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306A -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306A
KR20050057306A KR1020057004235A KR20057004235A KR20050057306A KR 20050057306 A KR20050057306 A KR 20050057306A KR 1020057004235 A KR1020057004235 A KR 1020057004235A KR 20057004235 A KR20057004235 A KR 20057004235A KR 20050057306 A KR20050057306 A KR 20050057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land
container
arm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4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514B1 (ko
Inventor
헤르만 프란?b
요아킴 크뢸
Original Assignee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고트발트 포트 테크놀로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57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ISO 규격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 설비는 육상쪽에 지지되고 그 상측에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포함한다. 수평 이송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상기 수평 연장 암은 하역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다. 수평 이송 장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고 내려 놓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 바람직하기로는 ISO 규격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새로운 구조를 가진 이송 설비 및 방법을 제공는 것이며, 이것은 이송 처리량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선의 항만 정박 시간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상기 암은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육상쪽 및 해상쪽에 위치한 승강 장치(11, 13) 사이에서 수평 연장 암(1.4, 1.5, 1.6)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를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육상쪽 및 해상쪽에 위치한 승강 장치(11, 13) 및 수평 이송 장치(9, 10)에 의하여 컨테이너를 위치시키거나 컨테이너를 픽업할 수 있는 중간 보관 장치(12, 14)가 육상쪽 및 해상쪽에 위치한 승강 장치(11, 13)의 영역의 수평 연장 암 상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 방법 {TRANSFER PLANT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FROM CONTAINER SHIPS}
본 발명은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육상쪽에 세워져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 상에도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송 설비를 사용하여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특징을 구비한 컨테이너 이송 설비는, 예를 들면, DE 40 40 072 A1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방법은 컨테이너선의 하역 작업 도중에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동안 호이스팅 거리를 완전하 연장시켰을 때 발생하는 손실 시간을 가능한 감소시키고자 하였다. 공지된 시스템의 처리 속도는 승강 거리를 적절하게 단축함으로써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알았다.
당해 기술에서는 로딩 브리지에서 하물을 수평으로 이송하는 이송 차량을 사용하여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상기 로딩 브리지의 이송 플랫폼은 길이방향으로 조정가능한 이송 부재 때문에 높이가 조정가능하므로, 이송 플랫폼은 화물 이송 높이까지 최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승강 작업은 시간 손실을 발생시키는 수많은 작업 중 단지 한 가지에 불과하고, 컨테이너 브리지의 취급 능력에 대한 주된 기준으로는 무엇보다도 크레인 트롤리의 화물 교체 시간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선박의 치수가 대형화되고, 즉 선박의 폭이 증가되면서, 해상쪽으로 연장되는 암, 즉 트롤리의 수평 이동 거리가 더 길어지고, 이러한 사실은 트롤리의 이동 속도를 증가시키더라도 균형이 이루어질 수 없다. 컨테이너 브리지에서 현재 달성되는 초당 약 4미터의 최대 트롤리 이송 속도는 크레인 조작자의 능력 범위의 한계에 가까운 수준이며, 트롤리 속도를 임의로 더 증가시킨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도 1은 이송 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송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송 설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이송 설비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수직 이송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수직 이송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3의 상세도이다.
도 9는 도 1의 다른 상세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회전 기구 및 회전 프로세스의 도면이다.
도 11은 회전 기구 및 회전 프로세스의 도면이다.
도 12는 이송 설비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작업 중단 상태에 있는 크레인의 도면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처리 능력이 현저하게 증가, 즉 컨테이너선이 도크에서 보내는 시간이 실질적으로 감소되도록 항만에 정박해 있는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 바람직하게는 ISO 규격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새로운 구조의 이송 설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크레인 조작자가 급속한 가속 및 감속과 트롤리의 고속 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커다란 스트레스를 더 이상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압도적으로 상당 부분의 하역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를 구비한 이송 설비 및 청구항 3의 특징부를 구비한 이송 설비에 의하여 달성된다. 컨테이너의 하역 방법과 관련하여, 청구항 17에 그 해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종속 청구항 2, 4-16, 18 및 1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있어서, 육상쪽에 세워져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구비하고,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 상에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육상쪽 승강 장치와 해상쪽 승강 장치 사이에서 상기 수평 연장 암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및 서로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가 배치되어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육상쪽 승강 장치 및/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 영역의 수평 연장 암 상에 육상쪽 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에 의하여 컨테이너를 내려 놓거나 집어 올릴 수 있는 중간 보관 장치는 물론 수평 운반 장치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승강 장치와 수평 이송 장치의 하물 처리 동작이 별개로 행해지므로 처리 능력의 최적화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으로서,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있어서, 육상쪽에 세워져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육상쪽 및/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 영역의 수평 연장 암 상에 상기 육상쪽 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에 의하여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거나 내려 놓을 수 있도록 중간 보관 장치가 배치되어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이송 설비에는 수평 연장 암을 따라 육상쪽 및 해상쪽 승강 장치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가 수평 연장 암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 가지 특징은, 한편으로는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고 내려 놓는 승강 장치와, 다른 한편으로는 이송 설비의 육상쪽 말단으로 수평 이송하는 기구 사이가 분리되어 있다는 점이며, 이로 인해 승강 작업이 이송 작업과 동시에 즉 시간이 겹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로써 특정 기기, 즉 2개의 수평 장치의 유용성이 개선되고, 승강 작업은 컨테이너가 수평 방향으로 횡단 기구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실행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수평 연장 암은 해상쪽의 견고한 베이스 암, 상기 해상쪽의 견고한 베이스 암에 연결된 회전 암, 및 육상쪽으로 뻗어있는 견고한 연장 암으로 분리되어 있고, 견고한 해상쪽 베이스 암 및 견고한 육상쪽 암은 수직 서포트에 고정되며, 견고한 해상쪽 베이스 암은, 해상쪽 회전 암이 상측으로 회전하는, 이송 설비의 정지 위치에서 해상쪽 승강 장치를 수용한다.
