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9532B1 -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9532B1
KR100949532B1 KR1020080095039A KR20080095039A KR100949532B1 KR 100949532 B1 KR100949532 B1 KR 100949532B1 KR 1020080095039 A KR1020080095039 A KR 1020080095039A KR 20080095039 A KR20080095039 A KR 20080095039A KR 100949532 B1 KR100949532 B1 KR 100949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data symbol
data
error
symbo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종수
권순찬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3Rate matching, e.g. puncturing or repetition of code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0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 H04L27/2032Modulator circuits; Transmitter circuits for discrete phase modulation, e.g. in which the phase of the carrier is modulated in a nominally instantaneous man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수신 심볼을 관찰하여 전송 프레임 상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시키는 장치로서,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이동 방송 수신기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휴대 이동 방송 시스템(ex. T-DMB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심볼 오류 위치 추정(SEPE: Symbol Error Position Estimator), 심볼 오류 보상기(SEC: Symbol Error Compensator),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지상파 DMB(T-DMB), OFDM, 연판정 출력값 생성(soft output generate), 차등 검출(DD: Differential Detection)

Description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nd detecting symbol error of transport frame, and mobile broadcasting receiver having the said apparatus, and mobile broadcasting system having the said mobile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수신 심볼을 관찰하여 전송 프레임 상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이다. 현재 서비스되는 디지털 방송 방식은 크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DMB는 다시 지상파 DMB(T-DMB: Terrestrial DMB)와 위성 DMB(S-DMB: Satellite DMB)로 나눌 수 있다.
지상파 DMB는 유럽의 디지털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Eureka-147 DAB를 기반으로, 전송 채널상 발생할 수 있는 연집 에러(burst error)에 강인한 RS(Reed Solomon) 코드와 길쌈 인터리버(convolutional interleaver)를 부가하고 있다. 또한 지상파 DMB는 수신단에 비터비 복호화기(viterbi decoder) 앞에 별도의 채널 추정(channel estimation) 과정이 필요치 않은 비동기식(Non-coherent) 방식의 차등 검출기(differential detector)를 구비함으로써 수신단 하드웨어 구조를 단순화시켰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비동기식 검출(Non-coherent detection) 방식의 종래의 지상파 DMB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에서 동기식 검출(coherent detection) 방식보다 약 3~4dB 정도의 신호대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e) 손실이 발생하는 등 수신 성능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대 우도 시퀀스 추정(MLS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 기반의 다중 심볼 차등 검출 기법(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을 수신단에 도입할 수 있다. 이 기법은 심볼들을 검출하기에 앞서 다수의 수신 심볼을 관찰함으로써 검출 오류를 감소시키는 기법을 말한다. 그러나, 이 기법에 따른 출력값은 경판정(hard decision) 값으로써 길쌈 부호(convolutional code)와 같은 채널 부호와 연동할 경우 오히려 비터비 복호화 기의 부호화 이득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휴대 이동 방송 시스템들은 낮은 심볼 오류율 달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채널 부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중 심볼 차등 검출 기법은 휴대 이동 방송 시스템(ex. T-DMB 시스템)에는 사용이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심볼 오류 위치 추정 방법(SEPD: Symbol Error Position Estimation)을 이용하여 수신 심볼의 오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구비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에 따른 경판정(hard decision) 값과 위치 추정된 오류 심볼에 인접하는 심볼들을 이용하여 상기 위치 추정된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는 심볼 오류 보상부를 구비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호화된 신호를 수신하여 복호화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수신한 부호화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 각각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정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을 보상하여 보상 