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378A -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378A
KR20050057378A KR1020057004532A KR20057004532A KR20050057378A KR 20050057378 A KR20050057378 A KR 20050057378A KR 1020057004532 A KR1020057004532 A KR 1020057004532A KR 20057004532 A KR20057004532 A KR 20057004532A KR 20050057378 A KR20050057378 A KR 20050057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photoelectric conversion
imaging area
center
condens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290B1 (ko
Inventor
야스시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Coatings
    • H01L27/14623Optical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광학계와 센서 수광부와의 거리에 대응하여 각 화소에 있어서의 적정한 입사상태를 얻을 수 있고, 각 화소의 수광효율의 개선이나 감도의 균일화를 도모한다. 화면주변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주광선(a)이 입사각도(θ)로 입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 렌즈(260), 컬러필터(250), 배선(220, 230, 240), 포토다이오드(110)등의 위치관계는, 이 입사각도(θ)에 맞추어 입사방향에 따라 배치한다. 이 때 입사각도 (θ)를 마이크로 렌즈(260)에서 실리콘기판(100)의 표면까지의 거리 및 실리콘기판(100)의 표면에서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의 깊이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또, 화면주변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n형 영역)가 입사각도(θ)에 대응하여 경사한 상태로 형성되어있다.

Description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Sold state imaging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CMOS이미지센서나 CCD이미지센서등의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CMOS이미지센서나 CCD이미지센서등의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는, 반도체기판상에 광전변환수단(포토다이오드)에 의한 복수의 예를 들면 2차원 어레이모양으로 배치하고 촬상화소부를 형성하고, 그 상층에 각종 신호배선이나 차광막을 배선한 다층구조의 배선층을 배치하고, 또한 그 상층에 부동화막(passivation)층을 거쳐서 온칩컬러필터나 온칩마이크로렌즈를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촬상화소부의 다화소화(고집적화)나 고기능화등에 따라, 배선층 층수의 증가나 레이아웃 패턴의 복잡화가 생기고, 그 막두께가 커짐으로써, 컬러필터나 마이크로렌즈등의 광학계와 포토다이오드의 수광면(이하, 센서 수광부라고 한다)과의 거리가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또, 촬상화소부의 다화소화에 수반하는 미세화에 의해, 마이크로렌즈의 렌즈형상도 미세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와 마이크로렌즈와의 거리가 증대하거나, 마이크로렌즈의 미세화가 진행하면, 촬상화소부의 화면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주광선의 입사각이 다르게 되며, 반도체기판중에서 입사광이 광전변환되는 깊이가 변하고, 입사광의 파장에 의하여 세이딩량이 변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화소중심부와 주변부에서 센서 수광부의 수광량이 변화하기 때문에, 감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히, 1화소당 면적이 축소하고, 렌즈도 소형화해 가면, 화면주변부에 대한 빛의 입사각은 커지는 한편, 소형화한 화소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센서 수광부의 형상이 화면의 상하좌우에 비대칭으로 되기 쉽고, 예를 들면 화면의 상하좌우단에서 각각 균일한 감도로 되는 경우가 있다.
또, 특히 독출게이트나 신호배선, 전원배선등의 복수의 배선이 포토다이오드의 근방영역에 존재하는 CMOS이미지센서에서는, 유효한 화소영역이 비대칭으로 되기 쉽고, 상기의 문제가 현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종래는, 촬상화소부에 있어서의 각 화소 위치에 따라서 각 렌즈의 위치나 차광막의 개구 위치를 적당하게 겹치지 않도록 옮겨 놓음으로써, 화면주변부의 감도를 올리도록 궁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7은, 이와 같은 종래의 고체촬상장치의 촬상화소부에 있어서의 각 화소와 차광막 개구부 및 집광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8a 와 도 8b는 도 7에 나타내는 촬상화소부의 대각선(A-A' 및 B-B')에 있어서의 감도저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 차광막 개구부 및 집광렌즈(11)는, 화면중앙부에서는 화소(10)에 대하여 중심을 일치시킨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화면주변부에는 각 화소(10)에 대하여 빛의 입사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각 화소(10)의 센서 수광부(10A)의 좌하(左下) 모퉁이부에는, 센서 수광부(10A)의 신호전하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게이트부(10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화소(10)의 센서 수광부(10A)의 형상은, 독출 게이트부(10B)의 존재에 따라 화면의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비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화소의 면적(10)이 작은 만큼, 독출게이트부(10B)의 존재가 비대칭성에 크게 영향이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차광막 개구부나 집광렌즈의 배치를 옮겨 놓은 고체촬상장치에 있어서도, 각 화소(10)의 비대칭성에 의해, 예를 들면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점 근방의 화소(10)에 있어서 감도저하가 현저하며, 상하좌우로 균일하게 변화하게 된다.
