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0026A -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 - Google Patents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0026A
KR20050060026A KR1020040106675A KR20040106675A KR20050060026A KR 20050060026 A KR20050060026 A KR 20050060026A KR 1020040106675 A KR1020040106675 A KR 1020040106675A KR 20040106675 A KR20040106675 A KR 20040106675A KR 20050060026 A KR20050060026 A KR 20050060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unction
unit
portable transmitt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668B1 (ko
Inventor
마츠바라마나부
타케에아키라
요시무라미노루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1639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35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01979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8857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0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6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3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using the door logic and door and engine unlock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처리 장치는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는 수신 유닛, 송신 유닛, 판단 유닛, 제어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Description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PROCESSING APPARATUS, PORTABLE TRANSMITTER, AND REMOTE OPERATION SYSTEM}
본 발명은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이동체 등의 피장비체에 설치되는 처리 장치,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복수의 기능을 원격 조작하기 위한 휴대용 송신기, 및 상기 처리 장치와 상기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원격 조작에 의해 차량 도어의 로크/언로크(lock/unlock)를 제어하거나, 차량 엔진의 시동/정지를 제어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예컨대, 차량 도어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을 실현하는 시스템[소위, 무선 도어 잠금 장치(KEYLESS ENTRY SYSTEM)]에 있어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차량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다음, 상기 차량에 장착된 전자 제어 유닛(Electronic Contro1 Unit)이 송신 코드를 식별하여 도어 로크/언로크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차량 도어의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을 실현하는 시스템이 발명되어 왔고, 이 시스템은 야간 등의 어둠속에서 도어 키 구멍을 찾거나, 또는 키 구멍에 키를 집어넣는 곤란함을 해결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했다. 따라서, 도어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에 대해서는, 차량 부근에서만 원격 조작이 달성될 수 있을 지라도 사용자는 그렇게 불편하다는 것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므로, 유저가 휴대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매우 약한 전파 전력이 충분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엔진의 시동/정지의 원격 조작을 실현하는 시스템이 발명되어 왔고, 이 시스템은 가옥이나 빌딩의 내부로부터 조작에 의해 엔진을 워밍업시키는 것을 주 목적으로 했다. 따라서, 엔진의 시동/정지의 원격 조작이, 차량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의 장소에서 수행될 수 없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느낀다. 그러므로, 유저가 휴대하는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전파 전력이 다소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근에는, 1개의 송신기를 사용하여 차량 도어의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 및 차량 엔진의 시동/정지의 원격 조작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왔다(예컨대, 일본 특허 제3181997호 공보, 일본 특개평 10-211868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1-349109호 공보). 차량 도어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서 성취될 수 있을 때, 예컨대, 송신기에 설치된 도어의 언로크 조작 버튼은 상기 차량의 주위에 유저가 없는 것에도 불구하고, 도어가 언로크될 수 있도록 뜻하지 않게 푸시 다운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일본 특허 제3181997호 공보는 차량에 설치된 수신기에서 수신된 전파의 전계 강도가 검출되고, 상기 검출된 전계 강도로부터 송신기와의 거리가 간접적으로 얻어지고, 상기 얻어진 거리가 단거리 범위 또는 중거리 범위내에만 있을 때 송신기로부터의 언로크 지령이 허용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제3181997호 공보는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거리가 멀 때, 차량에 설치된 수신기가, 언로크 코드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없도록, 송신기에 설치된 언로크 조작 버튼이 푸시 다운되자 마자, 상기 송신기에 장착된 안테나로부터의 송신 전파 전력이 감쇠되게 하는 다른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일본 특허 제3181997호 공보는 이들 기능(엔진 시동과 정지 기능, 및 도어 로크와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을 실현시키는 주 목적을 달성하면서, 도난 위험성을 경감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10-211868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1-349109호 공보는 차량 엔진 의 시동/정지의 원격 조작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면서, 상기 차량 도어 로크/언로크의 원격 조작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수행될 수 없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즉, 일본 특개평 10-211868호 공보, 및 일본 특개 2001-349109호 공보는 이들 기능(엔진 시동과 정지 기능, 및 도어 로크와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을 실현시키는 주 목적을 달성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원격 조작되는 기능은, 도어, 트렁크, 본네트, 연료 탱크 캡의 로크/언로크 기능, 엔진의 시동/정지 기능, 차량 부근에 의심자가 있을 때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강제적으로 알람을 울리는 기능(소위, 패닉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미래에는, 이들 다수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원격 조작할 수 있는 송신기를 상업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능의 원격 조작을 실현시키는 주 목적만이 달성되거나, 또는 도난 위험성만이 경감될 때 유저의 더 세심한 요구는 충분히 부합할 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환언하면, 다수의 기능이 1개의 송신기에 의해 원격 조작될 수 있을 때,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각각의 기능에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저가 원격 조작에 의해 기능을 가동시킬 때, 유저가 차량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면, 조작의 내용에 따라 기능이 가동되는지의 여부를 유저가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일본 특개평 9-125768호 공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며, 즉,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ID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할 때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를 수신할 때에, 지정된 작업 내용을 실행하는 고정 송수신기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9-125768호 공보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상기 확인 신호를 송신하자 마자 유저에게 확인 신호의 송신을 통지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개평 9-125768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도난 위험성을 경감시키는 고안을 갖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고정 수신기가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이 수신기가 지정된 작업 내용을 수행하기 때문에, 최초의 지령 후 실제로 작업 내용이 실행되기 전에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엔진의 시동 기능에 있어서는, 가동 제어가 개시된 후 엔진의 시동이 완료되기 전에, 약 7초의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작업 내용의 실행 시작의 지연에 의해 유저가 불편함을 느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각각의 다수의 기능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작업 내용의 실행 지연이 제거될 수 있는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1)는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1)는 수신 유닛, 송신 유닛, 판단 유닛, 제어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처리 장치 (1)에 따르면,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한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엔지의 시동/정지 기능, 및 도어 로크/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지령 신호를 상기 수신 유닛이 수신한 후에만, 상기 제어 유닛은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상기 처리 장치 (1)로부터 송신된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때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다. 이 때문에,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상기 피장비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상기 처리 장치 (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즉,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수 없는 경우),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범위(상기 응답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 (1)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조정한다. 따라서, 유저가 피장비체(차량 등)로부터 얼마간의 거리에서 엔진 시동/정지 기능 등의 기능을 조작하지 못하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상기 기능이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경우, 상기 조정 유닛은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비교적 길게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상기 피장비체 부근에서 도어 로크/언로크 기능이나 트렁크 언로크 기능 등의 기능만을 조작할 수 있다면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 상기 기능이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경우,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피장비체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 (1)에 따르면,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응답 신호가 도달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판단에 기초되어,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 (1)에 적절히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유저의 조작 내용과 일치하는 기능이 가동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정확히 통지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 (2)는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2)는 수신 유닛, 제 1 판단 유닛, 제 1 제어 유닛, 송신 유닛, 제 2 판단 유닛, 및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판단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기초되어,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 제 1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 제 1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 2 판단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이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확인 신호가, 상기 피장체에 설치된 처리 장치에 도달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없는 미묘한 위치(즉, 경계부근)에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조작된다는 것을 가정하라. 그러한 경우에, 상기 지령 신호가 상기 처리 장치에 도달하지만 상기 확인 신호가 상기 처리 장치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처리 장치가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므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지령 신호에 기초되어 가동 제어를 행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송신 유닛이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한 후 상기 제 2 제어 유닛이 기능을 가동시키는 구성에서, 원격 조작 허용 범위에서 제외된 위치에서 지시된 내용에 기초되는 가동 제어가 확실히 수행될 수 없다. 그러므로, 상기 피장비체(차량 등)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처리 장치 (2)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예컨대, 엔진 시동/정지 기능이나, 도어 로크/언로크 기능)에 기초되어, 상기 제 1 판단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 제 1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지령 정보에 의핵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한편,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할 때,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될 때,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기능의 가동 제어는,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수행되는 것(편리성 중시)과,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 후에 수행되는 것(안전성 중시)으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엔진 시동/정지 기능이나 도어 로크 기능이 가동되어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제어된다. 한편,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예컨대, 도어 언로크 기능, 트렁크 언로크 기능, 본네트 언로크 기능, 또는 연료 탱크 캡 언로크 기능 등)이 가동되어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제어된다. 따라서, 편리성과 안전성간의 균형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3)은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3)는 수신 유닛, 송신 유닛, 판단 유닛, 및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지령 신호보다 도달 거리가 더 짧은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3)에 따르면, 상기 송신 유닛이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예컨대, 엔진 시동/정지 기능이나, 도어 로크/언로크 기능 등)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할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한 후에만,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처리 장치 (3)으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때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다. 이 때문에,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상기 피장비체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상기 처리 장치 (3)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도달할 수 없는 경우(즉,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수 없는 경우), 상기 확인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응답 신호를 수신받을 수 있는 범위(상기 응답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3)에 따르면,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짧으므로, 상기 휴대용 송신기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에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처리 장치(3) 측에서,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4)는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4)는 수신 유닛, 제 1 제어 유닛, 송신 유닛, 판단 유닛, 및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a) 어떠한 확인도 갖지 않는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 및 (b) 어떠한 확인도 갖지 않는 기능을 가동하기 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키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 장치 (4)에 따르면,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즉,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기능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가동 제어의 시작의 지연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예컨대,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 경과해도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가나, 또는 가동 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킨다. 즉,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상기 제 1 제어 유닛이 상기 기능을 가동하더라도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 제 2 제어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 (4)에 따르면,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따라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판단에 기초되어,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상기 지령 신호가 상기 처리 장치 (4)에 적절히 도달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유저의 조작 내용과 일치하는 기능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정확히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실행의 지연은, 유저의 조작 내용과 일치하는 기능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정확히 통지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5)는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킨다. 상기 처리 장치 (5)는 수신 유닛, 제 1 제어 유닛, 송신 유닛, 판단 유닛, 및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상기 송신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고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중지 신호가 도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중지 신호 수신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a) 상기 중지 지령 정보에 따라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 및 (b) 상기 기능의 가동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키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한다.
상기 처리 장치 (5)에 따르면,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 즉, 상기 제 1 제어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송신되는 응답 신호에 대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응답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상기 기능을 가동시킨다. 따라서, 가동 제어의 시작의 지연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수신되지 않을 때, 중지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중지 신호가 도달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즉,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도달할 수 있는 범위에 있지 않음),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가나, 또는 가동 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킨다. 즉,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응답의 수신을 기다리는 것없이 상기 제 1 제어 유닛이 상기 기능을 가동하더라도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제 2 제어 유닛은 상기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킨다.