기본적으로, 이송 설비는 수평 연장 암의 해상쪽 부분은 해상쪽 승강 장치의 트롤리용 레일을 지지하고, 육상쪽 승강 장치는 수평 연장 암의 육상쪽 부분에 고정되며, 수평 이송 장치용 레일은 해상쪽 승강 장치의 레일 및 육상쪽 승강 장치에 근접하여 양쪽에 상기 전체 수평 연장 암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처리 능력이 향상된다.
수직 서포트는 타워형이고, 승강 장치용 레일은 수직 서포트 영역에서 종료되며, 수평 이송 장치용 레일은 수직 서포트를 지나 횡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소형, 특히 폭이 좁은 구조의 이송 설비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중간 보관 장치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칼럼을 포함하고, 하측 말단은 수평 회전 암에 부착되며, 상기 서포트 칼럼으로부터 먼쪽 말단은 이송 프레임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이송 프레임은 해상쪽 또는 육상쪽 승강 장치의 하측 영역 및 2개의 수평 이송 장치의 영역 양쪽 모두 및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거나 또는 이송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픽업 및 핸드-오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해상쪽 회전 암 및 해상쪽 이송 프레임은 자신들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90°각도로 각각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육상쪽 이송 암 및/또는 해상쪽 이송 프레임의 회전 기구는 평행 4변형 커플러 기구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므로, 컨테이너의 배향은 상기 회전 기구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변하지 않는다.
컨테이너용 이송 프레임은 레일 영역의 2개의 픽업 위치와 핸드-오프 위치 사이에서 중앙 회전 위치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중앙 회전 위치에서 컨테이너는 해상쪽 또는 육상쪽 승강 장치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승강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장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수평 이송 장치 각각은 레일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횡단 기구, 호이스팅 기구 및 스프레더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레더는 회전하여 스프레더의 하측에 위치한 컨테이너를 수용한다.
육상쪽 승강 장치의 호이스팅 빔은 수직 서포트 상으로 안내된 리프트로서 구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상기 리프트는, 수평 호이스팅 빔 상으로 안내된 트롤리 및 컨테이너용 하중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팅 빔은 호이스팅 케이블에 지지되며 수직 서포트에 맞대어 롤링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에 크로스 레일을 통해 연결된다.
육상쪽 승강 장치의 호이스팅 케이블은 육상쪽 승강 장치의 본래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이동성 균형추에 결합된다.
적재 스테이션은 수평 이송 장치와 협동하여 승강 장치의 하측에서 교호로 이동할 수 있는 픽업 및 핸드-오프 2개의 위치를 갖는다.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송 설비는 레일 횡단 기구 상에 지지된 갠트리형(gantry type) 구조체를 가지며, 연장 암은 육상쪽의 구조체를 가로질러 뻗어 있으며, 수직 서포트는 육상쪽의 구조체 상의 중앙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이송 설비에 의하여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은 다음의 작업 순서를 특징으로 한다:
a) 도크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하역하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상기 컨테이너 상측의 수평 연장 암 상에 위치한 해상쪽 승강 장치의 스프레더에 의하여 집어 올려서 최대 호이스팅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b) 수평으로 회전하는 이송 암 및 상기 수평 회전 이송 암에 배치된 수평으로 회전하는 이송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는 해상쪽 승강 장치 상에 배치된 중간 보관 장치를 2개의 수평 이송 장치의 레일 하측의 정지 위치로부터 컨테이너 하측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c) 컨테이너를 이송 프레임 상에 내려 놓고 수평 이송 장치의 2개의 레일 중 하나의 레일 하측에서 상기 이송 프레임과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
d) 이송 프레임 상의 컨테이너 상측에 위치한 수평 이송 장치 중 하나가 컨테이너를 수용하고 이 컨테이너를 육상쪽 연장 암의 말단까지 이송하는 한편, 해상쪽 승강 장치는 새로운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는 단계,
e) 연장 암의 육상쪽 말단에서, 컨테이너를 수평 회전 암에 의하여 컨테이너 하측의 수평 이송 장치의 레일 영역으로 회전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칼럼을 갖는 제2 중간 보관 장치의 지지 프레임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f) 수평 이송 장치로부터 컨테이너를 분리시킨 후, 컨테이너가 실린 이송 프레임을 육상쪽 연장 암에 힌지로 연결된 승강 장치의 호이스팅 기구 하측으로 회전시켜, 여기에서 컨테이너가 스프레더에 의하여 픽업되는 단계,
g) 이송 프레임을 다시 회전시킨 후, 컨테이너가 승강 장치에 의하여 하강되어 지상에 위치한 수평 이송 시스템으로 이송되는 단계,
h) 전술한 작업 단계와 동시에, 해상쪽 승강 장치에 의하여 픽업된 제2 컨테이너는 제2 수평 이송 장치에 의하여 다른 레일을 가로질러 육상쪽의 연장 암의 말단까지 이송되어, 여기에서 컨테이너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는 단계, 및
i) 전술한 작업 단계를 적하 과정의 역순으로 실행하는 단계.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승강 장치에 의하여 픽업될 때 연장 암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 배향된 컨테이너는 +/-90°로 회전하는 이송 암 및/또는 이송 프레임에 의하여 연장 암과 평행한 소정의 위치로 회전된다는 점을 또한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향은 컨테이너의 정확한 배치, 예를 들면, 컨테이너 도어가 육상쪽으로 대면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칼럼의 이송 프레임 상에 배치될 때 연장 암과 평행하게 배향된 컨테이너는 이송 암 및 이송 프레임의 역동작 때문에 수직 장치의 영역 내로 회전될 때 그 배향이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송 설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양하하는 방법을 상기 특징 및 작업 단계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요지는 선박에 컨테이너를 적하하기 위하여는 전술한 작업 단계를 역순으로 실행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이송 설비를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 브리지의 처리 능력이 실질적으로 향상된다. 처리 능력의 향상으로 인하여, 컨테이너선의 정박 시간, 즉 정박 비용이 대략 30-35%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역 작업의 대부분은 전술한 작업을 적절한 방식 및 적당한 순서로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업 모드 및 그 장점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컨테이너선(3)이 도크(2)에 정박해 있는 이송 설비(1)의 도면이다. 이송 설비(1)는 주로 복수개의 휠을 가진 4개의 레일 횡단 기구(1.2)에 의하여 도크에 지지된 갠트리(1.1), 타워형 수직 서포트(1.3) 및 상기 수직 서포트에 고정된 수평 연장 암(1.4, 1.5, 1.6)을 포함한다. 수평 연장 암은 해상쪽의 견고한 베이스 암(1.4), 해상쪽의 상기 베이스 암 상에 장착된 회전 암(1.5) 및 육상쪽의 견고한 연장 암(1.6)을 포함한다.
