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64B1 -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64B1
KR101058364B1 KR1020040032889A KR20040032889A KR101058364B1 KR 101058364 B1 KR101058364 B1 KR 101058364B1 KR 1020040032889 A KR1020040032889 A KR 1020040032889A KR 20040032889 A KR20040032889 A KR 20040032889A KR 101058364 B1 KR101058364 B1 KR 101058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external device
circuit board
fishing
electronic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906A (ko
Inventor
이쿠타타케시
카와사키켄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4900A external-priority patent/JP42212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6058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48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9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01K89/01555Antibacklash devices us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Abstract

[과제] 절연 성능을 유지하면서 낚시용품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한다.
[해결 수단] 스풀 제어 유닛(42)은, 회로 기판(70)과, 복수의 전기부품과, 외부 기기 접속부(91)와, 절연 피막(90)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은, 표면에 인쇄회로(72)를 가지는 것이다. 복수의 전기부품은, 낚시용품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59)를 포함하고,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회로 기판에 배치된 부품이다. 외부 기기 접속부는,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절연 피막(90)은, 외부 기기 접속부가 배치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회로 기판의 적어도 일부를 전기부품과 함께 덮는 피막이다.
회로 기판, 인쇄회로, 마이크로 컴퓨터, 절연 피막, 코일

Description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ELECTRONIC CIRCUIT DEVICE FOR FISHING EQUIP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양 베어링 릴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스풀 제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스풀 제동기구의 단면 확대도.
도 5a는 회로 기판에서의 부품의 배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b는 회로 기판에서의 부품의 배치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 6은 양 베어링 릴의 우측면도.
도 7은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의 배면도.
도 8은 스풀 제동기구의 제어 블럭도.
도 9는 제어부의 주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0은 제2 제동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1은 각 제동 처리에서의 듀티비의 변화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제3 제동 처리에서의 보정 처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
도 14a는 다른 실시예의 도 5a에 상당하는 도
도 14b는 다른 실시예의 도 5b에 상당하는 도.
도 15는 다른 실시예의 회로 기판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6은 양 베어링 릴의 스풀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7은 상기 스풀의 계지부 주변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상기 스풀의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플로차트.
도 19는 상기 스풀의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는 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릴 본체 12: 스풀
12a: 플랜지부 12b: 권사 몸통부
40: 스풀 제동 유닛 41: 회전 속도 센서
42: 스풀 제어 유닛 59: 마이크로 컴퓨터
60: 회전자 61: 자석
62: 코일 63: 스위치 소자
70: 회로 기판 72: 인쇄회로
90, 125, 390: 절연 피막 91, 191, 296: 외부 기기 접속부
96: 캡 부재
본 발명은, 전자회로 장치, 특히,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품으로서의 낚시용 릴의 전자회로 장치로서,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의 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전자적으로 제어하여 제동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전자회로 장치는, 릴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회로 기판과,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여 회로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부품을 구비하고 있다. 스풀축에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자석이 장착되어 있고, 회로 기판에는, 자석의 외주(外周)에 배치된 코일이 접속되어 있다. 이 코일도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자회로 장치나 코일을 릴 본체의 내부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전자회로 장치가 물에 젖기 어려워져 절연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종래의 전자회로 장치는, 스풀이 회전하면, 자석과 코일의 작용에 의하여 코일로부터 발생하는 전류를 마이크로 컴퓨터 내의 메모리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여 스풀을 제동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 11-332436호 공보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릴 본체의 내부에 전자회로 장치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전자회로 장치를 릴 본체 내부에 설치하면, 릴 본체가 대형화하여, 특히 소형의 양 베어링 릴의 경우, 전자 제어 를 채용하기 어려워진다. 그래서, 릴 본체의 내부가 아닌 외벽에 전자회로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 본체와 스풀 간에 전자회로 장치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릴 본체의 내부 등 밀폐된 공간에 수납하는 일 없이 전자회로 장치를 배치하면, 비교적 여유가 있는 공간에 전자회로 장치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릴의 대형화를 방지하기 쉽다. 그러나, 릴 본체의 외벽에 전자회로 장치를 배치하면, 절연 성능이 저하하고 물에 젖는 것에 의하여 절연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제동 개시의 타이밍이나 제동 시간 등의 낚시용 릴의 제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전자회로 장치의 마이크로 컴퓨터를 접속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또한, 절연 피막을 형성 후에 절연 상태도 포함하여 전자회로를 검사하기 위해서는, 검사 장치 등의 외부 기기를 접속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자회로 장치에는, 낚시용 릴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절연 성능을 유지하면서 낚시용품의 대형화를 방지함과 함께,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낚시에 이용되는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과, 복수의 전기부품과, 외부 기기 접속부와, 절연 피막을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은, 표면에 인쇄회로를 가지는 것이다. 복수의 전기부품은, 낚시용품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회로 기판에 배치된 부품이다. 외부 기기 접속부는, 인쇄회로에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절연 피막은, 인쇄회로를 전기부품과 함께 덮는 피막이다.
이 전자회로 장치에서는, 회로 기판에는 복수의 전기부품과 외부 기기 접속부가 배치되고, 회로 기판은 복수의 전기부품과 함께 절연 피막에 의하여 덮여 있다. 여기에서는, 회로 기판 및 그것에 배치된 전기부품이 절연 피막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절연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을 방수를 위해서 케이스 내에 넣는 일 없이 외부에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용품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 기기 접속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접속부는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절연 피막은, 외부 기기 접속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인쇄회로를 덮고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해서 외부 기기 접속부가 절연할 수 없는 경우에도, 외부 기기 접속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인쇄회로가 절연 피막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절연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낚시용품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가지 는 낚시용 릴이고, 회로 기판은, 릴 본체의 외벽에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낚시용 릴에 있어서, 절연 성능을 유지하면서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외부 기기와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3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낚시용 릴은, 릴 본체와, 스풀과,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전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磁極)을 가지는 자석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이고, 자석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더 구비하며, 마이크로 컴퓨터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코일과 자석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코일에 발생하는 전력을 스위칭 제어하여 스풀을 제동한다. 이 경우에는,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전자 제어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스풀은,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권사(卷絲)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양단에 권사 몸통부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회로 기판은, 스풀의 회전축과 동심이고 또한 플랜지부의 한쪽에 대향하여 배치된 와셔 형상의 기판이다. 이 경우에는, 외형이 원형의 와셔 형상의 회로 기판이 스풀의 플랜지부와 대향하고 또한 스풀의 회전축과 동심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을 릴 본체의 외벽과 스풀의 플랜지부 간에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어, 릴의 대형화를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은, 인쇄회로를 표리 양면에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전기부품을 회로 기판의 양면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전자회로 장치가 컴팩트하게 된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접속부는, 마이크로 컴퓨터와 외부 기기 간에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마이크로 컴퓨터로의 정보의 송신이나 마이크로 컴퓨터로부터 외부 기기로의 정보의 송신이 가능하게 되어 편방향 또는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에,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릴 상태의 체크나 릴의 제어 내용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4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동력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제동력 설정 정보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캐스팅이나 루어의 종류에 따라 다른 제동 패턴으로 스풀을 제동할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로부터 외부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이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동작시키는 제어 프로그램의 변경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제어 프로그램의 버젼업이 용이하게 된다.
발명 10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접속부는, 전기부품이 탑재된 전자회로를 검사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기 접속부에는 절연 피막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절연 피막을 벗기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전자회로를 검사할 수 있다.
발명 11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절연 피막은, 전기부품이 장착된 회로 기판을 세트한 금형(金型)에 수지 기재(基材)를 주입하는 핫멜트(hotmelt) 몰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치수 정밀도가 높고 미관이 향상한 절연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
발명 12에 관련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회로 기판은, 스풀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외부 기기 접속부는, 릴 본체의 바깥쪽에 노출 가능하게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기 접속부가 릴 본체의 바깥쪽에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 접속부에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쉬워진다.