또한, 각 화소로의 입사광량을 최적화하는 제안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 평5-328233호 공보, 특개 2000-349268호 공보, 특개 2001-160973호 공보, 특개 2001-210812호공보등과 같이, 각 화소의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의 거리와 렌즈의 수광부 표면에서 높이에 따라, 렌즈, 필터, 차광막, 센서 수광부등의 배치를 수정(보정)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들 제안에 있어서도, 상술과 같은 센서 수광부의 비대칭성에 대하여 유효한 대응이 곤란하다. 그 이유로서는,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수광부까지의 거리를, 수광부 표면의 어떤 위치까지라고 고려되는가에 대하여 검토되어 있지 않은 것, 화소내의 각 구성의 배치를 수정하고 있기는 하지만, 렌즈에 의하여 집광된 빛이 수광부의 표면에 입사하는 것만 고려되며, 실제로 광전변환이 일어나는 광전변환부의 깊이방향의 두께에 대하여 고려되고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화소에 있어서의 적정한 입사상태를 얻을 수 있고, 각 화소의 수광효율의 개선이나 감도의 균일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화면중심부에 있어서의 화소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표면주변부에 있어서의 화소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촬상화소부에 있어서의 각 화소와 차광막 개구부 및 집광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는, 도 3에 나타내는 촬상화소부의 대각선(A-A' 및 B-B')에 있어서의 감도저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다이오드 구성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고체촬상장치의 촬상화소부에 있어서의 각 화소와 차광막 개구부 및 집광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도 7에 나타내는 촬상화소부의 대각선(A-A' 및 B-B')에 있어서의 감도저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광전변환부는 표면이 비대칭형상이며,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위쪽이며, 상기 표면의 비대칭성을 보충한 비대칭형상의 대략 중심상에 위치하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대칭형상의 대략 중심상에서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동등한 거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그 시프트량이 상기 광전변환 표면의 비대칭성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광전변환부의 내부에 입사하는 빛의 량이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화소의 적어도 일부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체촬상장치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장치는,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촬상영역의 화소마다에 광전변환부와 집광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여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 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광전변환부의 내부에 입사하는 빛의 량이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적층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며, 도 1은 화면중앙부에 있어서의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고, 도 2는 화면주변부에 있어서의 화소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고체촬상장치의 촬상화소부에 있어서의 각 화소와 차광막 개구부 및 집광렌즈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a 와 도 4b는 도 3에 나타내는 촬상화소부의 대각선(A-A' 및 B-B')에 있어서의 감도저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예의 고체촬상장치는, 예를 들면 CMOS이미지센서로서 형성된 것이며, 각 화소마다에, 광전변환수단으로서의 포토의 다이오드(PD)와, 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서 생성, 축적된 신호전하를 독출하고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촬상화소부외에 출력하는 독출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독출회로의 구성으로서는, 여러 가지 방식의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포토다이오드에서 생성된 신호전하를 플로팅 디퓨전(FD)부에 전송트랜지스터와, FD부에 있어서의 전위변동을 전기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증폭트랜지스터와, 이 증폭트랜지스터의 출력신호를 출력신호선에 출력하는 독출하고 트랜지스터와, FD부의 전위를 리셋트하는 리셋트 트랜지스터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는, 실리콘기판(100)의 상층부에 각 화소에 대응하고 포토다이오드(110)가 설치되며, 이 포토다이오드(110)에 인접하고 전송게이트부(120), FD부(130)가 설치되며, 또한, 그 외의 트랜지스터(140)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리콘기판(100)의 상층부에는, LOCOS 등에 의한 소자 간 분리층(15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포토다이오드(110)는, 실리콘기판(100)의 가장 표면 및 화소 분리 영역에 p+ 형 영역을 설치하고, 그 내측에 n형 영역을 형성한 것이며, p+ 형 영역을 통과한 광자가 n형 영역에 입사함으로써, 정공(正孔)과 전자가 분리되고, 그 중 전자가 n형 영역의 하층에 형성되는 공핍층(空乏層)에 축적된다.
