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585A -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585A
KR20050062585A KR1020057005688A KR20057005688A KR20050062585A KR 20050062585 A KR20050062585 A KR 20050062585A KR 1020057005688 A KR1020057005688 A KR 1020057005688A KR 20057005688 A KR20057005688 A KR 20057005688A KR 20050062585 A KR20050062585 A KR 20050062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blade
pin
coupling
mounting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7784B1 (ko
Inventor
유스케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니혼 와이퍼 블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와이퍼 블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와이퍼 블레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blade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Ink Je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아암의 결합 핀에도 U 후크부에도 결합 가능한 결합부재로서,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블레이드에 적절하고 또한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고, 흔들림 억제 및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결합부재(20)는 U 후크 끼워 맞춤부(32) 및 결합 핀 장착부(33)를 구비한 장착부재(21)와, 장착부재(21)에 장착된 U 후크부(12) 또는 결합 핀(11)을 유지하기 위한 고정부재(22)와,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23)로 구성된다. 결합 핀(11)의 고정시에는 결합부재(20)를 결합 핀(11)과 반대측으로부터 결합 핀(11)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에 결합 핀(11)을 끼워 맞추게 한다. 또한 결합 핀(11)에 고정부재(22)의 고정용 잘림부(47, 48)를 끼워 맞추어 고정함으로써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의 사이에 결합 핀(11)을 유지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JOINT MEMBER FOR WIPER BLADE, AND WIPER BLADE}
본 발명은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을 연결하는 결합부재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장치로서는, 종래부터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과, 구동모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닦을 면(예를 들면 자동차의 창면)을 닦아 내기 위한 와이퍼 고무를 구비하는 것으로, 와이퍼 아암에 연결된다. 와이퍼 아암은 예를 들면 링크부재를 거쳐 구동모터에 연계된다.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가 와이퍼 아암을 거쳐 와이퍼 블레이드를 구동하여 와이퍼 고무에 의한 닦아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와이퍼장치에 있어서는,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10')의 선단측을 U자형으로 만곡시키고, 이 만곡부분[U 후크부(12)]을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에 접속하는 것이 있다(후크타입의 결합방식). 또 이것과는 다른 결합방식을 가지는 것으로서, 도 1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퍼 아암(10)의 선단부근에 설치한 결합 핀(11)을 와이퍼 블레이드의 측면에 형성한 삽입구멍에 꽂아 넣어 결합부재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하는 것이 있다(사이드 핀 타입의 결합방식). 또한 이와 같은 결합부재에는 U 후크부(12)에 의한 결합과 결합 핀(11)에 의한 결합 중 어느 것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 것(멀티클립)이 있다. 도 13, 도 14에는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합부재의 예를 나타낸다.
도 13에 나타내는 결합부재(100)는 측판(101, 102)과, 이들 사이의 본체부(103)로 이루어지고, 예들 들면 수지로 형성된다. 측판(101, 102) 및 본체부(103)에는 설치구멍(104)이 형성되고, 이 설치구멍(104)에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설치 핀(9)을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결합부재(100)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에 설치된다. 또 측판(101, 102)에는 각각 결합 핀 삽입구멍(101A, 101B)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03)의 앞쪽은 단면 원호형상의 U 후크 끼워맞춤부(105)이고, 와이퍼 아암(10)의 U 후크부(12)는 이 U 후크 끼워맞춤부(105)의 안쪽에 끼워 맞춘다. 한편, 본체부(103)의 뒤쪽에는 상하 한 쌍의 결합 핀 유지판(106, 107)이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아래쪽의 결합 핀 유지판(107)은 탄성을 가지는 것으로, 아래쪽으로 휘어질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측면부(2B, 2C)에는 각각 결합 핀 삽입구멍(2D, 2E)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퍼 아암(10)의 결합 핀(11)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결합 핀 삽입구멍(2D)으로부터 삽입되어, 결합부재의 결합 핀 삽입구멍(101A), 상하의 결합 핀 유지판(106과 107)의 사이, 결합 핀 삽입구멍(102A)을 차례로 통과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결합 핀 삽입구멍(2E)에 이르고, 선단부(11A)가 결합 핀 삽입구멍(2E)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 이 경우,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핀 유지판(107)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결합 핀 유지판(106, 107)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결합 핀(11)의 선단부(11A)가 결합 핀 유지판(106, 107) 사이를 통과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핀(11)이 결합 핀 삽입구멍(2E)측까지 도달하여 결합 핀의 가는 지름부(11B)가 결합 핀 유지판(106, 107) 사이에 배치된 곳에서 결합 핀 유지판(107)을 그 탄성에 의하여 결합 핀 유지판(106)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결합 핀 유지판(106, 107) 사이에 결합 핀(11)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4의 결합부재(110)는 결합부재(100)와 마찬가지로 측판(111, 112) 및 본체부(113)로 이루어지고,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설치 핀(9)에 끼워 맞추는 설치구멍(114)을 구비하고 있다. 