이터는 M개의 전송 위상 중의 하나를 갖는 각각의 N개 순차적 부호 r1 ... rN 으로 구성된다. 가능한 차동 위상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N-1개 요소의 선택된 시퀀스는 다중 부호 차동 검파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된다. 다음에, 각 위상 차동 추정치에 대한 기준으로서, r1 을 사용하고, SN-1 개 위상 차동 시퀀스가 상기 부호 세트의 계산을 위해 i= 1내지 s에 대해 형태(P2i, P3i,...,PNi)로 선택되는데, 여기에서 s는 미리 결정되고, 1<s<M이다. 추정하는 동안 M개의 가능 위상 차동 값 중 하나씩 모두를 구하는 것보다, 감소된 s 위상 차동 추정 값의 감소된 후속 시퀀스를 실제 전송된 위상 차동 값의 근사값을 기초로 하여 선택하는 것이 좋다. s 위상 차동 추정치는 차동 검출 표현식 의 최대값을 산출하여 수리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각각의 SN-1개의 위상 차동 시퀀스는 MSDD 를 사용하여 계산되고, 최종의 최우도 위상 시퀀스를 결정한다. 결과의 최종 위상 시퀀스를 사용하여는 그레이 디매핑방법에 의해 위상 정보 비트와 정보 위상 추정치를 결정한다.
도 3a는 서브세트 검색 개념을 이용한 MSDD 알고리즘(200)의 검색 복잡성을 감소시킨 MSDD 알고리즘(300)을 도시한다. 먼저, 단계(301)에서, N 연속 부호 rk를 1≤k≤N-1에 대해 관측한다. 단계(302)에서, 알고리즘(200)에서 시도된 MN-1 개의 위상 추정치의 전체 세트 중에서 최적 측정치로서 sN-1 개 위상 차동 추정 시퀀스 세트{β1, β2 ..., βN-1}를 선택한다. 도 3b에서는, 단계(302)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단계(302a)에서, 초기 수신된 신호 r1를 r1과 각 후속 시퀀스 rk 사이의 위상 차이를 판정하기 위한 바람직한 기준 전류로서 선택한다. 단계(302b)에 있어서, s 차동 위상의 작은 후보는 모든 가능 위상 M중에서 {βk1, βk2, ..., βks}(1≤k≤N-1)를 추정하는데, 여기에서 1<s<M 이고 s는 미리 결정된다. 선택된 s 위상 추정치는 실제 위상 차 ΔΦk의 근사값이다. 위상 차동 추정치의 근사값을 얻기 위하여, 최대 결과 값을 산출하는, 각 βk는 s 위상 차동 측정치 {βk1, βk2, ..., βks}를 선택하는 통상적인 DD 표현식 에 적용된다. 이 부호 단위의 DD의 산입은 단계(302b)에서 처리되고, 알고리즘(300)은 MSDD와 DD 처리의 조합임을 알 수 있다. 단계(302c)에서, sN-1개의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 세트가 있게 도며, 여기서 Pk= {βk1, βk2, ..., βks}이다. 다시 도 3a로 돌아가서, 단계(302)의 결과는 sN-1개의 위상(P1, P2,...,PN-1)의 시퀀스이다. 최우도 위상 차동 후보가 있게 된다. 즉, P1에 대한 s값은 실제 위상 차동 1 의 근사값이고, P2 대한 s값은 실제 위상 차동 2값의 근사값, 등등이다.
단계(303)에서, sN-1개의 모든 가능 위상 시퀀스(P1, P2,...,PN-1)는 표현식으로 표현된다. 위상 후보 세트는 s<M 이고 sN-1<MN-1이기 때문에, 알고리즘(200)과 비교하여 그 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s가 매우 작을 때, 검색하기 위한 위상 차동 시퀀스의 수는 더 작아지고, 현저하게 복잡성이 줄어든다. 예를 들어, s=2, N=4 및 M=4 에 대해 결과의 위상 차동 시퀀스는 8개 세트가 된다. 이것은 도 5에 도시된 64개의 위상 차동 시퀀스보다 더 작고, 알고리즘(200)과 같은 통상적인 MSDD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된다.
