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070A - 의료용 용기 - Google Patents

의료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070A
KR20050091070A KR1020057012734A KR20057012734A KR20050091070A KR 20050091070 A KR20050091070 A KR 20050091070A KR 1020057012734 A KR1020057012734 A KR 1020057012734A KR 20057012734 A KR20057012734 A KR 20057012734A KR 20050091070 A KR20050091070 A KR 2005009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high density
medic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6290B1 (ko
Inventor
도시하루 이와사끼
마사따까 고따니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33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3772B2/ja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플라스틱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9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6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general shape other than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 C08F29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 C08F297/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 C08F297/08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successively polymerising different monomer systems using a catalyst of the ionic or coordination type without deactivating the intermediate polymer using a catalyst of the coordination type polymerising mono-olefins the monomers being ethylene or 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7/00Methods of manufacture, assembly or pro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35/00Medical equipment, e.g. bandage, prostheses, cath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1Glass, ceramic, or sintered, fused, fired, or calcined metal oxide or metal carbide containing [e.g., porcelain, brick, cement, etc.]
    • Y10T428/1317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10T428/1321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34Nonself-supporting tubular film or bag [e.g., pouch, envelope, packe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86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rubber-like compound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09Next to secon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13Monoolefin 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에서 멸균 가능한 높은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 모두가 우수한 의료용 용기를 제공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갖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특정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특정한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 (A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A)와, 에틸렌과 1종 이상의 탄소수 4 개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내지 1.495의 범위에 있다.

Description

의료용 용기 {Medical Container}
본 발명은, 혈액, 약제 등을 충전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3년 3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60/455,564의 우선권 이익을 주장한다. 이 미국 가출원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미국 가출원은 2003년 2월 12일에 제출된 일본 출원 2003-033440을 기초로 한 것이다. 일본 출원 역시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한다.
혈액, 약제 등을 충전하는 의료용 용기는, 위생적인 것은 물론이고, 고온의 멸균 처리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 이물의 혼입 유무의 확인이나 약제 배합에 의한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성, 취급 시의 낙하나 포장, 운송 시의 봉투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내충격성,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유연성, 의료용 용기 제조 시에 필름 또는 시트가 쉽게 박리되지 않고 또한 약제가 들어간 의료용 용기와 그 외포장 봉투가 밀착하지 않는 블록킹 내성이 요구된다.
특히, 멸균력이 강한 121 ℃ 이상의 고온에서 멸균이 가능하고,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및 블록킹 내성 모두를 만족할 수 있고, 또한 공업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의료용 용기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 의료용 용기에는 연질 염화비닐 이외에,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폴리에틸렌계 재료나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과의 랜덤 또는 블럭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재료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염화비닐계 수지는 내열성, 투명성, 유연성 및 내충격성의 균형이 우수하지만 그 성능 부여를 위해 사용되는 가소제가 물약이나 식품으로 용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재료 중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내열성이나 충격 강도가 떨어지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투명성이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저밀도의 것이 사용되지만, 밀도를 낮게 하면 내열성이 부족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수지의 저분자량 성분이 용기의 블록킹 내성을 저하시키거나 약제 중에 용출하기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는 투명성이 우수하지만 내열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떨어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즉, 폴리에틸렌계 재료는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의 균형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계 재료 중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는 투명성이 우수하지만 블록킹 내성이 떨어지고, 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는 유연성, 내충격성 및 투명성의 균형이 부족하였다.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계 재료를 사용한 의료용 용기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과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는 층을 갖는 다층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또한, 최근, 메탈로센계 촉매로 제조되어, 내충격성,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계재료가 개발되어, 이 재료를 의료용 용기에 응용하려고 하는 움직임이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2층, 3층 등에 적층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한편, 폴리프로필렌계 재료를 사용한 의료용 용기에 있어서는 α-올레핀 함량이 5 내지 8 질량%인 프로필렌계 랜덤 공중합체와 특정한 에틸렌-프로필렌 및 에틸렌-부텐 랜덤 공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내열성, 투명성,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참조).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0 내지 30 % 포함하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외층으로 하고,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와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등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3층의 적층체를 중간층으로 하는 용기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참조).
