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824A -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824A
KR20050083824A KR1020057007166A KR20057007166A KR20050083824A KR 20050083824 A KR20050083824 A KR 20050083824A KR 1020057007166 A KR1020057007166 A KR 1020057007166A KR 20057007166 A KR20057007166 A KR 20057007166A KR 20050083824 A KR20050083824 A KR 200500838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ata transmission
node
data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 미즈구치
노부히코 야스이
노보루 가타
다카히사 사카이
유타카 다카히라
히로츠구 가와다
도시모토 우메이
다카시 아키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82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9Details regarding the setting of the power status of a node according to activity on the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제어기(2), 수신부(5), 송신부(6), MPU(3)를 구비하고 있다. 수신부(5)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그 데이터를 제어기(2)에 출력한다. 송신부(6)는 제어기(2)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장치에 송신한다. MPU(3)는, 자신의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제어기(2), 수신부(5), 및 송신부(6)의 동작을 제어한다. 수신부(5)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여, 그 검출에 따라서 그 동작을 정지한다. 송신부(6)는, 검출에 따라서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Description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링(ring)형으로 각 데이터 전송 장치를 전송로에 의해 접속하여,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 내비게이션(car navigation)이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라고 하는 인터넷이나 화상 정보를 자동차내 등의 공간에 있어서 전송하는 경우, 대용량이고 고속의 통신이 요구된다. 이러한 디지털화한 영상이나 음성 데이터, 혹은 컴퓨터 데이터 등의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방식의 검토가 활발히 행해져, 자동차내 등의 공간에 있어서도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의 도입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 차내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위상 기하학을 링·위상 기하학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를 링·위상 기하학으로 접속시킴으로써 일방향의 링형 LAN를 형성하고, 오디오 기기, 내비게이션 기기, 혹은 정보 단말 기기 등에 대해 통합화한 접속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상기 링형 LAN으로 이용되는 정보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는, 예컨대, Media 0riented Systems Transport(이하, MOST라고 기재한다)가 있다. 이 MOST에서는, 통신 프로토콜 뿐만이 아니라, 분산 시스템의 구축 방법까지 언급하고 있어, M0ST 네트워크의 데이터는, 프레임을 기본 단위로 하여 전송되어 각 노드를 차례로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전송된다.
그런데, 차내 등에 설치되는 링형 LAN의 경우, 방사 노이즈가 자동차 등에 탑재된 다른 전자 기기의 오동작의 원인이 되는 일이 있고, 또, 다른 기기로부터의 방사 노이즈의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정확하게 전송할 필요도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MOST를 이용한 링형 LAN에서는, MOST의 통신 프로토콜이 광통신을 전제로 하고 있어, 각 노드를 광 파이버 케이블로 접속함으로써, 전자파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내노이즈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한편, 국제공개 제02/30079호 팜플렛으로 공개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트위스트 페어(twisted pair)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같은 염가의 케이블을 이용한 전기 신호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여, 방사 노이즈가 적고 내노이즈성을 향상하면서 20 Mbps를 초과하는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도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각 노드가 트위스트 페어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같은 염가의 케이블로 접속된 링형 네트워크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해당 링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에 있어서, 해당 링형 네트워크는, 각 노드가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n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로 구성되고,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의해 전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전송 장치에 출력하는 접속 기기(11Oa∼11On)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하드웨어의 형태로서는,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 및 접속 기기(11Oa∼11On)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는, 동축 케이블이나 트위스트 페어선으로 구성되는 전송로(130a∼130n)를 통하여 링형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는, 동일한 구성이며, 링형 네트워크의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처리부와, 송신부 및 수신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 전송 장치(1OOa)에 설치되는 송신부는, 전송로(130a)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0Ob)에 설치되는 수신부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1OOa)에 설치되는 수신부는, 전송로(130n)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00n)에 설치된 송신부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가 전송로(130a∼130n)에 출력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OOa∼1OOn)에 접속된 접속 기기 등으로부터의 디지털 데이터열은, 각각의 송신부에 의해 소정의 비트마다 통합하여 데이터 심볼로 하여, 변환 테이블에 의한 맵핑(mapping) 및 필터링 처리를 거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각각의 전송로(130a∼130n)에 출력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맵핑된 신호 레벨이 소정 주기의 파형으로 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00a∼1OOn)의 수신부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필터 링 처리 및 역맵핑을 거쳐 데이터 심볼로 복호하여, 디지털 데이터열로 변환된다.
여기서, 차내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하드웨어의 전원을 오프(OFF)하여 전력 소비를 극력 줄여 동작 대기하는 모드(이하, 제로 파워 모드(zero power mode)라고 기재한다)에 대응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송수신을 하는 경우,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전원을 오프하면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가 연동한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의 복귀가 곤란하였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의 송신부 및 수신부의 전원을 온(ON) 상태로 하여, 처리부 및 접속 기기를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경우,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전체의 소비 전력이 커진다. 예를 들면, 상기 링형 네트워크가 자동차내에 설치되어, 해당 자동차의 키 오프시에 상기 링형 네트워크를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전체의 동작 대기를 행하는 경우, 자동차의 키 오프시는 엔진에 의한 발전이 없기 때문에 전원 용량이 한정되어 있어 소비 전력을 극력 억제할(거의 제로로 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데이터 전송 장치의 송신부 및 수신부를 전원 온 상태로 한 제로 파워 모드로서는, 소비 전력을 제로로 하는 것은 어렵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의 처리부 및 접속 기기만의 전원을 오프한 제로 파워 모드로서는, 제로 파워 모드 본래의 목적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형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한 하드웨어의 전원을 오프하는 모드에 있어서, 그 모드의 소비 전력을 줄이고,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가 용이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도 1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도 1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종래의 링형 네트워크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에 설명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전송로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부와,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고,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처리부에 출력하는 수신부와,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자신의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며, 송신부는,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주요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장치 전체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가 정지된 것을 검출하여, 자신의 장치를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기 때문에,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연동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제 1의 예로서,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 2의 예로서,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며, 수신부는, 검출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송신부는, 검출에 따라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제 3의 예로서,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전원부로부터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이들 예에 따라서,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처리부의 동작을 정지하거나, 송신부 및 수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거나 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더욱 저감되어, 수신부 및 송신부가 각각 자신들의 전원을 오프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는 경우에도, 각각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고, 또, 각각의 소비 전력을 완전히 0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신호 감시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신호 감시부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그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신호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며, 송신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됨에 따라, 그 전기 신호를 신호 감시부에서 검출하여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각각의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 후,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전기 신호의 송출을 재개한다. 따라서,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연동하여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신부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그 동작을 개시하고, 후단의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는,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lock) 신호이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를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시키기 위한 전기 신호가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이기 때문에, 복귀 동작과 함께 클록 재생 처리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처리부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MOST)로 정의된다. 이것에 의해,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가 통신 프로토콜로서 MOST를 이용한 전기 신호로 데이터 통신을 행한 경우에도, 상기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장치 전체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가 정지된 것을 검출하여, 자신의 장치를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기 때문에,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연동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전송로를 통하여 링형으로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한다.