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5383A - 4방향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4방향 스위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65383A KR20050065383A KR1020040111003A KR20040111003A KR20050065383A KR 20050065383 A KR20050065383 A KR 20050065383A KR 1020040111003 A KR1020040111003 A KR 1020040111003A KR 20040111003 A KR20040111003 A KR 20040111003A KR 20050065383 A KR20050065383 A KR 200500653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operating body
- slider
- operating
- straight lin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체를 간단하게 4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유지 가능하고, 4방향의 가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평면으로 본 경우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는 4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조작체(3)를 씌우고, 그 조작체(3)의 평면방향의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그 조작체(3)를 제 2 축부(2c)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케이스(1)에 제 1 축부(2b)로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구동체(2)와, 구동체(2)에 대향시키고, 조작체(3)의 조작에 따르는 상기 구동체(2)의 회전방향의 조작으로 그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에 의하여 슬라이더(7)를 가압하여 조작되는 한 쌍의 중공 돌출부(6b)와, 조작체(3)에 대향시켜 그 조작체(3)의 조작에 따르는 그 조작체(3)의 회전방향의 조작으로 그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에 의하여 슬라이더(7)를 가압하여 조작되는 다른 한 쌍의 중공 돌출부(6b)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작체의 4방향의 가압동작에 따라 스위칭동작하는 4방향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4방향 스위치장치의 종래기술로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몸체에 구비되는 좌우 미러의 각도 등을 운전석에서 원격 조작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미러 스위치가 있고, 이것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도 6은 종래의 4방향 스위치장치의 일 방향(뒤에서 설명하는 도 8에 있어서의 A-A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4방향 스위치장치의 다른방향(도 8에 있어서의 B-B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상기 4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4방향 스위치장치는, 주로 스위치장치의 외각(外殼)을 형성하는 케이싱(21)과, 이 케이싱(21)에 설치된 개구부(22)로부터 노출되는 조작체(23)와, 이 조작체(23)를 다방향으로 경도 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체(24)와, 상기 케이싱(21)에 고정된 프린트 기판(25)과, 이 프린트 기판(25)상에 탑재된 고무시트(26)와, 이 고무시트(26)와 상기 조작체(23)와의 사이에 개설된 4개의 슬라이더(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체(23)는 개구부(22)로부터 돌출하는 합성수지제의 커버(28)와, 이 커버(28)의 이면에 장착되는 합성수지제의 회동체(29)로 이루어지고, 이들 커버(28)와 회동체(29)는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커버(28)의 표면에는 경도방향을 나타내는 4개의 표시부(28a)가 형성되어 있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커버(28)의 이면 중앙부분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규제편(30)이 일체로 성형되고, 이들 규제편(30)은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규제편(30)의 바깥쪽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걸어멈춤편(31)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체(29)의 표면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스토퍼편(32)이 일체로 성형되고, 이들 스토퍼편(32)은 고리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스토퍼편(32)의 사이로부터 회동체(29)의 중심을 향하여 4개의 연결부(33)가 연장되어 있고, 각 연결부(33)의 교점위치에 구형상체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스토퍼편(32)과 각 연결부(33) 및 구형상체부(34)로 둘러싸이는 부분은 각각 관통구멍(35)으로 되어 있다. 또 각 스토퍼편(32)의 바깥쪽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탄성편(36)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각 걸어멈춤편(31)을 대응하는 탄성편(36)에 스냅결합함으로써 커버(28)와 회동체(29)가 일체화되도록 되어 있다. 그때 각 규제편(30)은 대응하는 관통구멍(35) 내에 삽입되어 각 규제편(30)과 구형상체부(3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확보된다.
상기 지지체(24)는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21)에 스냅결합 등의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체(24)의 중앙부분에는 십(十)자형의 슬릿(37)에 의하여 분할된 4개의 유지편(38)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각 슬릿(37)의 바닥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연장 돌출벽(39)의 선단에 가이드부(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유지편(38)은 만곡형상을 이루고, 상기한 조작체(23) 중, 구형상체부(34)는 각 유지편(38)의 상단으로부터 내부로 끼워 넣어짐과 동시에, 각 연결부(33)는 대응하는 슬릿(37) 내에 삽입되고, 또한 각 규제편(30)의 안쪽은 대응하는 유지편(38)의 외주면에 맞닿음과 동시에, 각 규제편(30)의 바깥쪽은 각 스토퍼편(32)에 맞닿아 있다. 또 각 가이드부(40)에 상기 슬라이더(27)가 삽입되어 있고, 이들 슬라이더(27)는 가이드부(40)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슬라이더(27)는 아크릴수지 등의 투명한 도광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은 상기 회동체(29)의 하면에 맞닿고, 그 하단은 뒤에서 설명하는 고무시트(26)의 중공 돌출부(44)상에 맞닿아 있다.
