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1313A -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1313A
KR20050061313A KR1020040104174A KR20040104174A KR20050061313A KR 20050061313 A KR20050061313 A KR 20050061313A KR 1020040104174 A KR1020040104174 A KR 1020040104174A KR 20040104174 A KR20040104174 A KR 20040104174A KR 20050061313 A KR20050061313 A KR 20050061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aser light
photoelectric conversion
laser
conver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쿠토미요시오
나가라도루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31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G11B7/1263Power control during transducing, e.g. by monito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만을 상시 유효하게 제거하는 것 및 기입시에 회로가 포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재생시, TIA(8)의 이득을 높게 하는 동시에,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반사광을 광검출기(2)와 TIA(4)에 의해 광전변환하여 얻은 RF신호로부터,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검출기(6)와 TIA(8)에 의해 광전변환하여 얻어지는 FPD신호의 직류성분을 하이펄스필터(105)에서 컷트하여 감산기(102)에서 감산하고 또한, 상기 광디스크로의 데이터의 독해시에 TIA(8)의 이득을 높게 하고, 또, 광디스크로의 데이터의 기입시에 TIA(8)의 이득을 낮게함으로써,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만을 상시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기입시에 회로가 포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광디스크장치{A circuit for eliminating laser noises and an optical disc apparatus}
본 발명은,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읽고 쓰기하는 광디스크장치에 관계되며, 특히 레이저 노이즈를 저감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디스크장치는,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에 의해 광디스크면을 조사하고 데이터의 읽기 쓰기를 행하지만, 광디스크로부터의 복귀광이나 온도변화에 의하여 레이저 노이즈가 증대하면, 재생신호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래서, 이 레이저 노이즈를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재생RF신호로부터 APC(Automatic Power Control)용의 모니터 출력신호를 감산하고 레이저 노이즈성분을 상쇄하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LNC(Laser Noise Cancel)방법이 공지로 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참조).
도 5에서는,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조사된 레이저광의 복귀광(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은, 메인광검출기(20)에 의해 광전변환되며, TIA(Trance Impedance Amp)(22)에 의해 전류전압변환되고 RF신호로 되어, 연산회로(30)에 입력된다. 한편, 상기 레이저광의 일부는 APC모니터용의 프런트 광검출기(24)에 의해 광전변환되며, TIA(26)에 의해 전류전압변환되고 FPD신호로 되며, 연산회로(30)에 입력된다.
여기서, RF신호와 FPD신호는 동시에 동일 레이저광을 광전변환하여 얻은 신호이며, 동상(同相)의 레이저 노이즈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산회로(30)에서 RF신호로부터 FPD신호를 감산함으로써,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성분이 제거되며, 레이저 노이즈가 저감된 RF신호가 출력된다.
[특허문헌 1] 특개10-124919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이저 노이즈 캔슬방법으로는, 레이저 노이즈는 저감되지만, RF신호로부터 FPD신호를 감산할 때에, RF신호로부터 직류(DC)성분도 감산되어 버리기 때문에, DC부근의 성분으로 구성되는 서보신호성분 자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정확하게 서보를 거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프런트 광검출기(24)로부터 얻어진 FPD신호는, 광디스크장치가 데이터의 기입 모드시의 고출력(특히 기입시의 배속수가 크게 되면 될수록 고출력으로 된다)의 레이저광을 수광했을 때도 포화하지 않도록 RF신호에 대하여 이득이 낮게 설정되어 있다. 그런 이유로 광디스크장치가 데이터의 독출모드로 되고 레이저광이 저출력으로 되면, FPD신호의 진폭레벨이 상당히 낮게 된다. 그 때문에, APC의 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동시에, 데이터의 독출모드시에 행해지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동작에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FPD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와 광검출기나 TIA등의 회로노이즈와의 레벨이 변하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경우, RF신호로부터 FPD신호를 감산해도 레이저 노이즈가 저감하기는 커녕, 오히려 노이즈가 증가하는 등의 안좋은 상황이 생긴다. 