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8999A -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8999A
KR20050078999A KR1020050009512A KR20050009512A KR20050078999A KR 20050078999 A KR20050078999 A KR 20050078999A KR 1020050009512 A KR1020050009512 A KR 1020050009512A KR 20050009512 A KR20050009512 A KR 20050009512A KR 20050078999 A KR20050078999 A KR 200500789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raking
reel
circuit board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8773B1 (ko
Inventor
이쿠타다케시
가와사키겐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50078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8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베어링 릴은, 핸들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 낚싯줄 장착용 스풀(12), 스풀 제동 기구(25), 및 손잡이 본체(7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스풀 제동 기구는 릴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이다. 손잡이 본체는 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풀 제동 기구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로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SPOOL BRAKING DEVICE AND DUAL BEARING REE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핸들을 가지는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베어링 릴, 특히 캐스팅으로 낚싯줄을 방출하는 미끼를 이용하는 미끼캐스팅(bait casting) 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한 스풀 제동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풀 제동 장치는, 종래, 원심력을 이용한 원심제동 장치나, 자석에 의해 발생하는 소용돌이전류를 이용한 마그넷 제동 장치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최근에는,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실 풀기 방향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제동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11-332436호 공보 참조). 종래의 전자 제어제동 장치는,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기판과, 마이크로 컴퓨터나 스풀의 회전속도 등을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여 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 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또, 스풀 축에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회로기판에는 자석의 외주에 배치된 코일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스풀의 회전에 의해 코일에 발생하는 전력을 스위칭하여 스풀을 제동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각각의 형식에 의해 특징이 있다. 예를 들면, 마그넷 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의 회전에 비례하여 제동력이 강하게 된다. 또, 원심제동 장치에서는, 스풀의 회전의 제곱에 비례하여 제동력이 강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 2개 형식의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을 대소는 변경할 수 있지만, 그 특성을 변경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2개 형식을 낚시에 따라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전자 제어제동 장치에서는, 소프트웨어가 다른 장치로 교환함으로써 특성을 변경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종래의 제동 장치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상이하여 다른 제동 특성으로 교환하면 어획고(catch)에 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도 있기 때문에, 어떠한 제동 특성으로 교환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로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발명1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핸들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 낚싯줄 장착용 스풀, 스풀 제동 장치, 및 장치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핸들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동 장치는, 릴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을 제동하는 장치이다. 장치 식별 수단은, 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이중 베어링 릴에서는,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한 경우, 교환한 스풀 제동 장치를 릴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하면, 그 교환한 장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로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발명2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1 기재의 릴에 있어서, 장치 식별 수단은, 동일 형식으로 다른 제동성능의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한다. 이 경우에는, 동일 형식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예를 들면, 원심제동 장치의 경우는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부재의 수나 무게가 다른 장치에 따라서, 마그넷 제동 장치의 경우, 자석의 자력이 다른 장치에 따라서, 전자 제어제동 장치의 경우, 제동을 위한 소프트웨어가 다른 장치에 따라서 장치 식별 수단에 의해 장치의 식별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3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1 또는 발명2 기재의 릴에 있어서, 스풀 제동 장치는, 상기 스풀에 장착되는 낚싯줄에 따라서 제동력이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낚싯줄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무게에 따라서 다른 제동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제동 장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발명4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1 내지 발명3 중 어느 하나의 릴의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동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과,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전자 제어식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발명5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4 기재의 릴에 있어서, 스풀 제동 수단은,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극성이 교번하여 다른 복수의 자극을 가지고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와, 회전자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과,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스풀 제어 수단은, 릴 본체의 상기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복수의 코일 및 스위치 수단이 장착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장착된 제어소자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이 회전된 상태로 스위치소자가 온(on)되면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여 스풀이 제동된다. 이 코일은, 릴 본체의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된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는, 회로기판이 릴 본체의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주위에 대향하여 배치된 코일을 회로기판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과 회로기판을 접속하는 리드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코일과 회로기판의 절연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이 릴 본체에 장착된 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을 릴 본체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코일도 릴 본체에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스풀 제동 장치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발명6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5 기재의 릴에 있어서, 회전자는, 스풀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축에 고정되어 교번하여 극성을 다르게 하여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자석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 축에 고정된 복수의 자석에 의해 회전자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자의 구성이 간소하게 된다.
발명7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6 기재의 릴에 있어서, 자석의 수와 코일의 수는 동일한 수이다. 이 경우에는, 코일과 자석의 수가 동일한 수이기 때문에, 코일의 출력이 단상(單相)이 되어 스위치소자가 간소하게 된다.
발명8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5 내지 발명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은, 스풀 축심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감기고 또한 스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코어리스 코일이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코일을 코어리스 코일로 했기 때문에, 코깅이 생기기 어렵게 되고, 스풀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스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와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발명9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5 내지 발명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코일은, 비자성체제의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코일 홀더에 장착된 상태로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코일이 비자성체제의 코일 홀더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을 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쉽게 되는 동시에, 코일 홀더가 비자성체제이기 때문에, 회전자에 의한 자속을 어지럽히지 않게 된다.
발명10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5 내지 발명9 중 어느 하나의 릴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코일은,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회로기판에 장착된 코일이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와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발명(11)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5 내지 발명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회로기판은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된 금속판 형상의 부재다. 이 경우에는, 회로기판에 장착된 코일이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와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쉽다.
발명(12)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4 내지 발명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스풀 제동 장치는, 회로기판을 릴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 부재와, 보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선택조작 부재를 가지고, 선택조작 부재의 이동조작에 의해 제동 상태가 다른 복수의 제동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스풀 제어 수단은 선택된 제동패턴으로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고, 장치 식별 수단은 선택조작 부재에 색에 의해 형성된 식별마크이다. 이 경우에는, 보조 부재마다 제동 장치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보조 부재에 장착되어 외부에서 조작하는 선택조작 부재의 색에 의해 장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식별마크를 설치하지 않고 용이하게 제동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제어패턴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미끼의 질량이나 바람의 강도나 방향 등의 낚시를 행하는 상황에 따라서 최적의 제동력을 선택할 수 있다.
발명13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은, 발명4 내지 발명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릴에 있어서, 캐스팅 시에 스풀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스풀 제어 수단은, 장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장력이 제1 설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 소정의 제1 제동력으로 제1 설정 시간 동안 스풀을 제동하도록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에는, 캐스팅 당초의 장력이 큰 상태에서는, 스풀을 제동하지 않고, 낚싯줄의 장력이 서서히 감소하여 회전속도가 피크로 되기 전에 제1 설정치 이하로 되면, 비교적 강한 제1 제동력으로 제1 설정 시간의 사이에 제동한다. 이 제1 설정 시간은, 예를 들면, 0.1초∼0.5초 정도의 시간이며, 대단히 짧은 시간만 스풀을 예를 들면 최대제동력의 50∼100%의 강한 소정의 제1 제동력으로 제동한다. 본 발명자들은, 제동타이밍을 여러 가지 변경하여 캐스팅 실험을 행한 바, 회전속도의 피크 직전에 강한 제동력으로 순식간에 스풀을 제동하면, 미끼가 낚싯줄 걸림 부분으로부터 반전되고, 낚싯줄 걸림 부분과 반대측의 단부를 앞서게 하여 그대로의 자세로 안정된 자세로 비행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비행자세가 안정되면 비행 거리가 연장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장력이 설정치 이하일 때 단시간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함으로써, 종래에는 회전속도의 피크를 넘고 나서 제동하는데 대하여 회전속도의 피크를 검출하기 전에 스풀을 강하게 제동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이 피크전에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면, 제1 설정치 이하이던 장력이 급격히 커져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미끼가 안정되게 비행한다. 이로 인하여, 백래시를 방지하면서 미끼의 자세를 안정시켜 보다 멀리 미끼를 캐스팅할 수 있게 된다.
