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712A -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712A
KR20050104712A KR1020040030097A KR20040030097A KR20050104712A KR 20050104712 A KR20050104712 A KR 20050104712A KR 1020040030097 A KR1020040030097 A KR 1020040030097A KR 20040030097 A KR20040030097 A KR 20040030097A KR 20050104712 A KR20050104712 A KR 20050104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fine wire
copper
heat
surfac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837B1 (ko
Inventor
안광협
정문기
이정호
류호선
김종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2837B1/ko
Priority to US11/055,079 priority patent/US20050253251A1/en
Priority to EP05003160A priority patent/EP1592059A3/en
Priority to CNA2005100673322A priority patent/CN1694245A/zh
Priority to JP2005122488A priority patent/JP2005317962A/ja
Publication of KR20050104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7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H01L21/4814Conductive parts
    • H01L21/4871Bases, plates or heatsinks
    • H01L21/4882Assembly of heatsink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3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Temperature sensing arrangements
    • H01L23/36Selection of materials, or shaping, to facilitate cooling or heating, e.g. heatsinks
    • H01L23/367Cooling facilitated by shape of device
    • H01L23/3677Wire-like or pin-like cooling fins or heat s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 히트 싱크의 표면을 구리로 코팅하거나 히트 싱크를 구리로 성형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에 구리 산화물인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기 때문에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대류 및 복사에 의해 열전달율이 증가되고,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 거칠기가 커져서 난반사율이 증가된다.

Description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Heat Sink and the Finish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표면에 방열이 가능한 금속재질의 미세 와이어가 성장된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 싱크(10)는 인쇄회로기판(2)에 실장된 파워 모듈 내지 씨피유(CPU), 트랜지스터 등의 발열소자(4)에 부착되어 상기 발열소자(4)의 열화를 방지토록 방열을 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히트 싱크(10)는 상기 발열소자(4)에 부착되는 베이스(12)와, 상기 베이스(12)의 위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설치된 방열핀(14)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저렴하면서도 방열성이 좋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히트 싱크(10)는 복사에 의한 방열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의 산화피막법 중의 일종인 아르마이트 처리 또는 아노다이징 처리과정을 통해 표면에 산화피막(16)이 형성된다.
즉, 전해액 중 양극에 상기 히트 싱크(10)의 표면에 입힐 금속을 연결하고 음극에 불활성 금속을 연결한 후, 전해액 속에 상기 히트 싱크(10)를 넣고 전해액에 전류가 흐르게 하면 상기 히트 싱크(10)의 표면에 상기 산화피막(16)이 형성된다.
이처럼 표면 처리된 히트 싱크(10)는 산화피막(16)으로 인해 산화가 억제되어 내식성이 좋아지고, 표면이 무광택이므로 표면으로부터 광선형태로 표출되는 복사에너지가 난반사되어 표면처리 전보다 대략 3 내지 10%정도 방열 효과가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방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열교환면적을 넓히려면 상기 히트 싱크(10)의 자체 크기가 커지거나 상기 방열핀(14)들이 촘촘하게 설치되야 하는데, 설치 공간에 의해 제한될 수밖에 없고 산화피막으로 더 이상 난반사율을 높일 수 없기 때문에 성능 향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일한 체적에서 표면적만을 넓힘과 아울러 표면 거칠기를 높여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는 발열소자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특히 상기 베이스 또는 방열판의 표면에는 미세 와이어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은 히트 싱크의 표면을 금속으로 코팅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히트 싱크를 산화용액에 담가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은 구리 재질로 성형된 히트 싱크를 산화용액에 담가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50)는 발열소자에 부착되는 베이스(52)와, 상기 베이스(52)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방열판(54)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상기 베이스(52) 또는 방열판(54)의 표면에는 표면적 및 거칠기를 크게 하는 미세 와이어(56)가 전 표면에 고르게 분포된다.
상기 미세 와이어(56)는 상기 히트 싱크(50)의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열전도 효율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열전도성 좋은 금속으로는 다음의 <물질의 열전도성> 표와 같다.
<물질의 열전도성>
물질 열전도성(W/mK)
422
구리 402
298
알루미늄 226
강철 73.3
34.8
상기 <물질의 열전도성>의 표에 따르면, 금속 중에서 은이 가장 열전도성이 좋은데, 은은 고가라서 비용측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구리보다 알루미늄이나 납 등이 더 저렴하지만 구리가 알루미늄이나 납보다 훨씬 열전도성이 좋기 때문에 비용과 열전도성을 모두 고려할 경우, 상기 미세 와이어(56)는 구리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상기와 같은 미세 와이어(56)는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적 및 표면 거칠기의 증대시키되, 별도의 접착제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에 견실하게 붙어 있을 수 있도록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으로부터 수 ㎛미만의 길이를 갖고 단면적의 폭이 10nm 내지 100nm이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미세 와이어(56)는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거의 받지 않는다고 볼 수 있어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에 단지 붙어 있기만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된 히트 싱크(50)의 표면을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으로 코팅시켜 금속막(56')을 형성한다.
부연하면, 상기 히트 싱크(50)는 통상적으로 열전도성이 구리나 은, 금 등에 비해 매우 낮지만 저렴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되는데, 알루미늄 합금에 비해 고가이지만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 특히, 구리를 수 um에서 수십 um정도의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함으로써 저렴하게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 열전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을 구리로 코팅시킬 때에는 상기 히트 싱크(50)를 구리 전해액에 넣은 후 통전시키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이후, 구리 코팅된 히트 싱크(50)를 산화용액에 담그면, 도 4b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트 싱크(50)에 코팅된 구리가 산화되면서 구리 산화물인 미세한 털이 부슬부슬 일어나는데, 이 구리 산화물이 상기 미세 와이어(56)가 된다.
여기서, 상기 미세 와이어(56)는 산화조건, 즉 산화용액의 온도 및 조성 등에 따라 크기 및 밀도, 성장속도 등이 영향을 받는데, 산업현장에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생산성도 부합될 수 있도록 산화용액의 온도는 60 내지 110℃ 정도,산화시간은 1분에서 10분 사이 정도가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산화용액은 구리 산화물인 상기 미세 와이어(56)가 잘 성장할 수 있도록 NaOH 또는 NaClO2로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상기 히트 싱크(50)의 표면에 상기 미세 와이어(56)가 충분히 성장된 후, 상기 미세 와이어(56)가 성장된 히트 싱크(50)의 표면을 세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면, 표면처리과정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는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기술적 사상 및 기본적인 구조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은 상기 히트 싱크(50)를 구리로 성형하고, 구리로 성형된 히트 싱크(50)를 바로 산화용액에 담가서 상기 구리로 성형된 히트 싱크(50)의 표면을 산화시킴으로써 미세 와이어(56)를 성장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성형된 히트 싱크의 표면을 구리로 코팅하거나 히트 싱크를 구리로 성형하여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에 구리 산화물인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기 때문에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적이 넓어져서 대류 및 복사에 의해 열전달율이 증가되고, 상기 히트 싱크의 표면 거칠기가 커져서 난반사율이 증가됨으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히트 싱크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 싱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히트 싱크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가 도시된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에 구리 도금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에 미세 와이어를 2분 성장시킨 상태의 사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에 미세 와이어를 3분 성장시킨 상태의 사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히트 싱크의 표면에 미세 와이어를 5분 성장시킨 상태의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히트 싱크 52 : 베이스
54 : 방열판 56 : 미세 와이어