이송 설비의 케이블 윈치 및 구동부(4)는 육상쪽의 갠트리(1.1)의 크로스 빔(1.7) 내에 배치된다. 해상쪽의 2개의 연장 암(1.4, 1.5)은 트롤리(6)용 하측 레일(5)의 상단 레벨 및, 하단 레벨 상의 레일의 측면으로, 수평 운반 장치(9, 10)용 적어도 하나의 레일(7, 8)을 지지한다. 트롤리(6)용 레일(5)은 수직 서포트(1.3)에서 종료되지만, 레일(7. 8)은 수직 서포트(1.3)의 측면을 지나 육상쪽의 연장 암(1.6)의 말단까지 계속 연장된다. 컨테이너(18)용 승강 장치(11)의 종래의 케이블 호이스팅 기구 외에, 트롤리(6)는 컨테이너(18)용 회전 기구(12)를 포함한다.
타워형 수직 서포트(13)의 육상쪽에는, 승강 장치(11)와 마찬가지로 회전 기구(14)를 또한 갖는 다른 수직 호이스팅 장치(13)가 위치한다. 도크(2) 상의 수직 호이스팅 기구(13) 하측에는 2개의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 및 컨테이너(18)를 운반하는 운전자가 없는 운반 차량(FTF)(17)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2는 수직 서포트(1.3), 해상쪽의 견고한 암(1.4), 상기 해상쪽 견고한 암 상에 장착된 회전 암(1.5), 및 육상쪽의 견고한 연장 암(1.6)을 구비한 이송 설비의 평면도이다. 또한,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용 레일(7, 8)이 트롤리(6)의 레일(5) 옆에 배치되어 연장 암(1.4, 1.5, 1.6)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해상쪽 베이스 암(1.5)과 육상쪽 연장 암(1.6) 사이의 전이부에는, 레일(7, 8)이 중앙 수직 서포트(1.3) 옆을 지나간다. 수직 서포트(1.3)는 육상쪽의 크로스 빔(1.7)의 중간에 지지되고, 크로스 빔(1.7)의 길이 방향으로 보아 크로스 빔(1.7) 길이의 약 1/3 이하의 폭을 갖는다. 평행하게 서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2개의 수직 빔을 구비한 박스형 수직 서포트와는 달리, 수직 서포트(1.3)는 이른바 하나의 빔, 즉 하중의 대부분을 지지하는 중앙 수직 빔을 가진 하나의 빔 구조이다. 또한, 회전 기구(14)를 구비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가 육상쪽의 연장 암(1.6)의 중간 영역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송 설비의 정면도, 즉 해상쪽으로부터 도크(2) 쪽으로 바라 본 도면이다.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19)를 집어 들기 위하여, 승강 기구(11)에는 스프레더(spreader)(20)가 제공된다. 회전 기구(12)는 제1 회전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서포트 칼럼(12.1), 제2 회전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는 회전 암(12.2), 및 이송 프레임(12.3)으로 구성된다. 서포트 칼럼(12.1)은 승강 기구(11)에 근접한 트롤리(6) 상의 사이드웨이에 배치되며, 또한 2개의 레일(7, 8) 사이의 중앙에 매달린다. 지지 칼럼(12.1)으로부터 측면으로 뻗어있는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 암(12.1)이 회전부(도시되지 않음)를 거쳐 수직 서포트 칼럼(12.1)에 인접한다. 서포트 칼럼(12.1)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회전 암(12.2)의 말단에는,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이송 프레임(12.3)을 지지하는 도시되지 않은 제2 회전부가 고정된다. 이송 프레임(12.3)은 컨테이너(19)를 집어 들거나, 또는 이컨테이너를 승강 기구(11)에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도 3에서, 회전 암(12.2)은 0°위치, 즉 이송 설비(1)의 길이방향 축, 또는 이송 설비의 연장 암(1.4, 1.5, 1.6)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회전 암(12.2)을 중심으로 90°회전된 이송 프레임(12.3)은 스프레더(20)에 매달려 있는 컨테이너(19)를 수신할 준비가 된다.