발명 13에 관련되는 낚시용 릴의 전자회로 장치는, 발명 1 또는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 외부 기기 접속부를 덮는 탈착 가능한 캡 부재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에는, 외부 기기와 접속하고 있지 않을 때에 캡 부재에 의하여 외부 기기 접속부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 접속부의 절연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릴의 구성〕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양 베어링 릴은, 베이트 캐스트용의 환형(丸形)의 양 베어링 릴이다. 이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배치된 스풀 회전용 핸들(2)과, 핸들(2)의 릴 본체(1)측에 배치된 드래그 조정용의 스타 드래그(3)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2)은, 판상(板狀)의 암부(2a)와, 암부(2a)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손잡이(2b)를 가지는 더블 핸들형의 것이다. 암부(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축(30)의 선단(先端)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너트(28)에 의하여 핸들축(30)에 체결되어 있다.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이나 마그네슘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고, 프레임(5)과, 프레임(5)의 양측방에 장착된 제1 측커버(6) 및 제2 측커버(7)를 가지고 있다. 릴 본체(1)의 내부에는 권사(卷絲)용의 스풀(12)이 스풀축(20, 도 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스풀축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볼 때 원형이고, 제2 측커버(7)는, 교차하는 2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5)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개폐시에 프레임(5)으로부터 축 방향 바깥쪽으로 이반(離反)한 후에 선회하도록, 제1 측커버(6)는,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5) 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과, 서밍을 행하는 경우의 엄지의 목표로 되는 클러치 레버(17)와, 스풀(12) 내에 균일하게 낚싯줄을 감기 위한 레벨와인드 기구(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2 측커버(7) 간에는, 핸들(2)로부터의 회전력을 스풀(12) 및 레벨와인드 기구(18)로 전하기 위한 기어 기구(19)와, 클러치 기구(21)와, 클러치 레버(17)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기구(21)를 제어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 기구(22)와, 스풀(12)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23)와, 스풀(12)의 회전시의 저항력을 조정하기 위한 캐스팅 컨트롤 기구(2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5)과 제1 측커버(6) 간에는, 캐스팅시의 백래쉬를 억제하기 위한 전기 제어식의 브레이크 기구 (제동 장치의 일례)(25)가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5)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판(8, 9)과, 이들 측판(8, 9)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하의 연결부(10a, 10b) (도 1)를 가지고 있다. 측판(8)의 중심부보다 약간 상방에는, 단차를 가지는 원형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8a)에는,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가 나사로 멈춤 고정되어 있다.
스풀 지지부(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8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편평한 대략 바닥이 있는 통상의 부재이다.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중심부에는,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통상의 베어링 수납부(14)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수납부(14)의 내주면에는, 스풀축(20)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6b)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수납부(14)의 바닥부에는 캐스팅 컨트롤 기구(24)의 마찰 플레이트(51)가 장착되어 있다. 베어링(26b)은, 선재제의 스냅링(26c)에 의하여 베어링 수납부(14)에 계지(係止)되어 있다.
상측의 연결부(10a)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8, 9)의 외형과 동 일면에 배치되어 있고, 하측의 연결부(10b)는, 전후에 한 쌍이 설치되어 있고, 외형보다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하측의 연결부(10b)에는, 릴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로 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장대 장착 다리부(4)가 리벳(rivet)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1 측커버(6)는, 제2 측커버(7)측으로부터 삽입된 나사 부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측판(8)에 나사 멈춤 고정되어 있다. 제1 측커버(6)에는,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 후술)가 배치되는 원형의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풀(12)은, 도 2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단에 설치된 대경의 플랜지부(12a)와, 플랜지부(12a)의 사이에 일체 성형되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 몸통부(12b)와,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측에서 축 방향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스풀축(20)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 보스부(12c)와, 권사 몸통부(12b)의 내외주를 관통하는 관통공(12d)과,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측의 개구측에 형성된 계지부(係止部, 12e)를 가지고 있다. 스풀(12)은,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고, 제1 알루마이트 처리 및 제2 알루마이트 처리 (후술)에 의하여 형성된 제1 알루마이트층(110) 및 제2 알루마이트층(111) (도 17 참조)이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a)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12b)의 양단에 대경으로 설치된 원판상 부재이고, 제1 측판(8) 및 제2 측판(9) 간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2a)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12b)의 양단 외주로부터 매끄럽게 솟아오르도록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권사 몸통부(12b)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 부재이다. 권사 몸통부(12b)는, 양 단부가 플랜지부(12a)와 일체 성형되고, 내주부가 보스부(12c)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보스부(12c)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12b)의 대략 중앙부에서 내주측으로 일체 성형된 부재이다. 보스부(12c)의 내주 부분에는, 스풀축(20)이 관통하고, 예를 들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여러 가지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관통공(12d)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12b)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12d)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측이 대경의 틀에 실이 감긴 원형 구멍으로 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측에 환상(環狀)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12e)는, 계지부(12e)의 내주측에 개구하도록 홈상으로 형성된 홈부(12f)와, 홈부(12f)의 개구와 반대측 면인 계지면(12g)을 가지고 있다. 계지면(12g)은, 제2 알루마이트 처리 (후술)를 행할 때 전극이 계지된다. 또한, 계지부(12e)의 개구와 반대측의 벽면(12h)은, 제1 알루마이트 처리 (후술)를 할 때, 알루마이트 장치 (도시하지 않음)의 전극이 계지된다.
플랜지부(12a)의 내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 보스부(12c) 및 관통공(12d)의 벽면에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한 제1 알루마이트층(110)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a)의 외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외주면 및 계지부(12e)의 홈부(12f)는, 표면에는 제2 알루마이트 처리에 의한 제2 알루마이트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알루마이트층(110) 및 제2 알루마이트층(111)은 각각 색조가 다른 것으로 되어 있고, 예를 들어 제1 알루마이트층(110)은 은색, 제2 알루마이트층(111)은 금색이다. 여기에서는, 은색의 제1 알루마이트층(110)을 형성한 후에 금색의 제2 알루마이트층(111)을 형성하기 때문에, 제1 알루마이트층(110)의 색조가 제2 알루마이트층(111)의 색조에 영향을 미치기 어려워진다.
다음으로, 스풀(12)의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에 대해서,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스풀(12)의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은, 도 18의 스텝 P1에 있어서, 제1 알루마이트층(110)을 형성하는 제1 알루마이트 처리를 시행하는 제1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도 1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12e)의 개구와 반대측의 벽면(12h)에 양극측의 전극이 계지되어, 황산 등의 전해질 용액 중에 스풀(12)을 침지하여 직류 전해하면,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표면에 제1 알루마이트층(1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8의 스텝 P2에 있어서, 제1 알루마이트층(110)을 삭제하는 제1 알루마이트 삭제 처리를 시행하는 제1 알루마이트 삭제 처리 공정이 행해진다. 플랜지부(12a)의 외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외주면에 있어서는, 선반 등에 의하여 제1 알루마이트층(110)을 삭제한다. 계지부(12e)에 있어서는, 제1 알루마이트층(110)의 삭제와 홈부(12f)의 형성을 절삭 가공 등에 의하여 동시에 행한다. 또한, 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a)의 내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 보스부(12c) 및 관통공(12d)의 벽면에는, 제1 알루마이트층(110)이 형성된 채로이다.
그리고, 도 18의 스텝 P3에 있어서, 제2 알루마이트층(111)을 형성하는 제2 알루마이트 처리를 시행하는 제2 알루마이트 처리 공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도 19(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지부(12e)의 계지면(12g)에 양극측의 전극이 계지되어 황산 등의 전해질 용액 중에 스풀(12)을 침지하여 직류 전해하면, 도 19(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a)의 외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외주면 및 계지부(12e)의 홈부(12f)의 표면에 제2 알루마이트층(111)이 형성된다. 이것은, 알루미늄 합금제의 플랜지부(12a)의 외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외주면 및 계지부(12e)의 홈부(12f)의 표면이 도전체이기 때문에 제2 알루마이트층(111)이 형성되고, 제1 알루마이트층(110)이 형성된 플랜지부(12a)의 내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 보스부(12c) 및 관통공(12d)의 벽면이 도전체가 아니기 때문에, 제2 알루마이트층(111)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12a)의 내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 보스부(12c) 및 관통공(12d)의 벽면에는, 제1 알루마이트층(110)이 형성되고, 플랜지부(12a)의 외주면, 권사 몸통부(12b)의 외주면 및 계지부(12e)의 홈부(12f)의 표면에는, 제2 알루마이트층(111)이 형성된다.
스풀축(20)은, 예를 들어 SUS304 등의 비자성 금속제이고, 측판(9)을 관통하여 제2 측커버(7)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연장된 일단은, 제2 측커버(7)에 장착된 보스부(7b)에 베어링(26a)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한, 스풀축(20)의 타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26b)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20)의 중심에는, 대경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 베어링(26a, 26b)으로 지지되는 소경부(20b, 20c)가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베어링(26a, 26b)은, 예를 들어 SUS440C에 특수 내식성 피막을 코팅한 것이다.
