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093A - 회로 기판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093A
KR20050084093A KR1020057009925A KR20057009925A KR20050084093A KR 20050084093 A KR20050084093 A KR 20050084093A KR 1020057009925 A KR1020057009925 A KR 1020057009925A KR 20057009925 A KR20057009925 A KR 20057009925A KR 20050084093 A KR20050084093 A KR 2005008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connection terminal
connection
connection part
boar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끼라 아오찌
히로유끼 호미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덴빠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09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기간부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회로 기판 접속 단자{CIRCUIT BOARD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2개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2개의 회로 기판을 접속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로서, 제품 조립 후에도 해체 가능한 소켓 하우징 타입과 제품 조립 시에 납땜하여 고정하는 타입이 있다. 후자의 납땜하여 고정하는 타입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간부(基幹部)(2)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1),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회로 기판 접속부(4), 제2 접속부(4)와 기간부(2) 사이에 위치하는 리드부(3)를 구비한다. 기간부(2)에는 상기 기간부(2)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보조 접속부(21)를 구비하고 있고, 제1 회로 기판에 제1 접속부(1)와 보조 접속부(21)의 2점에서 접속함으로써 접속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튜너 등의 전자 부품(7)은 VTR 등의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경우, 상기 회로 기판의 부착 면적을 좁게 하기 위해, 세워서 배치된다. 그래서, 전자 부품 내에서 면적이 넓은 면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로 기판의 면적이 좁은 면으로부터 제2 접속부(4)를 인출하기 위해,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제1 접속부(1) 및 보조 접속부(21)는 절곡되어 상기 전자 부품 내의 회로 기판에 접속된다.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외형은,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표리면에 주석, 니켈 등의 도금층(6)이 형성된 1매의 도전성 판재(5)를 프레스 절단하여 형성한다. 그로 인해, 제1 접속부(1), 제2 접속부(4) 및 보조 접속부(21)의 횡단면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프레스 절단에 있어서의 절단면(11)은 도금층(6)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전면에 도금층이 형성된 것에 비해 땜납 습윤성이 낮다. 또한, 회로 기판 접속 단자를 구비한 전자 부품은 사용자에게 출하하여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에 부착할 때까지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다. 그 동안에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제2 접속부가 산화되거나, 녹이 생김으로써 땜납 습윤성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프레스 절단 후에 재도금을 실시함으로써의 전면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단자에 재도금을 실시하면 공정이 증가하는 동시에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재도금 공정은 통상 도금액이 들어간 통형 용기 속에 피도금 시료를 넣고, 상기 통형 용기를 회전시키는 바렐 도금 방법이 이용되지만, 이 공정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변형되거나 얽히거나 하여 수율을 저하시켜 한층 비용 상승으로 연결된다. 또한, 비용을 삭감하기 위해 도전성 판재에 얇은 것을 이용하면,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제조 공정 및 회로 기판으로의 부착 공정에 있어서, 절곡 수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재도금 공정을 행하지 않고 양호한 납땜을 행할 수 있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제조도 및 측면도이다.
도2는 도1의 A부분의 확대도 및 그 상면도이다.
도3은 도2에 있어서의 B-B의 단면도이다.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D-D의 단면도이다.
도5는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도6은 도5에 있어서의 B-B의 단면도이다.
도7은 도5에 있어서의 D-D의 단면도이다.
도8은 제3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접속부의 가공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9는 그 밖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접속부의 단면도이다.
도10은 제1 실시예의 제2 접속부를 회로 기판의 접속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1은 종래 제품의 제2 접속부를 회로 기판의 접속 구멍에 삽입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 접속부의 횡단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프레스 성형형 단자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4는 제2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회로 기판의 배치 형상도이다.
도15는 종래의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 절단하는 공정 전(a) 및 공정 후(b)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기간부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상기 구성에다가 상기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대향하고 있는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 사이에 간극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기간부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하고, 절단면이 상기 통형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굴곡시키고 있다.
제2 접속부의 도금층이 외주면이 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여분의 도금 공정을 행하지 않고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가공함으로써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보다도 얇은 도전성 판재를 이용할 수 있고,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을 대향시킴으로써 외주면에 도금되어 있지 않은 절단면이 나타나지 않고,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 사이에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땜납이 상기 간극으로 인입하여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하고, 절단면이 상기 통형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굴곡시킴으로써 납땜이 행해지는 외주면으로부터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절단면까지의 거리가 길어진다. 그로 인해, 절단면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녹이 외주면에 도달하기 어려워져 양호한 납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기간부(2)와, 전자 부품 내의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1)와, 전자 기기 내의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회로 기판 접속부(4)와, 제2 접속부(4)와 기간부(2) 사이의 리드부(3)와, 기간부(2)의 일부로부터 형성된 보조 접속부(21)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이용하는 통형 형상이라 함은, 내부 공동(16)을 갖는 형상이면 좋고, 외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면 통형의 예로서,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도12의 (a)], 타원형[도12의 (b)], 장원형[도12의 (c)]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외형은 제2 접속 회로의 단자 구멍의 형상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전성 판재에 이용하는 도금층은 도전율이 높은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등이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주석 도금을 실시한 도전성 판재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외형은 표리면에 주석의 도금층이 실시된 양철판 등의 도전성 판재(13)를 프레스 절단에 의해 상기 단자의 간격(P)이 4㎜가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 후,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4)에 있어서의 절단면(11)을 대향시켜 횡단면을 통형으로 가공하였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부(3)의 절단면(11)을 대향시켜 횡단면이 O자형이 되도록 가공하고,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회로 기판 접속 단자를 완성시켰다.