상기 프린트 기판(25)에는 광원으로서의 램프(41)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램프(41)를 중심으로 하는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접점(42)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무시트(26)에는 램프(41)가 삽입되는 개공(開孔)(43)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개공(43)을 중심으로 하는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4개의 중공 돌출부(44)가 팽출 형성되어 있고, 각 중공 돌출부(44)의 안 바닥부에 형성된 가동접점(45)과 프린트 기판(25)상의 각 고정접점(42)으로 4세트의 스위치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고무시트(26)는 프린트 기판(25)상에 탑재되고, 양자는 도시 생략한 핀 구멍 등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 스위치장치를 조립함에 있어서는, 먼저 지지체(24)의 각 가이드부(40) 내에 슬라이더(27)를 삽입하여 이 지지체(24)를 케이싱(21)의 내면에 고정한다. 이어서, 회동체(29)의 각 연결부(33)를 지지체(24)의 대응하는 슬릿(37)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구형상체부(34)를 각 유지편(38)의 상단으로부터 내부에 끼워 넣는다. 이 시점에서 커버(28)는 회동체(29)에 일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구형상체부(34)를 각 유지편(38)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각 유지편(38)은 관통구멍(35) 내를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하고 나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구형상체부(34)를 각 유지편(38)에 스냅인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커버(28)의 각 규제편(30)을 대응하는 관통구멍(35)에 일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커버(28)를 회동체(29)에 대하여 밀어 넣으면 각 걸어멈춤편(31)이 탄성편(36)에 스냅결합하여, 커버(28)와 회동체(29)가 일체화된다. 그 결과, 각 규제편(30)이 각 유지편(38)의 외주면에 맞닿아 유지편(38)의 넓어짐이 방지되어, 구형상체부(34)는 각 유지편(38)에 확실하게 유지된다. 또한 각 규제편(30)의 바깥쪽에는 스토퍼편(32)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규제편(30)의 바깥쪽으로의 변형이 스토퍼편(32)에 의하여 저지되어, 유지편(38)의 넓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다방향 입력 스위치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비조작시의 상태로부터 커버(28)의 주변부, 예를 들면 도 7의 오른쪽을 밀어 넣으면, 구형상체부(34)가 지지체(24)의 유지편(38)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28)와 회동체(29)[조작체(23)]는 구형상체부(34)를 중심으로하여 도 7의 시계방향으로 경도(傾倒)한다. 이에 따라 도 7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슬라이더(27)가 회동체(29)에 의하여 밀어 내려져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고무시트(26)의 중공 돌출부(44)를 누르기 때문에, 상기 중공 돌출부(44)가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가동접점(45)이 이것에 대향하는 고정접점(42)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도상태의 커버(28)로부터 손을 떼면 고무시트(26)의 중공 돌출부(44)의 탄발력에 의하여 슬라이더(27)를 거쳐 회동체(29)가 하강하고 있는 쪽이 밀어 올려져, 조작체(23)는 도 6과 도 7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접촉상태에 있는 가동접점(44)은 고정접점(42)으로부터 이간되어 다시 스위치 오프의 상태가 된다. 또 야간 등의 어두운 곳에서 램프(41)를 점등시키면 램프(41)의 빛은 각 슬라이더(27)를 거쳐 커버(28)의 이면으로 유도되어 각 표시부(28a)가 조광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0-106397호 공보
그러나, 종래예에서는 조작체(23)는 커버(28)와 회동체(29)로 이루어지고, 회동체(29)[조작체(23)]의 구형상체부(34)를 케이싱(21)의 각 유지편(38)에 스냅결합함과 동시에, 규제편(30)에 의하여 각 유지편(38)의 넓어짐을 방지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구형상체부(34)의 위쪽으로의 각 유지편(38)으로부터의 빠짐방지는 구형상체부(34)와 각 유지편(38)과의 스냅결합에 의한 걸림부분밖에 없기 때문에, 조작체(23)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지면 구형상체부(34)가 각 유지편(38)으로부터 빠져 조작체(23)가 빠질 가능성이 있어, 기계적인 강도를 높이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슬라이더(27)를 도광체로하여 조작체(23)에 광을 유도하는 구성이나, 이 슬라이더(27)는 4개 필요하고, 발광체를 많이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고, 또 확실하게 광을 유도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지편(38) 및 유지편(38)의 케이싱(21)으로부터의 지지부가 있기 때문에 중앙에 하나의 도광체를 배치하고, 이것으로서 