또한 이 현상은 기입시의 고배속화가 진행될 정도로 현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시에 APC신호의 게인을 올림으로써, 재생시에 있어서 정밀도 높은 APC와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성분만의 제거가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기입시에 회로가 포화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APC를 걸 수 있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를 탑재한 광디스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고 또한 이득을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고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 또는 상기 광디스크에 의해 재생하는 광디스크장치이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고 또한 이득을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고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수단을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이 회로를 탑재한 광디스크장치에서는,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은 광디스크의 기록신호에 의해 변조되어 있는 동시에 레이저 노이즈가 실려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광을 광전변환하여 얻은 제 1 신호, 즉 RF신호에는 레이저 노이즈가 포함된다. 한편,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제 2의 신호, 즉 FPD신호에도 레이저 노이즈가 포함되는 동시에 DC성분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FPD신호로부터 필터수단에 의해 직류성분을 컷트하면, 레이저 노이즈만이 추출되며, 이 레이저 노이즈를 RF신호로부터 감산하면, 레이저 노이즈가 저감되며, 게다가 DC성분이 컷트되어 있지 않은 RF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는 광디스크의 재생시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면, 제 2신호, 즉 FPD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레이저 노이즈의 레벨을 높게 하고, RF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에 맞출 수 있기 때문에, RF신호로부터 유효 또한 효과적으로 레이저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재생시에 작게 되는 FPD출력의 레벨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APC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높게 되는 광디스크로의 데이터의 기입시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낮게 하면, 제 2의 신호, 즉, FPD신호의 진폭레벨이 지나치게 높게 되는 일이 없어지며, 회로의 포화를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하게 APC를 걸 수 있다.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만을 상시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FPD출력의 레벨을 알맞은 성질로 유지 원활하게 APC를 거는 목적을, 재생시에,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여 얻어지는 FPD신호의 이득을 높게 하는 동시에,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RF신호로부터의 이 FPD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여 감산함으로써, 또, 광디스크로의 데이터 기입시에 상기 FPD신호의 이득을 낮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0)는, 반도체 레이저등의 레이저광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출사되어 광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조사된 레이저광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TIA(4)와, 상기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수광하고 광전변환하는 광검출기(6), 광검출기(6)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TIA(8)와, TIA(4)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와 TIA(8)로부터 입력되는 FPD신호에 의해 RF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성분을 제거하는 연산회로(10)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단, 특허청구범위의 제 1의 광전변환수단은 광검출기(2)와 TIA(4)에 상당하고,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은 광검출기(6)와 TIA(8)에 상당하고,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은 연산회로(10)에 상당하고, 연산수단은 감산기(102)에 상당하고, 필터수단은 하이패스필터(105)에 상당한다.
여기서, TIA(4)는 연산증폭기(41)와 귀환저항(42)을 가지고 있다. TIA(8)는, 연산증폭기(81)와, 귀환저항(82, 83) 및 귀환저항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스위치(84)를 가지고 있다. 연산회로(10)는, 앰프(101)와, 감산기(102)와, 감산기(102)의 반전입력단자를 기준전압(VREF)에 접속하기 위한 저항(103)과, 앰프(4)와, 하이패스필터(105)와, 레이저 노이즈를 제거하는지 아닌지를 전환하는 스위치(106)를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의 형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본 실시의 형태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0)를 탑재하고 있는 광디스크장치가 재생모드(데이터의 독출시)일 때, 스위치(84)는 오프로, 스위치(106)는 온으로 되어 있다. 광검출기(2)는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되고 광디스크에 조사된 레이저의 반사광을 수광하고 광전변환하고, 얻어진 전류신호를 TIA(4)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41)의 반전입력단자에 출력한다. 또한, 연산증폭기(41)의 비반전입력단자는, 기준전압(VREF)에 접속되어 있다. TIA(4)는 입력되는 광전변환전류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RF신호로 하고, 이것을 연산회로(10)에 출력한다.