발명14에 관한 이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극성이 교번하여 다른 복수의 자극을 가지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가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는 동시에, 이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치로서, 스풀 제동 수단, 스풀 제어 수단, 및 장치 식별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수단은, 회전자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 및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스풀을 제동하는 수단이다. 스풀 제어 수단은, 릴 본체의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복수의 코일 및 스위치 수단이 장착된 회로기판과, 회로기판에 탑재된 제어소자를 구비하고,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이다. 장치 식별 수단은 스풀 제동 장치를 릴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이 스풀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한 경우, 교환한 스풀 제동 장치를 릴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하면, 그 교환한 장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로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베어링 릴은, 미끼캐스트용 환형의 이중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 스타드래그(star drag)(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형의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이다. 암부(2a)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선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해 핸들축(30)에 체결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며,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실패용 스풀(12)이 스풀 축(20)(도 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스풀 축 방향 외측에서 볼 때 원형이며, 제2 측커버(7)는 교차하는 2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써밍(thumbing)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 손가락이 접촉되는 클러치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더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의 사이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더 기구(18)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기구(19)와, 클러치기구(21)와, 클러치레버(17)의 조작에 따라서 클러치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 프레임(5)과 제1 측커버(6)의 사이에는, 캐스팅 시의 백래시를 억제하기 위한 전기제어식 스풀 제동 기구(스풀 제동 장치의 일례)(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의 연결부(10a, 10b)(도 1)를 가지고 있다. 측판(8)의 중심부보다 약간 상방에는, 단차를 가지는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8a)에는, 릴 본체(1) 및 스풀 제동 기구(25)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가 나사결합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보조 부재의 일례)(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8a)의 주위에서 예를 들면, 3개의 나사에 의해 측판(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편평한 대략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부재이다.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중심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원통형의 베어링 수납부(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14)의 내주면에는, 스풀 축(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 베어링 수납부(14)의 저부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마찰플레이트(51)를 장착하고 있다. 베어링(26b)은, 선재제의 고정 링(26c)에 의해 베어링 수납부(14)에 결합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스풀 제동 기구(25)의 구성의 일부 및 베어링(26b)과 동시에 교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측의 연결부(10a)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판(8, 9)의 외형과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의 연결부(10b)는, 전후로 한 쌍 설치되어 있으며, 외형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연결부(10b)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하여 전후로 길고,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로드 마운팅 레그(rod mounting leg)(4)가 리벳 고정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제2 측커버(7)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측판(8)에 나사결합 고정되어 있다. 제1 측커버(6)에는, 후술하는 제동 전환 손잡이(43)가 배치되는 원형의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부에 접시형의 플랜지부(12a)를 가지고 있고, 양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원통형의 실패몸통부(12b)를 가지고 있다. 도 2 좌측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은, 실 물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구(8a)의 내주측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스풀(12)은, 실패몸통부(12b)의 내주측을 관통하는 스풀 축(20)에 예를 들면, 세레이션(serration)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spline) 결합 등의 여러 가지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 축(20)은, 예를 들면 SUS304 등의 비자성 금속제이며,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7b)에 베어링(26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 축(2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6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 축(20)의 중심에는, 대직경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베어링(26a, 26b)에 지지되는 소직경부(20b, 20c)가 형성되어 있다. 또, 베어링(26a, 26b)은, 예를 들면 SUS440C에 특수 내식성 피막을 코팅한 것이다.
또한, 도 1 좌측의 소직경부(20c)와 대직경부(20a)의 사이에는 양자의 중간의 외경을 가지는, 후술하는 자석(61)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장착부(20d)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실시한 자성체제의 자석 지지부(27)가 예를 들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자석 지지부(27)는, 단면이 사각형으로 중심에 자석 장착부(20d)가 관통하는 관통공(27a)이 형성된 사각 기둥형의 부재이다. 자석 지지부(27)의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여러 가지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 축(20)의 대직경부(20a)의 우측 단부는, 측판(9)의 관통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클러치기구(21)를 구성하는 맞물림핀(29)이 고정되어 있다. 맞물림핀(29)은, 직경을 따라 대직경부(20a)를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8, 9) 사이의 후부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레버(17)는 측판(8, 9)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클러치레버(17)의 핸들 장착측에는, 맞물림축(17a)이 측판(9)을 관통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축(17a)은 클러치 제어기구(22)에 결합되어 있다.
레벨와인더 기구(1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의 전방에서 양측 판(8, 9) 사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형 홈(46a)이 형성된 나선축(46)과, 나선축에 의해 스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지고 있다. 나선축(46)은, 양단이 측판(8, 9)에 장착된 축 지지부(48, 4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선축(46)의 도 2 우측 단부에는, 기어 부재(36a)가 장착되어 있고, 기어 부재(36a)는,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기어 부재(36b)에 맞물리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나선축(46)은 핸들축(30)의 실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낚싯줄 안내부(47)는 나선축(46)의 주위에 배치되어 일부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절결된 파이프 부재(53)와, 나선축의 상방에 배치된 가이드 축(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풀 축(20)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47)에는, 나선형 홈(46a)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나선축(46)의 회전에 의해 스풀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기어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원통형의 피니언 기어(3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축(30)은, 측판(9) 및 제2 측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롤러형의 일방향 클러치(86) 및 폴(pawl)식의 일방향 클러치(87)에 의해 실 풀기 방향의 회전(역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일방향 클러치(86)는 제2 측커버(7)와 핸들축(30)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31)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축(30)과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연장되고, 중심으로 스풀 축(20)이 관통하는 원통형 부재이고, 스풀 축(2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측 단부측은, 베어링(33)에 의해 측판(9)에 회전 가능하면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측 단부에는 맞물림핀(29)에 맞물리는 맞물림 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맞물림 홈(32a)과 맞물림핀(29)에 의해 클러치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네크부(32b)가 형성되고 있고, 우측 단부에는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기구(22)는, 피니언 기어(32)의 네크부(32b)에 결합하여 피니언 기어(32)를 스풀 축(20)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또, 클러치 제어기구(22)는, 스풀(12)의 실 권취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기구(21)를 클러치 온시키는 클러치 복귀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 축(20)의 양단을 사이에 끼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플레이트(51)와, 마찰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 축(20)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플레이트(51)는 스풀 지지부(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 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25)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12)과 릴 본체(1)에 설치된 스풀 제동 유닛(40)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속도 센서(41)와, 스풀 제동 유닛(40)을 8단계의 제동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42)과, 8개의 제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제동전환 손잡이(4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기구(25)는, 다른 제동 특성을 가지는 다른 것과 스풀 지지부(13)를 포함해서 교환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준의 제동 특성을 가지는 스풀 제동 기구(25)에 대하여 설명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발전(發電)에 의해 제동하는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것이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 축(20)에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4개의 자석(61)을 포함하는 회전자(60)와, 회전자(60)의 외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예를 들면 4개의 코일(62)과,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62)의 양단이 접속된 스위치소자(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자석(61)과 코일(62)의 상대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소자(63)에 의해 온,오프함으로써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으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소자(63)의 온시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커진다.
회전자(60)의 4개의 자석(61)은, 둘레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극성이 교번하여 다르다. 자석(61)은, 자석 지지부(27)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며, 그 외측면은 단면 원호상의 면이며, 내측면(61b)은 평면이다. 이 내측면(61b)이 스풀 축(20)의 자석 지지부(2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석(61)의 양단부는, 예를 들면 SUS304 등의 비자성체제의 원형 접시형의 캡 부재(65a, 65b)에 의해 협지되고, 스풀 축(20)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자석 지지부(27)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 부재(65a, 65b)에 의해 자석(61)을 지지함으로써, 캡 부재(65a, 65b)가 비자성체제이기 때문에, 자력을 약하게 하지 않고 스풀 축(20)상에서의 자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후의 자석의 비강도를 높일 수 있다.