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부와,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처리부에 출력하는 수신부와,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자신의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송신부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자신의 장치의 수신부가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고, 그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며, 자신의 장치의 송신부가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주요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전체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후, 자신의 장치로부터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고,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가 정지된 것을 검출하여, 자신의 장치를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연동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제 1의 예로서,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처리부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 2의 예로서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며, 수신부는, 검출에 따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송신부는, 검출에 따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제 3의 예로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자신의 장치의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며,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전원부로부터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제어부에 송신하는 신호 감시부를 더 구비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정지 상태의 자신의 장치의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송신부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신호 감시부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그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제어부에 송신하고, 그 제어부가 신호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전기 신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며, 그 송신부가 그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 후, 자신의 장치로부터 전기 신호의 송출을 재개 하고,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됨에 따라, 그 전기 신호를 신호 감시부에서 검출하여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처리부, 수신부, 및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한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각각의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 후,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전기 신호의 송출을 재개한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데이터 전송 장치는, 연동하여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송신부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그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는, 서로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이다. 또,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예를 들면, 자신의 장치가 보유하는 클록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여 그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되는 마스터(master)이다. 또한, 예를 들면, 처리부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OST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은, 복수의 노드가 전송로를 통하여 링형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노드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한다. 데이터 전송 방법은, 노드가 각각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 단계와, 노드가 각각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처리 단계로 보내는 수신 단계와, 노드가 각각 처리 단계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서 후단의 노드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노드가 각각 동작 모드에 따라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있어서, 제어 단계는,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그 노드의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고, 송신 단계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며, 다른 노드에 있어서, 수신 단계에서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여, 그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자신의 노드의 송신 단계에서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노드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노드가 갖는 주요한 하드웨어의 동작을 정지하는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수신 단계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하기 때문에, 각각의 동작에 필요한 소비 전력이 저감되어, 링형으로 접속된 각각의 노드 전체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후, 자신으로부터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고, 다른 노드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가 정지된 것을 검출하여, 자신을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 후단의 노드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정지하기 때문에, 링형으로 접속된 각각의 노드는, 연동하여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할 수 있다.
제 1의 예로서, 다른 노드에 있어서,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보내고,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수신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처리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킨다. 제 2의 예로서, 다른 노드에 있어서,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보내고,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수신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는 통지를 보내며, 수신 단계는, 검출에 따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송신 단계는, 검출에 따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노드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한다. 제 3의 예로서, 노드가 각각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있어서의 동작에 이용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며,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보내고,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수신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전원 공급 단계에 의한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의 동작에 이용하는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또, 노드가 각각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를 제어 단계에 보내는 신호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노드에 있어서, 제어 단계는,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자신의 노드의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시키고, 송신 단계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며, 다른 노드에 있어서, 신호 감시 단계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된 그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제어 단계에 보내고, 그 제어 단계에서 신호 감시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시켜, 그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노드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각각의 노드는, 적어도 하나의 노드가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 후, 자신으로부터 전기 신호의 송출을 재개 하고, 다른 노드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됨에 따라, 그 전기 신호를 신호 감시 단계에 의해서 검출하여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따라서, 노드는, 처리 단계, 수신 단계, 및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한 상태로부터 용이하게 각각의 동작을 개시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각각의 노드는,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 후, 후단의 노드로 전기 신호의 송출을 재개한다. 따라서, 링형으로 접속된 각각의 노드는, 연동하여 상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송신 단계가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노드로 송출하는 전기 신호는, 서로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이다. 그리고,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는 노드는, 자신의 노드가 보유하는 클록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마스터이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처리 단계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OST로 정의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물리적인 위상 기하학을 링·위상 기하학으로 하여, 복수의 노드를 링·위상 기하학으로 접속함으로써 일방향의 링형 LAN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일례로서, 각 노드를 6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에 의해서 구성하고, 각각 전송로(80a∼80f)에 의해서 링형으로 접속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전송로(80a∼80f)를 통하여 일방향으로 전송되는 시스템을 설명한다. 각 데이터 전송 장치(1a∼1f)에는, 각각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전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출력하는 접속 기기(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 내비게이션 기기, 혹은 정보 단말 기기)(1Oa∼1Of)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하드웨어의 형태로서는,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 및 접속 기기(1Oa∼1Of)가 일체적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정보계의 통신 프로토콜로서는, 예를 들면, Media 0riented Systems Transport(이하, MOST라고 기재한다)가 있다. MOST를 통신 프로토콜로 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는, 프레임을 기본 단위로 하여 전송되어, 각 데이터 전송 장치(1) 간을 차례로 프레임이 일방향으로 전송된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전송로(80a)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b)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1b)는, 전송로(80b)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c)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1c)는, 전송로(80c)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d)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1d)는, 전송로(80d)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e)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데이터 전송 장치(1e)는, 전송로(80e)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f)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장치(1f)는, 전송로(80f)를 통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a)에 대해 데이터를 출력한다. 전송로(80a∼80f)에는 트위스트 페어선이나 동축 케이블과 같이 염가의 케이블이 이용되고,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서로 전기 신호로 데이터 통신을 행한다. 여기서, 해당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자신의 장치의 클록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마스터이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f)가 마스터로 생성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이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는 데이터 전송 장치(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각각 같은 구성이다.
도 1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제어기(2), 마이크로 컴퓨터(MPU)(3), 송수신부(4), 전원부(8), 및 액티비티(activity) 검출부(9)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2)는, LSI로 구성되어,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MOST인 경우, MOST의 소정의 데이터 송수신 처리를 행한다. 이하, 해당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일례로서 MOST를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제어기(2)에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을 전송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를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출력하는 접속 기기(10)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기(2)는, 그 기능의 하나로서, 접속된 접속 기기(10)로부터의 데이터를 MOST로 규정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송수신부(4)에 디지털 데이터 TX를 출력하고, 송수신부(4)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RX를 처리하여 접속된 접속 기기(10)에 전송한다. 또, 제어기(2)는, 현재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모드 신호 ST를 송수신부(4)에 출력한다.