광검출기(6)는, 상기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수광하여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전류신호를 TIA(8)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81)의 반전입력단자에 출력한다. 또한, 연산증폭기(81)의 비반전입력단자는 기준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TIA(8)는 입력되는 광전변환전류를 전압신호로 변환하고 FPD신호로 하고, 이것을 연산회로(10)에 출력한다. 이 경우, TIA(8)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81)의 귀환저항치는 높게 되어 있고, 그 때문에 이득은 크기 때문에, 광검출기(6)로부터 입력되는 전류신호가 작아도, 소정 레벨이상의 전압신호를 연산회로(10)에 출력할 수 있다.
연산회로(10)에서는, 입력된 RF신호를 앰프(101)에서 증폭하고 연산기(10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입력하고, 동시에 입력된 FPD신호를 앰프(104)에서 증폭하고, 또한 하이패스필터(105)에서 DC성분을 컷트한 후에, 감산기(102)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한다. 이것에 의해, 감산기(102)는 RF신호로부터 DC성분이 컷트된 FPD신호를 감산하기 때문에, RF신호와 FPD신호의 양신호에 공통으로 실려 있는 레이저 노이즈가 캔슬되며, 레이저 노이즈가 저감된 RF신호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재생시, TIA(8)의 게인을 올리고 있는 것은, 이것에 의해 고레벨의 FPD신호를 얻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큰 노이즈캔슬량을 얻기 위한 RF신호와 FPD신호의 연산회로(10)의 입력부로의 노이즈 레벨을 맞추어 넣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노이즈레벨을 맞추어 넣는 것을 행하지 않으면, 기록시의 TIA(8)의 게인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낮게 하고 있기 때문에, FPD신호가 기록시의 레벨이면 RF신호의 노이즈 레벨과 비교하고 노이즈 레벨이 극히 작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재생시도 FPD신호는 필요하고, TIA(8)의 게인을 올리고 FPD신호의 레벨을 올림으로써, 레이저 파워가 낮은 재생시에 있어서도 큰 신호가 얻어지므로, APC를 걸기 쉽게 된다.
한편, 광디스크장치가 기입모드로 되어 있을 때는, 스위치(106)가 오프하는 동시에 스위치(84)가 온하기 때문에, TIA(8)를 구성하는 연산증폭기(81)의 귀환저항값이 낮게 되며, 그 이득이 낮게 된다. 그 때문에, 기입시, 특히 고배속시에 레이저의 출력이 크게 되고 광검출기(6)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가 크게 되어도, TIA(8)로부터 출력되는 FPD신호는 과도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이것에 의해 FPD회로 내부의 포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높은 다이나믹렌지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스위치(106)가 오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산회로(10)에 의해 레이저 노이즈 제거동작이 행해지지 않고, TIA(4)로부터 입력되는 RF신호는 감산기(102)를 통과하여 출력된다. 또한, 이 레이저 노이즈 제거동작을 정지하는 이유는, 정보기록시의 LD발광파워의 변동이 크고, 이 파워변동에 의한 RF신호의 레벨변화에 대응시키고 FPD신호레벨을 상시 알맞은 성격에 맞추는 것은 상당히 곤란한 동시에, 라이트파워 발광시의 레이저 노이즈는 리드파워 발광시와 비교하여 RF신호에 대하여 극히 작게 되기 때문에, 레이저 노이즈의 영향을 무시할 수 있기 때문이며, 노이즈 캔슬동작을 온시킴으로써, RF신호에 오히려 노이즈를 증가시키는 등의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재생모드시에는, TIA(14)의 게인이 올라가 있기 때문에, RF신호와 FPD신호의 연산회로(10)의 입력부에서의 노이즈 레벨을 맞추어 넣는 것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감산기(102)에서 RF신호로부터 FPD신호를 감산할 때에, 하이패스필터(105)에 의해 FPD신호의 DC성분을 컷트하고 있으므로, RF신호로부터 DC성분이 감산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런 이유로, 감산기(102)로부터는 레이저 노이즈가 저감되며 또한, DC성분을 가진 RF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다음 단 이하에서 이 RF신호로부터 생성된 서보신호는 오프셋트를 가지지 않게 되며, 광픽업의 포커스제어나 트래킹제어등의 서보동작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TIA(8)의 게인을 올리고 FPD신호의 레벨을 올림으로써, 레이저 파워의 낮은 재생시에 있어서도 큰 신호가 얻어지며, APC제어를 걸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기입모드시에는 TIA(8)의 이득을 낮게 설정함으로써, FPD회로가 포화하지 않고 또한, 고다이나믹렌지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으로 원활한 APC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적당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0')는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그 동작 및 효과는 동일하지만, 그 구성이 약간 다른 것이다. 본 예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0')에서는 TIA(14)는 고정 이득으로 하고, 그 대신, TIA(14)로부터 출력되는 FPD신호를, 이득이 높은 앰프(110)를 통하여 하이패스필터(105), 감산기(102)측 및 전환스위치(113)측으로 보내는 신호경로와, 이득이 낮은 앰프(112)를 통하여 전환스위치(113)로 보내는 2계통을 준비하고, 전환스위치(113)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다음 단계로 출력하는 FPD신호를 선택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단, 특허청구의 범위의 이득제어수단은 앰프(110, 112) 및 전환스위치(113)에 상당한다.