또한, 상기 처리 장치 (5)에 따르면, 상기 응답 신호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송신된다. 따라서,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이루어진 판단에 기초되어,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상기 지령 신호가 상기 처리 장치 (5)에 적절히 도달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응답 신호의 수신 결과를 이용함으로써, 유저의 조작 내용과 일치하는 기능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정확히 통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 내용의 실행의 지연은, 유저의 조작 내용과 일치하는 기능이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유저에게 정확히 통지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6)는 상기 처리 장치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되고,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처리 장치 (6)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조정한다. 따라서, 유저가 피장비체(차량 등)로부터 얼마간의 거리에서 엔진 시동/정지 기능 등의 기능을 조작하지 못하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 상기 기능이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될 때,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비교적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상기 피장비체 부근에서 도어 로크/언로크 기능이나 트렁크 언로크 기능 등의 기능만을 조작할 수 있다면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 상기 기능이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될 때,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단축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피장비체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7)은, 상기 처리 장치 (1)에 기초되고,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상기 기능은, 이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소정의 거리보다 넓다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일 때,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소정의 거리내에서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처리 장치 (7)에 따르면, 넓은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상기 기능(도어 로크/언로크 기능, 트렁크 언로크 기능, 본네트 언로크 기능, 연료 탱크 캡 언로코 기능 등)에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이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될 때,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는 이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피장비체(차량 등) 부근내에서 제한되도록 소정의 거리(예컨대, 10m)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이나 트렁크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은 예컨대 유저가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만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장비체(차량 등)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8)은, 상기 처리 장치 (1) 및 (3)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되고, 제 2 조정 유닛 및 정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판단 유닛은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상기 피장비체의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정보 유닛은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장치 (9)는 상기 처리 장치 (8)에 기초되고, (a) 상기 제어 유닛이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및 (b)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기 전에 도어가 개방된 것을 도어-개방 검출 유닛이 검출할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다.
유저가 상기 피장비체(차량 등) 부근에 없을 때, 도어 또는 트렁크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면, 차량 도난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을 때보다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을 때 도난의 위험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이유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는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보다 외부에서 더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렁크는 수동으로만 닫힐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도어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더라도, 상기 도어는 멋대로 개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은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보다 낮아진다. 게다가, 오토-리로크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채로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될 때 상기 도어는 자동적으로 로크될 것이다. 따라서, 유저가 부근에 없을 지라도, 상기 트렁크의 언로크 상태가 계속되는 것은 받아들여질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처리 장치 (8) 또는 (9)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대하여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언로크 기능을 상기 제어 유닛이 가동한 후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을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예컨대, 상기 정보 유닛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제공된 표시부에서의 표시나, 램프 점등, 음성, 진동으로 트렁크 로크 기능이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또한, 앞서 정의된 조건은, 트렁크 로크 기구가 로크되지 않은 채로, 적어도 소정 시간의 경과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저는 상기 트렁크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된 이래 상기 트렁크가 여전히 언로크된 채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을 인식한다. 따라서, 도난의 위험성이 저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처리 장치 (9)에 따르면,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된 후 상기 조건이 성립하기 전에 상기 도어-개방 검출 유닛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검출할 때(즉, 유저가 차량 부근에 있을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다. 즉, 유저가 차량 부근에 있을 때, 상기 트렁크의 언로크된 상태의 정보는 상기 트렁크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된 이래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금지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정보가 금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1)는 유저가 휴대 소지하고, 피장비체에 설치된 처리 장치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제 1 송신 유닛, 수신 유닛, 판단 유닛, 및 제 2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송신 유닛은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판단 유닛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지령 정보에 따라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라고 지령하기 위한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중지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1)에 따르면, 지령 신호에 대하여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예컨대, 상기 지령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 경과해도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중지 가동을 지령하기 위한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중지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상기 중지 신호는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도달될 수 없는 범위에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를 사용하여 유저가 원격 조작을 수행한다면 송신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각 기능에 대해 조정될 때,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 (1)은, 상기 처리 장치 (1) 내지 (9) 및 휴대용 송신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제 2 수신 유닛, 제 2 송신 유닛, 제 3 송신 유닛, 및 제 2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신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 2 송신 유닛은 소정의 조작에 따라, 지령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 3 송신 유닛은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에 대하여 확인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제 2 조정 유닛은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지령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원격 조작 시스템 (1)에 따르면,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의 도달 거리도,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조정된다. 즉, 하나뿐만 아니라,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 둘다가 조정되므로, 상기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2)는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2)는 송신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도어 언로크 기능 및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을 때보다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을 때 도난의 위험성이 보다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이유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는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보다 외부에서 더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렁크는 수동으로만 닫힐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도어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더라도, 상기 도어는 멋대로 개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은 상기 트렁크가 언로크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보다 낮아진다. 게다가, 오토-리로크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채로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될 때 상기 도어는 자동적으로 로크될 것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2)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차량에 더 가까운 범위만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도난의 위험성은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더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3)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3)은 송신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엔진 정지 기능 및 엔진 시동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엔진 시동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엔진 정지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3)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엔진 시동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엔진 정지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엔진 정지 기능은 상기 엔진 시동 기능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경우는 언제나 항상 원격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진은 불필요하게 구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4)는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4)는 송신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패닉 기능 및 도어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패닉 기능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에 대하여 알람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패닉 기능은 차량 내부 또는 부근에 있는 의심자가 차량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진 위치에서 검출될 때 알람을 강제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패닉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될 수 없는 것은 불편하고 위험하다. 한편, 유저가 차량의 부근에서만 도어 언로크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될 수 있다면 차량 도난의 위험성이 증가될 것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4)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상기 패닉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차량에 더 가까운 범위만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과 안전성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5)는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5)는 송신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패닉 기능 및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패닉 기능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에 대하여 알람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능이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패닉 기능은 차량 내부 또는 부근에 있는 의심자가 차량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진 위치에서 검출될 때 알람을 강제적으로 제공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상기 패닉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될 수 없는 것은 불편하고 위험하다. 한편, 유저가 차량의 부근에서만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조작될 수 있다면 차량 도난의 위험성이 증가될 것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5)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므로,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상기 패닉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차량에 더 가까운 범위만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과 안전성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6)는 휴대용 송신기 (2)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되고, 원격 조작되는 기능의 수는 3 이상이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6)에 따르면, 상기 송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는 2 레벨이 아니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된다. 따라서, 차량에서 10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몇몇 기능에 허용되는 한편, 차량에서 30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다른 기능에 허용될 수 있도록 간단한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차량에서 100m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도어 로크 기능에 허용되며, 차량에서 3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도어 언로크 기능에 허용되고, 차량에서 1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트렁크 언로크 기능에 허용될 수 있도록 섬세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7)는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7)는 송신 유닛 및 조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송신 유닛은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3종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하여 원격 조작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7)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2 레벨이 아니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한다. 따라서, 차량에서 10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몇몇 기능에 허용되는 한편 차량에서 30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다른 기능에 허용될 수 있도록 간단한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차량에서 200m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엔진 시동 및 정지 기능에 허용되며, 차량에서 3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도어 언로크 기능에 허용되고, 차량에서 10m 거리까지의 원격 조작이 트렁크 언로크 기능에 허용될 수 있도록 섬세한 설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2)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8)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8)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신호의 전력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에 제공되는 송신 안테나의 수는 하나로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9)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되고, 방사 효율이 상이한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정 유닛은 송신 안테나들 중 한쪽 송신 안테나에서 다른 쪽 송신 안테나로 절환시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9)에 따르면, 상기 조정 유닛은 방사 효율이 상이한 송신 안테나들 중 한쪽 송신 안테나에서 다른 쪽 송신 안테나로 절환시킴으로써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 결과, 송신 안테나의 수는 증가하지만, 전력 강도를 조정하기 위해 부재를 제공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그것은 한쪽 안테나에서 다른 쪽 안테나로 절환시키는 절환 스위치 등의 비교적 간단한 부재가 제공되는 경우에만 바람직해질 것이다.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는 방사 효율이 상이한 송신 안테나 중 한쪽 안테나를 다른 쪽 안테나로 절환시킴으로써 뿐만 아니라 상기 신호의 전력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더 섬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한쪽 안테나에서 다른 쪽 안테나로 절환시킴으로써 2 레벨만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달 거리는 신호 전력 강도의 조정을 사용함으로써 3 이상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 (10)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초되고, 검출 유닛 및 출력 감소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검출 유닛은 배터리 용량을 검출한다. 상기 출력 감소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전파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10)에 따르면, 상기 출력 감소 유닛은 상기 배터리 용량에 따라 전파 송신 전력을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예컨대, 배터리 용량이 적을 때, 상기 전파 송신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사용가능 기간은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가 단축되더라도, 연장될 수 있다.
휴대용 송신기 (11)은 상기 휴대용 송신기 (10)에 기초되고,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전파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 (11)에 따르면, 상기 정보 유닛은 상기 전파 송신 전력이 배터리 용량에 따라 감소된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유저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고장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 배터리 양의 감소로 인하여 좁아진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저는 적절한 측정을 신속히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의 실시형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는 마이크로 컴퓨터(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되는 신호 등)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제어 회로(5)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서 안테나를 절환시키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그것으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가 비교적 긴(예컨대, 200m)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5)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휴대용 송신기(21)는 도어 로크 스위치(22), 도어 언로크 스위치(23),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엔진 정지 스위치(26), 및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를 포함한다.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는 도어 키 스위치(10)와 트렁크를 릴리스하는 트렁크 스위치(11)는 입력 회로(7)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로크를 제어하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 도어 언로크를 제어하는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3), 알람을 제공하는 패닉 제어 유닛(14), 엔진 시동을 제어하는 엔진 시동 제어 유닛(15), 엔진 정지를 제어하는 엔진 정지 제어 유닛(16), 및 트렁크 릴리스를 제어하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7)은 출력 회로(8)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즉,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동일한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 컴퓨터(2)는 도어를 로크하기 위해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을 제어한다.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 컴퓨터(2)는 도어를 언로크하기 위해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3)을 제어한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나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했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엔진 정지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하면, 마이크로 컴퓨터(2)는 수신된 지령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유닛, 즉 패닉 제어 유닛(14), 엔진 시동 제어 유닛(15), 엔진 정지 제어 유닛(16) 또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7)을 제어하여, 부저 소리를 울리거나, 엔진을 시동시키거나, 엔진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트렁크를 릴리스시킨다.