결합부재(110)는 설치 핀(9)을 중심으로 하여 축 회전할 수 있다. 또 본체부(113)의 전단부(113A)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고, U 후크부(12)의 안쪽에 끼워 맞춘다.
또한, 이 결합부재(110)는 결합 핀(11)에 끼워 맞추는 결합 핀 장착부(115)를 구비한다. 결합 핀(11)을 고정할 때에는 결합 핀(11)을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 및 측판(111, 112)에 관통시킨 상태로 도 14(c)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110)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결합 핀(11)의 가는 지름부(11A)가 결합 핀 장착부(115)의 안 길이부에 끼워 맞춰져 결합부재(110)에 의한 결합 핀(11)의 고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합부재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도 13의 결합부재(100)는 1쌍의 평판인 결합 핀 유지판(106, 107)에 의하여 결합 핀(11)의 가는 지름부(11A)를 끼워 유지하여 결합 핀(11)의 탈락을 방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결합 핀(11)과 결합 핀 유지판(106, 107)은 결합 핀(11)의 단면적의 약간의 부분으로 걸어 맞추는 것에 불과하다. 또 수지제의 결합 핀 유지판(106, 107)은 결합 핀(11)을 끼워 유지한 상태로부터 상하로 휘어지기 쉽다. 이 때문에 결합핀(11)의 탈락방지력은 충분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결합 핀(11)의 장착시에는 결합부재(100)의 후단의 아래쪽에서 결합 핀 유지판(107)을 조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눈으로 보면서 행할 수 없고, 또 작업장소까지 손가락도 넣기 어렵기 때문에, 작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결합 핀(11)의 장착부분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중심[설치 핀(9) 부근]보다도 뒤쪽에 있기 때문에,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를 와이퍼 아암(10)에 설치한 경우에, 전체의 길이가 길어져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가 차체에 닿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14의 결합부재(110)에서는 측판(111, 112)에 결합 핀 장착부(115)가 형성되기 때문에, 그 만큼 측판(111, 112)과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접촉면적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측판(111, 112)에 의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와이퍼 아암(10) 사이의 흔들림 억제의 성능이나, 내마모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결합 핀(11)과 결합 핀 장착부(115)의 결합방식은 결합 핀(11)과 결합 핀 장착부(115)의 언더커트에 의하기 때문에, 작동시의 마모나 충격에 의하여 언더 커트가 감소된 경우, 결합부재(110)가 결합 핀(11)으로부터 탈락할 염려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좌측면도, (b)는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 순서를 나타내는 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결합부재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와이퍼 아암의 설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와이퍼 아암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결합 핀의 평면도, (b)는 결합 핀의 측면도, (c)는 U 후크부의 평면도,
도 13은 종래의 결합부재에 의한 와이퍼 아암의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한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14는 다른 종래의 결합부재에 의한 와이퍼 아암의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대한 설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사이드 핀타입의 결합방식의 결합부재, 또는 사이드 핀타입의 결합방식에도 후크타입의 결합방식에도 적용 가능한 결합부재로서,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블레이드에 적절하고 또한 확실하게 결합할 수 있어, 흔들림 억제성능 및 내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는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부재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장착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결합 핀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의 결합 핀을 장착할 수 있는 결합 핀 장착부를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된 결합 핀을 상기 고정부재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장착부재는,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에 끼워 맞춤 가능하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결합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맞닿는 측판을 구비하고, 이들 측판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는 데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도록 하면 좋다.