또한, 결정성 폴리프로필렌과 특정한 극한 점도비를 갖는 프로필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열성형할 때 특정한 모르폴로지를 형성시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5-29316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7-125738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 8-231787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 9-26294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 10-316810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용기는 121 ℃ 이상의 온도에서의 멸균 처리 후의 투명성 유지가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고, 보다 고온 또한 단시간의 멸균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는 시장의 요구에 반드시 충분히 응하지는 않았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121 ℃ 이상에서의 고온 멸균 처리 후의 투명성이 또한 불충분한데다가 내충격성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고, 용기 낙하 시에 열용착부가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개량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수냉 인플레이션법 또는 T 다이법 등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 또는 시트는 특히 표면이 평활하게 되고, 필름, 시트 끼리 블록킹하기 쉽고, 이것을 박리하였을 때 표면에 백화 상처가 발생하기 때문에 외관이 현저히 저하되는 경우가 있었다.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수지 조성물로서는 내열성이나 투명성이 아직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용기는,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고, 특히 용량 1 L 이상의 용기에 있어서는 낙하 시의 파괴 방지의 관점에서 불충분하였다.
특허 문헌 5에 기재된 방법으로서는 도메인의 배향에 의해 내충격성 또는 열멸균 시의 열수축률의 이방성이 강하게 발현될 뿐만 아니라, 특정한 모르폴로지 형성은 성형 조건 등에 민감하여, 안정적인 품질을 유지하여 생산하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121 ℃ 이상의 온도에서 멸균 가능한 높은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의 모두가 우수한 의료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특정한 성분을 포함하고,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특정한 범위에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 의료용 용기가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하의 의료용 용기를 발명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갖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중합체 (A11)과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 (A3)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A)와, 에틸렌과 1종 이상의 탄소수 4 개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가용 분량이 20 내지 7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A)와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B)와의 비(MFRA/MFRB)가 0.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가지고, 이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가지고, 이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밀도 0.950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밀도 0.950 g/cm3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에 있어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의 두께가, 필름 또는 시트 전체 두께의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MFR은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JIS K 7210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으로 측정된 값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이하의 이유로부터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추정된다. 즉, 수지의 내열성은 결정성이 높은 수지 성분에 의해 부여되고, 내충격성은 고무와 유사한 결정성이 낮은 수지 성분에 의해 부여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통상 결정성이 높은 성분과 결정성이 낮은 성분은 굴절률의 차가 크기 때문에, 이들 성분의 혼합물은 투명성이 저하된 것이 되지만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결정성이 낮은 성분이 특정한 굴절률을 가지고 있다. 즉, 저결정성 성분을 포함한다고 추정되는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특정 범위에 있다. 따라서, 결정성이 낮은 성분과 결정성이 높은 성분과의 굴절률의 차가 작아, 투명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내열성 및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층을 1층 이상 갖는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함으로써, 투명성, 내충격성, 내열성, 유연성 및 블록킹 내성이 우수한 의료용 용기가 얻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갖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봉투상의 것이다.
여기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A)와, 에틸렌계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의 것이다.
또한, 프로필렌계 중합체 (A)는 프로필렌 중합체 (A11)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 (A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에 포함되는 프로필렌 중합체 (A11) (이하, 단순히 (A11)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포함하고, 에틸렌 함량이 5 질량% 이하인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중합체이다.
프로필렌 중합체 (A11)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이하, 「MFR」이라 한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 가공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모두 보다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O.1 내지 50 g/10 분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0 g/1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5 g/10 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에 포함되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 (이하, 단순히 (A12) 성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는 실질적으로 에틸렌 및 프로필렌만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엘라스토머로서, 프로필렌에서 유래하는 단위가 50 내지 85 질량%의 것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의 MF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 가공성, 내열성, 내충격성 모두가 보다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0.1 내지 50 g/10 분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20 g/1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5 g/10 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에서 차지하는 프로필렌 중합체 (A11)의 비율은 내열성이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A11) 성분과 (A12) 성분의 합계 100 질량%에 대하여 90 내지 30 질량%가 바람직하고, 85 내지 5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80 내지 65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이하, 단순히 (A2) 성분이라 하기도 한다)는 제1 공정에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 함량이 5 질량% 미만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를 중합하고, 계속해서 제2 공정에서, 제1 공정에서의 중합과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다른 2조를 포함하는 중합조를 사용하여, 에틸렌 함량이 10 내지 70 질량%인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중합하여 제조한 중합물 혼합체를 용융 혼련한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이다.