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47721B1 -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 Google Patents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7721B1
KR100647721B1 KR1020050023236A KR20050023236A KR100647721B1 KR 100647721 B1 KR100647721 B1 KR 100647721B1 KR 1020050023236 A KR1020050023236 A KR 1020050023236A KR 20050023236 A KR20050023236 A KR 20050023236A KR 100647721 B1 KR100647721 B1 KR 10064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experimental group
blood sugar
leaf
ja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691A (ko
Inventor
한찬규
김성수
성기승
하태열
안지윤
이승훈
박영복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23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77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7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건조된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혈당수준을 개선시키고, 비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이요법을 통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별갑, 두충엽,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

Description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Foodstuff for Lowering Glucose Level in Blood}
본 발명은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대사성 질환의 하나인 당뇨병(diabetes mellitus)은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신진대사의 결함에 의하여, 혈당이 세포 내로 유입되지 못하는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췌장이 충분한 인슐린을 분비하지 않거나(인슐린 의존형 당뇨병: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또는 신체 내의 세포가 인슐린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낼 때(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non 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발병된다. 특히,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90% 정도는 비만환자에게서 발생하는데, 정상인의 체중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신체내에서 높은 인슐린 불감증을 유발시키고, 이처럼 유발된 인슐린 불감증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을 발병 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의하면, 당뇨병에 대한 치료방법은 당뇨병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의 경우, 인슐린의 절대량이 부족하여 유발되므로, 지속적인 인슐린을 투여할 경우에는 치료가 가능하다. 반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경우, 아직까지는 특별한 치료제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주로 비만환자에게서 발병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식이요법, 운동요법 및 약물요법을 병행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으나, 뚜렷한 치료방법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약물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물의 연구개발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성과도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 계통의 경구용 혈당 강하제, 인슐린의 작용을 강화시키는 비구아니딘(biguanidine)계 약물 등이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의 치료효과를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간 독성, 저혈당, 부종 및 소화기 질환 등 여러가지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어, 부작용이 없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참조: Mahler, R.J., Adler, M.L., J. Clin. Endocrinol. Metab., 84(4):1165~1169, 1999).
이처럼, 부작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종래에 사용되어 온 한약재 또는 천연물을 이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로, 이러한 연구는 특별한 제제의 형태가 아니라, 상식할 수 있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보 평 제 3-22134호에는 감귤류의 과실 껍질 분말 또는 추출물과 당근의 잎 또는 뿌리의 분말 또는 추출물과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혈당개선 식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237974호에는 상백피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환자용 과자류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354912호에는 사인(Amomum xanthoide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361085호에는 누에추출물을 함유한 항당뇨용 건강보조식품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 439748호에는 당뇨환자의 혈당조절 생식식품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물질들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비만증상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전혀 나타내지 못하고 있어, 일시적으로 혈당수준을 개선시키는 효과만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당뇨병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안전하면서도, 혈당수준을 개선하는 효과와 비만치료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면서도, 혈당수준을 개선하는 효과와 비만치료효과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식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종래로부터 사용되어 안전성이 입증된 건조된 자라의 등뼈(자라별갑)와 두충엽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을 상식할 경우, 혈당수준을 개선시키고 비만을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조된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건조된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때. 건조된 자라별갑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자라별갑분말의 형태로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자라별갑을 증기처리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이를 분말화한 건조분말; 또는, 자라별갑을 열수처리하고, 열수처리된 자라별갑을 건조시키며, 이를 고온에서 소성 및 분말화한 소성분말 등의 형태로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라별갑의 소성분말을 사용한다. 또한, 두충엽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두충엽 건조분말 또는 두충엽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두충엽을 열수추출하여 수득한 열수추출물의 동결건조분말 또는 두충엽을 에탄올추출하여 수득한 에탄올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두충엽의 열수추출물의 건조분말을 사용하는데, 이때 두충엽의 열수추출조건 또는 에탄올추출조건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은 안전하면서도, 혈당개선효과와 비만억제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혈당수준의 개선 및 비만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검사하던 중, 자라의 등뼈인 자라별갑에 주목하게 되었다.