조광시키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체를 강고하고 또한 간단하게 4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유지 가능하고, 4방향의 가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 평면으로 본 경우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고, 또한 조광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4방향 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는 조작체와, 상기 조작체가 고정되고, 그 조작체를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를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조작체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그 조작체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그 조작체에 의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스위치와, 상기 구동체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체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상기 구동체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른 한 쌍의 스위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조작체를 간단하게 4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유지 가능하고, 4방향의 가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체와 구동체의 회전유지의 위치관계와, 조작체와 구동체의 스위치 가압부의 위치관계로부터 평면으로 본 경우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에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와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를 설치하고, 그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사이에서 상기 구동체에 대하여 상기 조작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의 아래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를 상기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에서 상기 구동체를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의 바깥쪽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상기 조작체로 가압하도록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평면으로 본 제품의 소형화를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를 도광체로 형성하고, 그 구동체의 바닥면에 조광부를 설치한 구성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광구조로 할 수 있고, 또 조작체의 중앙에도 조광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부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체의 내면에 근접하여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의 일 실시예를 상기한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자동차의 미러 스위치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를 일부 노치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4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4방향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4방향 스위치장치는, 주로 아래쪽이 개방되어 스위치장치의 외각을 형성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의 위쪽에 설치된 개구부(1a)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케이스(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구동체(2)와, 이 구동체(2)상을 덮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구동체(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조작체(3)와, 상기 케이스(1)의 하면을 덮는 커버(4)와, 이 커버(4)에 고정되어 복수의 고정접점의 패턴 등이 인쇄된 프린트 기판(5)과, 이 프린트 기판(5)상에 탑재된 고무시트(6)와, 이 고무시트(6)와 상기 구동체(2) 및 조작체(3)의 사이에 개설된 4개의 슬라이더(7)로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1)에는 좌우의 미러 구동의 선택의 전환제어하는 좌우의 미러전환 조작 손잡이(8)와, 미러전환 조작 손잡이(8)가 설치되는 슬라이드 스위치(9)와, 미러 개폐 구동용 슬라이더(10)와, 미러 개폐 구동용 슬라이더(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푸시버튼(11)이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1)에는 그 상면에 대략 사각형의 개구부(1a)와, 개구부(1a)의 4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설치된 벽부(1b)와, 1세트의 대향 가장자리 벽부(1b)상에 돌출 설치된 3각형상의 지지편(1c)과, 한 쌍의 지지편(1c)의 상부에 