자석(61)의 도 4 좌측 단면과 베어링(26b)의 거리는 2.5mm 이상 떨어져 있다. 도 4 우측의 캡 부재(65a)는, 스풀 축(20)의 대직경부(20a)와 자석 장착부(20d)의 단차와 자석 지지부(27) 사이에 끼워져 그것보다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베어링(26b)과의 사이에 배치된 좌측의 캡 부재(65b)에는, 예를 들면, SPCC(판재)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실시한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와셔 부재(66)는, 스풀 축(20)에 장착된, 예를 들면 E형 고정 링(67)에 의해 탈락방지되어 있다. 상기 와셔 부재(66)의 두께는 0.5mm 이상 2mm 이하이고, 외경은 베어링(26b)의 외경의 60% 이상 120% 이하이다. 이러한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설치함으로써, 자석(61)의 근처에 배치되는 베어링(26b)이 자화되기 어렵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자석(61)의 근처에 베어링(26b)을 배치하더라도 스풀(12)의 자유회전시의 회전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어렵게 된다. 또, 자석(61)과 베어링(26b)의 거리를 2.5mm 이상 떨어지게 한 것도 베어링(26b)을 자화하기 어렵게 한다.
실패몸통부(12b)의 내주면의 자석(6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면, SUM(압출·절삭재)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無電界) 니켈 도금을 실시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68)는, 실패몸통부(12b)의 내주면에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를 자석(61)에 대향하여 배치하면, 자석(61)으로부터의 자속이 코일(62)을 집중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발전 및 제동효율이 향상된다.
코일(62)은, 코깅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코어리스 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또 요크도 설치하고 있지 않다. 코일(62)은, 감긴 심선이 자석(61)에 대향하여 자석(61)의 자장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직사각형으로 감겨 있다. 4개의 코일(62)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양단이 스위치소자(63)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2)은, 자석(61)의 외측면(61a)과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스풀 축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심의 원호상에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되어 성형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62)과 회전중의 자석(61)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4개의 코일(62)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칼라 부착 원형 접시형의 코일 홀더(69)에 의해 통합되어 있고, 표면은 니스 등의 절연피막에 의해 덮여 있다. 코일 홀더(69)는, 스풀 제어 유닛(42)을 구성하는 후술하는 회로기판(70)에 고정되어 있다. 또 도 3에서는 코일(62)을 주로 도시하기 위해서 코일 홀더(69)는, 2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코일(62)이 합성 수지제제의 코일 홀더(69)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62)을 회로기판(70)에 장착하기 쉽게 되는 동시에, 코일 홀더(69)가 합성 수지제제이기 때문에, 자석(61)에 의한 자속을 어지럽히지 않게 된다.
스위치소자(63)는, 예를 들면 고속이고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병렬 접속된 2개의 FET(전계 효과 트랜지스터)(63a)를 가지고 있다. FET(63a)의 각 드레인단자에, 직렬 접속된 코일(6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소자(63)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70)의 이면[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표면과 반대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속도 센서(41)는, 예를 들면, 투광부(投光部)(44a)와 수광부(44b)를 가지는 반사형의 광전 센서(44)를 이용하고 있고, 회로기판(70)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는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2a)의 외측면에는, 투광부(44a)로부터 조사(照射)된 광을 반사하는 판독패턴(71)이 인쇄나 밀봉접착이나 반사판의 장착 등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속도 센서(41)의 수광부(44b)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스풀(1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한다.
제동전환 손잡이(43)는, 8단계의 제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동전환 손잡이(43)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동전환 손잡이(43)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원반형의 손잡이 본체(73)와, 손잡이 본체(73)의 중심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회전축(74)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축(74)과 손잡이 본체(73)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의 개구부(6a)에 면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불룩해지는 손잡이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주위는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동전환 손잡이(43)를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손잡이부(73a)가 형성된 손잡이 본체(73)의 외부에 노출되는 표면의 색은 스풀 제동 기구(25)의 제동 특성에 따라서 다른 색으로 색 구분되어 있다. 예를 들면, 표준의 제동 특성을 가지는 스풀 제동 기구(25)에서는, 손잡이 본체(73)의 표면의 색은, 제1 커버(6)와 동일한 색(예를 들면, 은색)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표준과 다른 스풀 제동 기구에서는, 손잡이 본체의 표면의 색은 예를 들면, 금색으로 되어 있고, 표준의 특성을 가지는 스풀 제동 기구(25)와는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일단에는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지침(73b)이 형성되어 있다. 지침(73b)에 대향하는 제1 측커버(6)의 개구부(6a)의 주위에는, 8개의 마크(75)가 등간격으로 인쇄나 밀봉 등의 적당한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동전환 손잡이(43)를 돌려 지침(73b)을 마크(75) 중 어느 하나에 합치는 것에 의해 제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설정할 수 있다. 또,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는, 제동전환 손잡이(43)의 회전위치, 즉 제동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식별패턴(76)이 등간격으로 인쇄나 밀봉 등의 적덩한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식별패턴(76)은, 회전 방향으로 3종 10개의 부채형의 제1~제3 패턴(76a, 76b, 7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76a)은, 도 7에 좌측으로 내려가는 해칭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면 경면의 광을 반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76b)은, 도 7에 우측으로 내려가는 해칭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면 흑색의 광을 반사하기 어려운 패턴이다. 제3 패턴(76c)은, 도 7에 크로스 해칭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면 회색의 광을 대략 반분만 반사하는 패턴이다. 이 3종의 패턴(76a∼76c)의 조합에 의하여 8단계의 제동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 어느 하나의 패턴(76a~76c) 중 한 개가 손잡이 본체(73)와 동일한 색의 경우에는,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을 그대로 이용하여 패턴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된다.
회전축(74)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 형성된 관통공(13b)에 장착되고, 고정 링(78)에 의해 벽부(13a)에 결합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의 사이에는 위치 결정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제동전환 손잡이(43)를 제동모드에 따른 8단계의 위치에서 위치 결정하는 동시에, 회전조작시에 발음하는 기구이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73c)에 장착된 위치 결정 핀(77a)과, 위치 결정 핀(77a)의 선단이 결합되는 8개의 위치 결정구멍(77b)과, 위치 결정 핀(77a)의 위치 결정구멍(77b)에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재(77c)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결정 핀(77a)은, 소직경의 헤드부와 그것보다 직경이 큰 칼라부와 소직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형의 부재며, 헤드부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77a)은, 오목부(73c)에 진퇴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8개의 위치 결정구멍(77b)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에 관통공(13b)의 주위에 고정된 부채형의 보조 부재(13c)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구멍(77b)은, 지침(73b)이 8개의 마크(75) 중 어느 하나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풀 제어 유닛(42)은,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는 외벽면에 장착된 회로기판(70)과, 회로기판(70)에 장착된 제어부(55)를 가지고 있다.
회로기판(70)은, 중심이 원형으로 개구되는 금속판 형상의 링형의 기판이며, 베어링 수납부(14)의 외주측에 스풀 축(20)과 실질적으로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로기판(7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62)이 장착되는 표면과 반대측의 이면과 인쇄회로(72)를 가지는 것이다. 또, 도 5a 및 5b에서는, 인쇄회로(72)는 일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표리의 인쇄회로(72)의 일부는, 스루홀(through holes)(7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기판(70)의 외주측에는, 예를 들면 전자회로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기기(외부기기의 일례)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기기 접속부(96)가 형성되어 있다. 외부기기 접속부(96)에는, 검사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예를 들면 4개의 접점(96a∼96d)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70)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내측면에 3개의 나사(9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70)을 나사(92)에 의해 고정할 때는, 예를 들면, 베어링 수납부(14)에 일시적으로 위치된 지그를 이용하여 센터링하고, 회로기판(70)이 스풀 축심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면, 회로기판(70)에 고정된 코일(62)이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된다.