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에 있어서, 제1 공정에서 제조되는 중합체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90 내지 30 질량%가 바람직하고, 85 내지 50 질량%가 제조의 경제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고, 80 내지 65 질량%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공정에서 얻어지는 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통상 5 질량%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4 질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미만이다. 제1 공정에서 얻어지는 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5 질량% 이상이면 멸균 시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2 공정에서 얻어지는 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은 통상 10 내지 70 질량%이고, 20 내지 60 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2 공정에서 얻어지는 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10 질량%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되기 쉽고, 70 질량%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제1 공정 및 제2 공정에서의 중합에 사용되는 촉매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지글러ㆍ나타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중합의 공정으로서는 벌크법, 용액법, 슬러리법, 기상법 및 이들을 조합한 방법의 어떤 것일 수도 있다.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 (A3) (이하, 단순히 (A3) 성분이라 하기도 한다)는 상술한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의 혼합물이다. (A2)와 (A12)의 바람직한 혼합 비율은 내열성이 보다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90:10 내지 50:5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20 내지 50: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A)는 상술한 (A1) 성분, (A2) 성분, (A3) 성분 중에서도, 안정된 성능을 발현하고, 저렴하다는 관점에서 (A2) 성분, 즉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MF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 가공성, 내열성, 내충격성 모두가 보다 우수해진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g/10분이고, 0.5 내지 20 g/10 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5 내지 5 g/10분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B) (이하, 단순히 (B) 성분이라 하기도 한다)는 에틸렌에서 유래한 단위를 주성분 (50 질량% 이상)으로 하는 에틸렌과 1종 이상의 탄소수 4 개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공중합체이다. 여기서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B)는 상기 공중합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밀도 (JIS K 7112 D법)은 투명성이 높아진다는 관점에서 통상 0.915 g/cm3 이하이고, 0.905 g/cm3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0.900 g/cm3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MFR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형 가공성, 내열성, 내충격성 모두가 우수해진다는 관점에서 0.1 내지 20 g/10 분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A) 성분 및 (B) 성분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상온에서 자일렌에 용해되는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이고, 바람직하게는 1.480 내지 1.490이다.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이러한 범위이면 내충격성, 투명성이 모두 우수하다. 한편,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미만 또는 1.495를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된다.
또한,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은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밀도를 높게 하면 높아지고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밀도를 낮게 하면 낮아진다.
여기서, 자일렌 가용분의 비율 및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은 다음과 같이 하여 구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검체 시료 10 g을 오르토 자일렌 1 L에 첨가하고, 이것을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비등 온도 (135 ℃ 정도)까지 승온하여 30 분 이상에 걸쳐 검체 시료를 완전 용해시킨다. 완전 용해를 눈으로 확인한 후, 교반하면서 100 ℃ 이하가 될 때까지 방냉하고, 또한 25 ℃로 유지한 항온조에서 2 시간 유지한다. 그 후, 석출한 성분 (자일렌 불용분 Xi)을 여과지에 의해 여별하여 여액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 여액을 온도 140 ℃에서 가열하면서 질소 기류 (1 L/분 정도)하에서 자일렌을 증류 제거, 건조함으로써 자일렌 가용분 Xs를 얻는다. 이 때, 자일렌 불용분 및 자일렌 가용분의 건조는 감압하 60 ℃에서 1 일 행한다. 자일렌 가용분의 비율은 (Xs의 질량/검체 시료의 질량)으로 구할 수 있다.
또한, 자일렌 가용분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저분자물, 비결정성의 분자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 측정으로서는, 우선 자일렌 가용분을 프레스 성형기에 의해 230 ℃에서 5 분간 예열 후, 30 초간 탈기하고, 6 MPa에서 1 분간 가압하고 30 ℃에서 3 분간 냉각하여, 두께 50 내지 80 ㎛의 필름을 얻는다. 계속해서, 이 필름을 포함하는 검체 시료를 상온에서 24 시간 방치한 후, 중간액으로서 살리실산 에틸을 사용하고, 아타고사 제조 ABBE (아베) 굴절률계에 의해 23 ℃에서 나트륨 D선에 대한 굴절률을 측정한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자일렌 가용분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 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질량%이다. 자일렌 가용분이 10 질량% 미만이면, 저온의 충격 강도가 부족하기 쉽고, 70 질량% 보다 많으면 내열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MFR (MFRA)와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MFR (MFRB)와의 비 (MFRA/MFRB)가 0.3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고, 0.3 내지 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3 내지 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MFR비가 0.3 미만이면,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부족해지는 경향이 있고, 3.0 보다 크면 필름에 피쉬 아이 (fish eye)가 발생하여 외관이 손상되기 쉽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A) 성분의 비율은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내열성이 보다 우수해진다는 관점에서 통상 40 내지 90 질량% 정도이고, 50 내지 70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를 배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에 배합할 수 있는 다른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스티렌-부타디엔 엘라스토머 및 그 수소 첨가물 등의 각종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프로필렌과 탄소수 4 개 이상의 α-올레핀과의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과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와의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다른 중합체의 함유 비율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0 질량% 중의 40 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용융 혼련법 등을 들 수 있다. (A1) 성분과 (A2) 성분과 (B) 성분을 용융 혼련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A11) 성분과 (A12) 성분과 (B) 성분을 용융 혼합한 후, (A2) 성분을 용융 혼합할 수가 있다. 이 때, (A11) 성분과 (A12) 성분과 (B) 성분을 용융 혼합하는 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A11) 성분과 (A12)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A1) 성분을 얻은 후에 (B) 성분을 용융 혼련할 수도 있고, (A11) 성분과 (A12) 성분과 (B) 성분을 동시에 용융 혼련할 수도 있다. 또한 용융 혼련은 통상 단축 또는 이축의 압출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A)와 에틸렌계 공중합체 (B)를 함유하고, 또한, 저결정 성분으로 추정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중의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 모두가 우수하다.