나아가, 도 2 좌측의 소경부(20c)와 대경부(20a) 간에는 양자의 중간 외경을 가지는, 자석(61, 후술)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부(20d)가 형성되어 있다. 자석 장착부(20d)에는, 예를 들어, SUM (압출·절삭)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자석 유지부(27)가 예를 들어 세레이션 결합에 의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자석 유지부(27)는, 단면이 정방형으로 중심에 자석 장착부(20d)가 관통하는 관통공(27a)이 형성된 사각기둥상의 부재이다. 자석 유지부(27)의 고정 방법은 세레이션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키 결합이나 스플라인 결합 등의 여러 가지의 결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스풀축(20)의 대경부(20a)의 오른쪽 단은, 측판(9)의 관통 부분에 배치되어 있고, 그곳에는 클러치 기구(21)를 구성하는 계합핀(29)이 고정되어 있다. 계합핀(29)은, 직경을 따라 대경부(20a)를 관통하고 있고, 그 양단이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측판(8, 9) 간의 후부에서 스풀(12)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레버(17)는 측판(8, 9) 간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클러치 레버(17)의 핸들 장착측에는, 계합축(17a)이 측판(9)을 관통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계합축(17a)은, 클러치 제어 기구 (22)에 계합하고 있다.
레벨와인드 기구(18)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의 전방에서 양 측판(8, 9) 간에 배치되어, 외주면에 교차하는 나선상 홈(46a)이 형성된 나선축(46)과, 나선축으로부터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낚싯줄을 안내하는 낚싯줄 안내부(47)를 가지고 있다. 나선축(46)은, 양단이 측판(8, 9)에 장착된 축 지지부(48, 4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나선축(46)의 도 2 오른쪽 단에는, 기어 부재(36a)가 장착되어 있고, 기어 부재(36a)는, 핸들축(3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기어 부재(36b)에 맞물리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나선축(46)은, 핸들축(30)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
낚싯줄 안내부(47)는 나선축(46)의 주위에 배치되어 일부가 축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노치(notch)된 파이프 부재(53)와, 나선축의 상방에 배치된 가이드축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스풀축(20) 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낚싯줄 안내부(47)에는, 나선상 홈(46a)에 계합하는 계지 부재 (도시하지 않음)가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나선축(46)의 회전에 의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기어 기구(19)는, 핸들축(30)과, 핸들축(30)에 고정된 메인 기어(31)와,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통상의 피니언 기어(32)를 가지고 있다. 핸들축(30)은, 측판(9) 및 제2 측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86) 및 톱니 멈춤쇠식의 원웨이 클러치(87)에 의하여 줄 방출 방향의 회전 (역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86)는, 제2 측커버(7)와 핸들축(30) 간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 기어(31)는, 핸들축(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핸들축(30)과 드래그 기구(23)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는, 측판(9)의 바깥쪽으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고, 중심에 스풀축(20)이 관통하는 통상 부재이고, 스풀축(20)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측은, 베어링(33)에 의하여 측판(9)에 회전 가능하고 또한 축 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32)의 도 2 좌단부에는 계합핀(29)에 맞물리는 치합홈(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치합홈(32a)과 계합핀(29)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가 구성된다. 또한, 중간부에는 축소부(32b)가, 우단부에는 메인 기어(31)에 맞물리는 기어부(32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피니언 기어(32)의 축소부(32b)에 계합하여 피니언 기어(32)를 스풀축(20)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클러치 요크(35)를 가지고 있다. 또한, 클러치 제어 기구(22)는, 스풀(12)의 줄 감기 방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시키는 클러치 반환 기구 (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캐스팅 컨트롤 기구(24)는, 스풀축(20)의 양단을 사이에 두도록 배치된 복수의 마찰 플레이트(51)와, 마찰 플레이트(51)에 의한 스풀축(20)의 협지력을 조절하기 위한 제동 캡(52)을 가지고 있다. 좌측의 마찰 플레이트(51)는, 스풀 지지부(13) 내에 장착되어 있다.
〔스풀 제동기구의 구성〕
스풀 제동 기구(25)는, 도 3, 도 4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12) 과 릴 본체(1) 간에 설치된 스풀 제동 유닛(40)과,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하기 위한 회전 속도 센서(41)와, 스풀 제동 유닛(40)을 8단계의 제동 모드의 어느 하나로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42)과, 8개의 제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를 가지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발전에 의하여 제동하여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축(20)에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4개의 자석(61)을 포함하는 회전자(60)와, 회전자(60)의 외주측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직렬 접속된 예를 들어 4개의 코일(62)과, 직렬 접속된 복수의 코일(62)의 양단이 접속된 스위치 소자(63)를 구비하고 있다. 스풀 제동 유닛(40)은, 자석(61)과 코일(62)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전류를, 스위치 소자(63)에 의하여 온 오프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12)을 제동한다. 스풀 제동 유닛(40)에서 발생하는 제동력은 스위치 소자(63)의 온 시간의 길이에 따라 커진다.
회전자(60)의 4개의 자석(61)은,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어 배치되고 극성이 교대로 다르게 되어 있다. 자석(61)은, 자석 유지부(27)와 대략 동등한 길이를 가지는 부재이고, 그 외측면(61a)은 단면 원호상의 면이고, 내측면(61b)은 평면이다. 이 내측면(61b)이 스풀축(20)의 자석 유지부(27)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자석(61)의 양 단부는, 예를 들어 SUS304 등의 비자성체제의 원형 접시상의 캡 부재(65a, 65b)에 의하여 협지되고, 스풀축(20)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자석 유지부(27)에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캡 부재(65a, 65b)에 의하여 자석(61)을 유지하는 것에 의하여, 캡 부재(65a, 65b)가 비자성체제이기 때문에, 자력을 약하게 하는 일 없이 스풀축(20) 상에서의 자석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함께, 조립 후의 자석의 비강도를 높일 수 있다.
자석(61)의 도 4 좌단면과 베어링(26b)의 거리는 2.5mm 이상 떨어져 있다. 도 4 우측의 캡 부재(65a)는, 스풀축(20)의 대경부(20a)와 자석 장착부(20d)의 단차와 자석 유지부(27) 간에 끼워져 그것보다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베어링(26b)과의 사이에 배치된 좌측의 캡 부재(65b)에는, 예를 들어, SPCC(판재)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해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가 장착되어 있다. 와셔 부재(66)는, 스풀축(20)에 장착된 예를 들어 E형 스냅링(67)에 의하여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 와셔 부재(66)의 두께는 0.5mm 이상 2mm 이하이고, 외경은 베어링(26b)의 외경의 60% 이상 120% 이하이다. 이러한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자석(61)의 근처에 배치되는 베어링(26b)이 자기화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자석(61)의 근처에 베어링(26b)을 배치하여도 스풀(12)의 자유 회전시의 회전 성능에 영향을 주기 어려워진다. 또한, 자석(61)과 베어링(26b)의 거리를 2.5mm 이상 떨어뜨려 놓은 것도 베어링(26b)을 자기화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의 자석(6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예를 들어, SUM(압출·절삭제) 등의 철재의 표면에 무전계 니켈 도금을 행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가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68)는, 권사 몸통부(12b)의 내주면에 압입 또는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자성체제의 슬리브(68)를 자석(61)에 대향하여 배치하면, 자석(61)으로부터의 자속이 코일(62)을 집 중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발전 및 브레이크 효율이 향상한다.
코일(62)은, 코깅을 방지하여 스풀(12)의 회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코어레스 타입의 것이 채용되어 있다. 나아가 요크도 설치하고 있지 않다. 코일(62)은, 감겨진 심선이 자석(61)에 대향하여 자석(61)의 자기장 내에 배치되도록 대략 구형(矩形)으로 감겨지고 있다. 4개의 코일(62)은 직렬 접속되어 있고, 그 양단이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62)은, 자석(61)의 외측면(61a)과의 거리가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스풀축 심지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심의 원호상으로 스풀(1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만곡하여 성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코일(62)과 회전중의 자석(61)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4개의 코일(62)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챙이 달린 원형 접시상의 코일 홀더(69)에 의하여 합쳐져 있고, 표면은 니스 등의 절연 피막에 의하여 덮여 있다. 코일 홀더(69)는, 스풀 제어 유닛(42)을 구성하는 회로 기판(70, 후술)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코일(62)을 주로 그리기 위해서 코일 홀더(69)는,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4개의 코일(62)이 합성 수지제제의 코일 홀더(69)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장착하기 쉬워짐과 함께, 코일 홀더(69)가 합성 수지제이기 때문에, 자석(61)에 의한 자속을 흩뜨리는 일이 없다.