자라는 거북목 자라과에 속하는 파충류로서, 예로부터 강장제, 보양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한방에서는 자라의 등뼈인 자라별갑을 귀중한 한약재로서 사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동의보감에는 "별갑은 장기의 이상을 다스리고, 기와 혈을 보호하며, 생리기능과 기력을 보강한다" 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자라별갑은 단백질과 지방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 상온에서 쉽게 변질되므로, 한방에서는 자라별갑을 증기로 처리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켜서 보존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현재에는 자라별갑을 짧은 시간동안 가공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02054호에는 자라별갑을 열수처리하고 건조시킨 다음, 가마에서 고온으로 소성하고, 분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라별갑의 가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혈당수준의 개선 및 비만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천연물인 상엽, 두충엽, 맥문동 및 녹차보다도 자라별갑이 더욱 우수한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술한 자라별갑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자라별갑과 다양한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혼합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엽, 맥문동, 녹차 등의 성분은 자라별갑의 혈당수준 개선효과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두충엽은 자라별갑 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충은 두충나무과(Eucommiaceae)에 속한 낙엽교목(Eucommia ulmoides Oliver)이며, 두충엽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두충엽은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아우쿠빈, 고무질, 배당체인 로가닌, 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유기산, 수지, 비타민 C 등을 포함하며, 항노화작용, 항피로작용, 글루코시다제 저해(glucosidase inhibition) 작용, 심장 수축력 억제 작용, 혈관확장 작용, 항당뇨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라별갑과 두충엽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고, 이때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혼합비율은 3:1 내지 8:1(w/w)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7:1(w/w), 가장 바람직하게는 5:1(w/w)이다. 만일,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혼합비율이 3:1(w/w) 미만이거나 또는 8:1(w/w)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경우에 비하여, 혈당수준이 급격히 증가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전기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은 비만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여, 비만을 방지하는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는 바,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을 유발시키는 비만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기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첨가물과 함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자라별갑과 두충엽은 당류 (예,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탐 등), 영양제, 비타민, 식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의 식품첨가물과 함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형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전기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에 첨가되는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조성물의 첨가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혈당수준을 개선시키고, 비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이요법을 통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검색
실시예 1-1: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의 검색
상엽의 열수추출물, 두충엽의 열수추출물, 맥문동의 열수추출물, 녹차의 열수추출물 및 자라별갑분말을 대상으로 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을 검색하였다.
먼저, 각각 300g의 상엽, 두충엽, 맥문동 및 녹차를 물 1L에 침지하고, 100℃로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여 액상성분을 취하고, 이를 농축 및 건조하여 수득한 분말을 상엽, 두충엽, 맥문동 및 녹차의 열수추출물로 사용하였다.
또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자라별갑분말을 수득하였다(참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302054호). 자라로부터 분리한 등뼈 300g을 물 1L에 침지하고, 100℃로 10분동안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등뼈를 수득하고, 이를 100℃의 온도로 24시간 동안 열풍건조시킨 다음, 100℃에서 1000℃까지 점차 온도를 상승시키면서 약 24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이를 분말화하여 자라별갑분말을 수득하였다.
한편, STZ(streptozotocin, A0130, Sigma)를 완충용액(0.1M citrate buffer, pH 4.0)에 250mg/㎖의 농도로 용해시키고, 체중 300 내지 350g의 흰쥐에 0.2㎖/kg을 복강주사하여 당뇨병을 유발시켰다. 7일이 경과한 후, 혈당측정기(Medisense Precision Q.I.D, USA)를 이용하여 혈당치가 300㎎/㎗ 이상 되는 쥐를 선발하였다. 전기 선발된 당뇨병 유발 흰쥐 각 10마리에 전기 수득한 각각의 상엽의 열수추출물, 두충엽의 열수추출물, 맥문동의 열수추출물, 녹차의 열수추출물 및 자라별갑분말(실험군 1 내지 5)을 1일 300mg/kg씩 4주 동안 경구투여하고, 0, 1, 2, 3 및 4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각 실험군의 혈당수준을 혈당측정기로 측정한 후, 이를 0주 경과한 시점에서 측정된 혈당수준으로 나누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혈당수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으로는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당뇨병 유발 흰쥐를 사용하고, 음성 대조군으로는 당뇨병을 유발시키지 않은 흰쥐를 사용하였으며, 0주 시점에서 혈당수준은 양성 대조군: 415.5mg/dl, 음성 대조군: 110.8mg/dl, 실험군 1: 399.3mg/dl, 실험군 2: 412.4mg/dl, 실험군 3: 410.8mg/dl, 실험군 4: 417.3mg/dl 및 실험군 5: 412.8mg/dl이었다(참조: 표 1).