데이터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포함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부; 상기 수신된 부호화 신호를 복조시키는 복조부;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복조 신호를 차등 복호화시키는 차등 복호화부; 및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를 디인터리빙시키는 디인터리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심볼 단위로 맵핑된 신호를 인터리빙시 키는 인터리빙부, 상기 인터리빙된 심볼을 차등 부호화시키는 차등 부호화부, 상기 차등 부호화된 심볼을 변조시키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심볼을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로 전송하는 이동 방송 송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를 이용하여 수신 심볼의 오류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수신 심볼의 오류 발생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둘째, 심볼 오류 보상부를 이용하여 심볼의 오류를 보상해 줌으로써 고속 이동통신 환경의 다중 경로 페이딩 채널(multi-path fading channel)에서 비트 오류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와 심볼 오류 보상부를 이용하여 심볼의 오류를 제거시킴으로써 연판정 출력값(soft output)을 얻을 수 있으며, 이 연판정 출력값을 채널 복호화부에 제공함으로써 부호화 이득을 증가시킬 수 있다. 넷째, 이상 언급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은 간단한 이동 방송 수신기의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동 방송 수신기의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휴대 이동 방송 시스템(ex. T-DMB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시스템(10)은 이동 방송 송신기(100)와 이동 방송 수신기(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 방송 시스템(10)은 OFDM 송수신 방식을 이용함을 고려할 때 지상파 DMB(T-DMB)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이동 방송 송신기(100)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이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이동 방송 시스템에 구비되는 이동 방송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이동 방송 송신기(100)는 채널 부호화부(channel encoder)(110), 심볼 맵핑부(symbol mapper)(120), 주파수 인터리빙부(frequency interleaver)(130), 위상 기준 신호 발생부(140), 차등 부호화부(differential encoder)(150), 직교 변조부(OFDM modulator)(160), 송신부(170), 전원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심볼 맵핑부(120)는 채널 부호화부(110)를 거쳐 부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심볼 단위로 맵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심볼 맵핑부(120)는 이동 방송 송신기(100)가 지상파 DMB 송신기(T-DMB transmitter)인 것을 감안할 때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심볼 단위로 맵핑시키는 QPSK 심볼 매퍼로 구현될 수 있다.
주파수 인터리빙부(130)는 심볼 맵핑부(120)를 거쳐 맵핑된 단위 심볼(즉, QPSK 심볼)을 주파수 별로 인터리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위상 기준 신호 발생부(140)는 DQPSK(Differential QPSK) 변복조를 위한 위상 기준 심볼(phase reference symbol)을 차등 부호화부(150)와 직교 변조부(16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등 부호화부(150)는 주파수 별로 인터리빙된 QPSK 심볼을 차등 부호화하여 DQPSK 심볼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차등 부호화부(150)의 이러한 기능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1
상기 (a)에서, dk는 주파수 별로 인터리빙된 QPSK 심볼이고, P는 신호 파워 상수이다. φk는 φk∈{2πm/4; m=0,1,2,3}을 만족하는 균일 분산값 중 하나인 전송 위상(transmit phase)이고, T는 QPSK 심볼 간격이다. t는 타임 인덱스이다. 또한, 상기 (b)에서, xk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2
일 때의 DQPSK 심볼이다.
직교 변조부(160)는 차등 부호화된 DQPSK 심볼을 OFDM 변조시키는 기능을 수 행한다. 직교 변조부(160)의 이러한 기능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3
상기에서, Sk는 전송 OFDM 심볼이고, IFFT{}는 역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함수이다.
한편, 직교 변조부(160)는 위상 기준 심볼과 아무런 신호도 전송되지 않는 널 심볼(null symbol)도 함께 OFDM 변조시킨다.
송신부(170)는 OFDM 변조된 DQPSK 심볼, 위상 기준 심볼, 널 심볼 등을 전송 프레임에 실어 이동 방송 수신기 측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80)는 이동 방송 송신기(100)의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90)는 이동 방송 송신기(100)의 구성요소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이동 방송 수신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에 구비되는 차등 복호화부의 개념도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200)는 수신부(210), 직교 복조부(OFDM demodulator)(220), 차등 복호화부(230), 주파수 디인터리빙부(frequency deinterleaver)(240), 심볼 디맵핑부(symbol demapper)(250), 채널 복호화 부(channel decoder)(260), 전원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수신부(210)는 이동 방송 송신기(100)로부터 전송된 전송 프레임을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전송 프레임에 데이터 심볼로 OFDM 변조된 DQPSK 심볼이 실려 있음은 이미 언급한 바 있다.