그리고, 본 예의 포토다이오드(110)에서는, 실리콘기판(100)의 비교적 깊은 위치에 저농도의 n형 영역(불순물 농도가 다른 n형 영역을 복수층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을 형성하여, 공핍층을 확대하는 것으로 전하축적량을 확대하여 감도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각 화소의 감도는, 포토다이오드(110)에 있어서의 광전변환부로서의 n형 영역에 대한 빛의 입사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이 광전변환부에 대한 입사 효율에 의해 각 화소의 감도가 좌우된다.
또한, 실리콘기판(100)의 상부에는, 실리콘 산화막 등의 절연막(160)을 통하여 각종의 게이트 전극(170, 180, 19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절연막(160)의 상층에는, 평탄화막(200)을 통해 다층 배선층이 설치되어 있다.
이 다층 배선층에는, 도시의 예에서는, 절연막(210)을 통해서 3층의 배선(220, 230, 2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층의 배선(220)이 차광막을 구성하고 있고, 포토다이오드(110)에 대응하는 개구부(210A)를 가지고, 이 개구부(210A)를 통하여 포토다이오드(110)에 빛(화살표(a)는 주광선을 나타낸다)이 입사한다.
또한, 각 배선(220, 230, 240)은, 각 층간의 콘택트(220A, 230A, 240A)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이러한 다층 배선층의 위에는, 부동화막층(도지하지 않음)을 통해 온칩컬러필터(광학필터)(250)가 형성되고, 또한, 그 상층에는 온칩마이크로렌즈(집광렌즈)(260)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예의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화면 중앙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주광선(a)이 직각으로 입사하기 때문에, 마이크로렌즈(260), 컬러필터(250), 배선(220, 230, 240), 포토다이오드(110) 등의 위치 관계가 수직 방향(도 1의 상하 방향)에 똑바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내는 화면 주변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주광선(a)이 입사각도(θ)에서 입사하므로, 마이크로렌즈(260), 컬러필터(250), 배선(220, 230, 240), 포토다이오드(110) 등의 위치 관계는, 이 입사 각도(θ)에 맞추어서 입사 방향에 따라 배치되고, 각 소자의 배치를 최적화하고 있다.
특히 본 예에서는, 이 각 소자의 위치 관계를 결정하는 입사 각도(θ)를, 해당 화소의 화면 내에 있어서의 위치(중심으로부터의 거리), 마이크로렌즈(260)에서 실리콘기판(100)의 표면(포토다이오드(110)의 수광면)까지의 거리 및 실리콘기판(100)의 표면에서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의 깊이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즉, 본 예에서는, 빛이 입사하는 기판 표면이 아닌,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의 깊이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입사각(θ)을 설정하고, 실질적으로 광전 변환이 실시되는 위치에 빛이 집광되도록 하여, 각 화소의 수광효율(즉, 각도)을 향상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서 이용하는 광전변환부의 깊이 위치로서는, 포토다이오드(110)의 n 영역의 깊이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값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면 주변부의 화소에 있어서는,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n형 영역)가 입사 각도(θ)에 대응하여, 촬상 영역(촬상 화소부)의 중앙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포토다이오드(110)의 광전변환부를 입사 각도(θ)에 대응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형성함으로써, 기울게 하여 입사되는 주광선을 효율적으로 광전변환부(n형 영역)에 입사시키고, 화면 주변부의 화소의 수광효율(즉, 감도)을 향상하는 것이다.
여기서, 광전변환부의 경사 각도는 촬상 영역에 걸쳐 균일하여도 좋고, 촬상 영역의 중앙부에서 떨어진 화소에 있어서 조금 커도 좋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광전변환부가 복수의 불순물 영역에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소 내에 포함되는 포토다이오드(110)의 센서 수광부(110A)의 왼쪽 밑 모퉁이부에는, 센서 수광부(110A)의 신호 전하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 게이트부(전송 게이트(120))(110B)가 형성되어 있고, 직사각형의 한 모퉁이가 결여된 형상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종래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독출 게이트부(110B)의 존재에 의해 각 센서 수광부(110A)의 형상이 상하좌우 비대칭이 되며, 특히 화면의 1개의 모퉁이부(이 경우에는 화면의 좌하부(도 3의 A점 측)의 화소의 감도가 다른 모퉁이부의 화소의 감도에 대하여 저하하게 된다.