당뇨병 유발 흰쥐에 각 당뇨병 치료 성분을 투여한 경우, 각 당뇨병 치료 성분의 종류에 따른 혈당수준의 변화(단위: %)
경과시간(주) 0 1 2 3 4
양성 대조군 100 103.4 108.2 114.2 121.6
음성 대조군 100 101.3 103.5 101.7 98.6
실험군 1 100 99.5 91.4 88.7 86.1
실험군 2 100 100.8 97.1 93.0 88.4
실험군 3 100 101.4 97.3 95.6 93.3
실험군 4 100 100.7 94.7 90.8 86.1
실험군 5 100 101.2 92.1 77.4 60.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상엽추출물(실험군 1), 두충엽추출물(실험군 2), 맥문동추출물(실험군 3), 녹차추출물(실험군 4) 및 자라별갑분말(실험군 5)을 투여한 모든 실험군에서 혈당수준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고, 실험군 중에서도 자라별갑분말(실험군 5)가 가장 현저하게 혈당수준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4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음성 대조군(109.3mg/dl)과 자라별갑분말을 투여한 실험군(247.7mg/dl)의 혈당수준을 비교하면, 자라별갑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의 혈당수준이 현저히 높은것을 알 수 있었는 바, 자라별갑분말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향상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었다.
실시예 1-2: 자라별갑분말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성분의 검색
전기 실시예 1-1에서 상엽의 열수추출물, 두충엽의 열수추출물, 맥문동의 열수추출물 및 녹차의 열수추출물이 일정수준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성분 중에서 자라별갑분말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을 검색하였다.
전기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당뇨병 유발 흰쥐 각 10마리에 1일 자라별갑분말 300mg/kg(실험군 11), 자라별갑분말 300mg/kg + 상엽추출물 300mg/kg(실험군 12), 자라별갑분말 300mg/kg + 두충엽추출물 300mg/kg(실험군 13), 자라별갑분말 300mg/kg + 맥문동추출물 300mg/kg(실험군 14) 및 자라별갑분말 300mg/kg + 녹차추출물 300mg/kg(실험군 15)씩 4주 동안 경구투여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혈당수준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상엽의 열수추출물, 두충엽의 열수추출물, 맥문동의 열수추출물, 녹차의 열수추출물 및 자라별갑분말은 실시예 1-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0주 시점에서 혈당수준은 양성 대조군: 416.1mg/dl, 음성 대조군: 108.7mg/dl, 실험군 11: 401.7mg/dl, 실험군 12: 412.6mg/dl, 실험군 13: 416.2mg/dl, 실험군 14: 411.6mg/dl 및 실험군 15: 413.5mg/dl이었다(참조: 표 2).
당뇨병 유발 흰쥐에 자라별갑분말과 각 당뇨병 치료 성분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각 당뇨병 치료 성분의 종류에 따른 혈당수준의 변화(단위: %)
경과시간(주) 0 1 2 3 4
양성 대조군 100 101.4 105.3 111.7 119.5
음성 대조군 100 100.3 101.7 99.4 97.2
실험군 11 100 101.2 92.1 77.1 60.1
실험군 12 100 92.3 81.4 68.2 55.7
실험군 13 100 85.2 62.8 46.5 32.3
실험군 14 100 95.4 83.2 69.3 59.4
실험군 15 100 89.9 77.5 61.0 50.6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양성 대조군 및 자라별갑분말을 단독으로 투여한 실험군에 비하여, 자라별갑분말과 상엽추출물(실험군 12), 두충엽추출물(실험군 13), 맥문동추출물(실험군 14) 및 녹차추출물(실험군 15)을 혼합하여 투여한 실험군에서 혈당수준이 현저하게 저하됨을 알 수 있었고, 실험군 중에서도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실험군(실험군 13)이 가장 현저하게 혈당수준이 저하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4주가 경과된 시점에서 상기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한 실험군(134.4mg/dl)은 음성 대조군(105.7mg/dl)과 유사한 정도의 혈당수준을 나타내었는 바,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추출물을 혼합하여 투여할 경우, 현저한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자라별갑과 두충엽의 최적 조성비 결정
상기 실시예 1-2의 결과에서 보듯이,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현저한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최적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비를 결정하였다.