또한, 상기 단자의 제1 접속부(1) 및 보조 접속부(21)는 전자 부품의 횡방향에 배치된 회로 기판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제2 접속부(4)를 인출하기 위해, 제2 접속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가공을 실시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정면도 및 상면도이다. 제2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스 절단에 의해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외형을 형성한 후,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11)이 밀착하지 않도록 간극을 마련하고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횡단면을 형(型)으로 가공하였다. 그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부를, 상기 절단면을 횡단면 C자형으로 가공하여 보강하고 회로 기판 접속 단자를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전성 판재를 프레스 절단에 의해 외형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접속부를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제2 접속부의 절단면 양단부를 예각으로 절곡하고, 그 후, 수공정으로 서서히 횡단면이 통 형상이 되도록 가공해 가고, 상기 절단면이 통 형상의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였다. 그 후,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부를 상기 절단면을 횡단면 C자형으로 가공하여 보강하고 회로 기판 접속 단자를 완성시켰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제1 접속부(1) 및 보조 접속부(21)를 납땜에 의해 제1 회로 기판에 부착하고, 제2 접속부(4)를 제2 회로 기판에 납땜에 의해 부착하여 사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납땜되는 상기 단자의 제2 접속부(4)의 외주면에는 도전성 판재(13)의 프레스 절단 후의 절단면(11)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종래 제품에 비해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단자는 제2 접속부(4) 양단부의 절단면(11) 사이에 미세한 간극을 마련함으로써 모세관 현상에 의해 땜납이 상기 간극으로 인입하여 땜납 습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단자는 제2 접속부(4)의 절단면(11)을 통 형상의 내부로 굴곡시킴으로써, 납땜이 행해지는 외주면으로부터 도금이 실시되어 있지 않은 절단면(11)까지의 거리를 마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절단면(11)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녹이 진행되어 도금된 표면까지 침식해도 녹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까지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양호한 납땜을 행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상기 절단면이 통 형상의 내측이 되도록 형성하면 좋고,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접속부의 납땜을 행하는 부분의 절단면을 통 형상의 내측으로 말아 넣도록 가공한 형상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제품의 기판과 납땜하는 부분이 직사각형인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원형의 단자 접속 구멍(14)에 삽입한 경우, 상기 납땜 부분과 원형의 단자 접속 구멍과의 간극이 일정하지 않고 거리가 있는 부분이 생기기 때문에 접속 강도가 약하다. 그것에 대해 본 발명의 단자의 제2 접속부(4)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단면이 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원형의 단자 접속 구멍(14)과의 간극(15)이 일정해지므로 접속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제2 접속부(4)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한 상기 단자는 절곡 가공을 가하지 않은 종래 제품에 비해 상기 제2 접속부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 제품보다도 얇은 도전성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비용 절감으로도 이어진다. 또한, 리드부에도 실시예와 같이 횡단면 O자형 또는 C자형 등의 절곡 가공을 가함으로써 상기 단자의 기계적 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기간부의 일부로부터 형성되는 보조 접속부를 갖고, 제1 접속부 및 보조 접속부가 제2 접속부에 대해 직각으로 절곡 가공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였지만, 제1 접속부의 수 및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응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단자의 제1 접속부를 튜너 등의 세워 배치하는 전자 부품에 이용함으로써, 회로 상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단자의 제2 접속부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 및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전자 부품을 사용자에게 출하하고, 그 후, 전자 기기의 회로 기판에 부착할 때까지 일정 시간이 경과해도 양호한 납땜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제2 접속부의 외주면에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납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접속부의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므로, 종래보다도 얇은 도전성 판재를 이용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비용을 삭감시킬 수 있다.

Claims (9)

  1. 기간부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이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대향하고 있는 제2 접속부 양단부의 절단면 사이에 간극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리드부를 갖고, 상기 리드부에 보강을 위한 절곡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공은 상기 리드부의 절단면을 횡단면 O자형 또는 C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6. 기간부와, 제1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1 접속부와, 제2 회로 기판에 접속되는 제2 접속부를 갖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 접속 단자는 표리면에 도금층을 설치한 도전성 판재를 절단한 후, 상기 도금층이 제2 접속부의 외주면이 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횡단면 통형으로 형성하고, 절단면이 상기 통형 형상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접속부를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간부와 상기 제2 접속부 사이에 리드부를 갖고, 상기 리드부에 절곡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가공은 상기 리드부의 절단면을 횡단면 O자형 또는 C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 접속 단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회로 기판 접속 단자의 제1 접속부가 접속된 제1 회로 기판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을 전기 기기 내에 배치된 제2 회로 기판 상에 상기 전자 부품을 세워서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 방법.
