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066A -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 Google Patents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066A
KR20050083066A KR1020040011612A KR20040011612A KR20050083066A KR 20050083066 A KR20050083066 A KR 20050083066A KR 1020040011612 A KR1020040011612 A KR 1020040011612A KR 20040011612 A KR20040011612 A KR 20040011612A KR 20050083066 A KR20050083066 A KR 20050083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leaf extract
adipocytes
differentiation
obe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066B1 (ko
Inventor
변상요
이건원
Original Assignee
변상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상요 filed Critical 변상요
Priority to KR102004001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06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9/00Non-propelling pencils; Styles; Crayons; Chal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에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전기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한, 두충엽과 상엽 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Diet Food Comprising Eucommia-ulmoides Oliver Extract and Morus-alba Linne Ex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에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전기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대부분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는 부분이 지방세포(adipocyte)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 내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지방세포의 크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과잉 에너지를 섭취할 때 에너지를 신속히 저장하기 위해서는 지방세포 수의 증가가 필요하게 되어 인체에서는 새로운 지방세포를 만든다. 새로운 지방세포는 전구지방세포(pro-adipocyte)로부터 분화되는데 전구지방세포는 줄기세포(stem cell)로부터 분화되어 형성되고, 줄기세포가 전구지방세포를 거쳐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는 호르몬, 성장요소, 사이토카인 등의 생체 조절자(regulator)들이 영향을 미친다.
최근에 비만의 예방 및 치료를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주로 칼로리/에너지 및 기초대사량 조절과 같은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이 대중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비만의 근본 원인은 비만세포 수의 증가에 있으며, 인체에 비만세포 수가 과도하게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면, 언제라도 비만이 재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대중요법은 비만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없다. 특히, 인체에 비만세포의 수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증가되어 발생하는 소아비만의 경우에는, 비만세포의 증가를 억제하지 않는 한, 치료될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 제 52299호에는 데히드로에피안드로스테론(DHA)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181178호에는 치환된 1,3-벤조디옥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149679호에는 방향족 아미노-알코올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증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127504호에는 비만 방지용 요구르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348818호에는 항비만녹차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63853호에는 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예방용 샌드위치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9941호에는 천연 식이성 섬유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개발된 각종 기술은 지방의 흡수 및 생합성을 억제하는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성인용 비만과 같이 지방세포에 과다한 지방이 축적되는 현상은 일부 억제할 수 있으나, 지방세포가 증가하는 현상에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지적되어, 지방세포의 증가를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별다른 성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체내에서 원천적으로 지방세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체내에서 지방세포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두충엽 추출물, 상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줄기세포에 처리할 경우,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지방세포의 수적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며,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은 식품의 형태로 섭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두충엽 또는 상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기 두충엽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은 줄기세포에 상엽 추출물, 두충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상엽 또는 두충엽을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함이 바람직하다.
상엽은 뽕나무과(Moracerae)에 속한 뽕나무(Morus alba Linne.)의 잎으로서, 넓은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다. 상엽은 호르몬인 이노코스테론, 엑디스테론, 트리테르페노이드인 β-시토스테롤-β-글루코시드, β-시토스테롤, 플라보노이드인 루틴, 모라세틴, 이소쿠에르시트린, 쿠마린인 움벨리페론, 스코폴레틴 등을 비롯한 20종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고, 소갈치료 효과, 혈당강하 효과, 혈압강하 효과, 항균작용, 소염작용, 당뇨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상엽 추출물"이란 상엽을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상엽을 20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물에 침지하고, 80 내지 100℃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수득한 액상성분인 열수추출물 또는 상엽을 20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침지하고,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액상성분인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각 추출물을 진공건조시켜서 수득한 건조분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두충은 두충나무과(Eucommiaceae)에 속한 낙엽교목(Eucommia ulmoides Oliver)이며, 두충엽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두충엽은 클로로겐산, 카페산, 아우쿠빈, 고무질, 배당체인 로가닌,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유기산, 수지, 비타민 C 등을 포함하며, 항노화작용, 항피로작용, 글루코시다제 저해(glucosidase inhibition) 작용, 심장 