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411B1 -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 Google Patents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411B1
KR100560411B1 KR1020040027366A KR20040027366A KR100560411B1 KR 100560411 B1 KR100560411 B1 KR 100560411B1 KR 1020040027366 A KR1020040027366 A KR 1020040027366A KR 20040027366 A KR20040027366 A KR 20040027366A KR 100560411 B1 KR100560411 B1 KR 100560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hangover
green tea
epigallocatechin
gal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207A (ko
Inventor
박종범
윤여표
이덕근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삼아약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아약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아약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7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41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2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4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전기 녹차카테킨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녹차카테킨은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CG) 및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음주 후, 혈중 알콜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과다한 알콜섭취에 의하여 발생되는 숙취증상의 해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녹차카테킨, 숙취해소제, 숙취해소용 식품

Description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Recovering Hangover Comprising Green Tea Catechin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숙취해소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전기 녹차카테킨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슬은 뇌의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기분을 좋게 하고, 괴로움을 잊을 수 있어, 고대에는 주술과 제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었고, 지금에도 음주를 통한 사회활동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술은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보면 비교적 높은 열량을 공급하고, 혈액순환과 소화를 돕고 혈중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심혈관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에는 식사량의 감소로 영양부족 및 영양장애를 초래하고, 간기능을 손상시키며, 심지어는 뇌조직을 손상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과다한 술을 섭취하는 일부의 사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알콜중독증상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술을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숙취증상은 섭취된 알콜이 체내에서 분해되면서 신체에 해로운 물질로 전환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증상으로, 주로 두통 및 속쓰림 등으로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체내에서 알콜의 분해를 촉진시키거나 또는 알콜의 대사로 인하여 발생된 해로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이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3-94740호에는 산소가 다량 함유된 숙취 해소용 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23167호에는 채소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18233호에는 숙취해소용 탄산음료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18117호에는 실크 피브로인을 주재로 한 항숙취음료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14250호에는 매생이 추출물을 이용한 항숙취음료의 제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9851호에는 지구자를 이용한 숙취제거용 기능성 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2-9291호에는 오수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항산화 작용을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제 403721호에는 헛개나무로부터 분리된 간독성 및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저급알콜 불용성 추출분획 및 다당체 물질 및 이를 함유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출 원 제 2002-2470호에는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1-80108호에는 오리나무를 이용한 숙취해소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숙취해소제는 알콜분해를 촉진시키는 정도가 미미하여, 효과적인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으므로, 보다 효과적인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여야 할 필요성이 끊임없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다 효과적으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물질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녹차 추출물로부터 수득한 녹차카테킨이 혈중 알콜농도를 빠르게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차카테킨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이하, 편의상 'GTC'라고도 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전기 GTC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알코올의 섭취 후, 혈중 알콜의 농도를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과다한 알콜섭취에 의하여 발생되는 숙취증상의 해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GTC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결합제(예, 폴리비닐피롤리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붕해제(예,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희석제(예, 옥수수전분, 유당, 콩기름, 결정셀룰로오스, 만니톨), 활택제(예,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감미제(예, 백당, 과당, 솔비톨, 아스파탐), 안정제(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알파 또는 베타 싸이클로덱스트린, 비타민 C, 구연산, 백납), 보존료(예,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 및 향료(예, 에틸바닐린, 마스킹후레바, 멘톨후라보노, 허브향)와 혼합하여 정제, 캅셀제, 연질캅셀제, 액제, 연고제 또는 주사제와 같은 약학적 제제로 제조될 수 있다.