재생시, 레이저 노이즈 제거동작을 기능시키기 위해 스위치(106)는 온이고, 전환스위치(113)는 단자(a)측으로 전환되고 있다. TIA(14)로부터 출력되는 저레벨의 FPD신호는, 이득이 높은 앰프(110)에 의해 증폭되며, 충분히 큰 레벨로 되고 하이패스필터(105)를 통하여 감산기(102)에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RF신호와 FPD신호의 연산회로(10)의 입력부에서의 노이즈 레벨을 맞추어 넣는 것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하이패스필터(105)에 의해 FPD신호로부터 DC성분이 컷트되기 때문에,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 효과가 있다. 또, 전환스위치(113)에 의해 레벨이 높은 FPD신호가 다음 단계 이후로 출력되기 때문에, 안정한 APC제어를 걸 수 있다.
한편, 기입모드에서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106)는 오프로, 전환스위치(113)는 단자(b)측으로 전환된다. 이것에 의해, TIA(6)로부터 출력되는 FPD신호의 레벨이 높게 되어도, 이득이 낮은 앰프(112)에 의해 증폭되며, 그것이 전환스위치(113)를 통하여 다음 단계 이후에 출력되므로, FPD신호의 레벨이 과대하게 되지 않고 FPD회로의 포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고다이나믹렌지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으로 원활한 APC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적당한 설명은 생략한다. 광픽업의 서보동작의 정밀도가 러프로 좋은 경우는, 본 실시의 형태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1)와 같이, 연산회로(10)로부터 하이패스필터를 생략한 구성이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재생모드시에 TIA(8)의 게인을 올리고 FPD신호의 레벨을 올림으로써, RF신호의 연산회로(10)의 입력부에서의 노이즈레벨을 맞추어 넣는 것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레이저 파워가 낮은 재생시에 있어서도 큰 신호가 얻어지며, APC제어를 걸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기입모드시에는 TIA(8)의 이득을 낮고, 독출모드시에는 이 이득을 높게 설정함으로써, FPD회로가 포화하지 않고 또한, 고 다이나믹렌지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정상으로 원활한 APC동작을 행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단, 도 1에 나타낸 제 1의 실시의 형태와 동일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적당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입배속수가 작은 것이면, 본 실시의 형태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92)와 같이, TIA(8)는 그 이득을 가변하지 않고 고정 이득앰프로서 재생모드에 있어서, RF신호레벨에 알맞은 FPD신호를 얻도록 하고 있지만, 기입모드시에 광검출기(6)의 출력이 재생시에 비하여 대폭으로 높게 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정상으로 원활한 APC동작을 행할 수 있다. 재생모드에서는, RF신호레벨에 알맞은 FPD신호가 얻어지므로, 도 1의 실시의 형태와 거의 동일의 효과가 얻어지며, 특히 하이패스필터(105)에 의해 FPD신호의 DC성분을 컷트하고 있기 때문에, RF신호로부터 DC성분이 감산되지 않으므로, 서보신호에 오프셋트가 없어져 광픽업에 대한 정밀도 좋은 서보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체적인 구성, 기능, 작용, 효과에 있어서, 다른 여러 형태에 있어서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 반사광을 광전변환하여 얻은 RF신호에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여 얻어진 FPD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여 감산하는 동시에,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는 광디스크로의 데이터 독해시에 상기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할 때의 이득을 높게 하면, RF신호로부터 레이저 노이즈만을 상시 유효하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재생시에 작게 되는 FPD출력의 레벨을 크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높은 APC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높게 되는 광디스크로의 데이터 기입시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낮게 하면, 제 2의 신호, 즉, FPD신호의 진폭레벨이 지나치게 높게 되는 것이 없어지기 때문에 FPD회로의 포화를 방지할 수 있고, 원활하게 APC를 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부호의 설명
