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157Y1 -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 Google Patents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157Y1
KR200303157Y1 KR2019970037654U KR19970037654U KR200303157Y1 KR 200303157 Y1 KR200303157 Y1 KR 200303157Y1 KR 2019970037654 U KR2019970037654 U KR 2019970037654U KR 19970037654 U KR19970037654 U KR 19970037654U KR 200303157 Y1 KR200303157 Y1 KR 2003031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ircular
hole
contact
circular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6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147U (ko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700376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15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51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1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1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이중동작에 의한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복잡해 조립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조립공 중앙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조립공 외곽 사방에 수개의 주변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놉지지틀체와; 기기의 패널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상에 다수개 구비된 스위치 접점을 가압하는 접점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놉과; 상기 원형놉을 상기 놉지지틀체의 조립공 상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형놉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향으로 트여지게 형성되고 그 안착홈의 바닥면 수개소에는 상기 원형놉의 접점부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놉지지틀체의 중앙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장식물베이스와; 상기 장식물베이스를 상기 놉지지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과 원형놉 사이에 구비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원형놉의 접점부와 인쇄회로기판 상의 스위치 접점이 개방되게 상기 원형놉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곽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놉의 하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함으로써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절감 효과는 물론 조립의 간편성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MULTI-POINT OF CONTACT TYPE ROTARY KNOB}
본 고안은 다중접점 구조를 갖는 로터리 놉(Rotary Knob)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놉은 축을 회전시켜 접점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로터리 축에 끼워지는 몰드물로 된 놉을 의미하나, 여기에서는 외관이 원형으로 형성된 놉을 의미한다. 이러한 로터리 놉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편적으로 상향으로 볼록한 원형체로 몸체(1)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의 밑면에는 사용자의 상기 몸체(1) 누름으로 각종 기기의 패널(3)에 설치된 스위치접점(도시없음)을 가압하여 동작시키는 접점부(2)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패널(3)에는 상기 몸체(1)의 위치를 결정하면서 상기 몸체(1)가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놉장착홈(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놉장착홈(4) 내부에는 접점을 갖는 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도시없음) 상에 납땜 고정되어 있다. 이와함께 상기 놉장착홈(4)의 중앙부에는 상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중앙에 조립공(6)을 갖는 원형의 측벽(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립공(6)에는 별도의 장식물이나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력이 상기 몸체(1)의 밑면 접점부(2)를 통해 스위치접점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놉장착홈(4)의 양내측벽에 힌지공(도시없음)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1)의 양측에는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힌지축(도시없음)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로커리 놉 구조는 작동시키고자 하는 스위치접점 측의 몸체부위를 눌러 상기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으로, 그 부위를 누르게 되면 상기 몸체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그 누름방향으로 기울어져 상기 몸체의 밑면 접점부가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2a는 종래의 로터리 놉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이는 원형의 판체를 일정각도로 나누어 여러개로 분리시켜 형성된 것으로, 각각의 몸체(1A) 밑면에는 전기한 바와같이 놉장착홈(5A)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접점을 가압하여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접점부(도시없음)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놉장착홈(5A)은 상기에서와 같이 여러개로 분리된 각각의 몸체(1A)가 분리된 상태로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구획벽(2A)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중앙부에는 전술한 바와같은 원형의 측벽(3A)이 형성되어져 있음과 아울러 별도의 장식물 또는 부품이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상기 측벽(3A)에 조립공(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몸체(1A)에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서 좌.우 회전될 수 있도록 후방측 중앙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힌지축(도시없음)이 형성되어 상기 놉장착홈(5A)의 내측벽에 형성된 축공(도시없음)에 삽입되어 힌지결합된 구조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로터리 놉 구조에서 전자(종래의 로터리 놉의 일예)의경우는 일측의 접점동작을 위해서 원형판체로 된 몸체의 일측부위를 누르게 되면, 몸체의 전체적인 이동에 의해서 타측부의 접점동작이 동시에 일어나는 2중동작이 발생됨으로써 스위치 작동의 정확성 및 신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로터리 놉의 구조는 좌.우 양측 2개소만의 접접부를 갖기 때문에 다중접점구조에 적합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후자(종래의 로터리 놉의 다른 예)의 경우는 비록 다중접접구조를 갖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조립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힌지부의 길이가 짧아 동작의 불안정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다중접점구조를 가지면서 구조가 단순하고 작동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a, 도 1b는 종래의 로터리 놉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는 종래의 로터리 놉 구조의 일예를 보인 평면도.