스위치 소자(63)는, 예를 들어 고속으로 온 오프 제어할 수 있는 병렬 접속된 2개의 FET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63a)를 가지고 있다. FET(63a)의 각 드레인 단자에, 직렬 접속된 코일(6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소자(63)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의 이면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표면과 반 대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속도 센서(41)는, 예를 들어, 투광부(44a)와 수광부(44b)를 가지는 반사형의 광전 센서(44)를 이용하고 있고, 회로 기판(70)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는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플랜지부(12a)의 외측면에는, 투광부(44a)로부터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판독 패턴(71)이 인쇄나 씰 붙이기나 반사판의 장착 등의 적당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속도 센서(41)의 수광부(44b)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여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을 검출한다.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는, 8단계의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 지지부(13)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제의 원반상의 손잡이 본체(73)와, 손잡이 본체(73)의 중심에 위치하는 금속제의 회동축(74)을 가지고 있다. 회동축(74)과 손잡이 본체(73)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일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의 개구부(6a)에 면하여 외부에 노출하는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팽창한 손잡이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주위는 오목하게 되어 있어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를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손잡이부(73a)의 일단에는 약간 오목하게 지침(73b)이 형성되어 있다. 지침(73b)에 대향하는 제1 측커버(6)의 개구부(6a)의 주위에는, 8개의 마크(75)가 같은 간격으로 인쇄나 씰 등의 적당한 형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전 환 손잡이(43)를 돌려 지침(73b)을 마크(75) 중 어느 하나에 맞추는 것에 의하여 제동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는,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의 회동 위치, 즉 제동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한 식별 패턴(76)이 같은 간격으로 인쇄나 씰 등의 적당한 형성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식별 패턴(76)은, 회전 방향으로 3종 10개의 선형(扇形)의 제1~ 제3 패턴(76a, 76b, 76c)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1 패턴(76a)은, 도 7에 좌측으로 내려가는 빗금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어 경면(鏡面)의 빛을 반사하는 패턴이다. 제2 패턴(76b)은, 도 7에 우측으로 내려가는 빗금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어 흑색의 빛을 반사하기 어려운 패턴이다. 제3 패턴(76c)은, 도 7에 크로스 빗금으로 그려지고 있고, 예를 들어 회색의 빛을 대략 반만 반사하는 패턴이다. 이 3종의 패턴(76a ~ 76c)의 편성에 의하여 8단계의 제동 모드 중 어느 것이 선택되었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패턴(76a ~ 76c)의 하나가 손잡이 본체(73)와 같은색의 경우에는,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을 그대로 이용하여 패턴을 따로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회동축(74)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 형성된 관통공(13b)에 장착되고, 스냅링(78)에 의하여 벽부(13a)에 계지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73)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 외측면 간에는 위치 결정 기구(77)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를 제동 모드에 따른 8단계의 위치로 위치 결정함과 함께, 회동 조작시에 발음하는 기구이다. 위치 결정 기구(77)는,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 형성된 오목부(73c)에 장착된 위치 결정 핀(77a)과, 위치 결정 핀(77a)의 선단이 계합하는 8개의 위치 결정 구멍(77b)과, 위치 결정 핀(77a)의 위치 결정 구멍(77b)을 향하여 압박하는 압박 부재(77c)를 가지고 있다. 위치 결정 핀(77a)은, 소경의 머리부와 그것보다 대경의 챙부와 소경의 축부를 가지는 축상의 부재이고, 머리부는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핀(77a)은, 오목부(73c)에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8개의 위치 결정 구멍(77b)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외측면에 관통공(13b)의 주위에 고정된 선형의 보조 부재(13c)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77b)은, 지침(73b)이 8개의 마크(75) 중 어느 하나에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풀 제어 유닛(42)은,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에 대향하는 외벽면에 장착된 회로 기판(70)과, 회로 기판(70)에 탑재된 제어부(55)를 가지고 있다.
회로 기판(70)은, 중심이 원형으로 개구하는 좌금 형상의 링상의 기판이고, 베어링 수납부(14)의 외주측에 스풀축(20)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코일(62)이 장착되는 표면과 반대측의 이면 간에 인쇄회로(72)를 가지는 것이다. 덧붙여, 도 5a 및 5b에서는, 인쇄회로(72)는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표리의 인쇄회로(72)의 일부는, 스루홀(72a)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의 외주측에는,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이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나 버젼업이나 소프트웨어의 설정 변경에 의하여 제어 패턴을 변경하는 등을 위해서 외부 기기(100, 도 8)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기기 접속부(91)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부(91)는, 외부 기기(100)에 접속 가능한,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복수의 입출력 단자(91b)를 가지고, 외부 기기(100)와 정보를 입출력 가능한 소켓(91a)을 포함하고 있다. 소켓(91a)은 회로 기판(70)에 놓이고, 각 입출력 단자(91b)는 인쇄회로(7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부(91)는, 기단이 회로 기판(70)에 장착되고 선단이 스풀 지지부(13)를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제1 측커버(6)를 열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기기 접속부(91)는, 입출력 단자(91b)가 외부로 노출하여 외부 기기(100)를 접속 가능하게 된다. 외부 기기 접속부(91)의 선단에는 캡 부재(96)가 장착되어 있다. 캡 부재(96)는, 외부 기기 접속부(91)의 입출력 단자(91b)를 방수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덧붙여 도 6에서는 캡 부재(96)를 제외한 상태를 그리고 있다.
회로 기판(70)은,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의 내측면에 3개의 나사(9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을 나사(92)에 의하여 고정할 때에는, 예를 들어, 베어링 수납부(14)에 임시로 놓여진 지그(jig)를 이용하여 심출하고, 회로 기판(70)이 스풀 축심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하여, 회로 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면, 회로 기판(70)에 고정된 코일(62)이 스풀 축심과 실질적으로 동심에 배치된다.
여기에서는, 회로 기판(70)이 릴 본체(1)를 구성하는 스풀 지지부(13)의 개방된 외벽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측커버(6)와의 사이의 공간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하여 릴 본체(1)의 스풀축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릴 본체(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70)이 스풀 지지부(13)의 스풀(12)의 플랜지부(12a)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60)의 주위에 배치된 코일(62)을 회로 기판(70)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일(62)과 회로 기판(70)을 접속하는 리드선이 불필요하게 되어, 코일(62)과 회로 기판(70)과의 절연 불량을 경감할 수 있다. 게다가, 코일(62)이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 회로 기판(70)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70)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코일(62)도 스풀 지지부(13)에 장착된다. 이 때문에, 스풀 제동 기구(25)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제어부(5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CPU(55a), RAM(55b), ROM(55c) 및 I/O인터페이스(55d) 등이 탑재되고, 또한 회로 기판(70)에 배치된 마이크로 컴퓨터(59)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55)의 ROM(55c)에는,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됨과 함께, 3개의 제동 처리 (후술)에 걸치는 제동 패턴이 각각 8단계의 제어 모드에 따라 격납되어 있다. 또한, 각 제어 모드시의 장력의 설정값이나 회전 속도의 설정값 등도 격납되어 있다. 제어부(55)에는, 외부 기기(100)에 접속 가능한, 예를 들어 USB 소켓과 같은 외부 기기 접속부(91)와, 스풀(12)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회전 속도 센서(41)와,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의 회동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패턴 식별 센서(4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55)에는, 스위치 소자(63)의 각 FET(63a)의 게이트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5)는, 각 센서(41, 45)로부터의 펄스 신호에 의하여 스풀 제동 유닛(40)의 스위치 소자(63)를 제어 프로그램 (후술)에 의하여, 예를 들어 주기 1/1000초의 PWM (펄스 폭 변조) 신호에 의하여 온 오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5)는, 8단계의 제동 모드에 있어서, 다른 듀티비(D)로 스위치 소자(63)를 온 오프 제어한다. 제어부(55)에는 전원으로서의 축전 소자(57)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은 회전 속도 센서(41)와 패턴 식별 센서(45)에도 공급된다.