설치된 베어링구멍(1d)과, 벽부(1b)를 둘러싸도록 돌출 설치된 원통형상부(1e)와, 베어링구멍(1d, 1d)을 연결하는 선상(線上) 및 그 선에 직교하는 선상에서 원통형상부(1e)를 4개로 분할하고 있는 노치부(1f)와, 원통형상부(1e)의 안쪽에서 노치부(1f)에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슬라이더(7)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구멍(1g)과, 측벽면에 형성되어 커버(4)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1h)이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1)에는 좌우의 미러전환 조작 손잡이(8)를 꽂아 넣어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긴 구멍(1i)과, 미러 개폐 구동용 슬라이더(10) 및 푸시버튼(11)을 밀어 넣음 조작 가능한 원통형상의 푸시버튼 수납부(1j)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체(2)는 도광체로 이루어지고, 사각기둥형상의 본체부(2a)와, 본체부(2a)의 하나의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고, 케이스(1)의 베어링구멍(1d, 1d) 사이에 축 지지되는 제 1 축부(2b)와, 본체부(2a)의 다른 대향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제 1 축부(2b)와 직교 배치로 설치되어 조작체(3)가 축 지지되는 제 2 축부(2c)와, 제 1 축부(2b)와 제 2 축부(2c)의 위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조작체(3)의 내면에 근접되고, 조작체(3)의 표시부(3a)에 대향한 평면을 가지고 광을 유도하여 조광하는 날개부(2d)와, 제 2 축부(2c)의 하부에 오목단부가 형성되어 제 2 축부(2c)의 축심(일직선)상 또는 그 바로 밑에 설치된 슬라이더 가압부(2e)와, 본체부(2a)의 바닥면에 형성된 오목 구면형상의 입광부(2f)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 1 축부(2b)는 제 2 축부(2c)보다 짧게 형성되고, 또 제 1 축부(2b)상의 날개부(2d)도 제 1 축부(2b)의 부근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으며, 따라서 이 부분에 공간이 구성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를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체(2)는 케이스(1)의 베어링구멍(1d)에 축지지된 제 1 축부(2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구동체(2)의 제 2 축부(2c)는, 조작체(3)의 평면방향의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조작체(3)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한편 제 1 축부(2b)는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구동체(2)를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제 1 축부(2b) 및 제 2 축부(2c)는 베어링구멍(1d, 3c)에 설치할 때, 원활하게 끼워 넣도록 모따기가 이루어지고, 또 이 모따기 부분이 슬라이딩 접촉하는 베어링구멍(1d, 3c)측에도 모따기가 이루어져 있고, 또 양베어링구멍(1d, 3c)측이 그 탄성에 의하여 밀어 넓혀져 끼워 넣어진다.
조작체(3)는 정점부를 평탄하게 한 돔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 및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4개소 설치된 표시부(3a)와, 하단부 둘레 가장자리의 4개소에 돌출 설치된 플랜지부(3b)와, 직경상의 위치의 하단부에 아래쪽으로 링형상부를 형성하여 구멍이 형성되고, 한 쌍의 구멍에 구동체(2)의 제 2 축부(2c)를 삽입하여 축 지지하는 한 쌍의 베어링구멍(3c)과 한 쌍의 베어링구멍(3c)과 직교하는 직경상 배치로 안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한 쌍의 슬라이더 가압부(3d)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자유로운 구동체(2)의 제 2 축부(2c)가 베어링구멍(3c)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체(2)의 회전중심의 축심방향과 직교하는 제 2 축부(2c)에 조작체(3)가 축 지지되어 있고, 결국 조작체(3)는 4방향으로 가압 조작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플랜지부(3b)에 의하여 조작체(3)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또, 조작체(3)의 한 쌍의 슬라이더 가압부(3d)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축부(2c)보다 짧은 제 1 축부(2b) 및 이 제 1 축부(2b)의 부근에 날개부(2d)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구성한 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조작체(3)의 회전동작에 의하여 슬라이더 가압부(3d)는 대응하는 슬라이더(7)를 밀어 내린다.
각 슬라이더(7)는 케이스(1)의 각 가이드구멍(1g)에 삽입되어 있고, 이들 슬라이더(7)는 가이드구멍(1g)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안내되어 있다. 슬라이더(7)는 원주형상이고, 그 상단은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 또는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에 맞닿고, 그 하단에는 빠짐방지용 플랜지부(7a)가 형성되어, 뒤에서 설명하는 고무시트(6)의 중공 돌출부(6b)상에 맞닿아 있다.