즉, 전기 실시예 1-1에서 사용한 당뇨병 유발 흰쥐 각 10마리에 1일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0: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1),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1: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2),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2: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3),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3: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4),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4: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5),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5: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6),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7),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7: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8),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8: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29),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이 9: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 및 자라별갑분말(실험군 30)과 두충엽이 10:1(w/w)로 혼합된 조성물 100mg/kg(실험군 31)을 4주 동안 경구투여하고, 실시예 1-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4주가 경과한 시점에서 혈당수준 및 그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이때, 양성 대조군, 음성 대조군, 두충엽의 열수추출물 및 자라별갑분말은 실시예 1-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참조: 표 3).
당뇨병 유발 흰쥐에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비에 따른 혈당수준의 변화(단위: %)
실험군 별갑분말:두충엽(w/w) 혈당수준(mg/dl) 혈당수준의 변화
양성 대조군 0:0 497.2 119.5
음성 대조군 0:0 105.7 97.2
실험군 21 0:1 367.9 88.4
실험군 22 1:1 212.7 51.1
실험군 23 2:1 192.7 46.3
실험군 24 3:1 140.3 33.7
실험군 25 4:1 125.3 30.1
실험군 26 5:1 109.0 26.2
실험군 27 6:1 107.8 25.9
실험군 28 7:1 122.4 29.4
실험군 29 8:1 133.2 32.0
실험군 30 9:1 186.5 44.8
실험군 31 10:1 205.2 49.3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비가 1:1 내지 6:1(w/w)까지는 자라별갑분말의 비가 증가할 수록 혈당수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비가 7:1(w/w) 이후에는 혈당수준이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비가 3:1 내지 8:1(w/w)인 경우에, 혈당수준이 음성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인슐리 비의존성 당뇨병은 주로 비만환자에게서 발병하며, 비만환자의 경우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어 체내에 지방세포가 축적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전기 실시예 2에서 결정된 조성비를 가지는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물이 지방세포의 분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사람의 골수로부터 분리한 인간의 줄기세포(human mesenchymal stem cell, hMSC)를 10%(w/v) FBS,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을 포함하는 DMEM(Sigma Chem. Co., USA)에 접종하고, pH 7.2, 37℃, 5%(v/v) 조건의 CO2 배양기에서 3일 동안 배양하고, 동일한 조건으로 계대배양하였다.
계대배양된 hMSC를 12웰 플레이트에 옮겨 웰당 104세포수가 되도록 접종하고, 융합(confluent)될 때까지 7일동안 배양한 후,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은 분화유도 배지(10%(w/v) FBS, DMEM, 10㎍/㎖ insulin, 1μM dexamethasone, 0.5mM methyl-isobutylxanthine, 100μM indomethacin)(대조군)와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이 10㎎/㎖의 농도로 함유된 분화유도 배지를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지방세포 유지(adipocyte maintenance, AM) 배지(10%(w/v) FBS, DMEM, 10㎍/㎖ insulin, 10㎍/㎖ d-biotin)를 24시간 동안 처리하는, 분화유도 과정을 1, 2 및 3회 반복 수행하여, hMSC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다.
이어, 세포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정도를 확인하였다. 즉, 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면, 세포질에 지방구(lipid vacuole)가 축적되고, 전기 세포질을 지방산과 콜레스테롤만을 염색할 수 있는 염색약인 Oil red O를 사용하여 염색하면, 염색의 정도가 지방 세포의 분화 정도와 비례하므로, 분화된 지방세포에 Oil red O 염색약을 처리한 후,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분화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참조: 표 4).