도 4는, 회전 기구(14)를 구비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가 필수적으로 도시된 이송 설비의 배면도, 즉 도크(2)로부터 해상쪽으로 바라 본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서도, 다른 하나의 컨테이너(21)를 집어 들고 수직 호이스팅 기구(13)의 호이스팅 빔(13.1)에 트롤리(23)를 거쳐 매달리는 스프레더(22)를 알 수 있을 것이다. 트롤리(23)는 호이스팅 빔(13.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호이스팅 빔(13.1)은, 수직 서포트(1.3)의 상측 말단 영역 내로 안내되지 않는, 하중 케이블(24)을 거쳐 크로스 빔(1.7) 상에 배치된 호이스팅부(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호이스팅 빔(13.1)은 수직 서포트(1.3)와 수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웨이(25)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안내된다. 회전 기구(14)는, 회전 기구(12)와 마찬가지로, 회전부를 포함하는 서포트 칼럼(14.1), 회전 암(14.2), 및 컨테이너(21)용 이송 프레임(14.3)으로 구성된다. 회전 기구(14)의 구조 및 작동 모드는 회전 기구(12)의 구조 및 작동 모드와 동일하다. 따라서, 회전 기구(12)의 대응하는 설명을 참조한다. 도면 4에서, 컨테이어(21)가 적재된 이송 프레임(14.3) 및 회전 암(14.2)은 0°위치, 즉 이송 설비(1)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있다. 또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 하측의 도크(2) 상에 위치한 2개의 적재 스테이션(15, 16) 및 컨테이너(18)를 멀리 끌어가는 운반 차량(17)이 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수직 서포트(1.3)를 타워형으로 표시하고 있다는 의미는 연장 암(1.4, 1.5, 1.6)이 상기 연장 암(1.4, 1.5, 1.6)의 폭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수직 서포트(1.3)에 의하여 지지된다는 점이 명백하다. 수직 서포트(1.3)의 양쪽에 배치된 보조 서포트(1.8)는 수직 서포트(1.3)에 대한 안정화 기능만을 단지 갖는다. 보조 서포트(1.8)는 갠트리(1.1)의 상측 말단으로부터 연장 암(1.4, 1.6)까지 연장된다. 도 3 및 도 4에는, 보조 서포트는 그 기능 때문에 수직 서포트(1.3)에 비하여 약간 넓은 폭을 또한 가지므로, 이송 설비(1)의 폭은 증가시키지 않지만 이송하려는 컨테이너를 가진 수평 이송 장치(9, 10)가 수직 서포트(1.3)로부터 보조 서포트(1.8) 상을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은 여전히 남는 것으로 명백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이송 설비(1)의 육상쪽 말단을 확대시킨 측면도이다. 회전 암(14.2)은 + 90°위치, 즉 육상쪽 연장 암(1.6)의 길이방향 축과 직각으로 위치하는 한편, 컨테이너(21)를 수용할 이송 프레임은 0°위치, 즉 레일(8)의 하측에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수직 호이스팅 장치(13)의 호이스팅 빔(13.1)에 매달린 스프레더(22)가 컨테이너(26)를 집어 든다. 수직 호이스팅 장치(13)는 길이방향 빔(13.1)에 의하여 하중 케이블(24)에 부착된다. 안정적인 하중 안내를 위하여, 수직 서포트(1.3)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가이드웨이(25)가 위치되어 있다. 가이드웨이(25)는 크로스 빔 또는 밸런싱 암(balancing arm)(13.2)에 장착된 가이드 롤러(13.3)용 이동 트랙을 형성한다. 밸런싱 암(13.2)은 하중 케이블(24)의 길이에서의 임의의 작은 차이를 균등하게 한다.
도 5는 2개의 20피트 ISO 규격 컨테이너를 짝을 이루어 들어올리는 작업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약 +/- 25피트의 짧은 수평 연장을 위한 레일 횡단 기구(23.1)를 구비한 트롤리(23)는 45피드 그리드 내에 적재된 20피트 컨테이너(26.1) 상측의 중앙을 벗어난 위치에 위치한다. 20피트 스톱 세팅으로 조정된 스프레더(22)는 제1 처리 작업을 준비하게 된다. 다음 호이스팅 작업에서, 제2의 20피트 컨테이너(26.2)가 처리된다. 하물 인도 기구로서의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은 이송 설비(1)의 수직 호이스팅 장치(13)와 수평 이송 시스템 사이에 운반 차량에 의하여 경계를 형성한다. 샤시(15.1) 또는 샤시(16.2) 및 2개의 레일 횡단 기구(15.2, 16.2)로 각각 구성되는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은 이송 설비(1)의 레일(28)과 평행하게 도크(2) 상에 배치된 레일(27) 상을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수직 호이스팅 장치(13)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갠트리(1.1), 수직 서포트(1.3), 육상쪽의 크로스 빔(1.7), 수직 호이스팅 장치(13), 길이방향 빔(13.1), 밸런싱 암(13.2), 가이드 롤러(13.3), 레일 횡단 기구(23.1) 및 2개의 레일(25)을 구비한 트롤리(23), 레일(27) 상에 위치한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은 물론 이송 설비(1)의 레일(28)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약 +/- 6 m의 수평 오프셋에 의하여 제어되고 관리 단말기 로직에 의하여 모니터링되는 2개의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은, 승강 장치(13) 또는 운반 차량(17)에 인도하는 2개의 인도 스테이션 위치 하측에 배치되면, 3개의 위치 전체를 교대로 점유하며 이들 위치 각각은 사이드웨이에 배치된다.
도 7은 이송 설비(1)의 상세도로서, 해상쪽 회전 암(1.5), 트롤리(6)의 레일(5) 및 상기 레일의 측면으로 하측에 배치된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용 레일(7, 8)의 도면이다. 트롤리(6)는 레일 횡단 기구(6.1), 케이블 호이스팅부(11), 및 회전 기구(12)의 구성품을 추가로 포함한다. 회전 기구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베어링 칼럼(12.1), 회전부를 포함하는 회전 암(12.2), 및 이송 프레임(12.3)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암(12.2)은 0°위치, 즉 이송 설비(1)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회전 암으로부터 90°이동된 하물 하측의 이송 프레임(12.3)은 스프레더(20)에 매달려 있는 컨테이너(19)를 수용한다. 수평 이송 장치(9, 10)는 레일 횡단 기구(30) 및 스프레더(32)가 매달려 있는 호이스팅 기구(31)를 구비한 프레임(29)으로 알려진 트롤리를 포함한다.
도 8은 이송 설비(1)의 해상쪽 회전 암(1.5)의 다른 정면도이다. 회전 기구(12)는 회전부(12.1)를 포함하는 베어링 칼럼 구조로 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암은 +90°위치, 즉 이송 설비(1)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90°회전된 상태로 위치한다. 회전 암에 대하여 90°로 회전된, 컨테이너(19)가 실린 이송 프레임(12.3)은 레일(8)과 평행이다. 스프레더(32)가 컨테이너를 처리하게 된다. 트롤리의 케이블 호이스팅 기구(11)는 다음 리프트를 시작할 수 있다.
도 9는 수직 서포트(1.3)의 육상쪽에 위치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 및 회전 기구(14)의 도면이다. 회전 암(14.2), 및 컨테이너(21)가 실린 이송 프레임(14.3)은 0°위치, 즉 육상쪽 연장 암(1.6)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하게 위치한다. 트롤리(23)에 매달려 있는 스프레더(22)는 컨테이너(21)를 집어 드는데 사용된다. 도시된 위치에서, 레일 횡단 기구(23.1)로 이동할 수 있는 트롤리(23)는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수직 호이스팅 장치(13)의 적절한 중량은 하중 케이블(24)에 연결된 이동성 평형추(33)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균형이 잡히므로, 구동력의 대응하는 감소가 가능해진다.