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된 설치 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설치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결합 핀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단면 원호형상의 오목부이어도 좋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핀 장착부의 오목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조합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본체 또는 상기 장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설치된 상기 장착부재가 장착되는 설치 핀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고정부재와 장착부재와 연결부는, 일 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되어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상기 본 발명의 결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의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부재로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장착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될 수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결합 핀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의 결합 핀을 장착할 수 있는 결합 핀 장착부를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된 결합 핀을 상기 고정부재로 유지하도록 한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의 측면에,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결합 핀이 관통하는 삽입구멍을 구비하였다. 이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는 상기 장착부재는 끼워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에 끼워 맞춤 가능하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설치 핀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 핀에 설치된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설치 핀의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 장착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 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설치 핀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결합부재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결합부재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에 장착된 장착부재[예를 들면 장착부재(21)]와, 장착부재에 조립할 수 있는 고정부재[예를 들면 고정부재(22)]와, 장착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예를 들면 연결부(23)]를 구비하고, 결합 핀[예를 들면 결합 핀(11)]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예를 들면 와이퍼 아암(10)]의 결합 핀을 장착할 수 있는 결합 핀 장착부[예를 들면 결합 핀 장착부(33)]를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된 결합 핀을 상기 고정부재로 유지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된 결합 핀은 고정부재에 의하여 확실하게 유지되어, 결합부재에 의한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확실한 결합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재와 장착부재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를 장착부재에 대하여 연결부가 변형되는 범위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용이하게 작업을행할 수 있다. 또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는, 휘어짐으로써 장착부재에 고정부재를 조립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복잡한 연결구조를 채용한 경우에 비하여,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어,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장착부재를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예를 들면 와이퍼 아암(10')]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하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결합할 수 있게 하면 결합 핀 타입(사이드 핀 타입)의 와이퍼 아암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결합 핀 타입이 아닌 와이퍼 아암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 예를 들면 와이퍼 아암의 후크부[예를 들면 U 후크부(12)]의 안쪽에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예를 들면 U 후크 끼워 맞춤부(32)]와 고정부재와의 사이에 후크부를 끼워 유지하는 구조와, 합리적으로 조합시킬 수 있다. 즉, 결합 핀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는 주로 장착부재측에 집약되고, 고정부재측에는 필요 최소한의 구조만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고정부재의 측판[예를 들면 측판(42, 43)]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맞닿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고정부재 측부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 사이의 진동은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결합부재의 마모도 더욱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와 결합부재를 설치 핀[예를 들면 설치 핀(9)] 및 설치부[예를 들면 설치구멍(32B)]를 거쳐 연결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결합부재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대하여 