또한, 도어 키 스위치(10)나 트렁크 스위치(11)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기초되어, 마이크로 컴퓨터(2)는 도어 로크 제어 장치(12),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3), 또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7)을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키거나, 도어를 언로크시키거나, 또는 트렁크를 릴리스시킨다. 게다가, 마이크로 컴퓨터(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고효율 안테나(9)를 절환시킨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2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21)는 마이크로 컴퓨터(28)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29)과, 송신 회로(30)와, 수신 회로(31)와,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안테나를 절환시키는 절환 스위치(32)와,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33)와, 도어 로크 스위치(2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23)와, 패닉 스위치(24)와, 엔진 시동 스위치(25)와, 엔진 정지 스위치(2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를 포함한다.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 컴퓨터(28)는,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컴퓨터(28)가 제어되어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상기 지령 신호를 방사시킨다. 한편, 도어 언로크 스위치(23)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 컴퓨터(28)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컴퓨터(28)가 제어되어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상기 지령 신호를 방사시킨다.
도어 로크 스위치(22)나 도어 언로크 스위치(23)가 조작되었을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엔진 정지 스위치(26), 또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가 조작되면, 마이크로 컴퓨터(28)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 컴퓨터(28)가 제어되어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상기 지령 신호를 방사시킨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28)가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의 고효율 안테나(33)를 절환시킨다.
그 다음,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21)의 마이크로 컴퓨터(28)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1-a]은 도 3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28)는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그 다음에,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이 경우에,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2).
마이크로컴퓨터(28)는 생성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하여, 상기 지령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3).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28)는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33)를 수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14). 마이크로컴퓨터(28)는 타이머(t1)을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1)를 시작시킨다(스텝 S15).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28)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6).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7).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21)와 한 쌍인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가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33)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18). 마이크로컴퓨터(28)는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켜, 상기 확인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9).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로 리턴된다.
한편, ID 코드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스텝 S17에서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28)가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6으로 리턴된다.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스텝 S16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그 다음에,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예컨대, 2초)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즉, 상기 지령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28)가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6으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에 도달했다는 것을(즉, 상기 지령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응답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그 다음에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33)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21). 그 다음, 상기 처리 조작은 스텝 S1로 리턴된다. 말하자면, 상기 지령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에 의해 아직 수신되지 않은 상황은, 상기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또는 상기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스텝 S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그 다음에, 도어 언로크 스위치(23)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 도어 언로크 스위치(2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그 다음에,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이 경우에,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4). 그 다음,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마이크로컴퓨터(28)는 생성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켜, 상기 지령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3).
한편,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어 언로크 스위치(23)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스텝 S3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엔진 정지 스위치(26) 또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가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5, S7, S9 또는 S11).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엔진 정지 스위치(26) 또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8)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이 경우에,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엔진 정지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지령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6, S8, S10 또는 S1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28)는 생성된 지령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3).
그 다음,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21)의 마이크로 컴퓨터(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1-b]은 도 4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2)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1). 상기 지령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2).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응답 신호는, 처리 장치(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및 트렁크 언로크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인지의 여부(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송신 제어 회로(5)의 전력을 제어하여(즉, 이 경우에, 감쇠되어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제어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예컨대, 10m 이내)를 단축한다(스텝 S34).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도 아니고,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또는 엔진 정지 지령 정보(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더라도 어떠한 보안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5)의 전력을 제어하여(예컨대,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이내)를 연장시킨다(스텝 S35).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36). 마이크로컴퓨터(2)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를 송신 제어 회로(5)로 출력시켜, 상기 응답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37).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수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38). 마이크로컴퓨터(2)는 타이머(t2)를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2)를 시작시킨다(스텝 S39).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0).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수신된 확인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1).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확인 신호는 처리 장치(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가 제어되어 상기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킨다(스텝 S42).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31로 리턴된다.
예컨대, 상기 지령 정보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일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을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상기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일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3)을 제어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여기서, 마이크로컴퓨터(2)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 기능의 가동을 제어하더라도,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는 지령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마이크로컴퓨터(2)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확인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 기능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ID 코드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스텝 S41에서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2)가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40으로 리턴된다.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가 스텝 S40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는 그 다음에,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예컨대, 2초)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43).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2)가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40으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도달했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확인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2)가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직접 스텝 S31로 리턴된다. 말하자면, 상기 응답 신호가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확인 신호가 처리 장치(1)에 의해 아직 수신되지 않은 상황은, 상기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또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처리 장치(1)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나타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따르면,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대하여,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고, 확인 신호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확인 신호만을 수신한 후, 처리 장치(1)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1)에 의해 수신될 때조차도, 상기 확인 신호는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다면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확인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확인 신호는 처리 장치(1)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 장치(1)는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하지 못한다.
즉, 처리 장치(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범위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 역할을 한다.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는 각 기능에 대해 조정된다. 따라서, 우너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설정된다. 그러므로,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거나, 또는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1)에 있어서,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일 때,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길어지도록 전력이 제어된다. 그러나, 유저가 차량 부근에서만도어 언로크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짧아지도록 전력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4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41)는 마이크로컴퓨터(4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제어 회로(43)와, 안테나의 송수신을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10m)가 짧은 저효율 안테나(44)는 송신 제어 회로(43)에 접속되어 있다.
그 다음,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41)의 마이크로컴퓨터(4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2-b]은 도 6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2-b]은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즉, 수신된 지령 신호는 처리 장치(4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처리 조작[1-b]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4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2)가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4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42)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및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인지의 여부(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42)는 송신 제어 회로(43)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44)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51). 마이크로컴퓨터(42)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를 송신 제어 회로(43)로 출력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44)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52).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도 아니고,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및 엔진 정지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더라도 어떠한 보안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4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42)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43)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53).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은, 실시형태 (1)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41)에 있어서, 고효율 안테나(9)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일 때,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유저가 차량 부근에서만 도어 언로크 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저효율 안테나(44)는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단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실시형태 (3)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원격 조작 시스템은, 처리 장치, 상기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송신 제어 회로를 제외하고,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처리 장치, 마이크로컴퓨터, 및 송신 제어 회로는 처리 장치(1), 마이크로컴퓨터(2), 및 송신 제어 회로(5)과 상이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다른 구성부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7에 있어서, 참조 부호 1A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A)는 마이크로 컴퓨터(2A)와, EEPROM(3)과, 수신 회로(4)와, 송신 제어 회로(5A)와,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3)에 따른 처리 장치(1A)의 마이크로컴퓨터(2A)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3-b]은 도 7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3-b]은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즉, 수신된 지령 신호는 처리 장치(1A)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42A)가 스텝 S32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처리 조작[1-b]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1A)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1A)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스텝 S32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A)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A).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A)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5A)의 전력을 제어하여(즉, 이 경우에, 감쇠되어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제어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예컨대, 10m이내)를 단축시킨다(스텝 S34A).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확인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A)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B).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A)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5A)의 전력을 제어하여(즉, 이 경우에, 감쇠되어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제어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가 비교적 단축된다(예컨대, 50m이내)(스텝 S34B).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도 아니고,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및 엔진 정지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더라도 어떠한 보안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A)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2A)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5A)의 전력을 제어하여(예컨대,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최대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가 길어진다(예컨대, 200m)(스텝 S35).
실시형태 (3)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2 레벨이 아니라 3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더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3)에 따른 처리 장치(1A)에 있어서, 송신 제어 회로(5A)의 전력이 제어되어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51)에 있어서,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 효율이 상이한 고효율 안테나(9), 중효율 안테나(54), 및 저효율 안테나(4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서, 마이크로컴퓨터(52)는 송신 제어 회로(53)를 제어하여, 출력 안테나를 절환시킨다. 따라서,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는 3 레벨로 조정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61)에 있어서,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안테나(9), 및 저효율 안테나(44)가 제공될 수 있다. 도 9에서, 마이크로컴퓨터(62)는 송신 제어 회로(63)를 제어하여, 출력 안테나를 절환시키고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파워)를 조정한다. 따라서,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는 3 이상의 레벨로 조정된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10에서, 참조 부호 7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71)는 마이크로컴퓨터(7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제어 회로(73)와, 송신측과 수신측의 안테나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10m)가 짧은 저효율 안테나(44)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저효율 안테나(44)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73)에 접속되어 있다. 휴대용 송신기(81)는 마이크로컴퓨터(82)를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2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휴대용 송신기(81)의 마이크로컴퓨터는 다른 참조 부호 82로 표시되고, 다른 부분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그 다음,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81)의 마이크로컴퓨터(8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4-a]은 도 11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4-a]은 도어 로크 스위치(22),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26)가 조작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82)가 스텝 S1, S5, S7 또는 S9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처리 조작[1-a)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 로크 스위치(22),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26)가 조작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82)가 스텝 S1, S5, S7 또는 S9에서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82)가 스텝 S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82)는 그 다음에,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 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이 경우에,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2). 마이크로컴퓨터(82)는 생성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켜, 상기 지령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61). 그 후, 처리 조작은 스텝 S1로 리턴된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2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82)가 판단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스위치(24), 엔진 시동 스위치(2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2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82)가 스텝 S5, S7, 또는 S9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82)는 그 다음에,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이 경우에,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또는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6, S8 또는 S10).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82)는 생성된 지령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켜, 상기 지령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61). 그 후, 처리 조작은 스텝 S1로 리턴된다. 즉, 휴대용 송신기(81)는 상기 지령 신호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에 부가된 지령 신호이기만 하면,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대하여 송신되는 응답 신호를 대기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휴대용 송신기(81)와 휴대용 송신기(21)간의 차이점이다.
그 다음,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71)의 마이크로컴퓨터(7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4-b]은 도 12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4-b]은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즉, 수신된 지령 신호는 처리 장치(7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7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처리 조작[1-b]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7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72)가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7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7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72)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및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인지의 여부(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7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72)는 그 다음에,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44)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36). 마이크로컴퓨터(72)는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를 송신 회로(73)로 출력시켜, 상기 응답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44)로 방사시킨다(스텝 S37).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7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44)를 수신측으로 절환시켜(스텝 S38),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도 아니고,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및 엔진 정지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더라도 어떠한 보안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72)가 스텝 S33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72)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없이(즉,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스텝 S71).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31로 리터된다.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따르면, 처리 장치(71)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도어 언로크 기능 또는 트렁크 릴리스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수신할 때, 짧게 제한되는 도달 거리를 갖는 응답 신호가 송신되어, 이들 기능에 대해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좁힌다.