그래서 본 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낸 종래 예에 대해, A점 측의 화소에 있어서, 마이크로렌즈(260) 및 차광막 개구부(210A)를 A', B, B'점 측의 화소보다도 크게 촬상 영역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위치 수정량을 증가시키고, 각 화소의 독출 게이트부(110B)에 의한 수광 손실분을 각 모퉁이부의 화소에서 균일하게 되도록 했다.
이 결과, 각 화소의 감도 분포는 도 4(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좌우 방향에 균등하게 변화하게 되며, 종래 예에서 설명한 불균일성을 해소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위치 수정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A점 측의 라인 상에 있는 화소에 한정하지 않고, A점 측의 라인 부근의 화소에 대해서도 실시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또, 본 예의 고체 촬상 장치는,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제조 공정에서 형성할 수 있다.
우선, 예를 들면 n형 실리콘기판(100)에 소자 형성 영역이 되는 p형 웰 영역을 형성하고, 또한 소자 간 분리층(150)을 형성한다.
그리고, p형 웰 영역에 이온 주입이나 열 확산 등의 방법에 의해 포토다이오드(110)나 트랜지스터(140) 등의 소자를 형성하지만, 포토다이오드(110)의 n형 영역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주입 각도의 다른 이온 주입을 복수회 실시함으로써, 더욱 복수회의 마스크 공정과 복수회의 이온 주입을 이용하여, 화소마다 다른 형상의 n형 영역을 형성한다.
이 다음, 실리콘기판상에 각종 성막 기술이나 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전극층이나 다층 배선층을 형성하고, 또한 그 상층에 컬러 필터, 마이크로 렌즈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간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결정한 각 소자의 위치 관계에 의해, 차광막 개구부, 배선, 컬러 필터, 마이크로 렌즈를 최적화한 위치에 형성하여 간다.
이와 같이 하여 수광효율을 개선하고, 감도 분포를 상하좌우로 균일화한 고체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집광 렌즈로서 온칩마이크로렌즈(260)를 이용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배선층 사이에 형성된 층 내 렌즈라도 좋고, 오목렌즈나 볼록 렌즈 어느 쪽이라도 좋다.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온칩렌즈, 배선, 차광막(배선이 그 역할을 완수한다)의 위치가 수정되고, 입사광의 주광선의 입사 각도에 맞추어서 포토다이오드가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경우의 예를 나타냈지만, 모든 구성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온칩렌즈만이 수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고, 포토다이오드의 경사만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집광렌즈 등의 위치의 수정은, 반드시 고체 촬상 장치의 촬상 영역의 모든 화소에 대해서 실시할 필요는 없고, 소정의 화소에 대해서만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화소 1개씩을 수정의 단위로 할 필요는 없고, 인접하는 수개의 화소를 1단위로서 동일한 수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CMOS 이미지 센서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CCD 이미지 센서 등의 다른 고체 촬상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 수광부의 형상이 상하좌우에서 비대칭 형상을 가지는 것에 유효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을 고체 촬상 장치 단체에 적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이러한 고체 촬상 장치(20)를 탑재한 통신장치나 화상처리장치 등의 각종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전자기기(21)는, 광학계(22)나 주변회로부(23)를 포함한 고체촬상소자 모듈을 포함한다.