패턴 식별 센서(45)는,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의 손잡이 본체(73)의 배면에 형성된 식별 패턴(76)의 3종의 패턴(76a ~ 76c)을 판독하기 위해서 설치되어 있다. 패턴 식별 센서(45)는, 투광부(56c)와 수광부(56d)를 가지는 2조의 광전 센서(56a, 56b)로 구성되어 있다.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전 센서(56a, 56b)는 회로 기판(70)의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 면하는 이면에 나란히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광전 센서(56a)의 수광부(56d)가 나란히 배치되고, 그 외측에 투광부(56c)가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수광부(56d)를 떨어뜨려 배치할 수 있어, 반대의 투광부(56c)로부터의 빛을 잘못 검출하기 어려워진다. 스풀 지지부(13)의 벽부(13a)에는, 광전 센서(56a, 56b)가 각 패턴(76a ~ 76c)을 향할 수 있도록 투공(13d, 13e)이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3종의 패턴(76a ~ 76b)을 판독하는 것에 의하여, 예를 들어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여 8단계의 제동 모드를 식별한다.
이제, 지침(73b)이 가장 약한 위치에 있을 때,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제1 패턴(76a)으로부터 반사광을 패턴 식별 센서(45)는 판독한다. 이 경우, 양 광전 센서(56a, 56b)는 상방 모두 가장 큰 광량을 검출한다. 이어서, 다음의 마크에 지침(73b)을 합치면, 도 5b의 좌측의 광전 센서(56b)는 제1 패턴(76a)에 위 치하여 강한 광량을 검출하는데, 우측의 광전 센서(56a)는 제2 패턴(76b)에 위치하여 거의 검출하지 않는다. 이들 검출 광량의 조합에 의하여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식별한다.
전원으로서 축전 소자(57)는,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를 이용하고 있고, 정류 회로(58)에 접속되어 있다. 정류 회로(58)는 스위치 소자(63)에 접속되어 있고, 회전자(60)와 코일(62)을 가지고 발전기로서 기능하는 스풀 제어 유닛(40)으로부터의 교류 전류를 직류로 변환하고 또한 전압을 안정화하여 축전 소자(57)로 공급한다.
또한, 이들 정류 회로(58) 및 축전 소자(57)도 회로 기판(70)에 탑재되어 있다. 이 회로 기판(7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리면에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59) 등을 포함하는 전기부품과 함께 빛을 투과하기 어렵도록 착색된 합성 수지 절연체제의 절연 피막(90)에 의하여 덮여 있다. 절연 피막(90)은, 마이크로 컴퓨터(59)나 광전 센서(44, 56a, 56b) 등의 전기부품이 장착된 회로 기판(70)을 세트한 금형(101, 도13)에 수지 기재를 주입하는 핫멜트 몰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단지, 나사(92)의 머리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의 표리나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 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에는, 절연 피막(9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외부 기기 접속부(91)가 장착된 영역에도 절연 피막(90)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외부 기기 접속부(91)를 덮으면 입출력 단자(91b)가 노출하도록 최후에 절연 피막(90)을 벗길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회로 기판(70)의 표면에서는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전 센서(44)가 배치된 경사한 제1 영역(97a)과, 축전 소자(57)나 정류 회로(58) 등이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어 3.3mm의 제2 영역(97b)과, 코일의 주위의 예를 들어 두께가 2.5mm의 제3 영역(97c)과, 그 외의 예를 들어 두께가 1mm의 제4 영역(97d)의 4개의 영역에서 다른 두께로 절연 피막(90)이 형성되어 있다.
광전 센서(44)의 투광부(44a)의 투광 부분 및 수광부(44b)의 수광 부분이 배치된 제1 영역(97a)에서는, 절연 피막(9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부(44a) 및 수광부(44b)를 일괄하여 덮도록 제3 영역(97c)으로부터 회로 기판(70)의 외주 가장자리를 향하여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70)의 이면에서는,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광전 센서(56a, 56b)가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어 2.2mm 및 1.8mm의 제1 영역(98a)과, 마이크로 컴퓨터(59) 및 스위치 소자(63)가 배치된 두께가 예를 들어 2.8mm의 2개의 분할된 제2 영역(98b)과, 그 외의 예를 들어 두께가 1mm의 제3 영역(98c)의 4개의 영역에서 다른 두께로 절연 피막(90)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 피막(90)은, 광전 센서(56a, 56b)의 투광부(56c)의 투광 부분 및 수광부(56d)의 수광 부분에서는, 투광부(56c)와 수광부(56d)에서 다른 두께 (투광부(56c)의 두께가 2.2mm, 수광부(56d)의 두께가 예를 들어 1.8mm)의 제1 영역(98a)에서 2개의 센서(56a, 56b)를 일괄하여 덮도록 회로 기판(70)으로부터 제3 영역(98c)보다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투수광부(44a, 56c, 44b, 56d)나 2개의 광센서(56a, 56b) 등을 일괄하여 덮는 것에 의하여, 투광부(44a, 56c), 수광부 (44b, 56d), 마이크로 컴퓨터(59) 및 스위치 소자(63) 등 전기부품을 덮도록 절연 피막(9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101)의 형상이 간소화하여 금형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영역(97a, 98a)에서의 절연 피막(90)은, 투광부(44a, 56c) 및 수광부(44b, 56d)의 투수광 부분의 주위를 선단이 개구하도록 통상으로 둘러싸 형성되어 있다. 투수광부(44a, 56c, 44b, 56d)의 투수광 부분을 통상으로 둘러싼 절연 피막(90)의 일부는, 투수광부에 대해서 차광부로서 기능한다.
이 절연 피막(90)의 통상 부분의 내주면 및 투수광 부분에는, 예를 들어 발수 스프레이에 의하여 발수 처리가 행해져 발수층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투수광 부분을 통상으로 둘러쌌기 때문에 통상 부분의 내주면에 수분이 부착하여도, 수분이 잔류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수분의 잔류나 수분 중에 포함된 불순물의 석출에 의한 오염을 억제할 수 있어, 그것에 의한 수광 부분에서의 투수광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덧붙여, 나사(92)의 머리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에 절연 피막(90)을 형성하지 않는 것은, 나사(92)의 머리부(92a)가 배치되는 영역(95)에 절연 피막(90)을 형성하면, 나사(92)를 끼울 때, 머리부(92a)의 절연 피막(90)으로의 접촉에 의하여 절연 피막(90)이 박리하여, 그것이 전체에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사(92)의 머리부가 배치되는 영역(95)을 절연 피막(90)으로 덮지 않으면, 나사(92)를 끼울 때 머리부(92a)가 절연 피막(90)에 접촉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절연 피막(90)이 박리하지 않게 되어, 박리에 의한 절연 불량이 생기기 어려워 진다.
또한,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 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을 절연 피막(90)으로 덮으면, 만일 투명한 절연 피막으로 덮어도 투광부(44a, 56c)로부터 투광되어 판독 패턴이나 식별 패턴으로부터 반사한 빛의 광량이 수광부(44b, 56d)까지의 사이에서 감쇠하여 수광부에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투수광 부분이 절연 피막(90)으로 덮여 있지 않기 때문에, 투광부(44a, 56c)로부터 조사되고, 또한 패턴으로 반사한 빛의 감쇠를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량의 감쇠나 다른 빛에 의한 광전 센서(44, 56a, 56b)의 오작동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또한, 절연 피막(90)으로서 유색의 빛을 투과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를 이용함과 함께, 광전 센서(44, 56a, 56b)의 투광부(44a, 56c)의 투광 부분 및 수광부(44b, 56d)의 수광 부분의 주위를 선단이 개구하도록 통상으로 둘러싸 절연 피막(90)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투수광 부분의 주위가 차광되어, 투수광 부분에서 주위로의 빛의 조사 및 주위로부터의 빛의 입사가 생기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투광부(44a, 56c)와 수광부(44b, 56d)를 근접하여 배치하여도, 투광부(44a, 56c)로부터 수광부(44b, 56d)에 직접 빛이 입사하기 어려워져, 더욱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회로 기판(70)을 덮도록 절연 피막(90)을 형성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절연 피막(90)을 핫멜트 몰딩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경우, 전기부품을 세트한 회로 기판을 금형 내에 장착한다. 그리고, 핫멜트 처리 장치를 사용하여 금형 내 에 핫멜트 봉지제(封止劑)를 저온, 저압력에서 금형에 주입한다. 그리고, 금형 내에서 냉각시키면 회로 기판의 표면에 절연 피막(9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70)을 포함하는 각부를 절연체제의 합성 수지의 절연 피막(90)으로 덮는 것에 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9) 등의 전기부품으로의 액체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는, 발전된 전력을 축전 소자(57)에 모아, 그 전력으로 제어부(55) 등을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전원의 교환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절연 피막(90)에 의한 봉지(封止)를 영속시킬 수 있어, 절연 불량에 의한 트러블을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실제 낚시를 할 때의 릴의 조작 및 동작〕
이 릴로 낚시를 행할 때에는, 우선, 축전 소자(57)에 전력을 모으기 위한 캐스팅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스팅을 행하면 코일(62)에서 전력이 발생하여 축전 소자(57)에 모을 수 있다. 이 축전 소자(57)에 모인 전력에 의하여 회로가 동작 가능하게 된다.