회전하여 후크부를 결합하기 위한 배치로부터 결합 핀을 결합하기 위한 배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하면, 와이퍼 아암을 적절한 위치관계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 핀이 삽입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의 삽입구멍이, 설치 핀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도록 하면, 결합 핀 타입의 와이퍼 아암을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결합한 경우에도, 와이퍼 아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 전체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지 않게 할 수 있어, 와이퍼장치의 작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체에 닿을 가능성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 핀 고정을 위한 작업은, 결합부재를 회전시켜 결합 핀 장착부의 오목부에 결합 핀을 끼워 맞추게 한 후, 고정부재를 장착부재상에 장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충분하고, 또한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결합 핀 장착부에 단면 원호형상의 오목부[예를 들면 오목부(33A)]를 구비하여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핀을 오목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조립하고, 이 고정부재를 블레이드 본체 또는 장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예를 들면 고정용 잘림부(47, 48)]를 구비하도록 하면, 결합 핀은 2중으로 고정되게 되어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 장착부재와 고정부재는 변형 가능한 연결부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부재에 의한 유지를 위하여 장착부재의 위에 고정부재를 장착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도 2에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전체구성을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와이퍼 아암(10)(도 6 등 참조)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20)로 이루어진다.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는, 제 1 레버(primary lever)(2)와, 이 제 1 레버(2)의 양쪽 끝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레버(secondary lever)(3, 4)와, 각 제 2 레버(3, 4)의 안쪽 끝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요크 레버(5, 6)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레버(3, 4)의 바깥쪽 끝과 요크 레버(5, 6)의 양쪽 끝에는 지지포올(7)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포올(7)에 와이퍼 고무(8)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레버(2)의 대략 중앙부에는 개구부(2A)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2A) 양측의 측면부(2B, 2C) 사이에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 핀(9)이 놓여져 있다. 이 설치 핀(9)에 결합부재(20)가 설치된다. 또 측면부(2B, 2C)에는 각각 설치 핀(9)의 앞쪽(도면의 좌측)에 위치하여 결합 핀 삽입구멍(2D, 2E)이 관통하고 있다. 결합 핀 삽입구멍(2D, 2E)에는 와이퍼 아암(10)의 결합 핀(11)이 삽입된다.
결합부재(20)를 거쳐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연결된 와이퍼 아암(10)은 링크부재(도시 생략)를 거쳐 모터(도시 생략)에 연결된다. 이들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퍼 아암(10), 링크부재, 모터에 의하여 와이퍼장치가 구성된다. 와이퍼장치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모터에 의하여 링크부재 및 와이퍼 아암(10)을 거쳐 구동되어 닦음면(예를 들면 자동차의 창 유리면)을 따라 운동한다. 이 결과, 닦음면이 와이퍼 고무(8)에 의해 닦아 내진다.
도 3 내지 도 5에는 결합부재(20)를 상세하게 나타낸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결합부재(20)는 비결합시의 것으로, 도 3은 결합부재(20)의 측면도를, 도 4(a) 및 (b)는 각각 결합부재(20)의 평면도 및 저면도를, 도 5(a) 및 (b)는 각각 결합부재(20)의 정면도 및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결합부재(20)는 장착부재(21)와, 이 장착부재(21)와의 사이에 U 후크부(12)를 끼워 유지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22)와,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로 이루어진다. 장착부재(21), 고정부재(22) 및 연결부(23)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을 일체로 성형하여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재(21)는 기초부(31)와, U 후크 끼워 맞춤부(32)와, 결합 핀 장착부(33)로 이루어진다. U 후크 끼워 맞춤부(32)는 와이퍼 아암(10')의 U 후크부(12)가 끼워 맞춰지는 부분으로, 기초부(31)의 상부에 배치되어 기초부(31)의 앞쪽으로 연출되어 있다. U 후크 끼워 맞춤부(32)의 전단(32A)은 U 후크부(12)의 형상에 적합한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다. U 후크 끼워 맞춤부(32)의 전단(32A)측의 하부에는 원호단면을 가지는 설치구멍(32B)이 장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재(20)는 설치구멍(32B)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설치 핀(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결합 핀 장착부(33)는 와이퍼 아암(10)의 결합 핀(11)이 장착되는 부분으로, 기초부(31)의 후단측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 핀 장착부(33)에는 위쪽에 개구를 가지는 단면 원호형상의 오목부(33A)가, 장착부재(2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33A)에는 결합 핀(11)이 옆쪽으로부터 끼워 맞춰진다.