분화된 각 세포에 함유된 지방의 양
실험군 지방의 양(㎍) 비율(%)
대조군 138.45 ±0.12 100
실험군 35.22 ±0.07 25.4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의 조성물은 세포내에서 지방의 양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므로,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의 조성물이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기 실시예 2 및 3의 결과를 요약하면,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을 유발시키는 비만을 방지함으로써,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의 제조
전기 실시예 2에서 결정된, 자라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국수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 소맥분 700mg, 계란 80g 및 물 20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에 의하여 면대를 제조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스킷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 소맥분 700mg, 우유 200g 및 계란 8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비스킷 제조방법에 의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음료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g,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콩나물 무침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 고추가루 15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콩나물 무침용 양념을 제조하고, 전기 제조된 양념 200g과 콩나물 5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콩나물 무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5: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된장찌게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 된장 60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물 500ml에 넣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된장찌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6: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잡곡밥의 제조
별갑분말과 두충엽 추출물이 6:1(w/w)로 혼합된 조성물 20g, 검정콩 50g, 수수 50g, 좁쌀 50g 및 백미 3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잡곡밥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당수준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식품은 혈당수준을 개선시키고, 비만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이요법을 통한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건조된 자라별갑과 두충엽이 3:1 내지 8:1(w/w)로 혼합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2. 제 1항에 있어서,
    자라별갑은 자라별갑을 증기처리한 다음 음지에서 건조시키고 이를 분말화한 건조분말 또는 자라별갑을 열수처리하고, 열수처리된 자라별갑을 건조시키며, 이를 고온에서 소성 및 분말화한 소성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3. 제 1항에 있어서,
    두충엽은 두충엽 건조분말, 두충엽의 열수추출물의 동결건조분말 또는 두충엽의 에탄올추출물의 건조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20050023236A 2005-03-21 2005-03-21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064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36A KR100647721B1 (ko) 2005-03-21 2005-03-21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236A KR100647721B1 (ko) 2005-03-21 2005-03-21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91A KR20060101691A (ko) 2006-09-26
KR100647721B1 true KR100647721B1 (ko) 2006-11-23

Family

ID=37632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236A KR100647721B1 (ko) 2005-03-21 2005-03-21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77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7747B (zh) * 2023-12-22 2024-04-05 广东赛尔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培养基及其在诱导干细胞分泌胰岛素中的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405A (ja) 1998-11-13 2000-05-23 Shinhan Sha 食品添加剤及び健康食品
KR20020000858A (ko) * 2001-12-04 2002-01-05 주식회사 지앤씨 오가피, 뽕잎, 두충 혼합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과 그농축액 및 농축액이 함유된 액상음료와 혼합발효농축액이함유된 식품
KR20040072559A (ko) * 2004-07-26 2004-08-18 (주)바이오액티바텍 누에와 뽕잎, 자라 등뼈 및 제3인산칼슘 과실리코알미니움산나트륨을 이용한 당뇨환자영양건강식품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405A (ja) 1998-11-13 2000-05-23 Shinhan Sha 食品添加剤及び健康食品
KR20020000858A (ko) * 2001-12-04 2002-01-05 주식회사 지앤씨 오가피, 뽕잎, 두충 혼합발효 농축액의 제조방법과 그농축액 및 농축액이 함유된 액상음료와 혼합발효농축액이함유된 식품
KR20040072559A (ko) * 2004-07-26 2004-08-18 (주)바이오액티바텍 누에와 뽕잎, 자라 등뼈 및 제3인산칼슘 과실리코알미니움산나트륨을 이용한 당뇨환자영양건강식품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91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343B1 (ko) 기호성이 우수한 혼합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39640B1 (ko) 뽕잎추출물 및 양파즙의 혼합물 코팅액을 이용한 저당미의 제조 방법
KR101261029B1 (ko) 칠면초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05495608B (zh) 一种强化的食品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0652479B1 (ko) 항산화활성이 높은 증숙건조돼지감자의 제조방법
KR101245345B1 (ko) 비만억제용 발아현미 및 그 제조방법
KR101647917B1 (ko) 초석잠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재 추출액과 밤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47721B1 (ko)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0854403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18488B1 (ko) 단풍나무 수액을 포함하는 혈당수준 개선용 식품
KR101808808B1 (ko) 벌나무 및 후박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01159B1 (ko) 비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03463B1 (ko) 아토피성 피부염 억제효능을 갖는 청국장 환(丸)의 제조방법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076185A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85676B1 (ko)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16066B1 (ko) 두충엽 추출물 및 상엽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 식품
KR100647720B1 (ko) 숙취해소용 식품
KR20220103862A (ko) 간기능 개선 또는 내분비계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536554B1 (ko) 당뇨병 치료용 조성물
KR20220020122A (ko) 항당뇨 활성 유지를 위한 yv1-138 팥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가공식품
KR20210157522A (ko) 보중익기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성 신장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