여기서는, 회로기판(70)이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의 개방된 외벽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커버(6) 사이의 공간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릴 본체(1)의 스풀 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릴 본체(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회로기판(70)이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60)의 주위에 배치된 코일(62)을 회로기판(70)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62)과 회로기판(70)을 접속하는 리드선이 불필요하게 되고, 코일(62)과 회로기판(70)의 절연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코일(62)이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 회로기판(7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코일(62)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다. 이로 인하여, 스풀 제동 기구(25)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예를 들면 CPU(55a), RAM(55b), ROM(55c) 및 I/O 인터페이스(55d) 등이 탑재되어 회로기판(70)에 배치된 마이크로 컴퓨터(59)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5)의 ROM(55c)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3개의 제동처리에 이르는 제동패턴이 각각 8단계의 제어모드에 따라서 저장되어 있다. 또, 각 제어모드시의 장력의 설정치나 회전속도의 설정치 등도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55)에는, 스풀(12)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회전속도 센서(41)와, 제동전환 손잡이(43)의 회전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패턴식별 센서(45)가 접속되어 있다. 또, 제어부(55)에는, 스위치소자(63)의 각 FET(63a)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는, 각 센서(41, 45)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해 스풀 제동 유닛(40)의 스위치소자(63)를 후술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예를 들면 주기 1/1000초의 PWM(펄스폭변조) 신호에 의해 온,오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8단계의 제동모드에 있어서, 다른 듀티비(D)에서 스위치소자(63)를 온,오프 제어한다. 제어부(55)에는 전원으로서의 축전소자(57)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은 회전속도 센서(41)와 패턴식별 센서(45)에도 공급된다.
패턴식별 센서(45)는, 제동전환 손잡이(43)의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 형성된 식별패턴(76)의 3종의 패턴(76a∼76c)을 판독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패턴식별 센서(45)는, 투광부(56c)와 수광부(56d)를 가지는 2조의 광전 센서(56a, 56b)로 구성되어 있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전 센서(56a, 56b)는 회로기판(70)의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 면하는 이면에 나란히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광전 센서(56a)의 수광부(56d)가 나란히 배치되고, 그 외측에 투광부(56c)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광부(56d)를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고, 반대의 투광부(56c)로부터의 광을 오검출하기 어렵게 된다.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는, 광전 센서(56a, 56b)가 각 패턴(76a∼76c)을 임하기 얻도록 투과구멍(13d, 13e)이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3종의 패턴(76a∼76b)을 판독함으로써, 예를 들면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8단계의 제동모드를 식별한다.
지침(73b)이 가장 약한 위치에 있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1 패턴(76a)으로부터의 반사광을 패턴식별 센서(45)가 판독한다. 이 경우, 양 광전 센서(56a, 56b)는 쌍방 모두 가장 큰 광량을 검출한다. 계속해서, 다음 마크에 지침(73b)을 합치면, 도 5b 좌측의 광전 센서(56b)는 제1 패턴(76a)에 위치하여 강한 광량을 검출하지만, 우측의 광전 센서(56a)는 제2 패턴(76b)에 위치하여 대부분 검출하지 않는다. 이들 검출 광량의 조합에 의하여 제동전환 손잡이(43)가 어느 위치에 있는 가를 식별한다.
전원으로서의 축전소자(57)는, 예를 들면 전해콘덴서를 이용하고 있고, 정류회로(58)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회로(58)는 스위치소자(63)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자(60)와 코일(62)을 가지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스풀 제동 유닛(40)으로부터의 교류전류를 직류로 변환하며 또한 전압을 안정화하여 축전소자(57)에 공급한다.
또, 이들 정류회로(58) 및 축전소자(57)도 회로기판(70)에 탑재되어 있다. 이 회로기판(70)은, 도 4 및 도 5에 점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리면에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59) 등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과 함께 광을 투과하기 어렵도록 착색된 합성수지 절연체제의 성형 절연피막(90)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 성형 절연피막(9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70)의 표리면 뿐만 아니라, 에지부(70a)에도 다른 부분보다 얇은 두께(예를 들면, 0.2mm 내지 0.6mm의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에지부(70a)에 다른 부분보다 두께가 얇은 절연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회로기판(70)의 에지부(70a)는, 표리면으로부터 요철이 있기 때문에 공간을 그다지 확보하지 않고 성형 절연피막(90)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회로기판(90)의 에지부(70a)로부터 기판내부로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성형 절연피막(90)은, 마이크로 컴퓨터(59)나 광전 센서(44, 56a, 56b) 등의 전기 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70)을 세팅한 금형(101)(도 13)에 수지 기재(resin raw material)를 주입하는 핫멜트 몰딩법(hot melt mold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나사(92)의 헤드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의 표리나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에는, 성형 절연피막(9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외부기기 접속부(96)가 형성된 영역에도 성형 절연피막(9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제조시에 외부기기 접속부(96)의 각 접점(96a∼96d)을 이용하여 회로가 정상인지 여부를 검사할 때에 성형 절연피막(90)을 제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또, 회로의 검사가 종료되면, 외부기기 접속부(96)가 형성된 영역에는, 예를 들면, 핫멜트 스프레이법(hot melt spray process)에 의해 절연피막이 형성된다.
회로기판(70)의 표면에서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전 센서(44)가 배치된 경사진 제1 영역(97a)과, 축전소자(57)나 정류회로(58) 등이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면 3.3mm의 제2 영역(97b)과, 코일의 주위의, 예를 들면 두께가 2.5mm의 제3 영역(97c)과, 기타, 예를 들면 두께가 1mm의 제4 영역(97d)의 4개의 영역에서 다른 두께로 절연피막(90)이 형성되어 있다.
광전 센서(44)의 투광부(44a)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44b)의 수광 부분이 배치된 제1 영역(97a)에서는, 성형 절연피막(90)은, 도 4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광부(44a) 및 수광부(44b)를 일괄해서 덮도록 제3 영역(97c)으로부터 회로기판(70)의 외측단 에지를 향해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79)의 이면에서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광전 센서(56a, 56b)가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면 2.2mm 및 1.8mm의 제1 영역(98a)과, 마이크로 컴퓨터(59) 및 스위치소자(63)가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면 2.8mm의 2개의 분할된 제2 영역(98b)과, 기타, 예를 들면 두께가 1mm의 제3 영역(98c)의 4개의 영역에서 다른 두께로 절연피막(90)이 형성되어 있다.
성형 절연피막(90)은, 광전 센서(56a, 56b)의 투광부(56c)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56d)의 수광 부분에서는, 투광부(56c)와 수광부(56d)와 다른 두께[투광부(56c)의 두께가 2.2mm, 수광부(56d)의 두께가, 예를 들면 1.8mm]의 제1 영역(98a)에서 2개의 센서(56a, 56b)를 일괄해서 덮도록 회로기판(70)으로부터 제3 영역(98c)보다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수광부(44a, 56c, 44b, 56d)나 2개의 광센서(56a, 56b) 등을 일괄해서 덮음으로써, 투광부(44a, 56c), 수광부(44b, 56d), 마이크로 컴퓨터(59) 및 스위치소자(63) 등 전기 부품을 덮도록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101)의 형상이 간소화되고 금형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97a, 98a)에서의 성형 절연피막(90)은, 투광부(44a, 56c) 및 수광부(44b, 56d)의 투수광 부분의 주위를 선단이 개구되도록 원통형으로 둘러싸면서 형성되어 있다. 투수광부(44a, 56c, 44b, 56d)의 투수광 부분을 원통형으로 둘러싼 성형 절연피막(90)의 일부는, 투수광부에 대하여 차광부로서 기능한다.