커버(4)는 케이스(1)의 하부 개방단을 폐쇄함으로써 케이스(1)와 커버(4)는 스냅 결합되어 미러 스위치장치의 외각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4)에는 프린트 기판(5)을 고정하는 나사를 나사결합하는 고정부(4a)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5)에는 광원으로서의 램프(5a)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램프(5a)를 중심으로 하는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복수의 고정접점(5b)이 설치되어 있다. 또 프린트 기판(5)에는 상기 나사 삽입용 구멍부(5c)와, 상기 고정접점(5b)을 포함하는 회로패턴에 접속되어 외부 기기와 접속되는 복수의 단자(5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무시트(6)에는 램프(5a)가 삽입되는 개공(6a)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개공(6a)을 중심으로 하는 약 90도의 등간격으로 4개의 중공 돌출부(6b)가 팽출 형성되어 있고, 각 중공 돌출부(6b)의 안 바닥부에 형성된 가동접점(6c)과 프린트 기판(5)상의 각 고정접점(5b)으로 4세트의 스위치소자가 구성되어 있다. 이 고무시트(6)는 프린트 기판(5)상에 탑재되고, 양자는 도시 생략한 핀과 구멍 등에 의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다. 6d는 미러 개폐 구동용 슬라이더(10)에 의해 가압되는 중공 돌출부이다. 또한 중공 돌출부(6b)는 슬라이더(7)의 하면을 위쪽으로 가세하여 슬라이더(7)의 상단부가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 또는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에 압접(壓接)되고, 조작체(3)는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구동체(2) 및 조작체(3)가 회전되면 슬라이더(7)의 상단이 슬라이더 가압부(2e) 또는 슬라이더 가압부(3d)로부터 떨어져도 빠짐방지용 플랜지부(7a)에 의해 빠짐방지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비조작시의 상태에서는 각 중앙 돌출부(6b)의 탄성력이 각 슬라이더(7)를 거쳐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 및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에 각각 부여되여, 구동체(2) 및 조작체(3)는 중립위치[조작체(3)의 상면이 수평상태]에 유지되어 있다. 이 중립위치로부터 조작체(3)의 주변부, 예를 들면 도 4의 오른쪽 표시부(3a) 부근을 밀어 넣으면, 조작체(3)는 제 2 축부(2c)로 연결된 상태의 구동체(2)와 함께 케이스(1)의 베어링 구멍(1d)에 축 지지된 제 1 축부(2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조작체(3)[구동체(2)]는 도 4의 시계회전방향으로 경도한다. 이에 따라 도 4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슬라이더(7)가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에 의해 눌러지고,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고무시트(6)의 중공 돌출부(6b)를 누르기 때문에, 그 중공 돌출부(6b)가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가동접점(6c)이 이것에 대향하는 고정접점(5b)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도상태의 조작체(3)로부터 손을 떼면 고무시트(6)의 중공 돌출부(6b)의 탄발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를 거쳐 구동체(2)가 하강하고 있는 쪽의 슬라이더 가압부(2e)가 밀어 올려져 구동체(2) 및 조작체(3)는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접촉상태에 있던 가동접점(6b)은 고정접점(5b)으로부터 이간되어, 다시 스위치 오프의 상태가 된다. 또한 조작체(3)의 상기 조작시에는 조작체(3)는 도 4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경도할 뿐이고, 구동체(2)에 대하여 제 2 축부(2c)(도 5 참조)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조작체(3)의 한 쌍의 슬라이더 가압부(3d)는 슬라이더(7)의 구면형상 상단을 슬라이딩 이동하나, 한 쌍의 슬라이더(7)는 밀어 내려지지 않고, 이들 스위치소자는 오프인 채이다.
한편, 상기한 표시부(3a)와 인접하는 표시부(3a) 부근을 밀어 넣는 동작을 설명하면, 이 경우는 도 5의 좌측이나 우측의 표시부(3a)를 밀어 넣는다. 예를 들면 도 5의 우측의 표시부(3a) 부근을 밀어 넣으면, 조작체(3)는 구동체(2)의 제 2 축부(2c)를 중심으로 하여 도 5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경도한다. 이때 조작체(3)와 제 2 축부(2c)로 연결되어 있는 구동체(2)는 그 양 제 1 축부(2b)가 케이스(1)의 베어링 구멍(1d)에 축 지지되어 있어 구동체(2)는 조작체(3)와 함께는 경도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조작체(3)의 경도동작에 따라 도 5의 우측에 위치하는 슬라이더(7)가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에 의해 눌러지고, 그 바로 밑에 위치하는 고무시트(6)의 중공 돌출부(6b)를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중공 돌출부(6b)가 좌굴 변형되어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가동접점(6c)이 이것에 대향하는 고정접점(5b)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경도상태의 조작체(3)로부터 손을 떼면 고무시트(6)의 중공 돌출부(6b)의 탄발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를 거쳐 조작체(3)가 하강하고 있는 쪽의 슬라이더 가압부(3d)가 밀어 올려져 조작체(3)는 도 5에 나타내는 초기상태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접촉상태에 있던 가동접점(6b)은 고정접점(5b)으로부터 이간되어, 다시 스위치 오프의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체(3)가 도 5에서 시계회전방향으로 경도할 때, 구동체(2)는 제 2 축부(2c)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도 4참조), 따라서 구동체(2)의 한 쌍의 슬라이더 가압부(2e)는 슬라이더(7)의 구면형상 상단을 슬라이드 이동하나, 한 쌍의 슬라이더(7)는 밀어 내려지지 않고, 이들 스위치소자는 오프인 채이다.