고정부재(22)는 결합 핀(11) 또는 U 후크부(12)를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부재(21)의 위쪽에 장착할 수 있는 케이스형상의 부재로서, 전단(22A)에 배치된 앞쪽 가로판(41)과, 양쪽의 측판(42, 43)과, 후단(22B) 부근에 배치된 뒤쪽 가로판(44)으로 구성된다. 앞쪽 가로판(41)은 측판(42, 43)의 폭이 넓어진 전단부분의 사이에 고정부재(2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뒤쪽 가로판(44)은 측판(42, 43)의 후단부분의 사이에 고정부재(2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다.
각 측판(42, 43)의 아래쪽에는 설치용 잘림부(45, 46)와, 고정용 잘림부(47, 48)가 각각 잘려져 있다. 설치용 잘림부(45, 46)는 설치 핀(9)에 적합한 원호형상의 안 길이부를 가지는 것으로, U 후크 끼워 맞춤부(32)의 설치구멍(3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고정용 잘림부(47, 48)는 결합 핀(11)에 적합한 원호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결합 핀(11) 또는 U 후크부(12)의 고정시[와이퍼 아암(10 또는 10')과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결합시]에는 측판(42, 43)은 U 후크 끼워 맞춤부(32) 및 결합 핀 장착부(33)를 양쪽으로부터 끼워 넣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양 측판(42, 43)의 하단(42A, 43A)은 장착부재(21)의 기초부(31)의 상단(31A)에 맞닿는다. 또 뒤쪽 가로판(44)의 전단(44A)은 결합 핀 장착부(33)에 맞닿고,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길이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맞춤된다. 이에 의하여 U 후크 끼워 맞춤부(32)의 설치구멍(32B)과 고정부재(22)의 설치용 잘림부(45, 46) 및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와 고정용 잘림부(47, 48)는, 각각 정확하게 겹쳐진 위치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또한 앞쪽 가로판(41)은 U 후크 끼워 맞춤부(32)의 선단(32A)에 대하여 대략 U 후크부(12)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의하여 U 후크부(12)는 앞쪽 가로판(41)과 선단(32A)의 사이에 끼워 유지되어 확실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22)를 장착부재(21)의 위에 장착하면,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 내에 장착된 결합 핀(11)에는, 오목부(33A)의 개구측으로부터 고정부재(22)의 고정용 잘림부(47, 48)가 끼워 맞춰진다. 이에 의하여 결합 핀(11)은 결합 핀 장착부(33) 내에 확실하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23)는 가요성을 가지는 판형상부재로서, 장착부재(21)의 후단부(21B)와 고정부재(22)의 후단부(22B)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23)는 임의의 방향으로 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는 연결부(23)의 가요성의 범위에서 서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와이퍼 아암(10 또는 10')의 결합에 사용되고 있지 않는 초기상태(비결합시)에는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의 길이방향이 약 9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와이퍼 아암(10 또는 10')의 결합시에는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서로의 길이방향이 대략 평행이 되도록 겹쳐진 상태로 배치된다[도 6(d)참조].
다음에 도 6 및 도 7 내지 도 11에 따라 결합부재(20)를 사용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와 결합 핀(11)을 가지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10)의 결합순서를 설명한다.
결합작업에 있어서는 먼저 도 6(a)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설치 핀(9)에 장착부재(21)의 설치구멍(32B)을 끼워 맞추게 한다. 이때 고정부재(22)는 설치 핀(9)[즉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중심]보다도, 뒤쪽(도면의 우측)에 위치시켜 둔다. 이에 의하여 결합부재(20)는 전체로서 결합 핀 삽입구멍(2D, 2E)과 반대측에 배치되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핀 삽입구멍(2E, 2D)에 결합 핀(11)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합부재(20)를 설치 핀(9)보다도 뒤쪽에 두는 배치는, 결합부재(20)에 와이퍼 아암(10')의 U 후크부(12)를 결합하는 경우의 배치이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여 U 후크 끼워 맞춤부(32)가 U 후크부(12) 내에 정확하게 끼워 맞춰지고,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에 결합된 와이퍼 아암(10')이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중심보다도 뒤쪽으로 연장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b)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치 핀(9)을 중심으로 하여 결합부재(20)를 설치 핀(9)에 대하여 결합 핀(11)과 반대측으로부터 결합 핀(11)측으로 회전시켜 간다. 이에 의하여 결합부재(20)를 약 180도 회전시키면, 도 6(c)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착부재(21)의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가 결합 핀(11)에 끼워 맞춰진다.
