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092A - 시트 벨트 리트랙터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 리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092A
KR20050091092A KR1020057013386A KR20057013386A KR20050091092A KR 20050091092 A KR20050091092 A KR 20050091092A KR 1020057013386 A KR1020057013386 A KR 1020057013386A KR 20057013386 A KR20057013386 A KR 20057013386A KR 20050091092 A KR20050091092 A KR 20050091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torsion bar
clutch
winding drum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5623B1 (ko
Inventor
타카오 카타야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가부시키가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가부시키가시야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가부시키가시야
Publication of KR20050091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7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시트 벨트의 일정 위치에서의 정지와 저항값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긴급시에 시트 벨트에 작용하는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권취 드럼의 회전축인 토션바(4)(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비틈에 부가하여 와이어의 당김을 이용한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을 갖추어 긴급시에 시트 벨트에 작용하는 에너지를 제 1 및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에 의한 흡수 상태로부터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만으로 인한 흡수 상태로 순간으로 변환하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 리트랙터{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긴급시에 웨빙(webbing)의 인출을 저지해 승차원의 이동을 저지 함과 동시에 승차원에게 작용하는 충격 하중을 흡수하는 에너지 흡수 수단을 갖춘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긴급시에 시트 벨트에 큰 저항 하중을 주어 그 후 저항 하중을 경감해 승차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예로서 웨빙이 감기는 통형상의 스풀(권취 드럼)의 일단 측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록 베이스(록킹 베이스)와 긴급시에 록 베이스의 웨빙 인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 수단과 스풀내에 일단이 연결되어 끼워 삽입함과 동시에 다른 단이 록 베이스에 연결되어 록 수단에 의해 록 베이스의 웨빙 인출 방향 회전 저지 상태에서는 뒤틀림 변형을 실시하는 토션 바(torsion bar)와 일단이 록 베이스에 고정되고 타단부 및 중간부가 스풀내에 삽입되어 록 베이스에 대해서 스풀이 상대 회전할 때에 스풀로부터 빠지는 와이어와 와이어를 절단 가능한 절단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웨빙 권취 장치(시트 벨트 리트랙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2001-301569호 공보 참조).
이 웨빙 권취 장치에 대해서는 스풀(권취 드럼)에는 일단부가 록 베이스에 고정된 와이어가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긴급시에 록 베이스의 회전이 저지되면 토션바의 비틀림 하중 및 와이어의 당김 하중이 포스 리미터 하중으로서 웨빙에 작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임의의 타이밍으로 와이어를 절단 하고 이것에 의해 포스 리미터 하중이 토션바의 모습 하중으로만 저감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웨빙 권취 장치에 대해서는 스풀(권취 드럼)로부터 빼내진 와이어가 절단 수단에 의해 접촉하고 나서 절단될 때까지의 사이 당김 하중에 의한 와이어의 빠짐 저지에 의한 저항은 빠지는 저항보다 커지지만 와이어의 절단 후에는 와이어에 의한 저항이 완전히 없어지기 때문에 그 사이에 있어서의 웨빙의 인장력의 차이가 커진다. 그 때문에 와이어 절단 개시시에는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승차원은 와이어가 절단되면 급격하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와이어는 빠지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으로 절단되므로 웨빙의 인장력 즉 스플로부터 빠지는 와이어의 빠짐 속도에 의해 절단위치가 이탈되고 일정 위치에서의 절단이 행해지지 않고 따라서 웨빙 인출 저항이 안정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그 제 1의 목적은 저항 하중을 공급하는 에너지 흡수(EA) 수단의 에너지 흡수량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정 위치에서의 정지와 웨빙 인출 저항값의 안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제 2의 목적은 승차원의 체격이나 충돌의 크기나 시간 등에 따라 최적인 에너지 흡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에너지 흡수 수단의 하중의 공급을 정지시켜 정지하는 타이밍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 3의 목적은 에너지 흡수 부재가 임의의 타이밍에 저항 하중의 변환시에 여분의 에너지 흡수를 발생시키지 않고 에너지 흡수 부재의 하중 공급을 안정시켜 승차원을 용이하게 소정 위치에 정지시킬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난 하우징; 권취(winding) 드럼; 토션바; 록킹 베이스; 베이스 스토퍼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권취 드럼; 플레이트 조립체; 리테이너(retainer); 폴(pawl)홀더의 조립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난 플레이트 조립체의 조립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레이트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플레이트 조립체의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7은 플레이트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나타난 플레이트 조립체와 권취 드럼을 조립한 조립체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상기 조립체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난 상기 조립체를 회전시킨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난 조립체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2로 나타난 하우징 케이싱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릴리스 링; 케이싱; 피스톤; 가스 제너레이터; 가스 제너레이터 홀더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폴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는 죠인트 폴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클러치 기구의 작동전 상태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난 클러치 기구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18은 클러치 기구가 계지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제 1 상태)
도 19는 도 18에 나타난 클러치 기구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20은 클러치 기구가 분리된 상태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제 2 상태)
도 21은 도 20에 나타난 클러치 기구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22는 록킹 베이스 ; 록 클러치체 ; 커버체 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에서 나타난 토션바 ; 록 폴 ; 록킹베이스 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웨빙 인장력과 웨빙 인출량의 관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본 발명은 웨빙이 권취 장착된 권취 드럼과 그 일단부가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부착된 권취축과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록 기구와 권취축의 타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기구와 권취 드럼의 타단부 측면으로 근접해 설치됨과 동시에 권취축의 타단부에 클러치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체와 권취 드럼의 측면과 플레이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 저항 하중을 공급하는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가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 1 상태로부터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변환을 개시하는 클러치 해제 기구를 가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2. 본 발명은 웨빙이 권장된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에 끼워 삽입되고 그 일단부가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부착된 토션바와 토션바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록 기구와 긴급시에 긴급 록 기구를 작동시키는 록 기동 장치와 토션바의 타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기구와 권취 드럼의 타단부 측면으로 근접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토션바의 타단부에 클러치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체와 권취 드럼의 측면과 플레이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가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 저항 하중을 공급하는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가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설치된 제 1 상태로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변환을 개시 하는 클러치 해제 기구를 가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상기 1 또는 2항의 구성을 갖춘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등의 긴급시에 록 기동 장치가 긴급 록 기구를 작동시키면 권취축 또는 토션바의 타단부는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되고 권취 드럼의 회전도 저지된다. 이 때 소정값 이상의 인출력으로 웨빙이 인출되면 권취축 또는 토션바는 일단부가 회전 하려고 하는 권취 드럼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 저지한 긴급 록 장치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되고 있으므로 뒤틀림 변형을 일으키면서 권취 드럼이 회전한다. 동시에 회전하고 있는 권취 드럼과 회전이 저지된 권취축 또는 토션바외 단부측에서 클러치 기구에 의해 상대 회전 불능인 플레이트체와의 사이에서도 상대 회전이 생겨 제 2의 에너지 흡수(EA) 수단에 의해 저항 하중이 공급된다.