도 10a 및 도 10b는 0°위치, 즉 회전 암(12.2)이 해상쪽 회전 암(1.5)과 평행인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회전 기구(12)의 회전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회전 기구(12)의 구조는 서로 협동하여 동작하는 독립된 드라이브를 갖는 2개의 회전부가 회전 프로세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제1 회전부는 회전 암(12.2)을 +90°또는 -90°회전시킨다. 관리 터미널 로직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고 모니터링되는 레일(7, 8) 쪽으로 향하는 회전 이동은 수평 이송 장치(9, 10)(컨테이너 무버)의 후속 동작에 의하여 지시된다. 회전 암(12.2)은 이송 프레임(12.3), 즉 상기 프레임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컨테이너를 +90°또는 -90°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회전 기구(12)의 이러한 추가 기능으로 인하여, 이송 설비의 작업자는 필요한 경우 컨테이너의 도어, 즉 진하게 표시된 앞쪽 말단의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도 11은 90°위치, 즉 회전 암(14.2)이 이송 설비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90°회전되고 이송 프레임(14.3)이 레일(7, 8)과 평행한 상태에 있는 위치로부터 시작하는 회전 기구(14)의 회전 프로세스의 개략도이다. 회전 기구(14)의 구조는 단지 하나의 회전부가 회전 프로세스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부는 회전 암(14)을 +90°또는 -90°회전시킨다. 관리 터미널 로직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되고 모니터링되는 레일(7, 8) 쪽으로 향하는 회전 방향은 수평 이송 장치(9, 10)의 후속 동작에 의하여 지시된다. 베어링 칼럼과 이송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평행 4변형 형태의 커플러 기구 때문에, 안내된 이송 프레임의 배향이 변경되지 않는다. 이로써 컨테이너 도어, 즉 회전 기구(12) 내 컨테이너의 진하게 표시된 앞쪽 말단을 정확한 위치에 지지한다.
도 12는 이송 설비의 배면도, 즉 도크(2)로부터 해상쪽으로 바라 본 도면이다. 도면에서, 회전 암(14.2), 및 컨테이너(21)를 포함하는 이송 프레임(14.3)은 0°위치, 즉 육상쪽 연장 암(1.6)의 길이방향 축과 평행인 상태로 위치한다.
최종적으로,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1)의 "작업 정지 상태"의 도면이다. 모든 핸들링 기어, 예를 들면, 회전 기구(12)를 갖는 트롤리(6), 수평 이송 장치(9, 10), 수직 호이스팅 장치(13), 회전 기구(14) 및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은 "작업 정지" 모드 상태에 있다. 따라서, 트롤리(6) 및 수평 이송 장치(9, 10)는 해상쪽의 견고한 연장 암(1.5) 상으로 구동되고, 회전하는 해상쪽 연장 암(1.4)은 회전하였다.
이하, 선박의 양하 프로세스에 대하여 설명하며, 선박의 양하 작업은 적하 작업과 방식은 동일하지만 역순으로 실행된다.
신규의 이송 설비는, 선박(3)의 적하 작업을 위하여, 단지 트롤리(6)만 컨테이너(19), 바람직하기로는 ISO 규격 컨테이너 상측에 위치되도록 짧은 거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 되도록 구조를 갖는다. 하중 지지 수단으로서의 스프레더(20)에 의하여, 컨테이너(19)는 선박(3)으로부터 최대 리프트 높이까지 들어 올려진다. 회전 기구(12)는 +90°또는 -90°위치로부터 0°위치로 회전한다. 컨테이너(19)가 이송 프레임(12.3) 상에 위치된 다음, 회전 기구(12)가 0°위치로부터 -90°위치, 즉 하나의 수평 이송 장치(9)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90°위치, 즉 다른 하나의 이송 장치(10)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지점에서, 수평 이송 장치(9, 10)의 스프레더(32)가 컨테이너(19)를 수용하여 이 컨테이너를 육상쪽 연장 암(1.6) 방향으로 수평으로 이송한다. 트롤리(6)의 케이블 호이스팅 기구는 상기 작용과 독립적으로 다음 리프트를 실행할 수 있다. 육상쪽 연장 암(1.6)의 말단에는 서포트 칼럼(14.1), 회전 암(14.2), 및 이송 프레임(14.3)을 구비한 전술한 제2 회전 기구(14)가 위치한다. 상기 말단에서 각각의 수평 이송 장치(9, 10)의 수평 이송이 종료된다. 회전 기구(14)의 이송 프레임(14.3)은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 중 어느 하나의 하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회전 기구가 호이스팅 기구(31)를 사용하여 컨테이너(19)를 이송 프레임(14.3) 상에 내려 놓을 수 있다. 하측방향으로 적재하는 작업의 다음 부분은 타워형 수직 서포트(1.3)의 육상쪽에 위치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에 의하여 실행된다. 이제, 회전 기구(14)가 +90°또는 -90°위치로부터 0°위치로 회전한 다음, 컨테이너가 수직 호이스팅 장치(13)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수직 호이스팅 장치(13)는 스프레더(22)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용하여 이 컨테이너를 들어 올린다. 회전 기구(14)는 다시 0°위치로부터 +90°위치, 즉 하나의 레일(7)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90°위치, 즉 다른 하나의 레일(8)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제, 수직 호이스팅 장치(13)가 도크(2)에 대기 중인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에 컨테이너를 내려 놓는다. 컨테이너 적재 스테이션(15, 16) 상에 적재 작업이 종료되자마자, 스테이션은 다른 스테이션의 대응하는 적재 위치로 수평으로 위치가 변하게 된다. 여기에서, 컨테이너는 운전자가 없는 이송 차랑(17)일 수 있는 수평 이송 시스템이나 또는 스프레더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집어 들 수 있는 다른 이송 시스템으로 전달한다. 운전자가 없는 이송 차량(17)은 신규의 이송 설비를, 예를 들면, 자동 컨테이너 야적장에 연결한다.