수축력 억제 작용, 혈관확장 작용, 항당뇨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두충엽 추출물"이란 두충엽을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두충엽을 20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물에 침지하고, 80 내지 100℃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수득한 액상성분인 열수추출물 또는 상엽을 20 내지 30중량%가 되도록 에탄올에 침지하고,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1 내지 5시간 동안 방치한 후, 여과하여 수득한 액상성분인 에탄올 추출물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각 추출물을 진공건조시켜서 수득한 건조분말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만의 주된 원인인 지방세포의 증가를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천연물을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즉, 사람의 골수로부터 분리한 줄기 세포를 배양한 후, 지방 세포로 분화를 유도하면, 세포의 형태가 둥근 모양으로 변화되고, 지방구(lipid vacuole)의 수가 증가하며, 지방산(triglyceride)의 합성량이 증가하면서, 지방세포로 변화하게 된다. 이에, 분화유도 과정에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하고, 지방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지방세포의 분화과정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천연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이 지방세포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이로부터 두충엽 및 상엽 추출물이 비만 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본 발명자들은 전기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사용하여 가장 효과적인 비만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 결과, 전기 추출물을 그대로 섭취하거나 또는 전기 추출물을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할 수 있고, 전기 추출물을 식품에 첨가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한 후, 이를 섭취함이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두충엽 추출물, 상엽 추출물 또는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3:7 내지 6:4(w/w)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식품의 형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식품에 포함되는 전기 조성물의 함량은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전기 조성물을 분말화하여 선식의 형태로 섭취하는 경우에는 전기 조성물을 식품의 최종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0중량%로 포함함이 바람직하고, 전기 조성물을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의 식품에 첨가하여 섭취하는 경우에는 전기 조성물을 식품의 최종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중량%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식품에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우수한, 조성물에 함유된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각적으로 연구한 결과,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3:7 내지 6:4(w/w)로 구성된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면서도, 식품에 첨가할 경우 기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한, 두충엽과 상엽 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두충엽 및 상엽 추출물의 효과
인간의 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중간 과정에 두충엽 추출물, 상엽 추출물, 녹차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및 귤껍질 추출물을 각각 처리하고, 지방세포의 분화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1: 추출물의 수득
두충엽, 상엽, 녹차, 맥문동 및 귤껍질 300g을 물 1L에 침지하고, 10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취하고, 이를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한 분말을 추출물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지방세포 분화
사람의 골수로부터 분리한 인간의 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 hMSC)를 10%(w/v) FBS,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Sigma Chem. Co., USA)에 접종하고, pH 7.2, 37℃, 5%(v/v) 조건의 CO2 배양기에서 3일 동안 배양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된 hMSC를 12웰 플레이트에 옮겨 웰당 104세포수가 되도록 접종하고, 융합(confluent)될 때까지 7일동안 배양한 후, 분화유도 배지(10%(w/v) FBS, DMEM, 10㎍/㎖ insulin, 1μM dexamethasone, 0.5mM methyl-isobutylxanthine, 100μM indomethacin)를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지방세포 유지(adipocyte maintenance, AM) 배지(10%(w/v) FBS, DMEM, 10㎍/㎖ insulin, 10㎍/㎖ d-biotin)를 24시간 동안 처리하는, 분화유도 과정을 1, 2 및 3회 반복 수행하여, hMSC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지방세포로 분화되면, 세포질에 지방구(lipid vacuole)가 축적되고, 전기 세포질을 지방산과 콜레스테롤만을 염색할 수 있는 염색약인 Oil red O를 사용하여 염색하면, 염색의 정도가 지방 세포의 분화 정도와 비례하므로, 분화된 지방세포에 Oil red O 염색약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화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참조: 도 1a, 도 1b 및 도 1c). 도 1a는 분화유도 과정 1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고, 도 1b는 분화유도 과정 2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며, 도 1c는 분화유도 과정 3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a 내지 도 1c에서 보듯이, 분화유도 과정이 반복될 수록 hMSC가 지방세포로 현저히 분화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3: 각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전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각 추출물을 0, 0.005, 0.01, 0.05, 0.1, 0.5, 1.0, 5.0, 10, 50 및 100㎎/㎖의 농도로 분화유도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의 추출물이 포함된 분화유도 배지를 수득한 후, 전기 실시예 1-2의 방법을 사용하여, 3회 분화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고, 7일간 배양하였다. 분화된 각 지방세포를 Oil red O 염색약으로 염색하고, 이를 분쇄한 다음,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각 세포의 분화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도 2a, 도 2b 및 도 2c). 도 2a는 상엽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b는 두충엽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2c는 맥문동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귤껍질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a 내지 도 2c에서 보듯이, 녹차, 맥문동 및 귤껍질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참고로, 도 2c에서 100㎎/㎖의 농도로 처리될 경우에 지방의 양이 급격히 저하되었으나, 이는 세포사멸에 따른 효과이므로, 분화억제와는 관련성이 없다.