단계(304)에서 단계(303)의 최대값 결과 벡터는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β1, β2,...,βN-1}를 결정한다. 조합의 단계(303, 304)는 다음의 결정 통계치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식 (6)
s=M일때, 통계치는 간단히 이다.
단계(305)에서 최종 정보 위상 시퀀스는 방정식 (7)을 사용한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β1, β2,...,βN-1}로 부터 추정되고, 위상 정보 비트는 그레이 디매핑으로부터 얻는다.
식 (7)
도 4는 MSDD 병렬 구현예(400)의 블럭도를 도시하고, 여기에서 N=4, s=2이다. N=4이므로, 후보 위상의 sN-1개의(즉, 8) 서브세트(P1,P2,P3)를 결정하기 위한 N-1=3개의 병렬 선택 회로(401,402,403)가 있게된다. 선택 회로(401)는 지연 블럭(410,411)을 포함하고, 콘쥬게이터(412), 곱셈기(413), 곱셈기(415k)(k=1 내지N-1), 증폭 블럭(416k)(k=1 내지N-1), 판단 블럭(417), 곱셈기(418,419) 및 스위치(450)을 포함한다. 입력 신호 rk+3는 기준 부호로서 확정 rk를 위상차를 추정하는 연속 부호로서 rk+1을 수립하기 위해 지연부(410,411)를 통과한다. 콘쥬게이터(412)의 출력은 곱셈기(413)에 의해 연속 부호 rk+1가 곱해질 때, 위상 차동 값을 산출하는 콘쥬게이트 rk * 를 산출한다 . 다음에, 위상 차이는 세트 βk의 각 위상에 곱셈기(415k)에 의해 곱해지는데, 여기에서 βk= (2πk/M, k=0,1,...,M-1)이다. 다음에, 곱셈값은 증폭 블럭(415k)를 거쳐 판단 블럭(417)에 입력되고, 이 판단 블럭에서 서브세트 P1=[βk1, βk2]에 대해서 최대값 s=2 입력 값을 선택한다. 블럭(410)의 출력값은 곱셈기(418,419)에 의해 출력된 rk+1e-jβk 와 rk+1e-jβk 의 곱이다.
판단 회로 (402,403)는 묘사된 블럭(401)과 유사한 요소의 병렬 세트를 포함한다. 판단 회로 (402)는 기준 부호 rk와 rk+2 지연 블럭(402,421)을 포함하는데, 이 지연 블록은 기준 부호 rk와 부호 rk+2 의 처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판단 블럭(427)은 후보 위상 P2=[βk3, βk4]을 선택한다. 이와는 달리, 블럭(403)은 지연 블럭(431)을 포함함으로써, 판단 블럭(437)으로 하여금 기준 부호 rk와 부호 rk+3 에 대해 위상 차동 후보 P3=[βk5, βk6]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합산기(404)는 스위치(450,451,452)에 의해 교번된 블럭(401,402,403)의 출력값의 교번적 조합 값 플러스 기준 부호 rk를 가산한다. s=2이므로, 스위치(450, 451, 452)에 의해 산출된 위상 차동 시퀀스(P1,P2,P3)의 23=8 조합이 있게 된다. 판단 블럭(405)은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를 선택하며,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는 최대 합을 산출하는 위상 차동 시퀀스(P1,P2,P3)이다.
