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116B1 -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116B1
KR101688116B1 KR1020150105246A KR20150105246A KR101688116B1 KR 101688116 B1 KR101688116 B1 KR 101688116B1 KR 1020150105246 A KR1020150105246 A KR 1020150105246A KR 20150105246 A KR20150105246 A KR 20150105246A KR 101688116 B1 KR101688116 B1 KR 101688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reventing
composition
present
male menopau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현
정대윤
김은정
배동혁
Original Assignee
(주)남도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도농산 filed Critical (주)남도농산
Priority to KR1020150105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1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Abstract

본 발명은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여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PREVENTING OR TREATING ANDROPAUSE COMPRISING MOMORDICA CHARANTIA EXTRACT}
본 발명은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여주 추출물의 남성 갱년기 장애 개선, 남성 갱년기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의약품 및 건강 보조 식품의 천연소재로서의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성은 폐경기가 오며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여 여러 가시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를 갱년기라 한다. 통상 갱년기란 용어는 여성에 한정되어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남성에서도 노화에 따른 체내 남성 호르몬의 점진적 감소로 인한 내분비 변화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다. 실제 남성 갱년기의 증상은 전립선 선암종 치료를 위한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로부터 발생하는 증상과 유사하다. 정식 용어로는 2004년 국제남성노화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Aging Male)에서 결정된 용어인 '후기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late-onset hypogonadism, LOH)', '가령성 테스토스테론결핍증후군(ageassociated testosterone deciency syndrome, TDS)'이 있다. 남성갱년기 장애(Andropause)는 연령의 증가와 관련된 임상적 및 생화학적 증후군으로 전형적인 증상 및 혈청 테스토스테론 수준의 결핍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여러 신체기관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 동반되는 증상으로는 성욕 및 발기 기능의 저하, 밤 시간 동안의 우울, 인지 능력의 감소, 피로, 체중 및 근육량의 감소, 피부위축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폐경기 여성에 에스트로겐 대체 요법을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의 사용 가능성이 주장되고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 갱년기 환자들을 테스토스테론 운데카노에이트 40 X 2㎎/일로 치료하는 경우 상당한 개선 효과가 얻어지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남성 호르몬의 투여는 간, 지질 상태, 심혈관 및 전립선 질환 등에 역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 또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선종 및 선암종에 비추어, 남성 갱년기에 기인하는 증상들을 갖는 환자의 약 30%는 남성 호르몬 대체 요법을 받을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 요법의 단점을 제공하지 않는, 노화에 의한, 또는 화학적이나 외과적인 거세에 의해 유발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신규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의약품 개발 분야에서 천연물 유래 약학적 조성물의 이용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주(Momordica charantia)는 박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주로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에서 자라며 그 열매를 식용으로 이용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집 울타리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었으며, 일본, 중국, 동남아 지역에서는 미숙과를 식용으로 재배하고 있다. 여주의 열매는 쓴 맛이 강하고 외관은 일반 오이와 비슷하나 겉에 혹 같은 돌기가 있으며, 이 돌기가 많을수록 유용 성분이 많고 쓴맛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주의 열매는 미숙과일 때는 과피가 녹색을 나타내고, 성숙됨에 따라 과피가 황색으로 변하다 시간이 더 지나면 과피의 일부가 벌어지며 종자를 감싸고 있는 홍색 가종피가 노출된다. 여주의 열매는 위를 자극하여 소화액의 분비를 촉진하고 식욕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남아시아의 전통 의학에선 피부병, 야맹증, 류머티스 등에 효과가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KR 101229062 B1
본 발명은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및 기능성 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여주의 잎, 줄기, 열매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매는 미숙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주 추출물은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내 테스토스테론 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근력 감소 및 피로 등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로 인해 유발되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므로, 남성 갱년기 장애, 남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의료산업 및 식품산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간 및 신장 조직에 영향을 주지 않고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므로, 안전한 의약 또는 식품 첨가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천연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화학물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 독성 및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이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이 TM3 세포에서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이 혈청의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약제학적 제제 및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여주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는 여주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여주의 잎, 줄기, 열매 및 종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주의 열매가 선택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과피가 녹색을 띄는 여주의 미숙과가 선택되는 것이 좋다. 이를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절단, 건조 및 분쇄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자연건조 또는 동결건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여주 추출물의 분리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초임계추출, 아임계추출, 고온추출, 고압추출,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장치를 이용하는 방법 또는 XAD 및 HP-20을 포함하는 흡착 수지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열수 추출한 후 감압 농축하여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로는 극성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극성용매로는 예를 들면, 물, 알코올,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및 DMSO(dimethyl sulf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2-부톡시에탄올 및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극성용매로 물이 이용되는 것이 좋다.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분리할 시, 추출용매는 여주 전체 건조 중량의 1 내지 100배로 첨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여주 전체 건조 중량의 5 내지 20배로 첨가되는 것이 좋다.