MPU(3)는, 데이터 전송 장치(1)가 갖는 각 전송 모드에 기초하여, 제어기(2), 송수신부(4), 및 상기 접속 기기(10)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MPU(3)는, 데이터 전송 장치(1)의 리셋 기능, 전원 제어(제어기(2) 및 송수신부(4)에 대한 후술 하는 제로 파워 모드 제어), 마스터/슬레이브의 선택 처리, 진단 모드로의 이행 처리, 및 스크램블 전송 기능 등을 제어한다.
클록 제어부(7)는, 데이터 전송 장치(1)의 클록을 제어하여, 예를 들면,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에서 생성되는 클록을 재생하거나 제어기(2)의 클록을 재생 하거나, 송신부(6)에서 이용되는 클록을 출력하거나 한다.
송수신부(4)는, 전형적으로는 LSI로 구성되어, 수신부(5), 송신부(6), 및 클록 제어부(7)을 갖고 있다. 수신부(5)는, 전송로(80)로부터 입력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을 수신하여, 클록 제어부(7)에서 재생 되는 클록에 기초하여, 그 전기 신호 Min을 디지털 신호 RX로 변환하여 제어기(2)에 출력한다. 또, 수신부(5)는, 상기 전기 신호 Min에 포함되는 클록 성분을 재생 하여, 클록 제어부(7)에 출력한다. 또, 수신부(5)는, 전송로(80)를 통하여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 유무에 기초하여, 수신 동작 모드 신호 NST를 MPU(3)에 출력한다. 송신부(6)는, 클록 제어부(7)의 클록에 기초하여, 제어기(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TX를 전기 신호 Mout으로 변환하여, 전송로(80)를 통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에 출력한다.
송신부(6)의 상세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송신부(6)는, 그 내부에 S/P(직렬/병렬) 변환부, 매핑부, 롤 오프 필터, DAC(디지털·아날로그·컨버터), 차동 드라이버, 및 트레이닝 신호 발생부 등을 갖고 있다. 송신부(6)는, 이들 동작에 의해서, 예컨대, 디지털 데이터 TX를 8값 매핑한 아날로그 전기 신호 Mout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 8값 매핑한 아날로그 신호 Mout으로 변환하는 일례를 이용하여, 송신부(6)의 기능을 설명한다.
우선, 송신부(6)는, 클록 제어부(7)에 의해서 제어되는 클록에 기초하여, 전송로(80)에 송신하는 데이터(예를 들면, 디지털 데이터 TX)를 선택하여 S/P 변환 처리를 행한다. 이 S/P 변환 처리는, 다치화(多値化) 전송을 행하기 위해, 제어기(2)로부터 출력되는 직렬의 디지털 데이터 TX를 병렬로 변환한다. 통신 프로토콜이 MOST인 경우, 제어기(2)로부터 직렬의 디지털 데이터 TX로서 출력되므로, S/P 변환 처리는, 직렬로 입력된 데이터를 2비트 마다의 병렬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송신부(6)에서 이용되는 클록은, 클록 제어부(7)에 의해, 데이터 전송 장치(1)가 마스터인 경우, 자신의 장치가 보유하는 클록을 기준으로 송신측 PLL(Phase Locked Loop)로 재생한 클록을 이용하고, 슬레이브인 경우, 전송로(8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클록 성분을 추출하여, 수신측 PLL로 재생한 클록이 시스템 클록으로서 이용된다. 송신측 PLL 및 수신측 PLL은, 모두 클록 제어부(7)에 포함된다.
다음에, 송신부(6)는, S/P 변환된 2비트 마다의 병렬 데이터나 트레이닝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트레이닝 신호 TS를, 상기 시스템 클록에 기초하여 8값의 심볼(symbol)의 어느 하나에 매핑을 행한다. 이 매핑은, 수신측에 배치되는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에서 클록 재생을 행하기 위해, 2비트 마다의 병렬 데이터를 8값의 심볼 중 상위 4 심볼과 하위 4 심볼에 교대로 할당된다. 또, 송신 및 수신의 사이의 직류 성분의 변동이나 차이의 영향을 제외하기 위해, 이전의 값과의 차분에 의해서 매핑를 한다. 또, 송신부(6)는, 매핑된 신호를 롤 오프 필터에 의해, 송신하는 전기 신호의 대역 제한 및 부호간 간섭을 억제한다. 이 롤 오프 필터는, 예를 들면, 파형 정형 필터이며, 심볼 레이트의 4배의 샘플링 주파수로 롤 오프율 100%를 루트 배분한 특성을 갖고, 탭수 33 탭 및 비트수 12 비트인 FIR 필터 등을 사용한다.
다음에, 송신부(6)는, DAC에 의해, 롤 오프 필터로 대역 제한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송신부(6)는, 차동 드라이버에 의해 DAC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의 강도를 증폭하여 차동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로(80)에 송출한다. 차동 드라이버는, 전송로(80)가 갖는 2개 1조의 도선에 대해, 송출하는 전기 신호를 전송로(80)의 일측(플러스(+)측) 도선에 송신하고, 해당 전기 신호와 양음이 반대인 신호를 전송로(80)의 타측(마이너스(-)측)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전송로(80)에는,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과의 전기 신호가 하나의 페어(pair)로서 전송하기 때문에, 전송로(80)로부터의 방사 노이즈 및 외부로부터 혼입하는 동상 노이즈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송신부(6)의 트레이닝 신호 발생부는, 수신측에 배치되는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판정의 기준되는 판정 레벨의 설정을 행하기 위한 소정의 트레이닝 신호 TS를 생성한다. 트레이닝 신호 발생부에서 생성된 트레이닝 신호 TS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 TX와 마찬가지로 매핑 및 아날로그 변환 등이 행해져 전송로(80)에 송출된다.
다음에, 수신부(5)의 상세한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수신부(5)는, 차동 수신기, ADC(아날로그·디지털·컨버터), 롤 오프 필터, 역매핑부, P/S(병렬/직렬) 변환부, 클록 재생부 등을 갖고 있다.
우선, 수신부(5)는, 차동 수신기에 의해서 전송로(80)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을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송로(80)가 갖는 2개 1조의 도선에 대해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이 하나의 페어가 된 차동 신호로서 전송하고 있어, 차동 수신기는, 플러스측과 마이너스측과의 차이로부터 신호를 판단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혼입하는 동상 노이즈의 영향에 대해서 효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수신부(5)는, ADC에 의해 차동 수신기에서 변환된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다음에, 수신부(5)는, ADC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롤 오프 필터에 의해, 노이즈 제거를 행한다. 이 롤 오프 필터도 파형 정형용의 FIR 필터이며, 예컨대, 심볼 레이트가 16배인 FIR 필터가 사용된다. 상술한 송신부(6)의 롤 오프 필터와 합해 부호간 간섭이 없는 롤 오프 특성을 실현한다. 그리고, 수신부(5)는, 역매핑부에 의해, 클록 재생부에서 재생한 클록에 기초하여, 수신한 데이터값과 이전의 값과의 차분으로부터 송신측의 매핑부에서 매핑하기 전의 데이터를 재생한다. 역매핑부에 있어서의 처리는, 상술한 트레이닝 신호 TS에 의해 설정된 판정 레벨을 기준으로 행해지고, 해당 판정 레벨은, 차분에 있어서의 이상적인 값으로서 이용된다. 이 역매핑 처리에 의해, 수신한 신호가 병렬 데이터로 변환된다. 그리고, 수신부(5)는, 역매핑 처리된 병렬 데이터를 직렬의 디지털 데이터 RX로 P/S 변환 처리하여, 제어기(2)에 출력한다.