이 성형 절연피막(90)의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 및 투수광 부분에는, 예를 들면 발수 스프레이에 의해 발수처리가 실시되어 발수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투수광 부분을 원통형으로 둘러싸기 때문에 원통형 부분의 내주면에 수분이 부착하더라도, 수분이 잔류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수분의 잔류나 수분중에 포함되는 불순물의 석출에 의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고, 그것에 따른 투수광 부분에서의 투수광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나사(92)의 헤드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에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지 않은 것은, 나사(92)의 헤드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에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면, 나사(92)를 밀어 넣을 때에, 헤드부(92a)의 성형 절연피막(90)에의 접촉에 의해 성형 절연피막(90)이 박리되고, 그것이 전체에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사(92)의 헤드부가 배치되는 영역(95)을 성형 절연피막(90)으로 덮지 않으면, 나사(92)를 밀어 넣을 때에 헤드부(92a)가 성형 절연피막(90)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하여, 성형 절연피막(90)이 박리하지 않게 되고, 박리에 의한 절연불량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을 성형 절연피막(90)으로 덮으면, 가령 투명한 성형 절연피막으로 덮더라도 투광부(44a, 56c)로부터 투광되어 판독패턴이나 식별패턴으로부터 반사된 광의 광량이 수광부(44b, 56d)까지의 사이에 감쇠하여 수광부에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투수광 부분이 성형 절연피막(90)으로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투광부(44a, 56c)로부터 조사되어 패턴으로 반사된 광의 감쇠를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광량의 감쇠나 다른 광에 의한 광전 센서(44, 56a, 56b)의 오작동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 성형 절연피막(90)으로서 유색의 광을 투과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를 이용하는 동시에,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의 주위를 선단이 개구되도록 원통형으로 둘러싸여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투수광 부분의 주위가 차광되고, 투수광 부분에서 주위로의 광의 조사 및 주위로부터의 광의 입사가 생기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투광부(44a, 56c)와 수광부(44b, 56d)를 근접하여 배치하더라도, 투광부(44a, 56c)로부터 수광부(44b, 56d)로 직접광이 입사하기 어렵게 되고, 또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회로기판(70)을 덮도록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 13∼도 1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절연피막(90)을 핫멜트 몰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핫멜트 처리 장치를 사용한다. 핫멜트 처리 장치로는, 수지기재로서의, 예를 들면 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제의 핫멜트 밀봉제를 도포기(applicaotr)(105)로 용융하여 호스(106)를 통하여 밀봉제를 저온, 저압력으로 금형(101)에 공급한다.
금형(101)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금형(101a)과 하측 금형(101b)을 가지는 도넛형이다. 상측 금형(101a)과 하측 금형(101b)의 사이에 마이크로 컴퓨터(59) 등의 전기 부품을 장착한 회로기판(70)을 위치 결정하여 장착 가능한 형성공간(102)을 가지고 있고, 형성공간(102)에는, 회로기판(70)이나 전기 부품의 사이에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할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회로기판(70)의 나사(92)의 헤드부(92a)가 형성되는 영역(95)에는,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간극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코일(62)은 이미 절연피막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성형 공정에서는 성형 절연피막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코일 홀더(69)가 금형(101)과의 위치 결정 및 간극의 밀봉을 위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금형(101)에는, 광전 센서(44) 및 광전 센서(56a, 56b)의 투수광 부분을 선단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공간으로 둘러싸기 위해서 투수광 부분에 접촉하는 돌기부(101c)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전 센서(44)의 투수광부(44a, 44b)나 2개의 광전 센서(56a, 56b)나 마이크로 컴퓨터(59)나 스위치소자(63) 등 전기 부품의 주위에는, 이들이 일괄해서 성형 절연피막(90)에 의해 덮히도록 크게 오목하게 형성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한 부분에 표면의 제1∼제3 영역(97a∼97c) 및 이면의 제1 및 제2 영역(98a, 98b)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금형형상이 간소화되고 금형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절연피막(90)을 형성할 때는, 하측 금형(101b)에 코일(62)이나 전기 부품이 장착된 회로기판(70)을 위치 결정하여 세팅한다. 계속해서 상측 금형(101a)을 하측 금형(101b)에 장착하여 클램프한다. 이 상태에서 도포기(105)로부터 호스(106)를 통하여, 예를 들면 섭씨 140∼200도 정도의 저온에서 2∼5MPa 정도의 저압력으로 용융한 핫멜트 밀봉제를 상,하측 금형(101a, 101b)에 공급한다. 그 결과, 회로기판(70)이나 전기 부품과 상,하측 금형(101a, 101b)의 간극에 핫멜트 밀봉제가 공급된다. 그리고, 핫멜트 밀봉제가 냉각되면, 금형(101)으로부터 회로기판(70)을 인출한다. 이렇게 하면 회로기판(70)의 표리면에 성형 절연피막(90)이 형성된다. 이 때, 영역(95)이나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수광 부분이나 나사(92)의 헤드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이나 외부기기 접속부(96)가 배치되는 영역은 금형(101)에 의해 마스크되고 성형 절연피막(9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성형 절연피막(90)이 형성된 상태에서 전자회로의 검사를 행한다. 검사를 행할 때는, 외부기기 접속부(96)의 각 단자(96a∼96d)에 검사 장치의 4개의 핀을 접속하여 검사한다. 이 측정 결과가 원하는 값으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회로의 검사와 절연성능의 검사를 동시에 행한다. 검사가 종료되면, 외부기기 접속부(96)를 핫멜트 스프레이법에 의해 절연피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회로기판(70)을 포함하는 각 부를 절연체제의 합성 수지의 성형 절연피막(90)으로 덮음으로써 마이크로 컴퓨터(59) 등의 전기 부품에의 액체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발전된 전력을 축전소자(57)에 축적하고, 그 전력으로 제어부(55) 등을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원의 교환이 불필요해진다. 이로 인하여, 성형 절연피막(90)에 의한 밀봉을 영속시킬 수 있고, 절연불량에 의한 트러블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실낚시 때의 릴의 조작 및 동작]
캐스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레버(17)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클러치기구(21)를 클러치오프 상태로 한다. 이 클러치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회전 상태로 되고, 캐스팅을 행하면 장치의 무게에 의해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기세좋게 조출된다. 이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되면, 자석(61)이 코일(62)의 내주측을 회전하여, 스위치소자(63)를 온하면 코일(62)에 전류가 흘러 스풀(12)이 제동된다. 캐스팅 시에는 스풀(12)의 회전속도는 서서히 빠르게 되고, 피크를 넘으면 서서히 감속된다.
여기서는, 자석(61)을 베어링(26b)의 근처에 배치하더라도, 그 사이에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배치하며 또한 베어링(26b)과의 간격을 2.5mm 이상 이격하였기 때문에, 베어링(26b)이 자화되기 어렵게 되어 스풀(12)의 자유회전 성능이 향상된다. 또, 코일(62)을 코어리스 코일로 했기 때문에, 코깅이 생기기 어렵게 되며, 또 자유회전 성능이 향상된다.
장치가 착수(着水)하면, 핸들(2)을 실권취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시하지 않은 클러치 복귀 기구에 의해 클러치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고, 릴 본체(1)를 파밍(palming)하여 미끼를 기다린다.