Claims (19)

  1.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ISO 규격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는, 육상쪽에 세워져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 상에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집어 들고 내려 놓으며,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는,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1)와 상기 해상쪽 승강 장치(13) 사이에서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및 서로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가 배치되는
    이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쪽 및/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 영역의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중간 보관 장치(12, 14)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 보관 장치에는, 상기 육상쪽 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는 물론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가 컨테이너를 내려 놓거나 집어 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3. 이송 설비, 특히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는, 육상쪽에 세워져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 상에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와 협동하여 컨테이너를 집어 올리거나 내려 놓으며,
    상기 육상쪽 및/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 영역의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중간 보관 장치(12, 14)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 보관 장치에는, 상기 육상쪽 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는 물론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가 컨테이너를 내려 놓거나 집어 올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가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는,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을 따라 상기 육상쪽 및 해상쪽 승강 장치(11, 13) 사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및 서로 나란히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 암은 해상쪽의 견고한 베이스 암(1.4), 상기 해상쪽의 견고한 베이스 암에 결합된 회전 암(1.5), 및 육상쪽으로 뻗어있는 견고한 연장 암(1.6)으로 분할되고,
    상기 견고한 해상쪽 베이스 암(1.4) 및 상기 견고한 육상쪽 암(1.6)은 상기 수직 서포트(1.3)에 고정되며,
    상기 견고한 해상쪽 베이스 암(1.4)은, 상기 해상쪽 회전 암(1.5)이 상측으로 회전하는, 이송 설비의 정지 위치에서, 상기 해상쪽 승강 장치(11)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연장 암의 상기 해상쪽 부분(1.4, 1.5)은 상기 해상쪽 승강 장치(11)의 트롤리(6)용 레일(5)을 지지하고,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3)는 상기 수평 연장 암의 상기 육상쪽 부분(1.6)에 고정되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용 레일(7, 8)은 상기 해상쪽 승강 장치(11)의 레일(5) 및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에 근접하여 양쪽에 상기 전체 수평 연장 암(1.4, 1.5)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서포트(1.3)는 타워형이고,
    상기 승강 장치(11)용 상기 레일(5)은 상기 수직 서포트(1.3)의 영역에서 종료되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용 상기 레일(7, 8)은 상기 수직 서포트를 지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보관 장치(12, 14) 각각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칼럼(12.1, 14.1)을 포함하고,
    상기 서포트 칼럼의 하측 말단은 수평 회전 암(12.2, 14.2)에 부착되며,
    상기 서포트 칼럼(12.1, 14.1)으로부터 먼쪽 말단은 이송 프레임(12.3, 14.3)에 힌지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암 및 상기 이송 프레임은, 상기 해상쪽 또는 육상쪽 승강 장치(11, 13)의 하측 영역 및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의 영역, 즉 컨테이너(19)를 집어 올리거나 내려 놓기 위한 대응하는 픽업 및 핸드-오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암(12.2) 및 상기 이송 프레임(12.3)은 각각 자신들의 수직축을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적어도 ±90°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쪽 이송 암(14.2) 및/또는 상기 육상쪽 이송 프레임(14.3)의 회전 기구는 평행 4변형 커플러 기구(34)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컨테이너(21)의 배향은 상기 회전 기구가 회전하는 동안에도 변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9, 21)용 상기 이송 프레임(12.3, 14.3)은 상기 레일(7, 8) 영역의 2개의 픽업 위치와 핸드-오프 위치 사이의 중앙 회전 위치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중앙 회전 위치에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해상쪽 또는 육상쪽 승강 장치(11)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승강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 각각은 상기 레일(7, 8) 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레일 횡단 기구(30), 호이스팅 기구(31) 및 스프레더(32)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레더는, 회전하여 스프레더(32) 하측에 위치한 상기 컨테이너(19)를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3)는 상기 수직 서포트(1.3) 상에서 안내되는 리프트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 장치는 수평 호이스팅 빔(13.1) 상에서 안내되는 트롤리(23) 및 상기 컨테이너(21)용 하중 지지 수단(22)을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팅 빔(13.1)은, 호이스팅 케이블(24)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직 서포트(1.3)에 맞대어 롤링할 수 있는 가이드 롤러(13.3)에 크로스 레일(밸런스 암(13.2))을 거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3)의 상기 호이스팅 케이블(24)은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3)의 본래의 중량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정하도록 이동성 균형추(33)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3) 하측에는 적재 스테이션(15,16)이 배치되고,
    상기 적재 스테이션은 수평 이송 시스템(17)과 협동하여 상기 승강 장치(13) 하측에서 교호로 이동할 수 있는 픽업 및 핸드-오프 2개의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1)는 레일 횡단 기구(1.2) 상에 지지된 갠트리형 구조체(1.1)를 가지며,
    상기 연장 암(1.6)은 상기 육상쪽의 상기 구조체를 가로질러 뻗어있고,
    상기 수직 서포트(1.3)는 육상쪽의 상기 구조체 상의 중앙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설비(1)에 의하여 항만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송 설비는, 육상쪽에 지지되어 있고 그 상측에는 수평 연장 암(1.4, 1.5)이 지지되어 있는 수직 서포트(1.3)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 연장 암은 양하하려는 선박(3)을 가로질러 해상쪽으로 뻗어있고 이를 따라 수평 이송 장치(9, 10)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이송 장치는, 육상쪽과 해상쪽 및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또한 배치되는 승강 장치(9, 10)와 협동하여 컨테이너(18, 19, 21)를 집어 들고 내려 놓으며,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는, 상기 육상쪽 승강 장치(11)와 상기 해상쪽 승강 장치(13) 사이에서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가 배치되며,
