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844A -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 Google Patents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844A
KR20160118844A KR1020150047647A KR20150047647A KR20160118844A KR 20160118844 A KR20160118844 A KR 20160118844A KR 1020150047647 A KR1020150047647 A KR 1020150047647A KR 20150047647 A KR20150047647 A KR 20150047647A KR 20160118844 A KR20160118844 A KR 2016011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ale
preventing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연
김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47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844A/ko
Publication of KR2016011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8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3Cuscutaceae (Dodder family), e.g. Cuscuta epithymum or greater do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9Schisandraceae (Schisandra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병은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LHRH 및 old rat 갱년기 동물 모델의 확립을 이용하여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의 감소, serum SOD활성의 저하, testosterone level의 감소 및 정소의 조직에서의 8-OHdG의 DNA발현 증가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호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Description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herbal extract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late onset hypogonadism and andropause and health functional food comprising the same}
본 발병은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남성이 중년을 넘기면 매년 가량 남성호르몬 분비량이 감소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신체정신적 변화가 나타나며, 여성과 달리 매우 서서히 진행되는 이 변화는 성욕 감퇴, 발기력 저하, 복부비만, 근육량 및 근력 감소, 골밀도 감소, 의욕저하, 기억력 및 집중력 감소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남성 갱년기학회에 의하면 남성 갱년기는 '남성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전형적인 증상들과 혈청 테스토스테론 결핍을 동반하는 임상적, 생화학적 증후군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여러 신체기관의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로 정의하고 있는데, 한글 명칭은 학술적으로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이며, 일반적으로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과거에는 노인 남성의 남성호르몬결핍증으로 불리며 테스토스테론 수치로만 남성 갱년기를 진단하였으나, '후기 발현 성선기능저하증 (late onset hypogonadism, LOH)'이라는 용어가 등장하면서 테스토스테론 수치뿐만 아니라 임상적 증상까지 고려하여 남성 갱년기를 진단해야 한다는 것이 제기되었으며, 오히려 임상적 증상을 고려하는 것이 보다 중요한 평가 요소로 판단되고 있다. LOH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이라는 일반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남성 갱년기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복부비만, 근력감소, 골밀도감소, 의욕저하, 기억력 및 집중력 감소, 발기력 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남성 갱년기의 임상적 증상 여부를 파악할 때 독일 하이네만이 개발한 Aging male symptom score (AMS)를 흔히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독일 남성들이 40대 이상에서 정상 노화 과정 중 나타나는 증상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테스토스테론 수치 저하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다만, 노화에 따른 혈청 테스토스테론 농도의 감소는 30 대 중반 이후 매년 남성의 총 테스토스테론이 0.4%씩 감소하며, 350 ng/dl 미만을 남성 갱년기와 관련도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남성 갱년기의 임상적 증상이 있으면서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12 nmol/L 이하로 저하되어 있을 때는 테스토스테론의 보충요법 (androgen replacement therapy (ART)) 대상으로 보고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실시한다. 그러나, 전립선암 환자, 심각한 적혈구 증가증 (polycythemia), 치료되지 않은 수면무호흡증, 중증의 심부전, 시메티딘, 프로게스틴, 에스트로겐 등의 항안드로겐 제제 투여 시, 콜레스테롤 260 mg/dl이상, 혈압과 당대사의 문제가 심각한 경우, 항우울제의 투여가 필요한 심한 정신장애와 같은 경우에는 남성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것은 금기시되어 있다. 즉, 호르몬 보충요법의 부작용의 동반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AMS는 정신적 증상 5항목, 신체 증상 5항목, 성적 증상 5항목에 대해 각 증상 정도에 따라 배점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임상적 평가에 사용되는 것으로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 (IIEF), Androgen Deficiency in Aging Male (ADAM)이 있다. IIEF는 발기능, 오르가즘의 정도, 성적욕구, 성교 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등을 평가하여 수치화하며, ADAM은 2000년 Morley 등에 의해 개발되어 40세 이상의 남성에서 남성 호르몬 결핍상태를 선별할 수 있는 진단검사로서 10개 문항 중 성욕감퇴와 관련한 문항 1, 발기력 저하와 관련한 문항 7에 예스로 답하거나, 다른 문항 중 3가지에 예스라고 응답한 경우 남성 갱년기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본다.