의료용 용기를 구성하는 필름 또는 시트는 상술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갖는 것이다. 이러한 필름 또는 시트는, 예를 들면 공냉 또는 수냉의 인플레이션 성형법, T-다이 성형법 등으로 성형된다.
또한, 이 필름 또는 시트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의 단층일 수도 있고,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일 수도 있다.
필름 또는 시트의 두께는 통상 30 내지 1000 ㎛이고, 유연성 및 강도 등을 고려하면 50 내지 700 ㎛가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또는 시트가 2층 이상인 경우에는, 투명성, 내충격성 및 내열성의 관점에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의 두께가, 필름 또는 시트의 전체 두께의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 또는 시트가 다층인 경우의 다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동종 또는 이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에,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과 같은 단층 또는 다층의 용융 수지를 적층하는 압출 적층법이나, 동종 또는 이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포함하는 것과 같은 단층체 또는 다층체를 접착제를 통해 적층하는 드라이 적층법 등을 채용할 수가 있다.
의료용 용기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으로서, 예를 들면 봉투상의 것이다. 이 의료용 용기는, 의료용 용기는 단실 용기일 수도 있고, 쉽게 박리되는 구획부 또는 수지제의 칸막이 부재 등에 의해서 구획된 복실 용기일 수도 있다. 또한, 의료용 용기에는, 필요에 따라서 주입 또는 출입용의 입구 부재 또는 혼주 (混注)용의 다른 약제 용기가 열융착 등의 수단에 의해서 부착될 수도 있다.
의료용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술한 필름 또는 시트를 재단하고, 그 주연부를 열융착하여 원하는 용기 형상으로 만들어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재단, 열융착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다.
필름 또는 시트를 용기 형상으로 할 때의 열융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열판 융착법, 고주파 융착법, 초음파 융착법 등의 용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단, 열융착 온도, 열융착부의 형상 등의 열융착 조건은 의료용 용기의 외관이나 내충격성 등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조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료용 용기는 단층의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되면 간편하게 제조된다. 한편, 다층의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되면 위생성, 내열성 등이 더욱 향상된다.
특히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갖는 다층체이고, 이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내측에 배치되 도록 제조된 의료용 용기는, 이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에 약제가 접촉하기 때문에 위생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의 내충격성, 열융착부의 외관, 강도 등이 향상된다.
또한,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다층체이고, 이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의료용 용기는 저온에서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특히, 이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최외층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의료용 용기는 의료용 용기의 외포장재와의 블록킹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내측 및 외측에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갖는 의료용 용기는 특히 바람직한 형태이다.
또한, 필름 또는 시트가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다층체이고, 이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층이 내측 및(또는)외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의료용 용기는 보다 내열성이 우수하다.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 및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에 포함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과 소량의 탄소수 3 내지 12 개의 α-올레핀과의 에틸렌ㆍα-올레핀 공중합체이다. 에틸렌ㆍα-올레핀 공중합체의 α-올레핀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옥텐, 1-데센 및 1-도데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이들 중에서도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및 1-옥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지글러ㆍ나타 촉매 또는 메탈로센 촉매가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슬러리법, 기상법, 용액법 등 각종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 (JIS K 7112 D법)은 통상 0.940 g/cm3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950 g/cm3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5 g/cm3 이상이다. 밀도가 0.940 g/cm3 미만이면 내열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고, 121 ℃를 초과하는 온도에서의 멸균 처리 시에 변형, 수축하거나 투명성이 저하되기도 할 가능성이 있다, .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MFR (JlS K 7210 준거, 190 ℃, 하중 21.18 N)은 0.1 내지 50 g/10 분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g/10 분이다. MFR이 0.1 내지 50 g/10 분 정도이면 성형 시의 용융 장력이 적절한 범위가 되어 필름 또는 시트를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다.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 및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를 배합할 수가 있다. 다른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프로필렌ㆍ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프로필렌ㆍα-올레핀 블럭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ㆍ프로필렌엘라스토머, 스티렌-부타디엔 엘라스토머 등의 각종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과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및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중합체를 배합하는 목적은 의료용 용기의 주연부나 복실 용기의 분리하기 쉬운 구획부의 박리 강도의 조정 등에 있다.