한편, 도어 로크 기능, 엔진 시동/정지 기능 등에 대해서는, 처리 장치(71)는 지령 신호가 바로 수신될 때 기능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들 기능에 대한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어진다. 그 결과, 편리성과 안전성이 우수한 원격 조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3는 실시형태 (5)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13에서, 참조 부호 9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91)는 마이크로컴퓨터(9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제어 회로(93)와,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안테나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93)에 접속되어 있다.
그 다음, 실시형태 (5)에 따른 처리 장치(91)의 마이크로컴퓨터(9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5-b]은 도 14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5-b]은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즉, 수신된 지령 신호는 처리 장치(9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상기 마이크로컴퓨터(9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4에 도시된 처리 조작[1-b]과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9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판단한 후의 상기 수신된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수신된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9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8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스텝 S32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92)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A).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92)는 송신 제어 회로(93)의 전력을 제어하여(즉, 이 경우에, 감쇠되어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제어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예컨대, 10m 이내)를 단축한다(스텝 S34A).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92)는 그 다음에,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3B).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92)는 그 다음에, 송신 제어 회로(93)의 전력을 제어하여(즉, 이 경우에, 감쇠되어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제어함),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가 비교적 짧아진다(예컨대, 50m이내)(스텝 S34B).
한편,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도 아니고,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및 엔진 정지 지령 정보 중 어느 하나(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더라도 어떠한 보안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 기능의 지령 정보)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9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92)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것없이(즉,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스텝 S81).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31로 리터된다.
실시형태 (5)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게 설정되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도어 언로크 기능 또는 트렁크 릴리스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수신할 때, 처리 장치(91)는 짧게 제한되는 도달 거리를 갖는 응답 신호를 송신하여 이들 기능에 대해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좁힌다. 또한,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각 기능에 대해 조정되어,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더 미세하게 그리고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로크 기능, 엔진 시동/정지 기능 등에 대해서는, 상기 처리 장치(91)는 지령 신호가 바로 수신될 때 기능의 가동을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이들 기능에 대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넓어진다. 그 결과, 편리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원격 조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15에서, 참조 부호 10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01)는 마이크로컴퓨터(10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회로(103)와,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안테나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103)에 접속되어 있다.
그 다음, 실시형태 (6)에 따른 처리 장치(101)의 마이크로컴퓨터(1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6-b]은 도 16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02)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1). 상기 지령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상기 수신된 지령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2).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지령 신호는 처리 장치(10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상기 지령 정보에 기초되어,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스텝 S93). 예컨대, 상기 지령 정보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일 때, 마이크로컴퓨터(102)가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을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상기 지령 정보가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일 때, 마이크로컴퓨터(102)가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3)을 제어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가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94).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를 송신 회로(103)로 출력시켜, 상기 응답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95).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수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96). 마이크로컴퓨터(102)는 타이머(t2)을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2)를 시작시킨다(스텝 S97).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8).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수신된 확인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즉, 상기 수신된 확인 신호가 처리 장치(10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99). 수신된 확인 신호가, 처리 장치(10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즉, 상기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21)에 적절히 도달되었음] 신호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스텝 S91로 리턴된다.
한편, 수신된 확인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스텝 S99에서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98로 리턴된다.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가 스텝 S98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그 다음에,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예컨대, 2초)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0).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98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도달했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확인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0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21)에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더 판단하고, 마이크로컴퓨터(102)는 스텝 S93에서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의 중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처리 장치(101)의 복귀를 제어한다(스텝 S101).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91로 리턴된다. 예컨대, 패닉 기능이 가동되어 알람 등을 제공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패닉 제어 회로(14)를 제어하여 알람 등을 정지시킨다. 도어 언로크 기능이 가동되어 도어를 언로크시킬 때, 마이크로컴퓨터(102)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을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실시형태 (6)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처리 장치(101)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 즉, 처리 장치(101)는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것없이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동 제어를 시작할 때의 지연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 장치(101)가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지만,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휴대용 송신기(2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상기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라. 그 경우에, 처리 장치(101)는 상기 기능의 가동의 중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그 자체의 복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처리 장치(101)는 상기 확인 신호의 수신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기능의 가동을 제어할 때조차도, 상기 처리 장치(101)는 이 처리 장치(101)가 확인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다면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그 자체를 복귀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실시형태 (7)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이 원격 조작 시스템은, 처리 장치, 상기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휴대용 송신기를 제외하고, 도 15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처리 장치, 마이크로컴퓨터 및 휴대용 송신기는 처리 장치(101), 마이크로 컴퓨터(102) 및 휴대용 송신기(21)와 상이한 참조 부호로 표시되고, 다른 부분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15에서, 참조 부호 111은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11)는 마이크로컴퓨터(112)와,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회로(103)와,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회로(103)에 접속되어 있다. 휴대용 송신기(121)는 마이크로 컴퓨터(28)를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2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휴대용 송신기(121)의 마이크로컴퓨터는 다른 참조 부호 122로 표시되고, 다른 부분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그 다음에, 실시형태 (7)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21)의 마이크로 컴퓨터(12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7-a]은 도 17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7-a]은 처리 장치(11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마이크로컴퓨터(122)가 스텝 S16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1-a]과 동일하다. 따라서,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하는 처리 스텝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스텝 S16에서, 마이크로컴퓨터(122)는 처리 장치(111)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할 때, 상기 수신된 응답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한다(스텝 S17).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121)와 한 쌍인 처리 장치(11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111)에 적절히 도달했었는지를 마이크로컴퓨터(122)가 더 판단하고, 마이크로컴퓨터(122)는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33)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18). 그 다음, 처리 장치는 스텝 S1로 리턴된다.
한편, ID 코드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22)가 스텝 S17에서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22)가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6으로 리턴된다.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22)가 스텝 S16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22)는 그 다음에,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예컨대, 2초)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0).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즉, 상기 지령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22)가 응답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6으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1)가 소정의 시간(t1')에 도달했다는 것을(즉, 상기 지령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응답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22)가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신호가 처리 장치(111)에 적절리 도달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22)가 더 판단하고, 절환 스위치(32)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33)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21).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22)는 중지 신호를 송신 회로(30)로 출력시켜 상기 중지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33)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11). 상기 중지 신호[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는 스텝 S13에서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 중지를 지령하기 위한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한다.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로 리턴된다.
그 다음, 실시형태 (7)에 따른 처리 장치(111)의 마이크로컴퓨터(11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7-b]은 도 18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7-b]은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타이머(t2)를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2)를 시작시키는 스텝 S97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16에 도시된 처리 조작[6-b]과 동일하다. 따라서,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타이머(t2)를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2)를 시작시키는 처리 스텝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타이머(t2)를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2)를 스텝 S97에서 시작시킬 때, 마이크로컴퓨터(112)는 그 다음에,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1).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할 때, 수신된 중지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즉, 수신된 중지 신호가, 처리 장치(11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인지 여부]를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한다(스텝 S122).
수신된 중지 신호가, 처리 장치(111)와 한 쌍인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라는 것[즉, 상기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121)에 적절히 도달되지 않았음]을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2)는 스텝 S93에서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 중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상기 처리 장치(111)의 복귀를 제어한다(스텝 S123).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91로 리턴된다. 예컨대, 패닉 기능이 가동되어 알람 등을 울릴 때, 마이크로컴퓨터(112)는 패닉 제어 유닛(14)을 제어하여, 알람 등을 정지시킨다. 도어 언로크 기능이 가동되어 도어를 언로크시킬 때, 마이크로컴퓨터(112)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2)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한편, 수신된 중지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가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2)가 스텝 S122에서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12)가 중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21로 리턴된다.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2)가 스텝 S12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2)는 그 다음에,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예컨대, 2초)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24).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마이크로컴퓨터(112)가 중지 신호의 수신을 대기하는 스텝 S121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2)가 소정의 시간(t2')에 도달했다는 것을(즉, 상기 응답 신호가 송신되고 나서 2초가 경과해도 상기 중지 신호가 아직 수신되지 않음)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할 때, 상기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121)에 적절히 도달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2)가 판단한다.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91로 직접 리턴된다.
실시형태 (7)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따르면, 처리 장치(111)가,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처리 장치(111)는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가동 제어를 시작할 때의 지연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 장치(111)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121)에 의해 수신되지 않을 때, 중지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121)로부터 송신된다. 상기 중지 신호를 수신할 때, 처리 장치(111)는 상기 기능의 가동 중지를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그 자체의 복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처리 장치(111)가 지령 신호를 수신하자 마자 상기 처리 장치(111)가 기능의 가동을 제어할 때조차도, 상기 처리 장치(111)는 응답 신호가 휴대용 송신기(121)에 의해 적절히 수신되지 않는다면 상기 기능이 가동되지 않았던 상태로 그 자체를 복귀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6) 또는 (7)에 관계되는 처리 장치(101 또는 111)에서,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조정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에서, 상기 도달 거리는 처리 장치(1)과 같이 각 기능에 대해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각 기능에 대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편리성과 안전성이 뛰어난 원격 조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는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원격 조작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19에서, 참조 부호 13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31)는 마이크로컴퓨터(13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14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 등)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4)와, 송신 회로(103)와, 송신측과 수신측간의 안테나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 스위치(6)와, 입력 회로(7)와, 출력 회로(8)를 포함한다.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예컨대, 200m)가 비교적 긴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에 접속되어 있다. 고효율 안테나(9)는 절환 스위치(6)를 통하여 수신 회로(4) 및 송신 제어 회로(10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는 도어 키 스위치(10), 트렁크를 릴리스하는 트렁크 스위치(11), 및 상기 트렁크의 개방/폐쇄 상태를 검출하는 트렁크 개방/폐쇄 검출 센서(133)는 입력 회로(7)에 접속되어 있다.