또한 스풀 제동 기구(25)를 별도의 기구와 교환할 때는, 제1 커버(6)를 분리하여 스풀 지지부(13)를 외부에 노출시킨다. 그리고, 개구(8a)의 주위에서 나사 고정된 스풀 지지부(13)를 측판(8)으로부터 분리한다. 이에 따라, 스풀 제동 기구(25)가 스풀 지지부(13)와 함께 릴 본체(1)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제동 특성이 다른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가 장착된 스풀 지지부를 개구(8a)의 주위에서 측판(8)에 장착한다. 이 스풀 제동 기구는, 스풀 축(20)에 장착된 회전자(60)는 원래의 스풀 제동 기구(25)의 것을 이용한다. 또,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는, 손잡이 본체(73)의 색은 표준의 것과 다른 색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제동 특성이 다른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동작]
다음에, 캐스팅 시의 제어부(55)의 제동 제어 동작에 대해, 도 9 및 도 10의 제어 플로차트 및 도 11a, 도 11b 및 도 1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캐스팅에 의해 스풀(12)이 회전하여 축전소자(57)에 전력이 축적되어 제어부(55)에 전원이 투입되면, 단계(S1)에서 초기 설정이 행하여진다. 여기서는, 각종 플래그(flags)나 변수가 리셋(reset)된다. 단계(S2)에서는, 제동전환 손잡이(43)에 의해 어느 제동모드 BMn(n은 1∼8의 정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3)에서는, 제동모드를 선택된 제동모드 BMn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후의 제어에서 제어부(55) 내의 ROM에서 제동모드 BMn에 따른 듀티비(D)가 판독된다. 단계(S5)에서는, 회전속도 센서(41)로부터의 펄스에 의해 캐스팅 당초의 스풀(12)의 회전속도(V)를 검출한다. 단계(S7)에서는, 스풀(12)로부터 조출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F)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장력(F)은 스풀(12)의 회전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스풀(12)의 관성모멘트(J)로 구할 수 있다. 어떤 시점에서 스풀(12)의 회전속도가 변화되면, 이 때, 혹시 스풀(12)이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을 받지 않고서 단독으로 자유회전하고 있었던 경우의 회전속도와의 차이는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해 발생한 회전구동력(토크)에 의한 것이다. 이 때의 회전속도의 변화율을 (Δω/Δt)라고 하면, 구동토크(T)는, 하기 (1)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T= J×(Δω/Δt)·····(1)
(1)식으로부터 구동토크(T)가 구해지면, 낚싯줄의 작용점의 반경(통상은 15∼20mm)으로부터 장력을 구할 수 있다. 이 장력이 소정 이하로 되었을 때에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면, 회전속도의 피크의 직전에서 낚시도구(미끼)의 자세가 반전하여 안정되게 비행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알게되었다. 이 회전속도의 피크의 직전에서 제동하여 안정된 자세로 낚시도구를 비행시키기 위해서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캐스팅 당초에 단시간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낚시도구를 반전시키고, 그 후 서서히 약해지며 또한 도중에서 일정하게 되는 제동력으로 서서히 제동해 나간다. 마지막으로, 소정 회전수까지 내려 갈 때까지 또 서서히 약해지는 제동력으로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3개의 제동처리를 제어부(55)가 행한다.
단계(S8)에서는, 회전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관성모멘트(J)에 의해 산출된 장력(F)이 설정치(Fs)(예를 들면, 0.5∼1.5N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 이하인지 여부 판단한다. 설정치(Fs)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9)로 이행하여 듀티비(duty ratio)(D)를 10으로, 즉 주기의 10%만 스위치소자(63)를 온하도록 제어하고, 단계(S2)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약간 제동하지만, 스풀 제동 유닛(40)이 발전하기 때문에, 스풀 제어 유닛(42)이 안정되게 동작한다.
장력(F)이 설정치(Fs) 이하로 되면 단계(S10)로 이행한다. 단계(S10)에서는, 타이머(T1)를 스타트시킨다. 이 타이머(T1)는,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1 제동처리의 처리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이다. 단계(S11)에서는, 타이머(T1)가 타임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임업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3)로 이행하고, 타이머(T1)가 업할 때까지 캐스팅시의 제1 제동처리를 행한다. 이 제1 제동처리에서는, 도 11a에 좌측으로 내려가는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제1 듀티비(Dn1)로 시간 (T1)만큼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제1 듀티비(Dn1)는, 예를 들면 50∼100% 듀티(전체의 주기의 50% 내지 100%가 온 시간), 바람직하게는 70∼90% 듀티의 범위이고, 단계(S5)에서 검출된 회전속도(V)에 의해서 변화된다. 즉, 제1 듀티비(Dn1)는, 예를 들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속도(V)의 함수 f1(V)에 제동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듀티비(DnS)를 곱한 값이다. 또, 시간(T1)은 0.1∼0.3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에서 제동하면 회전속도의 피크의 앞에 스풀(12)을 제동하기 쉽게 된다.
제1 듀티비(Dn1)는, 제동모드 BMn 따라서 상하로 시프트되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모드가 최대일 때(n=1), 듀티비(D11)가 가장 크고 그 후 서서히 작아진다. 이와 같이 장치에 합쳐서 강한 제동력을 단시간 작용시키면 장치의 자세가 낚싯줄 고정 부분으로부터 반전하여 낚싯줄 고정 부분이 자기 앞으로 되어 장치가 비행한다. 이것에 의해 장치의 자세가 안정되게 장치가 보다 멀리 비행하게 된다.
한편, 타이머(T1)가 타임업했을 때는, 단계(S11)로부터 단계(S12)로 이행한다. 단계(S12)에서는, 타이머(T2)가 이미 스타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이머(T2)가 스타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7)로 이행한다. 타이머(T2)가 스타트하지 않고 있는 경우는 단계(S14)로 이행하여 타이머(T2)를 스타트시킨다. 이 타이머(T2)는, 제2 제동처리의 처리시간을 결정하는 타이머이다.
단계(S17)에서는, 타이머(T2)가 타임업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임업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18)로 이행하고, 타이머(T2)가 업할 때까지 제2 제동처리를 행한다. 이 제2 제동처리에서는, 도 11a에 우측이 내려간 해칭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급격히 하강하고 그 후 서서히 하강하여 마지막으로 일정한 값으로 되는 변화되는 듀티비(Dn2)에서 제2 설정 시간(T2)의 사이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듀티비(Dn2)의 최소치는, 예를 들면 30∼7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제2 설정 시간 (T2)은, 0.3∼2초의 사이가 바람직하다. 이 제2 설정 시간 T(2)도 제1 듀티비(Dn1)와 같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속도(V)에 따라서 변화된다. 예를 들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속도(V)의 함수 f2(V)에 설정 시간(TS)을 곱한 값이다.
또, 제2 및 제3 제동처리에서는 여분의 제동력을 삭감하는 것 목적으로 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동보정 처리도 행하여진다. 도 10의 단계(S31)에서는, 보정장력(Fa)이 설정된다. 이 보정장력(Fa)은, 도 12에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의 함수이며, 시간과 함께 서서히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12에서는, 제3 제동처리에서의 보정 처리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단계(S32)에서는 속도(V)를 판독한다. 단계(S33)에서는, 단계(S7)와 동일한 순서로 장력(F)을 산출한다. 단계(S34)에서는, 얻어진 장력으로부터 하기 (2)식에 나타내는 판정식을 산출한다. 단계(S35)에서는 판정식으로부터 보정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한다.
C= SSa×(F-SSd× 회전속도)-(ΔF/Δt)····(2)
여기에서, SSa, SSd는, 회전속도(rpm)에 대한 계수이며, 예를 들면 50이다. 또, SSd는 0.000005이다.
이 (2)식의 결과가 정(正)일 때, 즉 검출된 장력(F)가 설정 장력(Fa)을 크게 초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S35)에서의 판단이 예(Yes)로 되고, 단계(S36)로 이행한다. 단계(S36)에서는, 미리 설정된 제2 듀티비(Dn2)로부터 일정량(Da) 감산한 듀티비(Dn2-Da)에 다음 샘플링 주기(통상은 1회전마다)까지 보정한다.
단계(S21)에서는,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단계(S22)로 이행한다. 단계(S22)에서는 제3 제동처리를 행한다.