Claims (10)

  1. 발열소자에 부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 방열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히트 싱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또는 방열판의 표면에는 미세 와이어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와이어는 구리 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와이어는 길이가 상기 베이스 또는 방열판의 표면으로부터 수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와이어는 단면적의 폭이 10nm 내지 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
  5. 히트 싱크의 표면을 금속으로 코팅하는 제1단계와; 상기 금속으로 코팅된 히트 싱크를 산화용액에 담가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7. 구리 재질로 성형된 히트 싱크를 산화용액에 담가 미세 와이어를 성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와이어의 성장온도는 6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와이어의 성장시간은 1분 내지 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10.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용액은 NaOH 또는 NaClO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싱크의 표면처리방법.
KR1020040030097A 2004-04-29 2004-04-29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KR100712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97A KR100712837B1 (ko) 2004-04-29 2004-04-29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US11/055,079 US20050253251A1 (en) 2004-04-29 2005-02-11 Heat sink and method for processing surfaces thereof
EP05003160A EP1592059A3 (en) 2004-04-29 2005-02-15 Heat sink and method for processing surfaces thereof
CNA2005100673322A CN1694245A (zh) 2004-04-29 2005-04-18 散热器和处理其表面的方法
JP2005122488A JP2005317962A (ja) 2004-04-29 2005-04-20 ヒートシンク及びその表面処理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097A KR100712837B1 (ko) 2004-04-29 2004-04-29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12A true KR20050104712A (ko) 2005-11-03
KR100712837B1 KR100712837B1 (ko) 2007-05-02