단, 다른 중합체를 배합할 경우에는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 및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에는 밀도 0.950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통상 2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90 질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 0.950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20 질량% 이상 포함되어 있으면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 또는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설치하여도 121 ℃ 이상에서의 가열 멸균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필름의 블로킹 내성이 보다 향상된다.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 및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90 질량% 이상 포함할 때는 5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얻어진 의료용 용기는, 약제를 충전 후, 고압 증기 멸균하여 사용된다. 증기 멸균의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100 내지 140 ℃이다. 또한, 고온 고압 가열 멸균과 동시에 자외선, 전자선 등 다른 공지된 멸균법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의료용 용기는, 상술한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의 모두가 우수하다. 특히, 멸균 효과가 높은 121 ℃ 이상에서 멸균하여도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 모두가 우수하기 때문에 유용하다.
또한 의료용 용기에 사용되는 수지 재료 중 어디에도, 필요에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사용되는 공지된 첨가제, 예를 들면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앤티 블로킹제, 방담제, 핵제, 유기 및 무기계의 안료, 자외선 흡수제, 분산제 및 탈크 및 탄산칼슘 등의 증강제 등을 적절하게 배합할 수가 있다. 단, 그 배합량은 의료 분야에서 인정되는 범위 내이고, 특히 내용물과 직접 접하는 층에는 배합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의 기재에 있어서 백분률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5)
<수지 재료>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수지는 다음과 같다.
[프로필렌 중합체 (A11)]
A11-1: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선알로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PL300A): MFR 1.7 g/10 분, 자일렌 가용분 0.5 %.
A11-2: 에틸렌 함량 3 질량%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 (선알로마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PB222A): MFR 0.8 g/10 분, 자일렌 가용분 3.1 %.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
A12-1: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미쓰이 가가꾸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타프머 P0680): MFR 0.7 g/10 분, 밀도 0.885 g/cm3.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A2-1: 제1 공정의 중합 및 제2 공정의 중합으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로서, 제1 공정에서 얻어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75 % 포함하고, 제2 공정에서 얻어진 에틸렌 함량 35 %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25 % 포함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MFR 1.0 g/10 분, 자일렌 가용분 26 %. 이러한 A2-1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1) 고체 촉매의 제조
무수 염화마그네슘 56.8 g을, 무수 에탄올 100 g, 이데미쓰 고산(주) 제조의 바세린 오일 「CP15N」 500 mL 및 신에쯔 실리콘(주) 제조의 실리콘 오일 「KF96」 500 mL 중, 질소 분위기하, 120 ℃에서 완전히 용해시켰다. 계속해서 이 혼합물을 도꾸슈 기까 고교(주) 제조의 TK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120 ℃에서, 5000 회전/분으로 2 분간 교반하였다. 그리고 교반을 유지하면서 2 리터의 무수 헵탄 중에 0 ℃를 넘지 않도록 이송하여 백색 고체를 석출시켰다. 얻어진 백색 고체를 무수 헵탄으로 충분히 세정하여 실온하에서 진공 건조하고, 또한 질소 기류하에서 부분적으로 탈에탄올화하였다. 얻어진 MgCl2ㆍ1.2 C2H5OH의 구상 고체 30 g을 무수 헵탄 20O mL 중에 현탁시키고, 0 ℃에서 교반하면서 4 염화 티탄 500 mL를 1 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계속해서 가열하고, 40 ℃가 되었을 때 프탈산디이소부틸 4.96 g을 가하고, 100 ℃까지 약 1 시간 정도 승온하였다. 100 ℃에서 2 시간 반응시킨 후, 열시 여과로 고체 부분을 채취하고, 그 후, 이 반응물에 사염화 티탄 500 mL를 가하여 교반한 후, 120 ℃에서 1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재차, 열시 여과로 고체 부분을 채취하고, 60 ℃의 헥산 1.0 리터로 7 회, 실온의 헥산 1.0 리터로 3 회 세정하여 고체 촉매를 얻었다. 얻어진 고체 촉매 성분 중의 티탄 함유율을 측정하였더니 2.36 질량%였다.
(2) 예비 중합
질소 분위기하, 3 리터의 오토 클레이브 중에, n-헵탄 500 mL, 트리에틸알루미늄 6.0 g,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0.99 g, 상술된 바와 같이 하여 얻은 중합 촉매 10 g을 투입하고, 0 내지 5 ℃의 온도 범위에서 5 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중합 촉매 1 g 당 1O g의 프로필렌이 중합하도록 프로필렌을 오토 클레이브 중에 공급하고, 0 내지 5 ℃의 온도 범위에서 1 시간 예비 중합하였다. 얻어진 예비 중합 촉매는 n-헵탄 500 mL로 3 회 세정하여 이하의 본 중합에 사용하였다.