한편, 2015년 1월 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개별인정형 원료현황에는 갱년기 남성건강 기능성 원료 인정사례는 MR-10 민들레 등의 복합추출물과 마카 젤라틴화 분말 총 2건이며 마카 젤라틴화 분말은 관련 인체적용시험이 미흡하여 생리활성 3등급원료 인정되고 있다.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은 단순히 발기부전의 문제가 아니라,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복부비만, 근력감소, 골밀도 감소, 의욕저하, 기억력 및 집중력 감소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이를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을 위협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의 실질적인 예방 내지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여부 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즉 남성 갱년기 증상에 대한 예방 내지 증상개선 효과가 있으면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그리고, 상기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은 개별적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를 혼합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은 각각의 물질 중량대비 4 내지 8배의 30%에탄올을 넣고 60 내지 70°C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넣어 혼합한 후 가열하고, 이를 원심침전시키고 상층액을 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되,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발기부전에 효과가 있는 생약 추출물들을 혈관성 병태
생리학적 관점에서 파악하여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발기부전과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상관관계는 앞서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치하지 않으며, 따라서, 최근의 동향인 실제적인 임상실험의 결과를 통해 남성 갱년기의 예방 내지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엄격히 말하면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은 발기부전과는 다른 질환으로 파악해야 한다. 본 발명은 개별 생약 추출물을 얻고 이를 조합하는 방식을 통해 후기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의 예방 내지 치료용 조성물을 찾아내게 되었다. 기본적으로는 개별 생약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한의학적 처방원리에 기초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발명의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예방 내지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로 이루어진 추출물 (본 발명에서 상기 5가지 추출물들을 KH-204라 간략히 명명함)이 바람직하고, 산수유 추출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구기자 50~150 중량부, 복분자 20~100 중량부, 토사자 20~100 중량부 및 오미자 10~5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예방 내지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Ⅰ) 상기 약재에 에탄올을 가하고 4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 단계; Ⅱ) 상기 추출 용액을 90~450 x g의 원심분리로 침전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0.3~0.6 ㎛ 필터로 여과하는 단계; 및 Ⅲ) 상기 여과액을 회전진공농축기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예방 내지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수유에 1 내지 20배의 10~50% 에탄올을 가하고 4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성분들을 함께 추출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으로 추출하는 것이 실제적 효능 측면에서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은 각 약재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는데, 유기용매로는 저급 알콜,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등을 예시 할 수 있다. 저급 알콜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수유 건조물 또는 분말에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배의 10~50%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고 4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각 약재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여과하여 얻어진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들에서 추출공정은 필요에 따라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여과 후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 건조 또는 감압건조시켜 분말 형태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다른 생약재 또는 그의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출방법에 따라 생약재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조성물에 가하거나, 상기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수유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재를 혼합한 후 상기 방법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알레르기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병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제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 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 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치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예방 및 개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 (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 (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 (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 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과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예방 및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식품으로는 음료 (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 식품 (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 (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 (예: 버터, 치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 (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기자는 낙엽관목으로 높이는 2.5 m에 달하고, 가지 끝은 아래로 늘어지며, 짧은 가지는 가시모양이며, 잎은 긴 가지 밑 부분에서 2 내지 3 개씩 한쪽으로 치우쳐 뭉쳐서 사는 형태이다. 예로부터 동의보감에는 "성한 (性寒), 미고 (味苦), 무독 (無毒)하며, 내상 (內傷)의 대노 (大勞)와 허흡 (噓吸)을 다스리고, 근골 (筋骨)을 굳세게 하며, 음 (陰)을 강하게 하고 오노 (五勞)와 칠상 (七傷)을 다스리며 정기를 보하고 안색을 바꿔서 희게 하고 명목 (明目), 안신 (安神)하고 장수한다"고 전한다. 또한 본초 강목에서는 독성이 없고, 열을 식히고, 체내에 쌓인 사기, 흉부의 염증 소갈, 당뇨병, 관절, 류마티스, 신경통 등에 좋으며 오래 복용하면 근육을 건전하게 하고 전신이 상쾌하고 더위와 추위를 모르는 젊음을 찾는다고 하였고 차, 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오랫동안 이용되었다.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관목인 익지 않은 복분자 딸기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맛이 시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장과 신장을 보호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복분자는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고 시며 독이 없고 "남자의 신정(腎精)의 허갈(虛喝)과 여자의 무자(無子)를 주치하고 남자의 음기를 굳세고 길게 하며 간을 도우며, 눈을 맑게 하며, 신장의 기운을 가득하게 하여 몸을 가볍게 하고, 머리털이 희어지지 않게 한다"라 기록되어 있다. 또한, 최근 연구에서 신장기능, 불임증, 음위증, 유정몽설, 강장제, 혈액 등을 맑게 해주며 간을 보하고 눈을 맑게 하는 효능이 증명되었으며 복분자 딸기의 덜 익은 열매의 가수분해성 탄닌으로서 1종의 갈로탄닌 (gallotannin)과 3종의 엘라기탄닌 (ellagitannin)을 분리하였으며, 이화학적 성상과 스펙트럼 데이터를 토대로 갈릭산, 2,3-(S)-HHDP-D-글루코피라노즈, 산귄 (sanguiin) H-4 및 산귄 H-6를 보고하였다. 복분자의 경우 효소적 지질과 산화에 대해서도 강한 억제 활성을 나타내며 그 성분으로는 갈릭산 등의 페놀 화합물이 확인되었다. 페놀성 화합물은 식품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의 하나로서 다양한 구조와 분자량을 가지며, 이들은 페놀성 히드록실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등의 거대분자들과 결합하는 성질을 가지며, 항산화 효과, 항균성, 아질산염 소거능 등의 생리활성 기능도 가진다. 토사자는 메꽃과에 속한 1년생 기생초본인 심새삼 및 등속식물의 씨를 건조한 것이다. 토사자는 맛이 맵고 달며 평이한 성질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항암, 강심, 혈압강하작용 및 혈당강하, 신장과 비장을 보호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정력을 증강시키고 기운을 북돋우며, 요통과 무릎이 시린 증상에 효과가 좋고 달여서 수시로 마시면, 당뇨병에 효과가 있다"라고 전하고 신농본초경에 "여러 가지 부족증을 보충해주며 기력을 더해주고 건실하게 한다. 오래 복용하면 눈이 밝아지고 장수할 수 있다"라고 전해진다.
오미자는 목련과에 속하는 오미자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시킨 것으로 5가지 맛을 가지고 있어 간 기능 보호 작용과 항노화 작용, 항균 작용, 대사와 면역 기능에 대한 작용을 하는데 그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폐와 신장을 보호 하고 허로(虛勞), 구갈, 번열, 해소를 고친다고 전한다. 이러한 오미자는 차, 술, 화채 등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 열매의 육질을 건조한 것으로 맛이 시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 등에 따르면 강음 (强陰), 신정 (腎精)과 신기 (腎氣) 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고 두통, 이명 (耳鳴), 해수병, 해열, 월경 과다 등의 지한 (止汗) 등에도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전하고 있다. 자양강장 등으로 일반인들에게 가장 널리 알려진 한약으로 십전대보탕 (十全大補湯), 육미지황탕 (六味地黃湯)이 있는데, 이 처방에서 산수유는 가장 중요한 약재로 사용된다.
본 발명자들은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산수유 의 각각의 30% 에탄올 추출물과 이들을 혼합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확립된 luteinizing hormone releasing hormone (LHRH) agonist 갱년기 동물 모델과 Old rat을 이용한 갱년기 모델의 혈장에서 감소한 testosterone level이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였을 때, 호전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LHRH agonist 동물 모델의 경우 정상 그룹, LHRH agonist를 이용하여 갱년기를 일으킨 그룹, LHRH agonist를 이용하여 갱년기를 일으킨 후 KH-204 추출물 200 mg/kg 또는 400 mg/kg을 처리한 그룹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투여 기간은 모델 확립 후 4주간 매일 KH-204를 농도 별로 (200 mg/kg 또는 400 mg/kg)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결과 갱년기가 일어난 후 무게가 감소한 정소 및 부정소의 경우 KH-204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표1).
동물의 혈청에서 Anti-oxidative stress marker인 superoxide dismutase (SOD)의 활성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LHRH agonist 갱년기 그룹에서 저하된 SOD의 활성도가 KH-204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2).