마지막으로 도 6(d)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재(22)를 이동시켜 장착부재(21)상에 장착한다. 이에 의하여 고정부재(22)의 설치용 잘림부(45, 46)에 설치 핀(9)이 끼워 맞춰지고, 고정부재(22)가 장착부재(21)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부재(22)의 고정용 잘림부(47, 48)는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결합 핀(11)에 끼워 맞춘다. 이 결과, 고정부재(22)는 와이퍼 블레이드(1)의 결합 핀(11) 및 장착부재(21)에 고정되고, 결합 핀(11)을 오목부(33A)의 개구측으로부터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결합 핀(11)은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의 사이에 확실하게 유지되고, 결합부재(20)에 의한 와이퍼 아암(10)과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확실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결합부재(20)에 의하면, 와이퍼 아암(10)의 결합 핀(11)은 주로 장착부재(21)의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고정부재(22)의 고정용 잘림부(47, 48)는 오목부(33A) 내의 결합 핀(11)을 오목부(33A)의 개구측으로부터 누르기 위한 비교적 작은 것으로 충분하다. 따라서 고정부재(22)의 측판(42, 43)과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측면부(2B, 2C)의 사이에 넓은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와이퍼 아암(10 또는 10')과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 사이의 진동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결과적으로 결합부재(20)의 마모도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결합 핀(11)은 장착부재(21)의 오목부(33A)에 장착된 다음에, 고정부재(22)의 고정용 잘림부(47, 48)에 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2중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더욱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 장착부재(21)와 고정부재(22)는 변형 가능한 연결부(23)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부재(21)상에 고정부재(22)를 장착하는 작업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결합부재(20)는 설치 핀(9)의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어, U 후크부(12)의 결합시와 결합 핀(11)의 결합시에 그 배치를 180도 회전한 위치로 바꿀 수 있다. 즉, U 후크부(12)의 결합시에는 결합부재(20)는 전체로서 설치 핀(9)의 뒤쪽에 배치되고, U 후크 끼워 맞춤부(32)에 U 후크부(12)가 정확하게 끼워 맞춰져 와이퍼 아암(10')을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결합 핀(11)의 결합시에는 결합부재(20)를 설치 핀(9)의 앞쪽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설치 핀(9)보다도 앞쪽에서 결합 핀(11)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아암(10)에 조립할 때의 전체로서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체 등에 닿을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핀(11) 고정을 위한 작업은, 결합 핀(11)을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1)의 결합 핀 삽입구멍(2E, 2D)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결합부재(20)를 결합 핀(11)과 반대측으로부터 결합 핀(11)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 핀 장착부(33)의 오목부(33A)에 결합 핀(11)을 끼워 맞추게 하고, 다시 고정부재(22)를 인상하여 장착부재(21)상에 장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충분하고, 또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2)

  1.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부재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장착된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에 조립할 수 있는 고정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비함 과 동시에,
    결합 핀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의 결합 핀을 장착할 수 있는 결합 핀 장착부를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된 결합 핀을 상기 고정부재로 유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결합되는 타입의 와이퍼 아암에 끼워 맞춤 가능하고, 이 끼워 맞춤에 의하여 와이퍼 아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양쪽에,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맞닿는 측판을 구비하고, 이들 측판은,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와의 맞닿음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 사이의 진동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면적을 가지고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설치된 설치 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설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핀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상면에 설치된 단면 원호형상의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핀 장착부의 오목부의 개구측으로부터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조합됨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 본체 또는 상기 장착부재의 적어도 한쪽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부재를 상기 블레이드 본체에 설치된 상기 장착부재가 장착되는 설치 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와 장착부재와 연결부는, 일 부재로서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부재.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결합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결합부재를 구비한 와이퍼 블레이드에 있어서,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의 측면에, 상기 결합 핀 장착부에 장착되는 결합 핀이 관통하는 삽입구멍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 본체에,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여 연장되는 설치 핀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설치 핀에 설치된 상기 결합부재를 상기 설치 핀의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결합 핀 장착부가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된 상기결합 핀과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설치 핀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0057005688A 2002-10-04 2003-10-02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1067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92124 2002-10-04