도 6은 16PSK에 대한 MSDD 알고리즘의 부호 에러율(SER) 성능을 도시하는데, 차동 부호 관측 길이 N=3, 4, 5 에 대해서 s=2 이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성이 감소된 MSDD 알고리즘(300)(s=2)은 본래의 MSDD 알고리즘(200)(s=M)과 거의 같은 성능을 제공한다. 이것은 MSDD 알고리즘(300)이 방정식(6)의 통계치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벡터 (1≤k≤N-1)와 r1 사이에서 2개의 근사 위상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2<s<M 에 대해, 성능은 s=2와 본질적으로 같고, s>2에서 알고리즘(300)의 복잡성의 증가 이익은 없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최적값은 s에 대해 가장 간소한 가능 선택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고, s=2 이다.
표 1은 부호 관측 길이 N=5에 대해 s=2인 알고리즘(300)과 알고리즘(200)의 복잡성 비교를 도시한다. 검색하기 위한 위상 차동 시퀀스의 수는 상당히 감소됨에 따라, 처리 속도는 빨라진다.
표 1
M 변조 MSDD(200)에 대해서 검색하기 위한 위상 차동 시퀀스 수(MN-1) MSDD(300)에 대해서 검색하기 위한 위상 차동 시퀀스 수(SN-1) 축소 요소 속도 요소(X배 더 빠른)
4 4PSK 256 16 16 12
8 8PSK 4096 16 256 229
16 16PSK 65536 16 4096 3667

Claims (7)

  1. a) N개의 순차 부호의 수신 세트(r1 내지 rN )를 관측하는 단계로서, 연속 부호의 각 쌍이 M(M>2)개의 위상중에서 위상 차동을 갖는 것인 관측 단계와;
    b) 세트 (2πk/M, k=0, 1,...,M-1)로 부터 선택된 위상 차동의 가능한 시퀀스를 나타내는 N-1개의 요소의 선택된 시퀀스에 기초해서 부호 세트(r1 내지 rN )를 평가하는 단계;
    c) 상기 부호 세트를 평가하기 위해서 (P2i, P3i,...,PNi)(i=1 내지 s)형태의 SN-1(1<S<M)개의 위상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MPSK 통신 데이터의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제1 부호 r1 및 각 다른 부호 rk(K=2 내지 N) 사이의 위상 차동을 추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 c)는 세트(2πk/M, k=0, 1,...,M-1)에서 선택된, 각 k에 대한 M 개 위상중 S개의 근사 위상(βk1 내지 βks)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S개의 근사 위상은 표현식 를 이용하여 S개의 최대값을 산출함으로써, S개 위상 차동의 N-1개의 세트를 형성하며,
    d)상기 단계 (c)의 표현식 에서 SN-1 위상 시퀀스를 구하여, 최대 결과값을 산출하는 위상 시퀀스를 선택함으로써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β1, β2 ..., βN-1)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e) 상기 단계(d)의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로부터 전송된 정보 위상 차동 시퀀스의 추정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f) 그레이 디매핑에 의해 위상 정보 비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e)는 관계식 을 사용하여 추정치를 계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βm(m=1내지 N-1)은 상기 단계(d)의 최적 위상 차동 시퀀스를 나타내고, 는 추정된 전송 정보 위상 차동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인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2이고, 이 2개 근사 위상은 결정되는 것인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M=4, N=4, S=2이고, 상기 위상 βk1내지 βks 는 세트(0, π/2, π, 3π/2)에서 선택되어, SN-1 개의 위상 세트
    (P21, P31, P41)
    (P21, P31, P42)
    (P21, P32, P41)
    (P21, P32, P42)
    (P22, P31, P41)
    (P22, P31, P42)
    (P22, P32, P41)
    (P22, P32, P42)
    를 산출하는 것인 다중 부호 차동 검출 위상 평가 방법.