플레이트체가 클러치 기구에 의해 권취축 또는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인 제 1 상태에서는 권취축 또는 토션바(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 및 제 2 에너지 흡수(EA) 수단이 작동하고 있다. 임의의 타이밍으로 클러치 기동 기구를 개재하여 작동시킨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를 권취축 또는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한 제 2 상태로 전환하여 권취축 또는 토션바만으로 에너지 흡수(EA)를 실시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에너지 흡수의 개시시에는 권취축 또는 토션바(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 및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의 양쪽 모두 혹은 권취축 또는 토션 바만을 작동시켜 에너지 흡수량을 적당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제 1 및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양쪽 모두를 이용해 에너지 흡수를 개시하고 나서 승차원의 체격이나 충돌의 크기나 시간등에 의해 최적인 에너지 흡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도중에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의 하중의 공급을 정지시켜 권취축 또는 토션바만으로 에너지 흡수할 수가 있다.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에너지 흡수 부재(와이어)에 접촉시키지 않고 그 저항 하중의 공급을 정지시키므로 변환시에 여분의 에너지 흡수가 발생하지 않고 하중 공급이 안정되게 되고 승차원을 소정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은 상기 2항에 기재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가 긴급 록 기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죠인트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체의 권취 드럼 반대 측면으로 선회 가능하게 추착(樞着)되고 죠인트 플레이트에 접촉해 바깥쪽으로 선회하는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죠인트 폴과 토션바 타단측의 하우징의 측판에 고정된 케이싱에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고 죠인트 폴의 외부 주위에 배치되는 릴리스 링과 케이싱에 장착된 릴리스 링을 작동시키는 클러치 해제 기구를 갖추고 있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이 발명에 의하면 록 기동 장치가 긴급 록 기구를 작동시켰을 때 토션바 및 제 2 에너지 흡수(EA) 수단이 실제로 하중을 공급하기까지 웨빙이 끌려가 권취 드럼도 인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플레이트체는 권취 드럼과 상대 회전할 때까지 사이 최소한 회전하므로 긴급 록 기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죠인트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생겨 죠인트 폴의 내부 주위측이 죠인트 플레이트에 접하여 죠인트 폴은 바깥쪽에 밀린다. 릴리스 링은 죠인트 폴의 외부 주위에 위치 하고 있으므로 죠인트 폴의 바깥쪽으로의 전개가 저지되고 있다. 클러치 해제 기구가 작동하면 릴리스 링은 회전하면서 토션바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죠인트 폴이 설치된 외부주위면으로부터 빗나가므로 죠인트 폴이 바깥쪽에 전개한다. 따라서 플레이트체는 플레이트체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던 죠인트 플레이트로부터 멀어지므로 권취 드럼과 일체 회전해 와이어(에너지 부재)의 저항 하중의 공급이 정지되어 토션바의 에너지 흡수(EA)만이 행해진다.
플레이트체는 통상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 사용시에는 권취 드럼과 일체 회전하지만 긴급 록 기구가 작동하면 권취 드럼과는 일체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되어 클러치 해제 기구에 의한 클러치 기구의 작동에 의해 일체 회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시에 클러치 기구의 설정을 하면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클러치 해제 기구를 작동시킬 때 클러치 기구는 회전이 저지된 상태로 행해지므로 클러치 해제 기구로부터의 작동이 안정되게 된다.
또한 죠인트 폴이 외부 주위 방향으로 전개한 순간에 에너지 흡수 수단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없이 제로가 되므로 하중 변환의 이행이 순조롭게 행해진다.
4. 본 발명은 상기 3항에 기재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클러치 해제 기구가 임의의 타이밍으로 케이싱에 설치된 실린더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수단과 가스의 압력으로 실린더내에서 눌려 구동되어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를 눌러 릴리스 링을 회전시키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이것에 의해 가스 발생 수단에 의해 케이싱의 실린더내에서 눌려 구동된 피스톤은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를 눌러 회전시켜 클러치를 분리할 수가 있다.
5. 본 발명은 상기 4항에 기재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에는 피스톤에 접해지는 당접부와 외부 주위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릴리스 링을 보지하는 케이싱에는 회전하거나 릴리스 링의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볼록부가 설치되고 있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이것에 의해 회전시킨 리스 링은 외부 주위상에 설치한 테이퍼부가 케이싱의 볼록부에 안내되어 토션바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이 때 테이퍼부를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릴리스 링의 평면을 축에 대해서 수직인 상태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또 상기 4 및 5항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스 링 내주면에 죠인트 폴의 외부 주위 방향으로의 힘이 접촉해 작용하고 있지만 가스압으로 구동된 피스톤이 릴리스 링을 단번에 회전시키므로 접촉에 의한 마찰 저항에도 굴하지 않고 죠인트 폴을 곧바로 외부 주위 방향으로 해제할 수가 있다.