Oxidative stress marker인 8-hydroxy-2-deoxy guanosine (8-OHdG)을 측정한 결과 LHRH agonist 갱년기 그룹보다 KH-204를 투여한 그룹에서 8-OHdG가 감소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3).
혈장에서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LHRH agonist 갱년기 그룹에 비해 KH-204를 투여한 그룹에서 testosterone의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4).
Old rat 동물 모델의 경우, Old rat 그룹과 Old rat에 KH-204 추출물 200 mg/kg 또는 400 mg/kg을 처리한 그룹으로 실험을 진행 하였다. 투여기간은 4주간 매일 KH-204를 농도 별로 (200 mg/kg 또는 400 mg/kg)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결과 KH-204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표5).
동물의 혈청에서 Anti-oxidative stress marker인 SOD의 활성 (activity)을 측정한 결과 Old rat에 KH-204 경구 투여한 그룹에서 활성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6).
Oxidative stress marker인 8-OHdG을 측정한 결과 Old rat 그룹보다 KH-204를 투여한 그룹에서 8-OHdG가 감소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7).
혈장에서 testosterone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Old rat 그룹에 비해 KH-204를 투여한 그룹에서 testosterone의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표8).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LHRH 및 old rat 갱년기 동물 모델의 확립을 이용하여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의 감소, serum SOD활성의 저하, testosterone level의 감소 및 정소의 조직에서의 8-OHdG의 DNA발현 증가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호전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로써,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 예>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의 제조
<제조 예 1>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1-1> 구기자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불순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시킨 구기자 42 g을 준비하여 4 내지 8배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50 내지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2> 복분자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시킨 복분자 26 g을 준비하여 4 내지 8배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50 내지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3> 토사자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시킨 토사자 26 g을 준비하여 4 내지 8배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50 내지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4> 오미자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시킨 오미자 6 g을 준비하여 4 내지 8배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60 내지 70℃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50 내지 60℃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5> 산수유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먼저 불순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시킨 산수유 22 g을 준비하여 4 내지 8 배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넣고 60 내지 70°C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여과한 후 여액을 50 내지 60°C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1-6> KH-204 3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상기 농축된 산수유, 구기자, 복분자, 토사자, 오미자 농축액을 분말로 제조하고, 여기에 10배 분량의 정제수를 가하여 약탕기(대웅, Korea)에 2시간 동안 끓여 용액을 취하여 270 x g으로 원심침전시키고 상층액만 취하여 0.45 ㎛필터를 사용하여 여과한 다음 회전진공농축기(Eyela A-1000S, Tokyo RikakikaiCo., Tokyo, Japan)로 농축하여 시료를 회수한 후 동결건조(ILSHIN, Korea)하여 23.5 g을 회수하여 -20℃에서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 예 1> LHRH 동물 모델
실험 동물은 생후 8주령 된 SD rat을 1주일간 적응기간을 거친 뒤 케이지에 최대 3마리씩 사육하였다. 사육실은 인공조명에 의하여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 12시간 기준으로 조절하며, 실내 온도는 18~23℃와 습도 40~60%로 유지하고 멸균된 음수와 사료를 자유롭게 먹게 하였다. 1주일 적응기간 후 고활성 황체형성호르몬 방출 호르몬 (LHRH)을 피하 주사하여 남성 갱년기 모델을 만들었다. 주사 후 4주 동안 일정한 속도로 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을 방출해서 하수선-성선기능에 대하여 억제작용을 하여 혈청 테스토스테론농도를 지속적으로 저하시켰다. LHRH 주사 1주일 후 KH-204 200 mg/kg, 400 mg/kg 군으로 2 ml씩 매일 4주간 경구투여 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에 대한 남성 갱년기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LHRH 동물 모델의 실험 진행 후 동물의 희생하여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의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 변화 결과를 하기 표1에 기재하였다.