실시예 1-4: 지방세포 분화에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
상기 실시예 1-3에서 상엽과 두충엽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는 바,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즉,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분화유도 배지(대조군), 상엽 추출물이 1㎎/㎖의 농도로 함유된 분화유도 배지(실험군 1), 두충엽 추출물이 1㎎/㎖의 농도로 함유된 분화유도 배지(실험군 2) 및 상엽 추출물 1㎎/㎖ 및 두충엽 추출물 1㎎/㎖을 함유하는 분화유도 배지(실험군 3)을 준비하고, 전기 실시예 1-2의 방법을 사용하여, 3회 분화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고, 7일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1).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
실험군 지방의 양(㎍) 비율(%)
대조군 138.45 ±0.12 100
실험군 1 35.22 ±0.07 25.4
실험군 2 38.14 ±0.05 27.5
실험군 3 12.45 ±0.04 9.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은 지방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므로,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상엽과 두충엽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거의 수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이 비만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의 혼합비 결정
전기 실시예 1-4에서 보듯이,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 효과를 나타고,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효과적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는 바, 가장 효과적으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할 수 있는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의 혼합비를 결정하고자 하였다.
즉, 전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1:9, 2:8, 3:7, 4:6, 5:5, 6:4, 7:3, 8:2 및 9:1(w/w)의 비율로 혼합된 각 조성물을 수득하고, 2㎎/㎖의 농도로 분화유도 배지에 첨가하여 각각의 추출물이 포함된 분화유도 배지를 수득한 후, 전기 실시예 1-2의 방법을 사용하여, 3회 분화유도를 수행함으로써 지방세포로 분화시키고, 7일간 배양하였다. 분화된 각 지방세포를 Oil red O 염색약으로 염색하고, 이를 분쇄한 다음, 5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각 세포의 분화정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2). 이때, 대조군으로는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첨가되지 않은 분화유도 배지로 분화유도된 지방세포를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조성비에 따른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
혼합비(두충엽:상엽, w/w) 지방의 양(㎍) 비율(%)
대조군 123.45 ±0.12 100
1:9 36.49 ±0.07 26.4
2:8 34.71 ±0.12 25.0
3:7 15.42 ±0.11 11.1
4:6 14.16 ±0.09 10.2
5:5 12.45 ±0.04 9.0
6:4 11.24 ±0.06 8.1
7:3 11.06 ±0.08 7.9
8:2 10.97 ±0.07 7.9
9:1 10.88 ±0.01 7.9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의 혼합비가 3:7, 4:6, 5:5 및 6:4(w/w)인 경우에는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이 현저히 감소하고, 7:3, 8:2 및 9:1(w/w)인 경우에는 지방의 양이 일정수준으로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혼합비가 3:7, 4:6, 5:5 및 6:4(w/w)인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지방세포의 수적 증가를 현저히 감소시키지만, 혼합비가 7:3, 8:2 및 9:1(w/w)인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의 혼합물을 처리한 경우에는 지방세포가 수적으로 일정수준을 유지한다고 예측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두충엽 추출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전기 실시예 1-4의 대조군과 실험군 2를 대상으로 하여 2차원 전기영동을 수행하고, 이들의 차이를 MALDI-TOF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실시예 3-1: 2차원 전기영동
전기 실시예 1-4의 대조군과 실험군 2에서 수득한 각각의 분화된 세포에 세포용해 완충용액(8M urea, 4% CHAPS(3-[(3-cholamidopropyl)dimethylammonio-1-propanesulphonate), 0.0016g/㎖ protein inhibitor coktail)을 처리하여, 세포추출액을 수득한 다음, 길이가 13cm, pH 3.0 내지 10.0인 고정화 pH 구배 스트립(pH gradient dry strip, Amersham Pharmacia Biotech, Sweden)에 적용하고, 200V에서 1시간, 500V에서 1시간, 2000V에서 1시간, 8000 내지 96,000Vhr의 전기조건으로 아이소일렉트릭포커싱(isoelectricfocusing, IEF)을 수행하였다.