도 20은 실시형태 (8)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4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41)는 마이크로컴퓨터(142)와, EEPROM(29)과, 송신 회로(30)와, 수신 회로(31)와, 고효율 송신 안테나(33)와, 수신 안테나(143)와, 도어 로크 스위치(2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23)와, 패닉 스위치(24)와, 엔진 시동 스위치(25)와, 엔진 정지 스위치(2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27)와,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음 발생 유닛(144)을 포함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131)의 마이크로컴퓨터(13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8-b]는 도 21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8-b]의 스텝 S131 내지 S140는 도 4에 도시된 처리 조작[1-b]의 스텝 S31 내지 S4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스텝 S139 이하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스텝 S139에서, 마이크로컴퓨터(132)는 휴대용 송신기(14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퍼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제어한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32)는 우선, 가동된 기능이 트렁크 릴리스 기능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1). 가동된 기능이 트렁크 릴리스 기능인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타이머(t3)를 0으로 설정하여 타이머(t3)을 시작시킨다(스텝 S14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트렁크가 릴리스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트렁크 플래그(f)를 1로 설정한다(스텝 S143).
그 다음, 트렁크 개방/폐쇄 검출 센서(133)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되어, 마이크로컴퓨터(132)는 트렁크가 폐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4). 상기 트렁크가 폐쇄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상기 트렁크가 원격 조작에 의해 릴리스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도난 등의 위험성이 회피된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더 판단하고, 트렁크 플래그(f)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14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31로 리턴된다.
한편, 상기 트렁크가 폐쇄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그 다음에, 타이머(t3)가 소정의 시간(t3')(예컨대, 30초)에 도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46). 타이머(t3)가 소정의 시간(t3')에 도달되었다는 것을(즉, 트렁크가 릴리스되고 나서 30초가 경과됨)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그 다음에,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송신측으로 절환시킨다(스텝 S147). 마이크로컴퓨터(132)는 주의 신호를 송신 회로(103)로 출력시켜 상기 주의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48). 상기 주의 신호[EEPROM(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를 포함함]는 상기 트렁크가 릴리스되고 나서 30초가 경과했고 도난 등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32)는 절환 스위치(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9)를 수신측으로 절환시키고(스텝 S149), 트렁크 플래그(f)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150).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31로 리턴된다.
한편, 타이머(t3)가 소정의 시간(t3')에 아직 도달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스텝 S146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그 다음에,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1). 도어가 개방되는(즉, 유저가 차량 부근에 있음)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상기 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132)는 타이머(t3)를 0으로 재설정하여 타이머(t3)를 재시작시킨다(스텝 S152). 그 후, 처리 조작은 스텝 S131로 리턴된다. 한편, 도어가 폐쇄된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타이머(t3')를 0으로 재설정하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스텝 S131로 직접 리턴된다. 말하자면,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컨대, 도어의 개방 상태를 검출하는 도어 개방 검출 센서가 마이크로컴퓨터(132)에 접속되어 있고, 도어 개방 검출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되어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하는 방법이 있다.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유저, 즉 운전자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경우에, 상기 주의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그 후, 상기 트렁크가 폐쇄된 채로 도어가 개방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스텝 S152에서 처리 조작을 스킵한다. 타이머(t3)가 0으로 재설정되지 않기 때문에, 타이머(t3)는 현 상태로 카운팅을 계속한다. 트렁크가 릴리스된 채로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하자 마자, 상기 주의 신호가 송신된다.
가동된 기능이 트렁크 릴리스 기능이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스텝 S141에서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스텝 S142 이후의 처리 조작을 수행하는 불필요하기 때문에 스텝 S131로 리턴된다. 휴대용 송신기(141)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스텝 S13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32)는 그 다음에, 트렁크 플래그(f)가 1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53). 트렁크 플래그가 1이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스텝 S144로 진행한다. 트렁크 플래그가 1이 아니라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32)가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스텝 S131로 직접 리턴된다.
그 다음,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141)의 마이크로컴퓨터(14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동작 [8-a]은 도 22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동작 [8-a]의 스텝 S161 내지 S178은, 도 3에 도시된 처리 동작 [1-a]의 스텝 S1 내지 S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스텝 S179 이후의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스텝 S179에서, 마이크로컴퓨터(142)는 처리 장치(131)로부터 송신되는 주의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주의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4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42)는 수신된 주의 신호에 포함된 ID 코드가 EEPROM(29)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80).
ID 코드가 상호 일치하는[즉, 수신된 응답 신호는, 휴대용 송신기(141)와 한 쌍인 처리 장치(131)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임] 것을 마이크로컴퓨터(2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42)가 부저음 발생 유닛(144)을 제어하여 부저음을 발생시켜, 트렁크가 릴리스되고 나서 30초가 경과된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스텝 S181).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64로 리턴된다.
한편, ID 코드가 상호 일치되지 않는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42)가 판단할 때, 상기 처리 조작은 부저음을 발생시키는 것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스텝 S161로 직접 리턴된다. 또한, 상기 주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42)가 스텝 S179에서 판단할 때, 처리 조작은 스텝 S161로 직접 리턴된다.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트렁크가 원격 조작에 의해 릴리스되고, 트렁크가 릴리스된 채로 소정의 시간(t3')(예컨대, 30초)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트렁크가 릴리스된 채로 소정의 시간(t3')이 경과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한다. 따라서, 도난 등의 위험성이 저감될 수 있다.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131)는 트렁크가 릴리스된 채로 소정의 시간(t3')이 경과했다는 그러한 통지의 조건하에 통지를 송신한다. 그러나, 상기 통지를 송신하는 조건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에서, 트렁크가 릴리스된 채로 소정의 시간(t3')이 경과되더라도, 도어가 그 사이에 한번 개방되었을 때, 유저가 차량 부근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어떠한 통지도 송신되지 않는다(주의 신호는 송신되지 않음).
실시형태 (8)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에서, 부저음은 휴대용 송신기(141)에서 발생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에서, 부저음은 처리 장치측에서 발생될 수 있다. 말하자면, 통지의 모드는 그러한 부저음에 한정되지 않지만, 다른 소리 또는 표시 등의 시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대안으로, 휴대용 송신기는 진동될 수 있다. 실시형태 (8)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은 실시형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으로 조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가 조정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상기 처리 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가 조정될 수 있거나, 또는 방사 효율이 상이한 다수의 송신 안테나 중에서 출력 안테나가 변화되어, 각 기능에 따른 지령 신호, 확인 신호 등의 도달 거리를 조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 (1) 내지 (7)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은 휴대용 송신기 21, 81, ...로부터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가 처리 장치 1, 1A, ...로부터 송신되는 송신 전파의 최대 도달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은 경우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들 도달 거리는 서로 같지 않아야 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원격 조작 시스템에에서, 예컨대, 처리 장치 1, 1A, ...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의 최대 도달 거리는 휴대용 송신기 21, 81, ...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응답 신호 수신 범위(응답 신호가 도달될 수 있는 범위)는 원격 조작 허용 범위로서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처리 장치 1, 1A, ...에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 23은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3에서, 참조 부호 100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001)는 마이크로컴퓨터(100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0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102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1004)와, 입력 회로(1005)와, 출력 회로(1006)를 포함한다. 안테나(1007)는 수신 회로(100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휴대용 송신기(1021)는 도어 로크 스위치(1022),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 및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24)를 포함한다.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는 도어 키 스위치(1008) 및 트렁크를 릴리스하는 트렁크 스위치(1009)는 입력 회로(1005)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로크 제어하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10), 도어 언로크 제어하는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11) 및 트렁크 릴리스 제어하는(언로크 제어)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은 출력 회로(1006)에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처리 장치(1001)는 도어 로크 제어하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10) 및 도어 언로크 제어하는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11)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처리 장치(1001)는 도어 로크/언로크 제어하는 하나의 제어 유닛을 제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즉, EEPROM(100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에 일치하는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02)가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10)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02)가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11)을 제어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 또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옳은 ID 코드에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02)가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012)을 제어하여 트렁크를 릴리스한다.
더욱이, 도어 키 스위치(1008) 또는 트렁크 스위치(1009)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기초되어, 마이크로컴퓨터(1002)가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10),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11) 또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012)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키거나, 도어를 언로크시키거나 또는 트렁크를 릴리스시킨다.
도 24는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2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021)는 마이크로컴퓨터(1025)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26)과, 송신 제어 회로(1027)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단거리(예컨대, 10m이내)로 설정하는 저효율 안테나(1028)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중거리(예컨대, 30m이내)로 설정하는 중효율 안테나(1028)와, 도어 로크 스위치(102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24)를 포함한다.
도어 로크 스위치(1022) 또는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도어 로크 지령 정보 또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27)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중효율 안테나(1029)로부터의 신호의 방사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는 중거리로 설정된다. 한편,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24)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27)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저효율 안테나(1028)로부터의 신호의 방사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가 감소된다.
그 다음,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21)의 마이크로컴퓨터(1025)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9]은 도 25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도어 로크 스위치(1022)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01). 도어 로크 스위치(102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그 다음에, EEPROM(1026)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0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송신 제어 회로(1027)를 제어하여 중효율 안테나(1029)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08).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27)에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중효율 안테나(102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09).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01로 리턴된다. 따라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중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1022)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스텝 S100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03). 도어 로크 스위치(102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판단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04).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생성된 신호를 중효율 안테나(102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08 및 S1009). 따라서,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중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 언로크 스위치(1023)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스텝 S1003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24)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05).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24)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25)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그 다음에, EEPROM(1026)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06).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송신 제어 회로(1027)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1028)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07).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27)에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29)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09).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01로 리턴된다. 따라서,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 (9)의 휴대용 송신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도어 로크 기능 또는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가 송신되고 있을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중거리(예컨대, 30m)로 설정된다. 한편, 트렁크 릴리스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가 송신되고 있을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예컨대, 10m)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트렁크 릴리스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차량에 더 가까운 범위로만 한정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도난의 위험성이 저감되어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저효율 안테나(1028) 및 중효율 안테나(1029)를 구비하더라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21a)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효율 안테나(1029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6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25a)가 송신 제어 회로(1027a)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고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도 27은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에서, 참조 부호 103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031)는 마이크로컴퓨터(103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3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104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1034)와, 출력 회로(1035)를 포함한다. 안테나(1036)는 수신 회로(103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휴대용 송신기(1041)는 엔진 시동 스위치(1042) 및 엔진 정지 스위치(1043)를 포함한다.