특히, 상술한 고체촬상장치의 구조에 의해, 사출동공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기기에 탑재함으로써, 기기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휴대기기의 추가 가치를 크게 향상할 수 있고, 이러한 휴대기기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체 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 화소에 있어서의 집광렌즈(배선, 차광동공개구부)의 형성위치를, 집광렌즈의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 방향으로의 두께 등에 의거하며, 상기 광전변환부의 내부에 입사하는 빛의 량이 증가하도록 설정하여 광전변환부의 저부를 표면부에 의해서도, 촬상 영역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시프트하여 형성한 것이므로, 각 화소에 있어서의 적정한 입사 상태를 얻는 것이 가능하고, 각 화소의 수광효율의 개선이나 감도의 균일화, 또는 배선층에서 생기는 반사광에 수반하는 혼색의 억제 등을 도모할 수 있고, 화질을 향상한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광전변환부는 표면이 비대칭형상이며,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위쪽이며, 상기 표면의 비대칭성을 보충한 대칭형상의 대략 중심상에 위치하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대칭형상의 대략 중심상에서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동등한 거리에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그 시프트량이 상기 광전변환부의 표면의 비대칭성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표면은 직사각형의 적어도 한구석이 결여된 형상이며,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의 대략 중심상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3.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광전변환부의 내부에 입사하는 빛의 량이 증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는 화소내의 소정의 측으로 기울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의 거리가 동등한 화소에 있어서, 그 스피트량이 화소내에 있어서의 상기 광전변환부의 위치의 기울기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는 또한, 절연막을 거쳐서 설치된 복수의 배선을 가지고,
    상기 배선은 상기 집광렌즈와 동일하게, 상기 촬상영역의 중심부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의 시프트량은,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는, 반도체층으로의 복수회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불순물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9.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 화소의 적어도 일부의 화소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 저부의 시프트량은,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는, 반도체층으로의 복수회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된 불순물영역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영역은, 주입 각도가 다른 복수회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
  13. 고체촬상장치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고체촬상장치는,
    2차원 배열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촬상영역을 가지고,
    상기 화소는 집광렌즈와 광전변환부를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설정되어 있고,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4. 촬상영역의 화소마다에 광전변환부와 집광렌즈를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상기 집광렌즈는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여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측에 시프트하여 형성되며,
    상기 집광렌즈의 시프트량은, 상기 집광렌즈의 상기 광전변환부 표면에서의 높이와, 상기 광전변환부의 기판 깊이 방향으로의 두께에 의거하여, 상기 광전변환부의 내부에 입사하는 빛의 량이 증가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의 저부는 표면부보다도,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외측방향으로 시프트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 저부의 시프트량은, 상기 촬상영역의 중앙부분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화소에 있어서 만큼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부는, 반도체층으로의 복수회 불순물 이온주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회 불순물 이온주입은, 주입 각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촬상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57004532A 2002-09-20 2003-09-18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4557 2002-09-20
JP2002274557 2002-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378A true KR20050057378A (ko) 2005-06-16
KR101036290B1 KR101036290B1 (ko) 2011-05-23

Family

ID=3202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532A KR101036290B1 (ko) 2002-09-20 2003-09-18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20231B2 (ko)
JP (1) JP5263279B2 (ko)
KR (1) KR101036290B1 (ko)
CN (1) CN100456483C (ko)
TW (1) TWI242881B (ko)
WO (1) WO20040278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931A (ko) * 2015-01-13 2023-02-23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2504B2 (ja) * 2002-09-20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DE102004003013B3 (de) * 2004-01-20 2005-06-02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Bilderfassungssystem und dessen Verwendung
US20060113460A1 (en) * 2004-11-05 2006-06-01 Tay Hiok N Image sensor with optimized wire routing
JP4882224B2 (ja) * 2004-11-26 2012-02-2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7564629B1 (en) 2004-12-02 2009-07-21 Crosstek Capital, LLC Microlens alignment procedures in CMOS image sensor design
US7763918B1 (en) * 2004-12-02 2010-07-27 Chen Feng Image pixel design to enhance the uniformity of intensity distribution on digital image sensors
US7450161B1 (en) 2004-12-02 2008-11-11 Magnachip Semiconductor Ltd.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the uniformity of intensity distribution on digital imaging sensors
JP4938238B2 (ja) * 2005-01-07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7432491B2 (en) * 2005-05-06 2008-10-07 Micron Technology, Inc. Pixel with spatially varying sensor positions
US7659497B2 (en) 2005-12-06 2010-0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n demand circuit function execution employing optical sensing
KR101176545B1 (ko) * 2006-07-26 2012-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이크로 렌즈의 형성방법과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한이미지 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