수신부(5)의 클록 재생부는, ADC로부터 출력되는 전송로(80)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클록 성분을 검출함으로써, 전송로 클록 재생을 행한다. 또, 클록 재생부에서 재생된 클록은, 클록 제어부(7)에 출력되어 수신측 PLL의 기준(reference) 클록으로서 이용된다.
전원부(8)는, MPU(3)의 전원 제어에 기초하여, 제어기(2), 송수신부(4), 액티비티 검출부(9) 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행한다. 액티비티 검출부(9)는, 전형적으로, 비교기(comparator) 등을 가진 전기 회로로 구성되어,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입력하는 전송로(80)의 전기 신호 Min을 감시한다. 그리고, 액티비티 검출부(9)는, 후술하는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전기 신호 Min을 검출한 경우, 그 검출을 MPU(3)에 통지한다.
그런데, 차내의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이용하는 전원 용량의 제한 등에 의해,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주요 하드웨어의 전원을 오프하여 전력 소비를 극력 줄여 동작 대기하는 모드(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그 후,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4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이행 동작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1)가 링형으로 접속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6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가 전송로(80a∼80f)를 통하여 각각 링형으로 접속된 일례(도 1 참조)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자신의 장치의 클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마스터이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f)가 마스터에서 생성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이다.
도 3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서로 데이터 송수신하여 통상 동작을 행하고 있다(단계 S11 및 S51).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통상 동작 중에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12),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11를 계속한다.
이 단계 S12의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판정은, 전형적으로는,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고 있는 MPU(3)에 의해 행해진다. 예를 들면, MPU(3)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자동차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그 자동차가 키 오프됨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거나,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하는 것에 의한 지시에 따라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판단한다. 또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에 미리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조건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제어기(2)가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판단해도 상관없다.
상기 단계 S12에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단한 경우,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에 대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여, 제어기(2)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13). 다음에,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는, 자신의 장치의 송수신부(4)에 대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기 위해, 동작 모드 신호 ST를 Low (0) →High (1)로 변경하여 송수신부(4)에 출력하여,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14).
다음에,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로부터의 동작 모드 신호 ST의 출력이 High (1)가 되어,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이 정지됨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15). 그리고, 송수신부(4)는, 송신부(6)로부터 전송로(80a)에 출력하고 있는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16).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단계 S12∼S16의 처리에 의해서,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완료한다. 이 제로 파워 모드로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 및 송수신부(4)의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단계 S12∼S16의 처리에 의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는,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극력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MPU(3)가 상기 단계 S16의 처리 후에 전원부(8)를 전원 제어함으로써,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해도 상관없다. 또, 필요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1a)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기기(1Oa)의 전원 공급도 정지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단계 S14에 있어서 제어기(2)가 송수신부(4)에 High (1)의 동작 모드 신호 ST를 출력함에 따라, 해당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였다. 그러나, MPU(3)가 송수신부(4)에 직접적으로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라는 지시를 동작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상기 단계 S12에서 자신의 장치의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MPU(3)가 자신의 장치의 송수신부(4)에 대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동작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통지하여,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또, MPU(3)가 송수신부(4)에 직접적으로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경우,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송수신부(4)를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상기 단계 S12에서 자신의 장치의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단한 경우, 해당 MPU(3)가 자신의 장치의 전원부(8)로부터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한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1f)는, 각각 상기 통상 동작 중에 전송로(80)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52),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단계 S51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상기 단계 S16을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a)에 출력하고 있는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 경우, 후단에 전송로(80a)를 통하여 접속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로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진다.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송수신부(4)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진 경우, 수신 동작 모드 신호 NST를 High (1) → Low (0)으로 변경하여 자신의 장치의 MPU(3)에 출력한다(단계 S53).
다음에,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MPU(3)는, 수신 동작 모드 신호 NST의 출력이 Low (0)이 된 것을 수신하여,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54). 그리고,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에 제로 파워 모드의 이행을 통지한다.
다음에,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제어기(2)는,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단계 S55), 자신의 장치의 송수신부(4)에 대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기 위해, 동작 모드 신호 ST를 Low (0) → High (1)로 변경하여 송수신부(4)에 출력하여,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56).
다음에,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로부터의 동작 모드 신호 ST의 출력이 High (1)이 되어,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이 정지됨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57). 그리고, 송수신부(4)는, 송신부(6)로부터 전송로(80b)에 출력하고 있는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58).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는, 상기 단계 S52∼S58의 처리에 의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완료한다. 이 제로 파워 모드로서도,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와 마찬가지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제어기(2) 및 송수신부(4)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52∼S58의 처리에 의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는,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극력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MPU(3)가 상기 단계 S58의 처리 후에 전원부(8)를 전원 제어함으로써,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해도 상관없다. 또, 필요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1b)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기기(1Ob)의 전원 공급도 정지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단계 S56에 있어서 제어기(2)가 송수신부(4)에 High (1)의 동작 모드 신호 ST를 출력함에 따라, 해당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였다. 그러나, MPU(3)가 송수신부(4)에 직접적으로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상기 단계 S54에서 자신의 장치의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경우, 해당 MPU(3)가 자신의 장치의 송수신부(4)에 대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여,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또, MPU(3)가 송수신부(4)에 직접적으로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지시하는 경우,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송수신부(4)를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는, 상기 단계 S54에서 자신의 장치의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 경우, 해당 MPU(3)가 자신의 장치의 전원부(8)로부터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시킴으로써,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다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c∼1f)에 대해서도, 제로 파워 모드의 이행 동작은 데이터 전송 장치(1b)와 같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1c)는, 전송로(80b)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d)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며, 데이터 전송 장치(1e)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서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f)는, 전송로(80e)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이들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복귀 동작에 있어서도,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1)가 링형으로 접속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6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가 전송로(80a∼80f)를 통하여 각각 링형으로 접속된 일례(도 1 참조)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복귀시에 있어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자신의 장치의 클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마스터이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f)가 마스터에서 생성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이다.