제3 제동처리에서는, 도 11a에 세로 줄무늬의 해칭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 비율이 작아지는 제2 제동처리와 동일한 시간과 동시에 변화되는 듀티비(Dn3)로 제어한다. 그리고, 단계(S11)로 귀환하는 단계(S21)에서,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로 될 때까지 처리를 계속하며 또, 제3 제어처리에서도 제동보정 처리는 실행된다.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로 되면, 단계(S2)로 되돌아간다.
여기서는, 회전속도의 피크전에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면, 제1 설정치(Fs) 이하이던 장력이 급격히 커져 백래시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장치가 안정되게 비행한다. 이로 인하여, 백래시를 방지하면서 장치의 자세를 안정시켜 보다 멀리 장치를 캐스팅할 수 있게 된다.
또, 캐스팅 당초의 스풀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3개의 제동처리에 있어서 다른 듀티비 및 제동시간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동일 설정이더라도 스풀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다른 듀티비 및 제동시간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이로 인하여, 스풀의 회전속도가 다른 캐스팅을 행하더라도 제동력의 조정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고, 제동력의 조정 조작에 낚시꾼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에서는,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1a에 나타내는 표준의 것보다 상승의 시간(T1)의 제동력이 큰 제동 특성으로 되어 있고, 기타 특성은 동일하다. 이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는, 예를 들면, 플루오르카본(fluorocarbons)제의 낚싯줄용이며, 보통의 나일론제의 낚싯줄보다 비중이 큰 낚싯줄용이다. 이와 같이 무거운 낚싯줄을 사용하면, 동일한 호수의 경우, 손잡이 본체(73)를 조작하여 제동력을 강하게 설정해야 한다. 그러나, 제동력을 강하게 설정하면, 상승 후도 제동력이 지나치게 강하여 비행 거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상승 시의 시간(T1) 때의 제1 제동력만을 크게 한 스풀 제동 기구로 교환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성형 절연피막을 형성한 후에 외부기기 접속부(96)에 핫멜트 스프레이법에 의해 절연피막을 형성하고 있을 뿐이지만,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 절연피막(90)의 표면에 침지(浸漬)처리에 의해 비성형 절연피막(98)을 형성할 수도 있다. 비성형 절연피막(98)은, 아래와 같이 형성된다. 회로의 검사가 종료되면, 나사(92)의 헤드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 및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을 테이프나 인쇄에 의해 마스크한다. 그리고 마스크된 회로기판(70)을 합성수지 액체가 들어있는 탱크에 침수되어 침지처리되고, 그 후 탱크로부터 인출하여 경화처리를 행하고, 표면에 비성형 절연피막(98)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절연피막(90)이 형성된 표면 및/또는 성형 절연피막(9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표면, 예를 들면 코일(62)의 표면에 비성형피막(98)을 형성함으로써, 절연성능을 또 높일 수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와의 사이에서 제동 특성을 시간(T1) 때의 제동력만을 변화시켰지만, 시간(T1, T2)이나 시간(T2)에서의 변화의 정도 등을 적어도 하나 변화시킬 수도 있고, 전체를 상하로 시프트시킬 수도 있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동일 형식으로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기구를 가지는 이중 베어링 릴을 예로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제동 특성이 다른 원심제동 장치와 마그넷 제동 장치를 교환 가능하게 한 이중 베어링 릴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외부에서 육안으로의 확인 가능한 장치 식별 수단을 설치하면 된다.
(d) 상기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본체(73)의 색에 의해 장치 식별 수단을 구성했지만, 본 발명의 장치 식별 수단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릴 본체에 장착한 상태로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된다. 예를 들면, 스풀마다 교환하는 경우, 스풀의 색이나 모양에 의해 제동 특성이 다른 것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풀 제동 장치를 교환하면, 그 교환한 장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제동 특성이 다른 스풀 제동 장치로 교환한 경우에 제동 특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스풀 제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스풀 제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a는 회로기판에서의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회로기판에서의 부품의 배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이중 베어링 릴의 우측면도이다.
도 7은 제동전환 손잡이의 배면도이다.
도 8은 스풀 제동 기구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9는 제어부의 주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제2 제동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a는 표준의 스풀 제동 기구에서의 각 제동처리의 듀티비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b는 제동 특성이 다른 별도의 스풀 제동 기구에서의 각 제동처리의 듀티비의 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제3 제동처리에서의 보정 처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핫멜트 처리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금형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핫멜트 처리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의 일부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12: 스풀
12a: 실패몸통부 12b: 플랜지부
13: 스풀 지지부 25: 스풀 제동 기구
40: 스풀 제동 유닛 41: 회전속도 센서
42: 스풀 제어 유닛 60: 회전자
61: 자석 62: 코일
63: 스위치소자 70: 회로기판
72: 인쇄회로 73: 손잡이 본체(장치 식별 수단)

Claims (14)

  1. 핸들을 가지고, 낚싯대에 장착되는 릴 본체,
    상기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핸들에 의해 회전 가능한 낚싯줄 장착용 스풀,
    상기 릴 본체에 적어도 일부가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장치, 및
    상기 릴 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 식별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식별 수단은 동일 형식으로 다른 제동성능의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장치는, 상기 스풀에 장착되는 낚싯줄에 따라서 제동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릴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을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 및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극성이 교번하여 다른 복수의 자극을 가지고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와, 상기 회전자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과, 직렬 접속된 상기 복수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코일 및 상기 스위치 수단이 장착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된 제어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스풀이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스풀 축에 고정되어 교번하여 극성을 다르게 하여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의 수와 상기 코일의 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스풀 축심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감기고 상기 스풀의 회전 방향을 따라 원호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된 코어리스 코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비자성체제의 바닥을 가진 원통형의 코일 홀더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은, 상기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된 금속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12.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 제동 장치는,
    상기 회로기판을 릴 본체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 부재와,
    상기 보조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릴 본체의 외부에 노출되는 선택조작 부재를 가지고, 상기 선택조작 부재의 이동조작에 의해 제동 상태가 다른 복수의 제동패턴을 선택하기 위한 패턴 선택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선택된 상기 제동패턴으로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장치 식별 수단은, 상기 선택조작 부재에 색에 의해 형성된 식별마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스팅 시에 상기 스풀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 검출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어 수단은, 상기 장력 검출 수단으로 검출된 장력이 제1 설정치 이하로 되었을 때, 소정의 제1 제동력으로 제1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스풀을 제동하도록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
  14.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극성이 교번하여 다른 복수의 자극을 가지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자가 장착된 스풀을 제동하고, 이중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교환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풀 제동 장치로서,
    상기 회전자의 주위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되어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 및 직렬 접속된 상기 복수의 코일의 양단에 접속된 스위치 수단을 가지고,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
    상기 릴 본체의 상기 스풀의 한 쪽 단부면과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고 상기 복수의 코일 및 상기 스위치 수단이 장착된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에 탑재된 제어소자를 가지고, 상기 스풀 제동 수단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수단, 및
    상기 스풀 제동 장치를 상기 릴 본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스풀 제동 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장치 식별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KR1020050009512A 2004-02-02 2005-02-02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KR101178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25915A JP4362384B2 (ja) 2004-02-02 2004-02-02 両軸受リール及びそれに用いるスプール制動装置
JPJP-P-2004-00025915 2004-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8999A true KR20050078999A (ko) 2005-08-08
KR101178773B1 KR101178773B1 (ko) 2012-09-07

Family

ID=34879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512A KR101178773B1 (ko) 2004-02-02 2005-02-02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9813B2 (ko)
JP (1) JP4362384B2 (ko)
KR (1) KR101178773B1 (ko)
CN (1) CN1650704B (ko)
MY (1) MY135866A (ko)
SG (1) SG113613A1 (ko)
TW (1) TWI3395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4965410B2 (ja) * 2007-11-19 2012-07-0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4926036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101084560B1 (ko) * 2008-11-10 2011-11-17 주식회사 코스피시테크 낚시용 베이트 릴
US8602343B2 (en) * 2009-04-23 2013-12-10 James R. Strohecker Fishing reel with free spool controller
KR101041744B1 (ko) * 2010-11-26 2011-06-17 박순화 샤링공정이 불필요한 알루미늄 압출 사각판재 및 그를 이용한 낚시용 릴 부품의 제조방법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9532558B2 (en) * 2013-08-01 2017-01-03 II David Lee Hamilton Power generating fishing reel and remote control lure system