이어, TBP평형화 완충용액(6M urea, 2% SDS, Tris/HCl gel buffer, 20% glycerol, 5mM TBP, 2.5% acrylamide, pH 8.8)에 침지하여 평형화시킨 다음, 10% 내지 12.5%의 농도 구배 SDS 전기영동용 젤(5X Tris(pH 8.8), 40% acrylamide, 50% glycerol, 10% SDS, 100mM sodium thiosulfate, 16% ammonium persulfate, TEMED)을 이용하여, 25분동안 10mA 전기영동한 후, 30mA의 전류로 전기영동하고, 질산은 염색방법으로 염색한 후, 이를 2-D 분석 프로그램(Elite software, Amersham Pharmacia Biotech. Co., Sweden)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참조: 도 3a 및 도 3b). 도 3a는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세포의 2차원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b는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의 2차원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에서 보듯이, 많은 단백질에 있어서 대조군과 실험군 2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MALDI-TOF 분석법을 이용한 단백질의 분석
전기 실시예 2-1의 결과에서 보듯이, 많은 단백질에 있어서 대조군과 실험군 2에 차이가 있으나, 단순하게 단백질이 새로 나타나거나, 감소/증가하는 결과만을 가지고는 두충엽 추출물의 효과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 즉, 각각의 단백질의 성질을 알지 못하는 한 이들의 역할 또는 두충엽의 효과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두충엽 추출물 투여 후 현저하게 증가한 단백질을 MALDI-TOF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대조군에서 발견되지 않는 실험군 2의 목적하는 단백질을 전기 실시예 2-1의 전기영동 젤로부터 분리한 후, 탈색시키고, 70%(v/v) 아세토니트릴로 5분간 처리하고, 100% 아세토니트릴로 5분간 처리하여 젤을 탈수 및 건조시켰다. 이어, 단백질분해 완충용액(25mM ammonium carbonate, 트립신, pH 7.8)에 건조된 젤을 침지하고, 4℃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새로운 단백질분해 완충용액으로 37℃에서 16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득한 다음, 이를 동결건조시켜서 MALDI-TOF 분석용 시료를 수득하였다.
전기 시료에 완충용액 A(50% acetonitrile, 0.5% trifluoroacetic acid)를 8㎕ 첨가하고, 매트릭스 용액(50% acetonitrile, 0.5% trifluoroacetic acid, α-cyano-4-hydroxy cinnamic acid) 8㎕를 혼합한 다음, MALDI-TOF 분석기(Ettan MALDI-TOF pro system, Amersham Pharmacia Biotech, Sweden)에 0.4㎕를 주입하고 분석하였다. 이때, 질량범위는 800 내지 3000으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실험군 2에서만 주요하게 나타나는 단백질로 트로포마이오신(tropomyosin)이 측정되었는 바, 이는 분화된 근육세포에 주로 나타나는 단백질이므로, 이로부터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로 인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제조
상엽 추출물 및 두충엽 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통상의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다이어트 국수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소맥분 700mg, 계란 80g 및 물 20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에 의하여 면대를 제조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다이어트 비스킷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소맥분 700mg, 우유 200g 및 계란 8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비스킷 제조방법에 의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다이어트 음료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육류용 다이어트 양념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배즙 100g, 무즙 100g, 고추장 30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육류용 다이어트 양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다이어트 콩나물 무침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고추가루 15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콩나물 무침용 양념을 제조하고, 전기 제조된 양념 200g과 콩나물 5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다이어트 콩나물 무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다이어트 된장찌게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된장 60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물 500ml에 넣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다이어트 된장찌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다이어트 잡곡밥의 제조
상엽 추출물 10g, 두충엽 추출물 10g, 검정콩 50g, 수수 50g, 좁쌀 50g 및 백미 3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다이어트 잡곡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관능검사
전기 실시예 4-3에서 제조한 다이어트 음료에 함유된 상엽 추출물과 두충엽 추출물의 혼합비를 달리하여, 각각의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한 다음, 이에 대한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즉,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1:9, 2:8, 3:7, 4:6, 5:5, 6:4, 7:3, 8:2 및 9:1(w/w)의 비율로 혼합된 각각의 조성물 20g을 수득하고, 전기 각 조성물을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각각의 다이어트 음료를 제조하였다.
이어, 전기 제조된 각각의 다이어트 음료를 검사요원 15명에게 맛보게 하고, 맛, 향미, 색깔 및 종합기호도를, 좋고 나쁨에 따라 5등급으로 나누어, 아주 좋다 5점, 좋다 4점, 보통이다 3점,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1점으로 평가하고, 평균을 내었다(참조: 표 3).