(3) 본 중합
(제1 단계: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의 제조)
질소 분위기하, 내용적 60 리터의 교반기가 부착된 오토 클레이브에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예비 중합 고체 촉배 2.0 g, 트리에틸알루미늄 11.4 g,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1.88 g을 넣고, 계속해서 프로필렌 18 kg, 프로필렌에 대하여 5000 mol ppm의 수소를 투입하고, 70 ℃까지 승온시켜 1 시간 중합하였다. 1 시간 후, 미반응의 프로필렌을 제거하여 중합을 종결시켰다.
(제2 단계: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제조)
상기와 같이, 제1 단계의 중합이 종결한 후, 액체 프로필렌을 제거하고, 온도 75 ℃에서 에틸렌/프로필렌=26/74 (질량비)의 혼합 가스 2.2 Nm3/시간과 수소를 에틸렌, 프로필렌 및 수소의 합계량에 대하여 40000 mol ppm이 되도록 공급하여, 60 분간 중합하였다. 그 후, 미반응 가스를 제거하여 중합을 종결시켰다. 그 결과 6.6 kg의 중합물 혼합체가 얻어졌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합물 혼합체의 100 질량부에, 페놀계 산화 방지제 0.30 질량부, 스테아린산 칼슘 0.1 질량부를 첨가하고, 헨쉘 믹서에 의해 실온하에서 3 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크류 구경 40 mm의 압출기 (나까다니 VSK형 40 mm 압출기)에 의해 실린더 설정 온도 210 ℃에서 용융 혼련하여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A2-1)의 펠릿을 얻었다.
A2-2; 제1 공정의 중합 및 제2 공정의 중합으로 얻어진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로서, 제1 공정에서 얻어진 에틸렌 함량 2 %의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를 80 % 포함하고, 제2 공정에서 얻어진 에틸렌 함량 50 %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를 20 % 포함하는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MFR 1.0 g/10 분, 자일렌 가용분 26 %. 이러한 A2-2는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하였다.
(제1 단계: 프로필렌-에틸렌 랜덤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분위기하, 내용적 60 리터의 교반기 부착 오토 클레이브에 상기 A2-1의 제조 방법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된 예비 중합 고체 촉매 2.0 g, 트리에틸알루미늄 11.4 g, 시클로헥실메틸디메톡시실란 1.88 g을 넣고, 계속해서 프로필렌 18 kg, 에틸렌 120 L, 프로필렌에 대하여 6500 mol ppm의 수소를 투입하여 70 ℃까지 승온시켜 1 시간 중합하였다. 1 시간 후, 미반응의 프로필렌을 제거하였다.
(제2 단계: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의 제조)
에틸렌/프로필렌 혼합 가스의 질량비를 44/56으로 하고, 수소를 40000 mol ppm이 되도록 공급하여, 40 분간 중합하였다. 그 후, 미반응 가스를 제거하여 중합을 종결시켰다. 그것 이외에는 상술한 A2-1의 제조와 동일하게 중합하였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의해서 5.7 kg의 중합물 혼합체가 얻어졌다.
그리고, 상기한 중합물 혼합체로부터 A2-1의 제조와 동일하게 하여 프로필렌-에틸렌 블럭 공중합체 (A2-2)의 펠릿을 얻었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B)]
B-1: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JSR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EBM2021P): MFR 2.6 g/10 분, 밀도 0.88 g/cm3.
B-2: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미쓰이 가가꾸사 제조, 타프머 A4085): MFR 6.7 g/10 분, 밀도 0.88 g/cm3.
B-3: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JSR 가부시끼 가이샤 제조 EBM3021P): MFR 2.6 g/10 분, 밀도 0.86 g/cm3.
B-4: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듀퐁 다우 엘라스토머사 제조 인게이지 8480): MFR 2 g/10 분, 밀도 0.902 g/cm3.
[그 밖의 성분]
PE 1: 고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55 g/cm3, MFR 3.0 g/10 분.
PE 2: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밀도 0.905 g/cm3, MFR 1.0 g/10 분.
<수지 재료의 물성 측정>
MFR: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각 성분 및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MFR은 JIS K 7210에 준거하여 230 ℃, 하중 21.18 N으로 측정하였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MFR은 JIS K 7210에 준거하여 190 ℃, 하중 21.18 N으로 측정하였다.
밀도: JIS K 7112 D법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자일렌 가용분: 발명의 실시 형태란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굴절률: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란에 기재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제조>
상기한 수지 재료를 표 1에 나타내는 조성 비율로 배합하고, 헨쉘 믹서로 3 분간 혼합 후, 단축 스크류의 압출기를 이용하여, 온도 230 ℃에서 용융 혼련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펠릿을 얻었다.