US7880253B2 (en) * 2006-11-28 2011-02-01 Stmicroelectronics Sa Integrated optical filter
US20080211050A1 (en) * 2007-03-01 2008-09-04 Hiok Nam Tay Image sensor with inter-pixel isolation
US20090027527A1 (en) * 2007-07-23 2009-01-29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Color filter arrays and image sensors using the same
JP2009032953A (ja) * 2007-07-27 2009-02-12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
JP4505488B2 (ja) * 2007-09-05 2010-07-21 シャープ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電子情報機器
US7759755B2 (en) 2008-05-14 2010-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ti-reflection structures for CMOS image sensors
US8003425B2 (en) * 2008-05-14 2011-08-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for forming anti-reflection structures for CMOS image sensors
JP2009289927A (ja) * 2008-05-28 2009-12-10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902618B2 (en) * 2008-11-17 2011-03-08 Omni Vision Technologies, Inc. Backside illuminated imaging sensor with improved angular response
JP5450633B2 (ja) * 2009-09-09 2014-03-26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129358A (ja) * 2010-12-15 2012-07-05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116932B (zh) * 2011-03-08 2012-12-26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学图像放大装置和图像显示系统
JP5859864B2 (ja) * 2012-02-03 2016-02-16 矢崎総業株式会社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US8779542B2 (en) * 2012-11-21 2014-07-15 Intersil Americas LLC Photodetectors useful as ambient light sensors and methods for use in manufacturing the same
JP2015046454A (ja) * 2013-08-28 2015-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6235412B2 (ja) * 2014-05-27 2017-11-2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72745B1 (ko) * 2015-05-27 2022-03-1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
JP6754157B2 (ja) * 2015-10-26 2020-09-09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
EP3550273B1 (en) * 2017-09-28 2021-07-28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Image capturing element and image capturing device
US10777609B1 (en) * 2019-04-01 2020-09-15 Visera Technologies Company Limited Optical devices with light collection elements formed in pixel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4185A (en) * 1986-04-18 1987-09-15 Eastman Kodak Company Light sensing devices with lenticular pixels
JPH05328233A (ja) * 1992-05-22 1993-12-10 Hitachi Ltd 固体撮像素子
JP2833941B2 (ja) * 1992-10-09 1998-12-09 三菱電機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6232379A (ja) * 1993-02-01 1994-08-19 Sharp Corp 固体撮像素子
JP3466660B2 (ja) * 1993-05-31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H08107194A (ja) * 1994-10-03 1996-04-23 Fuji Photo Optical Co Ltd 固体撮像装置
JPH10125887A (ja) * 1996-10-21 1998-05-15 Toshiba Corp 固体撮像素子
JP3403062B2 (ja) * 1998-03-31 2003-05-06 株式会社東芝 固体撮像装置
JP3372216B2 (ja) * 1998-11-11 2003-01-27 株式会社東芝 増幅型固体撮像装置
JP3430071B2 (ja) 1999-06-02 2003-07-28 シャープ株式会社 マスク作製方法
EP1107316A3 (en) * 1999-12-02 2004-05-19 Nikon Corporation Solid-state image sensor, production method of the same and digital camera
JP2001160973A (ja) * 1999-12-02 2001-06-12 Nikon Corp 固体撮像素子及び電子カメラ
JP3478796B2 (ja) * 2000-11-30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3571982B2 (ja) 2000-01-27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固体撮像システム
JP3853562B2 (ja) 2000-02-23 2006-12-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増幅型固体撮像装置
US6809359B2 (en) * 2001-05-16 2004-10-2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JP4759886B2 (ja) * 2001-09-03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221940B2 (ja) 2002-03-13 2009-02-12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固体撮像装置並びに撮像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5931A (ko) * 2015-01-13 2023-02-23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전자 기기
US11916092B2 (en) 2015-01-13 2024-02-27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6483C (zh) 2009-01-28
CN1682375A (zh) 2005-10-12
TW200425488A (en) 2004-11-16
WO2004027875A1 (ja) 2004-04-01
TWI242881B (en) 2005-11-01
JP5263279B2 (ja) 2013-08-14
KR101036290B1 (ko) 2011-05-23
JP2011061239A (ja) 2011-03-24
US7420231B2 (en) 2008-09-02
US20060006438A1 (en) 2006-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6290B1 (ko)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384178B2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JP3722367B2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7535073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module
US9070609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TWI497702B (zh) Solid state camera device
US6903391B2 (e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JP2012199489A (ja)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H11274443A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78472A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US8421178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electronic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85432B2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682504B2 (ja)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9876041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23446B2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H0964329A (ja) 固体撮像素子
US20240072086A1 (en) Image s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