2, 6. 광검출기 4, 8, 12, 14. TIA
10. 연산회로 41, 81. 연산증폭기
42, 82, 83. 귀환저항 84, 106. 스위치
90, 90', 91, 92.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101, 104, 110, 112. 앰프 102. 감산기
103. 저항 105. 하이패스필터
113. 전환스위치

Claims (10)

  1.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고 또한 이득을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에 따라 변화시키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제 2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은, 상기 제 1의 신호로부터 상기 제 2의 신호를 감산하는 감산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3.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의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4. 레이저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고 또한 이득을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의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고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은, 상기 제 1신호로부터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감산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6. 제 1항, 제 3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은, 상기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기와, 상기 제 1의 광전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 1의 전류전압변환기를 갖추고,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은, 상기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는 제 2의 광전변환기와, 상기 제 2의 광전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신호를 전압신호로 변환하는 제 2의 전류전압변환기를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전류전압변환기의 이득을 변화시키고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8.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 혹은 상기 광디스크로부터 재생하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고 또한 이득을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에 따라서 변화시키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의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은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게 되었을 때에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의 이득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9.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을 광디스크에 조사함으로써 데이터를 상기 광디스크에 기록 혹은 상기 광디스크에 의해 재생하는 광디스크장치에 있어서,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변환하는 제 1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레이저광의 일부를 광전변환하는 제 2의 광전변환수단과,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2의 신호의 직류성분을 컷트하는 필터수단과,
    상기 제 1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얻어진 제 1의 신호에 포함되는 레이저 노이즈를 상기 필터수단의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과,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 2의 광전변환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2의 신호의 레벨을 변화시키는 이득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레이저 광원의 출력이 작을 때에, 상기 제 2의 신호레벨을 높게 하고 상기 레이저 노이즈 제거수단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득제어수단은, 이득이 다른 제 1, 제 2의 앰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의 신호를 이들 제 1, 제 2의 앰프에서 독립으로 증폭하고, 그 출력신호를 스위치수단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2의 신호레벨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장치.