낚시터에서 캐스팅을 행할 때에는, 클러치 레버(17)를 하방으로 압압(押壓)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오프 상태로 한다. 이 클러치 오프 상태에서는, 스풀(12)이 자유 회전 상태가 되고, 캐스팅을 행하면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낚싯줄이 스풀(12)로부터 힘차게 방출된다. 이 캐스팅에 의하여 스풀(12)이 회전하면, 자석(61)이 코일(62)의 내주측을 회전하여, 스위치 소자(63)를 온하면 코일(62)로 전류가 흘러 스풀(12)이 제동된다. 캐스팅시에는 스풀(12)의 회전 속도는 서서히 빨라지고, 피크를 넘어가면 서서히 감속한다.
여기에서는, 자석(61)을 베어링(26b)의 근처에 배치해도, 그 사이에 자성체제의 와셔 부재(66)를 배치하고 또한 베어링(26b)과의 간격을 2.5mm 이상 떼어 놓았기 때문에, 베어링(26b)이 자기화하기 어려워져 스풀(12)의 자유 회전 성능이 향상한다. 또한, 코일(62)을 코어레스 코일로 하였기 때문에, 코깅이 생기기 어려워져, 한층 자유 회전 성능이 향상한다.
채비가 착수(着水)하면, 핸들(2)을 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켜 클러치 반환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클러치 기구(21)를 클러치 온 상태로 하여, 릴 본체(1)를 파밍하여 입질을 기다린다.
〔제어부의 제어 동작〕
다음으로, 캐스팅시의 제어부(55)의 브레이크 제어 동작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의 제어 플로차트 및 도 11 및 도 12의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캐스팅에 의하여 스풀(12)이 회전하여 축전 소자(57)에 전력이 모여 제어부(55)에 전원이 투입되면, 스텝 S1에서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각종 플래그나 변수가 리셋된다. 스텝 S2에서는, 외부 기기(100)와의 입출력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판단은, 예를 들어, 외부 기기 접속부(91)에 외부 기기(100)의 커넥터가 접속되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판단한다. 외부 기기(100)가 접속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2로부터 스텝 S25로 이행한다. 스텝 S25에서는, 외부 입출력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외부 기기(1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59)가 동작하고, PROM(55c)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이 갱신되거나, 격납된 수치를 외부 기기(100)로 출력 하거나, 격납된 제동력의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한다. 여기에서는, 외부 기기 접속부(91)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기기(100)와 액세스 할 수 있다.
스텝 S3에서는, 브레이크 전환 손잡이(43)에 의하여 어느 제동 모드(BMn) (n은 1 ~ 8의 정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 S4에서는, 제동 모드를 선택된 제동 모드(BMn)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하여, 이후의 제어에서 제어부(55) 내의 ROM으로부터 제동 모드(BMn)에 따른 듀티비(D)가 판독된다. 스텝 S5에서는, 회전 속도 센서(41)로부터의 펄스에 의하여 캐스팅 당초의 스풀(12)의 회전 속도(V)를 검출한다. 스텝 S7에서는, 스풀(12)로부터 방출되는 낚싯줄에 작용하는 장력(F)을 산출한다.
여기서, 장력(F)은, 스풀(12)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스풀(12)의 관성 모멘트(J)에서 구할 수 있다. 어느 시점에서 스풀(12)의 회전 속도가 변화하면, 이 때, 만약 스풀(12)이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을 받지 않고 단독으로 자유 회전하고 있을 경우의 회전 속도와의 차는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하여 발생한 회전 구동력 (토크)에 의하는 것이다. 이 때의 회전 속도의 변화율을 (Δω/Δt)라고 하면, 구동 토크(T)는, 하기 (1)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T=J×(Δω/Δt)ㆍㆍㆍㆍㆍ(1)
(1) 식으로부터 구동 토크(T)가 구해지면, 낚싯줄의 작용점의 반경 (통상은 15 ~ 20mm)으로부터 장력을 구할 수 있다. 이 장력이 소정 이하가 되었을 때에 큰 제동력을 작용시키면, 회전 속도의 피크의 전에 채비 (루어)의 자세가 반전하여 안정하게 비행하는 것을 본 발명자 등은 지견했다. 이 회전 속도의 피크의 전에 제 동하여 안정한 자세로 채비를 비행시키기 위하여 이하의 제어를 행한다. 즉, 캐스팅 당초에 단시간 강한 제동력을 작용시켜 채비를 반전시키고, 그 후 서서히 약하게 되고 또한 도중에서 일정하게 되는 제동력으로 서서히 제동하여 간다. 마지막으로, 소정 회전수까지 내려갈 때까지 더 서서히 약해지는 제동력으로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3개의 제동 처리를 제어부(55)는 행한다.
스텝 S8에서는, 회전 속도의 변화율(Δω/Δt)과 관성 모멘트(J) 간에 의하여 산출된 장력(F)이 소정치(Fs) (예를 들어, 0.5 ~ 1.5N의 범위의 어느 하나의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치(Fs)를 넘는 경우에는 스텝 S9로 이행하여 듀티비(D)를 10으로, 즉 주기의 10%만 스위치 소자(63)를 온하도록 제어하고, 스텝 S2로 돌아온다. 이것에 의하여, 스풀 제동 유닛(40)은 스풀(12)을 약간 제동하지만, 스풀 제동 유닛(40)이 발전하기 위하여, 스풀 제어 유닛(42)이 안정하게 동작한다.
장력(F)이 소정치(Fs) 이하가 되면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 스텝 S10에서는, 타이머(T1)를 스타트시킨다. 이 타이머(T1)는,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는 제1 제동 처리의 처리 시간을 정하는 타이머이다. 스텝 S11에서는, 타이머(T1)가 타임이 만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임이 만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이행하여, 타이머(T1)가 올라갈 때까지 제1 제동 처리를 행한다. 이 제1 제동 처리에서는, 도 11에 좌측으로 내려가는 빗금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제1 듀티비(Dn1)로 시간(T1)만큼 스풀(12)을 제동한다. 이 제1 듀티비(Dn1)는, 예를 들어 50 ~ 100% 듀티 (전체 주기의 50%에서 100%가 온 시간), 바람직하게는 70 ~ 90% 듀티의 범위이고, 스텝 S5에서 검출된 회전 속도(V)에 의하여 변화한다. 즉, 제1 듀티비(Dn1)는, 예를 들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 속도(V)의 함수 f1(V)에 제동 모드에 따라 소정의 듀티비(DnS)를 곱한 값이다. 또한, 시간(T1)은, 0.1 ~ 0.3초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로 제동하면 회전 속도의 피크 전에 스풀(12)을 제동하기 쉬워진다.
제1 듀티비(Dn1)는, 제동 모드(BMn)에 의하여 상하로 쉬프트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제동 모드가 최대일 때(n=1), 듀티비(D11)가 가장 크고 그리고 서서히 작아진다. 이와 같이 채비에 맞추어 강한 제동력을 단시간 작용시키면 채비의 자세가 낚싯줄 계지 부분으로부터 반전하여 낚싯줄 계지 부분이 앞으로 되어 채비가 비행한다. 이것에 의하여 채비의 자세가 안정하게 채비가 보다 멀리 날아가게 된다.
한편, 타이머(T1)가 타임이 만료했을 때에는,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2로 이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타이머(T2)가 이미 스타트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이머(T2)가 스타트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17로 이행한다. 타이머(T2)가 스타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14로 이행하여 타이머(T2)를 스타트시킨다. 이 타이머(T2)는, 제2 제동 처리의 처리 시간을 정하는 타이머이다.