도 4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모두 제로 파워 모드로 동작하고 있다(단계 S21 및 S61).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제로 파워 모드 중에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22),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계 S21을 계속한다.
이 단계 S22의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판정은, 전형적으로는,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고 있는 MPU(3)에 설정된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MPU(3)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자동차내에 설치되어 있고, 그 자동차가 키 오프됨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있는 경우, 그 자동차가 키 온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를 판단하거나, 사용자가 스위치 조작하는 것에 의한 지시에 의해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 S22에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MPU(3)가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고 판단한 경우,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를 기동한다(단계 S23). 상기 단계 S23에 있어서의 기동에 관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공급하는 전원부(8)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MPU(3)는, 전원부(8)를 제어하여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또,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0으로 하고 있는 경우, MPU(3)는, 각각 기동 및 리셋의 지시를 함으로써, 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 기동 처리시에,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는, 동작 모드 신호 ST를 Low (0)으로 송수신부(4)에 출력하고 있다(단계 S24).
다음에, 상기 단계 S23에 의해서 기동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로부터 Low (0)으로 출력된 동작 모드 신호 ST에 기초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송수신부(4)는, 물리층의 초기화 동작을 행하고, 그 초기화 동작 중에 각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클록 동기를 확립한다.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제어부(7)로 제어되는 송신 PLL의 출력 클록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전송로(80a)에 송신한다(단계 S25). 이 동기 신호 LS는, 예를 들면,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신 PLL의 클록 주파수에 기초한 정현파 신호이다.
한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1f)는, 각각 제로 파워 모드로 동작하고 있어, 자신의 장치의 액티비티 검출부(9)가 전송로(80)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단계 S62),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단계 S61를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상기 단계 S25를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a)에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출력한 경우, 후단에 전송로(8Oa)를 통하여 접속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로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개시된다.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액티비티 검출부(9)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그 검출을 나타내는 액티비티 검출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MPU(3)에 출력한다(단계 S63).
상기 단계 S63에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액티비티 검출부(9)로부터 액티비티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자신의 장치의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를 기동한다(단계 S64). 상기 단계 S64에 있어서의 기동에 관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공급하는 전원부(8)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MPU(3)는, 전원부(8)를 제어하여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또,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0으로 하고 있는 경우, MPU(3)는, 각각 기동 및 리셋의 지시를 함으로써, 기동 처리를 행한다. 이 기동 처리시에,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제어기(2)는, 동작 모드 신호 ST를 Low (0)으로 송수신부(4)에 출력한다(단계 S65).
다음에, 상기 단계 S64에 의해서 기동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로부터 Low (0)으로 출력된 동작 모드 신호 ST에 기초하여, 통상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부에 의해 클록 재생을 행하여(단계 S66), 해당 수신 PLL이 출력하는 클록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LS를 전송로(80b)에 송신한다(단계 S67).
다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c∼1f)에 있어서도,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은 데이터 전송 장치(1b)와 같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1c)는, 전송로(80b)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서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d)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며, 데이터 전송 장치(1e)는, 전송로(80d)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f)는, 전송로(80e)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즉, 이러한 복귀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로부터 순서대로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해 간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장치(1f)의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 부에 의해서 클록 재생을 행하고, 해당 수신 PLL의 출력하는 클록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LS를 전송로(80f)에 송신한다.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단계 S25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1b)에 대해 동기 신호 LS를 송신한 후, 전송로(80f)를 통하여 송신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1f)로부터의 동기 신호 LS의 수신 대기를 계속하고 있다(단계 S26). 그리고,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f)가 상기 단계 S67를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f)에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출력한 경우,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수신부(4)는, 전송로(80f)로부터 동기 신호 LS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부에 의해 클록 재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전체의 클록 동기가 확립된다.
그 후,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서로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판정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터 판정 기준을 설정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하고(단계 S27S68), 해당 플로우차트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술한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단계 S14나 S56에 있어서 제어기(2)가 송수신부(4)에 통지함으로써 송수신부(4)가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로의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다. 또, MPU(3)가 직접적으로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하는 동작 모드 신호의 통지를 송수신부(4)에 출력하거나,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송수신부(4)가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로의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다. 즉, 상술한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는, 자신의 장치의 MPU(3)나 제어기(2)에 의한 통지 등에 따라, 송수신부(4)가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로의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하고 있다. 그러나, 송수신부(4)는, 다른 구성요소로부터의 지시가 없어도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에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해도 상관없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송수신부(4)가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에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하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6은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도 5를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이행 동작에 있어서는,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1)가 링형으로 접속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6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가 전송로(80a∼80f)를 통하여 각각 링형으로 접속된 일례(도 1 참조)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자신의 장치의 클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마스터이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f)가 마스터로 생성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이다.
도 5에 있어서, 단계 S31, S32, 및 S71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의 동작은, 상술한 단계 S11, S12, 및 S51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
상기 단계 S32에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MPU(3)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고 판단한 경우,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송수신부(4)에 대해 동작 모드 신호 등을 이용하여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여,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33). 그리고, 송수신부(4)는, 송신부(6)로부터 전송로(80a)에 출력하고 있는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34). 또한, 단계 S33에 있어서는, MPU(3)가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송수신부(4)를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단계 S33에 있어서, MPU(3)가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에 대해서도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통지하여, 제어기(2)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는,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을 정지한다.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단계 S32∼S34의 처리에 의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완료한다. 이 제로 파워 모드로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제어기(2) 및 송수신부(4)의 동작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상기 단계 S32∼S34의 처리에 의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는,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극력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MPU(3)가 상기 단계 S33의 처리 후에 전원부(8)를 전원 제어함으로써,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해도 상관없다. 또, 필요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1a)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기기(1Oa)의 전원 공급도 정지해도 된다.
한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1f)는, 각각 상기 통상 동작 중에 전송로(80)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단계 S72),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단계 S71을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상기 단계 S34를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a)에 출력하고 있는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 경우, 후단에 전송로(80a)를 통하여 접속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로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진다.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송수신부(4)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진 것을 검출함으로써, 해당 송수신부(4) 자신을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단계 S73),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한다(단계 S74). 그리고, 데이터 전송 장치(1b)의 송수신부(4)는, 수신 동작 모드 신호 NST를 High (1) → Low (0)으로 변경하여 자신의 장치의 MPU(3)에 출력한다(단계 S75). 다음에, 데이터 전송 장치(1b)의 MPU(3)는, 수신 동작 모드 신호 NST의 출력이 Low (0)이 된 것을 수신하여,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단계 S76).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1b)의 MPU(3)는, 단계 S76의 처리에 있어서,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에 제로 파워 모드의 이행을 통지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제어기(2)는,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여 디지털 데이터 TX의 출력을 정지한다.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는, 상기 단계 S72∼S76의 처리에 의해,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을 완료한다. 이 제로 파워 모드로서도,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와 마찬가지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제어기(2) 및 송수신부(4)의 동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단계 S72∼S76의 처리에 의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는,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극력 줄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MPU(3)가 상기 단계 S76의 처리 후에 전원부(8)를 전원 제어함으로써,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해도 상관없다. 또, 필요하면, 데이터 전송 장치(1b)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기기(1Ob)의 전원 공급도 정지해도 된다.