릴리스 링의 면을 토션바의 긴 방향에 수직인 상태로 이동시키므로 죠인트 폴과 릴리스 링의 접촉이 한번에 해제되고 변환할 때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이 공급하는 하중 이외로 불필요한 하중을 발생하지 않는다.
6. 본 발명은 상기 1~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에는 죠인트 폴을 위치 결정 지지하는 폴 홀더가 설치되어 폴 홀더에는 죠인트 폴을 축심 방향으로 따라가게 함과 동시에 죠인트 폴의 작동 후는 초기 위치에 되돌리지 않는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이것에 의해 제 1 상태에서의 죠인트 폴의 위치를 스프링 부착하여 유지시키고 있다. 바깥쪽으로 전개한 죠인트 폴은 폴 홀더의 리브에 의해 초기 위치로 돌아가는 것이 저지되어 전개 위치에 머문다. 또 그 머문 죠인트 폴은 릴리스 링이 죠인트 폴의 외부 주위면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7. 본 발명은 상기 2~6중 어느 1항에 기재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이 권취 드럼의 토션바 타단측의 측면으로 설치된 굴곡로와 일단이 플레이트체의 권취부에 고정되고 그 대략 중간부가 굴곡로에 배치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이다.
이것에 의해 긴급 록 장치가 작동했을 때 소정값을 넘은 웨빙의 인장력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 드럼과 회전이 저지된 토션바외 단부측의 플레이트체와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생겨 회전하고 있는 권취 드럼은 회전이 저지된 플레이트체의 권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있는 와이어를 굴곡로에 있어서 수시 변형시키면서 플레이트체의 권취부에 휘감아 간다.
상기 제 6항 및 제 7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죠인트 폴을 스프링 부세 하고 있는 것으로 시트 벨트 리트랙터를 통상 사용으로 권취 드럼 등과 함께 회전시켜도 소정 위치에 위치부착되므로 죠인트 폴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가 있다.
플레이트체가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상태로부터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에 설치된 제 1 상태로의 소정 위치로 죠인트 폴과 릴리스 링을 되돌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하중을 더하지 않고 토션바의 저항 하중을 안정시켜 공급하고 있다.
별도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없이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을 염가로 용이한 구
조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매우 적합한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 도 2는 도 1의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권취 드럼(2) 커넥터(3); 하우징(9); 토션바(4); 록킹베이스(5); 페이스 스토퍼(7)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시트 벨트 리트랙터에는 웨빙이 권장되는 대략 원통형의 권취 드럼(2)이 설치되고 있다. 이 권취 드럼(2)의 중심에는 토션바(4)가 끼워 삽입되고 또한 그 일단부는 후술 하는 커넥터(3)를 개재시켜 권취 드럼(2)의 일단부와 일체적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하우징(9)의 한쌍의 측판(9b ; 9c)에 회전 자재로 지지를 받고 있다. 그리고 상기 측판(9c)에는 권취 드럼(2)을 웨빙 권취 방향으로 항상 회전 부세 하는 와류(Swirl) 스프링(19 ;도 1)이 장착되고 토션바(4)는 그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부세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충돌시 등의 긴급시에 가스압등에 의해 웨빙의 느슨함을 권취하고 승차원의 이동을 규제하는 이른바 프리텐쇼너(pretensioner) 기구(15 ;도 1)도 측판(9c)에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하우징의 측판(9b)측의 토션바(4)의 외측 타단부에는 대략 원반 형상의 록킹베이스(5)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록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토션바(4)의 타단부 근방에는 후술 하는 클러치 기구가 배치되고 있어 권취 드럼(2)의 타단부 측면으로 근접해 토션바(4)의 타단부에 후술의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이 배치되어 차량 긴급시의 충격 에너지의 흡수를 이들 토션바(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 4)와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 실시한다.
하우징(9)은 차체에 고정되는 이면판의 양측으로부터 좌우의 측판(9b ; 9c)이 세워지고 대략 コ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다.
또 베이스 스토퍼(7)는 권취 드럼(2)으로부터 록킹베이스(5)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
다음에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션바(4)의 일단부는 이것과 동일형의 커넥터(3)의 구멍에 맞추어지고 타단부는 록킹베이스(5)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있다.
커넥터(3)는 하우징(9)의 측판(9c)에 천공된 구멍(9d)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권취 드럼(2)의 일단부에 형성된 커넥터(3)의 외형에 대응한 육각형의 맞춤 오목부에 맞추어져 이것에 의해 토션바(4)는 권취 드럼(2)과 일체 회전 가능해지고 있다.
따라서 긴급 록 기구가 작동 해 토션바(4)의 타단부가 고정되어도 토션바(4)의 일단부는 웨빙의 인출에 의해 권취 드럼(2)과 일체로 회전하고 즉 권취 드럼(2)의 회전력으로 토션바(4)는 뒤틀리고 그 뒤틀림 저항에 의해 웨빙의 인출 에너지를 흡수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토션바(4)는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서 움직인다.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
다음에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을 도 3~6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을 구성하는 플레이트 조립체(2e)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플레이트 조립체(2e)는 플레이트체(2a); 복수회 감겨진 와류 형상 와이어(2b) 및 중심구멍의 주위로 원주 형상으로 복수 설치된 볼록부(2q)를 가지는 원형판(圓板) 부재(2c)로 이루어져 있다.
도 3에 있어서 와이어의 일단부(2g)는 플레이트체(2a)에 고정해 와이어의 권회부(2h)는 원형판 부재(2c)의 도 3에서 볼때 그 이면에 계지하고 있다.
도 4는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전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플레이트 조립체(2e)와 권취 드럼(2)을 리테이너(2d)로 장착한다.