Group Testis weight ( mg ) Epididymis weight ( mg )
Normal 1.623 ± 0.1880 0.681 ± 0.028
LHRH 1.098 ± 0.070 0.500 ± 0.081
KH-204 200mg/kg 1.050 ± 0.171 0.590 ± 0.063
KH-204 400mg/kg 1.304 ± 0.047 0.582 ± 0.011
그 결과, 상기 표1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정상군 (Normal)에 비해 LHRH 군 (LHRH 주사하여 갱년기를 일으킨 군)이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가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HRH 주사하여 갱년기를 일으킨 후 KH-204를 투여한 KH-204 (200, 400 mg/kg)군에서 정소 및 부정소가 LHRH 군보다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Anti-oxidative stress marker 인 SOD 활성도 측정은 SOD assay kit (dojind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 방법 및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96 well plate에서 blank 2 well에는 혈청 20 ㎕를 넣고, blank 1, 3 well에는 ddH2O를 20 ㎕ 넣었다. Kit에 포함된 WST working solution 200 ㎕를 모든 well에 첨가한 후, blank 2, 3 well에는 dilution buffer 20 ㎕를 첨가하고, blank 1 well에는 enzyme working solution 20 ㎕를 각각 첨가 후 37°C에서 20분 반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OD activity (inhibition rate%)=(Blank1-blank3)-(sample-blank2)/(blank1-blank3) X 100
사용된 시료의 SOD 활성 결과를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Group SOD activity (U/ mol ) in serum
Normal 44.129 ± 1.689
HRH 31.841 ± 2.880
H-204 200mg/kg 29.975 ± 2.666
H-204 400mg/kg 34.254 ± 2.177
그 결과, 정상군 (Normal)에 비해 LHRH 군 (LHRH를 주사하여 갱년기 유도 군)의 SOD 활성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LHRH 주사 후 KH-204 400mg/kg을 투여한 군에서 SOD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Oxidative stress marker인 8-OHdG를 정소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Kit (JaICA) 의 사용방식을 따랐다. cDNA 합성 후 실험 방법을 하기와 같다. Well에 정소 조직 cDNA 50 ㎕, 8-OHdG primary antibody 50 ㎕ 첨가한 후 4°C에서 over night으로 반응시켰다. Over night 후 wash solution 250 ㎕으로 3회 washing 한 후 8-OHdG secondary antibody 100 ㎕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1시간 후 wash solution 250 ㎕으로 3회 washing 하였다. Reaction termination solution 100 ㎕ 넣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kit (highly sensitive 8-ohdg check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tandard 수식에 O.D값 대입
사용된 시료의 8-OHdG 발현 결과를 하기 표3에 기재하였다.
Group 8- OHdG ( ng / ml )
Normal 2.931 ± 0.161
LHRH 9.573 ± 0.087
KH-204 200mg/kg 9.170 ± 0.100
KH-204 400mg/kg 7.434 ± 0.413
그 결과, oxidative stress marker인 8-OHdG 경우 정상군 (Normal)에 비해 LHRH 군 (LHRH를 주사하여 갱년기 유도 군)이 높게 발현 되었으며, 갱년기 유도 후 KH-204 200mg/ml, 400mg/ml 투여 군이 LHRH 군에 비해 8-OHdG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하였다.
혈청에서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테스토스테론 kit를 사용하여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well에 혈청 50㎕ 넣고 conjugate working solution 100㎕ 첨가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다음 washing solution 으로 3회 washing 한 후 TMB substrate 150㎕ 첨가한 후 1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stopping solution 을 50㎕ 넣고 45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tandard 수식에 O.D 값 대입
사용된 시료의 Testosterone 농도 결과를 하기 표4에 기재하였다.
Group Testosterone ( ng / ml )
Normal 2.484 ± 0.413
LHRH 1.287 ± 0.342
KH-204 200mg/kg 1.321 ± 0.524
KH-204 400mg/kg 1.719 ± 0.125
그 결과, 정상군 (Normal)에 비해, LHRH 군 (LHRH 주사하여 갱년기 유도 군)에서 testosterone의 농도가 낮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갱년기 유도 후 KH-204를 투여한 KH-204 200mg/kg, 400mg/kg 두 군에서의 테스토스테론의 수치가 LHRH 군에 비해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
<시험예 2> Old rat 동물 모델
실험 동물은 생후 18주령 된 SD rat를 1주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뒤 케이지에 최대 3마리씩 사육하였다. 사육실은 인공조명에 의하여 아침 8시부터 저녁 8시까지 12 시간 기준으로 조절하며, 실내온도는 18-23℃와 습도 40-60%로 유지하고 멸균된 음수와 사료를 자유롭게 먹게 하였다. 적응기간 1주 후 KH-204 200mg/kg, 400mg/kg 군으로 4주간 매일 2ml씩 경구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에 대한 남성 갱년기 개선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Old rat 동물 모델의 실험 진행 후 동물을 희생하여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사용된 시료의 정소 및 부정소의 결과를 하기 표5에 기재하였다.