스텝 S17에서는, 타이머(T2)가 타임이 만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타임이 만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8로 이행하고, 타이머(T2)가 올라갈 때까지 제2 제동 처리를 행한다. 이 제2 제동 처리에서는, 도 11에 우측으로 내려가는 빗금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초 급격하게 하강하고 그 후 서서히 하강하여 마지막에 일정한 값이 되는 변화하는 듀티비(Dn2)로 제2 소정 시간(T2)의 사이 스풀 (12)을 제동한다. 이 듀티비(Dn2)의 최소치는, 예를 들어 30 ~ 7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소정 시간(T2)는, 0.3 ~ 2초의 사이가 바람직하다. 이 제2 소정 시간(T2)도 제1 듀티비(Dn1)와 같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 속도(V)에 따라 변화한다. 예를 들어 캐스팅 당초의 스풀 회전 속도(V)의 함수 f2(V)에 소정 시간(TS)을 곱한 값이다.
또한, 제2 및 제3 제동 처리에서는 여분의 제동력을 컷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제동 보정 처리도 행해진다. 도 10의 스텝 S31에서는, 보정 장력(Fa)이 설정된다. 이 보정 장력(Fa)은, 도 1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의 함수이고, 시간과 함께 서서히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덧붙여, 도 12에서는, 제3 제동 처리에서의 보정 처리의 그래프를 도시하고 있다.
스텝 S32에서는 속도(V)를 읽어들인다. 스텝 S33에서는, 스텝 S7과 같은 순서로 장력(F)을 산출한다. 스텝 S34에서는, 얻어진 장력으로부터 하기 (2)식에 도시하는 판정식을 산출한다. 스텝 S35에서는 판정식으로부터 보정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단한다.
C=SSa×(F-SSd×회전속도)-(ΔF/Δt)ㆍㆍㆍㆍ(2)
여기서, SSa, SSd는, 회전 속도(rpm)에 대한 계수이고, 예를 들어 50이다. 또한, SSd는, 0.000005이다.
이 (2)식의 결과가 정일 때, 즉 검출된 장력(F)이 설정 장력(Fa)을 크게 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35에서의 판단이 Yes가 되어, 스텝 S36로 이행한다. 스텝 S36에서는, 미리 설정된 제2 듀티비(Dn2)로부터 일정양(Da) 감산한 듀티비(Dn2-Da)에 다음의 샘플링 주기 (통상은 1 회전마다)까지 보정한다.
스텝 S21에서는,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를 넘는 경우에는 스텝 S22로 이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제3 제동 처리를 행한다.
제3 제동 처리에서는, 도 12에 세로 줄무늬의 빗금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하강 비율이 작아지는 제2 제동 처리와 마찬가지인 시간과 함께 변화하는 듀티비(Dn3)로 제어한다. 그리고, 스텝 S11로 돌아와 스텝 S21로,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가 될 때까지 처리를 계속하고 또한, 제3 제동 처리에서도 제동 보정 처리는 실행된다.
속도(V)가 제동 종료 속도(Ve) 이하가 되면, 스텝 S2로 돌아온다.
여기에서는, 회전 속도의 피크 전에 강한 제동력으로 제동하면, 제1 소정치(Fs) 이하인 장력이 급격하게 커져 백래쉬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채비가 안정하게 비행한다. 이 때문에, 백래쉬를 방지하면서 채비의 자세를 안정시켜 보다 멀리 채비를 캐스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캐스팅 당초의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 3개의 제동 처리에서 다른 듀티비 및 제동 시간에 제어되기 때문에, 같은 설정이라도 스풀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다른 듀티비 및 제동 시간으로 스풀이 제동된다. 이 때문에, 스풀의 회전 속도가 다른 캐스팅을 행하여도 제동력의 조정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동력의 조정 조작에 드는 낚시꾼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외부 기기 접속부(91)를 회로 기판(70)에 직접 놓았지만,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기기 접속부(191)를 제1 측커버(6)에 장착되는 소켓부(191a)와, 회로 기판(70)에 장착되는 커넥터부(191b)와, 양부(191a, 191b)를 접속하는 케이블(191c)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 커넥터부(191b)가 배치되는 영역에 절연 피막(9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커넥터부(191b)를 회로 기판(70)에 장착되는 제1 커넥터(191d)와 제1 커넥터(191d)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제2 커넥터(191e)로 구성하면, 제1 커넥터(191d)만을 회로 기판(70)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끝나기 때문에, 제2 커넥터(191d)로부터 앞의 외부 기기 접속부(191)를 회로 기판(70)으로 접속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부를 설치하지 않고, 소켓부(391a)와, 소켓부(391a)에 접속되는 케이블(391c)과, 회로 기판(70)에 설치되어 케이블(391c) 접속용의 예를 들어 4개의 접점(391d)에서 외부 기기 접속부(391)를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케이블(391c)을 접점(391d)에 납땜 등의 접속 수단에 의하여 직접 접속하면 좋다. 또한, 케이블(391c)을 접점(391d)에 접속한 후에 접점(391d)을 케이블(391c)과 함께 절연 피막(90)으로 덮도록 하고 있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로 기판(70)에 장착되는 외부 기기 접속부(91, 191)를 개시하였지만, 도 14a,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70)에 형성되는 외부 기기 접속부(296)여도 무방하다. 외부 기기 접속부(296)는, 예를 들어 전자회로가 정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기기 (외부 기기(100)의 일례)를 접속하기 위해서 회로 기판(70)에 형성되어 있다. 외부 기기 접속부(296)에는, 검사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예를 들어 4개의 접점(296a ~ 296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의 검사가 종료하면, 외부 기기 접속부(296)가 형성된 영역에는, 예를 들어, 핫멜트 스프레이법에 의하여 절연 피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외부 기기 접속부(296)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낚시용품으로서 양 베어링 릴을 예시하고, 양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기구를 제어하는 스풀 제어 유닛의 전자회로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하였지만, 낚시용품은 낚시용 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시용 릴에 설치된 수심의 표시 장치나 릴과는 따로 설치된 낚시 정보의 표시 장치 등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표시 장치(120)는, 스풀에 감기는 낚싯줄의 선단에 장착된 채비의 수심이나 어군 탐지기의 정보 등의 낚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고, 릴과 별도로 설치되는 또는 릴에 설치되어 있다. 표시 장치(120)는, 회로 기판(121)과 회로 기판(121)에 장착된, 전기부품으로서의 제어부(122), 액정 디스플레이(123) 및 백라이트(124)와, 외부 기기 접속부(126)를 구비하고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123)는, 회로 기판(121)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백라이트(124)는, 회로 기판(121)과 액정 디스플레이(123) 간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디스플레이(123)와 회로 기판(121)과의 주위는 절연 피막(125)에 의하여 덮여 있다. 외부 기기 접속부(126)는, 회로 기판(121)의 이면 (액정 디스플레이(123)와 반대측의 면)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낚시용 릴이나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접속 가능한 것이다. 절연 피막(125)은 투광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제이고, 핫멜트 몰딩법에 의하여 외부 기기 접속부(126)를 제외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절연 피막(125)의 액정 디스플레이(123)의 대향면을 제외한 면은, 착색된 패턴에 의하여 덮여 있다.