엔진 시동 제어하는 엔진 시동 제어 유닛(1037), 및 엔진 정지 제어하는 엔진 정지 제어 유닛(1038)은 출력 회로(1035)에 접속되어 있다. 엔진 시동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즉, EEPROM(103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와 동일한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 컴퓨터(1032)는 엔진 시동 제어 유닛(1037)을 제어하여 엔진을 시동시킨다.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 컴퓨터(1032)는 엔진 정지 제어 유닛(1038)을 제어하여 엔진을 정지시킨다.
도 28은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4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041)는 마이크로컴퓨터(1044)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45)과, 송신 제어 회로(1046)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중거리(예컨대, 200m이내)로 설정하는 고효율 안테나(1047)와, 상기 고효율 안테나(1047)에 의해 설정되는 도달 거리보다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가 약간 더 긴(예컨대, 210m이내) 고효율 안테나(1028)와, 엔진 시동 스위치(1042)와, 엔진 정지 스위치(1043)를 포함한다.
엔진 시동 스위치(1042)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엔진 시동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46)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고효율 안테나(1047)로부터 신호의 방사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는 장거리로 설정된다. 한편, 엔진 정지 스위치(1043)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46)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고효율 안테나(1048)로부터 신호의 방사를 제어한다. 따라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는 엔진 시동 지령 정보를 송신하는데 설정되는 도달 거리보다 약간 더 길어진다.
그 다음,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41)의 마이크로컴퓨터(1044)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10]은 도 29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엔진 시동 스위치(1042)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11). 엔진 시동 스위치(104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44)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그 다음에, EEPROM(1045)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엔진 시동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1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송신 제어 회로(104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47)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16).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46)에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47)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17).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11로 리턴된다. 따라서, 엔진 시동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장거리(예컨대, 200m)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엔진 시동 스위치(1042)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44)가 스텝 S101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그 다음에, 엔진 정지 스위치(1043)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13). 엔진 정지 스위치(104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44)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그 다음에, EEPROM(1045)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14).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송신 제어 회로(1046)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48)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15).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44)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46)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48)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17).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11로 리턴된다. 따라서, 엔진 정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엔진 시동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보다 약간 더 길 수 있다.
실시형태 (10)의 휴대용 송신기에 따르면, 각 신호의 도달 거리는 엔진 시동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엔진 정지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짧아지도록 조정된다. 따라서, 엔진 정지 기능은 엔진 시동 기능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경우는 언제나 원격 조작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이 부주의하게 구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엔진 시동 기능은 엔진 정지 기능과 한 쌍이 된다. 상기 한쌍인 기능들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들간의 크기 차이가 너무 클 때, 편리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엔진 정지 원격 조작은 차량으로부터 300m 떨어진 거리까지의 위치에서 허용되는 한편, 엔진 시동 원격 조작은 차량으로부터 200m 떨어진 거리까지의 위치에서 허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라. 이 경우에,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얼마나 긴지를 엔진 시동 또는 정지 기능에서 유저가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달 거리들(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예컨대, 5 내지 30m)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고효율 안테나(1047 및 1048)를 구비하더라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41a)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안테나(1048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0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44a)는 송신 제어 회로(1046a)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고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더 넓어진다. 이에 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더 좁아진다. 따라서, 엔진 시동 기능은 엔진 정지 기능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경우는 언제나 원격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엔진을 우연히 정지시킬지라도 엔진을 확실히 재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이들 설정이 행해져 유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31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에서, 참조 부호 1051은 차량에 탑재되는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처리 장치(1051)는 마이크로컴퓨터(1052)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53)과, 등록된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1071)로부터 송신되는 전파(ID 코드에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회로(1054)와, 입력 회로(1055)와, 출력 회로(1056)를 포함한다. 송안테나(1057)는 수신 회로(1054)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 휴대용 송신기(1071)는 도어 로크 스위치(1072),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엔진 정지 스위치(1076), 및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를 포함한다.
도어를 로크/언로크하는 도어 키 스위치(1058) 및 트렁크를 릴리스하는 트렁크 스위치(1059)는 입력 회로(1055)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로크 제어하는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60), 도어 언로크 제어하는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61), 알람을 제공하는 패닉 제어 유닛(1062), 엔진 시동 제어하는 엔진 시동 제어 유닛(1063), 엔진 정지 제어하는 엔진 정지 제어 유닛(1064), 및 트렁크 릴리스 제어하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065)은 출력 회로(1056)에 접속되어 있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즉, EEPROM(1053)에 기억되어 있는 ID 코드에 일치하는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52)가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60)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킨다.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52)가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11)을 제어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도어 로크 지령 정보 또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엔진 정지 지령 정보 또는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옳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수신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52)는 수신된 지령 정보에 대응하는 제어 유닛, 즉, 패닉 제어 유닛(1062), 엔진 시동 제어 유닛(1063), 엔진 정지 제어 유닛(1064) 또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065)을 제어하여, 알람을 제공하거나, 엔진을 시동하거나, 엔진을 정지하거나 또는 트렁크를 릴리스한다.
더욱이, 도어 키 스위치(1058) 또는 트렁크 스위치(1059)로부터 얻어진 신호에 기초되어, 마이크로컴퓨터(1052)가 도어 로크 제어 유닛(1060), 도어 언로크 제어 유닛(1061) 또는 트렁크 릴리스 제어 유닛(1065)를 제어하여, 도어를 로크시키거나, 도어를 언로크시키거나 또는 트렁크를 릴리스시킨다.
도 3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71)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071)는 마이크로컴퓨터(1078)와, ID 코드가 기억된 EEPROM(1079)과, 송신 제어 회로(1080)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단거리(예컨대, 10m이내)로 설정하는 저효율 안테나(1081)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장거리(예컨대, 200m이내)로 설정하는 고효율 안테나(1082)와, 도어 로크 스위치(107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와, 패닉 스위치(1074)와, 엔진 시동 스위치(1075)와, 엔진 정지 스위치(107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를 포함한다.
도어 로크 스위치(1072)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의 신호의 방사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증가시킨다. 한편,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로 출력시킨다.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의 신호의 방사를 제어하여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감소시킨다.
도어 로크 스위치(1072) 또는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이 조작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엔진 정지 스위치(1076) 또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로 출력시킨다.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저효율 안테나(1081) 또는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의 신호의 방사를 제어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71)의 마이크로컴퓨터(1078)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11]은 도 33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우선,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도어 로크 스위치(1072)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21). 도어 로크 스위치(107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25)는 그 다음에, EEPROM(1079)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2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송신 제어 회로(1080)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82)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34).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에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따라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장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1072)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스텝 S1021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23).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그 다음에, EEPROM(1079)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24).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송신 제어 회로(1080)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1081)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33).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따라서,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지 않았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엔진 정지 스위치(1076) 및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어 로크 스위치(1072)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하는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및 엔진 정지 스위치(1076)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또는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24, S1028 또는 S1030).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생성된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4 및 S1035). 그 결과,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또는 엔진 정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가 장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한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78)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가 ID 코드에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32).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78)는 생성된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3 및 S1035). 그 결과,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엔진 시동/정지 기능 또는 패닉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위치에서 조작될 수 없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한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장거리로 설정된다. 한편, 도어 언로크 기능 또는 트렁크 릴리스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먼 위치에서 조작될 수 없다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그러한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로 설정된다.
따라서, 처리 장치(1051)는 휴대용 송신기(1071)가 차량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때 도어 언로크 기능 또는 트렁크 릴리스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없다. 처리 장치(1051)는 휴대용 송신기(1071)가 차량에 가까워질 때만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각 기능에 대해 적절히 설정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하더라도, 도어가 차량의 부근에서만 로크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는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저효율 안테나(1081) 및 고효율 안테나(1082)를 구비하더라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71a)는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안테나(1082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4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78a)가 송신 제어 회로(1080a)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고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도 35는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1091)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35에서, 참조 부호 1091은 휴대용 송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091)는 마이크로컴퓨터(1092)와, EEPROM(1079)과, 송신 제어 회로(1093)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단거리(예컨대, 10m이내)로 설정하는 저효율 안테나(1081)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장거리(예컨대, 200m이내)로 설정하는 고효율 안테나(1082)와, 상기 고효율 안테나(1082)에 의해 설정되는 도달 거리보다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가 더 긴 (예컨대, 210m이내) 고효율 안테나(1094)와, 도어 로크 스위치(107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와, 패닉 스위치(1074)와, 엔진 시동 스위치(1075)와, 엔진 정지 스위치(107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91)의 마이크로컴퓨터(109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12]은 도 36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 [12]은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92)가 스텝 S1029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33에 도시된 처리 조작 [11]과 동일하다. 따라서,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92)가 스텝 S1029에서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092)가 스텝 S1029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092)는 그 다음에, EEPROM(1079)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30).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092)는 송신 제어 회로(1093)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48)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34a).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092)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93)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94)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따라서, 엔진 정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엔진 시동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보다 약간 더 길 수 있다.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정지 기능과 한 쌍인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와 일치되징 않지만,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약간 더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엔진 정지 기능은 엔진 시동 기능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경우는 언제나 원격 조작될 수 있다.
엔진 시동 기능은 엔진 정지 기능과 한 쌍이 된다. 상기 한쌍인 기능들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들간의 크기 차이가 너무 클 때, 편리성이 악화될 우려가 있다. 예컨대, 엔진 정지 원격 조작은 차량으로부터 300m 떨어진 거리까지의 위치에서 허용되는 한편, 엔진 시동 원격 조작은 차량으로부터 200m 떨어진 거리까지의 위치에서 허용되는 것으로 가정하라. 이 경우에,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얼마나 긴지를 엔진 시동 또는 정지 기능에서 유저가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달 거리들(즉, 원격 조작 허용 범위) 간의 차이가 소정의 범위(예컨대, 5 내지 30m)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하더라도, 도어가 차량의 부근에서만 로크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도어 로크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는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더 넓어진다. 이에 반하여,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더 좁아진다. 따라서, 엔진 시동 기능은 엔진 정지 기능이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경우는 언제나 원격 조작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엔진을 우연히 정지시킬지라도 엔진을 확실히 재시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말하자면, 이들 설정이 행해져 유저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차량에 탑재되는 기능들 중에서, 한 쌍을 이룬 기능은 엔진 시동 및 정지 기능뿐만 아니라 도어 로크 및 언로크 기능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도어 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도어 로크와 한 쌍인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약간 더 넓거나 또는 약간 더 좁아질 수 있다.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는 저효율 안테나(1081) 및 고효율 안테나(1082 및 1094)를 구비하더라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91a)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안테나(1094a)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7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92a)가 송신 제어 회로(1093a)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고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를 조정한다.