또 도 5 및 도 6은 도 3에서 나타난 플레이트체(2a)와 와이어(2b)와 원형판 부재(2c)로 조립된 플레이트 조립체(2e)의 측면도 및 그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권취 드럼(2)의 록킹베이스측 즉 도안 좌측 단면에는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대략 원형의 수납 오목부(2f)가 설치되고 있다. 또한 수납 오목부(2f)의 중앙에는 록킹베이스의 베이스부(5c ;도 2)를 수용 하는 맞춤구멍(2k)이 설치되고 있다. 수납 오목부(2f)의 저면의 맞춤구멍(2k)보다 외부 주위 측에 둘 수 있는 소정 지점에는 와이어(2b)와 맞추기 위한 맞춤 핀(14)이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3개의 대략 반원 형상의 맞춤 핀(14)이 주변 방향을 따라 수납 오목부(2f)의 바닥면에 일체적으로 돌출하여 설치되고 와이어(2b)는 와류 형상을 이루고 그 외부 주위부(2i,도 3)는 맞춤 핀(14)의 원호형상 접접면(摺接面)에 적합한 만곡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난 각 분해 부품을 조립플레이트 조립체(2e)의 측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원형판 부재(2c)와 플레이트체(2a)는 와류형상의 와이어(2b)를 개재시킨 상태로 서로 끼워 맞춤 일체화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체(2a)와 원형판 부재(2c)는 와이어(2b)의 대략 지름에 상당하는 거리만 떨어뜨려 권취부(2m)를 형성하고 원형판 부재(2c)가 플레이트체(2a)에 상대 회전 불능에 결합한다.
그 때 와이어(2b)의 굴곡 한 일단부(2g)는 플레이트체(2a)의 굴곡홈(2n;도 6) 안에 설치해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플레이트체(2a)에 일단이 고정된 와이어(2b)는 플레이트체(2a)와 원형판 부재(2c)의 사이의 간격 부분을 지나 권취 드럼(2)과 플레이트 조립체(2e)가 상대 회전 할 경우에 와이어(2b)의 권취부(2m)가 되는 플레이트체(2a) 상면에 이르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는 원형판 부재(2c)는 플레이트체(2a)의 권취부(2m)와 와이어(2b)의 일단부(2g)를 덮도록 구성되고 있다.
도 6은 플레이트 조립체(2e)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서 그 일부를 파단해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플레이트체(2a)의 권취부(2m)에 복수의 대략 반원의 볼록부(2p)에 의해 굴곡홈(2n)을 형성하고 그 굴곡홈(2n)에 와이어(2b)의 일단부(2g)를 배치해 결합한다. 그 굴곡홈(2n)은 권취 드럼(2)의 굴곡로(2j ;도 4)의 곡율 반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도 7은 이 굴곡홈(2n)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플레이트체(2a)의 복수의 볼록부(2p)에 있어서 굴곡홈(2n)을 형성하는 볼록부(2p)간에 적어도 1조의 서로 대향 하는 리브(2r)를 설치해 그 리브간은 와이어(2b)의 지름보다 작게 한 것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난 권취 드럼(2)과 플레이트 조립체(2e)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나타난 조립체의 일부 절단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나타난 조립체에 있어서 긴급 록 기구가 작동 후에 권취 드럼(2)이 어느 정도 회전한 후에 있어서의 정면 단면도 및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이상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은 권취 드럼(2)과 록킹베이스(5)의 사이에 구획된 수납 공간내에 수납된다. 긴급 록 기구가 작동한 후 권취 드럼(2)이 회전하면 도 8 및 도 9에 나타난 와이어(2b)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부(2m)에 감긴다.
그 때 와이어(2b)는 원형판 부재(2c)와 플레이트체(2a)의 사이로 그 원형판 부재(2c)외부 주위면보다 돌출한 만곡 형상의 외부 주위부(2i)를 권취 드럼(2) 3개의 대략 반원형의 맞춤 핀(14)에 접접하면서 상대 이동한다.
충돌등의 긴급시에 긴급 록 기구가 작동하면 토션바(4)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있는 록킹베이스(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웨빙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소정 이상의 회전 토르크가 권취 드럼(2)에 작용하면 토션바(4)(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일단부에서 비틀려 변형이 시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취 드럼(2)이 토션바(4)의 비틀림 변형량의 분만큼 회전하고 동시에 타단이 고정된 웨빙 인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충격 에너지가 흡수된다. 또 토션바(4)의 비틀림 변형의 개시에 의해 권취 드럼(2)과 록킹베이스(5)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해 이것에 근거해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에 의한 충격 에너지의 흡수도 개시된다.
권취 드럼(2)이 록킹베이스(5)에 대해서 회전하는 동안 와이어(2b)의 일단부(2g)가 고정된 플레이트체(2a)는 록킹베이스(5)에 결합되어 회전하지 않고 그외 권취 드럼(2)에 일체로 형성된 맞춤 핀(14)은 회전하기 위해 맞춤 핀(14)의 사이에 와이어(2b)가 당겨 간다. 바꾸어 말하면 와이어(2b)는 맞춤 핀(14)간을 사행하도록당기면서 차례로 맞춤 핀(14)상을 미끄럼 마찰(sliding friction, 接動)해 간다. 그 때 높은 미끄럼마찰 저항 및 와이어(2b)의 굴곡 저항이 생겨 이 미끄럼마찰 저항 및 굴곡 저항에 의해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이루어진다.