또한, 회로 기판(121)에는 축전 소자 (도시하지 않음)가 장착되어 있다. 축전 소자는, 릴에 설치된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스풀의 회전에 의하여 발전하는 발전기구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릴과 별도로 설치된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축전 소자에 외부 기기 접속부(126)를 통하여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력이나 낚시의 정보를 무선에 의하여 얻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하여 절연할 수 없는 외부 기기 접속부를 제외하고 회로 기판 및 그것에 배치된 전기부품이 절연 피막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절연 성능을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방수를 위하여 케이스 내에 넣는 일 없이 외부에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용품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절연 피막으로 덮여 있지 않은 외부 기기 접속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외부 기기와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어, 외부로부터의 액세스가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낚시에 이용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에 있어서,
    표면에 인쇄회로를 가지는 회로 기판과,
    낚시용품을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된 복수의 전기부품과,
    상기 인쇄회로에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외부 기기 접속부와,
    상기 인쇄회로를 상기 전기부품과 함께 덮는 절연 피막
    을 구비한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는, 상기 인쇄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절연 피막은,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의 상기 일부 또는 전부가 회로 기판에 배치되는 영역 이외의 상기 인쇄회로를 덮고 있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품은, 릴 본체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가지는 낚시용 릴이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릴 본체의 외벽에 장착되어 있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상기 릴 본체와, 상기 스풀과,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회전 방향으로 복수의 자극(磁極)을 가지는 자석을 가지는 양 베어링 릴이고,
    상기 자석의 주위에 배치된 복수의 코일을 더 구비하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코일과 자석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상기 코일에 발생하는 전력을 스위칭 제어하여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筒狀)의 권사(卷絲) 몸통부와, 상기 권사 몸통부의 양단에 상기 권사 몸통부보다 대경으로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부를 가지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스풀의 회전축과 동심에 또한 상기 플랜지부의 한쪽에 대향하여 배치된 와셔 형상의 기판인,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인쇄회로를 표리 양면에 가지고 있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는,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와 상기 외부 기기 간에서 정보를 입력 및/또는 출력 가능한,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스풀에 작용하는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동력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는, 상기 전기부품이 탑재된 전자회로를 검사하는 외부 기기를 접속 가능한,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피막은, 상기 전기부품이 장착된 상기 회로 기판을 세트한 금형(金型)에 수지 기재(基材)를 주입하는 핫멜트(hotmelt) 몰딩법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스풀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는, 상기 릴 본체의 바깥쪽에 노출 가능하게 상기 회로 기판에 배치되어 있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 접속부를 덮는 탈착 가능한 캡 부재를 더 구비하는,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KR1020040032889A 2003-05-13 2004-05-11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KR101058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4900 2003-05-13
JP2003134900A JP4221243B2 (ja) 2003-05-13 2003-05-13 釣り用リールのスプールのアルマイト処理方法
JP2003160589A JP4384876B2 (ja) 2003-06-05 2003-06-05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JP-P-2003-00160589 2003-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906A KR20040097906A (ko) 2004-11-18
KR101058364B1 true KR101058364B1 (ko) 2011-08-22

Family

ID=3303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889A KR101058364B1 (ko) 2003-05-13 2004-05-11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188793B2 (ko)
EP (1) EP1477060B1 (ko)
KR (1) KR101058364B1 (ko)
CN (1) CN100407914C (ko)
AT (1) ATE329484T1 (ko)
DE (1) DE602004001164T2 (ko)
MY (1) MY134550A (ko)
SG (1) SG125114A1 (ko)
TW (1) TWI2996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785499B2 (ja) * 2005-11-15 2011-10-0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WO2008091189A1 (en) * 2007-01-23 2008-07-31 Anders Edvard Trell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certain functioning of a multiplier/bait casting reel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4926036B2 (ja) * 2007-12-28 2012-05-09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50A (ja) * 2007-12-28 2009-07-2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8602343B2 (en) * 2009-04-23 2013-12-10 James R. Strohecker Fishing reel with free spool controller
US20110278860A1 (en) * 2010-05-15 2011-11-17 Anthony Lupinacci Fishing reel power generator
JP5654270B2 (ja) * 2010-06-25 2015-01-1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5993705B2 (ja) * 2012-10-19 2016-09-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20140118099A (ko) * 2013-03-28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펜을 갖는 전자 장치
US9532558B2 (en) * 2013-08-01 2017-01-03 II David Lee Hamilton Power generating fishing reel and remote control lure system
US9420775B1 (en) 2014-06-25 2016-08-23 Roger Ridler Ice fishing reel with interior lights
JP6653582B2 (ja) * 2016-01-19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6857476B2 (ja) * 2016-09-30 2021-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及び両軸受リール
ES2695311A1 (es) * 2017-06-28 2019-01-03 Garrido Oscar Campos Carrete con freno electrónico
JP6861620B2 (ja) * 2017-12-15 2021-04-21 株式会社シマノ 検出装置および制御システム
KR102095305B1 (ko) * 2018-05-31 2020-04-0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가변식 스풀 플레이트를 구비한 베이트 캐스팅 릴
US11523597B2 (en) 2019-10-29 2022-12-13 Lindgren-Pitman, Inc. Dredge position controller
JP7316244B2 (ja) * 2020-03-24 2023-07-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制動装置、糸長計測装置及びいずれか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JP7330931B2 (ja) * 2020-08-27 2023-08-2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12568177A (zh) * 2020-11-30 2021-03-30 靖江恩沛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巡塘防止水体缺氧的增氧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27A (ja) 1998-06-22 2000-01-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0049434A (ja) 1998-07-30 2000-02-18 Rohm Co Ltd プリント回路基板およびプリント回路基板に対する耐湿防水処理方法
JP2002238413A (ja) 2001-02-16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7758A (en) * 1984-05-21 1987-10-06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icrocomputer
US4650161A (en) * 1984-11-30 1987-03-17 Daiwa Seiko Inc. Spinning reel having electronic line tension display means
US5236147A (en) * 1990-05-10 1993-08-17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computer line length display
JP2580087B2 (ja) * 1991-10-09 1997-02-1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2967910B2 (ja) * 1994-10-05 1999-10-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糸張力計測装置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
US5577679A (en) * 1994-10-24 1996-11-26 Thomas; Nelson A. Fishing rod which regulates rotational speed of spool during casting
US6249046B1 (en) * 1997-02-13 2001-06-19 Seiko Epson Corporati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mounting thereof, and circuit board mounted with the semiconductor device
JP3903403B2 (ja) * 1998-03-13 2007-04-11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H11332436A (ja) 1998-05-13 1999-12-07 Johnson Worldwide Assoc Inc ベイトキャスティング制御魚釣りリ―ル
JP2000201601A (ja) * 1999-01-13 2000-07-25 Seiko Epson Corp 魚釣用リ―ル
JP2001077518A (ja) * 1999-09-01 2001-03-23 Fujitsu Ltd 電子部品実装プリント基板および電子部品取り外し方法
JP3668066B2 (ja) * 1999-09-01 2005-07-0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パッケージ用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000141A (ja) * 2000-06-26 2002-01-08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の糸長計測装置
JP2002095390A (ja) * 2000-09-22 2002-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2125544A (ja) * 2000-10-25 2002-05-08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US6591222B2 (en) * 2001-04-27 2003-07-08 W.C. Bradley/Zebco Holdings, Inc. Reel mechanism with line tension/fish weight indicator
KR100380722B1 (ko) * 2001-06-12 2003-04-18 삼성전기주식회사 접착강도가 개선된 절연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US20050109533A1 (en) * 2002-08-27 2005-05-26 Fujitsu Limi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at can easily provide insulating film between projecting electrodes
TWI298621B (en)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JP3808073B2 (ja) * 2003-12-05 2006-08-09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キーシート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4727A (ja) 1998-06-22 2000-01-11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ル
JP2000049434A (ja) 1998-07-30 2000-02-18 Rohm Co Ltd プリント回路基板およびプリント回路基板に対する耐湿防水処理方法
JP2002238413A (ja) 2001-02-16 2002-08-27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34550A (en) 2007-12-31
CN1550133A (zh) 2004-12-01
TW200500004A (en) 2005-01-01
KR20040097906A (ko) 2004-11-18
ATE329484T1 (de) 2006-07-15
EP1477060A1 (en) 2004-11-17
TWI299653B (en) 2008-08-11
DE602004001164T2 (de) 2007-04-26
CN100407914C (zh) 2008-08-06
US20040227029A1 (en) 2004-11-18
DE602004001164D1 (de) 2006-07-27
US7188793B2 (en) 2007-03-13
EP1477060B1 (en) 2006-06-14
SG125114A1 (en) 2006-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364B1 (ko)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KR101055245B1 (ko) 이중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KR101178773B1 (ko) 이중 베어링 릴 및 그것에 이용되는 스풀 제동 장치
KR101007837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장치
US7165737B2 (en)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2009159849A (ja) 両軸受リール
JP2009159849A5 (ko)
JP4039951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4384876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6230359A (ja) 両軸受リール
JP4926036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2009159848A5 (ko)
KR101047072B1 (ko) 낚시용품의 전자회로 장치
JP4266707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3977748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4266709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4266708B2 (ja) 釣り用リールの電子回路装置
JP4475890B2 (ja)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3977746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3977747B2 (ja) 両軸受リールの制動装置
JP2006230358A (ja) 両軸受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