추출용매를 처리하여 추출물을 분리할 시의 온도는 10 내지 120℃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 내에서 1 내지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2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시간 동안 추출하여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체내 테스토스테론 레벨을 증가시킨다. 이를 통하여, 테스토스테론의 분비 감소로 인해 유발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은 남성 갱년기로 인해 유발되는 증후군, 남성 갱년기 장애 및 남성 갱년기로 인한 질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호르몬 변화로 인한 기분변화, 수면장애, 체중 및 근육량의 감소, 근력 저하, 내장지방 증가, 성기능 장애, 인지능력 저하, 피로 및 우울증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남성 갱년기 증후군은 노화에 의해 유도되거나, 화학적 또는 외과적 거세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제는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약제학적 제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상기 성분들 이외에 당업계에 공지된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및 보존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피부 도포, 직장 주입,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숙련된 의사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이란 여주 추출물을 식품소재에 첨가하여 제조된 식품이거나, 여주 추출물을 캡슐, 분말,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통상적인 의미의 건강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의 종류로는, 예를 들면,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비스켓, 떡, 쵸코렛, 캔디, 스넥, 과자, 피자, 면류, 껌, 아이스크림, 스프, 음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은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펙트산염, 알긴산, 알긴산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화제, 과육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여주 추출물의 제조>
여주의 열매 및 종자를 각각 절단 분리하고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였다. 여주의 열매는 과피가 녹색인 미숙과, 과피가 황색이고 가종피가 노출되지 않은 중간성숙과, 과피의 일부가 벌어져 홍색 가종피가 노출된 성숙과로 구분하고 섞이지 않도록 각각 절단 및 건조하여 준비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각 여주 100g에 증류수를 10배 부피로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하여 여주의 미숙과, 중간성숙과, 성숙과, 종자의 추출물을 각각 준비하였다. 여주 추출물은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일간 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4℃에서 냉장보관하고 실험시 물 또는 1X PBS(Phosphate buffer saline)용액에 녹여 사용하였다. 열수 추출을 통해 얻어진 여주 추출물의 추출 수율은 25.32%였다.
<여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측정>
여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매뉴얼에 따라 7.4 mM ABTS, 2.6 mM K2SO4를 실온 암소에서 24시간 반응하여 ABTS 라디칼을 형성시켜 ABTS stock solution을 제조하고, 이후 Stock solution을 PBS를 이용하여 732nm에서 흡광도 0.7±0.03(mean±SE)로 희석시켜 ABTS working solution을 제조하였다. working solution 190㎕와 항산화활성을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 10㎕를 첨가하여 암실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7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ABTS 라디칼 소거율을 분석하였다.
[수학식 1]
ABTS 라디칼 소거율(%) = (1-샘플의 흡광도/음성대조군 흡광도)*100
상기 수학식 1에서, 음성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샘플로는 실험군으로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 및 여주의 종자 추출물을 1, 3, 10, 30, 100 및 200μg/㎖ 농도로 준비하여 사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 아스코빅산(비타민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을 참고하면,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 및 여주의 종자 추출물에서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높아지는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은 200μg/㎖의 농도에서 93.85±0.04%, 여주의 종자 추출물은 100μg/㎖의 농도에서 93.79±0.03%의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냈다. 여주 미숙과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 EC50값은 46.13±0.65μg/㎖, 여주의 종자 추출물의 EC50값은 24.54±0.01μg/㎖였다. 이를 통하여, 여주의 미숙과 및 종자 추출물이 모두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주 추출물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여주 추출물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는 쥐의 고환세포에서 유래하며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레이디그 세포인 TM3 세포주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TM3 세포는 DMEM에 10% FBS 및 1% penicillin/streptomyc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한 것을 사용하였다.
TM3 세포를 24-well plate에 2×106cells/㎖ 농도로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여주의 미숙과, 중간성숙과 및 성숙과 추출물을 각각 1, 3, 10, 30, 100, 200, 300㎍/㎖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여 48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각 well에서 배양배지 100㎕를 취해 Testosterone EIA kit(Enzo life sciences)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 내지 5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모든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기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법을 이용하여 p값이 0.05 미만(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다.