즉 차량 긴급시에 긴급 록 기구가 작동해 권취 드럼(2)에 작용하는 웨빙 인출 방향의 하중이 소정 이상이 되면 토션바(4;; 제 1의 에너지 흡수 수단)와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쌍방이 각각 에너지 흡수 기구로서 작동해 차량 긴급시의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클러치 기구)
다음에 플레이트체(2a)와 긴급 록 기구의 록킹베이스(5)의 계탈을 실시해 플레이트체(2a)를 권취 드럼(2)과의 상대 회전 상태로부터 록킹 베이스(5)와 분리하여권취 드럼(2)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2a)가 토션바(4)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설치된 제 1상태로부터 토션바(4)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충돌 검출 후의 임의의 타이밍으로 변환을 개시하는 클러치 해제 기구도 가지고 있다.
클러치 기구는 도 2에 나타난 긴급 록 기구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된 죠인트 플레이트(5b ;도 23)와 플레이트체(2a)의 권취 드럼(2)의 반대 측면으로 선회 가능하게 추축(pivoted)되어 죠인트 플레이트(5b)에 면 접촉하여 바깥쪽으로 선회하는 3개의 죠인트 폴(12)을 갖추고 있다.
죠인트 폴(12;도 15)은 활모양 부재로 그 일단부에는 플레이트체(2a)의 권취 드럼(2) 반대측에 추축되는 핀(12b)이 형성되고 그 핀(12b)을 중심으로 선회한다. 또 내부 주위벽 중앙부에는 내측 돌기(1(2a);도 15) 및 타단부 내측에는 노치부( 12c;도 15)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죠인트 폴(12)을 위치 결정 지지하기 위해서 단면 오목형상으로 원형을 이룬 폴 홀더(수지 스프링 ;13,도 14)가 설치되고 있다. 폴 홀더(13)에는 그 원주상에 죠인트 폴(12)의 위치에 대응하고 또한 각각에 리브(13a)를 형성한 갈퀴형상부(13 c)가 설치되어 있고 그 리브(13a)에 형성되어 내부에 경사진 경사면(13b) 및 상기 갈퀴 형상부(13c)에 의해 죠인트 폴(12) 외측면에 접촉하는 것으로 그 수지 스프링 작용에 의해 죠인트 폴(12)을 항상 축심 방향으로 부세 시킨다.
또한 죠인트 폴(12)이 상기 수지 스프링의 탄발력에 저항해 바깥쪽에 선회해 폴 홀더(13)의 상기 리브(13a)를 넘으면 폴 홀더(13)는 눌려 해제된 상기 갈퀴 형상부(13c)가 죠인트 폴(12)의 내측에 복귀하고 폴 홀더(13)의 리브 이면(13d)이 죠인트 폴의 노치부(12c)에 접한다. 한편 플레이트체(2a)에는 죠인트 폴(12)이 폴 홀더(13)을 넘은 직후에 죠인트 폴의 플레이트체(2a)에 대한 선회를 저지하는 돌기(2s)가 설치되고 있기 때문에 죠인트 폴(12)은 폴 홀더의 리브 이면(13d)과 플레이트체의 돌기(2s)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 플레이트체(2a)에 대해서 선회가 저지된다.
따라서 한번 클러치가 분리된 후에는 다시 클러치가 작동하는 경우는 없다.
(클러치 해제 기구)
도 12는 클러치를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링(8) ; 하우징(9) ; 케이싱(10) 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 도 13은 도 12에 나타난 릴리스 링(8) ; 케이싱(10); 피스톤(10a) ; 가스 제너레이터(10b); 가스 제너레이터 홀더(11)등을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의해 클러치 해제 기구를 설명하면 릴리스 링(8)은 토션바(4 ;도 2) 타단측의 하우징의 측판(9b)에 고정된 케이싱(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재치되어 있고 죠인트 폴(12)의 외부 주위에 배치된다.
클러치 해제 기구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케이싱(10)과 충돌 검출 후 임의의 타이밍으로 실린더(10e)내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제너레이터(가스 발생 수단 ;1Ob)와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내에서 눌려 구동되어 릴리스 링(8)의 외부 주위를 눌러 릴리스 링(8)을 회전시키는 피스톤(10a)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가스 제너레이터(10b)는 가스제너레이터 홀더(11)에 의해 케이싱(10)에 장착되고 있다.
릴리스 링(8)의 외부 주위에는 피스톤(10a)에 접해지는 당접부(8b)와 외부 주위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테이퍼부(8a)가 설치되고 그외 릴리스 링(8)을 보지하는 케이싱(10)에는 회전하거나 리스 링(8)의 테이퍼부(8a)에 대응하는 테이퍼 부착 볼록부(10d)가 설치되고 있다.
작동시 가스의 압력에 의해 눌려 구동된 피스톤(10a)이 릴리스 링(8)의 외부 주위에 설치된 당접부(8b)에 접하고 이것에 의해 릴리스 링(8)이 회전한다. 그에 따라 릴리스 링(8)의 테이퍼부(8a)가 케이싱의 테이퍼 부착 볼록부(10d)에 안내되어 권취 드럼(2 ;도 2) 쪽으로 후퇴하여 죠인트 폴(12 ;도 2)의 외부 주위부로부터 후퇴한다.
다음에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도 16 ~ 도 21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6 ~ 도 21은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그 일부를 절단 한 측면도 및 단면 평면도이다.
도 16 ~ 도 21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체(2a)가 토션바(4)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설치된 제 1상태로부터 토션바(4)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상태로 전환하는 작동을 실시한다.
조립 상태에 있어서는 폴 홀더(13)의 리브(13a)에 형성한 경사면(13b; 도 14)에 의해 죠인트 폴(12)은 축중심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3개의 죠인트 폴(12)은 내측에 자리잡은 위치에서 릴리스 링(8)의 내부 주위로 비접촉 상태로 고정되고 있고 죠인트 폴(12)의 내측 돌기부(12a)가 죠인트 플레이트(5b)의 볼록부(5d)에 접촉하고 있다.