KR1020057009925A 2002-12-03 2003-12-03 회로 기판 접속 단자 KR200500840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50834 2002-12-03
JPJP-P-2002-00350834 2002-12-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093A true KR20050084093A (ko) 2005-08-26

Family

ID=32463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925A KR20050084093A (ko) 2002-12-03 2003-12-03 회로 기판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35742B2 (ko)
EP (1) EP1577978A4 (ko)
KR (1) KR20050084093A (ko)
CN (1) CN1720644B (ko)
AU (1) AU2003289152A1 (ko)
WO (1) WO20040518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2242983A1 (en) 2011-04-12 2013-10-03 Ticona Llc Umbilical for use in subsea applications
US9012781B2 (en) 2011-04-12 2015-04-21 Southwire Company, Llc Electrical transmission cables with composite cores
BR112013025217B8 (pt) 2011-04-12 2021-03-23 Ticona Llc haste compósita e método para a formação de uma haste compósita
CN102290661B (zh) * 2011-08-04 2013-03-13 苏州海创电子有限公司 卷圆端子及其制作方法
CN207781937U (zh) * 2018-01-04 2018-08-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4955A (en) * 1972-05-17 1973-10-09 Amp Inc Connecting and mounting means for substrates
US3897992A (en) * 1974-07-17 1975-08-05 Amp Inc Crimping connector means for fine wires
US4076356A (en) * 1976-10-18 1978-02-28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Interconnection pin for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s
US4150355A (en) * 1978-01-04 1979-04-1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splices for wire wound resistors
JPS6328529Y2 (ko) * 1978-09-28 1988-08-01
US4401352A (en) * 1981-10-19 1983-08-30 Amp Incorporated Connector system for connecting a ceramic substrate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S6328529A (ja) 1986-07-17 1988-02-06 Mitsubishi Electric Corp 産業用ロボツトを用いた組立部品構造
US4867691A (en) * 1987-10-29 1989-09-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 having expansible barrel with a layer of reflowable solder material thereon
JPH05121142A (ja) * 1991-10-31 1993-05-18 Yazaki Corp 基板用端子の製造方法
JPH05266936A (ja) * 1992-03-16 1993-10-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ードコムとプリント基板の接合構造
JP3082453B2 (ja) 1992-08-07 2000-08-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H0658564U (ja) * 1993-01-21 1994-08-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プリント基板組み立て体
US5980336A (en) * 1995-06-09 1999-11-09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Electrical terminal
JP4295384B2 (ja) * 1999-03-08 2009-07-1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043914A (ja) * 1999-07-28 2001-02-16 Sumitomo Wiring Syst Ltd 基板用コネクタ
JP3831169B2 (ja) 2000-01-25 2006-10-1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プレスイン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
US6565367B2 (en) * 2001-01-17 2003-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mpliant pin contact and assembly
US6599145B2 (en) * 2001-07-19 2003-07-29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Twist lock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1373A1 (en) 2006-01-19
US7235742B2 (en) 2007-06-26
CN1720644B (zh) 2010-04-14
EP1577978A4 (en) 2007-08-22
CN1720644A (zh) 2006-01-11
AU2003289152A8 (en) 2004-06-23
EP1577978A1 (en) 2005-09-21
AU2003289152A1 (en) 2004-06-23
WO2004051810A1 (ja) 2004-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77714A (ko) 동축 케이블 하네스의 접속 구조체
CN112735822B (zh) 陶瓷电子部件
JP2002343475A (ja) Stm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84093A (ko) 회로 기판 접속 단자
JP2000030834A (ja) 基板用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1143577B1 (en) Conductive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297825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60052128A (ko) 케이블 커넥터
JPH065137U (ja) 表面実装用電気コネクタに於ける端子
JP3406257B2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346421B2 (ja) 回路基板接続端子
KR100304514B1 (ko) 평평한가요성회로를사용하는전자장치및그제조방법
JPH02232986A (ja) 基板及びその製造法
JP2001126797A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
JPH08273798A (ja) Smtコネクタ用コンタクトの製造方法
JP2736589B2 (ja) 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036477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010010341A (ko) 플렉시블 기판의 단자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2000195598A (ja) コネクタと基板の接続構造
JPH09199242A (ja) プリント配線板一体型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0177672B1 (ko) 유전체 필터의 공진기
JPH0418450B2 (ko)
JP2001352182A (ja) シャーシ構造
JP2002289291A (ja) スプリングコネクター用部品及びスプリングコネクター
GB2341280A (en) Terminal conne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