Group Testis weight ( mg ) Epididymis weight ( mg )
Control 2.196 ± 0.089 0.865 ± 0.075
KH-204 200mg/kg 2.265 ± 0.128 0.925 ± 0.108
KH-204 400mg/kg 2.235 ± 0.120 0.924 ± 0.202
그 결과, Old rat 군 (control)의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보다 Old rat에 KH-204 200 mg/kg, 4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정소 및 부정소의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Anti-oxidative stress marker 인 SOD 활성도 측정은 SOD assay kit (dojind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험 방법 및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96 well plate에서 blank 2 well에는 혈청 20 ㎕를 넣고, blank 1, 3 well에는 ddH2O를 20 ㎕ 넣었다. Kit에 포함된 WST working solution 200 ㎕를 모든 well에 첨가한 후, blank 2, 3 well에는 dilution buffer 20 ㎕를 첨가하고, blank 1 well에는 enzyme working solution 20 ㎕를 각각 첨가 후 37°C에서 20분 반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OD activity (inhibition rate%)=(Blank1-blank3)-(sample-blank2)/(blank1-blank3) X 100
사용된 시료의 SOD 활성 결과를 하기 표6에 기재하였다.
Group SOD Activity (U/ mol ) in serum
Control 10.3138 ± 3.998
KH-204 200mg/kg 18.455 ± 3.591
KH-204 400mg/kg 20.068 ± 5.571
그 결과, Old rat 군 (control)의 혈청에서의 SOD 활성보다 Old rat에 KH-204 200 mg/kg, 400 mg/kg을 투여한 군의 혈청에서 SOD의 활성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Oxidative stress marker인 8-OHdG를 정소 조직에서 DNA를 추출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 방법은 Kit (JaICA) 의 사용방식을 따랐다. cDNA 합성 후 실험 방법을 하기와 같다. Well에 정소 조직 cDNA 50 ㎕, 8-OHdG primary antibody 50 ㎕ 첨가한 후 4°C에서 over night으로 반응시켰다. Over night 후 wash solution 250 ㎕으로 3회 washing 한 후 8-OHdG secondary antibody 100 ㎕ 첨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1시간 후 wash solution 250 ㎕으로 3회 washing 하였다. Reaction termination solution 100 ㎕ 넣고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kit (highly sensitive 8-ohdg check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tandard 수식에 O.D값 대입
사용된 시료의 8-OHdG 활성 결과를 하기 표7에 기재하였다.
Group 8- OHdG ( ng / ml )
Control 9.506 ± 0.181
KH-204 200mg/kg 8.919 ± 0.252
KH-204 400mg/kg 8.466 ± 0.260
그 결과, Old rat 군 (control)의 8-OHdG 발현보다 Old rat에 KH-204 200 mg/kg, 4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8-OHdG 발현이 감소한 것을 확인 하였다.
혈청에서 테스토스테론 농도는 테스토스테론 kit를 사용하여 효소 면역측정법으로 정량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well에 혈청 50㎕ 넣고 conjugate working solution 100㎕ 첨가 후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반응을 시켰다. 다음 washing solution 으로 3회 washing 한 후 TMB substrate 150㎕ 첨가한 후 15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stopping solution 을 50㎕ 넣고 450nm에서 흡광도 측정하였다. kit 제조사의 계산법을 준용하여 농도를 계산하였다.
Standard 수식에 O.D 값 대입
사용된 시료의 Testosterone 농도 결과를 하기 표8에 기재하였다.