다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c∼1f)에 있어서도, 제로 파워 모드의 이행 동작은 데이터 전송 장치(1b)와 같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1c)는, 전송로(80b)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d)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며, 데이터 전송 장치(1e)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f)는, 전송로(80e)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어짐으로써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이들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한 단계 S52∼S58의 동작과 비교하면, 단계 S72∼S76의 동작에서는 송수신부(4) 자신에 의해 전기 신호 Mout의 출력을 정지하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전체의 제로 파워 모드 이행을 빨리 행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통상 동작 모드로부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1)는, 클록 동기에 있어서의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n) 중 어느 하나가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개시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로 파워 모드로의 이행 동작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1b∼1n) 중 어느 하나가 도 5에 있어서의 마스터로서의 동작을 행하고,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가 도 5에 있어서의 슬레이브로서의 동작을 행하면, 마찬가지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1a∼1n)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설명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의 복귀 동작에 있어서도,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1)가 링형으로 접속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지만,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6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가 전송로(80a∼80f)를 통하여 각각 링형으로 접속된 일례(도 1 참조)를 설명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복귀시에 있어서는,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자신의 장치의 클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마스터이며,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f)가 마스터로 생성되는 클록에 동기하여 동작하는 슬레이브이다.
도 6에 있어서, 단계 S41, S42, 및 S81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1a∼1f)의 동작은, 상술한 단계 S21, S22, 및 S61와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
상기 단계 S42에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MPU(3)가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고 판단한 경우,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를 기동한다(단계 S43). 상기 단계 S43에 있어서의 기동에 관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원부(8)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MPU(3)는, 전원부(8)를 제어하여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또,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0으로 하고 있는 경우, MPU(3)는, 각각 기동 리셋의 지시를 함으로써, 기동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43에 의해 기동된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수신부(4)는, 통상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송수신부(4)는, 물리층의 초기화 동작을 행하고, 그 초기화 동작 중에 각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클록 동기를 확립한다.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제어부(7)로 제어되는 송신 PLL의 출력 클록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와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전송로(80a)에 송신한다(단계 S44).
한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1f)는, 각각 제로 파워 모드로 동작하고 있어, 자신의 장치의 액티비티 검출부(9)가 전송로(80)로부터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단계 S82),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없는 경우, 상기 단계 S81를 계속하고 있다. 그리고,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상기 단계 S44를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a)에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출력한 경우, 후단에 전송로(8Oa)를 통하여 접속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로의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이 개시된다.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액티비티 검출부(9)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검출한 경우, 그 검출을 나타내는 액티버티 검출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MPU(3)에 출력한다(단계 S83).
상기 단계 S83에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액티비티 검출부(9)로부터 액티비티 검출 신호가 입력된 경우, 자신의 장치의 MPU(3)는, 자신의 장치의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를 기동한다(단계 S84). 상기 단계 S84에 있어서의 기동에 관해,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공급하는 전원부(8)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MPU(3)는, 전원부(8)를 제어하여 제어기(2) 및 송수신부(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한다. 또, 제어기(2) 및 송수신부(4)가 제로 파워 모드로 이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기능에 의해 전원 소비를 0으로 하고 있는 경우, MPU(3)는, 각각 기동 및 리셋의 지시를 함으로써, 기동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상기 단계 S84에 의해 기동된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가 갖는 송수신부(4)는, 통상 동작 모드로 이행한다. 그리고,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부에 의해 클록 재생을 행하고(단계 S85), 해당 수신 PLL이 출력하는 클록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LS를 전송로(80b)에 송신한다(단계 S86).
다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c∼1f)에 대해서도,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은 데이터 전송 장치(1b)와 같다. 즉, 데이터 전송 장치(1c)는, 전송로(80b)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d)는, 전송로(80c)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며, 데이터 전송 장치(1e)는, 전송로(80d)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하고, 데이터 전송 장치(1f)는, 전송로(80e)로부터 입력하는 전기 신호 Min의 입력을 액티비티 검출부(9)가 검출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즉, 이들 복귀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로부터 순서대로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해 간다. 그리고, 데이터 전송 장치(1f)의 송수신부(4)는,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 부에 의해 클록 재생을 행하고, 해당 수신 PLL이 출력하는 클록에 기초하여 동기 신호 LS를 전송로(80f)에 송신한다.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는, 상기 단계 S44에서 데이터 전송 장치(1b)에 대해 동기 신호 LS를 송신한 후, 전송로(80f)를 통하여 송신되는 데이터 전송 장치(1f)로부터의 동기 신호 LS의 수신 대기를 계속하고 있다(단계 S45). 그리고,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f)가 상기 단계 S86를 실행함으로써 전송로(80f)에 동기 신호 LS를 전기 신호 Mout으로서 출력한 경우,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가 갖는 송수신부(4)는, 전송로(80f)로부터 동기 신호 LS를 수신하여, 자신의 장치의 클록 재생부에 의해 클록 재생을 행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전체의 클록 동기가 확립된다.