KR1020040104174A 2003-12-17 2004-12-10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KR200500613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9207 2003-12-17
JP2003419207A JP3865071B2 (ja) 2003-12-17 2003-12-17 レーザノイズ除去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313A true KR20050061313A (ko) 2005-06-22

Family

ID=34675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174A KR20050061313A (ko) 2003-12-17 2004-12-10 레이저 노이즈 제거회로 및 광디스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90157B2 (ko)
JP (1) JP3865071B2 (ko)
KR (1) KR20050061313A (ko)
CN (1) CN100342431C (ko)
TW (1) TW20053105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8905B2 (en) 2004-05-05 2006-02-14 Elantec Semiconductor, Inc. Noise cancellation circuits and methods
JP4981612B2 (ja) * 2007-10-09 2012-07-2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CN102768477A (zh) * 2011-05-05 2012-11-07 上海微电子装备有限公司 一种调焦调平检测装置
CN105529600A (zh) * 2015-12-22 2016-04-27 北京无线电计量测试研究所 一种监测方法及设备
TWI627837B (zh) * 2017-04-27 2018-06-21 南臺科技大學 光雜訊消除裝置
CN108964784B (zh) * 2017-05-17 2021-01-05 南台科技大学 光杂讯消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9842A (ja) * 1982-04-30 1983-11-05 Toshiba Corp 光学式デジタルデイスクプレ−ヤ装置
JPS6093649A (ja) 1983-10-27 1985-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レ−ザ光ピツクアツプのノイズ除去方法
JPS628337A (ja) 1985-07-04 1987-01-16 Nippon Columbia Co Ltd 光デイスク装置
US5410531A (en) * 1991-03-28 1995-04-25 Sanyo Electric Co., Ltd. Noise reduction in a multiplex recorded optical information system
JP3128278B2 (ja) 1991-08-19 2001-01-29 三洋電機株式会社 光記録媒体の再生方法
JPH06187687A (ja) * 1992-12-18 1994-07-08 Ricoh Co Ltd 光ピックアップ
US5495464A (en) * 1993-01-20 1996-02-27 Olympus Optical Co., Ltd. Optical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491682A (en) * 1994-09-21 1996-02-13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able gain and phase matching in an optical data storage system with source noise subtraction
JP3242327B2 (ja) * 1996-08-15 2001-12-2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のトラッキング制御装置
JP3622373B2 (ja) 1996-10-18 2005-02-23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プレーヤ
JPH10134444A (ja) * 1996-10-25 1998-05-22 Hideo Hayashida 光情報記録再生装置および光磁気記録媒体
JP2000057591A (ja) * 1999-08-03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迷光成分補正方法
JP4318015B2 (ja) * 2000-12-11 2009-08-1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レーザノイズキャンセル回路
US6847597B2 (en) * 2001-01-25 2005-01-25 Dphi Acquisitions, Inc. Optical disk drive with a digital focus and tracking servo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9940A (zh) 2005-06-22
JP2005182868A (ja) 2005-07-07
TW200531057A (en) 2005-09-16
US7590157B2 (en) 2009-09-15
JP3865071B2 (ja) 2007-01-10
US20050135222A1 (en) 2005-06-23
CN100342431C (zh) 2007-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6661A (ko) 광 디스크 장치
KR100393213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자동 파워 제어 장치
JP3865071B2 (ja) レーザノイズ除去回路及び光ディスク装置
US7149232B2 (en) Laser noise cancel circuit and optical disk device
KR920009195B1 (ko) 광기록 재생장치의 피드백 제어장치
US7551529B2 (en) Optical disc apparatus
US20010053111A1 (en) Multi-layer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KR100195252B1 (ko) 광학 시스템의 결점 보상장치 및 방법
KR100242339B1 (ko) 광디스크의 재생신호 보상회로
US20060114766A1 (en) Wobbling signal reproduction device
JP2006059447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S6346494B2 (ko)
KR20030072707A (ko) 모드 전환 설정구간에서 디스크 구동기의 동작 안정화장치 및 방법
JP3946180B2 (ja)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JP3839298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の調整機構および調整方法
JP2815366B2 (ja) 光ディスクの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629201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022801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JP3938362B2 (ja) ウォブル信号検出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装置
JP2000222758A (ja) 半導体レーザパワー制御装置
JP2005056533A (ja) 光ディスク装置
JP2005004848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2005196870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レーザノイズ除去回路
JPH06111353A (ja) 迷光キャンセル回路
JP2002197710A (ja) 光学式情報記録媒体の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