여기서 긴급 록 기구가 작동하면 록 폴(6)의 계지톱니(stop gear-tooth ; 6b,도 23)가 하우징의 측판(9b)에 형성한 록 기어톱니(9a ; 도 2)와 치합하고 죠인트 플레이트(5b)와 회전을 계속하도록 하는 플레이트체(2a)의 사이에서 상대 회전이 생긴다. 이 때 죠인트 폴(12)과 죠인트 플레이트의 볼록부(5d)와의 사이에서도 상대 회전이 생겨 그에 따라 죠인트 폴(12)의 내측 돌기부(12a)를 죠인트 플레이트의 볼록부(5d)가 눌러 접함으로써 죠인트 폴(12)은 외부 주위 방향으로 힘을 받아 밖으로 향하여 전개 하려고 한다.
그 힘이 폴 홀더(13)의 부세력을 넘었을 때 죠인트 폴(12)은 릴리스 링(8)의 내부 주위벽에 접한다. 죠인트 폴(12)이 릴리스 링(8)의 내부 주위벽에 접하여 외향 전개가 저지되었을 때에 록킹베이스(5)와 플레이트체(2a)가 일체가 되어 권취 드럼(2)과 플레이트체(2a)의 사이에 상대 회전이 생겨 토션바(4)의 에너지 흡수에 가세해 와이어(2a)가 당겨져 제 2의 에너지 흡수를 실시한다.
다음에 이 상태로 클러치 해제 기구가 작동하면 피스톤(10a ;도 13)이 작동하여 릴리스 링(8)을 회전시켜 릴리스 링(8)의 회전으로 그 테이퍼부(8a)가 케이싱의 테이퍼 부착 볼록부(10d ;도 13)에 안내되어 권취 드럼(2) 쪽으로 후퇴하고 죠인트 폴(12) 외부 주위부로부터도 후퇴한다. 죠인트 폴(12)은 죠인트 플레이트(5b)에 면접촉하여 바깥쪽으로 확장 전개하여 죠인트 플레이트의 볼록부(5d)로부터 이탈하여 플레이트체(2a)와 록킹베이스(5)를 해제시킨다.
즉 클러치 해제 기구가 작동해 릴리스 링(8)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죠인트 폴(12)이 밖으로 외향 전개하고 죠인트 플레이트의 볼록부(5d)와 죠인트 폴(12)은 완전하게 떨어지므로 록킹베이스(5)와 플레이트체(2a)의 일체 고정이 해제된다. 그 결과 와이어(2b)의 당김이 정지하므로 플레이트체(2a)와 권취 드럼(2)은 일체 회전 가능해진다. 다만 이 경우에서도 권취 드럼(2)과 록킹베이스(5)의 상대 회전은 계속되므로 토션바(4)만이 에너지 흡수를 지속한다.
(긴급 록 기구)
도 22는 긴급 록 기구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그것은 록킹베이스(5); 록 클러치체(16); 커버체(18) 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도 23은 토션바(4); 록 폴(6); 록킹 베이스(5)등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긴급 록 기구의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의 여러 가지의 것을 채용할 수가 있지만 일레로서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록 클러치체(16)의 1 측면에는 스프링 용기부(16a)가 돌출 설치되고 이 스프링 용기부(16a)는 록킹 베이스(5)에 형성된 오목 홈 형상의 스프링 수용부(5a)내에 상대 이동 자유롭게 조이지 않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이 때 스프링 수용부(5a)에 수용 보지된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반환 스프링(17)에 의해 스프링 용기부(16a)가 소정 방향으로 카트리지 부세되고 있어 록 클러치체(16)는 웨빙의 인출 방향으로 부세된 상태로 록 베이스(5)와 동기 회전하기 위하여 구성되고 있다.
록킹베이스(5)의 권취 드럼(2)측의 면에 돌출된 원통형의 베이스부(5c)의 삽입 구멍에 토션바(4)가 끼워 꽂혀져 있고 이것에 의해 토션바(4)는 록킹베이스(5)와 일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록 클러치체(16)에는 록 폴(6; 도 23)에 돌출된 연동 핀(6a)이 미끄럼 마찰 안내되는 돌출 가이드홈(16c)이 형성되고 있어 반환 스프링(17)의 부세력에 저항한 록킹베이스(5)와 록 클러치체(16)의 상대 회전에 의해 연동 핀(6a)이 돌출 가이드홈(16c)을 따라 미끄럼 마찰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이 미끄럼 마찰 안내에 의해 록 폴(6)의 계지톱니(6b)가 록킹베이스(5)의 외부 주위면에서 출몰 자재로 돌출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록킹베이스(5); 록 폴(6); 권취 드럼(2)에 설치된 록 톱니(9a ;도 2) 록 클러치체(16) 등에 의해 긴급 록 기구가 구성되고 있다.
또 이 긴급 록 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커버체(18)내에는 웨빙의 급격한 인출 및 차량의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에 반응해 기동하는 긴급 록 기동 기구가 갖춰져 있다.
록킹 베이스(5)와 록 폴(6)은 죠인트 플레이트(5b)로 장착되고 있다.
록 폴(6)의 선단에는 계지톱니(6b)가 형성되고 있어 연동 핀(6a)에 의해 록 폴(6)이 록킹베이스(5)에 미끄럼 마찰 가능하게 배치되고 있다. 또 하우징(9)의 측판(9b)에 록 폴(6)의 계지톱니(6b)가 서로 맞물림 가능한 록 톱니(9a)를 설치해 차량 긴급시에는 록 폴(6)의 계지톱니(6b)를 록 톱니(9a)에 서로 맞물림 시키는 것으로 록킹 베이스(5)의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이 권취 드럼(2)과 록킹베이스(5)에 의한 구획되는 수납 공간내에 수납되고 있기 때문에 토션바(4)와는 별개에 에너지 흡수를 행하기 위한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을 갖추었음에도 관계없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축방향으로의 치수 확대가 없고 컴팩트화가 희생 되지 않는다 . 또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을 구성하는 와이어(2b) 및 맞춤 핀(14)은 모두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가 용이하다.