그 후, 데이터 전송 장치(1a∼1f)는, 서로의 데이터 수신에 대한 판정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트레이닝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통상 동작 모드에 있어서의 데이터 판정 기준을 설정한 후, 데이터 송수신을 개시하고(단계 S46 및 S87), 해당 플로우차트에 의한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전송로를 통하여 링형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은, 주요 하드웨어의 전원을 오프하여 동작 대기하는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 모든 데이터 전송 장치가 갖는 제어기 및 송수신부의 전원을 오프하기 때문에, 제로 파워 모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이 지극히 적어진다. 또,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이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때,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소정의 복귀 조건과 일치하였을 때에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한다. 또, 다른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전기 신호를 액티비티 검출부로 검출함으로써 연동적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예컨대, 통신 프로토콜로서 MOST를 이용하여 전기 통신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도, 시스템 전체를 용이하게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 장치(1)에 설치되는 액티비티 검출부(9)는, 송수신부(4)의 외부에 독립하여 배치하였지만, LSI로 구성되는 송수신부(4)에 내장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상기 LSI에 내장되는 액티비티 검출부(9)만을 제로 파워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면, 상술한 플로우차트와 마찬가지로 통상 동작 모드로 복귀할 수 있다. 또,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제로 파워 모드로부터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1)는, 클록 동기에 있어서의 마스터의 데이터 전송 장치(1a)로 설명을 행하였지만,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1b∼1n) 중 어느 하나가 통상 동작 모드로의 복귀 동작을 개시해도 상관없다. 즉, 슬레이브의 데이터 전송 장치(1b∼1n) 중 어느 하나가 동기 신호 LS를 최초로 송출해도, 다른 데이터 전송 장치의 액티비티 검출부(9)가 각각 전기 신호 Min을 검출하여 기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장치 전체의 소비 전력을 대폭으로 저감하는 제로 파워 모드로 연동하여 이행 할 수 있어, 링형 등으로 각 장치를 전송로에 의해 접속하여 전기 통신을 행하는 시스템에 포함되는 장치 및 해당 시스템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23)

  1. 링형의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전송로를 통하여 다른 장치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에 있어서,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부와,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자신의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여, 이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검출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검출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고,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신호 감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신호 감시부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상기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기 신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장치에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하고, 후단의 장치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는,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MOST)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
  8. 전송로를 통하여 링형으로 접속된 복수의 데이터 전송 장치를 포함하고, 각각의 데이터 전송 장치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부와,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처리부에 출력하는 수신부와,
    상기 처리부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와,
    자신의 장치의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송신부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며,
    다른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자신의 장치의 상기 수신부가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여, 이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자신의 장치의 상기 송신부가 상기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상기 처리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검출에 따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검출에 따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자신의 장치의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수신부는, 전단의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데이터 정지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자신의 장치의 상기 수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데이터 정지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전원부로부터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각각 전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는 신호 감시부를 더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정지 상태의 자신의 장치의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송신부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며,
    다른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서, 상기 신호 감시부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부터 송출된 상기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상기 전기 신호 검출 신호를 자신의 장치의 상기 제어부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신호 감시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전기 신호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자신의 장치의 상기 처리부, 상기 수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동작을 개시시키며, 상기 송신부가 그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송신부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그 동작을 개시하고, 후단의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에 송출하는 상기 신호는, 서로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는 상기 데이터 전송 장치는, 자신의 장치가 보유하는 클록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여 상기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 접속되는 마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MOST)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시스템.
  16. 복수의 노드가 전송로를 통하여 링형으로 접속되어, 각각의 노드가 서로 일방향의 전기 통신을 행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가 각각 수신하는 데이터 및 송신하는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처리하는 처리 단계와,
    상기 노드가 각각 전단의 상기 노드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전기 신호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상기 처리 단계에 보내는 수신 단계와,
    상기 노드가 각각 상기 처리 단계의 처리 결과를 전기 신호로서 후단의 상기 노드에 송신하는 송신 단계와,
    상기 노드가 각각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드에서, 상기 제어 단계는, 소정의 이행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의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고, 상기 송신 단계는 전기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며,
    다른 상기 노드에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며, 자신의 노드의 상기 송신 단계에서 상기 검출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노드로의 상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노드에서,
    상기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보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보내진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상기 처리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다른 상기 노드에서,
    상기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보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보내진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정지시키는 통지를 보내며,
    상기 수신 단계는, 상기 검출에 따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의해 보내진 통지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검출에 따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의해서 보내진 통지에 따라 그 동작을 정지하여, 후단의 노드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가 각각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서의 동작에 이용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 단계는, 전단의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정지를 검출하였을 때, 그 정지를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보내고,
    상기 제어 단계는, 자신의 노드의 상기 수신 단계에 의해 보내진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전원 공급 단계에 의한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의 동작에 이용하는 전원 공급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가 각각 전단의 상기 노드로부터 송출된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를 상기 제어 단계에 보내는 신호 감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노드에서, 상기 제어 단계는,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동작을 정지하고 있는 자신의 노드의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시키고, 상기 송신 단계는 상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며,
    다른 상기 노드에서, 상기 신호 감시 단계는, 정지되어 있던 전단의 상기 노드로부터 송출되는 전기 신호의 송출이 재개되었을 때, 전단의 상기 노드로부터 송출된 상기 전기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를 자신의 노드의 상기 제어 단계에 보내고, 상기 제어 단계에서 상기 신호 감시 단계에 의해 보내진 상기 검출을 나타내는 통지에 기초하여 자신의 노드의 상기 처리 단계, 상기 수신 단계, 및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시키며, 상기 송신 단계에 의한 동작을 개시하여 후단의 상기 노드로의 전기 신호의 송출을 개시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송신 단계가 상기 제어 단계의 제어에 따라 동작을 개시하고, 후단의 상기 노드에 송출하는 전기 신호는, 서로의 클록 동기를 확립하기 위한 동기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복귀 조건에 기초하여 전기 신호의 송신을 재개하는 상기 노드는, 자신의 노드가 보유하는 클록으로 데이터 송신을 행하는 마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가 이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MOST)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057007166A 2002-12-26 2003-12-24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38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77318 2002-12-26
JP2002377318 2002-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824A true KR20050083824A (ko) 2005-08-26

Family