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물성에 대해서는 표 2에 나타낸다.
<필름의 제조>
상술한 바와 같이 얻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펠릿을, 3층의 수냉식 인플레이션 성형기로 온도 230 ℃에서, 전체 두께 250 ㎛의 통상 필름으로 성형하였다. 또한 통상 필름이 2층 필름인 경우는 내층의 두께를 20 ㎛로 하고, 3층인 경우는 내층 및 외층을 모두 20 ㎛로 하였다.
또한, 단층 필름을 두께가 250 ㎛가 되도록 수냉식 인플레이션 성형기로 성형하였다.
1)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MFR(230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MFR(230 ℃)
<의료용 용기 및 측정용 샘플의 제조>
통상 필름의 내면 끼리를 중첩시킨 상태에서, 길이 20 cm, 폭 20 cm로 절단한 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실링 폭 10 mm로 열 융착함과 동시에 내부에 물 500 mL를 충전하여 봉투상의 의료용 용기를 제조하였다. 이 때, 열융착은 열판 히트 실링기 (테스터 산교사 제조 히트 실러)를 사용하고, 압력을 0.4 MPa, 실링 온도를 170 ℃, 실링 시간을 1 초로 하였다. 얻어진 의료용 용기를 121 ℃, 30 분간으로 멸균 처리하여, 이하의 각종 물성 측정의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단, 블록킹 내성 평가용 샘플만은 내부에 2 mL의 물을 충전하고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안의 공기를 뽑아서 내층끼리가 거의 밀착한 상태에서 121 ℃ 멸균 처리한 것으로 하였다.
<각종 물성의 측정>
이하의 각종 물성 측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내열성]
멸균 처리 후의 용기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
○: 변형 및 주름이 없다.
×: 변형되고 주름이 많다.
[내충격성]
멸균 처리 후의 용기를 4 ℃로 냉각하고, 높이 100 cm에서 5 개를 수평으로 하여 단단한 마루에 낙하시켜 용기가 찢어진 것의 갯수를 조사하였다.
[투명성]
멸균 처리 후의 용기에 대해서 일본 약국방 개정판 14, 플라스틱성 의약품 용기 시험법의 투명성 시험에 준하여 히타치사 제조 U-3300을 사용하여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블록킹 내성]
멸균 처리 후의 용기를, 23 ℃에서 24 시간 방치하고, 내면 끼리를 잡아 당겨 뗄 때의 박리에 필요한 힘의 정도와, 그 박리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와 같이 판정하였다.
○: 쉽게 박리된다.
×: 박리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9의 의료용 용기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A) 및 에틸렌계 중합체 (B)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되고,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내열성, 내충격성, 투명성, 블록킹 내성이 우수하였다.
한편, 비교예 1, 2, 4의 의료용 용기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에 투명성이 낮았다.
또한, 비교예 3의 의료용 용기는 프로필렌계 중합체 (A) 만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필름으로부터 제조되고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투명성 및 충격 내성이 낮았다.
비교예 5의 의료용 용기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의 범위에서 벗어나 있었기 때문에 투명성이 낮았다. 또한 내측 및 외측에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층이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내열성 및 블로킹 내성이 불충분하였다.
본 발명의 의료용 용기는 121 ℃ 이상의 온도에서 멸균 가능한 높은 내열성을 가짐과 동시에 투명성, 내충격성, 유연성, 블록킹 내성 모두 우수하였다.

Claims (8)

  1.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을 1층 이상 갖는 필름 또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로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중합체 (A11)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중합체 조성물 (A1),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A2)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A12)와의 혼합물인 프로필렌계 블럭 공중합체 조성물 (A3)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프로필렌계 중합체 (A)와, 에틸렌과 1종 이상의 탄소수 4 개 이상의 α-올레핀을 포함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B)를 포함하고, 자일렌 가용분의 굴절률이 1.480 내지 1.495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가용 분량이 20 내지 70 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계 중합체 (A)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A)와 에틸렌계 공중합체 (B)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B)와의 비 (MFRA/MFRB)가 0.3 내지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가지고,
    이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내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또는 시트가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을 가지고,
    이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외측에 배치되도록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밀도 0.950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층이, 밀도 0.950 g/cm3 이상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20 질량%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수지층의 두께가, 필름 또는 시트의 전체 두께의 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용기.