도 24는 본 발명의 웨빙 인장력과 웨빙 인출량의 관련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전체에서의 에너지 흡수 하중은 도 2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토션바(4)가 뒤틀림 변형을 일으킬 때의 에너지 흡수 하중(f1)과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에 의한 에너지 흡수 하중(f2)의 총합(f3)이 된다.
그리고 에너지 흡수 고하중의 경우 OABDF가 되어 클러치 기구에 의한 변환에 의해 에너지 흡수저하중의 경우 OACE가 되고 에너지 흡수중 하중의 경우 OABDCE가 된다.
또 토션바(4)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 구역에 대해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미끄럼 마찰 저항에 의한 에너지 흡수 구역은 독자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에 의한 에너지 흡수 구역을 토션바(4)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 구역의 일부과 겹쳐지도록 설정하는 것으로 토션바(4)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 구역의 일부에서는 쌍방의 에너지 흡수 하중의 총합에 의한 높은 에너지 흡수 하중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쌍방의 에너지 흡수 구역이 겹치지 않는 범위에서는 토션바(4)의 뒤틀림 변형에 의한 에너지 흡수 작용만으로 낮은 에너지 흡수 하중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에너지 흡수 기구로 작동 도중에서 에너지 흡수 하중이 변화하는 에너지 흡수 특성을 갖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 전체에서의 에너지 흡수 하중의 조정은 토션바(4)의 축 지름이나 재료의 변경 뿐만이 아니고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치수 형상 재질의 변경까지도 관련하고 다종의 요소가 관련한다. 예를 들면 토션바(4)의 축 지름의 확대나 재료의 변경 등에 의하지 않아도 나머지 요소의 설계 변경으로 원하는 에너지 흡수 하중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시트 벨트 리트랙터(1)의 토션바(4)나 권취 드럼(2)의 지름의 감축에 의한 시트 벨트 리트랙터의 컴팩트화를 희생 하는 경우 없이 에너지 흡수 하중을 보다 높게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리고 토션바(4) 및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쌍방의 치수나 재료를 변경 가능한 경우에는 쌍방에서 에너지 흡수 하중의 조정이나 에너지 흡수 구역의 조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차량 구조의 차이 등에 따른 특이한 에너지 특성의 요구에도 쉽게 대응 가능해 다양한 요구에도 유연하게 대응 가능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2b)와 맞춤 핀(14)의 미끄럼 마찰 저항의 조정은 굴곡로의 형상 각각의 접촉면의 성김이나 접촉 면적의 넓이 등 다종의 요소로부터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이와 같이 다종의 요소로부터 미끄럼 마찰 저항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예를 들면 치수등의 제한으로 일부의 요소의 변경이 곤란하게 되어도 다른 요소의 변경에 의해 확보하는 미끄럼 마찰 저항을 요구하시는 임의값에 비교적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토션바(4) 및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을 구성해 클러치 기구를 이용한 것으로 에너지 흡수의 개시시에는 양쪽 모두 또는 토션바(4)만을 작동시켜 에너지 흡수량을 적당히 선택할 수가 있다. 또 양쪽 모두를 이용해 에너지 흡수를 개시하고 나서 승차원의 체격이나 충돌의 크기나 시간 등에 의해 최적인 에너지 흡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도중에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의 하중의 공급을 정지시켜 토션바(4)만으로 에너지 흡수를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충돌등의 차량 긴급시에 있어서의 승차원에게로의 충격 하중을 흡수해 승차원의 안전을 도모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유용하다.

Claims (7)

  1. 웨빙이 권장(卷裝:looped)된 권취(winding) 드럼과 그 일단부가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에 결합됨과 동시에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부세된 권취축과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록 기구와 ; 권취축의 타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기구와 권취 드럼의 타단부 측면으로 근접해 설치됨과 동시에 권취축의 타단부에 클러치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체와 권취 드럼의 측면과 플레이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서로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 저항 하중을 공급하는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가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설치된 제 1 상태에서 권취축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변환을 개시하는 클러치 해제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2. 웨빙이 권장된 권취 드럼과 권취 드럼에 끼워 꽂은 그 일단부가 권취 드럼의 일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웨빙의 권취 방향으로 부세된 토션바와; 토션바의 타단부에 배치되고 웨빙 인출 방향으로의 회전을 저지하는 긴급 록 기구와 ; 긴급시에 긴급 록 기구를 작동시키는 록 기동 장치와 ;토션바의 타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클러치 기구와 ; 권취 드럼의 타단부 측면으로 근접해 설치됨과 동시에 토션바의 타단부에 클러치 기구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체와 ; 권취 드럼의 측면과 플레이트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가 상대 회전하는 것으로 저항 하중을 공급하는 제 2의 에너지 흡수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로서,
    클러치 기구는 플레이트체가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설치된 제 1 상태에서 토션바의 타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2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임의의 타이밍으로 변환을 개시하는 클러치 해제를 작동시키는 클러치 기동 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는 긴급 록 기구에 상대 회전 불능에 결합된 죠인트 플레이트와 ; 플레이트체의 권취 드럼의 반대 측면으로 선회 가능하게 추축되어 죠인트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바깥쪽으로 선회하는 적어도 1개로 이루어지는 죠인트 폴과; 토션바타단측 하우징의 측판에 고정된 케이싱에 회전하면서 축방향 동일하게 이동 가능하게 보지되고 죠인트 폴의 외부 주위에 배치되는 릴리스 링과 케이싱에 장착된 릴리스 링을 작동시키는 클러치 해제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클러치 해제 기구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케이싱에 설치된 실린더에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 수단과 가스의 압력으로 실린더내에서 눌려 구동되고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를 눌러 릴리스 링을 회전시키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5. 청구항 4 에 있어서,
    릴리스 링의 외부 주위에는 피스톤에 접해지는는 당접부와 외부 주위상에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테이퍼부가 설치되고 릴리스 링을 보지하는 케이싱에는 회전한 릴리스 링의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설치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6.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클러치 기구에는 죠인트 폴을 위치 결정 지지하는 폴 홀더가 설치되고 폴 홀더는 죠인트 폴을 축심 방향으로 부세 시킴과 동시에 죠인트 폴의 작동 후는 초기 위치로 되돌리게 하지 않는 리브가 일체 형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7. 청구항 2 내지 6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 2 에너지 흡수 수단은 권취 드럼의 토션바 타단측의 측면으로 설치된 굴곡로와 일단이 플레이트체의 권취부에 고정되고 그 대략 중간부가 굴곡로에 배치된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20057013386A 2003-01-31 2004-01-29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1105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24342A JP4166095B2 (ja) 2003-01-31 2003-01-31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JP-P-2003-00024342 2003-01-31
PCT/JP2004/000793 WO2004067338A1 (ja) 2003-01-31 2004-01-29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092A true KR20050091092A (ko) 2005-09-14