직교 복조부(220)는 수신부(210)가 수신한 심볼을 OFDM 복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직교 복조부(220)의 이러한 기능을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4
상기에서, rk는 OFDM 복조된 심볼이고, FFT{}는 FFT 함수이다. yk는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 채널에서의 대응 수신 신호이고, θk는 (-π, π) 구간에서 균일 분산된 것으로 추측되는 특정 면 정보가 없는 AWGN 채널에서의 임의의 위상 벡터이다. nk는 (b) 식을 따르는 분산을 가지는 평균값이 0인 복소 가우시안 잡음이며, θ'k는 θk의 FFT 버전이다. n'k는 nk의 FFT 버전이다.
차등 복호화부(230)는 OFDM 복조된 심볼을 차등 복호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차등 복호화부(230)는 구비된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를 이용하여 상기 심볼의 오류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차등 복호화부(230)는 구비된 심볼 오류 보상부(232)를 이용하여 위치 추정된 심볼 오류를 보상시키는 기 능도 수행한다.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가 심볼의 오류 위치를 추정할 때에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 방법(SEPE: Symbol Error Position Estimation)을 이용하며, 심볼 오류 보상부(232)가 위치 추정된 심볼 오류를 보상시킬 때에는 위치 추정된 오류 심볼에 인접하는 심볼들과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에 따른 경판정(hard decision) 값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등 복호화부(230)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주파수 디인터리빙부(240)는 차등 복호화된 심볼을 주파수 별로 디인터리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심볼 디맵핑부(250)는 디인터리빙된 심볼을 디맵핑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채널 복호화부(260)는 디맵핑된 심볼을 채널 복호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의 채널은 AWGN 채널인 것이 일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주파수 디인터리빙부(240), 심볼 디맵핑부(250), 채널 복호화부(260) 등은 각각 도 2에서 언급한 주파수 인터리빙부(130), 심볼 맵핑부(120), 채널 부호화부(110) 등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전원부(270)는 이동 방송 수신기(200)의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280)는 이동 방송 수신기(200)의 구성요소들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와 심볼 오류 보상부(232)를 구비하는 차등 복호화부(23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미 언급하였듯이, 차등 복호화부(230)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 방법(SEPE)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OFDM 복조된 심볼들 중에서 오류가 있는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며, 위치 추정된 오류 심볼에 인접하는 심볼들과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에 따른 경판정(hard decision) 값을 이용하여 위치가 추정된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킨다.
심볼 오류 위치 추정 방법(SEPE)에 따르면, 직교 복조부(2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각각의 심볼들의 출력을 상호 비교하여 오류가 있는 심볼의 위치를 추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속된 두 심볼들의 출력비(power ratio)가 기준값(threshold)보다 더 낮을 경우 선행하는 심볼을 오류가 있는 심볼로 추정한다. 보다 자세한 심볼 오류 위치 추정 방법(SEPE)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예를 들어 설명할 것이다.
한편, 직교 복조부(220)로부터 수신한 신호에서 연속된 복수개의 심볼들을 추출할 때에는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 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을 이용한다.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은 N개의 심볼들로 이루어진 다중 심볼 구간의 시퀀스를 관찰하므로 차등 검출 성능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러한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은 전송 신호 위상들의 최대 우도 시퀀스 추정(MLSE: Maximum Likelihood Sequence Estimation)에 기반한다. 최대 우도 검출 알고리즘(maximum-likelihood detection algorithm)을 이용하면 판단 변수(decision statistics)는 다음 수학식으로 정의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5
상기에서, η는 최대 우도 시퀀스 추정(MLSE) 기반의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에서의 판단 변수이고,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6
는 k번째 전송 구간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 위상으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7
를 만족한다.
상기 수학식 4에 따르면, η이 최대값일 때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8
를 선택한다. 상기에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09
는 QPSK 신호의 최대 우도 검출된 위상 벡터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0
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은 관측 심볼 구간으로서 연속된 3개의 심볼들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에서의 관측 심볼 구간과 계산 복잡도(computational complexity) 사이에는 트레이드오프(tradeoff)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오류가 있는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데에 연속된 3개의 심볼들을 이용하기로 한다.