도 1b는 종래의 로터리 놉 구조의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의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결합상태의 평면도.
도 2b는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패널에 원형놉 및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패널에 장식물베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0:놉지지틀체 11:조립공
12:중앙놉 12A,13A:탄성편
13:주변놉 14:고정공
20:원형놉 21:관통공
22:접점부 30:장식물베이스
31:삽입공 32:안착홈
33:통과공 34:스토퍼
35:고정편 35A:체결공
40:탄성부재 50:패널
50A:놉장착홈 50B:장착공
60:인쇄회로기판 60A:스위치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립공 중앙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조립공 외곽 사방에 수개의 주변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놉지지틀체와; 기기의 패널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상에 다수개 구비된 스위치 접점을 가압하는 접점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놉과; 상기 원형놉을 상기 놉지지틀체의 조립공 상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원형놉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향으로 트여지게 형성되고 그 안착홈의 바닥면 수개소에는 상기 원형놉의 접점부가 통과될 수 있는 통과공이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상기 놉지지틀체의 중앙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 장식물베이스와; 상기 장식물베이스를 상기 놉지지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과 원형놉 사이에 구비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원형놉의 접점부와 인쇄회로기판 상의 스위치 접점이 개방되게 상기 원형놉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곽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놉의 하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고정수단은 상기 놉지지틀체의 수개소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물베이스에는 상기 고정공과 일치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고정편을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링 형태의 스폰지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2a, 도 2b는 본 고안의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패널에 원형놉 및 탄성부재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패널에 장식물베이스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로서, 10은 놉지지틀체이다. 상기 놉지지틀체(10)는 사출성형에 의해서 제작되는 것으로, 중앙부에 조립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1) 내부에는 탄성편(12A)으로 연결된 중앙놉(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중앙놉(12)은 상향으로 소정높이를 갖는 원주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립공(11) 외곽 사방에는 상기 조립공(11)과 탄성편(13A)으로 연결된 수 개의 주변놉(1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조립공(11)에는 중앙부에 관통공(21)을 갖는 원형체로 된 원형놉(20)이 조립되는 것으로, 상기 원형놉(20)의 밑면 수개소에는 기기의 패널(5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60) 상에 수개 구비된 스위치(6A)의 접점과 접촉되도록 하향으로 돌출된 접점부(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점부(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후.좌.우 4개소에 형성된다. 이와함께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조립공(11)에는 상기 원형놉(20)을 지지하기 위해 장식물베이스(30)가 조립된다. 상기 장식물베이스(30)에는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중앙놉(12)이 삽입되는 삽입공(31)이 중앙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삽입공(31) 외곽에는 상기 원형놉(20)이 안착되도록 상향으로 트여진 안착홈(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32)의 바닥면에는 상기 원형놉(20)의 밑면 4개소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접점부(22)가 통과될 수 있도록 통과공(3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식물베이스(30)는 상기 놉지지틀체(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이의 고정수단으로서 상기 놉지지틀체(10)와 수개소에는 고정공(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식물베이스(30)에는 상기 고정공(14)과 일치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공(35A)을 갖는 고정편(35)이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 상에는 상기 안착홈(32)에 안착되어지는 원형놉(20)의 접점부(22)가 상시 인쇄회로기판(60)의 스위치(6A) 접점과 개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4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안착홈(32)을 따라 구비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스폰지이나 자체 탄성을 갖는 탄성체이면 무방하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40)가 놓여지는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에는 상기 원형놉(20)의 하향 이동범위를 걸림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34)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34)는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기 형태를 갖는다. 