EP2902648B1 (de) * 2014-02-03 2016-09-07 Lakeview Innovation Ltd. Lageranordnung für einen Elektromotor mit axial vorgespanntem Kugellager
US9961059B2 (en) * 2014-07-10 2018-05-01 Red Hat Israel, Ltd. Authenticator plugin interface
JP6093844B1 (ja) * 2015-12-18 2017-03-0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JP6653582B2 (ja) * 2016-01-19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795990B2 (ja) * 2017-01-19 2020-12-02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JP6836404B2 (ja) * 2017-01-19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JP7121569B2 (ja) 2018-07-13 2022-08-1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CN110754452A (zh) * 2019-12-05 2020-02-07 南京快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带电子刹车系统的渔轮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3866A (en) * 1983-06-01 1986-06-10 Abu Aktiebolag Magnetic brake for braking the line spool of a fishing reel
US4585183A (en) * 1984-11-02 1986-04-29 Brunswick Corporation Backlash control device for magnetic bait cast reel
US5067104A (en) * 1987-05-01 1991-11-19 At&T Bell Laboratories Programmable protocol engine having context free and context dependent processes
US4940194A (en) * 1987-10-16 1990-07-10 Pacific Products Electronic casting brake
US4975926A (en) * 1989-03-30 1990-12-04 Guenther Knapp Wireless indoor data communication system
JP2511591B2 (ja) * 1990-10-29 1996-06-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イション 無線光通信システムの動作方法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US6064979A (en) * 1996-10-25 2000-05-16 Ipf, Inc. Method of and system for finding and serving consumer product related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using manufacturer identification numbers
FI99071C (fi) * 1995-02-15 1997-09-25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sovellusten käyttämiseksi matkaviestimessä ja matkaviestin
US5832296A (en) * 1995-04-26 1998-11-03 Interval Research Corp. Wearable context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of interest to the user
US5701491A (en) * 1995-05-31 1997-12-23 Microsoft Corpor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transitioning the network mode of a workstation
US5835061A (en) * 1995-06-06 1998-11-10 Waypor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based communications service
US5752186A (en) * 1995-06-07 1998-05-12 Jeman Technologies, Inc. Access free wireless telephony fulfillment service system
US5845282A (en) * 1995-08-07 1998-12-01 Apple Compu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accessing files from a desktop computer using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US5831664A (en) * 1995-12-15 1998-11-03 Mediaone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synchronizing data between at least one mobile interface device and an interactive terminal
CA2166255C (en) * 1995-12-28 2001-12-18 John V. Taglione Multi-channel optical transceiver
US5982520A (en) * 1996-03-28 1999-11-09 Xerox Corporation Personal storage device for application and data transfer
US5857201A (en) * 1996-06-18 1999-01-05 Wright Strategies, Inc. Enterprise connectivity to handheld devices
US5897622A (en) * 1996-10-16 1999-04-27 Microsoft Corporation Electronic shopping and merchandising system
US5884215A (en) * 1997-01-31 1999-03-1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variance matrix estimation in a weighted least-squares location solution
US6061057A (en) * 1997-03-10 2000-05-09 Quickbuy Inc. Network commercial system using visual link objects
AU733904B2 (en) * 1997-03-24 2001-05-31 Evolve Communications, Inc. Two-way remote control with advertising display
US6085030A (en) * 1997-05-02 2000-07-04 Novell, Inc. Network component server
US6505046B1 (en) * 1997-11-19 2003-01-07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location-based messag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4006079B2 (ja) * 1998-02-27 2007-11-14 株式会社東芝 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5974547A (en) * 1998-03-20 1999-10-26 3Com Corporation Technique for reliable network booting of an operating system to a client computer
CA2271592A1 (en) * 1998-05-13 1999-11-13 Johnson Worldwide Associates, Inc. Bait cast control fishing reel
US6108703A (en) * 1998-07-14 2000-08-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lobal hosting system
US6292283B1 (en) * 1998-07-17 2001-09-18 Lsi Logic Corporation Audio/video device including an infrared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figuration data, and method for configuring same
US6601038B1 (en) * 1998-07-20 2003-07-29 Usa Technologies, Inc. Delivery of goods and services resultant from an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by way of a pack and ship type company
US5984221A (en) 1998-10-21 1999-11-16 Zebco Division Of Brunswick Corporation Adjustable brake for baitcast reel
US6446127B1 (en) * 1998-10-30 2002-09-03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mobility services on a telephony network
US6760916B2 (en) * 2000-01-14 2004-07-06 Parkervision,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ducing and distributing enhanced media downstreams
US6272575B1 (en) * 1999-02-26 2001-08-07 Lucent Technologies Inc. Modular digital assistant
US6629151B1 (en) * 1999-03-18 2003-09-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querying the dynamic aspects of wireless connection
JP4313902B2 (ja) * 1999-08-04 2009-08-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遠心制動装置
US6381465B1 (en) * 1999-08-27 2002-04-30 Leap Wireles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attaching an advertisement to an SMS message for wireless transmission
US6684399B1 (en) * 1999-09-17 2004-01-27 Spotware Technologies, Inc. Electronic program guide including live network multimedia broadcast channels
US6966027B1 (en) * 1999-10-04 2005-11-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streaming XML content
US6738951B1 (en) * 1999-12-09 2004-05-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Transcoding system for delivering electronic documents to a device having a braille display
US6785902B1 (en) * 1999-12-20 2004-08-31 Webtv Networks, Inc. Document data structure and method for integrating broadcast television with web pages
US6206311B1 (en) 1999-12-30 2001-03-27 Brunswick Corporation Baitcast fishing reel with discreting backlash control
US20010054114A1 (en) * 2000-03-21 2001-12-20 Duval Mary Wireless data transport of internet content to display device
US6643650B1 (en) * 2000-05-09 2003-11-04 Sun Microsystems, Inc. Mechanism and apparatus for using messages to look up documents stored in spaces in a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US6647269B2 (en) * 2000-08-07 2003-11-11 Telcontar Method and system for analyzing advertisements delivered to a mobile unit
US7721310B2 (en) * 2000-12-05 2010-05-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updating of a user profile
JP3977672B2 (ja) * 2002-03-15 2007-09-19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SG121857A1 (en) * 2003-01-06 2006-05-26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TWI298621B (en) *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773B1 (ko) 2012-09-07
US7159813B2 (en) 2007-01-09
JP2005211054A (ja) 2005-08-11
MY135866A (en) 2008-07-31
US20050218255A1 (en) 2005-10-06
CN1650704A (zh) 2005-08-10
CN1650704B (zh) 2010-05-12
TW200529744A (en) 2005-09-16
JP4362384B2 (ja) 2009-11-11
TWI339565B (en) 2011-04-01
SG113613A1 (en)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773B1 (ko)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KR101055245B1 (ko) 이중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KR10100783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KR101058364B1 (ko)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JP4926037B2 (ja) 両軸受リール
US20070108330A1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 bearing reel
JP4039951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9159849A5 (ko)
JP2006230359A (ja) 両軸受リール
JP4384876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4926036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48A5 (ko)
JP4266707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KR101047072B1 (ko)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JP4266709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4475890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4266708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2004208633A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3977746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6230358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