P1 지점에서의 수신 심볼을 rk, P2 지점에서의 수신 심볼을 rk-1, P3 지점에서의 수신 심볼을 rk-2라고 하자. 그리고, rk 심볼의 출력을 pk, rk-1 심볼의 출력을 pk-1, rk-2 심볼의 출력을 pk-2라고 하자. 각 심볼의 출력을 구하는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1
상기에서, real(rk)는 rk 심볼 벡터의 실수부 값이고, imag(rk)는 rk 심볼 벡터의 허수부 값이다.
P1 지점, P2 지점, P3 지점으로부터 rk 심볼, rk-1 심볼, rk-2 심볼이 입력되면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는 오류가 있는 심볼의 위치를 추정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오류가 있는 심볼의 위치를 추정할 때에는 두 심볼 간의 출력비가 기준값보다 작은지를 고려한다. 도 5를 참조하면,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2
가 기준값보다 작고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3
도 기준값보다 작다면 P1 지점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으며, 이때 오류가 있는 심볼은 rk 심볼이 된다. 또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4
가 기준값보다 작고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5
가 기준값보다 작다면 P2 지점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며, 이때 오류가 있는 심볼은 rk-1 심볼이 된다. 마찬가지로, 또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6
가 기준값보다 작고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7
가 기준값보다 작다면 P3 지점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며, 이때 오류가 있는 심볼은 rk-2 심볼이 된다.
한편, P1 지점, P2 지점, P3 지점 중에서 선택된 두 지점은 별도의 접점을 형성하며, 이 접점에서 계산된 두 심볼 벡터의 곱이 MSDD(Multi 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최대 우도(ML: Maximum Likelihood) 기반 위상 검출기(301)로 입력된다.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는 상기 입력을 토대로 인접하는 두 심볼들 간의 위상차로부터 도출된 입력 데이터 위상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8
,
Figure 112008067985142-pat00019
를 출력한다.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가 출력한 신호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가 계산한 결과와 함께 심볼 오류 보상부(232)에 제공된다.
심볼 오류 보상부(232)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와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가 출력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 심볼을 보상시킨다.
구체적으로, 심볼 오류 보상부(232)는 부호화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되며 손실된 데이터 심볼에 인접한 데이터 심볼이 2개인 경우,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전후에 위치한 데이터 심볼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보상 데이터 심볼들을 소정의 가중치에 따라 합산한다.
또한,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의 관찰 구간 크기는 3일 경우, 심볼 오류 보상부(232)는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이 최초로 발견된 타임 인덱스k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 상기 타임 인덱스k에 후행하는 타임 인덱스k+1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 및 상기 타임 인덱스k+1에 후행하는 타임 인덱 스k+2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에 따른 합산을 수행하고, 상기 합산된 값을 5개의 관찰 구간을 통해 생성된 보상 데이터 심볼로서 생성하는 합산부를 더 포함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이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① k=k'-2일 때 P1 지점에 심볼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도 6의 (a) 참조)
이 경우에는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가 △ΦP1,k'-2와 △ΦP1,k'-3을 출력한다. 따라서, 심볼 오류 보상부(232)가 상기 출력을 이용하여 오류를 보상시킨 심볼 벡터는 아래 수학식과 같게 된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0
상기에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1
는 오류 보상된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2
은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에 인접하는 인접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3
는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과 상기 인접 심볼 간의 위상차값이다.
그런데,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231)와 심볼 오류 보상부(232)의 계산 결과로부터 r'k-1=r'k'-3=rk'-3이고 r'k-2=r'k'-4=rk'-4이므로 차등 복조부(302)로부터 최종 생성되는 연판정 신호의 벡터값(soft output vector)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4
② k=k'-1일 때 P2 지점에 심볼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도 6의 (b) 참조)
이 경우에는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가 △ΦP2,k'-1과 △ΦP2,k'-1을 출력한다. 따라서, 심볼 오류 보상부(232)가 상기 출력을 이용하여 오류를 보상시킨 심볼 벡터는 아래 수학식과 같게 된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5
상기에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6
는 오류 보상된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7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8
은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에 인접하는 두 인접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29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0
는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과 상기 두 인접 심볼 간의 위상차값이다.