JP2002292124A JP4133187B2 (ja) 2002-10-04 2002-10-04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585A true KR20050062585A (ko) 2005-06-23
KR101067784B1 KR101067784B1 (ko) 2011-09-28

Family

ID=3206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5688A KR101067784B1 (ko) 2002-10-04 2003-10-02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669277B2 (ko)
EP (1) EP1547885B1 (ko)
JP (1) JP4133187B2 (ko)
KR (1) KR101067784B1 (ko)
CA (1) CA2500891C (ko)
DE (1) DE60319247T2 (ko)
DK (1) DK1547885T3 (ko)
ES (1) ES2302937T3 (ko)
NO (1) NO327335B1 (ko)
PL (1) PL212208B1 (ko)
TW (1) TWI261036B (ko)
WO (1) WO20040310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979A1 (en) * 2008-04-30 2009-11-05 Cap Corporation Automobile wiper-blad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27809A1 (en) 2012-02-24 2013-09-05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9174609B2 (en) 2011-04-21 2015-11-03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cover
US9457768B2 (en) 2011-04-21 2016-10-04 Pylon Manufacturing Corp. Vortex damping wiper blade
CA2843527C (en) 2011-07-28 2018-11-27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adapter, connector and assembly
US9108595B2 (en) 2011-07-29 2015-08-18 Pylon Manufacturing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20130219649A1 (en) 2012-02-24 2013-08-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US20130269141A1 (en) * 2012-04-16 2013-10-17 Dongguan Hongyi Wiper Co., Ltd. Windshield wiper frame
US10829092B2 (en) 2012-09-24 2020-11-10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with modular mounting base
KR101285317B1 (ko) * 2012-11-07 2013-07-11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1254778B1 (ko)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US9511748B2 (en) 2013-03-15 2016-12-06 Ill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10166951B2 (en) 2013-03-15 2019-01-01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US9555775B2 (en) 2013-03-15 2017-01-31 Illinois Tool Works Inc. Connectors and connector kit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to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USD727238S1 (en) 2013-12-13 2015-04-21 Illinois Tool Works Inc. Cover used for windshield wiper connectors
US9505380B2 (en) 2014-03-07 2016-11-29 Pylon Manufacturing Corp. Windshield wiper connector and assembly
USD777079S1 (en) 2014-10-03 2017-01-24 Pylon Manufacturing Corp. Wiper blade frame
FR3107681A1 (fr) 2020-02-28 2021-09-03 Valeo Systèmes D’Essuyage Capot pour un dispositif de connexion d’un système d’essuyag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69374A (en) 1977-04-21 1980-06-11 Trico Folberth Ltd Attachment of windscreen wiper blades to wiper arms
DE2829437C2 (de) * 1978-07-05 1986-02-13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blatt,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3331310A1 (de) 1983-08-31 1985-03-14 SWF Auto-Electric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hebel,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IT8453207V0 (it) * 1984-04-02 1984-04-02 Fister Spa Elemento intermedio di collegamento tra una spazzola tergicristallo e un relativo braccio di azionamento
DE3416505A1 (de) * 1984-05-04 1985-11-07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Wischvorrichtung fue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DE3439523C2 (de) * 1984-10-29 1986-10-3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Scheibenwischer für Kraftwagen
JPH0628860B2 (ja) 1985-07-03 1994-04-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二輪車用空気入りタイヤ
GB8525590D0 (en) 1985-10-17 1985-11-20 Trico Folberth Ltd Windscreen
FR2600292B1 (fr) * 1986-06-20 1990-02-23 Marchal Equip Auto Dispositif d'attache reliant un bras d'essuie-glace et un etrier portant une lame racleuse
FR2659613B1 (fr) * 1990-03-19 1992-05-29 Valeo Systemes Dessuyage Connecteur destine a solidariser un balai d'essuie-glace et un bras d'essuie-glace.