다이어트 음료의 관능검사 결과
혼합비(두충엽:상엽, w/w) 향미 색깔 종합기호도
1:9 3.4 3.7 3.4 3.6
2:8 3.6 3.6 3.5 3.6
3:7 3.7 3.9 3.7 3.7
4:6 3.9 3.8 3.8 3.8
5:5 4.1 3.7 3.9 4.1
6:4 4.0 3.9 3.8 4.0
7:3 3.8 3.8 3.6 3.8
8:2 3.2 3.9 3.3 3.5
9:1 2.9 3.6 3.2 3.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3:7, 4:6, 5:5, 6:4 및 7:3(w/w)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음료는 비교적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으나,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1:9, 2:8, 8:2 및 9:1(w/w)의 비율로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이어트 음료는 상대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2와 실시예 5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3:7 내지 6:4(w/w)로 구성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뿐만아니라 식품에 첨가할 경우에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줄기세포에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및 전기 두충엽 추출물 또는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면서도 기호성이 우수한, 두충엽과 상엽 추출물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므로, 비만을 억제하기 위한 식품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분화유도 과정 1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b는 분화유도 과정 2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1c는 분화유도 과정 3회 수행에 의하여 분화된 지방세포를 나타내는 형광현미경 사진이다.
도 2a는 상엽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b는 두충엽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c는 맥문동 추출물, 녹차 추출물 및 귤껍질 추출물의 농도변화에 따른,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적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세포의 2차원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b는 상엽 및 두충엽 추출물이 처리된 세포의 2차원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5)

  1. 줄기세포에 상엽 추출물, 두충엽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엽 추출물은 상엽을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두충엽 추출물은 두충엽을 열수추출 또는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방법.
  4. 제 1항에 개시된 두충엽 추출물과 상엽 추출물이 3:7 내지 6:4(w/w)로 구성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5. 제 4항에 있어서,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KR1020040011612A 2004-02-21 2004-02-21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10071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12A KR100716066B1 (ko) 2004-02-21 2004-02-21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612A KR100716066B1 (ko) 2004-02-21 2004-02-21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066A true KR20050083066A (ko) 2005-08-25
KR100716066B1 KR100716066B1 (ko) 2007-05-08

Family

ID=3726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612A KR100716066B1 (ko) 2004-02-21 2004-02-21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60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377A1 (en) 2005-10-05 2007-04-12 Angiolab., Inc. Antiobesity composition
KR20200098982A (ko) * 2019-02-13 2020-08-21 재단법인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222B1 (ko) * 1999-12-31 2004-11-0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다이어트 인삼복합제품 및 그 제조방법
JP3604667B2 (ja) 2002-02-08 2004-12-22 有限会社 野路 健康増進および美容・ダイエット効果を有するアイスクリ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75067A (ko) * 2002-03-15 2003-09-22 조명하 진피 복합제를 이용한 비만 치료제 조성물 추출방법
KR20030084026A (ko) * 2002-04-24 2003-11-01 주식회사 엠디바이오알파 생약으로부터 얻은 지방세포 분화 저해용 활성분획 조성물
KR20040003923A (ko) * 2002-07-04 2004-01-13 (주)바이오자임 인터내셔날 체지방 감소에 효과적인 기능성 영양보충용 식품 및 그제조 방법
KR100624488B1 (ko) * 2004-02-03 2006-09-19 제일약품주식회사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0377A1 (en) 2005-10-05 2007-04-12 Angiolab., Inc. Antiobesity composition
KR20200098982A (ko) * 2019-02-13 2020-08-21 재단법인 임실치즈앤식품연구소 옻나무 및 두충으로 구성된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066B1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752B1 (ko) 녹용의 고생리활성성분을 함유한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녹용효소가수분해추출물
JP2008273978A (ja) 抗酸化剤
KR101039640B1 (ko)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0652479B1 (ko) 항산화활성이 높은 증숙건조돼지감자의 제조방법
KR20140147668A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JP2024026323A (ja) リン酸化AMP活性化タンパクキナーゼ発現増強用又はリン酸化アセチルCoAカルボキシラーゼ発現増強用食品組成物、リン酸化AMP活性化タンパクキナーゼ発現増強剤、及びリン酸化アセチルCoAカルボキシラーゼ発現増強剤
KR100716066B1 (ko)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Garrido et al. Characterization and trials of a jerte valley cherry product as a natural antioxidant-enriched supplement.
KR101726410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27396B1 (ko) 수박 껍질 추출물 및 옥사코사놀의 혼합물을 함유하는조성물
KR100854403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100907686B1 (ko) 발아메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101501381B1 (ko) 드라콘토멜론 마크로카펌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647721B1 (ko)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0918488B1 (ko) 단풍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1688116B1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76610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14917B1 (ko) 숙취해소용 기능성 면의 제조방법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00713B1 (ko) 유색밀 배유 염색방법
KR102016641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130640B1 (ko) 감국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4504B1 (ko)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20180062930A (ko) 남성 갱년기로 인한 피로감, 근력저하 및 운동능력 저하를 개선하는 황칠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