그런데, 상기 수학식 6과 상기 수학식 7을 이용하면 r'k-1 심볼의 벡터값을 구할 수 있다. 이로부터 r'k-2 심볼의 벡터값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1
차등 복조부(302)로부터 최종 생성되는 연판정 신호의 벡터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2
③ k=k'일 때 P3 지점에 심볼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경우 (도 6의 (c) 참조)
이 경우에는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301)가 △ΦP3,k'과 △ΦP3,k'-1을 출력한다. 따라서, 심볼 오류 보상부(232)가 상기 출력을 이용하여 오류를 보상시킨 심볼 벡터는 아래 수학식과 같게 된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3
상기에서,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4
는 오류 보상된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5
은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에 인접하는 인접 심볼의 벡터값,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6
는 상기 오류 보상된 심볼과 상기 인접 심볼 간의 위상차값이다.
그런데, r'k-1=r'k'-1=rk'-1이고, 상기 수학식 6과 상기 수학식 7 및 상기 수학식 8을 이용하면 r'k-2 심볼의 벡터값을 구할 수 있다. 이로부터 r'k'-2 심볼의 벡터값은 다음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7
차등 복조부(302)로부터 최종 생성되는 연판정 신호의 벡터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7985142-pat00038
심볼 오류 보상부(232)가 오류 심볼을 보상시키면, 오류 보상된 심볼을 이용하여 차등 복조부(302)가 연판정 신호를 생성한다. 차등 복조부(302)가 연판정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언급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한편, 차등 복조부(302)로부터 출력되는 연판정 신호는 비터비 복호화부(미도시)로 출력된다. 연판정 신호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비터비 복호화부의 부호화 이득을 향상시켜줄 뿐만 아니라, 이동 방송 수신기(200)의 수신 성능도 크게 향상시킨다. 이는 도 7에 도시된 그래프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서, (a)는 도플러 주파수가 10Hz, 30Hz, 50Hz일 때 TU 채널에서의 종래 차등 검출(DD)과 종래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의 BER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b)는 도플러 주파수가 10Hz, 30Hz, 50Hz일 때 TU 채널에서의 종래 차등 검출(DD)과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심볼 차등 검출(MSDD)의 BER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 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지상파 DMB(T-DMB) 시스템은 다른 이동 방송 시스템과 비교할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OFDM 송수신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주파수를 많이 확보할 수 있어 여러 채널을 우수한 화질로 방송할 수 있다. 둘째, 유럽의 지상파 라디오 표준으로 채택된 Eureka-147 DAB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셋째, 차등 검출을 이용하기 때문에 하드웨어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다.
이에 더하여, 지상파 DMB 시스템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 즉 수신 심볼의 오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 및 위치 추정된 심볼 오류를 보상시키는 심볼 오류 보상부를 포함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할 경우 간단한 수신 단말의 구현 가능, 수신 성능 향상, 더욱 낮아진 오류 발생률 등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오늘날 소형, 고효율, 저가격 등의 특징을 가진 수신기가 이동 방송 시스템에서 우수한 시장성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 이동 방송 시스템에 적용시킬 경우 상기 특징을 가지는 수신기의 구현이 가능하므로, 이동 방송 수신기 제조업 분야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이동 방송 시스템에 구비되는 이동 방송 송신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등 복호화부의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의 기능 설명을 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심볼 오류 보상부의 기능 설명을 위한 참고도,
도 7은 종래 이동 방송 수신기의 BER 성능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방송 수신기의 BER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방송 시스템 100 : 이동 방송 송신기
110 : 채널 부호화부 120 : 심볼 맵핑부
130 : 주파수 인터리빙부 140 : 위상 기준 신호 발생부
150 : 차등 부호화부 160 : 직교 변조부
170 : 송신부 200 : 이동 방송 수신기
210 : 수신부 220 : 직교 복조부
230 : 차등 복호화부 231 :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
232 : 심볼 오류 보상부 240 : 주파수 디인터리빙부
250 : 심볼 디맵핑부 260 : 채널 복호화부
301 : MSDD 최대 우도 기반 위상 검출기
302 : 차등 복조부

Claims (16)

  1. 수신된 부호화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 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는 심볼 오류 보상부; 및