대안으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091b)는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효율 안테나(1081) 및 고효율 안테나(1094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8에서, 마이크로컴퓨터(1092b)가 송신 제어 회로(1093b)를 제어하여 출력 안테나를 절환시키고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가 조정된다.
예컨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 또는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92b)가 송신 제어 회로(1093b)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1081)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하고 소정의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시킨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1072),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92b)가 송신 제어 회로(1093b)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194a)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하고 소정의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94a)로부터 방사시킨다. 그러나, 엔진 시동 스위치(1075)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092b)가 송신 제어 회로(1093b)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엔진 시동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엔진 시동 기능과 한 쌍인 엔진 정지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와 일치하지 않거나 이 범위보다 약간 더 좁아질 수 있다.
도 39는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1101)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39에서, 참조 부호 1101은 휴대용 송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101)는 마이크로컴퓨터(1102)와, EEPROM(1079)과, 송신 제어 회로(1103)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단거리(예컨대, 10m이내)로 설정하는 저효율 안테나(1081)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중거리(예컨대, 30m이내)로 설정하는 중효율 안테나(1104)와, 송신된 전파 도달 거리를 장거리(예컨대, 200m이내)로 설정하는 고효율 안테나(1082)와, 도어 로크 스위치(107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와, 패닉 스위치(1074)와, 엔진 시동 스위치(1075)와, 엔진 정지 스위치(107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를 포함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101)의 마이크로컴퓨터(110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13]은 도 40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 [13]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이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02)가 스텝 S1023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33에 도시된 처리 조작 [1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02)가 스텝 S1023에서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02)가 스텝 S1023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02)는 그 다음에, EEPROM(1079)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24). 그 다음, 마이크로컴퓨터(1102)는 송신 제어 회로(1103)를 제어하여 중효율 안테나(1104)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41).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102)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103)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중효율 안테나(1104)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따라서, 트렁크 릴리스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도어 언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의 도달 거리보다 더 짧아질 수 있다.
실시형태 (13)의 휴대용 송신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제어가 이루어진다. 즉, 엔진 시동/정지 기능 또는 패닉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의 위치에서조작될 수 없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느낄 것이다. 그러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장거리로 설정된다. 한편, 도어 언로크 기능이 차량으로부터 거리가 먼 위치에서 조작될 수 없다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이다. 그러한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중거리로 설정된다. 또한, 트렁크 릴리스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자 할 때, 송신되는 전파의 도달 거리는 단거리로 설정된다.
기본적으로, 편리성은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개선된다. 그러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실시형태 (13)에 따르면, 트렁크 릴리스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보다 더 좁아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성이 더 중요시된다.
이러한 이유는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트렁크가 릴리스되었는지 여부는 도어가 언로크되었는지 여부보다 외부에서 더 용이하게 발견될 수 있다. 게다가, 트렁크는 수동으로만 닫힐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가 원격 조작에 의해 언로크되더라도, 상기 도어는 멋대로 개방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어가 언로크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은 상기 트렁크가 릴리스되었을 때의 도난 가능성보다 낮아진다. 또한, 오토-리로크 기능이 제공되어 있다면,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은 채로 소정의 시간 주기가 경과될 때 상기 도어는 자동적으로 로크될 것이다. 따라서, 편리성과 안전성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하더라도, 도어가 차량의 부근에서만 로크될 수 있다면 유저는 불편함을 그다지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전파는 중효율 안테나(1104) 또는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될 수 있다.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가 저효율 안테나(1081), 중효율 안테나(1104) 및 고효율 안테나(1082)를 구비하더라도,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101a)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효율 안테나(1082)만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1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02a)가 송신 제어 회로(1103a)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고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를 3 레벨로 조정한다.
대안으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101b)는 방사 효율이 상이한 안테나, 예컨대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효율 안테나(1081) 및 고효율 안테나(108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2에서, 마이크로컴퓨터(1102b)가 송신 제어 회로(1103b)를 제어하여 출력 안테나를 스위치하고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조정한다. 따라서,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는 3 레벨로 조정된다.
예컨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02b)가 송신 제어 회로(1103b)를 제어하여 저효율 안테나(1081)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하고 소정의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시킨다. 한편, 도어 로크 스위치(1072),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02b)가 송신 제어 회로(1103b)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82)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하고 소정의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시킨다. 그러나,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가 조작될 때, 마이크로컴퓨터(1102b)가 송신 제어 회로(1103b)를 제어하여 송신되는 전파의 전력 강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도어 언로크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좁아진다. 예컨대, 원격 조작 허용 범위는 차량으로부터 30m의 범위내에서 설정된다.
도 43은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휴대용 송신기(1111)와 동일한 구성부는 동일한 참조 부호에 의해 대응적으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될 것이다. 도 43에서, 참조 부호 1111은 휴대용 송신기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용 송신기(1111)는 마이크로컴퓨터(1112)와, EEPROM(1079)과, 송신 제어 회로(1080)와, 저효율 안테나(1081)와, 고효율 안테나(1082)와, 도어 로크 스위치(1072)와, 도어 언로크 스위치(1073)와, 패닉 스위치(1074)와, 엔진 시동 스위치(1075)와, 엔진 정지 스위치(1076)와, 트렁크 릴리스 스위치(1077)와, 전압 감시 유닛(1113)을 포함한다. 전압 감시 유닛(1113)은 전력을 각종 부재에 공급하는 배터리(도시되지 않음)의 전압을 감시하여, 배터리 용량을 측정한다.
그 다음,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1111)의 마이크로컴퓨터(1112)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 [14]은 도 44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처리 조작 [14]은 도어 로크 스위치(1072),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스텝 S1021, S1025, S1027 또는 S1029에서 판단한 후의 스텝들을 제외하고, 도 33에 도시된 처리 조작 [11]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어 로크 스위치(1072),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스텝 S1021, S1025, S1027 또는 S1029에서 판단한 후의 조작에 대해서만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어 로크 스위치(1072), 패닉 스위치(1074), 엔진 시동 스위치(1075) 또는 엔진 정지 스위치(1076)가 조작되었다는 것을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스텝 S1021, S1025, S1027 또는 S1029에서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12)는 그 다음에, EEPROM(1079)에 기억된 ID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ID 코드에,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하는 지령 정보(여기서, 도어 로크 지령 정보, 패닉 지령 정보, 엔진 시동 지령 정보, 엔진 정지 지령 정보)가 부가된 신호를 생성한다(스텝 S1022, S1026, S1028 또는 S1030).
그 다음, 전압 감시 유닛(1113)으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기초되어, 마이크로컴퓨터(1112)는 배터리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1051). 배터리 용량이 소정값 이하가 아닌지를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송신 제어 회로(1080)를 제어하여 고효율 안테나(1082)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34).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112)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180)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고효율 안테나(1082)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이에 반하여, 배터리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지를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판단할 때, 마이크로컴퓨터(1112)가 송신 제어 회로(108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전파 송신용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저효율 안테나(1081)를 출력 안테나로 설정한다(스텝 S1033).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1112)는 생성된 신호를 송신 제어 회로(1080)로 출력시켜 상기 신호를 저효율 안테나(1081)로부터 방사시킨다(스텝 S1035). 그 다음, 처리 조작은 스텝 S1021로 리턴된다. 이 경우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배터리 용량이 드롭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몇몇 고지가 유저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지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가 장비되어 점등될 수 있다.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서, 전파 송신 전력은 배터리 용량이 소정값 이하일 때 감소된다. 따라서, 송신된 전파의 도달 거리가 짧아지지만, 배터리의 사용 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는 도 32에 도시된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 기초되어, 드롭된 배터리 용량의 경우에 대한 고안을 제공한다. 이 고안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 뿐만 아니라, 실시형태 (9), (10), (12) 및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도 효과적이다.
실시형태 (9) 내지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도어 로크 및 언로크 기능, 패닉 기능, 엔진 시동 및 정지 기능, 및 트렁크 릴리스 기능이 원격 조작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원격 조작되는 기능은 이들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원격 조작되는 언로크 기능은 도어 언로크 기능 및 트렁크 릴리스 (언로크) 기능뿐만 아니라, 본네트 언로크 기능, 연료 탱크 캡 언로크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 조작 허용 범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각각의 다수의 기능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될 수 있고, 작업 내용의 실행 지연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2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3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2는 실시형태 4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5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 5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6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6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7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7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 및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8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8에 따른 처리 장치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8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는 실시형태 9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26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7은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8은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실시형태 10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0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1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한 원격 조작 시스템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실시형태 11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4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5는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6은 실시형태 12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7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8은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9는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0은 실시형태 13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1은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2는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3은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4는 실시형태 14에 따른 휴대용 송신기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 조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Claims (25)

  1.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2.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기초되어,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판단 유닛;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상기 제 1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 1 제어 유닛;
    상기 응답 신호의 송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상기 제 1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유닛; 및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3.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로서, 상기 지령 신호보다 도달 거리가 더 짧은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및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4.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 1 제어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및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a) 어떠한 확인도 갖지 않는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 및 (b) 어떠한 확인도 갖지 않는 기능을 가동하기 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키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는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5. 피장비체에 장착되며,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는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지령 신호를 수신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 1 제어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고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및
    상기 중지 신호가 수신되었는지를 상기 중지 신호 수신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a) 상기 중지 지령 정보에 따라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는 것 및 (b) 상기 기능의 가동전의 상태로 상기 피장비체를 복귀시키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하는 제 2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이, 이 기능의 원격 조작 허용 범위가 소정의 거리보다 넓다면 보안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기능일 때,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소정의 거리내에서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상기 피장비체의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유닛; 및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a) 상기 제어 유닛이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및 (b)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기 전에 도어가 개방된 것을 도어-개방 검출 유닛이 검출할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상기 피장비체의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 판단 유닛; 및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 3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a) 상기 제 2 제어 유닛이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및 (b)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기 전에 도어가 개방된 것을 도어-개방 검출 유닛이 검출할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2.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 유닛이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에 따라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상기 피장비체의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 판단 유닛; 및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적어도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었다는 것을 상기 제 2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언로크되었다는 사실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제어 유닛이 트렁크 로크 기구를 언로크하는 기능을 가동시킬 때 및 (b) 상기 트렁크 로크 기구가 상기 소정의 시간동안 언로크되기 전에 도어가 개방된 것을 도어-개방 검출 유닛이 검출할 때, 상기 정보 유닛은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 장치.