    상기 육상쪽 및/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 영역의 상기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중간 보관 장치(12, 14)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 보관 장치에는, 상기 육상쪽 또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13)는 물론 상기 수평 이송 장치(9, 10)가 컨테이너를 내려 놓거나 들어 올릴 수 있으며,
    j) 도크(2)에 정박 중인 컨테이너선(3)으로부터 하역하기 위하여, 컨테이너(18, 19, 21)를 상기 컨테이너(18, 19, 21) 상측의 수평 연장 암(1.4, 1.5, 1.6) 상에 위치한 해상쪽 승강 장치(11)의 스프레더(20)에 의하여 집어 올려서 최대 호이스팅 높이까지 상승시키는 단계,
    k) 수평으로 회전하는 이송 암(12.2) 및 상기 이송 암에 배치된 수평으로 회전하는 이송 프레임(12.3)을 구비하고 있는 해상쪽 승강 장치(11) 상에 배치된 중간 보관 장치를 2개의 수평 이송 장치(9, 10)의 레일(7, 8) 하측의 정지 위치로부터 컨테이너(18, 19, 21) 하측의 위치로 회전시키는 단계,
    l) 컨테이너(18, 19, 21)를 이송 프레임(12.3) 상에 내려 놓고, 수평 이송 장치(9, 10)의 2개의 레일(7, 8) 중 하나의 레일 하측에서 상기 이송 프레임과 함께 회전시키는 단계,
    m) 이송 프레임(12.3) 상의 컨테이너(18, 19, 21) 상측에 위치한 수평 이송 장치(9, 10) 중 하나가 컨테이너(18, 19, 21)를 수용하고 이 컨테이너를 육상쪽 연장 암(1.6)의 말단까지 이송하는 한편, 해상쪽 승강 장치(11)는 새로운 컨테이너(18, 19, 21)를 집어 올리는 단계,
    n) 연장 암(1.6)의 육상쪽 말단에서, 컨테이너(18, 19, 21)를 수평 회전 암(14.1)에 의하여 컨테이너(18, 19, 21) 하측의 수평 이송 장치(9, 10)의 레일(7, 8) 영역으로 회전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칼럼(14.2)을 갖는 제2 중간 보관 장치(14)의 지지 프레임(14.3)으로 이송시키는 단계,
    o) 수평 이송 장치(9, 10)로부터 컨테이너(18, 19, 21)를 분리시킨 후, 컨테이너(18, 19, 21)가 실린 이송 프레임(14.3)을 육상쪽 연장 암(1.6)에 힌지로 연결된 승강 장치(13)의 호이스팅 기구 하측으로 회전시켜, 여기에서 컨테이너(18, 19, 21)가 스프레더(22)에 의하여 픽업되는 단계,
    p) 이송 프레임(14.3)을 다시 회전시킨 후, 컨테이너(18, 19, 21)가 승강 장치(13)에 의하여 하강되어 지상에 위치한 수평 이송 시스템(15, 16)으로 이송되는 단계,
    q) 전술한 작업 단계와 동시에, 해상쪽 승강 장치(11)에 의하여 픽업된 제2 컨테이너(18, 19, 21)는 제2 수평 이송 장치(9, 10)에 의하여 다른 레일(7, 8)을 가로질러 육상쪽의 연장 암(1.6)의 말단까지 이송되어, 여기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이송되는 단계, 및
    r) 전술한 작업 단계를 적하 과정의 역순으로 실행하는 단계
    를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승강 장치(11)에 의하여 픽업될 때 연장 암의 길이방향 축을 가로질러 배향된 컨테이너(18, 19, 21)는 +/-90°각도로 회전하는 이송 암(12.2) 및/또는 이송 프레임(12.3)에 의하여 연장 암(1.4, 1.5, 1.6)과 평행한 소정의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제2 육상쪽 승강 장치(13)의 이송 프레임(14.3) 상에 위치될 때 연장 암과 평행하게 배향된 컨테이너(18, 19, 21)는 이송 암(14.2) 및 이송 프레임(14.3)의 역회전 운동으로 인하여 승강 장치(13) 영역으로 회전될 때 컨테이너의 배향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 방법.
KR1020057004235A 2002-09-12 2003-08-28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KR1009045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44116.2 2002-09-12
DE10244116A DE10244116A1 (de) 2002-09-12 2002-09-12 Umschlaganlage, insbesondere zum Be- und Entladen von ISO-Containern aus Containerschif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306A true KR20050057306A (ko) 2005-06-16
KR100904514B1 KR100904514B1 (ko) 2009-06-25

Family

ID=31896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4235A KR100904514B1 (ko) 2002-09-12 2003-08-28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10339B2 (ko)
EP (1) EP1519890B1 (ko)
JP (1) JP4185494B2 (ko)
KR (1) KR100904514B1 (ko)
AT (1) ATE307776T1 (ko)
AU (1) AU2003264114A1 (ko)
DE (2) DE10244116A1 (ko)
DK (1) DK1519890T3 (ko)
ES (1) ES2252705T3 (ko)
WO (1) WO20040333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92B1 (ko) * 2012-11-13 2014-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61866A4 (en) * 2005-02-25 2010-05-26 Maersk Inc SYSTEM AND PROCESS TO IMPROVE THE CONTAINER FLOW IN A PORT SYSTEM
US9010261B2 (en) 2010-02-11 2015-04-21 Allen Szydlowski Method and system for a towed vessel suitable for transporting liquids
US9521858B2 (en) 2005-10-21 2016-12-20 Allen Szydlowski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ing and preparing glacial water
SG135088A1 (en) * 2006-02-21 2007-09-28 Shanghai Zhenhua Port Mach Co Rubber-tyred gantry crane using city electric supply as a power source
WO2007132416A2 (en) * 2006-05-15 2007-11-22 David Peter Dennison The displacement of containers with respect to a ship
CN101229883A (zh) * 2008-01-24 2008-07-30 上海振华港口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集装箱码头装卸系统
US7927057B2 (en) * 2008-08-19 2011-04-19 Albert Sidney Johnson Ocean commerce transfer system
DE102008061199B3 (de) * 2008-12-09 2010-08-05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Brücken- oder Portalkran für den Umschlag von normierten Ladungsträgern, insbesondere für den Umschlag von ISO-Containern im Hafenbereich
BRPI0922384B1 (pt) * 2008-12-15 2020-09-15 Oceaneering International, Inc Método para controlar um guindaste e um manipulador ligado ao guindaste e manipulador de suprimento
SG165205A1 (en) * 2009-03-24 2010-10-28 Nsl Engineering Pte Ltd Improved container crane
US9371114B2 (en) 2009-10-15 2016-06-21 Allen Szydlowski Method and system for a towed vessel suitable for transporting liquids
US9017123B2 (en) 2009-10-15 2015-04-28 Allen Szydlowski Method and system for a towed vessel suitable for transporting liquids
WO2011047275A1 (en) 2009-10-15 2011-04-21 World's Fresh Waters Pte.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glacial water
US11584483B2 (en) 2010-02-11 2023-02-21 Allen Szydlowski System for a very large bag (VLB) for transporting liquids powered by solar arrays
US9090411B2 (en) 2010-10-15 2015-07-28 Sanofi-Aventis U.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ES2535481T3 (es) 2010-10-15 2015-05-12 Sanofi-Aventis U.S. Llc Aparato y método para cargar artículos
KR20130132978A (ko) * 2011-02-03 2013-12-05 라드지벤드 인지니율스부로 에프. 코흐 비.브이. 언로딩 및 로딩 크레인 구성체와, 2개의 언로딩 및 로딩 크레인 구성체의 어셈블리
MX351538B (es) 2011-11-29 2017-10-19 Apm Terminals Bv Una grúa.