    상기 오류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를 비터비 복호화시키는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들 간의 위상차를 최대 우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오류 보상부는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기 위한 보상 데이터 심볼을 생성하는 데에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의 복소수값과 상기 위상 검출기가 검출하는 연속 데이터 심볼 쌍의 위상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오류 보상부는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되며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에 인접한 데이터 심볼이 2개인 경우,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전후에 위치한 데이터 심볼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을 각각 생성하고, 상기 보상 데이터 심볼들을 소정의 가중치에 따라 합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의 관찰 구간 크기는 3이고,
    상기 심볼 오류 보상부는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이 최초로 발견된 타임 인덱스k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 상기 타임 인덱스k에 후행하는 타임 인덱스k+1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 및 상기 타임 인덱스k+1에 후행하는 타임 인덱스k+2의 관찰 구간에 따른 보상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소정의 가중치에 따른 합산을 수행하고, 상기 합산된 값을 5개의 관찰 구간을 통해 생성된 보상 데이터 심볼로서 생성하는 합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변조 신호를 차등 복조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과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에 인접하는 인접 심볼을 이용하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 의 상기 손실이 없는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더 이상의 데이터 손실이 없는 연판정 신호를 생성하는 차등 복조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복조부는 상기 연판정 신호 생성에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의 복소수 값과 상기 인접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을 곱하거나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과 상기 인접 심볼의 복소수 값을 곱하며,
    상기 연판정 신호 생성에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특정 데이터 심볼의 복소수 값과 다른 데이터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을 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
  8. (a) 수신한 부호화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는 단계;
    (b)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 각각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추정된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을 보상하여 보 상 데이터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보상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a)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 중에서 선택된 데이터 심볼 쌍의 복소곱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된 복소곱을 토대로 최대 우도 알고리즘에 기반하는 연속된 데이터 심볼 쌍을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연속 데이터 심볼 쌍에 대한 위상차를 검출하는 단계;
    (db)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의 복소수값과 상기 위상 검출기가 검출하는 연속 데이터 심볼 쌍의 위상차를 이용하여 상기 손실이 있는 데이터 심볼을 보상시키는 단계; 및
    (dc)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b) 단계는 상기 손실이 있는 데이터 심볼에 인접하는 한개의 인접 심볼이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접 심볼의 상기 복소수값 및 상기 손실이 있는 데이터 심볼과 상기 인접 심볼 간의 상기 위상차를 곱한 제1 값으 로 상기 손실이 있는 데이터 심볼을 보상시키며,
    두개의 상기 인접 심볼이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인접 심볼 각각에 대하여 상기 제1 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제1 값들의 평균값으로 상기 손실이 있는 데이터 심볼을 보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dc) 단계는,
    (dca)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과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에 인접하는 인접 심볼을 이용하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의 상기 손실이 없는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더이상의 데이터 손실이 없는 연판정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dcb) 상기 생성된 연판정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부호화 신호를 복호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ca) 단계는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의 복소수 값과 상기 인접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을 곱하거나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과 상기 인접 심볼의 복소수 값을 곱하여 상기 연판정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손실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 특정 데이터 심볼의 복소수 값과 다른 데이터 심볼의 켤레복소수 값을 곱하여 상기 연판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방법.