또, 야간 등의 어두운 곳에서 램프(5a)를 점등시키면 구동체(2)의 본체부(2a)의 바닥면 아래쪽에 있는 램프(5a)의 빛은 구동체(2)의 입광면(3f)으로부터 입광하여 본체부(2a) 내를 거쳐 날개부(2d)로 유도되고, 날개부(2d)의 평탄형상의 출사면으로부터 조작체(3)의 각 표시부(3a) 이면으로 출사되어 조작체(3)의 중앙 표시부(3a) 및 주변의 각 표시부(3a)가 조광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체(2)에 제 1 축부(2b) 및 제 2 축부(2c)를 설치하고, 이들을 축 지지하는 베어링 구멍(1d, 3c)을 조작체(3), 케이스(1)에 설치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베어링부를 구성하는 축부와 베어링 구멍을 반대의 부재에 배치하여도 좋고,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도 실시예의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체(2)의 슬라이더 가압부(2e)를 제 2 축부(2c)의 축심(일직선)상 또는 그 바로 밑에 배치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축심(일직선)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축심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 또는 그 아래쪽 위치)이어도 좋다. 또 이에 따라 스위치의 위치를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즉,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의 일직선과 이것에 직교하는 일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위에 90°간격으로 4개의 스위치를 배치하였으나, 한 쌍의 스위치, 및 다른쪽의 한 쌍의 스위치의 각각의 쌍은 상기 직선 또는 이것과 직교하는 직선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위치는 4개 있고, 조작체(3)에 가압되는 것이 한 쌍의 스위치에 상당하고, 구동체(2)에 가압되는 것이 다른 스위치에 상당한다. 또 일직선은 조작체(3)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며, 직교하는 일직선은 구동체(2)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체(2)의 제 1 축부(2b)를 제 2 축부(2c)보다 짧게 하여 구동체(2)의 제 1 축부(2b)의 선단 바깥쪽에 공간(결핍부)을 설치하고 있고 그 공간에 조작체(3)의 슬라이더 가압부(3d)를 배치하여 슬라이더(7)를 가압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결락부를 형성하지 않고 구동체(2)에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슬라이더(7)를 삽입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조작체(3)와, 조작체(3)가 고정되고, 그 조작체(3)를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동체(2)와, 구동체(2)를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1)와, 조작체(3)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3)의 조작에 따라 그 조작체(3)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그 조작체(3)에 의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스위치와, 구동체(2)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조작체(3)의 조작에 따라 그 구동체(2)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그 구동체(2)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른 한 쌍의 스위치를 구비하기 때문에 조작체(3)를 간단하게 4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유지 가능하여, 4방향의 가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조작체(3)의 플랜지부(3b)의 부근을 가압하면 90° 인접하는 한 쌍의 스위치가 가압되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된 사용방법은 아니다. 또 조작체(3)와 구동체(2)의 회전유지를 위한 베어링부[제 1 축부(2b)와 제 2 축부(2c), 베어링 구멍(1d, 3c)]의 위치관계와, 조작체(3)와 구동체(2)의 스위치의 가압부(2e, 3d)의 위치관계로부터 평면으로 본 경우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 구동체(2)에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제 2 축부(2c)와 베어링 구멍(3c)]와,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제 1 축부(2b)와 베어링 구멍(1d)]를 설치하고, 그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에서 구동체(2)에 대하여 조작체(3)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의 아래쪽에 다른쪽의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보다 짧게 형성한 상기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로 하고, 그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로 구동체(2)를 케이스(1)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제 1 축부(2b)와 베어링구멍(1d)] 사이의 바깥쪽에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조작체(3)로 가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평면으로 본 제품의 소형화를 할 수 있다. 이것은 조작체(3)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동체(2)부분이 방해되어 그 방향의 스위치[슬라이더(7)]는 구동체(2)로 가압한 쪽이 공간효율이 좋다. 이것을 모든 스위치[슬라이더(7)]를 조작체(3)로 가압하는 구성으로 하면 장치가 커져 버리나, 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 구동체(2)를 도광체로 형성하고, 그 구동체(2)의 바닥면에 조광부[입광부(2f), 램프(5a)]를 설치한 구성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조광장치로 할 수 있고, 또 조작체(3)의 중앙에도 조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체를 간단하게 4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유지 가능하고, 4방향의 가압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조작체와 구동체의 회전유지의 위치관계와, 조작체와 구동체의 스위치 가압부의 위치관계로부터 평면으로 본 경우의 공간을 유효 활용할 수 있다. 또 조광구조를 종래에 비하여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4방향 스위치장치를 일부 노치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상기 4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4방향 스위치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5-5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4방향 스위치장치의 일 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4방향 스위치장치의 다른방향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종래의 4방향 스위치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구동체