KR101105623B1 KR101105623B1 (ko) 2012-01-18

Family

ID=3282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86A KR101105623B1 (ko) 2003-01-31 2004-01-29 시트 벨트 리트랙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214494A1 (ko)
EP (1) EP1600342B1 (ko)
JP (1) JP4166095B2 (ko)
KR (1) KR101105623B1 (ko)
DE (1) DE602004005320T2 (ko)
WO (1) WO2004067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0351B (en) * 2003-04-09 2006-06-07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load limiting arrangement
JP5078110B2 (ja) * 2006-06-15 2012-11-21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US7497521B2 (en) * 2006-08-30 2009-03-03 Honda Motor Co., Ltd Seat belt retractor mounting system
JP4885764B2 (ja) * 2007-02-28 2012-02-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5323223B2 (ja) * 2012-03-16 2013-10-2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装置
JP6498506B2 (ja) * 2015-04-24 2019-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306537B2 (ja) * 2015-05-29 2018-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CN107791998B (zh) * 2017-12-08 2024-02-20 沈阳金杯锦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安全带卷收器芯轴组件结构
US10434976B2 (en) 2018-02-27 2019-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US10518740B2 (en) 2018-02-27 2019-12-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US10543806B2 (en) 2018-02-27 2020-01-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US10525929B2 (en) 2018-02-27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5539C2 (de) * 1969-07-12 1984-10-25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raftbegrenzer für Sicherheitsgurte
JPS5619245U (ko) * 1979-07-19 1981-02-20
US5607118A (en) * 1995-08-11 1997-03-04 Alliedsignal Inc. Retractor with adjustable load limiting levels
JP3709231B2 (ja) * 1996-01-24 2005-10-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9286302A (ja) * 1996-04-23 1997-11-04 Nippon Seiko Kk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BR9709962A (pt) * 1996-06-26 1999-08-10 Autoliv Dev Dispositivo enrolador de cinta com dispositivo de limitação de força ajustável
US5823570A (en) * 1996-10-10 1998-10-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management
DE19733787C1 (de) * 1997-08-05 1998-12-03 Daimler Benz Ag Gurtroller für ein Sicherheitsgurtsystem eines Personensitzes
DE29718663U1 (de) * 1997-10-21 1998-02-19 Trw Repa Gmbh Kraftbegrenzter in einem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PL333492A1 (en) * 1998-06-04 1999-12-06 Trw Repa Gmbh Force-limiting sub-assembly for a safety-belt winding mechanism and safety-belt winding mechanism incorporating same
DE29816280U1 (de) * 1998-09-10 1999-01-21 Trw Repa Gmbh Vorrichtung zur Kraftbegrenzung
DE29821801U1 (de) * 1998-12-07 1999-04-0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9856364A1 (de) * 1998-12-07 2000-06-08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9927427C2 (de) * 1999-06-16 2002-11-14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JP4526631B2 (ja) * 2000-01-24 2010-08-18 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287621A (ja) * 2000-04-07 2001-10-16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1301569A (ja) * 2000-04-24 2001-10-31 Tokai Rika Co Ltd ウェビング巻取装置及び車両
JP2001347921A (ja) * 2000-05-02 2001-12-18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723423B2 (ja) * 2000-05-31 2005-12-07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
JP4323081B2 (ja) * 2000-10-26 2009-09-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721387B2 (ja) * 2000-12-08 2011-07-13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GB2387576B (en) * 2002-04-16 2004-04-14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GB2387574B (en) * 2002-04-16 2004-05-19 Breed Automotive Tech Retractor
DE20210812U1 (de) * 2002-07-17 2002-11-21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Kraftbegrenzungsfunktion
US6969022B2 (en) * 2003-10-14 2005-11-29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4494A1 (en) 2006-09-28
EP1600342B1 (en) 2007-03-14
DE602004005320D1 (de) 2007-04-26
JP4166095B2 (ja) 2008-10-15
DE602004005320T2 (de) 2007-12-20
KR101105623B1 (ko) 2012-01-18
EP1600342A1 (en) 2005-11-30
WO2004067338A1 (ja) 2004-08-12
JP2004262262A (ja) 2004-09-24
EP1600342A4 (en)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623B1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0993576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JP2002127870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91739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KR20080018165A (ko) 시트벨트장치
JP2004338614A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670280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110057066A1 (en) Seatbelt retractor
US6276626B1 (en) Seat belt retractor
JP3996779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KR20140142720A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JP5226541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WO2013179978A1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102386889B1 (ko) 시트벨트용 리트랙터
JP200214501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13049401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694765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0615998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5180005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28894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H09286302A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JP4384456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16137757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2019107922A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2018176855A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