GTC의 급성독성실험
6 내지 7주령 된 비설치류 비글견(beagle)을 대상으로 GTC를 경구투여하여 24시간내의 개체사망율을 조사하였으며, 이때 암컷은 6 내지 8㎏인 개체를, 수컷은 7 내지 9㎏인 개체를 각각 8마리 사용하였다. 그 결과, 5g/kg 까지 죽은 개체가 발생하지 않아, GTC는 kg당 5g까지도 급성독성을 관찰할 수 없을 만큼 안전하므로, 숙취해소제로서 생체내에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GTC의 유효량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의 유효성분인 GTC의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증상, 투여방법 또는 예방목적에 따라, 체중 kg 당 6 내지 30㎎을 일일 1회 내지 3회 분복할 수 있다. 특이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 대한 투여용량 수준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당업자가 투여량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GTC는 다양한 식품첨가물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GTC는 당류(예,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당알콜 등),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영양제, 비타민, 식 용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예,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등의 식품첨가물과 혼합하여 숙취해소용 식품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식품의 형태는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선식, 면류, 과자류, 음료류, 육류, 생선류, 나물류, 찌게류 또는 밥류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식품의 제조시 첨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고, 전기 숙취해소용 식품에 첨가되는 GTC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녹차카테킨 추출물의 수득
녹차(Theae sinensis L., Theaceae-var. bohea 中 yabugida, 제주도산) 1000g에 70%(v/v) 에탄올수용액 10ℓ로 85 내지 90℃에서 3시간 동안 1차 추출한 다음, 동일한 용매 5ℓ로 동일한 조건하에 2차 추출을 완료하여, 진공회전증발기에서 약 1000㎖이 될 때까지 농축하였다. 전기 농축액에 물을 가하여 2 내지 3배로 희석시키고, 14,000rpm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고형성분을 완전히 제거한 다음, 모아진 상등액을 1.2배의 클로로포름으로 2회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클로로포름층을 제거하고, 수층을 1.2배의 에틸아세테이트로 4회 추출하여 얻은 액을 합한 후, 추출용매가 완전히 없어질 때까지 감압건조시켰다. 전기 건조물을 소량의 물로 용해시키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형의 녹차카테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또한, 수득한 분말형의 녹차카테킨 추출물에 함유된 카테킨의 함량을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참조: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1-84165호), 전기 수득한 녹차카테킨 분말의 중량에 대하여,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37.5%(w/w), 에피갈로카테킨 12.5%(w/w), 에피카테킨-3-갈레이트 5.7%(w/w) 및 잔량의 기타 카테킨을 함유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녹차카테킨 추출물의 숙취해소 효과
전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녹차카테킨 추출물 및 시판되는 숙취해소제인 여명808((주)그래미, 한국)을 알콜을 섭취한 실험동물에 투여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여, 숙취해소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즉, 체중 200 내지 250g의 랫트에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거나(대조군), 녹차카테킨 추출물을 랫트 체중kg당 100mg의 양으로 투여하거나(실험군 1), 녹차카테킨 추출물을 랫트 체중kg당 200mg의 양으로 투여하거나(실험군 2) 또는 여명808의 건조 고형분을 랫트 체중kg당 100mg의 양으로 투여한(비교실험군) 후, 30분이 경과한 다음, 38%(v/v) 에탄올 수용액을 각 실험군에 5㎖/kg씩 경구투여하고, 일정시간(0, 0.5, 1, 2, 3, 6 및 8시간)이 경과한 다음, 각 실험군에서 혈액 0.2㎖을 채혈하였다. 채혈된 혈액을 트리클로로아세트산과 5분동안 반응시킨 후, 2,000rpm으로 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수득하였다. 이어, 수득한 각 혈장 0.1㎖를 알콜농도 측정키트(#332, Sigma Chem. Co., USA)에 포함된 NAD-ADH용액 2.9㎖와 혼합하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다음, 3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측정치를 표준곡선에 대입하여 혈중 알콜농도를 산출하였다(참조: 표 1).