KR1020057012734A 2003-02-12 2004-02-10 의료용 용기 KR10073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33440 2003-02-12
JP2003033440A JP4393772B2 (ja) 2003-02-12 2003-02-12 医療用容器
US45556403P 2003-03-19 2003-03-19
US60/455,564 2003-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070A true KR20050091070A (ko) 2005-09-14
KR100736290B1 KR100736290B1 (ko) 2007-07-09

Family

ID=3507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734A KR100736290B1 (ko) 2003-02-12 2004-02-10 의료용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66485B2 (ko)
EP (1) EP1592382B1 (ko)
KR (1) KR100736290B1 (ko)
AT (1) ATE392881T1 (ko)
DE (1) DE602004013277T2 (ko)
RU (1) RU2311165C2 (ko)
TW (1) TWI254062B (ko)
WO (1) WO20040713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7358A (ja) * 2003-09-22 2005-04-14 Showa Denko Plastic Products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成形体及び容器
EP2030996A1 (en) * 2007-08-31 2009-03-04 Borealis Technology Oy Polyolefin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1712236B1 (ko) * 2010-06-03 2017-03-03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분포 포장체
CN103042765A (zh) * 2013-01-27 2013-04-17 海宁长宇镀铝材料有限公司 特超低温热封cpp镀铝膜及其生产工艺
KR101523193B1 (ko) * 2013-08-30 2015-05-28 (주)에이치에스지 온열치료기용 업다운 기어드모터
EP3692095B1 (en) * 2017-10-03 2021-09-08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lyolefin composition
WO2023032580A1 (ja) * 2021-08-30 2023-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多層フィルム、包装材及び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4102T2 (de) * 1988-11-24 1994-07-07 Sumitomo Chemical Co Sauerstoffabsorbierende thermoplastische Kunstharzfolie.
JPH0462948A (ja) * 1990-07-02 1992-02-27 Seiko Epson Corp 半導体装置
EP0564206A2 (en) * 1992-03-30 1993-10-06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container
JP2550256B2 (ja) * 1992-04-22 1996-11-06 昭和電工株式会社 医療用バッグ
JP3091069B2 (ja) 1992-12-28 2000-09-25 三井化学株式会社 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EP0634270B1 (en) 1993-02-04 2001-05-09 Otsuka Pharmaceutical Factory, Inc. Multilayered film and container
JP3076862B2 (ja) 1993-02-04 2000-08-14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JP3098895B2 (ja) 1993-06-28 2000-10-16 三菱化学株式会社 液体用容器
JP3399136B2 (ja) 1995-02-24 2003-04-21 三菱化学株式会社 医療バッグ用重合体組成物及び医療用バッグ
JPH09262948A (ja) * 1996-03-28 1997-10-07 Mitsui Petrochem Ind Ltd 樹脂積層体およびその用途
TW400341B (en) * 1997-05-22 2000-08-01 Chisso Corp Propyene polymer blends, processes of producing the same, an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JP3024082B2 (ja) 1997-05-22 2000-03-21 チッソ株式会社 プロピレン系ポリマーブレン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54422B2 (ja) * 2000-05-16 2012-06-13 三井化学株式会社 エチレン系共重合体、および該共重合体を含むエチ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US7317045B2 (en) * 2005-09-06 2008-01-08 Natalino Zanchetta Polyethylene modified asphal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6290B1 (ko) 2007-07-09
EP1592382A1 (en) 2005-11-09
TW200500410A (en) 2005-01-01
DE602004013277D1 (de) 2008-06-05
WO2004071375A1 (en) 2004-08-26
TWI254062B (en) 2006-05-01
US7566485B2 (en) 2009-07-28
DE602004013277T2 (de) 2009-05-28
RU2311165C2 (ru) 2007-11-27
US20060051534A1 (en) 2006-03-09
ATE392881T1 (de) 2008-05-15
EP1592382B1 (en) 2008-04-23
RU2005121922A (ru) 2006-04-10
WO2004071375A8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22538B2 (ja) レトルト処理可能な組成物
JP2009154332A (ja) 積層体
JP5144573B2 (ja) 医療容器用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医療用容器
AU2009278069A1 (en) Composition based on polypropylene compounds with styrenic based elastomers
EP1106644A1 (en) Easily peelable film and medical packaging container
JP6097605B2 (ja) 医療用袋
KR100736290B1 (ko) 의료용 용기
JP4393772B2 (ja) 医療用容器
JP2006306476A (ja) ポリプロピレン系医療用ブロー容器
US20070122577A1 (en) Polypropylene-base molded article and container
JP6434844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16106792A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5219485A (ja) 積層体及びそれからなる医療用袋
JP2003096263A (ja) 軟質チューブ
JPH0440956A (ja) 医療用袋
TWI813660B (zh) 容器
JP6574333B2 (ja) 医療用複室容器
JP2001219517A (ja) 多層フィルム
JP2675840B2 (ja) 医療用袋
JP6661877B2 (ja) 医療用容器
JPH07164604A (ja) 医療容器用基材
JP2016187433A (ja) 医療用複室容器
JPH06105888A (ja) 医療容器用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医療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