  13. 수신된 부호화 신호를 직교 복조시키는 직교 복조부;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를 차등 복호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 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는 심볼 오류 보상부, 및 상기 오류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를 비터비 복호화시키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부;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를 디인터리빙시키는 디인터리빙부;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디맵핑시키는 디맵핑부; 및
    상기 디맵핑된 신호를 채널 복호화시키는 채널 복호화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부는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쌍들 간의 위상차를 최대 우도 알고리즘에 기반하여 검출하는 위상 검출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심볼 오류 보상부는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기 위한 보상 데이터 심볼을 생성하는 데에 상기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들의 복소수값과 상기 위상 검출기가 검출하는 연속 데이터 심볼 쌍의 위상차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15. 이동 방송을 위한 신호를 부호화시켜 전송하는 이동 방송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된 부호화 신호를 직교 복조시키는 직교 복조부,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를 차등 복호화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로부터 데이터 심볼의 개수가 3 이상인 관찰 구간에 따른 데이터 심볼군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데이터 심볼군에 포함된 데이터 심볼 쌍에 따른 출력비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출력비를 이용하여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위치를 추정하는 심볼 오류 위치 추정부와, 상기 손실된 데이터 심볼의 오류를 보상시키는 심볼 오류 보상부, 및 상기 오류 보상된 데이터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직교 복조된 신호를 비터비 복호화시키는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부, 상기 차등 복호화된 신호를 디인터리빙시키는 디인터리빙부, 상기 디인터리빙된 신호를 디맵핑시키는 디맵핑부, 및 상기 디맵핑된 신호를 채널 복호화시키는 채널 복호화부를 포함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송 시스템은 OFDM 변복조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KR1020080095039A 2008-09-29 2008-09-29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KR100949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039A KR100949532B1 (ko) 2008-09-29 2008-09-29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5039A KR100949532B1 (ko) 2008-09-29 2008-09-29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9532B1 true KR100949532B1 (ko) 2010-03-25

Family

ID=4218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5039A KR100949532B1 (ko) 2008-09-29 2008-09-29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9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4861A (zh) * 2015-01-30 2021-06-18 寰发股份有限公司 用于辅助授权接入laa的帧结构以及数据映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725A (en) 1996-12-27 1998-07-28 Lucent Technologies Inc. Reduced complexity maximum likelihood multiple symbol differential detector
JP2001268147A (ja) 2000-03-17 2001-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復調器、受信機、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50105165A (ko) * 2002-10-24 2005-11-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20080060180A (ko) * 2006-12-26 2008-07-0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6725A (en) 1996-12-27 1998-07-28 Lucent Technologies Inc. Reduced complexity maximum likelihood multiple symbol differential detector
JP2001268147A (ja) 2000-03-17 2001-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復調器、受信機、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50105165A (ko) * 2002-10-24 2005-11-03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부호 차동 검출용 알고리즘
KR20080060180A (ko) * 2006-12-26 2008-07-01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신호 처리 장치, 신호 처리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94861A (zh) * 2015-01-30 2021-06-18 寰发股份有限公司 用于辅助授权接入laa的帧结构以及数据映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0831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th index modulation, MIMO-OFDM-IM, communications system
Lee et al. Viterbi decoding method us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COFDM system
KR101165873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수신기 내의 tps 디코더
US8107563B2 (en)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MO system
Wang et al. A soft decision decoding scheme for wireless COFDM with application to DVB-T
US8170127B2 (en) Receiver and method of receiving
US71739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symbols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symbols
KR101000861B1 (ko)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CN105141555B (zh) 用于对ofdm信号执行信道估计的系统和方法
US8693563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ignal using multiple antennas,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thereof
US8687749B2 (en) Mobile OFDM receiver
US8879653B2 (en) Soft-demapping of QAM signals
US20090304062A1 (en) DTMB-based carrier mode detection system and receiving system having the same
WO2009104515A1 (ja) 中継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635072B1 (ko) Ofdm 송신 시스템에서 위상 잡음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949532B1 (ko) 전송 프레임의 심볼 오류를 검출 보상하는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상기 다중 심볼 차등 복호화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수신기, 및 상기 이동 방송 수신기를 구비하는 이동 방송 시스템
KR101004821B1 (ko) 동일 채널 간섭 추정 및 복호 성능 향상 기능을 갖는 ofdm 수신기
Song et al. A wake-up consumer device for enhanced emergency alert service in T-DMB systems
Rabaça et al. Implementation of LDM/ISDB-T broadcast system using diversity at reception
Pantos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OFDM transmission over a challenging urban propagation environment
Siyad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diversity techniques for OFDM system using trellis coded OAM-QAM union modulation
Zhang et al. A novel differential detection for differential OFDM systems with high mobility
KR100599538B1 (ko) 주파수 선택적 채널에서 sfbc-ofdm 신호 검출방법 및 장치
WO2008038972A1 (en) Appratus for receiving signals in ofdm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ple antennas and method thereof
Kwon et al. A novel Multi-Symbol Differential Detection based on symbol error posi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for use in T-DMB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