녹차카테킨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경과시간(시간) 대조군 비교실험군 실험군 1 실험군 2
0 0 0 0 0
0.5 84.2 ±7.1 58.0 ±9.8 81.0 ±9.0 51.0 ±2.6
1 77.3 ±9.5 56.1 ±7.7 79.0 ±2.4 53.5 ±0.8
2 61.8 ±15.8 36.5 ±1.7 53.5 ±3.8 35.3 ±5.7
3 54.0 ±13.8 9.2 ±6.8 34.2 ±4.8 17.6 ±8.7
6 18.0 ±18.0 0 0 0
8 0 0 0 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비교실험군과 실험군 2는 0.5시간이 경과한 후의 혈중 알콜농도가 대조군보다 현저히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녹차카테킨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알콜투여 2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알콜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비교실험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는 바, 녹차카테킨 추출물이 숙취해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카테킨의 최적 조성비 결정
상기 실시예 2의 결과에서 보듯이, 녹차카테킨 추출물은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녹차카테킨에 함유된 EGCG, EGC 및 ECG의 함량변화에 따른 숙취해소효과를 비교하여, 최적의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내는 EGCG, EGC 및 ECG의 조성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3-1: EGCG의 함량결정
5중량%의 EGC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G의 함량이 10, 20, 30, 40, 50, 60, 70, 80 및 90중량%인 녹차카테킨을 각각 제조하였다. 전기 제조된 녹차카테킨을 100mg/kg의 양으로 랫트에 경구투여하고, 30분이 경과한 후, 38%(v/v) 에탄올 수용액을 각 실험군에 5㎖/kg씩 경구투여하고, 3시간이 경과한 다음, 각 실험군에서 혈액 0.2㎖을 채혈하였으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2). 이때, 대조군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EGCG의 함량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EGCG의 함량(중량%) 혈중 알콜농도
0(대조군) 54.0 ±13.8
10 52.0 ±3.7
20 51.5 ±3.6
30 38.3 ±4.9
40 33.3 ±5.7
50 28.1 ±6.4
60 23.4 ±5.8
70 18.7 ±3.9
80 15.5 ±6.2
90 10.3 ±6.2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EGCG의 함량이 30 내지 90중량%인 경우, 혈중 알콜농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2: EGC의 함량결정
50중량%의 EGCG 및 5중량%의 ECG를 포함하고, EGC의 함량이 5, 10, 15, 20, 25, 30, 35, 40 및 45중량%인 녹차카테킨을 각각 제조하였다. 전기 제조된 녹차카테킨을 200mg/kg의 양으로 랫트에 경구투여하고, 30분이 경과한 후, 38%(v/v) 에탄올 수용액을 각 실험군에 5㎖/kg씩 경구투여하고, 3시간이 경과한 다음, 각 실험군에서 혈액 0.2㎖을 채혈하였으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3). 이때, 대조군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EGC의 함량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EGC의 함량(중량%) 혈중 알콜농도
0(대조군) 54.0 ±13.8
5 48.2 ±3.3
10 28.6 ±5.5
15 25.4 ±5.8
20 23.8 ±1.4
25 20.6 ±5.3
30 18.8 ±9.2
35 16.6 ±5.3
40 16.7 ±3.2
45 16.4 ±9.2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10중량% 이상인 경우, 혈중 알콜농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고,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혈중 알콜농도가 더 이상 저하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GC의 함량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GC의 함량이 4, 5, 6, 7, 8, 9 및 10중량%인 GTC를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녹차카테킨의 숙취예방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4).