ITTV20120116A1 (it) * 2012-06-13 2013-12-14 Dario Toncelli Apparato per la movimentazione di lastre e magazzino con tale apparato
CN103058059B (zh) * 2013-01-04 2015-01-21 中联重科股份有限公司 双平臂塔式起重机及其起重小车同步控制装置
US20150353299A1 (en) * 2014-06-09 2015-12-10 Sergey N. Razumov Order picking station and method of order picking
KR101728117B1 (ko) 2015-03-30 2017-04-19 민경식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시스템
FI127506B (fi) * 2017-04-03 2018-08-15 Konecranes Global Oy STS-nosturi
CN109051848B (zh) * 2018-07-18 2024-01-05 湖南进军隧道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开挖立架吊装机构
RU194068U1 (ru) * 2019-07-01 2019-11-26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АЯ АКАДЕМИЯ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ЕСПЕЧЕНИЯ имени генерала армии А.В. Хрулева" Пневмоколесный сборно-разборный консольный кран (пк срк)
CN110255391A (zh) * 2019-07-15 2019-09-20 中国水利水电第十二工程局有限公司 吊装转运装置
ES2860848A1 (es) * 2020-04-01 2021-10-05 Mayor Juan Carlos Barbera Grua portico para contenedores y metodo de funcionamiento
CN113602826B (zh) * 2021-07-22 2022-11-15 中车长江运输设备集团有限公司 一种轨桥一体捷运系统及翻坝运输系统
CN114380195B (zh) * 2022-03-26 2022-08-23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酒糟转运清理的机械防摇摆桥式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3952A (en) * 1968-03-29 1970-12-01 Kaiser Ind Corp Container handling and storage system
DE3342849A1 (de) * 1983-11-26 1985-06-13 Erwin Mehne GmbH & Co, 7100 Heilbronn Containertransportsystem
US4546852A (en) * 1984-02-07 1985-10-15 Fruehauf Corporation Adjustable service platform apparatus for a gantry crane
JPS61267690A (ja) 1985-05-20 1986-11-27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クレ−ン
DE8916221U1 (de) * 1988-05-18 1995-06-29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Containerkrananlage
DE4040072A1 (de) * 1990-12-14 1992-08-27 Technologiepark Clausthal Gmbh Schwerlast-transportwagen fuer eine schwerlast-verladebruecke
DE4307254A1 (de) 1993-03-08 1994-09-15 Tax Ingenieurgesellschaft Mbh Lastenverladekran
JPH10503742A (ja) 1994-05-20 1998-04-07 タックス インジェニュールゲゼルシャフト エムベーハー 荷物積載クレーン
DE19803322A1 (de) * 1997-02-14 1998-08-20 Noell Stahl Und Maschinenbau G Containerbrücke
JP3039445B2 (ja) * 1997-05-23 2000-05-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ナクレーン
JPH10330078A (ja) * 1997-06-03 1998-12-15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クレーン
JPH11278790A (ja) * 1998-03-25 1999-10-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クレーン
JP2000143154A (ja) * 1998-11-17 2000-05-2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コンテナクレー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092B1 (ko) * 2012-11-13 2014-09-2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301515D1 (de) 2005-12-01
JP4185494B2 (ja) 2008-11-26
ES2252705T3 (es) 2006-05-16
AU2003264114A1 (en) 2004-05-04
EP1519890B1 (de) 2005-10-26
EP1519890A1 (de) 2005-04-06
ATE307776T1 (de) 2005-11-15
KR100904514B1 (ko) 2009-06-25
DK1519890T3 (da) 2006-03-06
US20060182524A1 (en) 2006-08-17
US7410339B2 (en) 2008-08-12
DE10244116A1 (de) 2004-03-25
JP2005538012A (ja) 2005-12-15
WO2004033356A1 (de) 200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514B1 (ko) 컨테이너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이송 설비 및방법
US4750429A (en) Transportation systems
US9193571B2 (en) Unloading and loading crane arrangement, container terminal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ship
US3807582A (en)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ship containers
KR100719031B1 (ko) 아이에스오 컨테이너용 선적 장치
US4897012A (en) Cargo handling system
KR101429092B1 (ko)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KR900001753B1 (ko) 선박과 도크 사이에서의 화물 이동을 위한 안벽크레인 및 그 화물 이동방법
US5515982A (en) Telescoping shuttle for a cargo container handling crane
CA2281092C (en) Transporter container-loading bridge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40007552A1 (en) Mobile handling equipment for piece goods
CN114084701A (zh) 装卸船一体机及装卸船方法
EP2743217B1 (en)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for containers at quayside
EP1927569A1 (en) Ship to shore container crane and method of operating such crane
KR101149499B1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US4046265A (en) Loading and unloading bridge for containers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EP2586735A1 (en) Ship to shore crane with dual trolleys.
US5197843A (en)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unitary cargo onto and from ships
US6648571B1 (en) Mobile handl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ships in docks
EP0604217B1 (en) Transfer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into or from a ship
KR100743559B1 (ko) 도크형 항만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JP2552338B2 (ja) 荷役機械
KR20030006012A (ko) 순환식 스프레더를 구비한 갠트리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