도 2를 참고하면, 여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테스토스테론 레벨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숙과 여주 추출물은 30 내지 200㎍/㎖의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 중간성숙과 여주 추출물은 100㎍/㎖의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 성숙과 여주 추출물은 10㎍/㎖ 농도 및 200 내지 300㎍/㎖의 농도로 처리되는 경우 유의하게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숙과 여주 추출물이 중간성숙과 및 성숙과 여주 추출물에 비해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과산화수소 유도 조건에서 여주 추출물의 테스토스테론 분비 증가 효과 측정>
TM3 세포를 24-well plate에 2×106cells/㎖ 농도로 넣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여주의 미숙과, 중간성숙과 및 성숙과 추출물을 각각 1, 3, 10, 30, 100, 200, 300㎍/㎖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고, 과산화수소(H2O2)를 100μM 농도로 각 well에 처리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배지 100㎕를 취해 Testosterone EIA kit(Enzo life sciences)를 이용하여 매뉴얼에 따라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시한 모든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기하고,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Student's t-test 분석법을 이용하여 p값이 0.05 미만(p<0.05)인 경우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보았다.
도 3을 참고하면, 여주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환경에서도 테스토스테론 레벨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성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TM3 세포와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TM3 세포를 비교하면, 과산화수소를 처리하는 경우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은 1㎍/㎖ 및 10 내지 200㎍/㎖농도, 여주의 중간성숙과 추출물은 100 내지 200㎍/㎖농도, 여주의 성숙과 추출물은 200 내지 300㎍/㎖농도로 과산화수소와 함께 처리되는 경우에, 과산화수소만 처리한 경우에 비해 테스토스테론 농도가 유의성 있게(p<0.05)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는 환경에서도 TM3 세포의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켜 체내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높임으로써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완화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주 추출물이 체중, 조직 및 혈액에 미치는 영향 확인>
체중이 155 내지 165g인 5주령의 Sprague-Dawley계 수컷 백서 30 마리를 대상으로 여주 추출물이 체중, 체내 조직 및 혈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사육 온도는 25 내지 26℃, 습도는 55 ± 5%를 유지하였고,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 하여 백서를 1주일 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으며, 실험하는 동안 사육실의 환경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백서 6마리를 한 그룹으로 하여 5개 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시료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기간은 6주였다.
그룹 시료
음성대조군 생리식염수
양성대조군 민들레 추출물 100mg/kg
실험군1 미숙과 여주 추출물 100mg/kg
실험군2 미숙과 여주 추출물 300mg/kg
실험군3 미숙과 여주 추출물 500mg/kg
본 실험에서, 통계학적 분석은 SPSS 21.0 ver.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각 결과 값은 평균 및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각 측정 시기별 및 각 군간 측정치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정(post hoc)은 Tukey'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 유의수준은 α=0.05로 설정하였다.
체중 변화는 시료 투여 전 및 실험종료 후 체중을 측정하여 확인하였으며, 측정된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그룹 시료 투여 전 체중(g) 실험종료 후 체중(g)
음성대조군 186.5±2.87 360.83±17.27
양성대조군 186.67±6.28 338.00±29.25
실험군1 186.00±7.72 341.333±11.52
실험군2 188.00±2.37 340.50±16.39
실험군3 182.83±5.02 329.33±16.78
표 2를 참고하면, 실험종료 후 모든 대조군 및 실험군에서 시료 투여 전에 비하여 유의한(p<0.05) 체중 증가를 보였다. 실험군 3의 체중이 다른 그룹에 비해 실험종료 후 체중이 적게 나가는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은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종료 후 백서를 12시간동안 금식시킨 후 백서의 혈액을 채취하여 15분간 3,5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분리된 혈청을 대상으로 혈액을 분석하였다. 혈액 내 성분의 농도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채혈한 혈액을 실온에 방치한 뒤 4℃에서 다시 1시간 방치하고, 5,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자동혈액분석기(FUJI Dri-Chem NX500i, FUJI Co., Japan)를 이용하여 GPT, GOT, 알부민(Albumin), 총 빌리루빈(Total bilirubin), 총 단백질(Total protein), 크레아티닌(Creatinine) 및 BUN 수치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음성대조군 양성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실험군3
GPT(U/I) 50.00±7.56 51.33±17.11 41.33±4.18 46.33±3.39 45.00±5.51
GOT(U/I) 21.88±3.99 25.0±4.47 23.33±3.72 24.33±3.01 25.5±2.43
알부민(g/dl) 4.22±0.38 4.20±0.13 4.02±0.26 4.52±0.32 4.32±0.41
총단백질
(g/dl)
5.98±0.71 5.70±0.29 6.08±0.31 6.07±0.28 6.28±0.23
총빌리루빈
(mg/dl)
0.33±0.09 0.29±0.06 0.30±0.09 0.27±0.05 0.27±0.08
크레아티닌
(mg/dl)
0.57±0.14 0.62±0.15 0.67±0.15 0.57±0.14 0.55±0.08
BUN(mg/dl) 15.58±3.28 14.63±2.16 16.05±1.94 17.33±2.15 16.65±2.38
여주 추출물이 체내 테스토스테론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백서의 혈청을 이용하여 in vivo 수준에서 확인한 결과는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고하면, 여주 추출물이 투여된 군에서 혈청의 테스토스테론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여주 추출물을 100mg/kg으로 투여한 실험군2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여주 추출물이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간 및 신장의 형태적 변화를 관찰하는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하여 확인하였다. 혈액채취 후 백서를 마취하고 간 및 신장을 적출하여 H&E 염색을 실시하였으며, 간조직 및 신장의 사구체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간조직에서의 세포질 위축, 핵응축, 지방질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신장의 사구체에서도 사구체 및 세뇨관의 세포 배열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고 세포질 위축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은 간 및 신장에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주 추출물의 단회경구투여독성 확인>