EGC의 함량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EGC의 함량(중량%) 혈중 알콜농도
0(대조군) 54.0 ±13.8
4 50.2 ±2.8
5 48.2 ±3.3
6 33.0 ±0.4
7 31.8 ±9.2
8 30.9 ±5.5
9 29.7 ±3.7
10 28.6 ±5.5
상기 표 4에서 보듯이, EGC의 함량이 6중량% 이상인 경우, 혈중 알콜농도가 현저히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3: ECG의 함량결정
50중량%의 EGCG 및 5중량%의 EGC를 포함하고, ECG의 함량이 5, 10, 15, 20, 25, 30, 35, 40 및 45중량%인 녹차카테킨을 각각 제조하였다. 전기 제조된 녹차카테킨을 200mg/kg의 양으로 랫트에 경구투여하고, 30분이 경과한 후, 38%(v/v) 에탄올 수용액을 각 실험군에 5㎖/kg씩 경구투여하고, 3시간이 경과한 다음, 각 실험군에서 혈액 0.2㎖을 채혈하였으며, 실시예 2의 방법으로 혈중 알콜농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5). 이때, 대조군은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ECG의 함량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EGC의 함량(중량%) 혈중 알콜농도
0(대조군) 54.0 ±13.8
5 32.2 ±3.3
10 30.6 ±5.5
15 27.4 ±5.8
20 25.8 ±1.4
25 22.6 ±5.3
30 20.8 ±9.2
35 19.6 ±5.3
40 19.7 ±3.2
45 19.4 ±9.2
상기 표 5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5중량% 이상인 경우, 혈중 알콜농도가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고, 35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혈중 알콜농도가 더 이상 감소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ECG의 함량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ECG의 함량이 1, 2, 3, 4, 5 및 6중량%인 녹차카테킨을 각각 제조한 후, 동일한 방법으로 각 녹차카테킨의 숙취해소효과를 비교하였다(참조: 표 6).
ECG의 함량에 따른 혈중 알콜농도의 변화(㎎/㎗)
EGC의 함량(중량%) 혈중 알콜농도
0(대조군) 54.0 ±13.8
1 42.2 ±3.3
2 35.6 ±5.5
3 34.4 ±5.8
4 33.8 ±1.4
5 32.2 ±3.3
6 31.8 ±1.2
상기 표 6에서 보듯이, ECG의 함량이 2중량% 이상인 경우, 혈중 알콜농도가 현저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3-1 내지 3-3의 결과를 종합하면, 30 내지 90중량%의 EGCG, 6 내지 35중량%의 EGC 및 2 내지 35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이하, 편의상 'GTC'라고도 함)은 혈중 알콜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므로, 결과적으로 우수한 숙취해소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숙취해소제의 제제화
전기 실시예 3에서 결정된, 30 내지 90중량%의 EGCG, 6 내지 35중량%의 EGC 및 2 내지 35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GTC를 통상의 부형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희석제 등과 같은 보조제와 혼합하여 다음과 같은 약학적 제제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1: 정제의 제조
GTC 10mg, 유당 20mg, 전분 2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당량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50mg의 정제로 타정하여, 정제형의 항혈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2: 캅셀제의 제조
GTC 10mg, 유당 20mg, 전분 19mg, 탈크 1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적당량을 통상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50mg 용량의 캅셀에 충진하여, 캅셀제형의 항혈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3: 액제의 제조
GTC 100mg, 이성화당 10g, 벌꿀 500mg, 니코틴산아마이드(약전) 20mg, 무수카페인(약전) 30mg 및 안식향산나트륨 70mg을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하고, 100ml 용량의 갈색병에 충진한 다음, 밀전하여 저온 살균처리함으로써, 액제 형의 항혈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4: 과립제의 제조
GTC 10mg 및 유당25mg을 통상의 압출조립기로 압출시켜서, 과립제형의 항혈전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GTC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의 제조
전기 실시예 3에서 결정된, 30 내지 90중량%의 EGCG, 6 내지 35중량%의 EGC 및 2 내지 35중량%의 ECG를 포함하는 GTC를 통상의 식품 첨가물과 혼합하여 다음과 같은 숙취해소용 식품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5-1: 숙취해소용 국수의 제조
GTC 20g, 소맥분 700mg, 계란 80g 및 물 20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국수 제조방법에 의하여 면대를 제조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국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2: 숙취해소용 비스킷의 제조
GTC 20g, 소맥분 700mg, 우유 200g 및 계란 80g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고, 통상의 비스킷 제조방법에 의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3: 숙취해소용 음료의 제조
GTC 20gg, 과일향 10mg, 과일즙 100g, 안식향산 나트륨 10mg 및 물 900ml을 혼합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4: 숙취해소용 콩나물 무침의 제조
GTC 20g, 고추가루 15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콩나물 무침용 양념을 제조하고, 전기 제조된 양념 200g과 콩나물 5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콩나물 무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5: 숙취해소용 된장찌게의 제조
GTC 20g, 된장 600g, 소량의 소금, 마늘, 고추, 양파 및 생강을 혼합하여, 물 500ml에 넣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된장찌게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6: 숙취해소용 잡곡밥의 제조