  14. 유저가 휴대 소지하고, 피장비체에 설치된 처리 장치에/로부터 신호를 송수신하여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들 중 하나를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피장비체에 제공된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유닛;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하여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및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상기 지령 정보에 따라 가동되는 기능의 가동을 중지하라고 지령하기 위한 중지 지령 정보를 포함하는 중지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15. 피장비체에 장착되는 처리 장치; 및
    유저가 휴대 소지하는 휴대용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장치는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지령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 유닛;
    상기 지령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송신 유닛;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하여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
    상기 확인 신호가 수신되었다는 것을 상기 판단 유닛이 판단할 때 상기 지령 신호에 포함된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을 가동시키는 제어 유닛;
    상기 지령 정보에 의해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응답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제 1 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송신기는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 유닛;
    소정의 조작에 따라, 상기 지령 신호를 송신하는 제 2 송신 유닛;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응답 신호에 대한 확인 신호를 송신하는 제 3 송신 유닛; 및
    가동되는 기능에 따라 상기 지령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제 2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조작 시스템.
  16.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도어 언로크 기능 및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17.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엔진 정지 기능 및 엔진 시동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엔진 시동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엔진 정지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18.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에 대하여 알람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능인 패닉 기능 및 도어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도어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19.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상기 휴대용 송신기로부터의 지령에 대하여 알람을 강제적으로 발생시키는 기능인 패닉 기능 및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트렁크 언로크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가 상기 패닉 기능을 가동시키기 위한 신호의 도달 거리보다 단축되도록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격 조작되는 상기 기능의 수는 3 이상이고;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1. 차량에 제공된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휴대용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제공된 기능들로서, 3종류 이상의 기능을 포함하는 원격 조작되는 기능들 중 하나를 가동시키기 위한 지령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및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도달 거리를 3 이상의 레벨로 분류하여 원격 조작되는 기능에 기초하여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조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2.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유닛은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의 전력 강도를 조정하여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3.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사 효율이 상이한 다수의 송신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유닛은 송신 안테나들 중 한쪽 송신 안테나에서 다른 쪽 송신 안테나로 절환시켜 상기 신호의 도달 거리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4.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및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 용량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전파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출력 감소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되는 배터리 용량에 기초하여 전파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송신기.
KR1020040106675A 2003-12-15 2004-12-15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 KR100639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6398 2003-12-15
JP2003416398A JP4553579B2 (ja) 2003-12-15 2003-12-15 携帯用送信機、処理装置、及び遠隔操作システム
JP2004001979A JP4458857B2 (ja) 2004-01-07 2004-01-07 処理装置
JPJP-P-2004-00001979 2004-0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026A true KR20050060026A (ko) 2005-06-21
KR100639668B1 KR100639668B1 (ko) 2006-10-31

Family

ID=3479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675A KR100639668B1 (ko) 2003-12-15 2004-12-15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83056B2 (ko)
KR (1) KR100639668B1 (ko)
CN (1) CN100382115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06B1 (ko) * 2005-08-01 2007-11-1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709238A (zh) * 2015-03-13 2015-06-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遥控车辆的方法及移动设备
CN105292058A (zh) * 2015-11-30 2016-02-03 贵州大学 一种应用手机指纹识别的智能化车辆防盗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7344B2 (en) * 2005-01-06 2008-07-08 Lear Corporation Dual range vehicle remote
JP4507884B2 (ja) * 2005-01-11 2010-07-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及び遠隔制御装置を備える車両
JP4501719B2 (ja) * 2005-02-22 2010-07-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遠隔操作装置
US20090160608A1 (en) * 2005-04-22 2009-06-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torcar
US7915998B2 (en) * 2005-11-11 2011-03-29 Fujitsu Ten Limit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vehicle control apparatus
KR101253630B1 (ko) * 2006-03-09 201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제어방법
US8902042B2 (en) * 2006-05-16 2014-12-02 Lpd, L.L.C. Methods of controlling access to real estate properties
US20100039969A1 (en) * 2006-11-16 2010-02-18 Ne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radio communication program
TWI425784B (zh) * 2007-04-05 2014-02-01 Tokai Rika Co Ltd 可攜式裝置及通訊控制器間之控制無線通訊之系統
CN101298817B (zh) * 2008-06-19 2011-12-0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锁体控制装置和方法
US8209093B2 (en) * 2008-08-28 2012-06-26 Nissan North America, Inc. Adaptive instruction system for a vehicle
US8224313B2 (en) * 2008-09-24 2012-07-17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from a cell phone
US8126450B2 (en) * 2008-09-24 2012-02-28 Embarq Holdings Company Llc System and method for key free access to a vehicle
US8819182B2 (en) * 2008-09-24 2014-08-26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vehicle media content
CZ2011129A3 (cs) * 2011-03-14 2012-09-26 ŠKODA AUTO a.s. Systém dálkového ovládání zámku dverí a vík vozidla
CN103858149A (zh) * 2011-10-07 2014-06-11 阿萨阿布洛伊捷克斯洛伐克有限责任公司Fab汽车安防分公司 用于对被动无钥进入和起动的中继攻击的解决方法
CN104081689B (zh) * 2011-12-09 2018-11-2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调整无线电发送实体输出功率的方法和装置
US10115255B2 (en) * 2013-02-07 2018-10-30 Ikeyles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multi-vendor rolling code keyless entry systems
US9247373B2 (en) * 2013-03-01 2016-01-26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Method of determining user intent to use services based on proximity
JP2015160603A (ja) * 2014-02-28 2015-09-0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
JP2015160604A (ja) * 2014-02-28 2015-09-07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携帯機
JP6357427B2 (ja) * 2015-01-16 2018-07-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10553040B2 (en) * 2016-02-18 2020-02-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telematics security through secondary channel
US9976322B2 (en) * 2016-09-23 2018-05-22 Honda Motor Co., Ltd. Vehicle lock-out protection system
US10732257B2 (en) * 2016-12-29 2020-08-04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6888383B2 (ja) * 2017-04-12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モート始動システム、センタサーバ、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997B2 (ja) 1991-12-06 2001-07-03 株式会社サーキットデザイン 無線式エンジン始動装置
DE4409167C1 (de) 1994-03-17 1995-06-29 Siemens Ag Schlüssellose Zugangskontrolleinrichtung
JPH09125768A (ja) 1995-11-07 1997-05-13 Tokai Rika Co Ltd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固定送受信機及び双方向送受信システム
US5850188A (en) * 1996-12-10 1998-12-15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elf-diagnosing remote entry apparatus
JPH10211868A (ja) 1997-01-30 1998-08-11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遠隔操作システム
KR100232499B1 (ko) 1997-05-23 1999-12-01 김동식 자동 인지 기능을 가진 양방향 원격제어 송수신 장치
US5926752A (en) * 1998-01-15 1999-07-20 Tr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message transmission and control with a tunable filter receiver
DE19823237A1 (de) * 1998-05-25 1999-12-02 Heinz Lindenmeier Funksystem für Fernwirkfunktionen in stehenden Fahrzeugen
US6803851B1 (en) 1998-09-01 2004-10-12 Leopold Kostal Gmbh & Co. Kg Method for carrying out a keyless access authorization check and keyless access authorization check device
US6243022B1 (en) * 1998-09-09 2001-06-0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Remote control device using two-way communication for a vehicle opening system
US6759956B2 (en) * 1998-10-23 2004-07-06 Royal Thoughts, L.L.C. Bi-directional wireless detection system
JP4558136B2 (ja) * 2000-04-26 2010-10-0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3812291B2 (ja) 2000-06-09 2006-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移動体用機器遠隔制御装置及び移動体用携帯機
JP2002152095A (ja) * 2000-11-16 2002-05-24 Pioneer Electronic Corp 受信装置
US6621406B2 (en) * 2001-04-18 2003-09-16 U-Shin Ltd.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JP3859981B2 (ja) * 2001-04-18 2006-12-20 株式会社ユーシン 車両用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4142378B2 (ja) * 2002-09-19 2008-09-03 株式会社アルファ 車両ドア施錠/解錠制御システム
JP4121076B2 (ja) * 2002-12-24 2008-07-1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遠隔始動制御装置、及び始動制御装置
JP4320554B2 (ja) * 2003-03-03 2009-08-26 オムロン株式会社 車両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7046119B2 (en) * 2004-05-19 2006-05-16 Lear Corporation Vehicle independent passive entry system
JP2006233533A (ja) * 2005-02-24 2006-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両用遠隔操作装置
JP2007107249A (ja) * 2005-10-13 2007-04-26 Calsonic Kansei Corp 車両キーレス装置用携帯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106B1 (ko) * 2005-08-01 2007-11-15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 설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4709238A (zh) * 2015-03-13 2015-06-1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遥控车辆的方法及移动设备
CN105292058A (zh) * 2015-11-30 2016-02-03 贵州大学 一种应用手机指纹识别的智能化车辆防盗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668B1 (ko) 2006-10-31
US7383056B2 (en) 2008-06-03
CN1629895A (zh) 2005-06-22
CN100382115C (zh) 2008-04-16
US20050164728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668B1 (ko) 처리 장치, 휴대용 송신기, 및 원격 조작 시스템
KR100766189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850599B1 (ko) 차량용 제어 시스템 및 차량 내에 제공된 기기를 제어하는방법
US7696859B2 (en) Vehicle equipment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766188B1 (ko) 차량 도어 제어 시스템
CN106907069A (zh) 无钥匙车辆系统
JP4041090B2 (ja) 車両用遠隔施錠解錠制御装置
CN108973933B (zh) 控制系统、车载设备及电子钥匙
GB2515006A (e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JP2002047839A (ja) 制御装置
US20050151630A1 (en) Automotive antitheft system
JPH06185250A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の操作装置
JP6398760B2 (ja) ロックシステム
JP635517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00533502C (zh) 处理装置、便携式发射机和远程操作系统
JP2015168325A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JP4839701B2 (ja) 車両用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JP4458857B2 (ja) 処理装置
JP4906904B2 (ja) 処理装置
WO2020202945A1 (ja) 収納装置
JP4988185B2 (ja) オートアラーム装置
JP2000213216A (ja) 車両用自動ドアロック装置
JP2005248427A (ja) 閉じ込め防止装置
KR20100107663A (ko) 보안이 강화된 디지털 도어록 및 그 해정 방법
JP200919751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