2b : 제 1 축부 2c : 제 2 축부
1d, 3c : 베어링구멍 2e, 3d : 슬라이더 가압부
2f : 입광부 3 : 조작체
5a : 램프 7 : 슬라이더
Claims (4)
- 조작체와,상기 조작체가 고정되고, 그 조작체를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구동체와,상기 구동체를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케이스와,상기 조작체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그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그 조작체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그 조작체에 의하여 가압되는 한 쌍의 스위치와,상기 구동체에 대향시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따라 그 구동체가 상기 소정의 일직선과 직교하는 방향의 일직선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였을 때에, 그 구동체에 의하여 가압되는 다른 한 쌍의 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체에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와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를 설치하고, 그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에서 상기 구동체에 대하여 상기 조작체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의 아래쪽에 상기 다른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를 상기 한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보다 짧게 형성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로 상기 구동체를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고, 상기 다른쪽의 한 쌍의 베어링부 사이의 바깥쪽에 상기 한 쌍의 스위치를 배치하여 상기 조작체로 가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스위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체를 도광체로 형성하고, 그 구동체의 바닥면에 조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스위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체의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날개부를 설치하여 상기 조작체의 내면에 근접하여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방향 스위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3427252A JP4317741B2 (ja) | 2003-12-24 | 2003-12-24 | 4方向スイッチ装置 |
JPJP-P-2003-00427252 | 2003-12-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5383A true KR20050065383A (ko) | 2005-06-29 |
KR100646691B1 KR100646691B1 (ko) | 2006-11-23 |
Family
ID=3469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11003A KR100646691B1 (ko) | 2003-12-24 | 2004-12-23 | 4방향 스위치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7078632B2 (ko) |
JP (1) | JP4317741B2 (ko) |
KR (1) | KR10064669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13688B2 (ja) * | 2005-08-17 | 2010-07-28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
JP5215076B2 (ja) * | 2007-08-10 | 2013-06-19 | 東洋電装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5128300B2 (ja) * | 2008-01-29 | 2013-01-23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スイッチ装置 |
DE102008021293A1 (de) * | 2008-04-29 | 2009-11-05 | Preh Gmbh | Bedienelement mit einem um zwei Raumachsen verschwenkbaren Bedienknopf |
US8124893B2 (en) * | 2008-08-05 | 2012-02-2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
IT1391962B1 (it) * | 2008-11-26 | 2012-02-02 | Bticino Spa | Dispositivo elettronico di regolazione a comando manuale. |
JP5395702B2 (ja) * | 2010-02-19 | 2014-01-2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揺動型多方向スイッチ装置 |
JP5551578B2 (ja) * | 2010-12-22 | 2014-07-16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スイッチ装置 |
JP5360509B2 (ja) * | 2011-03-24 | 2013-12-04 | 株式会社デンソー | 操作入力装置 |
WO2013136540A1 (ja) | 2012-03-13 | 2013-09-19 |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 操作デバイス |
DE102013001876A1 (de) * | 2013-02-02 | 2014-08-07 | Daimler Ag | Bedieneinrichtung mit optischem Fingernavigationsmodul für ein Lenkrad |
JP6244331B2 (ja) | 2015-06-03 | 2017-12-06 |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 多方向スイッチ装置 |
JP6622628B2 (ja) * | 2016-03-03 | 2019-12-18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入力装置 |
JP2019114353A (ja) * | 2017-12-21 | 2019-07-11 |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 操作装置 |