여주 추출물의 단회경구투여독성은 SD계 8주령의 암컷 랫(rat)을 이용하여 독성 반응을 평가하였다. 사육 온도는 25 내지 26℃, 습도는 55 ± 5%를 유지하였고, 명암주기는 12시간으로 하여 랫을 1주일 간 사육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하였으며, 실험하는 동안 사육실의 환경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하기 표 4와 같이 시료인 여주 미숙과 추출물을 300 mg/kg B.W. (1st, 2nd step) 및 2,000 mg/kg B.W. (3rd, 4th step)로 나누어 각각 3마리에 1회 경구 투여하였으며, 시료 투여 후 14일간 사망률, 일반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였다. 시료 투여 전 18시간 절식시켰으며, 투여는 경구 투여용 sonde를 장착한 주사기를 이용하여 위내에 1회 경구투여하였다. 14일 후 생존 동물은 부검하여 육안으로 장기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였다.
그룹 여주 추출물 농도(mg/kg B.W.) 투여량(㎖/㎏ B.W.)
실험군1 300 10
실험군2 300 10
실험군3 2,000 10
실험군4 2,000 10
실험기간 중 시료 투여에 의한 사망동물 및 시료 투여에 의한 이상증상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모든 실험군에서 정상적으로 체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검 결과에서도 모든 실험군에서 이상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여주 추출물은 체중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간 및 신장독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체내 혈청의 테스토스테론 함량을 증가시키므로, 남성 갱년기 장애, 남성 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안전한 약제 및 식품으로 의료산업 및 식품산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주 추출물은 극성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체내 테스토스테론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6.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에 있어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제제.
  7. 여주(Momordica charantia)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에 있어서,
    상기 여주 추출물은 여주의 미숙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또는 개선용 기능성 식품.
KR1020150105246A 2015-07-24 2015-07-24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88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46A KR101688116B1 (ko) 2015-07-24 2015-07-24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246A KR101688116B1 (ko) 2015-07-24 2015-07-24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116B1 true KR101688116B1 (ko) 2016-12-21

Family

ID=5773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246A KR101688116B1 (ko) 2015-07-24 2015-07-24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1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777A (ko) * 2020-09-10 2022-03-17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경감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62B1 (ko) 2012-09-28 2013-02-15 (주) 오베론코스메틱 여주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062B1 (ko) 2012-09-28 2013-02-15 (주) 오베론코스메틱 여주추출물을 포함하는 팽창선조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ngladesh Journal of Medical Science, 2011, 10(2), 104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998, 61(1), 9-16*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004, 93(1), 123-132 *
인터넷 자료, 인터넷 URL : http://bookscom.blog.me/220190213462 (2014.11.2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777A (ko) * 2020-09-10 2022-03-17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경감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KR102475918B1 (ko) * 2020-09-10 2022-12-08 중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남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 경감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8506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hyroid diseases, comprising extract from Lonicera caerulea L. var. edulis fruits as active ingredient
US2008011300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Gramineae Pla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Diseases and Degenerative Brain Diseases and the Use Thereof
EP1618875B1 (en) Composition for inhibition or prevention of bone density lowering
KR102519649B1 (ko) 캠퍼롤 및 에피카테킨 갈레이드를 포함하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76941B1 (ko) 토종 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26410B1 (ko) 황칠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88116B1 (ko) 여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갱년기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00368B1 (ko) 돌콩의 열처리 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90003305A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070089288A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사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37971A (ko) 신경 세포사 억제 활성을 갖는 황칠 열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0122373A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76610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45704B1 (ko) 키누레닉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0832520B1 (ko) 매생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640094B1 (ko) 콜레스테롤 저하 또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녹차씨유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39457B1 (ko) 괴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및지방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90084732A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60411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