  7. N개의 순차 rk부호의 수신 세트(r1 내지 rN )에 대한 통신 수신기 내에서 다중 부호 차동 검출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연속 부호의 각 쌍은 M (M>2)위상 사이의 위상 차동을 가지며,
    N-1 병렬 선택 회로로서, 각각의 상기 세트(βk= 2πk/M, k=0,1,...,M-1)로 부터 S 후보 위상 세트를 산출하기 위해 (여기에서 1<S<M) 이 각 선택 회로는
    순차 부호의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지연 요소와,
    (rk)(e-jβk)의 병렬 곱을 산출하기 위한 M 곱셈기와,
    표현식 안에서 S 최대값을 산출하는 S 후보 위상을 선택하기 위한 결정 요소와;
    i=1내지 N-1이고 β'k 는 s개의 선택된 위상 후보중 하나를 나타내는 (rk)(e-jβ'k)의 병렬 곱을 산출하기 위한 S 곱셈기를 포함하는 N-1병렬 선택 회로와;
    N-1개 선택 회로의 곱의 출력을 더하기 위한 가산기;
    N-1개 병렬 선택 회로로부터 SN-1개 위상 시퀀스를 게산하고 최대 곱의 값을 산출하는 위상 시퀀스를 선택하기 위한 결정 요소
    를 포함하는 다중 부호 차동 검출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057007165A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0755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79,238 2002-10-24
US10/279,238 US6842496B2 (en) 2002-10-24 2002-10-24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383A Division KR100902624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65A true KR20050105165A (ko) 2005-11-03
KR100755252B1 KR100755252B1 (ko) 2007-09-05

Family

ID=3210665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165A KR100755252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20087024481A KR100914012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20057017383A KR100902624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20097002130A KR20090021398A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481A KR100914012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20057017383A KR100902624B1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1020097002130A KR20090021398A (ko) 2002-10-24 2003-10-07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842496B2 (ko)
EP (1) EP1554853A4 (ko)
JP (1) JP4057012B2 (ko)
KR (4) KR100755252B1 (ko)
CN (1) CN1706164A (ko)
AU (1) AU2003279178A1 (ko)
CA (1) CA2503440A1 (ko)
MX (1) MXPA05004245A (ko)
NO (1) NO20052293D0 (ko)
TW (4) TWI249311B (ko)
WO (1) WO2004039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32B1 (ko) * 2008-09-29 2010-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2496B2 (en) * 2002-10-24 2005-0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KR100759801B1 (ko) * 2005-12-02 200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PSK(M-ary Phase ShiftKeying)시스템의 심볼 판별 장치 및 방법
CN102859890B (zh) * 2010-01-11 2015-08-05 三星电子株式会社 超宽带通信装置和方法
US20130170842A1 (en) * 2012-01-04 2013-07-04 Toshiaki Koike-Akino Method and System for Equalization and Decoding Received Signals Based on High-Order Statistics in Optical Communication Networks
US9426082B2 (en) * 2014-01-03 2016-08-23 Qualcomm Incorporated Low-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or 2-wire differential link with symbol transition clocking
KR102460071B1 (ko) * 2017-12-21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모뎀 전단의 통신신호 식별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483A (en) * 1896-09-29 Puzzle
JP3212732B2 (ja) 1993-02-10 2001-09-25 三菱電機株式会社 受信機およびこれ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JPH06311195A (ja) 1993-04-20 1994-11-04 N T T Idou Tsuushinmou Kk Apsk変調信号復調装置
WO1994029990A1 (fr) * 1993-06-04 1994-12-22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Procede de detection de retard par estimation de probabilite maximum et detecteur de retard mettant en ×uvre ce procede
EP0684706B1 (en) * 1993-11-05 2003-02-05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Replica producing adaptive demodulating method and demodulator using the same
US5644592A (en) * 1995-04-24 1997-07-01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Parallel interference cancellation for CDMA applications
US5790588A (en) * 1995-06-07 1998-08-0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pread spectrum transmitter and receiver employing composite spreading codes
KR100754810B1 (ko) 1996-11-05 2007-09-03 월드스페이스 인코퍼레이티드 디지털위성 직접 방송시스템