CN114242537B (zh) * | 2021-12-06 | 2023-12-01 | 平高集团有限公司 | 一种断路器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68924A (en) * | 1993-07-01 | 1995-11-21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Joy stick support structure for multi-directional switch |
US5689095A (en) * | 1993-09-20 | 1997-11-18 |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 Switching device |
US5691517A (en) * | 1993-11-19 | 1997-11-25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 Multidirectional lever switch device |
JP3097504B2 (ja) * | 1995-06-19 | 2000-10-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レバースイッチ |
US5536911A (en) * | 1995-06-30 | 1996-07-16 | Scientific-Atlanta, Inc. | Low force multi-direc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
JP3228107B2 (ja) * | 1995-12-28 | 2001-11-12 | 市光工業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3790304B2 (ja) | 1996-09-27 | 2006-06-28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
JP3698565B2 (ja) * | 1998-10-05 | 2005-09-2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JP3951493B2 (ja) * | 1999-03-15 | 2007-08-0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多方向操作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複合スイッチ |
JP3880756B2 (ja) | 1999-10-19 | 2007-02-14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KR100368623B1 (ko) * | 2000-02-15 | 2003-01-24 |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다방향 조작스위치 |
JP3766251B2 (ja) | 2000-02-16 | 2006-04-12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スイッチ装置 |
JP3968944B2 (ja) * | 2000-03-15 | 2007-08-29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車載用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操作ユニット |
JP3819676B2 (ja) * | 2000-06-02 | 2006-09-1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スイッチ |
EP1182677A1 (en) * | 2000-08-23 | 2002-02-27 | Thomson Licensing S.A. | Electronic switch designed for manual actuation of several switching elements |
JP3890863B2 (ja) * | 2000-08-23 | 2007-03-0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3986263B2 (ja) | 2001-02-21 | 2007-10-03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揺動操作型スイッチ装置 |
JP4100879B2 (ja) * | 2001-03-12 | 2008-06-11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多方向入力装置 |
DE10151603C1 (de) * | 2001-10-18 | 2003-03-20 | Kostal Leopold Gmbh & Co Kg | Mehrwege-Schalteranordnung, sowie Schalterbaustein |
TW588812U (en) * | 2001-12-14 | 2004-05-21 | Lite On Technology Corp | Knob structure |
JP2003217403A (ja) | 2002-01-16 | 2003-07-31 | Alps Electric Co Ltd | 多方向操作スイッチ |
JP2004171851A (ja) * | 2002-11-19 | 2004-06-1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多方向操作スイッチ |
-
2003
- 2003-12-24 JP JP2003427252A patent/JP431774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12-16 US US11/013,809 patent/US7078632B2/en active Active
- 2004-12-23 KR KR1020040111003A patent/KR10064669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46691B1 (ko) | 2006-11-23 |
US7078632B2 (en) | 2006-07-18 |
JP4317741B2 (ja) | 2009-08-19 |
US20050139458A1 (en) | 2005-06-30 |
JP2005190698A (ja) | 2005-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46691B1 (ko) | 4방향 스위치장치 | |
KR100567986B1 (ko) | 다방향 스위치 | |
US7550686B2 (en) | Rotary switch in a motor vehicle | |
US6420667B1 (en) | Compound switch device | |
EP1524680A2 (en) | Joystick input device | |
JP4359478B2 (ja) | ジョイスティック型スイッチ装置 | |
CN111712396B (zh) | 多功能开关装置 | |
US6180905B1 (en) | Two position pushbutton switch with illuminated button | |
JPH07307125A (ja) | 多方向入力スイッチ | |
US20070051594A1 (en) | Electric rotary switch | |
JP3763044B2 (ja) | 多方向スイッチ | |
KR100532048B1 (ko) | 차량의 공조기용 스위치 | |
JPH0239322Y2 (ko) | ||
JPS641716Y2 (ko) | ||
JP3790304B2 (ja) |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 |
JP2550084Y2 (ja) | 押釦装置 | |
JP2004342503A (ja) | スイッチ装置 | |
JP2005347234A (ja) |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 |
KR200303157Y1 (ko) |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 |
JP2003151405A (ja) | 回転型スイッチ装置 | |
JP3721251B2 (ja) | 多方向スイッチ | |
JP2004327365A (ja) | シーソースイッチ | |
JP3166073B2 (ja) | スイッチ操作パネル | |
JP3547249B2 (ja) | 照光式スイッチ装置 | |
JP2004200033A (ja) | 多方向入力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