GTC 20g, 검정콩 50g, 수수 50g, 좁쌀 50g 및 백미 300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으로 조리하여, 숙취해소 효과를 나타내는 잡곡밥을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녹차에서 추출된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및 전기 녹차카테킨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숙취해소제는 음주 후, 혈중 알콜농도를 급격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과다한 알콜섭취에 의하여 발생되는 숙취증상의 해소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EGCG, C22H18O11, 분자량 458.4),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EGC, C15H14O7, 분자량 306.3)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ECG, C22H18O10, 분자량 442.5)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green tea catechins)을 유효성분으로 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며, 체중 kg당 6 내지 30mg의 양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취해소제.
  2.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캅셀제형의 숙취해소제.
  3.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액제형의 숙취해소제.
  4.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정제형의 숙취해소제.
  5. 30 내지 90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 6 내지 35중량%의 에피갈로카테킨 및 2 내지 35중량%의 에피카테킨-3-갈레이트를 포함하는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과립제형의 숙취해소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27366A 2004-04-21 2004-04-21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0560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366A KR100560411B1 (ko) 2004-04-21 2004-04-21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7366A KR100560411B1 (ko) 2004-04-21 2004-04-21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207A KR20050102207A (ko) 2005-10-26
KR100560411B1 true KR100560411B1 (ko) 2006-03-13

Family

ID=37280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366A KR100560411B1 (ko) 2004-04-21 2004-04-21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744B1 (ko) * 2011-12-27 2013-10-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카테킨 갈레이트를 함유하는 녹차 추출물과 폴리감마글루탐산을 포함하는 알코올 흡수 억제용 또는 알코올성 간 손상 억제용 조성물 및 식품
KR101588378B1 (ko) * 2015-08-12 2016-01-25 (주)포원텍 숙취해소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숙취해소제
KR102142854B1 (ko) * 2016-12-28 2020-08-10 (주)아모레퍼시픽 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카테킨 흡수 증진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207A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0276B2 (ja) 尿酸値低下剤及び尿酸値低下効果を備えた飲食物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KR101559888B1 (ko) 발효마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731152B1 (ko) 다래순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EP1283048B1 (en) Therapeutic agent for improving bladder function or treating urinary disturbance and food and drink containing it
KR100560411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JP2015502954A (ja) アギタケの水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脂質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の組成物
JP3130327B2 (ja) 肝機能障害予防剤及び肝機能障害予防作用を有する機能性食品
KR100638491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숙취해소제
KR101210748B1 (ko) 오가피 및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96524B1 (ko) 숙취해소용 조성물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100872310B1 (ko) 숙취 해소 및 흡연으로 인한 코티닌 대사 향상을 위한 기능성 조성물, 그를 함유한 식품 및 식품 첨가제
JP2005022994A (ja) 血糖上昇抑制用組成物
KR102302047B1 (ko) 엉겅퀴, 민들레, 배, 아로니아 및 꿀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6802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2216211B1 (ko) 풋사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1991746B1 (ko) 카테킨 생체 이용률 증진제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5368A (ko) 흰민들레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기능 저하 증상 완화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976710B1 (ko) 명월초잎, 산수유, 야생배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73223B1 (ko) 볶음 우엉 또는 볶음 도라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틱겔
KR20160118844A (ko)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