ID=3267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166A KR20050083824A (ko) 2002-12-26 2003-12-24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50265262A1 (ko)
EP (1) EP1578065B1 (ko)
JP (1) JP4220472B2 (ko)
KR (1) KR20050083824A (ko)
CN (1) CN1708955B (ko)
AU (1) AU2003296066A1 (ko)
WO (1) WO200405991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01B1 (ko) * 2008-11-05 2013-09-11 쟈인 에레쿠토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160013607A (ko) * 2014-07-28 2016-02-05 한국원자력연구원 에프피지에이 기반 3중화 제어 장치의 동작 건전성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6778A2 (en) * 2005-08-08 2007-02-15 Genesis Technical Systems, Corp. Shared dsl network and deployment method
CA2620490C (en) * 2007-10-04 2016-06-28 Genesis Technical Systems Corp. Remote powering of dsl adms
CN101882956B (zh) 2010-07-08 2016-05-11 威盛电子股份有限公司 数据传输系统和方法
KR101205740B1 (ko) 2011-05-18 2012-11-28 전자부품연구원 Most 네트워크 장치 및 이를 적용한 most 네트워크
JP6546479B2 (ja) * 2015-08-25 2019-07-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US10459508B2 (en) * 2017-05-31 2019-10-29 Konica Minolta Laboratory U.S.A., Inc. Low frequency power management bus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5576A (en) * 1973-05-29 1974-12-17 Motorola Inc Asynchronous internally clocked sequential digital word detector
US4095215A (en) * 1975-05-22 1978-06-13 Sanders Associaties, Inc. Pager subsystems
US4307455A (en) * 1978-02-27 1981-12-22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Power supply for computing means with data protected shut-down
US4258421A (en) * 1978-02-27 1981-03-24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Vehicle monitoring and recording system
JPS5652440U (ko) * 1979-09-29 1981-05-09
JPS604348A (ja) * 1983-06-22 1985-01-10 Hitachi Ltd ネツトワ−ク遠隔電源制御方式
KR900005796B1 (ko) * 1986-12-02 1990-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뎀의 전원 공급 제어방법
US5054569A (en) * 1987-07-27 1991-10-08 Comfort Key Corporatio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JPH01190054A (ja) * 1988-01-25 1989-07-31 Man Design Kk 受信機
US5377326A (en) * 1989-07-06 1994-12-27 Sharp Kabushiki Kaisha Electronic apparatus with remote data supplementation/update selection and error display
US5148427A (en) * 1990-04-10 1992-09-15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Non-linear echo canceller
US5301303A (en) * 1990-04-23 1994-04-05 Chipcom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concentrator configurable to different access methods
WO1994001949A2 (en) * 1992-06-30 1994-01-20 Electronic Innovators, Inc. Distributed intelligence engineering casualty and damage control management system using an ac power line carrier-current lan
US5867720A (en) * 1992-12-14 1999-02-02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for
US5742833A (en) * 1995-11-30 1998-04-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pow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mputer stations
DE19611942C2 (de) * 1996-03-26 2003-02-20 Daimler Chrysler Ag Halbleiterschaltkreis für ein elektronisches Steuergerät
US5802305A (en) * 1996-05-17 1998-09-01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for remotely waking a sleeping computer in power down state by comparing incoming packet to the list of packets storing on network interface card
DE19642265C1 (de) * 1996-10-11 1998-01-29 Becker Gmbh Verfahren zum Betreten und Verlassen eines Stromsparbetriebs eines Teilnehmers in einem ringförmigen Kommunikationsnetz
US5910944A (en) * 1997-02-28 1999-06-08 Motorola, Inc. Radio telepho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diotelephone in slotted paging mode
US6134665A (en) * 1998-01-20 2000-10-17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mputer with remote wake up and transmission of a status packet when the computer fails a self test
JP2000092020A (ja) * 1998-09-10 2000-03-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信号伝送システム,デジタル信号送信装置,デジタル信号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信号伝送方法
US6282642B1 (en) * 1998-11-18 2001-08-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presetting a first or second remote boot protocol by a computer remotely receiving and storing a boot parameter prior to being powered on
US6763060B1 (en) * 1999-02-19 2004-07-13 Oasis Silicon System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a network of power managed transceivers that can generate a clocking signal or enable data bypass of a digital system associated with each transceiver
US7058833B1 (en) * 2000-01-18 2006-06-06 Paradyne Corp.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ed power consumption for frame and cell data transmission systems
US6659948B2 (en) * 2000-01-21 2003-12-09 Medtronic Minimed, Inc. Ambulatory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telemetry system with predefined reception listening periods
US7317732B2 (en) * 2000-09-28 2008-01-08 Teridian Semiconducto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link suspend pulse and silent line state transitions of a network device
US7274705B2 (en) * 2000-10-03 2007-09-2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lock speed and power consumption
WO2002030077A1 (fr) * 2000-10-05 2002-04-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tablissement du niveau de decision et recepteur de donnees
US20020047308A1 (en) * 2000-10-24 2002-04-25 Yazaki Corporation. Encoding/decoding system using battery voltage as keyword
US6993667B1 (en) * 2000-12-15 2006-01-31 Marvell International Ltd. Apparatus for automatic energy savings mode for ethernet transceivers and method thereof
US6907534B2 (en) * 2001-06-29 2005-06-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in pipelined circuit by shutting down pipelined circuit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ving expired
US6883105B2 (en) * 2001-10-25 2005-04-19 Standard Microsystem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control and power management through special signaling
JP2003131956A (ja) * 2001-10-25 2003-05-09 Fuji Xerox Co Ltd デバイス制御システム
US7073081B2 (en) * 2002-01-11 2006-07-04 Ncr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n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US6816994B2 (en) * 2002-06-21 2004-11-09 Micron Technology, Inc. Low power buffer implementation
DE10238869B4 (de) * 2002-08-24 2004-07-22 Daimlerchrysler Ag Temperaturmanagement in Netzwerken
DE10339887B4 (de) * 2003-08-29 2011-07-07 Infineon Technologies AG, 81669 Geräte mit gegenseitiger Aufweckfunktion aus dem Bereitschaftsmod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7101B1 (ko) * 2008-11-05 2013-09-11 쟈인 에레쿠토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20160013607A (ko) * 2014-07-28 2016-02-05 한국원자력연구원 에프피지에이 기반 3중화 제어 장치의 동작 건전성 감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8065A1 (en) 2005-09-21
JP4220472B2 (ja) 2009-02-04
EP1578065A4 (en) 2009-04-15
JPWO2004059919A1 (ja) 2006-05-11
AU2003296066A1 (en) 2004-07-22
EP1578065B1 (en) 2011-06-29
US20050265262A1 (en) 2005-12-01
CN1708955B (zh) 2012-07-25
WO2004059919A1 (ja) 2004-07-15
CN1708955A (zh)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7201B1 (en) Magnetic isolation of power sourcing equipment control circuitry
JP5856306B2 (ja) 高速データおよび配電のための2線式通信システム
EP1678593A1 (en) Lan (local area network) with integrated energy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over the same line
US20050083863A1 (en) Data transmission apparatus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initialization method thereof
WO2017199603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
US2005002787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apparatus
JP3712631B2 (ja) 伝送方法および伝送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KR20050083824A (ko) 데이터 전송 장치, 데이터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EP1681810A1 (en) Data transmission system, data transmitter, and transmitting method
JP3783960B2 (ja) 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伝送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US20050025496A1 (en) Optical/electrical converting device and method
EP1503543A1 (en) Detection of failures in a ring-based electrical network
JP2006197062A (ja)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接続方法
JPH0744551B2 (ja) ル−プ式デ−タ伝送装置
JP3708105B2 (ja) データ伝送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10177547A (ja) シリアルデータ通信回路
JP2009118588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201011463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モード切り替え方法
JPH11341101A (ja) 光並列伝送方式
JP2005065218A (ja) 光電気変換装置及び方法
CN108233970A (zh) Lan通信数据传送系统
JPS63111743A (ja) デ−タ回線終端装置
JP2000358018A (ja) 装置内クロック選択切替時における低速伝送信号出力方式
JPH03247047A (ja) シリアル通信装置
JP2005150970A (ja) データ受信装置、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