JP2988398B2 (ja) * 1996-11-27 1999-12-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ユニークワード遅延検波方式および復調装置
US5786725A (en) * 1996-12-27 1998-07-28 Lucent Technologies Inc. Reduced complexity maximum likelihood multiple symbol differential detector
TW444471B (en) 1998-10-12 2001-07-01 Macronix Int Co Ltd Multi-phase DPSK communication receiver providing speed of 1/T symbol per second
JP3620700B2 (ja) 1999-03-15 2005-02-1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光記録媒体及び光記録媒体再生装置
JP3776283B2 (ja) 2000-03-17 2006-05-17 三菱電機株式会社 復調器、受信機、および通信システム
TW457376B (en) 2000-08-28 2001-10-01 Cheng Jou Linear polarized phase shift keying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6922438B1 (en) * 2000-12-15 2005-07-26 Conexant Systems, Inc. System for MPSK symbol hypothesis testing
US6842496B2 (en) * 2002-10-24 2005-01-1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9532B1 (ko) * 2008-09-29 2010-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252B1 (ko) 2007-09-05
US20090060098A1 (en) 2009-03-05
TWI288544B (en) 2007-10-11
KR100914012B1 (ko) 2009-08-28
JP4057012B2 (ja) 2008-03-05
MXPA05004245A (es) 2005-07-27
TWI249311B (en) 2006-02-11
KR100902624B1 (ko) 2009-06-15
US20040081258A1 (en) 2004-04-29
NO20052293L (no) 2005-05-10
US20050105652A1 (en) 2005-05-19
CN1706164A (zh) 2005-12-07
TW200408245A (en) 2004-05-16
KR20050096987A (ko) 2005-10-06
US6842496B2 (en) 2005-01-11
NO20052293D0 (no) 2005-05-10
TW200950429A (en) 2009-12-01
US7706482B2 (en) 2010-04-27
WO2004039025A1 (en) 2004-05-06
CA2503440A1 (en) 2004-05-06
JP2006511102A (ja) 2006-03-30
US7440519B2 (en) 2008-10-21
EP1554853A4 (en) 2010-05-05
AU2003279178A1 (en) 2004-05-13
KR20080098552A (ko) 2008-11-10
TW200515750A (en) 2005-05-01
TW200729865A (en) 2007-08-01
KR20090021398A (ko) 2009-03-03
EP1554853A1 (en)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1837B1 (en) Differential detection method and detector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US7706482B2 (en)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JP3164309B2 (ja) 最尤復号同期検波方法
CA2448258A1 (en) Channel estimation in cdma communications systems using both lower power pilot channel and higher power data channel
US7017104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block codes by calculating a path metric according to a decision feedback sequence estimation algorithm
CN101753504A (zh) 差分调制解调方法、发射机以及接收机
US6961391B2 (en) Signal processor used for symbol recovery and methods therein
Li A new reduced-complexity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Mackenthun A fast algorithm for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of QPSK or pi/4-QPSK sequences with unknown phase
Gong et al. Two-dimensional differential demodulation for 64-DAPSK modulated OFDM signals
EP1654847A1 (en) A demodulation method using soft decision for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and apparatus thereof
JPH05335893A (ja) 等化方法及び装置
CN113965439A (zh) 一种适用于2dpsk系统的多符号联合检测方法
Mei On Optimality and Regressive Implementation of Multiple-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of M-Ary DPSK Signals
CA2495414C (en) Frequency tracking for communications signals using m-ary orthogonal walsh modulation
KR101481024B1 (ko) 다중 안테나 통신시스템에서 로그 우도 율 생성 장치 및방법
JPH09247059A (ja) フェージング等化器
Papproth et al. Viterbi detection for the double differential MPSK modulation
He et al. The outpu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correlation receiver for GMSK signals
Vasudevan et al. Differential detection of multilevel signals in frequency nonselective Rayleigh fading channels with diversity
JPH1051363A (ja) ビタビ等化器
Mei et al. A regressive algorithm for multiple-symbol differential-detection of DPSK
JPH06152674A (ja) 遅延検波装置
WO1999063720A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carrier frequency reco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