Group Testosterone ( ng / ml )
Control 1.249 ± 0.135
KH-204 200mg/kg 1.372 ± 0.097
KH-204 400mg/kg 1.477 ± 0.053
그 결과, Old rat 군 (control)의 testosterone 농도보다 Old rat에 KH-204 200 mg/kg, 400 mg/kg을 투여한 군에서 testosterone 농도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타 제조 예> KH-204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 예를 통해 KH-204 에탄올 추출물이 남성 성선기능저하증에서의 활성이 뛰어남을 확인하여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1> 음료의 제조
꿀 522 ㎎, 치옥토산아미드 5 ㎎, 니코틴산아미드 10 ㎎,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3 ㎎, 염산피리독신 2 ㎎, 이노시톨 30 ㎎, 오르트산 50 ㎎, KH-204 에탄올추출물 1.2 ㎎, 물200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2> 츄잉껌의 제조
껌베이스 40 %, 설탕 56.36 %, KH-204 에탄올 추출물 0.64 %, 후르츠향 1 %, 물 2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 캔디의 제조
설탕 60 %, 물엿 39.26 %, KH-204 에탄올 추출물 0.64 %, 오렌지향 0.1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캔디를 제조하였다.
<4> 비스켓의 제조
박력1급 88 ㎏, 중력1급 76.4 ㎏, 정백당 16.5 ㎏, 식염 2.5 ㎏, 포도당 2.7 ㎏, 팜쇼트닝 40.5 ㎏, 암모 5.3 ㎏, 중조 0.6 ㎏, 중아황산나트륨 0.55 ㎏, 쌀가루 5.0 ㎏, 비타민 B1 0.003 ㎏, 비타민 B2 0.003 ㎏, 밀크향 0.16 ㎏, 물 71.1 ㎏, 전지분유 4 ㎏, 대용분유 1 ㎏, 제일인산칼슘0.1 ㎏, 살포염1 ㎏, 분무유 25 ㎏, KH-204 에탄올 추출물 0.5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비스켓을 제조하였다.
<5> 아이스크림의 제조
유지방 10.0 %, 무지유고형분 10.4 %, 설탕 12.0 %, 물엿 3.0 %, 유화안정제 (스팬, span) 0.5 %, 향료 (스트로베리) 0.15 %, 물 63.31 %, KH-204 에탄올 추출물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아이스크림을 제조하였다.
<6> 초코렛의 제조
설탕 34.36 %, 코코아 버터 34 %, 코코아 매스 15 %, 코코아 파우다 15 %, 레시틴 0.5 %, 바닐라향 0.5 %, KH-204 에탄올추출물 0.64 %, 상기 조성 및 함량으로 하여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초코렛을 제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5)

  1.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기자 추출물, 복분자 추출물, 토사자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산수유 추출물은 개별적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이를 혼합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추출물들은 각각의 물질 중량대비 4 내지 8배의 30%에탄올을 넣고 60 내지 70°C에서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추출물을 정제수에 넣어 혼합한 후 가열하고, 이를 원심침전시키고 상층액을 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5.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되, 상기 제1항 내지 제 4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50047647A 2015-04-03 2015-04-03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20160118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647A KR20160118844A (ko) 2015-04-03 2015-04-03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7647A KR20160118844A (ko) 2015-04-03 2015-04-03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844A true KR20160118844A (ko) 2016-10-12

Family

ID=57173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7647A KR20160118844A (ko) 2015-04-03 2015-04-03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8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4459A1 (en) * 2021-03-25 2022-09-2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low circulating testosterone condi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04459A1 (en) * 2021-03-25 2022-09-29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low circulating testosterone condi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59984A (ko) 인삼의 가공방법 및 가공인삼 추출물의 용도
EP0930019A2 (en)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foods and drinks containing the same
KR100549193B1 (ko)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용 식품
KR20140147668A (ko) 삼백초, 강황 및 원지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50057333A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080138384A1 (en) Oral hair growth stimulants comprising orthosiphon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40101520A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05094858A1 (ja) 抗糖尿病用組成物
KR101614431B1 (ko) 남성 성기능 개선 및 불임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60118844A (ko) 후기 발현 남성 성선기능저하증 내지 남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070476B1 (ko) 흑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풍 또는 고요산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14431B1 (ko) 엉겅퀴, 민들레, 여주, 돼지감자, 양파, 꾸지뽕, 아로니아 및 생강을 포함하는 당뇨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10011036A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27B1 (ko) 구기자, 복분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한 면역증진, 피로회복, 생리활성 및 해독작용을 위한 조성물
KR101824217B1 (ko) 모로오렌지주스 및 와일드망고 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160139953A (ko) 엉겅퀴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0560411B1 (ko) 녹차카테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20190083071A (ko) 모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4567A (ko) 엉겅퀴를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