Family

ID=3493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097A KR100712837B1 (ko) 2004-04-29 2004-04-29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253251A1 (ko)
EP (1) EP1592059A3 (ko)
JP (1) JP2005317962A (ko)
KR (1) KR100712837B1 (ko)
CN (1) CN169424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607B1 (ko) * 2008-11-27 2009-01-30 주식회사 소입 파워 서플라이
KR100885270B1 (ko) * 2007-08-08 2009-02-23 문대식 히트 싱크
KR101230062B1 (ko) * 2010-11-08 2013-0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금속산화물의 나노구조물 제조방법 및 나노구조의 금속산화물 박막
KR200469325Y1 (ko) * 2011-01-27 2013-10-11 주식회사 주경 방열 효율을 개선한 엘이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03228B2 (ja) * 2009-08-31 2014-05-28 日東光学株式会社 放熱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915409A (zh) * 2010-06-29 2010-12-15 梅州江南电器有限公司 Led灯具环保型散热结构及其制造方法
JP5618331B2 (ja) * 2010-12-23 2014-11-05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照明装置
JP5846409B2 (ja) * 2011-05-26 2016-01-2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の導電性構造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US10433463B2 (en) * 2011-10-20 2019-10-01 Crucible Intellectual Property, Llc Bulk amorphous alloy heat sink
TW201334678A (zh) * 2012-02-15 2013-08-16 Hon Hai Prec Ind Co Ltd 散熱器組件
CN202565644U (zh) * 2012-02-16 2012-11-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散热器及终端
CN102720965A (zh) * 2012-06-05 2012-10-10 苏州晶品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全方位出光的led节能灯
KR101233001B1 (ko) * 2012-08-06 2013-02-13 최애남 원전용 엘이디 램프 및 이의 피막 공법
JP2014041929A (ja) * 2012-08-22 2014-03-06 Stanley Electric Co Ltd ヒートシンク及びこれを備えた高効率放熱構造
JP5676025B2 (ja) * 2014-02-04 2015-02-25 日東光学株式会社 放熱器および照明装置
DE102018101453A1 (de) * 2018-01-23 2019-07-25 Borgwarner Ludwigsburg Gmbh Hei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ung eines Heizstabes
KR102131268B1 (ko) * 2018-05-15 2020-07-08 주식회사 네패스 반도체 패키지
KR102023100B1 (ko) 2018-05-15 2019-11-04 주식회사 네패스 반도체 패키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985B1 (ko) * 1995-07-05 1998-12-01 황인길 반도체 패키지 히트싱크구조
JPH11145352A (ja) * 1997-11-04 1999-05-28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ヒートスプレッダー
JPH11211376A (ja) * 1998-01-27 1999-08-06 Mitsubishi Materials Corp 伝熱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452015B2 (ja) 2000-02-07 2003-09-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ヒートシ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7044212B1 (en) * 2000-08-25 2006-05-16 Net Nanofiltertechnik Gmbh Refriger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6894397B2 (en) * 2001-10-03 2005-05-17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in monolithic flip chip
KR100873630B1 (ko) * 2002-01-16 2008-12-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방열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298264A (ja) * 2002-04-05 2003-10-17 Nippon Light Metal Co Ltd 熱交換器
JP4237975B2 (ja) 2002-04-24 2009-03-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電子機器用アルミニウム板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用成形品
KR100502821B1 (ko) * 2002-12-26 2005-07-22 이호영 구리산화물 또는 구리 나노와이어로 이루어진 전자방출팁의 저온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자방출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광원
US20050129928A1 (en) * 2003-09-16 2005-06-16 Koila, Inc. Nanostructure augmentation of surfaces for enhanced thermal transfer with increased surface are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270B1 (ko) * 2007-08-08 2009-02-23 문대식 히트 싱크
KR100880607B1 (ko) * 2008-11-27 2009-01-30 주식회사 소입 파워 서플라이
KR101230062B1 (ko) * 2010-11-08 2013-02-05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금속산화물의 나노구조물 제조방법 및 나노구조의 금속산화물 박막
KR200469325Y1 (ko) * 2011-01-27 2013-10-11 주식회사 주경 방열 효율을 개선한 엘이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2837B1 (ko) 2007-05-02
CN1694245A (zh) 2005-11-09
EP1592059A2 (en) 2005-11-02
EP1592059A3 (en) 2011-01-26
JP2005317962A (ja) 2005-11-10
US20050253251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2837B1 (ko) 히트 싱크 및 그 표면처리방법
US20110316035A1 (en) Heat dissipat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156732B2 (ja) 発光素子パッケージ用基板の製造方法
US6911728B2 (en) Member for electronic circui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member, and electronic part
KR101194456B1 (ko) 방열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0228119B2 (en) Light source module
TWI442014B (zh) 散熱元件及散熱元件的處理方法
US20150208499A1 (en) Ceramic circuit board of laser plate cop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199166A (ja) 光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および光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20120067623A1 (en) Heat-radi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1202270A (zh) 发光二极管模组及其制造方法
JP2011233395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TWI330897B (en) Led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on
US20140218943A1 (en) Aluminum printed circuit board for lighting and display backplanes
EP0086520B1 (en) Method of depositing a metal
KR101902254B1 (ko) 고출력 led용 방열 기판
JP3539796B2 (ja) 熱電変換装置
KR101831774B1 (ko) 광원모듈, 및 광원모듈의 제조방법
KR101976627B1 (ko) 고출력 led용 방열 기판
JP4461268B2 (ja) 半導体装置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TWI805496B (zh) 新型微米與奈米線嵌入式均熱片及其製作方式
KR101460749B1 (ko) 우수한 방열성을 갖는 Metal PCB 적층 기술 개발
JPH06181397A (ja) 回路基板のヒートパイプ式冷却装置
KR100565531B1 (ko) 청소기의 구동장치
JP2014518450A (ja) 半導体デバイスのためのサブマウントを有する半導体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