안착홈(32)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돌기형태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의 로터리 놉 장착을 위해 기기의 패널(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패널(50)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놉장착홈(50A)이 형성되고, 상기 놉장착홈(50A)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앙부에 장착공(50B)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의 외곽에는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주변놉(13)이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 및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기기의 패널(50)에 형성된 놉장착홈(50A)에 상기 놉지지틀체(10)를 스크류 체결하여 고정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중앙놉(12)은 상기 패널(50)의 장착공(50B) 중앙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이의 외곽 주변놉(13)은 상기 패널(50)의 장착공(50B) 외곽에 형성된 관통공(21)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놉지지틀체(10)를 패널(50)의 놉장착홈(50A)에 조립한 후에는 다시 상기 놉지지틀체(10) 위에 장식물베이스(30)를 끼우되, 상기 놉지지틀체(10)의 중앙놉(12)이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공(31)에 삽입되도록 끼워 조립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에 링형태의 스폰지로 형성된 탄성부재(40)를 올려 놓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탄성부재(40)는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에 상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형태의 스토퍼(34)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작업자는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에 원형놉(20)을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원형놉(20)에 하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접점부(22)는 상기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 수개소에 형성된 통과공(33)에 삽입되어 상기 기기의 패널(50)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60) 상의 스위치(6A)와 근접되고, 상기 원형놉(20)은 상기 안착홈(32)에 올려놓여진 탄성부재(40)의 상면에 위치하면서 일련의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조립된 본 고안은 먼저,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위해서 상기 원형놉(20)을 작동시키고자 하는 스위치(6A)와 상응하는 부위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상기 원형놉(20)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에 위치한 탄성부재(40)가 압축되면서 상기 원형놉(20)에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접점부(22)가 기기의 패널(5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60) 상에 납땜 고정된 스위치(6A) 접점을 가압하게 되고, 이의 가압으로 상기 스위치(6A)는 온/오프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놉(20)의 하향 이동범위는 상기 탄성부재(40)의 외곽 장식물베이스(30)의 안착홈(32) 바닥면에 형성된 스토퍼(34)에 의해서 제한되면서 상기 원형놉(20)의 일측부 누름으로 함께 연동되는 상기 원형놉(20)의 타측부 동작에 의한 이중동작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원형놉(2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원형놉(20)은 사용자의 누름으로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40)의 복원력으로 다시 상향으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고안은 다중접점 구조를 가지면서 사용자의 누름에 의한 스위치의 이중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작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원가절감 효과는 물론 조립의 간편성을 기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조립공 중앙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조립공 외곽 사방에 수개의 주변놉이 탄성편으로 연결되어 있는 놉지지틀체와; 기기의 패널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상에 다수개 구비된 스위치 접점을 가압하는 접점부가 하향으로 돌출되게 수개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형놉과; 상기 원형놉을 상기 놉지지틀체의 조립공 상에서 지지하는 장식물베이스와: 상기 장식물베이스를 상기 놉지지틀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과 원형놉 사이에 구비되어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원형놉의 접점부와 인쇄회로기판 상의 스위치 접점이 개방되게 상기 원형놉을 탄력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외곽 장식물베이스의 안착홈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형놉의 하향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고정수단은 상기 놉지지틀체의 수개소에 고정공을 형성하고 상기 장식물베이스에는 상기 고정공과 일치되어 스크류 체결되는 체결공을 갖는 고정편을 상기 장식물베이스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링 형태의 스폰지임을 특징으로 한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KR2019970037654U 1997-12-16 1997-12-16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KR2003031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54U KR200303157Y1 (ko) 1997-12-16 1997-12-16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54U KR200303157Y1 (ko) 1997-12-16 1997-12-16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47U KR19990025147U (ko) 1999-07-05
KR200303157Y1 true KR200303157Y1 (ko) 2003-04-18

Family

ID=49330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654U KR200303157Y1 (ko) 1997-12-16 1997-12-16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1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47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5838B1 (en) Switch actuating device and method of mounting same
US4778952A (en) Key switch assembly
JP2723820B2 (ja) 携帯用受信機
US6392179B1 (en) Pushbutton unit
KR19990030196A (ko) 다접점입력장치
KR100298920B1 (ko) 키보드장치
US5055642A (en) Push button switch
KR20050065383A (ko) 4방향 스위치장치
JPH11144562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200303157Y1 (ko) 다중접점형 로터리 놉의 구조
JP3821683B2 (ja) つまみ
JP3721251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H083942Y2 (ja) 丸型フットスイッチ
JPS6239555Y2 (ko)
JP3790304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JP2603887Y2 (ja) スイッチ構造
JP200135147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KR200371189Y1 (ko) 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
JPH0122188Y2 (ko)
JPH0339880Y2 (ko)
JPS5829873Y2 (ja) タブレツトスイツチ
JP3166073B2 (ja) スイッチ操作パネル
JP2000067684A (ja) 押釦スイッチ
KR0126437Y1 (ko) 접점스위치 작동용 노브 스테이션
JPH1050177A (ja) スイッ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