US5289608A (en) * 1991-10-29 1994-03-01 Alberee Product Inc.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US5611103A (en) * 1993-09-10 1997-03-18 Lee; Albert Windshield wiper frame connector which accomodates different size wiper arms
EP0863058A3 (en) * 1997-01-22 1999-07-07 Cooper Automotive Products, Inc. Blade to arm connection for windshield wiper
GB9707750D0 (en) * 1997-04-17 1997-06-04 Clearco Automotive Product Ltd Wiper Blade assembly
US5920950A (en) * 1997-12-09 1999-07-1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attachment adapter
DE19758245A1 (de) * 1997-12-30 1999-07-08 Bosch Gmbh Robert Verbindungselement für die Verbindung eines Scheibenwischerblattes mit einem Wischerarmhaken
DE19906288A1 (de) * 1999-02-15 2000-08-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blatts für Scheiben von Kraftfahrzeugen mit einem Wischerarm
GB2348118A (en) 1999-03-24 2000-09-27 Trico Products Windscreen wiper/blade arm connec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3979A1 (en) * 2008-04-30 2009-11-05 Cap Corporation Automobile wiper-blade
US8479350B2 (en) 2008-04-30 2013-07-09 Cap Corporation Automobile wiper-bla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7885A4 (en) 2006-04-05
JP2004123009A (ja) 2004-04-22
US20060053578A1 (en) 2006-03-16
TWI261036B (en) 2006-09-01
ES2302937T3 (es) 2008-08-01
NO20051595L (no) 2005-04-13
CA2500891A1 (en) 2004-04-15
DK1547885T3 (da) 2008-03-25
WO2004031007A1 (ja) 2004-04-15
TW200408574A (en) 2004-06-01
CA2500891C (en) 2011-05-24
PL212208B1 (pl) 2012-08-31
NO327335B1 (no) 2009-06-15
DE60319247T2 (de) 2008-06-19
EP1547885B1 (en) 2008-02-20
JP4133187B2 (ja) 2008-08-13
DE60319247D1 (de) 2008-04-03
PL375049A1 (en) 2005-11-14
KR101067784B1 (ko) 2011-09-28
EP1547885A1 (en) 2005-06-29
US7669277B2 (en)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84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KR100968235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결합부재 및 와이퍼 블레이드
RU225150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к рычагу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JP5941101B2 (ja) 自動車のワイパブレード用コネクタのアダプタおよび連結ベース
RU25096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JP4972162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KR20050042063A (ko) 차량의 방풍유리용 와이퍼 장치
JP2005524567A (ja) 前面ガラス窓ふき器
KR20090021260A (ko) 유리창용 와이퍼장치
JP6293441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US20150239431A1 (en) Wiper blade
JP2019006378A (ja) ワイピングシステムの駆動アームにワイパーブレードを連結するためのアダプタ
EP0220883B1 (en) Windscreen and like surface wiper device and connector device for use therein
US6209166B1 (en) Windshield wiper
EP0285262A1 (en) Wiperblade of windshield wiper
JP2013082431A (ja) ワイパブレード
JP2003095018A (ja) 自動車用室内灯
JP3941643B2 (ja) コネクタ
JP2007022359A (ja) ワイパーアーム用ストッパ部材及びワイパーアーム
JPH03136955A (ja) 窓拭きワイパーブレードにおける2個の搖動部材の枢着装置
KR100362111B1 (ko) 자동차용 와이퍼
JP200433083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
JP4100281B2 (ja) ワイパブレードのワイパアームへの取付け構造
JP2005349975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